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549A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549A
KR20240016549A KR1020220094475A KR20220094475A KR20240016549A KR 20240016549 A KR20240016549 A KR 20240016549A KR 1020220094475 A KR1020220094475 A KR 1020220094475A KR 20220094475 A KR20220094475 A KR 20220094475A KR 20240016549 A KR20240016549 A KR 2024001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ywalking
information
vehicle
warning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희
임훈수
김도현
권진만
이지현
박형일
이준성
박용혁
신태성
Original Assignee
경기도 부천시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부천시,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filed Critical 경기도 부천시
Priority to KR102022009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549A/en
Publication of KR2024001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5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2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a temporal dimension, e.g. time-based feature extraction; Pattern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횡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무단 횡단 발생 도로 구간을 파악하고 해당 도로 구간에 대한 실시간 촬영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 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도로 구간 인근에 설치된 전광판 등의 경고 장치 및 차량 단말을 통해 무단 횡단 보행자에게 경고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에 무단 횡단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ywalk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ywalk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hich identifies road sections where jaywalking occurs through a camera that photographs a vehicle road, detects jaywalking through real-time video analysis of the road section, and detects jaywalking in the vicinity of the road section. We are disclosing a technology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jaywalking by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to jaywalking pedestrians or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to vehicles driving on the relevant road section through warn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signs installed in and vehicle terminals.

Description

무단횡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Jaywalk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본 발명은 무단횡단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무단 횡단 발생 도로 구간을 파악하고 해당 도로 구간에 대한 실시간 촬영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 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도로 구간 인근에 설치된 전광판 등의 경고 장치 및 차량 단말을 통해 무단 횡단 보행자에게 경고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에 무단 횡단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ywalk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ywalk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road section where jaywalking occurs is identified through a camera that photographs a vehicle road, and jaywalking is detected through real-time video analysis of the road section. Technology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jaywalking by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to jaywalking pedestrians through warn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signs installed near the road section and vehicle terminals, or by providing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to vehicles driving on the road section. It is about.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으로 인한 교통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의 경우, 다른 교통 사고의 유형과는 달리 보행자 자체가 충격을 온몸으로 받기 때문에 사망률이 다른 교통 사고 유형에 비해 10배에 달하는 가장 위험한 사고이다.Traffic accidents due to jaywalking on roads frequently occur. Unlike other types of traffic accidents, accidents caused by jaywalking are the most dangerous accidents, with a fatality rate of 10 times that of other types of traffic accidents, because the pedestrians themselves receive shock to their entire bodies.

일반적으로 도로 상에 진행 중인 차량이 보이더라도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되지만, 실제 차량의 속도는 사람이 시각적으로 느끼는 속도보다 상당히 빠르기에 순간적인 무단 횡단 시도는 큰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In general, even if a vehicle moving on the road is se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thought to be slow at a certain distance or more. However,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is considerably faster than the speed visually perceived by humans, so a momentary attempt to jaywalk can cause a serious accident. It causes it.

이러한 무단 횡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Various measures are being proposed to prevent such jaywalking accidents.

종래기술들은 카메라를 통해 횡단 보도를 모니터링하면서 무단 횡단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경고하거나 주변에 무단 횡단 상황을 안내하는 기술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Conventional technologies present technologies that monitor crosswalks through cameras to detect jaywalking, warn people about jaywalking, or guide people to jaywalking situations.

허나, 횡단 보도 부근에서는 차량 운전자들이 더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무단 횡단자를 보다 빨리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인근에 횡단 보도가 없는 주행 도로에서는 차량 운전자들이 무단 횡단 발생을 사전에 고려하지 않기에 무단 횡단자를 인식한 후 이에 대응이 늦을 수 있어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However, since vehicle drivers pay more attention near crosswalks, jaywalkers can be recognized more quickly and immediate response may be possible. However, on roads where there are no crosswalks nearby, vehicle drivers do not consider jaywalking in advance, so they may be late in responding to jaywalkers after recognizing them, leading to serious accidents.

따라서 인근에 횡단 보도가 존재하는 도로뿐만 아니라 횡단 보도가 존재하지 않는 도로에서도 무단 횡단을 감지하여 경고 또는 안내할 수 있는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detect unauthorized crossings and provide warnings or guidance not only on roads with nearby crosswalks, but also on roads without crosswalks.

나아가서 종래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기초로 무단 횡단 상황을 판단시, 촬영 영상 상의 이동 물체가 사람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가령, 트럭이나 버스 등의 차량에 사람 형태의 광고물을 무단 횡단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거나 오토바이 또는 퀵보드 등을 타고 있는 사람을 무단 횡단자로 오인하여, 무단 횡단 판단에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Furthermore, when determining a jaywalking situation based on images captured by a conventional camera, errors frequently occur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moving object in the captured image is a person.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in the judgment of jaywalking by recognizing a person-shaped advertisement on a vehicle such as a truck or bus as a jaywalker, or by mistaking a person riding a motorcycle or speedboard as a jaywalker.

