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685A -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5685A KR20240015685A KR1020237045393A KR20237045393A KR20240015685A KR 20240015685 A KR20240015685 A KR 20240015685A KR 1020237045393 A KR1020237045393 A KR 1020237045393A KR 20237045393 A KR20237045393 A KR 20237045393A KR 20240015685 A KR20240015685 A KR 202400156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port
- valve
- port
- pipeline
- cooling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8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9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0110 cooling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1—Locations with heat exchange within the refrigerant circuit itsel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바, 열관리 시스템은 케틀 조립체와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케틀 조립체는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 상에 커버되고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밸브 유닛은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수용 챔버 내에는 액체가 흐르는 복수의 파이프라인이 있고, 하우징 상에는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가 있고, 파이프라인의 제1 단와 포트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파이프라인의 제2 단과 부분 파이프라인은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밸브 유닛은 복수의 밸브 포트를 구비하고, 밸브 포트와 포트는 대응되게 연통된다.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은 파이프라인의 총 길이를 단축시키고, 파이프라인 내의 흐름 저항을 감소하며, 시스템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차량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9월 27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111137071.2이고, 출원의 명칭이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인 중국 특허 출원, 및 2021년 9월 27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111138847.2이고, 출원의 명칭이 "열관리 시스템 및 차량"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신에너지 차량이 보급됨에 따라 차량 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도 날로 부각되고 있다. 전통적인 연료차에 비해 신에너지 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은 더욱 복잡해지고 요구도 더욱 높아졌다.
현재, 순수 전기 자동차는 완성차의 열관리 수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많은 열관리 부품을 설치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펌프, 열 교환기, 수냉 응축기, 2방 솔레노이드 밸브, 2방 비례 밸브 및 냉각 파이프라인 등이 있다.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높이기 위해 완성차의 열관리에 대한 워크 컨디션 설계 요구가 점점 많아지고, 열관리 시스템에 필요한 부품의 수량도 대응되게 늘어난다. 각 부품의 배치가 비교적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이 차량에 설치된 후에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크지만, 분산 설치된 각 부품 사이에 대량의 냉각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연통하여 냉각액이 각 부품 사이에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완성차의 열관리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대량의 냉각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에서 냉각 파이프라인의 길이가 증가하고 냉각 파이프라인 내에서 냉각액의 흐름 저항이 커지며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이 낮다.
본 출원은 종래 기술에서 대량의 냉각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에서 냉각 파이프라인 길이가 증가하고 냉각 파이프라인 내에서 냉각액의 흐름 저항이 커지며,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1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사용되는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열관리 시스템은, 케틀 조립체, 밸브 유닛, 라디에이터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케틀 조립체는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 상에 커버되고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밸브 유닛은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수용 챔버 내에는 액체가 흐르는 복수의 파이프라인이 있고, 하우징 상에는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가 있고,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파이프라인의 제2 단과 부분 파이프라인은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밸브 유닛은 복수의 밸브 포트를 구비하고, 밸브 포트와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밸브 유닛은 제1 멀티웨이 밸브와 제2 멀티웨이 밸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밸브 포트는 복수의 제1 밸브 포트와 복수의 제2 밸브 포트를 포함하고, 제1 밸브 포트는 제1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제2 밸브 포트는 제2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라디에이터와 열교환기는 각각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과 연통된다.
본 출원의 2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사용되는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열관리 시스템은 케틀 조립체, 펌프 조립체, 및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케틀 조립체는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 상에 커버되고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펌프 조립체와 밸브 유닛은 각각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수용 챔버 내에는 액체가 흐르는 복수의 파이프라인이 있고, 하우징 상에는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가 있고,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파이프라인의 제2 단과 부분 파이프라인은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밸브 유닛은 복수의 밸브 포트를 구비하고, 밸브 포트와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밸브 유닛은 포트와, 포트와 대응되는 밸브 포트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부터 파이프라인 사이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에 등지는 하우징의 일면에는 제1 설치영역과 제2 설치영역이 구비되고, 복수의 포트는 복수의 제1 포트와 복수의 제2 포트를 포함하고, 제1 포트는 제1 설치영역 내에 위치하고, 제2 포트는 제2 설치영역 내에 위치하고;
밸브 유닛은 제1 멀티웨이 밸브와 제2 멀티웨이 밸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밸브 포트는 복수의 제1 밸브 포트와 복수의 제2 밸브 포트를 포함하고, 제1 밸브 포트는 제1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제2 밸브 포트는 제2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제1 멀티웨이 밸브는 제1 설치영역 내에 연결되고, 제1 포트와 제1 밸브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2 멀티웨이 밸브는 제2 설치영역 내에 연결되고, 제2 포트와 제2 밸브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라인은 복수의 제1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각 제1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제1 설치영역과 대응되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는 라디에이터, 배터리 냉각기 또는 모터 냉각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라인은 제2 파이프라인과 제3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제2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제3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2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제2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제2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은 차량 중의 온풍 코어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제2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은 차량 중의 히터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제3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제3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은 히터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제3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은 온풍 코어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수용 챔버 내부에는 저수영역을 구비하고, 저수영역은 각 파이프라인의 상측에 위치하고;
저수영역은 액체 보충구를 구비하고, 액체 보충구와 파이프라인은 연통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은, 수냉 응축기와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수냉 응축기는 커버 플레이트에 등지는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고, 수냉 응축기는 제1 입구와 제1 출구를 구비하고, 열교환기는 하우징에 등지는 커버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열교환기는 제2 입구와 제2 출구를 구비하고;
복수의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4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2 설치영역이 대응되고,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과 제1 입구는 연통되며, 다른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다른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과 제1 출구가 연통되고;
복수의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5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제5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모두 제1 설치영역과 대응되고, 하나의 제5 파이프라인과 제2 출구는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제5 파이프라인과 제2 입구는 연통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은, 기액 분리기를 더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 상에는 설치부가 구비되고, 설치부는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기액 분리기는 하우징을 향하는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액 분리기와 수냉 응축기는 서로 인접하며;
