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87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872A
KR20240015872A KR1020220093655A KR20220093655A KR20240015872A KR 20240015872 A KR20240015872 A KR 20240015872A KR 1020220093655 A KR1020220093655 A KR 1020220093655A KR 20220093655 A KR20220093655 A KR 20220093655A KR 20240015872 A KR20240015872 A KR 2024001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low path
cover
cold air
i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범
김동휘
김기황
박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872A/ko
Priority to EP23183189.2A priority patent/EP4311991A1/en
Priority to US18/219,379 priority patent/US20240035729A1/en
Publication of KR2024001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제1 저장공간;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일측에 배치된 제2 저장공간; 기 제2 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 상기 제1 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를 송풍시키는 팬모듈이 구비된 그릴팬 어셈블리;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개폐 모듈은, 냉기가 통과하는 댐퍼 통과공과, 상기 댐퍼 통과공을 개폐하는 댐퍼 도어가 구비된 댐퍼;와,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댐퍼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커버에는, 상기 댐퍼 통과공이 상기 댐퍼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 일부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토출되는 결빙 방지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냉장실이나 냉동실과 같은 저장실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관 대상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실에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실의 내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냉동실에 배치된 하나의 증발기를 통해서 냉장실과 냉동실 모두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증발기에 의해서 생성된 냉기는 그릴팬 어셈블리에 의해서 냉동실과 냉장실로 송풍되며, 냉장실과 냉동실을 연통시키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서 냉장실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증발기와 그릴팬 어셈블리를 통해서 서로 다른 온도와 냉기의 양을 필요로 하는 냉장실과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로개폐 댐퍼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유로개폐 댐퍼가 열리게 되어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서 냉기가 냉장실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실에서 요구하는 온도가 만족되도록 충분한 냉기가 공급된 경우에는, 유로개폐 댐퍼는 닫히게 되어 냉동실에서부터 냉장실로 이어지는 냉기 유로(240)는 차단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유로개폐 댐퍼가 차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고온다습한 냉장실의 냉기인 습공기는 자연 대류하여 냉기 유로의 빈 공간으로 역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공기는 유로개폐 댐퍼에 의해서 냉기의 공급이 차단된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역류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에 달라붙으면서 결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에 결빙이 생기는 경우에는 냉기 유로에서의 냉기 흐름이 방해를 받을 수 있고, 유로개폐 댐퍼의 댐퍼 도어가 결빙되어 제대로 열리지 않아 냉장실로의 냉기 공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4991호에는 냉장실 문닫힘이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발열하여 댐퍼결빙방지히터를 포함하여 댐퍼결빙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히터를 이용하여 결빙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결빙 제거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어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에 냉기를 공급하는 공급 덕트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기 유로를 갖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냉기 유로와 유로개폐 댐퍼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공급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댐퍼 통과공이 댐퍼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 일부가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토출되는 결빙 방지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 저장공간;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일측에 배치된 제2 저장공간; 상기 제2 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 상기 제1 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를 송풍시키는 팬모듈이 구비된 그릴팬 어셈블리;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개폐 모듈은, 냉기가 통과하는 댐퍼 통과공과, 상기 댐퍼 통과공을 개폐하는 댐퍼 도어가 구비된 댐퍼;와,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댐퍼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커버에는, 상기 댐퍼 통과공이 상기 댐퍼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 일부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토출되는 결빙 방지 유로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댐퍼 커버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팬모듈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댐퍼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일단이 상기 제1 커버부 중앙부에 형성되고, 타단이 제1 커버부 일측단에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 중앙부에서 상기 제1 커버부 일측단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댐퍼 커버와 제2 댐퍼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도어는 상기 제1 댐퍼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열리며,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댐퍼 커버에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댐퍼 커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 일측에서 상기 댐퍼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댐퍼 도어가 개폐되도록 작동시키는 댐퍼 동작 모터는 상기 제2 커버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 상단에서 하방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 중앙부에 일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테두리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에서 함몰 형성된 제1 방지유로와, 상기 제1 커버부 일측단에서 상기 댐퍼가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지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방지유로는, 상기 커버 테두리부 상단과 상기 제2 커버부 하단 사이에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은, 상기 팬모듈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 100%를 기준으로 1% 미만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댐퍼 통과공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댐퍼 커버 일측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공급덕트어셈블리의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 댐퍼에 결빙 방지 유로를 포함한다. 결빙 방지 유로는 댐퍼 통과공이 댐퍼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도 팬모듈에 의해 안내된 냉기의 일부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 내 습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여 댐퍼에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양문형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덕트 어셈블리,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그릴팬 어셈블리가 결합된 배면도이다.