한걸음 더 나아가서 종래 기술의 경우, 여러 지역의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중앙 서버가 전달받아 무단 횡단 여부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성능 의존도가 높아 촬영 영상을 저해상도로 처리함에 따른 분석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Going one step furth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central server receives captured images from cameras in various regions and analyzes the images for jaywalking, which results in lower analysis accuracy due to processing of captured images at low resolution due to high dependence on network performance. there is a problem.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22-00743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7435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무단 횡단 발생 도로 구간에 대한 촬영 영상을 통해 무단 횡단을 감지하고 경고 장치 및 차량 단말을 통해 경고 정보 및 무단 횡단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detecting jaywalking through captured images of road sections where jaywalking occurs and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and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a warning device and vehicle terminal. We want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jaywalking.

특히, 종래기술의 경우, 횡단 보도 부근에서 무단 횡단을 감지하는데, 오히려 횡단 보도 부근이 아닌 도로에서 무단 횡단시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jaywalking is detected near a crosswalk, but rather, 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jaywalking on a road other than a crosswalk leads to a bigger accident.

나아가서 촬영 영상 상의 이동 물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오류를 해결하고자 한다.Furthermore, we aim to solve the error of not being a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moving object in a captured image is a person.

한걸음 더 나아가서 종래 기술의 경우, 여러 지역의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중앙 서버가 전달받아 무단 횡단 여부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성능 의존도가 높아 촬영 영상을 저해상도로 처리함에 따른 분석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Going one step furth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central server receives captured images from cameras in various regions and analyzes the images for jaywalking, which reduces the analysis accuracy due to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s at low resolution due to the high dependence on network performance. We want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지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 차량 도로 주변에 배치되어 인근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제공받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무단 횡단을 판단하고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여 경고 장치로 전달하는 무단 횡단 감지 장치; 및 해당 도로 주변에 배치되어 인근의 상기 무단 횡단 감지 장치로부터 무단 횡단 정보를 전송받아 인근 차량 및 보행자에게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vehicle road; A jaywalking detection device that is placed around the vehicle road and receives real-time captured images from cameras placed nearby, analyzes the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jaywalking,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a warning device; and a warning device disposed around the road, which receives jaywalking information from the nearby jaywalking detection device and provides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to nearby vehicles and pedestri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횡단 감지 장치는, 촬영 영상에 대한 패턴 분석을 통해 오브젝트를 특정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보행자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판단부;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무단 횡단 여부를 판단하는 무단 횡단 감지부; 및 무단 횡단 감지시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경고 장치로 제공하는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includes: an object determination unit that specifies an object through pattern analysis of a captured image and determines a pedestrian based on a mo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A jaywalking detection unit that tracks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jaywalking; and a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that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when jaywalking is detected and provides it to the warning device.

나아가서 상기 오브젝트 판단부는, 과거 누적적으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통해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 발생 빈도를 파악하여 무단 횡단 구간을 설정하고,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상기 무단 횡단 구간을 중심으로 ROI를 추출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objec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frequency of jaywalking on vehicle roads through captured images accumulated in the past, sets a jaywalking section, and extracts an ROI centered on the jaywalking section from real-time captured images. .

일례로서, 상기 오브젝트 판단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차량을 판단하며, 상기 무단 횡단 감지부는,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까지 도달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달 시간을 기초로 경고 레벨을 판단하며, 상기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는, 경고 레벨별로 각기 다른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bjec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vehicle based on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and the jaywalking detection unit tracks the movement of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vehicle and reaches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Calculate the time, determine the warning level based on the arrival time, and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may generate different jaywalking information for each warning level.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는, 상기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 상기 차량의 단말 장치로 상기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may provide the jaywalk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vehicle when the warning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나아가서 과거 누적적으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통해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 패턴을 분석하고, 해당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 발생 빈도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 도로 상의 무단 횡단 구간을 설정하며, 촬영 영상에 대한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상기 무단 횡단 감지 장치로 제공하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jaywalking patterns on vehicle roads are analyzed through cumulatively acquired footage from the past, jaywalking sections on the vehicle road are analyz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jaywalking on the vehicle road, and jaywalking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captured video footage. It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server that provides an algorithm to 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방법의 일실시예는,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차량 도로에 대한 실시간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도로 영상 획득 단계; 상기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촬영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을 판단하고,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는 무단 횡단 판단 단계; 및 상기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해당 도로 주변에 배치된 경고 장치로 상기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경고 장치를 통해 인근 차량 및 보행자에게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ad image acquisition step in which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acquires a real-time captured image of a vehicular road; A jaywalking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determines jaywalking through video analysis of captured images and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And it may include a warning information provision step in which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provides the jaywalking information to a warning device placed around the road, and provides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to nearby vehicles and pedestrians through the warning device. there is.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횡단 판단 단계는, 촬영 영상에 대한 패턴 분석을 통해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오브젝트 특정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보행자를 판단하는 보행자 판단 단계;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무단 횡단 여부를 판단하는 보행자 추적 단계; 및 무단 횡단 감지시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는 무단 횡단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step includes: an object specification step of specifying an object through pattern analysis of a captured image; A pedestria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pedestrian based on a mo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A pedestrian tracking step of track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jaywalking; And it may include a jay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jaywalking information when jaywalking is detected.