기액 분리기의 냉매 입구와 열교환기의 냉매 출구는 연통되고, 기액 분리기는 또한 차량의 에어컨 본체 증발기 출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은, 에어컨 통합 밸브를 더 포함하고, 에어컨 통합 밸브는 하우징에 등지는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에어컨 통합 밸브와 열교환기는 서로 인접하고, 에어컨 통합 밸브는 각각 수냉 응축기의 냉매 입구 및 열교환기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수냉 응축기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을 통해 에어컨 통합 밸브와 연통되고;
기액 분리기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을 통해 차량의 압축기 흡기구와 연통되고;
동축관은 또한 차량의 에어컨 본체 내부 응축기 출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에어컨 통합 밸브는 에어컨 본체 내부 응축기 입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에어컨 통합 밸브는 또한 압축기 배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히팅 펌프, 배터리 펌프와 모터 펌프를 더 포함하고, 히팅 펌프, 배터리 펌프와 모터 펌프는 각각 커버 플레이트에 등지는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고, 히팅 펌프, 배터리 펌프와 모터 펌프는 각각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한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과 연결된다.
본 출원의 3 측면에 따르면, 차체 및 차체에 설치된 열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4 측면에 따르면, 열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열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는 모터 냉각 기구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는 라디에이터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모터 냉각 기구 중의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라디에이터의 액체 출구는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는 모터 냉각 기구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라디에이터에 유입된 냉각액은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처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다섯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섯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다섯 번째 제1 밸브 포트는 배터리 냉각 기구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여섯 번째 제1 밸브 포트는 열교환기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배터리 냉각 기구 중의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다섯 번째 제1 밸브 포트, 여섯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열교환기의 액체 출구는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배터리 냉각 기구의 액체 입구는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열교환기에 유입한 냉각액은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에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라디에이터에 유입된 냉각액은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열교환기에 유입한 냉각액은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아홉 번째 제 1 밸브 포트는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는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모터 냉각 기구 중의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모터 냉각 기구 중의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배터리 냉각 기구에서 유출된 부분 냉각액은 제어기로 유입되고, 제어기에서 유출된 냉각액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배터리 냉각 기구 중의 냉각액은 제어기를 거쳐 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냉각액은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2 멀티웨이 밸브 중 첫 번째 제2 밸브 포트와 두 번째 제2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첫 번째 제2 밸브 포트는 히터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두 번째 제2 밸브 포트는 온풍 코어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온풍 코어의 액체 출구는 히터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는 단계;
히터에서 유출된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온풍 코어를 거쳐 히터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은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바, 열관리 시스템은 케틀 조립체와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케틀 조립체는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 상에 커버되고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밸브 유닛은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수용 챔버 내에는 액체가 흐르는 복수의 파이프라인이 있고, 하우징 상에는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가 있고,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파이프라인의 제2 단과 부분 파이프라인은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밸브 유닛은 복수의 밸브 포트를 구비하고, 밸브 포트와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된다. 통합식의 케틀 조립체를 설치하여, 열관리 시스템 중의 각 부재를 케틀 조립체 중의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 상에 통합 설치하고, 냉각액 유통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수용 챔버 내부에 통합하여, 종래기술 중 분산 설치되는 부재를 하나의 모듈 어셈블리로 통합하는 것을 구현하고, 고도로 통합화한 열관리 시스템은 설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절략할 뿐만 아니라, 대량의 파이프라인도 절략하며, 파이프라인 내의 흐름 저항을 감소하고, 열관리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종래기술 중의 대량의 냉각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 중 냉각 파이프라인의 길이를 증가시켜 냉각액의 냉각 파이프라인 내에서의 흐름 저항이 커지고,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이 보다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첨부 도면을 기초로 기타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케틀 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케틀 조립체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제1 멀티웨이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제2 멀티웨이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4의 C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D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E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1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2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3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4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5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6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7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케틀 조립체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케틀 조립체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제1 멀티웨이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제2 멀티웨이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4의 C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D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E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1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2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3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4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5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6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7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전부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해야 할 바로는,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있지 않은 한, 용어 “설치”,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고, 2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2 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의 본 출원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해야 할 바로는, 용어 “상”, “하”, “전”, “후”, “수직”, “수평”, “위”, “아래”,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본 출원의 설명이 편리하도록 하고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가지고,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동작해야 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술한 첨부 도면 중의 용어 “제1”, “제2”, “제3”(만약 존재하면)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위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당한 경우 서로 호환 가능하며, 이로써 이중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또는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한편, 용어 “포함”와 “구비” 및 그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 배타적인 포함을 내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유지 툴은 명확하게 나열된 그러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명확하게 나열하지 않은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유지 툴에 있어서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신에너지 차량이 보급됨에 따라 차량 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도 날로 부각되고 있다. 전통적인 연료차에 비해 신에너지 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은 더욱 복잡해지고 요구도 더욱 높아졌다.