도 3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정면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그릴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댐퍼의 댐퍼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댐퍼의 댐퍼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유로개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유로개폐 모듈을 다른 일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결빙 방지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결빙 방지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유로개폐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빙 방지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유로개폐 모듈의 댐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결빙 방지 유로 적용 전과 후의 상대 습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개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개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양문형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캐비닛(2)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은 냉장고(1)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와 내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30)는 서로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격된 공간 내에는 단열재가 발포되어 빈 공간은 단열재로 채울 수 있다.
내부 케이스(30)는 복수의 오픈된 박스 형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냉장실(41)과 냉동실(42)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실(41)과 냉동실(42)이 양 옆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양문형 냉장고를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캐비닛(2)의 전면에는 도어가 연결되어 냉장고(1)를 개폐할 수 있다.
냉장실(41)에 대응되는 전면에는 제1 도어(20a)가 배치되고, 냉동실(42)에 대응되는 전면에는 제2 도어(20b)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20a)와 제2 도어(20b)는 캐비닛(2)의 양측에 각각 회전축을 갖고 회전하는 회전식일 수 있다.
냉장실(41)과 냉동실(42)에는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이동하는 복수의 수납부(51)와, 복수의 선반부(52)들이 구비되어 보관 대상물을 용이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41)과 냉동실(42)에는 각각 별도의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도록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동실(42)을 제1 저장공간으로도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41)을 제2 저장공간으로도 부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그릴팬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덕트 어셈블리,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그릴팬 어셈블리가 결합된 배면도이다.
냉동실(42)의 일측에는 냉장실(41)이 배치되어, 냉장실(41)과 냉동실(42)은 서로 양 옆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냉장실(41)의 후방에는 냉기가 유동하는 냉기 유로(1000)를 포함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는 후방이 노출되도록 함몰된 형태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를 포함한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되는 냉기는 냉기 유로(1000)를 통해서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하나의 측면인 타측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42)의 후방에는 그릴팬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42)의 후방에는 그릴팬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340)와 증발기(340)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송풍하는 팬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340)는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부 영역에 위치하고, 팬모듈(330)은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팬모듈(330)에 의해서 송풍되는 냉기는 냉동실(42)과 냉장실(41)에 공급될 수 있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타측면과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일측면 사이에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일측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와 연통되고 타측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팬모듈(330)에 의해서 송풍되는 냉기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를 통해서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개폐 모듈(400)은 냉동실(42)의 후방에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유로개폐 모듈(400)의 개폐 동작을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를 거쳐 냉장실(41)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정면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는 유로 덕트 몸체부(110), 제1 유로 덕트단열부(120),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 제1 유로 덕트 커버(140), 및 제2 유로 덕트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냉기 유로(1000)를 통해서 유동되는 냉기를 냉장실(41)의 내측으로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상부 영역에는 제1 냉기 토출구(1141)가 냉장실(41)의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상부 영역에는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중심 영역에는 복수의 제2 냉기 토출구(1142)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영역에는 복수의 제3 냉기 토출구(1143)가 형성되어 냉장실(41)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는 온도 센서, 항균 필터, 조명 등을 고정할 수 있고, 냉장실(41)의 전면에서 사용자가 시인할 수도 있다.