나아가서 상기 무단 횡단 판단 단계는, 중앙 서버로부터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촬영 영상에서 무단 횡단 구간을 중심으로 ROI를 추출하고, 추출된 ROI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을 판단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step, ROI can be extracted from the captured image centered on the jaywalking section based on a jaywalking analysis algorithm from the central server, and jaywalking can be determined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extracted ROI.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무단 횡단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차량을 판단하는 차량 판단 단계; 및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까지 도달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달 시간을 기초로 경고 레벨을 판단하여 경고 레벨별로 각기 다른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는 경고 레벨별 무단 횡단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oing one step further, the step of generating jaywalking information includes a vehicl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vehicle based on a mo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and jaywalking by warning level, which tracks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vehicle, calculates the arrival time to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determines the warning level based on the arrival time, and generates different jaywalking information for each warning level.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 상기 차량의 단말 장치로 상기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of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warning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jaywalk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무단 횡단 발생 도로 구간에 대한 촬영 영상을 통해 무단 횡단을 감지하고 경고 장치 및 차량 단말을 통해 경고 정보 및 무단 횡단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idents due to jaywalking can be prevented by detecting jaywalking through captured images of road sections where jaywalking occurs and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and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a warning device and vehicle terminal. .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배치 위치 인근에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배치됨으로써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고화질의 촬영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영상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near the location of the camera that photographs the vehicle road, real-time high-definition captured images can be provided from the camera, thereby enabling more accurate image analysi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촬영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특정하고 오브젝트의 동작 패턴을 기초로 오브젝트의 종류를 판단함으로써, 보행자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a pedestrian is present by specifying an object in a captured image and determining the type of object based on the object's motion pattern.

나아가서 무단 횡단 보행자와 인근 주행 차량 간의 충돌 가능성을 고려한 경고 레벨별로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여, 경고 장치가 경로 레벨별로 상이하게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무단 횡단 보행자 및 인근 보행자들은 그 위험 정도를 보다 즉각적으로 직감할 수 있고, 차량 단말을 통해 경고 레벨별로 무단 횡단 안내 정보가 각기 상이하게 전달되므로 차량 운전자는 보다 주의를 기울여 무단 횡단 보행자와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by providing jaywalking information by warning level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jaywalking pedestrians and nearby vehicles, the warning device displays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differently for each route level, so that jaywalking pedestrians and nearby pedestrians can see the level of risk. Because it can be intuitively sensed immediately, and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is delivered differently for each warning level through the vehicle terminal, vehicle drivers can pay more attention and prevent collisions with jaywalking pedestrians in adv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의 무단 횡단 감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의 경고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통해 오브젝트를 파악하고 추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을 통해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show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show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warning device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flow chart of one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to 9 show an example of identifying and tracking an object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flow 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an example of providing jaywalking informa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purpose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and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hem.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무단 횡단 발생 도로 구간을 파악하고 해당 도로 구간에 대한 실시간 촬영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 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도로 구간 인근에 설치된 전광판 등의 경고 장치 및 차량 단말을 통해 무단 횡단 보행자에게 경고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에 무단 횡단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road section where jaywalking occurs through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vehicle road, detects the occurrence of jaywalking through real-time video analysis of the road section, and uses warn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signs and vehicle terminals installed near the road section. It presents a technology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jaywalking by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to jaywalking pedestrians or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to vehicles driving on the relevant road s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은,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 카메라(200), 경고 장치(300), 중앙 서버(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a camera 200, a warning device 300, a central server 500, etc.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차량 도로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200)로부터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제공받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도로 상의 무단 횡단을 판단하고,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여 인근 경고 장치(300)와 인근 차량(400)의 차량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may be placed around a vehicle road.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receives real-time captured images from the camera 200 that photographs the vehicle road, analyzes the captured images, determines jaywalking on the vehicle road, and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to provide a nearby warning device 300. It can be provided to the vehicle terminal of a nearby vehicle 400.

카메라(200)는 차량 도로와 인접하여 분산 설치된 복수의 CCTV(200a, 200b,..200n)를 포함하며, 차량 도로와 그 주변을 촬영한 실시간 촬영 영상을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amera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CTVs (200a, 200b,...200n) distributedly installed adjacent to the vehicle road, and provides real-time captured images of the vehicle road and its surroundings to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You can.

