KR20240016597A -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597A
KR20240016597A KR1020220094559A KR20220094559A KR20240016597A KR 20240016597 A KR20240016597 A KR 20240016597A KR 1020220094559 A KR1020220094559 A KR 1020220094559A KR 20220094559 A KR20220094559 A KR 20220094559A KR 20240016597 A KR20240016597 A KR 2024001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housing
cutting blade
shaft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범
Original Assignee
여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인범 filed Critical 여인범
Priority to KR102022009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597A/ko
Publication of KR2024001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6Driving mechanisms; Coupling to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회전축에 대한 전체적인 센터링이 가능하여 본체부에 회전축뭉치부를 장착시에 별도의 정위치 센터링을 맞추지 않아도 회전축의 조립이 편리한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풀리와 상기 모터축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한 회전축과 커팅분쇄부를 포함하는 커팅날구동부;
상기 커팅날 구동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커피콩을 공급하는 투입구와, 전원스위치와 속도조절부와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라인더 본체부;로 이루어진 원두커피 그라인더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 구동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축을 지지하는 상부하우징의 테두리면에 상/하부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안착홈에 오일링을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하부축상에 축커팅날을 형성하고, 상기 축커팅날의 외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피콩의 분쇄크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락조절너트와 외부날하우징을 포함하는 커팅분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날하우징에 형성한 상/하부안착홈과 상기 상/하부안착홈에 오일링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외부날하우징의 끝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호퍼부를 형성하여 조립이 편리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CORRECT PLACEMENT}
본 발명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대한 전체적인 센터링이 가능하여 본체부에 회전축뭉치부를 장착시에 별도의 정위치 센터링을 맞추지 않아도 회전축의 조립이 편리한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4대 요소는 양질의 생두, 최적의 로스팅, 적절한 분쇄, 바른 추출이라 할 수 있 다. 적절한 분쇄는 추출 방법에 따라 분쇄 방법과 분쇄된 원두의 입도가 매우 중요한데 각 방법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해야 최상의 맛과 향을 얻을 수 있다. 볶아진 커피 콩(원두)을 수동 분쇄기(커피밀) 또는 전동 분쇄기로 갈아내는 과정을 그라인딩(Grinding)이라 하는데 그라인딩을 하는 이유는 커피와 물이 닿는 표면적을 넓혀가용 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함이다. 원두커피 분쇄시 추출방법에 따라 그 입도가 달라지는데 가는 분쇄(fine grind), 중간 분쇄(medium grind), 굵은 분쇄(coarse grind)로 분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에스프레소는 매우 가늘게 분쇄하고 여과식 드립용은 중간으로 프레스필터나 퍼컬레이터의 경우에는 굵게 분쇄하는 것이 좋다. 분쇄된 커피 입자의 크기는 균일해야 하며 분쇄시 발생되는 열이 작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각 커피 입자에서 추출되는 가용성 성분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거친 맛이 나타날 가능성이 많고 분쇄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커피 성분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 맛이 달라질 수 있다. 좋은 커피 맛을 제대로 내기 위해서는 그라인딩 작업이 중요하며 커피 그라인더에는 전동장치의 유무에 따라 자동과 수동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수동의 경우 사람의 손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나 포터필터에 눈으로 측정하여 담는 방식이어서 추출된 커피의 양이 항상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의 경우 셋팅되어진 시간에 따라 분쇄가 이루어지며 호퍼통에 담겨진 원두의 무게에 따라 분쇄되는 커피가루의 양이 일정하지 않고 굵기 셋팅을 하기 위해 수동으로
분쇄를 하여 추출시간을 설정한 후 분쇄되는 양을 타이머 방식으로 기계에 설정하여 셋팅하여야 하며 원두 굵기 셋팅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원두가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원두커피 그라인더를 출원하여 등록특허 제10-1939690호(2019.01.11)를 등록하였다.
그러나, 상기 원두커피 그라인더를 조립시에 커팅날을 포함하는 샤프트뭉치부를 고정하우징내에 장착시 쎈터링이 맞지 않아 진동 또는 커팅날이 서로 맞지 않아 커피콩을 원할하게 분쇄하기가 어렵고, 또는 썬터링하는 시간이길어지게 되어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특허)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939690호(2019.01.1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축을 형성한 커팅날 구동부를 장착시에 회전축의 센터링을 맞추기가 편리한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축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환이 편리한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풀리와 상기 모터축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한 회전축과 커팅분쇄부를 포함하는 커팅날구동부;
상기 커팅날 구동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커피콩을 공급하는 투입구와, 전원스위치와 속도조절부와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라인더 본체부;로 이루어진 원두커피 그라인더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 구동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축을 지지하는 상부하우징의 테두리면에 상/하부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안착홈에 오일링을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하부축상에 축커팅날을 형성하고, 상기 축커팅날의 외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피콩의 분쇄크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락조절너트와 외부날하우징을 포함하는 커팅분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날하우징에 형성한 상/하부안착홈과 상기 상/하부안착홈에 오일링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외부날하우징의 끝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호퍼부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는
조립시에 회전축의 센터링이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는 오일링의 교환이 편리하여 사용 후 진동이 발생되거나 장기간 사용 후에 소음이 발생시에 교환이 편리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의 커팅날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풀리와 상기 모터축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한 회전축과 커팅분쇄부를 포함하는 커팅날구동부;
상기 커팅날구동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커피콩을 공급하는 투입구와, 전원스위치와 속도조절부와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라인더 본체부;로 이루어진 원두커피 그라인더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구동부(300)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하우징(220)의 테두리면에 상/하부 안착홈(230,230-1)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안착홈에 오일링(240)을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하우징(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축원통형뭉치(390)의 테두리에는 상/하부 안착홈(250,250-1)에 오일링(240)을 삽입하여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310)에 나사결합이 되도록 하되, 회전축의 하부축상에 축커팅날(320)을 형성하고, 상기 축커팅날의 외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피콩의 분쇄크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락조절너트(330)와 외부날하우징(340)을 포함하는 커팅분쇄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커팅분쇄부의 상/하부안착홈(350,350-1)과 상기 상/하부안착홈에 오일링(360)을 삽입하여 형성하고, 외부날의 하우징의 끝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호퍼부(37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락조절너트(330)와 외부날하우징(340)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스프링(450)이 상비되어 형성하였다.
상기 그라인더 본체부(1000)는,
구동모터(100); 상기 모터축풀리(110)와 상기 모터축풀리와 벨트(120)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한 회전축풀리(410)와 회전축(130)과 커팅분쇄부(150)를 포함하는 커팅날구동부(300); 상기 커팅날구동부(300)를 지지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커피콩을 공급하는 투입구(160)와, 전원스위치와 속도조절부(380)와 받침부(190)를 형성하였다.
상기 투입구(160)에는 좌/우측과 전방측으로 선택하여 넣을 수 있는 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에는 커피콩안내캡(170)을 자석(180)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커피콩안내캡(170)의 내부에는 경사면(170-2)을 형성하여 커피콩의 유입이 잘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상부에는 뚜껑(170-1)을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받침부(190)의 상부에는 커피콩이 분쇄한 것을 받을 수 있도록 받이컵(210)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여 커팅날 구동부(300)을 포함하는 상부하우징(220)을 본체부에 결합하여 고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커팅날 구동부(300)는, 상부하우징(220)와 상기 커팅분쇄부의 상/하부안착홈(350,350-1)과 상기 상/하부안착홈에 오일링(360)을 삽입하여 형성하여 회전축상의 미세한 차이를 오일링에 의해 보정이 될 수 있도록 연결부분을 상/하부 안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탄성력을 갖는 오일링을 형성한 특징이 있다.
100: 구동모터(100) 120: 벨트
130: 회전축 150: 커팅분쇄부
300: 커팅날구동부 380: 속도조절부(380)
410: 회전축풀리 1000: 그라인더 본체부