유로 덕트 몸체부(110)의 배면에는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 내를 유동하는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하는 일 부품일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는 냉기 유로(1000)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해서 냉장실(41)이 영향을 받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의 상부 영역의 타측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가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냉기 유로(1000)와 연통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서 시작되는 냉기 유로(1000)는 상부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일측에는 섬 형상의 제1 냉기 가이드부(1130)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의 하부에는 섬 형상의 제2 냉기 가이드부(1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양 측으로 냉기가 분기되어 유동되는 한쌍의 냉기 유로(10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기 가이드부(1130)와 제2 냉기 가이드부(115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의 배면에는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가 결합되어 냉기 유로(1000)를 형성하고 밀폐할 수 있다.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는 제1 유로 덕트 단열부(120)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의 상부에는 제1 유로 덕트 커버(140)가형성되어 제1 냉기 토출구(1141) 및 제1 냉기 보조 토출구(1141a)로 냉기를 가이드하고 냉기 유로(100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 덕트 단열부(130)의 하부에는 제2 냉기 가이드부(1150)의 양 측의 냉기 유로(10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2 유로 덕트 커버(150)가 배치되어, 중심 영역과 하부 영역의 냉기 유로(1000)를 밀폐할 수 있다.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상부 영역의 타측에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가 형성되고,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대응되는 영역은 후방 방향으로 노출되는 개구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는 냉기 유로(1000)와 연통되기 때문에,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의 일부분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유입되는 냉기는 하부 방향으로는 유동되지 못하고 상부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가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냉기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지속적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부 방향으로 유동되는 냉기의 흐름은, 제1 냉기 토출구(1141)를 통해서 냉장실(41)의 습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로 냉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상부 방향으로 유동되는 냉기의 흐름이 끊어지기 때문에, 냉장실(41)의 습공기는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해서 제1 냉기 토출구(1141)를 통해 역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가 하부 방향으로도 열려 있다면, 하부 방향으로 냉기가 빠져나가게 되는 냉기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냉기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고, 역류된 습공기는 유로덕트 냉기 유입구(1110)와 연통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와 유로개폐 모듈(400)에 달라붙어 결빙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의해 노출되는 냉기 유로(1000)는 상부 방향으로 열려 있고 하부 방향으로는 닫혀 있기 때문에, 하부 방향으로 냉기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기 처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습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팬 어셈블리(300)와, 유로개폐 모듈(4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그릴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댐퍼의 댐퍼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댐퍼의 댐퍼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는 쉬라우드(320)와 그릴팬(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320)는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고, 그릴팬(310)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증발기(3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기는 팬모듈(330)을 통해서 쉬라우드(320)와 그릴팬(3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기는 그릴팬(310)에 형성된 냉동실 냉기 토출구(311)를 통해서 냉동실(42)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팬모듈(330)을 통해서 쉬라우드(320)와 그릴팬(3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냉기는 쉬라우드(320)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팬 냉기 유출구(3120)를 통해서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와 연통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냉기는 유로개폐 모듈(400)의 개폐에 의해서 공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유로개폐 모듈(400)은 댐퍼(410)와 댐퍼(410)를 감싸는 댐퍼 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10)와 댐퍼 커버(420)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댐퍼 커버(420)는 댐퍼(41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댐퍼커버(421)와 제2 댐퍼 커버(4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댐퍼(410)는, 댐퍼 케이스(411), 댐퍼 도어(412), 및 댐퍼 동작모터(414)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는 냉장실(41)로 향하는 냉기가 통과하는 댐퍼 통과공(413)을 중심 영역에 포함하는 사각 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댐퍼 통과공(413)은 냉장실(41)로 향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냉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도어(412)가 배치될 수 있는 바,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은 댐퍼 도어(412)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타면에는 댐퍼 통과공(413)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댐퍼 장착 가이드부(417)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장착 가이드부(417)는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하는 냉기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차단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차단부(415)는 댐퍼 도어(412)가 과도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댐퍼 도어(412)를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통과공(413)의 주변부를 따라서 댐퍼 열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 열선은 댐퍼 케이스(411)와 댐퍼 도어(412)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영역일 수 있다.
댐퍼(410)의 댐퍼 도어(412)가 결빙되는 경우에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댐퍼 열선에 열을 가하는 제상 작업을 통해서 결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에는 댐퍼 도어(412)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 도어(412)는 냉기가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댐퍼 도어(412)는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과 접촉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막을 수 있고, 냉기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댐퍼 도어(41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오픈시킬 수 있다.