순수 전기 자동차는 완성차의 열관리 수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많은 열관리 부품을 설치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팽창 펌프, 모터 펌프, 배터리 펌프, 온풍 펌프, 열교환기, 수냉 응축기, 수온 센서, 4방 솔레노이트 밸브, 3방 솔레노이트 밸브, 2방 솔레노이트 밸브, 2방 비례 밸브, 3방 비례 밸브, 냉각 연결 파이프라인, 에어컨 기액 분리기, 에어컨 EXV 밸브, 에어컨 SOV 밸브, 에어컨 연결 파이프라인 등이 있다. 현재,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더욱 높이기 위해 완성차의 열관리에 대한 워크 컨디션 설계 요구가 점점 많아지고, 열관리가 필요한 부품의 수량도 대응되게 늘어난다. 열관리 시스템에서, 각 부품의 배치가 비교적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열관리 시스템이 차량에서 보다 큰 설치 공간을 차지하고, 분산된 각 부품 사이에 대량의 냉각 파이프라인과 에어컨 파이프 라인을 사용하여 연통하여 차량의 각 부품에 대한 열관리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대량의 냉각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에서 냉각 파이프라인의 길이가 증가하고 냉각 파이프라인 내에서 냉각액의 흐름 저항이 커지며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이 낮아진다.
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차량 열관리 시스템 중 부품에 대한 통합 설계를 통해, 열관리 시스템 중의 파이프라인의 길이를 절략하고,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다른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케틀 조립체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케틀 조립체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은 케틀 조립체(10), 펌프 조립체(20), 및 밸브 유닛(30)을 포함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틀 조립체(10)는 하우징(11)과 커버 플레이트(12)를 포함하고, 하우징(11)은 커버 플레이트(12)에 커버되고 커버 플레이트(12)와 함께 수용 챔버(도면에는 미도시)를 형성하며, 펌프 조립체(20)와 밸브 유닛(30)은 각각 하우징(11) 상에 설치되고; 수용 챔버 내에는 액체가 흐르는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이 있고, 하우징(11) 상에는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110)가 구비되며, 파이프라인(130)의 제1 단과 포트(110)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파이프라인(130)의 제2 단과 일부분 파이프라인(130)은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밸브 유닛(30)은 복수의 밸브 포트(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고, 밸브 포트와 포트(110)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밸브 유닛(30)은 포트(110)와 포트(110)에 대응되는 밸브 포트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부터 파이프라인 사이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한다.
케틀 조립체(10)는 열관리 시스템의 핵심 부재이며,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케틀 조립체(10)는 열관리 시스템 중의 각 부재에 냉각하여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액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또한 각 부품을 고정 지지하여 분산된 각 부재를 일체형의 열관리 통합 모듈로 통합하여 각 부재의 배치가 더욱 콤팩트하도록 하고 열관리 시스템의 차량 차체 상에서의 설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계속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케틀 조립체(10)는 하우징(11)과 커버 플레이트(12)를 포함하고, 하우징(11)은 제1 표면(113) 및 제1 표면(113)과 마주하는 제2 표면(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하며, 하우징(11)의 제2 표면 상에는 커버 플레이트(12)가 커버되고, 하우징(11)은 핫플레이트 용접 공정을 사용하여 커버 플레이트(12)에 연결한 후 함께 수용 챔버를 이룬다.
계속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20)와 밸브 유닛(30)은 각각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 상에 고정 설치된다.
계속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케틀 조립체(10)의 수용 챔버 내부에는 냉각액이 유통하기 위한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이 설치되고, 파이프라인(130)은 열관리 시스템 중의 각 부재를 연통하고 대응되는 부재로 냉각액을 수송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 상에는 복수의 포트(110)가 설치되고, 각 포트(110)는 모두 수용 챔버와 연통된다. 파이프라인(130)의 제1 단과 포트(110)는 일대일 대응되고 연통되며, 파이프라인(130)의 제2 단은 수용 챔버로부터 인출된 후 일부분 파이프라인(130)과 수용 챔버 외부에 위치하고, 파이프라인(130)의 제2 단은 하우징(11)에 설치된 부품과 연통되어 냉각액을 수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열관리 시스템 중 각 부품은 하우징(11)에 통합 설치된 후, 열관리 시스템 전체의 배치가 더욱 콤팩트하고, 각 부재 사이의 거리도 대폭 감소되도록 하며; 각 부재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130)을 수용 챔버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공간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라인(130)의 총 길이도 대폭 단축되도록 하여, 파이프라인(130)의 내부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밸브 유닛(30) 상에는 복수의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밸브 포트와 포트(110)는 일대일 대응되고 연통되며, 각 파이프라인(130)은 밸브 유닛(30)을 통해 연통되고, 냉각액은 밸브 유닛(30)을 거쳐 각 부품으로 유입된다. 밸브 유닛(30)은 포트(110) 및 포트(110)와 대응되게 연통된 밸브 포트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각 포트(110)가 위치한 파이프라인(130) 사이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하고, 나아가 각 파이프라인(130)에 연결된 부품에 유입되는 냉각액의 유량 크기를 제어한다.