경고 장치(300)는 해당 차량 도로 주변에 배치되어 인근의 무단 횡단 감지 장치(100)로부터 무단 횡단 정보를 전송받고 인근을 주행하는 차량(400)과 보행자가 무단 횡단에 대한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rning device 300 is placed around the vehicle road and receives jaywalking information from a nearby jaywalking detection device 100 so that vehicles 400 and pedestrians driving nearby can detect the risk of jaywalking. It can provide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중앙 서버(500)는 별도의 이격된 중앙 관제 시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된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로부터 다양한 촬영 영상을 전달받아 분석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500 can be installed in a separate central control facility and can receive and analyze various captured images from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s 100 distributed in various areas.

중앙 서버(500)는 해당 지역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 발생 빈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해당 차량 도로 상의 무단 횡단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500)는 해당 차량 도로의 무단 횡단 구간 인근에 배치된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로 해당 차량 도로 상의 무단 횡단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entral server 500 analyzes captured images of the area, analyzes the frequency of jaywalking on the vehicle road in the area, and sets a jaywalking section on the vehicle road based on this.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500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jaywalking section on the vehicle road to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placed near the jaywalking section of the vehicle road.

중앙 서버(500)는 과거 누적적으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무단 횡단 감지에 대한 인공 지능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결과에 따른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각각의 해당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entral server 500 performs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for jaywalking detection by using the captured images accumulated in the past as learning data and applies a jaywalking analysis algorithm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s to each corresponding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It can be provided as .

즉, 본 발명에서는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방식으로 무단 횡단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각의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가 실시간 촬영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무단 횡단을 판단하며, 중앙 서버(500)는 누적적으로 획득된 촬영 영상에 대한 인공 지능 학습을 통해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제공함으로써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의 무단 횡단 분석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is constructed using edge computing, so that each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analyzes real-time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jaywalking, and the central server 500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jaywalking analysis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by providing a jaywalking analysis algorithm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on cumulatively acquired captured images.

특히, 기존 중앙 집중식으로 무단 횡단을 판단함에 따라 먼 거리에 위치된 카메라로부터 중앙 서버가 촬영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야 하는데, 이는 네트워크의 의존도가 높아 고화질의 촬영 영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여 영상 분석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as the existing centralized method determines jaywalking, the central server must receive captured video data from cameras located at a distance, but this is highly dependent on the network and cannot transmit data in high-definition captured video, so the accuracy of video analysis There was a problem of deterioration.

본 발명에서는 엣지 컴퓨팅 방식을 적용하여 각 무단 횡단 발생 지점의 인근에 배치된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가 직접 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고화질 데이터를 전송받아 영상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edge computing method,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placed near each jaywalking occurrence point directly analyzes the captured video, thereby receiving high-definition data and analyzing the video, thereby increasing accuracy.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Let's look at each configuration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rough embodiment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의 무단 횡단 감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Figures 2 and 3 show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단 횡단 감지 장치(100)는, 무단 횡단 판단부(110),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130), 통신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jaywalking determination unit 110, a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50, etc.

무단 횡단 판단부(110)는 인근 카메라(200)로부터 차량 도로에 대한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무단 횡단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The jaywalking determination unit 110 may receive real-time captured images of the vehicle road from a nearby camera 200 and analyz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jaywalking.

일례로서, 무단 횡단 판단부(110)는 오브젝트 판단부(111), 무단 횡단 감지부(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unit 110 may include an object determination unit 111, a jaywalking detection unit 115, etc.

오브젝트 판단부(111)는 촬영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영상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 판단부(111)는 특정된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동작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오브젝트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오브젝트 판단부(111)는 촬영 영상에서 특정된 오브젝트가 사람인지 차량인지 등을 구분할 수 있다.The object determination unit 111 may specify an object present in the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captured image. In addition, the object determination unit 111 can comprehensively analyze the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the specified object to determine the movement pattern and determine the type of object based on this. For example, the object determination unit 111 may distinguish whether an object specified in a captured image is a person or a vehicle.

무단 횡단 감지부(115)는 특정된 오브젝트에 대한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가령, 무단 횡단 감지부(115)는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으며, 보행로와 차량 도로를 구분하여 보행자의 무단 횡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jaywalking detection unit 115 can track movement of a specified object. For example, the jaywalking detection unit 115 can track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e whether a pedestrian is jaywalking by distinguishing between a pedestrian path and a vehicle road.

또한 무단 횡단 감지부(115)는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까지 도달 시간을 산출하고, 도달 시간을 기초로 경고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jaywalking detection unit 115 may track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vehicle, calculate the arrival time to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e a warning level based on the arrival time.