댐퍼 도어(412)는 테두리 부분이 댐퍼 케이스(411)와 접촉할 수 있도록 댐퍼 통과공(413)보다 넓은 면적을 형성되어, 제1 댐퍼 도어 댐퍼 도어(412)가 닫히는 경우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411)의 일측에는 댐퍼 동작모터(414)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 동작모터(414)는 댐퍼 도어(412)이 회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댐퍼 동작모터(414)의 모터축은 댐퍼 도어(412)의 회전 힌지축과 축결합되어, 댐퍼 도어(4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댐퍼 케이스(411)의 일면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댐퍼 도어(412)는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댐퍼 도어(412)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와 연통되는 방향으로는 댐퍼 도어(412)의 일 부분만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냉기에 취약한 사출물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댐퍼 도어(412)의 결빙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로개폐 모듈의 각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유로개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유로개폐 모듈을 다른 일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유로개폐 모듈(400)은 댐퍼(410)와 댐퍼(410)를 감싸는 댐퍼 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10)와 댐퍼 커버(420)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댐퍼 커버(420)는 댐퍼(41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댐퍼커버(421)와 제2 댐퍼 커버(4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댐퍼커버(421)는 그릴팬(310)과 쉬라우드(320) 중에서 쉬라우드(320) 일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댐퍼커버(421)는 쉬라우드(320)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팬모듈(330)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댐퍼커버(422)는 제1 댐퍼커버(421)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그릴팬(310)과 쉬라우드(320) 중에서 그릴팬(310)과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댐퍼커버(422) 전면은, 그릴팬(310) 후면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댐퍼 도어(412)는 제1 댐퍼커버(421)가 배치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다. 즉, 댐퍼 도어(412)는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 댐퍼커버(421)는 댐퍼(4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된 제1 커버부(4211)를 포함한다. 제1 댐퍼커버(421)는 제1 커버부(4211)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면을 형성하고, 댐퍼 동작모터(414)와 접하는 제2 커버부(4212)를 포함한다.
제1 댐퍼커버(421)는 제1 커버부(4211) 하단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된 제3 커버부(4213)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4211) 일측에는 댐퍼(410)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테두리부(4214)를 포함한다. 커버 테두리부(4214)는 제2 커버부(4212)에서 제3 커버부(42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테두리부(4214)는 댐퍼(410)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댐퍼 커버(421)는 댐퍼 도어(412)가 열린 경우 댐퍼 도어(412)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댐퍼 커버 단차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커버 단차부(423)는 제1 댐퍼 커버(421)의 일부 영역이 제거된 영역으로, 댐퍼 커버 단차부(423)를 통해서 일부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릴팬 어셈블리(300)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는, 댐퍼 도어(412)와 제2 댐퍼 커버(422) 사이에 형성되는 냉기 유로(435)로 유동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그릴팬 어셈블리(300)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는, 댐퍼 도어(412)와 댐퍼 커버 단차부(423) 사이에 형성되는 냉기 유로를 통해서도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할 수 있다.
댐퍼 커버 단차부(423)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제1 댐퍼 커버(421)의 일부 영역이 제거되기 때문에, 냉기 유로로 유입되는 냉기 흐름을 더욱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하는 냉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개폐 모듈(400)은 댐퍼(410)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1 댐퍼커버(421)와 타측에 제2 댐퍼커버(422)가 구비될 수 있다. 유로개폐 모듈(400)은, 그릴팬 어셈블리(300)의 팬모듈(330)에 의해 유입되는 냉기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댐퍼 도어(412)에 의해 댐퍼 통과공(413)을 개폐함으로써, 댐퍼 통과공(413)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댐퍼 도어(412)가 댐퍼 통과공(413)을 개폐하면, 댐퍼 통과공(413)을 통과한 냉기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 냉기가 유입될 수 있다.
댐퍼 도어(412)에 의해 댐퍼 통과공(413)이 닫힌 상태에서는 댐퍼 통과공(413)을 통해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댐퍼 통과공(413)이 댐퍼 도어(412)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도 적어도 일부의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빙 방지 유로(500)를 포함한다. 결빙 방지 유로(500)로 유입된 냉기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 안내되어,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의 습공기가 유로개폐 모듈(400)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빙 방지 유로(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결빙 방지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결빙 방지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유로개폐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빙 방지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댐퍼 도어(412)가 댐퍼 통과공(413)을 닫은 상태에서도 팬모듈(330)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 일부를 토출시킬 수 있다.