Claims (2)

  1.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풀리와 상기 모터축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한 회전축과 커팅분쇄부를 포함하는 커팅날구동부;
    상기 커팅날 구동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커피콩을 공급하는 투입구와 전원스위치와 속도조절부와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라인더 본체부;로 이루어진 원두커피 그라인더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 구동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하우징의 테두리면에 상/하부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안착홈에 오일링을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 원통형뭉치의 테두리에는 상/하부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오일링을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되, 회전축의 하부축상에 축커팅날을 형성하고, 상기 축커팅날의 외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피콩의 분쇄크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락조절너트와 외부날하우징을 포함하여 형성한 커팅분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팅분쇄부의 상/하부안착홈과 상기 상/하부안착홈에 오일링을 삽입하여 형성하고, 외부날의 하우징의 끝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호퍼부(37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그라인더 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콩안내캡(170)의 내부에는 경사면(170-2)을 형성하여 유입이 잘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상부에는 뚜껑(170-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그라인더 보정장치.

KR1020220094559A 2022-07-29 2022-07-29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 KR20240016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59A KR20240016597A (ko) 2022-07-29 2022-07-29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59A KR20240016597A (ko) 2022-07-29 2022-07-29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597A true KR20240016597A (ko) 2024-02-06

Family

ID=8985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559A KR20240016597A (ko) 2022-07-29 2022-07-29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5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690B1 (ko) 2018-10-08 2019-01-17 여인범 원두커피 그라인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690B1 (ko) 2018-10-08 2019-01-17 여인범 원두커피 그라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13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алывания кофе или друг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7337854B2 (ja) グラインダ、コーヒーマシン、およびコーヒー豆を挽くための方法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US20140361107A1 (en) Coffee grinder, in particular for an automatic coffee machine
CN107411583B (zh) 用于调节咖啡研磨粗细的调节装置及咖啡磨豆机
EP3624655B1 (en) Bean grinding apparatus
KR101939690B1 (ko) 원두커피 그라인더
KR20240016597A (ko) 원두커피 그라인더의 정위치 보정구동장치
CN213850231U (zh) 电动咖啡磨豆机
CN208590890U (zh) 一种研磨装置、磨豆机和咖啡机
KR101753751B1 (ko) 휴대용 커피 메이커
CN112754285A (zh) 一种具有新型注水、研磨功能的全自动咖啡机
WO2023274895A1 (en) A bean grinding apparatus
JPWO2020217500A1 (ja) 臼体及びミル装置
CN212213520U (zh) 一种电动咖啡豆研磨装置
CN211212771U (zh) 研磨装置
CN202262846U (zh) 一种研磨式豆浆机
GB2605990A (en) A coffee grinder
CN215016411U (zh) 一种便于调节颗粒粗细的咖啡磨豆机
CN208510843U (zh) 磨豆仓及磨豆机
CN215016406U (zh) 一种新型咖啡磨豆机
CN216569643U (zh) 一种采用电动马达调节的磨豆机结构
CN2640380Y (zh) 咖啡粉粗细可调的咖啡壶
CN115251710B (zh) 一种咖啡机的磨豆装置
CN217309888U (zh) 一种用于咖啡机或饮品机的磨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