나아가서 무단 횡단 판단부(110)는 중앙 서버(600)로부터 무단 횡단 부석 알고리즘을 제공받아 이를 적용하여 촬영 영상에서 무단 횡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무단 횡단 판단부(110)는 중앙 서버(600)로부터 무단 횡단 구간 정보를 제공받고,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해당 무단 횡단 구간을 중심으로 ROI를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unit 110 can receive a jaywalking pumice algorithm from the central server 600 and apply it to determine jaywalking in the captured image. Additionally,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jaywalking section from the central server 600 and extract and analyze ROI centered on the jaywalking section from the real-time captured video.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130)는 무단 횡단 판단부(110)의 무단 횡단 판단 결과를 기초로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인근에 배치된 경고 장치(300) 또는 인근을 주행 중인 차량(400)의 차량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130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based on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result of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unit 110 and sends it to the warning device 300 placed nearby or the vehicle 400 driving nearby. It can be provided through a vehicle terminal.

바람직하게는 무단 횡단 판단부(110)에서 무단 횡단을 경고 레벨로 판단한 경우,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130)는 해당 경로 레벨별로 각기 다른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jaywalking determination unit 110 determines jaywalking to be a warning level,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130 may generate and provide different jaywalking information for each route level.

나아가서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130)는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는 인근 차량들의 차량 단말 장치로 별도의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인근 주행 차량의 차량 단말 장치로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when the warning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130 does not provide separate jaywalk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devices of nearby vehicles, and when the warning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130 does not provide separate jaywalk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devices of nearby vehicles. The device can also provide jaywalking information.

일례로서,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130)는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메시징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130 may provide jaywalking information by applying the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essaging protocol.

통신부(150)는 중앙 서버(500), 인근 카메라(200), 경고 장치(300), 인근 주행 차량(400)의 차량 단말 등과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상황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송수신 데이터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provide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server 500, a nearby camera 200, a warning device 300, a vehicle terminal of a nearby driving vehicle 400, etc.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apply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an also appl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의 경고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Figures 4 and 5 show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warning device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경고 장치(300)는 무단 횡단 구간 인근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고 정보 제공부(310), 제어부(330), 통신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rning device 300 may be placed near a jaywalking section and may include a warning information provider 310, a control unit 330, a communication unit 350, etc.

경고 정보 제공부(310)는 인근의 무단 횡단 감지 장치(100)로부터 무단 횡단 정보를 전달받고, 인근 차량 및 보행자 등에게 무단 횡단을 경고하기 위해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rning information provider 310 may receive jaywalking information from a nearby jaywalking detection device 100 and provide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to warn nearby vehicles and pedestrians of jaywalking.

일례로서, 경고 정보 제공부(310)는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시각적으로 시현시켜 알리는 디스플레이(311)와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음향 신호로 방출하여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피커(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warning information provider 310 may include a display 311 that visually displays and notifies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and a speaker 315 that audibly announces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by emitting an acoustic signal. .

제어부(330)는 무단 횡단 감지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무단 횡단 정보에 따라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경고 정보 제공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30 may control the warning information provider 310 to selectively provide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jaywal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100.

일례로서, 제어부(330)는 경고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311)의 밝기, 색 변경 등 다양한 요소를 제어하여 위험 정도를 표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경고 레벨에 따라 스피커(315)를 통해 방출되는 방출음의 크기와 종류를 각기 다르게 제어하여 위험 정도를 표출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330 can control various elements such as brightness and color change of the display 311 according to the warning level to express the level of risk.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30 can express the level of risk by controlling the size and type of sound emitted through the speaker 315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arning level.

통신부(350)는 인근 무단 횡단 감지 장치(100)와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상황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송수신 데이터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provide communication with a nearby jaywalking detection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apply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an also appl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살펴본 무단 횡단 감시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무단 횡단 감시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시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implemented through the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discussed above. Hereinafter, the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ample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Figure 6 shows a flow chart of one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카메라(200)로부터 인근 차량 도로에 대한 실시간 촬영 영상을 획득(S110)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may acquire real-time captured images of a nearby vehicle road from the camera 200 (S110).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획득된 촬영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촬영 영상에 대한 패턴 분석을 통해 촬영 영상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특정(S120)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determine jaywalking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acquired captured video. More specifically,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recognize and specify objects present in the captured image through pattern analysis of the captured image (S120).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특정된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오브젝트의 종류를 판단(S130)할 수 있다. 가령,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보행자인지 차량인지 등을 구분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may analyze the mo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the specified object and determine the type of the object based on this (S130). For example,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distinguish whether the object is a pedestrian or a vehicle by analyzing the mo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파악된 오브젝트를 추적(S140)하는데, 일례로서,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무단 횡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tracks the identified object (S140). As an example, it can track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to determine whether it is jaywalking.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가 오브젝트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동을 추적하여 무단 횡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The process by which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e type of object and tracks its movem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jaywalk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상기 도 7과 같이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실시간 촬영 영상(610 내지 640)에서 오브젝트(611, 513, 621, 623, 631, 641)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8과 같이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오브젝트(611, 621, 631, 641)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파악하고 동선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사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9의 경우, 오브젝트의 속도와 이동 방향을 파악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보행자(651)인지, 퀴보드를 탄 사람(653)인지, 차량(655)에 표시된 광고물(656, 657)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specify objects 611, 513, 621, 623, 631, and 641 in real-time captured images 610 to 640. And as shown in FIG. 8,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identify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s 611, 621, 631, and 641 and analyze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line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pers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9, the speed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 are deter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pedestrian (651), a person on a queuing board (653), or an advertisement (656, 657) displayed on a vehicle (655). can be judged.