열관리 시스템에 설치된 밸브 유닛(30)과 파이프라인(130)이 직렬 연결된 후 폐쇄된 냉각 회로를 형성하고, 밸브 유닛(30)을 통해 서로 다른 냉각 회로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냉각액에 대한 각 부재의 수요를 만족하고, 전체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은 통합식 케틀 조립체(10)를 설치하여, 열관리 시스템 중의 각 부재를 케틀 조립체(10) 중의 하우징(11)과 커버 플레이트(12) 상에 통합 설치하고, 냉각액이 유통하기 위한 파이프라인(130)을 수용 챔버 내부에 통합하여, 종래기술 중 분산 설치되는 부재를 하나의 모듈 어셈블리로 통합하는 것을 구현하였으며, 고도로 통합화된 열관리 시스템은 설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라인(130) 외부 포트를 통일화시켜 파이프라인(130)의 배치가 더욱 콤팩트하도록 하고, 대량의 파이프라인(130)도 절약하고, 파이프라인(130) 내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켜, 열관리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종래기술에서 대량의 냉각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 중 냉각 파이프라인의 길이를 증가시켜 냉각액의 냉각 파이프라인 내에서의 흐름 저항이 커지고, 열관리 시스템의 동작 효율이 보다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
계속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12)에 등지는 하우징(11)의 일면에는 제1 설치영역(111)과 제2 설치영역(112)이 구비되고, 복수의 포트(110)는 복수의 제1 포트(도면에 미도시)와 복수의 제2 포트(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고, 제1 포트는 제1 설치영역(111) 내에 위치하고, 제2 포트는 제2 설치영역(112) 내에 위치한다. 커버 플레이트(12)에 등지는 하우징(11)의 일면은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이고, 제1 표면(113) 상에 밸브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제1 설치영역(111)과 제2 설치영역(112)이 설치된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3,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영역(111) 내에는 9개의 제1 포트가 설치되고, 각각 제1 포트a(1111), 제1 포트b(1112), 제1 포트c(1113), 제1 포트e(1114), 제1 포트f(1115), 제1 포트h(1116), 제1 포트k(1117), 제1 포트m(1118), 제1 포트n(1119)이다. 제2 설치영역(112) 내에는 5개의 제2 포트가 설치되고, 각각 제2 포트a(1121), 제2 포트b(1122), 제2 포트c(1123), 제2 포트e(1124), 제2 포트f(1125)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제1 멀티웨이 밸브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 중 제2 멀티웨이 밸브의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4의 C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1,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유닛(30)은 제1 멀티웨이 밸브(31)와 제2 멀티웨이 밸브(32)를 포함하고, 복수의 밸브 포트는 복수의 제1 밸브 포트(도면에 미도시)와 복수의 제2 밸브 포트(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고, 제1 밸브 포트는 제1 멀티웨이 밸브(31) 상에 위치하고, 제2 밸브 포트는 제2 멀티웨이 밸브(32)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멀티웨이 밸브(31)는 밸브 시트(도면에 미도시) 및 회전 가능하게 밸브 시트 내에 설치된 밸브 코어(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고, 밸브 코어는 복수의 회전 위치를 구비하고, 밸브 시트 상에는 복수의 제1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밸브 코어 상에는 각각의 제1 밸브 포트와 각각 대응되는 도통 구조 세트가 설치되고, 각 도통 구조 세트는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도통 구조를 포함하고; 도통 유닛 세트는 밸브 코어가 서로 다른 회전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도통 유닛 세트 중 서로 다른 도통 구조와 대응되는 제1 밸브 포트를 매칭하여, 제1 밸브 포트가 서로 다른 도통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밸브 코어는 회전 가능하게 밸브 시트 상에 설치되고, 밸브 시트 상에는 복수의 제1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밸브 코어 상에는 제1 밸브 포트에 대응되는 도통 구조 세트가 설치되고, 도통 구조 세트는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도통 구조를 더 포함한다. 밸브 코어가 서로 다른 회전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서로 다른 제1 밸브 포트가 서로 다른 도통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구현한다. 하나의 밸브 코어만 필요로 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는 9방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9방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에 연결된 각 파이프라인(130)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9방 솔레노이드 밸브 상에는 9개 제1 밸브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 제1 밸브 포트a(311), 제1 밸브 포트b(312), 제1 밸브 포트c(313), 제1 밸브 포트e(314), 제1 밸브 포트f(315), 제1 밸브 포트h(316), 제1 밸브 포트k(317), 제1 밸브 포트m(318), 제1 밸브 포트n(319)이다.
