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236A -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 Google Patents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236A
KR20240016236A KR1020230179629A KR20230179629A KR20240016236A KR 20240016236 A KR20240016236 A KR 20240016236A KR 1020230179629 A KR1020230179629 A KR 1020230179629A KR 20230179629 A KR20230179629 A KR 20230179629A KR 20240016236 A KR20240016236 A KR 2024001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lid
handle
cooking container
inn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락
Priority to KR102023017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236A/ko
Publication of KR2024001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에 취부의 용이성과 취부시 손가락의 지압과 동시에 안정적인 취부가 가능하면서도 조리시 간을 보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저를 간단하게 거치가 가능토록 한 것으로, 일측으로 돌출되어지는 노브의 손잡이부의 저면에 다수의 요철면을 구비토록 하고, 상면에는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내입되면서 밀착이 가능토록 내입부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내입부를 노브의 상면의 4변이 모두 내입토록 하면서 좌우측의 변에는 절개하여 일정폭의 개방라인을 형성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상기 개방라인을 가로질게 거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a knob on the lid of a cooking container for easy handling}
본 발명은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에 취부의 용이성과 취부시 손가락의 지압과 동시에 안정적인 취부가 가능하면서도 조리시 간을 보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저를 간단하게 거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져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과 일측으로 돌출되어지는 것으로 구분되는데 통상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은 조리용기가 작은 규격일 경우에 사용되고 일측으로 돌출형은 규격이 큰 것에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노브가 상부로 돌출형은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가볍게 들어올리게 되고, 일측으로 돌출형은 손바닥을 사용하여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조리를 할 경우에는 대부분 물과 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손바닥으로 들어올릴 경우에는 물기에 의하여 슬림이 발생되어 자칫 손바닥에서 빠지게 되거나 또는 흘러내리게 되면서 자칫 바닥으로 덜어트리는 일도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돌출형의 노브의 몸체(통상 넙쩍하게 이루어짐)의 후단에 손바닥으로 잡은 상태에서 빠짐방지를 위한 걸림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도 손바닥으로만 잡는게 아니고 대부분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일측으로 돌출되는 노브의 하단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상면으로는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서 잡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도 조리시 사용되는 물이나 기름 등에 의한 미끌림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조리를 할 경우에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사용해서 조리하는 내용물의 뒤척이거나 간을 보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사용된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놓아둘데가 없는게 현실이어서 대부분 다른 그릇을 사용하거나 또는 옆에 사용하지 않는 조리용기에 잠시 놓아두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정확한 보관이 불가능하여 재 사용시 불편함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브의 상면에 내입홈을 형성하거나 관통부를 형성하여 거치가 가능토로 하고 있지만 이럴 경우에는 단지 수저의 거치에 불과하고 동시에 이러한 내입되어진 홈의 형상과 일치하지 못할 경우에는 유동등에 의한 거치의 불편함도 발생될 수 있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입홈이나 관통부에 이물질이 끼임됨으로서 또 다른 비 위생적인 부분도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107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9777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2001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노브의 손잡이부에 논슬립수단과 취부수단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거치도 규격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측으로 돌출되어지는 노브의 손잡이부의 저면에 다수의 요철면을 구비토록 하고, 상면에는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내입되면서 밀착이 가능토록 내입부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내입부를 노브의 상면의 4변이 모두 내입토록 하면서 좌우측의 변에는 절개하여 일정폭의 개방라인을 형성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상기 개방라인을 가로질게 거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라인을 내입부의 바닥면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세척한 이후에 물기의 제거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라인을 형성하는 절개면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서 내입부를 형성하는 테두리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경사지는 것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디자인성도 우수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을 사출성형할 경우에 점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마를 사용하여 2중 사출성형함으로서 점성에 의한 수저의 거치에 안정감을 제공토록 함은 물론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에 어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될 수있는 것이고 손잡이를 사용할 경우에 엄지손가락에 전달되는 접촉력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브를 사용할 경우에 손잡이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소돌기 형태의 요철면과 상면에 구비되는 내입부가 사용자의 4개의 손가락과의 우수한 밀착력과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밀착되는 내입부로 인하여 물기나 기름가가 손바닥에 묻어 잇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취부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내입부를 형성하는 좌우변을 개방라인으로 형성함으로서 세척후의 물기제거의 용이성은 물론 엄지손가락의 넓은 분도 안정적인 취부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다양한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도 우수하면서 특히 이중사출성형할 경우에는 더욱더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다양한 칼라의 제공으로 독특한 디자인성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노브의 상면을 도시한 일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노브의 저면을 도시한 일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내입부의 확대시사도.