그리고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무단 횡단 판단시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도로 주변에 배치된 경고 장치(300)로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여 경고 장치(300)를 통해 인근 차량 및 보행자에게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jaywalking and provides the jaywalking information to the warning device 300 placed around the road, warning nearby vehicles and pedestrians through the warning device 300. Crossing warn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배치 위치 인근에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배치됨으로써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고화질의 촬영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영상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a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is placed near the location of the camera that photographs the vehicle road, so that real-time high-definition captured images can be provided from the camera, thereby enabling more accurate image analysi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촬영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특정하고 오브젝트의 동작 패턴을 기초로 오브젝트의 종류를 판단함으로써, 보행자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a pedestrian is present by specifying an object in a captured image and determining the type of object based on the object's motion pattern.

나아가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감시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Furthermore, Figure 10 show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중앙 서버(500)는 해당 지역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촬영 영상을 누적적으로 보관하고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구간을 파악하여 설정(S210)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500)는 해당 무단 횡단 구간 인근에 배치된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로 무단 횡단 구간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500 can cumulatively store and analyze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200 in the area to identify and set the section where jaywalking frequently occurs on the vehicle road in the area (S210). . Additionally, the central server 500 can provide jaywalking section setting information to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placed near the jaywalking section.

또한 중앙 서버(500)는 과거 누적적으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무단 횡단 감지에 대한 인공 지능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결과에 따른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해당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500 performs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on jaywalking detection using cumulatively acquired past captured images as learning data and transfers the jaywalking analysis algorithm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s to the corresponding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be provided.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인근 카메라(200)의 촬영 영상에서 무단 횡단 구간 구간을 중심으로 ROI를 추출(S220)하고 중앙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촬영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extracts ROI centered on the jaywalking section from the video captured by the nearby camera 200 (S220) and analyzes the captured video by applying the jaywalking analysis algorithm provided by the central server 500. You ca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촬영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특정하고 그 종류를 파악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보행자인지 차량인지를 판단(S230)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pedestrian or a vehicle by specifying an object in a captured image and determining its type (S230).

그리고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 및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각각의 이동을 추적(S240)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track the movement of each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vehicle (S240).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에 대한 이동 추적에 따라 무단 횡단으로 판단되면, 인근 주행 중인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 추적을 통해 무단 횡단 중인 보행자와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판단하고 인근 주행 중인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판단하여 보행자와 차량 간에 충돌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If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is determined to be jaywalking based on movement tracking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i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collision with the jaywalking pedestrian by tracking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nearby vehicle. there is. For example,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e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moving path and moving speed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es the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moving path and moving speed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nearby vehicle to detect the pedestria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between a vehicle and a vehicle.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가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까지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산출(S250)하고 도달 시간을 기초로 경고 레벨을 판단(S260)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arrival time for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vehicle to reach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S250) and determine a warning level based on the arrival time (S260).

가령,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보행자와 차량 간에 충돌 가능성을 확률적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확률적 수치별로 경고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may probabilistically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between a pedestrian and a vehicle, and determine a warning level based on a set probabilistic value.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경로 레벨별로 각기 다른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S270)하고, 무단 횡단 정보를 인근 경고 장치(300)와 인근 주행 차량(400)의 차량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can generate different jaywalking information for each route level (S270) and provide the jaywalking information to the nearby warning device 300 and the vehicle terminal of the nearby driving vehicle 400.

일례로서,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는 인근 경고 장치(300)로만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고,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인근 경고 장치(300) 및 인근 주행 차량(400)의 차량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provides jaywalking information only to the nearby warning device 300 when the warning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and when the warning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nearby warning device 300 and It can also be provided to the vehicle terminal of a nearby driving vehicle 400.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로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받으면, 경고 장치(300) 및 차량 단말은 무단 횡단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를 표출시킬 수 있다.When jaywalking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the warning device 300 and the vehicle terminal can display the jaywalking information visually or audibly.