제2 멀티웨이 밸브(32)는 밸브 시트, 제1 밸브 코어(도면에 미도시), 제2 밸브 코어(도면에 미도시)와 구동 장치(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와 제1 밸브 코어는 동력 전달되게 연결되고; 제1 밸브 코어에는 제1 매칭 구조가 설치되고, 제2 밸브 코어 상에는 제1 매칭 구조와 서로 배합되는 제2 매칭 구조가 설치되고, 제1 매칭 구조와 제2 매칭 구조는 제1 매칭 상태와 제2 매칭 상태를 구비하고, 제1 매칭 상태에서, 제1 밸브 코어는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제2 밸브 코어는 움직이지 않고, 제2 매칭 상태에서, 제1 밸브 코어에 연동되어 제2 밸브 코어가 동기적으로 회전한다.
밸브 시트 상에는 제1 밸브 코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제1 밸브 코어 상에는 제1 도통 구조가 설치되고, 제1 도통 구조는 제1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로 회전될 때 적어도 2 개의 제2 밸브 포트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밸브 시트 상에는 제2 밸브 코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제2 밸브 코어 상에는 제2 도통 구조가 설치되고, 제2 도통 구조는 제2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로 회전될 때 적어도 2 개의 제2 밸브 포트를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 장치와 제1 밸브 코어는 동력 전달되게 연결되고, 제1 밸브 코어가 회전할 때, 제1 밸브 코어 상의 제1 매칭 구조는 제2 매칭 구조에 연동되어 제2 밸브 코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밸브 코어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밸브 포트와 제1 도통 구조의 대응 각도를 변경하여, 제1 밸브 코어의 유량을 조절한다. 제1 밸브 코어가 회전 시 이에 연동되어 제2 밸브 코어가 회전하고, 제2 밸브 포트와 제2 도통 구조의 대응 각도를 변경시켜, 제2 밸브 코어의 유량을 조절하고, 제1 밸브 코어를 다시 원 위치로 회전하고, 제1 밸브 코어의 유량을 변경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동 장치만으로 제1 밸브 코어와 제2 밸브 코어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모터(도면에 미도시) 및 모터와 동력 전달되게 연결된 기어 세트(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고, 기어 세트는 제1 밸브 코어와 동력 전달되게 연결된다. 모터 축 상에는 웜(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되고, 기어 세트는 웜과 배합하는 제1 터빈, 제1 터빈과 맞물리는 제2 터빈, 제2 터빈과 맞물리는 제3 터빈, 제3 터빈의 저부에 연결된 제1 기어,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기어 세트 중 제1 터빈, 제2 터빈, 제3 터빈,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중심 축은 서로 평행되게 모두 수직 방향을 향하고, 제1 웜의 중심 축과 제1 터빈의 중심 축은 서로 수직된다. 모터 축 상에서 웜이 회전하고, 기어 세트의 동력 전달을 통해, 제1 밸브 코어를 회전시켜, 동력 전달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모터의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제어의 간단함과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모터는 스텝 모터 또는 서보 모터이다.
제2 멀티웨이 밸브(32)는 5방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5방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에 연결된 각 파이프라인(130)의 개도 크기를 제어하여, 파이프라인(130) 내를 흐르는 냉각액의 유량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5방 솔레노이드 밸브 상에는 5개의 제2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각각 제2 밸브 포트a(321), 제2 밸브 포트b(322), 제2 밸브 포트c(323), 제2 밸브 포트e(324), 제2 밸브 포트f(325)이다.
계속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멀티웨이 밸브(31)는 제1 설치영역(111) 내에 연결되고, 제1 밸브 포트와 제1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2 멀티웨이 밸브(32)는 제2 설치영역(112) 내에 연결되고, 제2 밸브 포트와 제2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 상의 제1 설치영역(111) 내부에 설치한 후, 각각의 제1 밸브 포트와 각각의 제1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고 서로 연통되며, 여기서, 제1 밸브 포트a(311)와 제1 포트a(1111)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b(312)와 제1 포트b(1112)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c(313)와 제1 포트c(1113)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e(314)와 제1 포트e(1114)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f(315)와 제1 포트f(1115)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h(316)와 제1 포트h(1116)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k(317)와 제1 포트k(1117)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m(318)과 제1 포트m(1118)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n(319)과 제1 포트h(1119)는 대응되게 연통된다. 제2 멀티웨이 밸브(32)를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 상의 제2 설치영역(112) 내에 설치한 후, 각각의 제2 밸브 포트와 각각의 제2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고 서로 연통되며, 여기서, 제2 밸브 포트a(321)와 제2 포트a(1121)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2 밸브 포트b(322)와 제2 포트b(1122)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2 밸브 포트c(323)와 제2 포트c(1123)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2 밸브 포트e(324)와 제2 포트e(1124)는 대응되게 연통되고, 제2 밸브 포트f(325)와 제2 포트f(1125)는 대응되게 연통된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유통도이다.