유로개폐 댐퍼(410)가 닫히게 되는 경우,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를 통해서 냉기가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냉장실(41)의 습공기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역류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실(41)로부터 역류하는 습공기에 의해 댐퍼(410)가 결빙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를 통해 소량의 냉기를 토출시켜, 냉기를 보충해줌으로써, 습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410)가 결빙되는 주요원인은 냉장실(41)로부터 역류하는 습공기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팬모듈(330)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그릴팬 냉기 유출구(31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팬모듈(330)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빙 방지 유로(500)로 안내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댐퍼 커버(420)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제1 댐퍼커버(421) 상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댐퍼(4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제1 커버부(4211) 상단에서 하방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댐퍼 차단부(415) 상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하단이 댐퍼(410)가 댐퍼 커버(4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댐퍼 통과공(413)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댐퍼 동작모터(414) 하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일단이 제1 커버부(4211) 중앙부에 형성되고, 타단이 제1 커버부(4211)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결빙 방지 유로(500)는 제1 커버부(4211)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장되지 않고, 제1 커버부(4211) 중앙부에서 타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결빙 방지 유로(500)는 제1 커버부(4211) 중앙에 일단이 형성되고, 일측방으로 연장되어 커버 테두리부(4214)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 타단은 커버 테두리부(4214)와 연결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의 시작점이 제1 커버부(4211) 일단에 형성될 경우, 댐퍼(410)가 점유하고 있는 영역을 벗어나 냉기가 토출될 수 있다. 또한, 결빙 방지 유로(500)의 시작점이 제1 커버부(4211) 일단에서 제1 커버부(4211) 타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경우, 결빙 방지 유로(50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이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에서 토출되는 냉기 유량이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냉동실 또는 냉장실이 과냉될 수 있고, 냉각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를 통해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은 결빙 방지 유로(500)가 형성되는 면적과 비례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의 면적이 과도하게 클 경우,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이 과도하여 과냉 또는 소전이 문제될 수 있다.
일례로, 결빙 방지 유로(500)로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은, 팬모듈(330)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 100%를 기준으로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의 유량일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댐퍼(410) 내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일례로, 제1 커버부(4211) 중앙부에서 제1 커버부(4211) 일측단까지 연장된 폭의 길이가 20 내지 40m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mm 일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일례로,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된 길이, 즉 높이가 3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mm 일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일례로, 제1 커버부(4211)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깊이가 1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mm 일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댐퍼 통과공(413)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제1 커버부(4211) 중앙에서 제1 커버부(4211) 일측단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50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501)는 커버 테두리부(4214)와 가까워질수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501)는 제상수가 발생하는 경우, 제상수가 하부 방향으로 빠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내 제상수가 발생할 경우, 경사부(501)는 제상수가 고이지 않고 경사부(501)를 따라 커버 테두리부(4214)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커버 테두리부(4214)의 상단과 제2 커버부(4212) 사이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는 제1 커버부(4211)에서 함몰 형성되어 마련된 제1 방지유로(500a)와, 제1 커버부(4211) 끝단에서 댐퍼(410)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지유로(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지유로(500b)는 제1 방지유로(500a)의 끝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커버 테두리부(4214) 상단과, 제2 커버부(4212) 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지유로(500b)는 그릴팬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2 댐퍼커버(422)는. 댐퍼(4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댐퍼 장착부(4221)를 포함한다. 제2 댐퍼커버(422)는 댐퍼 장착부(4221)를 기준으로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4222)와,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부(4223)를 포함한다.