도 11은 본 발명을 통해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다.Figure 11 shows an example of providing jaywalking informa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도로 상에 무단 횡단 보행자(710)가 감지된 상황에서 인근 주행 중인 차량(730)과 무단 횡단 보행자(710)가 충돌 가능성이 높은 레벨로 판단된 경우, 무단 횡단 감시 장치(100)는 이에 대응되는 무단 횡단 정보를 경고 장치(300) 및 차량(730)의 차량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In a situation where a jaywalking pedestrian 710 is detected on a vehicle roa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a nearby vehicle 730 and the jaywalking pedestrian 710,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100 responds thereto. The jaywalk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warning device 300 and the vehicle terminal of the vehicle 730.

경고 장치(300)는 경고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로 방출되는 화면의 색을 현란하게 변경시키면서 경고하거나 큰 소리의 귀에 거슬리는 음향을 방출하여 무단 횡단 보행자 및 인근 보행자들에게 무단 횡단을 경고할 수 있다. The warning device 300 can warn jaywalking pedestrians and nearby pedestrians by flashing a warning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screen depending on the warning level, or by emitting a loud, annoying sound.

특히, 경고 레벨에 따라 제공되는 경고 정보가 상이함으로써 무단 횡단 보행자 및 인근 보행자들은 그 위험 정도를 보다 즉각적으로 직감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warning information provided varies depending on the warning level, jaywalking pedestrians and nearby pedestrians can sense the level of danger more immediately.

또한 차량(730)의 차량 단말로 경고 레벨에 따라 상이하게 무단 횡단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전자는 보다 주의를 기울여 무단 횡단 보행자와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by providing different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warning level to the vehicle terminal of the vehicle 730, the vehicle driver can pay more attention and prevent collisions with jaywalking pedestrians in advanc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무단 횡단 발생 도로 구간에 대한 촬영 영상을 통해 무단 횡단을 감지하고 경고 장치 및 차량 단말을 통해 경고 정보 및 무단 횡단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단 횡단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jaywalking by detecting jaywalking through captured images of road sections where jaywalking occurs and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and jaywalking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a warning device and vehicle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무단 횡단 감지 장치,
110 : 무단 횡단 판단부,
111 : 오브젝트 판단부,
115 : 무단 횡단 감지부,
130 :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
150, 350 : 통신부,
200 : 카메라,
300 : 경고 장치,
310 : 경고 정보 제공부,
311 : 디스플레이,
315 스피커,
330 : 제어부.
100: jaywalking detection device,
110: Jaywalking judgment unit,
111: object determination unit,
115: jaywalking detection unit,
130: Jaywalking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150, 35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00: camera,
300: warning device,
310: warning information provision unit,
311: display,
315 speakers,
330: Control unit.

Claims (11)