도 2, 도 4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은 복수의 제1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각 제1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은 대응되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은 대응되고,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부재는 라디에이터(82), 배터리 냉각 기구(배터리팩 방열장치를 가리키며, 아래 배터리 냉각 기구로 약칭)(83) 또는 모터 냉각 기구(모터 방열장치를 가리키며, 아래 모터 냉각 기구로 약칭)(80)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차량 상의 각 부재의 냉각액 회로가 서로 독립되도록 하고,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 챔버 내에 설치된 파이프라인(130)은 복수의 제1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각 제1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2 개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은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통해 연결하여 냉각액이 유동하는 제1 파이프라인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 내의 제1 포트는 대응되고 연통되며, 이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액은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을 경과한 후 제1 멀티웨이 밸브(31) 내부로 유입된다. 각 제1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 내의 제1 포트는 대응되고 연통되며, 이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입수관과 연통되기 위한 것으고, 제1 멀티웨이 밸브(31)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액은 해당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을 거쳐 해당 부재에 유입된다. 2 개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통해 연결된 후 제1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고, 다시 제1 파이프라인과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입수관 및 출수관을 연통한 후 폐쇄된 냉각 회로를 형성하고,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통해 해당 냉각 회로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여, 차량 중의 부재에 냉각액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중 냉각액이 유통하는 부재는 주로 라디에이터(82), 배터리 냉각 기구(83) 및 모터 냉각 기구(80) 등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 응축 기구(83)는 차량 배터리팩 상에 설치된 응축 기구이고, 해당 냉각 기구는 주로 배터리팩에 부착되어 배터리팩과 열교환을 수행하는 것으로, 냉각액이냉각 기구를 통과한 후 배터리팩 상에 발생된 열량을 흡수하여 가져가, 배터리팩이 동작 시 최적의 온도 범위에 처하도록 한다.
모터 냉각 기구(80)는 차량 모터 상에 설치된 냉각 기구이며, 해당 냉각 기구는 모터의 외부 하우징 상에 부착되어 열교환을 수행하며, 차량 모터가 가동되어 동작할 때 대량의 열량이 발생하기에, 만약 적시에 열량을 방출하지 못하면 차량 모터의 동작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냉각액이 차량 모터 상의 냉각 장치를 통과한 후 모터 상에 발생된 열량을 흡수하여 가져가, 차량 모터가 동작 시 최적의 온도 범위 내에서 처하도록 한다.
라디에이터(82)는 차량에 설치된 에어와 열교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액이 흡수한 열량을 라디에이터(82)로 가져온 후, 라디에이터(82)와 에어의 열교환을 거친 후 열량을 에어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차량의 정상적인 운행을 확보한다.
도 3,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수용 챔버 내로부터 하우징(11)을 인출한 후 차량 중의 관련 부재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 상에는 라디에이터 입수관(131), 라디에이터 출수관(132), 모터 냉각 기구 입수관(133), 배터리 냉각 기구 입수관(135)을 구비하고; 하우징(11)의 제1 측면(114) 상에는 모터 냉각 기구 출수관(134)과 배터리 냉각 기구 출수관(136)을 구비한다.
차량 상의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각각 라디에이터 입수관(131) 및 라디에이터 출수관(132)과 연통되고, 배터리 냉각 기구(83)의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각각 배터리 냉각 기구 입수관(135) 및 배터리 냉각 기구 출수관(136)과 연통되고, 모터 냉각 기구(80)의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각각 모터 냉각 기구 입수관(133) 및 모터 냉각 기구 출수관(134)과 연통된다.
계속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은 제2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과 제3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제2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은 대응되고, 제3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2 설치영역(112)은 대응되고; 제2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제2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은 차량 중의 온풍 코어(85)의 출수관과 연통하고, 제2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은 차량 중의 히터(84)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제3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제3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은 히터(84)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제3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은 온풍 코어(85)의 입수관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2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제2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은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2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온풍 코어(85)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은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2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차량 중의 히터(84)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제3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제3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2 설치영역(112)은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3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히터(84)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제3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2 설치영역(112)은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3 서브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온풍 코어(85)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히터(84)와 온풍 코어(85)는 모두 차량의 차체 상에 설치되어, 조종실에 온풍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조종실은 차량 차체 상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와 승객이 탑승하는 공간을 말한다. 히터(84)와 온풍 코어(85)는 직렬 연결 관계이며, 냉각액은 수용 챔버로부터 유출된 후 순차적으로 히터(84)와 온풍 코어(85)를 흘러간다. 차량이 온도가 보다 낮은 환경에서 주행할 때, 히터(84)가 동작하도록 가동하여 히터(84)를 흐르는 냉각액에 대해 가열하여 승온시킬 수 있으며, 이어서 열량을 흡수한 후의 냉각액은 파이프라인(130)을 통과하여 온풍 코어(85)에 유입되고, 온풍 코어(85)는 열교환하는 방식으로 열량을 조종실 내에 전달함으로써, 조종실 내부의 온도를 높인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온풍 코어(85)와 에어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풍 코어(85)가 배치된 위치에 팬(도면에 미도시)을 설치하고, 팬을 사용하여 온풍 코어(85)에 대해 블루잉하는 방식으로 온풍 코어(85)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 도 4,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과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수용 챔버 내로부터 하우징(11)을 인출한 후 차량 중의 관련 부재와 연통된 복수의 포트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의 제1 측면(114) 상에는 히터 입수관(137), 히터 출수관(138), 온풍 코어 입수관(139)과 온풍 코어 입수관(139)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히터(84)의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각각 히터 입수관(137) 및 히터 출수관(138)과 연통되고, 온풍 코어(85)의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각각 온풍 코어 입수관(139) 및 온풍 코어 출수관(140)과 연통된다.