제2 댐퍼커버(422)는 댐퍼 장착부(4221)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되어 상면부(4222)와 하면부(4223)를 연결하는 제2 커버 테두리부(4224)를 포함한다. 제2 커버 테두리부(4224)는 댐퍼 통과공(413) 주변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유로개폐 모듈의 댐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는 일측에는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가 형성되어, 유로 덕트 어셈블리(100)의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는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에는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가 형성되어, 그릴팬 어셈블리(300)로부터 송풍되는 냉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는 유로개폐 모듈(400)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댐퍼 도어(4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 도어(412)가 습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발열부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열부는 제상 작업시 발열되는 히터일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의 상측(201)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일측(203)에서 타측(204)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 영역을 감소시키는 단턱부(2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2123)는 습공기(240)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지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와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 사이에는 공급 덕트 연결부(2130)가 배치되고, 공급 덕트 연결부(2130)의 상측은 내측으로 인입된 상측 인입부(213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덕트 냉기 유출구(2120)로 유입되는 냉기는 1차적으로 방지턱 구조의 기능을 하는 단턱부(2123)에서 유입이 방해되고, 2차적으로 방지턱 구조의 기능을 하는 상측 인입부(2131)에서 유입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덕트 연결부(2130)의 하측(202)은 내측으로 인입된 하측 인입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인입부(2132)는 제2 하측 경사부(2122)와 연결되어, 공급 덕트연결부(2130)에 제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측 인입부(2131)와 하측 인입부(213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인입부(2131)와 하측 인입부(213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냉기의 유동에 방해가 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타측(204)에 형성된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는 그릴팬 냉기 유출구(3120)와 연통되며, 구체적으로 유로개폐 댐퍼(410)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41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도어의 회전축(412a)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41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공급 덕트 냉기 유입구(2110)로 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댐퍼(410)가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상수가 경사진 단차에 고인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댐퍼(410)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세우도록 배치함으로써 제상수가 단차에 고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댐퍼 통과공(413)의 최상단은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410)가 닫히는 경우에도 이미 유입된 냉기는 댐퍼(410)의 댐퍼 통과공(413)의 최하단에서부터 최상단까지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의 공간을 냉기로 채우는 냉기 트랩(250)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에 냉기 트랩(250)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로 역류하는 습공기(240)가 냉기 트랩(250)에 갖히게 되어 습공기(240) 유입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통과공(413)의 최상단은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1110)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냉기 트랩(250)에 습공기(240)가 갇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빙 방지 유로(500)는 댐퍼 통과공(413)이 댐퍼 도어(412)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팬모듈(330)에서 송풍된 냉기의 일부를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가 구비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의 습공기가 유로개폐 모듈(400)로 역류되더라도, 결빙 방지 유로(500)에서 토출된 냉기가 유로개폐 모듈(400) 방향으로 역류된 냉기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습공기가 역류되더라도 댐퍼(410)에 결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결빙 방지 유로 적용 전과 후의 상대 습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 (a)는 결빙 방지 유로가 적용되기 전, 댐퍼 통과공(413)이 댐퍼 도어(412)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팬모듈(330)이 작동되는 경우, 상대습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냉동실 단독 운전으로 1사이클 운전시, 그릴팬 어셈블리 내의 상대 습도가 최대 90.3%, 평균 상대습도가 82.5%로 측정되었다.
도 14 (b)는 결빙 방지 유로를 적용한 후, 댐퍼 통과공(413)이 댐퍼 도어(412)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팬모듈(330)이 작동되는 경우, 상대습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냉동실 단독 운전으로 1사이클 운전시, 그릴팬 어셈블리 내의 상대 습도가 최대 84.4%, 평균 상대습도가 73.4%로 측정되었다. 즉, 결빙 방지 유로를 추가함에 따라, 그릴팬 어셈블리 내측의 상대 습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결빙 방지 유로(500)를 추가하여, 공급 덕트 어셈블리(200) 내에서 역류하는 습공기가 차단되어, 댐퍼(410) 내 결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결빙 방지 유로(5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개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개폐 모듈은 결빙 방지 유로(500) 형상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결빙 방지 유로(501a)는 댐퍼 커버(420)에 형성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1a)는 댐퍼 커버(420) 중앙부에서 일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결빙 방지 유로(501a)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결빙 방지 유로(501a) 일단의 높이와 결빙 방지 유로(501a) 타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결빙 방지 유로(500)에 경사부(501)가 형성되나, 제2 실시예의 결빙 방지 유로(500a)는 경사부(50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결빙 방지 유로(500a)는 댐퍼 통과공(413)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0a)는 댐퍼 커버(420) 중앙부에서 일측단까지 연장된 제1 방지 유로(501a)와, 제1 방지유로(501a) 끝단에서 절곡되어 커버 테두리부(4214)를 따라 연장된 제2 방지유로(50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로개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로개폐 모듈은 결빙 방지 유로(502a) 형상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결빙 방지 유로(502a)는 댐퍼 커버(420)에 형성될 수 있다. 