도4는 본 발명의 내입부의 또 다른 일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내입부에 이중사출성형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이 조리용기 뚜껑과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7A,B는 본 발명의 내입부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이 거치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8A,B,C는 종래의 노브에 수저의 거치를 위한 일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브(100)의 구성은 통상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지고, 조리용기뚜껑(200)과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일측으로 돌출되어지는 손잡이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저면에 다수의 요철면(121)을 구비토록 하고, 상면에는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내입되면서 밀착이 가능토록 내입부(122)를 구비토록 한다.
상기 내입부(122)는 손잡이부(120)의 상면의 4변이 모두 상측으로 하측으로하향되어지는 테두리에 의하여 내입토록 하면서 좌우측의 변에는 절개하여 일정폭의 개방라인(123)을 형성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300)을 상기 개방라인(123)을 가로질게 거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때 손잡이부(110)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상향만곡되어지는 형상을 취할 경우에는 내입부(122)의 바닥면(122a)도 상향만곡되어지는 경우를 감안하여 개방라인(123)을 형성하는 홈부(123a)는 내입부(122)의 바닥면(122a)에서 상향돌출됨으로서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젓가락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숟가락을 거치할 경우에도 상기 개방라인(123)을 형성하는 홈부(123a)의 좌우 절개면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경사면(124)으로 형성함으로서 숟가락의 거치도 다양한 형태나 굵기에 의하여도 안정적인 거치가 용이토록 함은 물론 내입부(122)를 형성하는 테두리(122b)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경사지는 것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제품의 디자인성도 우수하게 한 것이고 이 상태에서 상기 내입부(122)에 물을 사용한 세척이후에도 물기의 자연적인 제거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라인(123)을 내입부(122)의 바닥면이 수평일 경우에는 홈부(123a)를 내입부(122)의 바닥면(122a)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세척한 이후에 물기의 제거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0)를 조리용기 뚜껑(200)과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질 경우에는 손잡이부(110)를 사출성형할 경우에 상면에는 이중사출성형기법에 의하여 탄성력과 점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마를 사용하여 2중 사출성형함으로서 내입부(122)가 점성에 의한 수저의 거치에 안정감을 제공토록 함은 물론 손잡이부(120)의 상면에만 형성하여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다양한 칼라의 선택으로 경질로 제조를 하기 위하여 통상 검정색으로만 이루어지는 노브(100)를 다양한 칼라로 제공가능토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점성으로 인하여 손잡이부(120)를 사용할 경우에 엄지손가락에 전달되는 접촉력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용기 뚜껑(200)에 노브(100)의 결합부(110)를 조리용기 뚜껑에 통상적인 구멍을 형성치 아니하고, 흡착방식으로 탈착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의 선단으로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의 저면(111)이 조리용기 뚜껑(200)과 긴밀하게 말착된 상태에서 결합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가압부(112)를 가압하면 저면이 상승하면서 흡착공간(113)을 구비하게 되어 조리용기뚜겅에서 탈착가능토록 할 수 잇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흡착방식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노브(100)를 가열기의 사용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가능토록 함은 물론 사용후 세척할 경우에 세척의 용이성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부(120)에 구비되는 소돌기로 이루어지는 요철면(121)과 내입부(122)에 의한 손잡이부(120)는 손과의 취부의 용이성은 물론 수저의 거치의 용이성과 우수한 디자인성은 나사식으로 조립구조에서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노브
110:결합부 111:저면
112:가압부 113:흡착공간
120:손잡이부 121:요철면
122:내입부 123:개방라인
200:뚜껑
300:수저

Claims (2)