계속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수용 챔버 내부에는 저수영역(150)이 구비되고, 저수영역(150)은 파이프라인(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저수영역(150)은 액체 보충구(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고, 액체 보충구와 파이프라인(130)은 연통되어, 파이프라인(130)에 대해 물을 보충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관리 시스템에 냉각액을 주입하고 냉각액을 각 부재에 입력하기 위하여, 수용 챔버 내에는 일 저수영역(150)이 더 설치되고, 저수영역(150)은 파이프라인(130)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우징(11) 상에는 주액구(151)가 더 설치되고, 주액구(151)는 저수영역(150)의 상측에 위치하고, 주액구(151)과 저수영역(150)은 연통되고, 냉각액은 주액구(151)로부터 저수영역(150) 내부로 추가된다. 저수영역(150)의 하측에는 액체 보충구가 설치되고, 액체 보충구와 파이프라인(130)은 연통되고, 저수영역(150) 내의 냉각액은 액체 보충구를 통해 각 파이프라인(130)에 입력되어, 각 부재가 사용하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주액구(151)와 액체 보충구의 개폐 상태는 열관리 시스템에 의해 냉각액의 소모 정도에 따라 자체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게속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수냉 응축기(40)와 열교환기(50)를 더 포함하고, 수냉 응축기(40)는 커버 플레이트(12)에 등지는 하우징(11)의 일면에 설치되고, 수냉 응축기(40)는 제1 입구(도면에 미도시)와 제1 출구(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고, 열교환기(50)는 하우징(11)에 등지는 커버 플레이트(12)의 일면에 설치되고, 열교환기(50)는 제2 입구(도면에 미도시)와 제2 출구(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한다.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은 2 개의 제4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2 설치영역(112)은 대응되고,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과 제1 입구는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제1 설치영역(111)은 대응되고, 다른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과 제1 출구는 연통된다.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은 2 개의 제5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도면에 미도시), 제5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모두 제1 설치영역(111)과 대등되고, 하나의 제5 파이프라인과 제2 출구는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제5 파이프라인과 제2 입구는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관리 시스템의 차량 중의 에어컨 시스템에 대한 방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열관리 시스템은 수냉 응축기(40)를 더 포함하고, 수냉 응축기(40)는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 상에 설치된다. 수냉 응축기(40)는 에어컨 시스템 중의 냉매와 열관리 시스템 중의 냉각액이 열교환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수냉 응축기(40)에 냉각액과 냉매를 동시에 유입시키면, 냉매는 에어컨 시스템 중의 열량을 수냉 응축기(40)로 전달할 수 있고, 이어서 냉각액에 의해 흡수되고 해당 부분의 열량은 열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냉매의 온도가 신속하게 내려가도록 하여, 에어컨 시스템의 온도를 낮추는 목적을 구현한다. 상응하게, 수냉 응축기(40) 상에는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입구(도면에 미도시)와 냉매 출구(도면에 미도시) 및 냉각액이 유통되는 제1 입구(도면에 미도시)와 제1 출구(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된다. 수냉 응축기(4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는 각각 에어컨 시스템 중의 파이프라인과 연통된다.
열관리 시스템의 강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관리 시스템은 열교환기(50)를 더 포함하고, 열교환기(50)는 하우징(11)에 등지는 커버 플레이트(12) 상의 일면에 설치된다. 열교환기(50)는 에어컨 시스템 중의 냉매와 열관리 시스템 중의 냉각액이 열교환하는 장치로서, 열교환기(50)에 동시에 냉각액과 냉매가 유입되면, 냉각액은 열관리 시스템 중의 열량을 열교환기(50)로 전달하고, 이어서 냉매에 의해 흡수되고 해당 부분의 열량은 에어컨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냉각액의 온도가 신속하게 내려가도록 하여, 열관리 시스템의 온도를 낮추는 목적을 구현한다. 상응하게, 열교환기(50) 상에는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입구(도면에 미도시)와 냉매 출구(도면에 미도시) 및 냉각액이 유통되는 제2 입구(도면에 미도시)와 제2 출구(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된다. 열교환기(5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는 각각 에어컨 시스템 중의 파이프라인과 연통된다.