결빙 방지 유로(502a)는 댐퍼 커버(420) 중앙부에서 일 측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실시예에 따른 결빙 방지 유로(502a)는 댐퍼 커버(420) 일측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댐퍼 커버(420) 중앙부에서 결빙 방지 유로(502a)의 면적이 최대가 되고, 댐퍼 커버(420)의 일 측단으로 연장될수록, 결빙 방지 유로(502a)의 면적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커버(420) 중앙부에서 결빙 방지 유로(502a) 형성을 위해 함몰된 깊이는 댐퍼 커버(420) 일 측단에서 함몰된 깊이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빙 방지 유로는, 댐퍼 통과공(413)이 댐퍼 도어(412)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팬모듈(330)으로 안내된 냉기 중 일부를 유로개폐 모듈(400)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1. 제1 저장공간;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일측에 배치된 제2 저장공간;
    상기 제2 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 덕트 어셈블리;
    상기 제1 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되고, 냉기를 송풍시키는 팬모듈이 구비된 그릴팬 어셈블리;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 및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로개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개폐 모듈은,
    냉기가 통과하는 댐퍼 통과공과, 상기 댐퍼 통과공을 개폐하는 댐퍼 도어가 구비된 댐퍼;와,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댐퍼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커버에는,
    상기 댐퍼 통과공이 상기 댐퍼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부터 송풍되는 냉기 일부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로 토출되는 결빙 방지 유로가 형성된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댐퍼 커버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형성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팬모듈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댐퍼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일단이 상기 제1 커버부 중앙부에 형성되고, 타단이 제1 커버부 일측단에 형성된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 중앙부에서 상기 제1 커버부 일측단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제1 댐퍼 커버와 제2 댐퍼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도어는 상기 제1 댐퍼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열리며,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댐퍼 커버에 형성된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댐퍼 커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 일측에서 상기 댐퍼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도어가 개폐되도록 작동시키는 댐퍼 동작 모터는 상기 제2 커버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 상단에서 하방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 중앙부에 일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테두리부까지 연장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제1 커버부에서 함몰 형성된 제1 방지유로와,
    상기 제1 커버부 일측단에서 상기 댐퍼가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지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지유로는,
    상기 커버 테두리부 상단과 상기 제2 커버부 하단 사이에 형성된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은,
    상기 팬모듈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의 유량 100%를 기준으로 1% 미만인 냉장고.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댐퍼 통과공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냉장고.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방지 유로는,
    상기 댐퍼 커버 일측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냉장고.
KR1020220093655A 2022-07-28 2022-07-28 냉장고 KR20240015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55A KR20240015872A (ko) 2022-07-28 2022-07-28 냉장고
EP23183189.2A EP4311991A1 (en) 2022-07-28 2023-07-04 Refrigerator
US18/219,379 US20240035729A1 (en) 2022-07-28 2023-07-0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55A KR20240015872A (ko) 2022-07-28 2022-07-2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872A true KR20240015872A (ko) 2024-02-06

Family

ID=8707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655A KR20240015872A (ko) 2022-07-28 2022-07-28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35729A1 (ko)
EP (1) EP4311991A1 (ko)
KR (1) KR20240015872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991B1 (ko) 1997-07-11 2003-03-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댐퍼결빙방지장치및방법
KR20080064046A (ko) * 2007-01-03 2008-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548355B (zh) * 2018-03-09 2020-06-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风道集成模块及具有该风道集成模块的冰箱
KR102627719B1 (ko) * 2019-03-07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11991A1 (en) 2024-01-31
US20240035729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719B1 (ko) 냉장고
US7051549B2 (en) Refrigerator
KR102483212B1 (ko) 냉장고
KR100797155B1 (ko) 냉장고의 냉기유동구조
US20220282901A1 (en) Refrigerator
WO2019129242A1 (zh) 冰箱
TWI678506B (zh) 電冰箱
KR20240015872A (ko) 냉장고
US20220235993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EP4006461B1 (en) Refrigerator
JP6584674B2 (ja) 冷蔵庫
JP4281003B2 (ja) 冷蔵庫
KR102640347B1 (ko) 냉장고
KR100901033B1 (ko) 그릴팬 어셈블리
JP2014167361A (ja) 冷蔵庫
WO2012007807A2 (en) Lighting system for refrigerators
KR100595434B1 (ko) 냉장고
US20230272962A1 (en) Refrigerator
JP6975735B2 (ja) 冷蔵庫
JP3226303B2 (ja) 冷蔵庫
JP6865349B2 (ja) 冷蔵庫
KR100597292B1 (ko) 냉장고
JP2012047363A (ja) 冷蔵庫
JPH11325702A (ja) 貯蔵庫の排水蒸発構造
KR19980084976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