  1. 통상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지고, 조리용기뚜껑(200)과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일측으로 돌출되어지는 손잡이부(120)로 이루어지는 노브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0)를 조리용기 뚜껑에 흡착방식으로 탈착가능토록 하고,
    상기 흡착을 위하여 결합부의 선단으로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12)를 구비하여 가압부의 가압에 의하여 결합부의 저면이 상승하면서 흡착공간을 구비하게 되어 조리용기뚜껑에서 탈착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0)의 저면에 다수의 요철면(121)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내입되면서 밀착이 가능토록 내입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내입부(122)는 손잡이부(120)의 상면의 4변이 모두 상측에서 하측으로하향되어지는 테두리에 의하여 내입되고,
    상기 내입부의 좌우측 변은 절개하여 내입부의 바닥면에서 상향돌출되는 홈부가 구비되는 일정폭의 개방라인(123)을 형성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300)을 상기 개방라인(123)을 가로질게 거치가 가능토록 하며,
    상기 손잡이부(110)를 조리용기 뚜껑(200)과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질 경우에는 사출성형되는 손잡이부(110)를 탄성력과 점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마를 사용하여 2중 사출성형하여 내입부(122)가 점성에 의한 수저의 거치에 안정감을 제공토록 하면서 손잡이부(120)의 상면에만 형성하여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서도 다양한 칼라의 선택으로 우수한 디자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KR1020230179629A 2022-07-28 2023-12-12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KR20240016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9629A KR20240016236A (ko) 2022-07-28 2023-12-12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181 2022-07-28
KR1020230179629A KR20240016236A (ko) 2022-07-28 2023-12-12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181 Division 2022-07-28 2022-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236A true KR20240016236A (ko) 2024-02-06

Family

ID=8985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9629A KR20240016236A (ko) 2022-07-28 2023-12-12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23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77Y1 (ko) 2001-05-07 2001-10-12 도남호 냄비뚜껑손잡이
KR200441078Y1 (ko) 2008-01-11 2008-07-21 정일호 조리용기용 뚜껑
KR20090002001U (ko) 2007-08-28 2009-03-04 윤병철 조리용기의 뚜껑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77Y1 (ko) 2001-05-07 2001-10-12 도남호 냄비뚜껑손잡이
KR20090002001U (ko) 2007-08-28 2009-03-04 윤병철 조리용기의 뚜껑 손잡이
KR200441078Y1 (ko) 2008-01-11 2008-07-21 정일호 조리용기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411B2 (en) Chopsticks
JP2007503363A (ja) 容器カバー
US20060207043A1 (en) Tooth brush
KR20240016236A (ko) 취부가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노브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080001177U (ko) 분리 결합형 수저
US20100314814A1 (en) Compressible Corralling Utensil with Cutting Board
KR200398986Y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수저 받침대
JPH0618549Y2 (ja) スプーン
CN1951266A (zh) 一种可用于从汤中筛分食物的汤勺
CN220032748U (zh) 一种手套盒
KR200410451Y1 (ko) 밥솥용 주걱
CN214127973U (zh) 一种便携餐具
CN219845993U (zh) 握把杯子
CN217865448U (zh) 一种便于握持的面杯
KR200334885Y1 (ko) 미끄럼 방지 쟁반
CN212546453U (zh) 婴儿碗
KR102212761B1 (ko) 위생 숟가락
KR102198098B1 (ko) 위생 숟가락
US20220322856A1 (en) Utensil for eating a chocolate covered strawberry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JP3017315U (ja) お 椀
US20170156523A1 (en) Dual-function food plate
KR200329375Y1 (ko) 손접시
KR20180003518U (ko) 접시용 음식물 스위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