차량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
차량 도로 주변에 배치되어 인근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제공받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무단 횡단을 판단하고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여 경고 장치로 전달하는 무단 횡단 감지 장치; 및
해당 차량 도로 주변에 배치되어 인근의 상기 무단 횡단 감지 장치로부터 무단 횡단 정보를 전송받아 인근 차량 및 보행자에게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지 시스템.
Cameras that take pictures of vehicular roads;
A jaywalking detection device that is placed around the vehicle road and receives real-time captured images from cameras placed nearby, analyzes the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jaywalking,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a warning device; and
A jaywalking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warning device that is disposed around the vehicle road and receives jaywalking information from the nearby jaywalking detection device and provides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to nearby vehicles and pedestri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횡단 감지 장치는,
촬영 영상에 대한 패턴 분석을 통해 오브젝트를 특정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보행자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판단부;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무단 횡단 여부를 판단하는 무단 횡단 감지부; 및
무단 횡단 감지시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경고 장치로 제공하는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an object determination unit that specifies an object through pattern analysis of a captured image and determines a pedestrian based on a mo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A jaywalking detection unit that tracks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jaywalking; and
A jaywalking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that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when jaywalking is detected and provides it to the warn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판단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차량을 판단하며,
상기 무단 횡단 감지부는,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까지 도달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달 시간을 기초로 경고 레벨을 판단하며,
상기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는,
경고 레벨별로 각기 다른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object determination unit,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The jaywalking detection unit,
Tracks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vehicle, calculates the arrival time to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es a warning level based on the arrival time.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said,
A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that generates different jaywalking information for each warning leve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횡단 정보 제공부는,
상기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 상기 차량의 단말 장치로 상기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jaywalking information provider said,
A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arning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jaywalk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vehicle.
제 2 항에 있어서,
과거 누적적으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통해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 패턴을 분석하고, 해당 차량 도로 상에서 무단 횡단 발생 빈도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 도로 상의 무단 횡단 구간을 설정하며, 촬영 영상에 대한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상기 무단 횡단 감지 장치로 제공하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nalyze jaywalking patterns on vehicle roads through accumulated footage acquired in the past, analyze the frequency of jaywalking on the vehicle road, set jaywalking sections on the vehicle road, and use a jaywalking analysis algorithm for the captured video. A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server that provides the jaywalking detec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판단부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무단 횡단 구간 정보를 제공받고, 실시간 촬영 영상에서 상기 무단 횡단 구간을 중심으로 ROI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object determination unit,
A jaywalking monitoring system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jaywalking section from the central server and extracts ROI centered on the jaywalking section from real-time captured images.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차량 도로에 대한 실시간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도로 영상 획득 단계;
상기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촬영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을 판단하고,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는 무단 횡단 판단 단계; 및
상기 무단 횡단 감시 장치가, 해당 도로 주변에 배치된 경고 장치로 상기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경고 장치를 통해 인근 차량 및 보행자에게 무단 횡단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방법.
A road image acquisition step in which a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acquires real-time captured images of a vehicle road;
A jaywalking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determines jaywalking through video analysis of captured images and generates jaywalking information; and
The jaywalking monitoring device provides the jaywalking information to a warning device placed around the road, and includes a warning information provision step of providing jaywalking warning information to nearby vehicles and pedestrians through the warning device. A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횡단 판단 단계는,
촬영 영상에 대한 패턴 분석을 통해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오브젝트 특정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보행자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종류 판단 단계;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무단 횡단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추적 단계; 및
무단 횡단 감지시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는 무단 횡단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jaywalking decision step is,
An object specification step of specifying an object through pattern analysis of a captured image;
An object typ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pedestrian based on a mo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An object tracking step of track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jaywalking; and
A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a jay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jaywalking information when jaywalking is detec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횡단 판단 단계는,
중앙 서버로부터 제공된 무단 횡단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촬영 영상에서 무단 횡단 구간을 중심으로 ROI를 추출하고, 추출된 ROI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무단 횡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jaywalking decision step is,
A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by extracting ROI centered on the jaywalking section from the captured video based on a jaywalking analysis algorithm provided from a central server, and determining jaywalking through video analysis of the extracted ROI.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종류 판단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동작 패턴을 기초로 차량을 판단하며,
상기 오브젝트 추적 단계는,
차량으로 판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여 보행자로 판단된 오브젝트까지 도달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달 시간을 기초로 경고 레벨을 판단하며,
상기 무단 횡단 정보 생성 단계는,
경고 레벨별로 각기 다른 무단 횡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object type determination step is,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The object tracking step is,
By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vehicle, the arrival time to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pedestrian is calculated, and the warning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arrival time,
The jaywalking information generation step is,
A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by generating different jaywalking information for each warning leve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경고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 상기 차량의 단말 장치로 상기 무단 횡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감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warning information provision step is,
A jaywalking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providing the jaywalking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of the vehicle when the warning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KR1020220094475A 2022-07-29 2022-07-2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KR202400165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75A KR20240016549A (en) 2022-07-29 2022-07-2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75A KR20240016549A (en) 2022-07-29 2022-07-2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549A true KR20240016549A (en) 2024-02-06

Family

ID=8985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475A KR20240016549A (en) 2022-07-29 2022-07-2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54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356A (en) 2020-11-27 2022-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danger situation on road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356A (en) 2020-11-27 2022-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danger situation on road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0401B (en) Vehicle blind area early warning method, early warning device, MEC platform and storage medium
US10186147B2 (en) Wrong-way determination apparatus
US9195894B2 (en) Vehicle and mobile device traffic hazard warning techniques
US11380105B2 (e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raffic conflicts
KR102280338B1 (en) Crossroad danger alarming system based on surroundings estimation
EP3426521A1 (en) Running vehicle alerting system and method
KR102101956B1 (en) Enforcement system for school-zone using pedestrian detection
KR1023068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affic event
JPWO2019189216A1 (en) Traffic monitoring equipment, traffic monitoring systems, traffic monitoring methods and programs
CN113111682A (en) Target object sensing method and device, sensing base station and sensing system
KR102565227B1 (en) Traffic safety device for providing risk prediction guidance and traffic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2185170B (en) Traffic safety prompting method and road monitoring equipment
KR20190090221A (en) Intelligence safety device
KR102526969B1 (en) Smart safety mirror device
KR101672780B1 (en)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for school zone
KR20220125659A (en) System for smart managing traffic
KR20210067634A (en) Unauthorized alerting system and method using object recognition
KR20240016549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jaywalking
KR101444233B1 (en) LCS system for roadway communication based on CCTV, and method for managing traffic accident using the same
KR101936004B1 (en) Intelligent pedestrian detecting method
KR101804377B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KR102611784B1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raffic at the Intersection
KR102317311B1 (en) System for analyzing information using video, and method thereof
KR102391929B1 (en) Crosswalk traffic accident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image analysis
KR102630264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of inter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