수냉 응축기(40)의 제1 입구와 제1 출구를 열관리 시스템과 연통하기 위하여, 수용 챔버 내의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은 2 개의 제4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는 제2 설치영역(112)과 대응되고 제2 설치영역(112) 내의 제2 포트f(1125)와 연통되며, 이의 다른 일단은 수냉 응축기(40)의 제1 입구와 대응되고 연통된다. 다른 하나의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제1 설치영역(111)과 대응되고 제1 설치영역(111) 내의 제1 포트m(1118)와 연통되며, 냉각액은 제2 포트f(1125)로부터 유출되어 제4 파이프라인을 거쳐 수냉 응기의 제1 입구로 유입되고, 이어서 수냉 응축기(40)의 제1 출구로부터 유출되어 제4 파이프라인을 거쳐 제1 포트m(1118)로 유입되어, 수냉 응축기(40)의 냉각 회로를 형성한다.
열교환기(50)의 제2 입구와 제2 출구를 열관리 시스템과 연통하기 위하여, 수용 챔버 내의 복수의 파이프라인(130)은 2 개의 제5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의 제5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제1 설치영역(111)과 대응되고 제1 설치영역(111) 내의 제1 포트h(1116)와 연통되며, 이의 제2 단은 열교환기(50)의 제2 입구와 대응되고 연통된다. 다른 하나의 제5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제1 설치영역(111)과 대응되고 제1 설치영역(111) 내의 제1 포트b(1112)와 연통되며, 이의 제2 단은 열교환기(50)의 제2 출구와 대응되고 연통된다. 냉각액은 제1 포트h(1116)로부터 유출되어 제5 파이프라인을 거쳐 열교환기(50)의 제2 입구에 유입되고, 열교환기(50)의 제1 출구로부터 유출되어 제5 파이프라인을 거쳐 제1 포트b(1112)로 유입되어, 열교환기(50)의 냉각 회로를 형성한다.
게속 도 1, 도 3, 도 4와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기액 분리기(60)를 더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12) 상에는 설치부(120)가 구비되고, 설치부(120)는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기액 분리기(60)는 하우징(11)을 향하는 설치부(120)의 일면에 설치되고, 기액 분리기(60)와 수냉 응축기(40)는 서로 인접하고;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입구와 열교환기(50)의 냉매 출구는 연통되고, 기액 분리기(60)는 또한 차량의 에어컨 본체 증발기 출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체 상태의 냉매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열관리 시스템은 기액 분리기(60)를 더 포함하고, 기액 분리기(60)는 커버 플레이트(12) 상에 설치된다. 커버 플레이트(12) 상에는 설치부(120)가 설치되고, 설치부(120)는 수용 챔버의 외부에 위치한다. 기액 분리기(60)는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을 향하는 설치부(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기액 분리기(60)와 수냉 응축기(40)는 서로 인접하여 설치된다. 기액 분리기(60) 상에는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가 설치되고,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입구는 각각 열교환기(50)의 냉매 출구 및 에어컨 본체 증발기(90)의 냉매 출구와 연통되고;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출구는 압축기(91)의 냉매 출구와 연통된다. 열교환기(50)와 에어컨 본체 증발기(90)에서 출력된 냉매는 기액 분리기(60)로 입력된후 기액 분리를 수행하고, 여기서 기체 상태 냉매는 기액 분리기(60)로부터 압축기(91) 내로 입력되어 순환 사용된다.
게속 도 2와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에어컨 통합 밸브(70)를 더 포함하고, 에어컨 통합 밸브(70)는 하우징(11)에 등지는 설치부(120)의 일면에 설치되고, 에어컨 통합 밸브(70)와 열교환기(50)는 서로 인접하고, 에어컨 통합 밸브(70)는 각각 수냉 응축기(40)의 냉매 입구 및 열교환기(5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수냉 응축기(40)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에어컨 통합 밸브(70)와 연통되고;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차량의 압축기(91) 흡기구와 연통되며; 동축관(93)은 또한 차량의 에어컨 본체 냉각기(92) 출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에어컨 통합 밸브(70)는 에어컨 본체 냉각기(92) 입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에어컨 통합 밸브(70)는 또한 압축기(91) 배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차량 중 에어컨 시스템 내부의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열관리 시스템은 에어컨 통합 밸브(70)를 더 포함하고, 에어컨 통합 밸브(70)는 하우징(11)에 등지는 설치부(120) 상의 일면에 설치되고, 에어컨 통합 밸브(70)와 열교환기(50)는 서로 인접하여 설치된다. 에어컨 통합 밸브(70) 상에는 2 개의 개폐 밸브와 2 개의 팽창 밸브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각 제1 개폐 밸브(71), 제2 개폐 밸브(72), 제1 팽창 밸브(73) 및 제2 팽창 밸브(74)이다.
제1 개폐 밸브(71)와 제2 개폐 밸브(72)는 병렬로 설치되고, 이들의 입구는 모두 파이프라인을 통해 압축기(91)의 배기구와 연통된다. 제1 개폐 밸브(71)의 출구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에어컨 본체 응축기(92)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제2 개폐 밸브(72)의 출구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냉 응축기(4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차량이 동작할 때, 2 개의 개폐 밸브는 하나만 선택하여 열 수 있을 뿐, 동시에 2 개의 개폐 밸브를 열 수 없다. 즉, 제1 개폐 밸브(71)를 열고 제2 개폐 밸브(72)를 닫을 때, 압축기(91) 배기구에서 출력되는 냉매는 제1 개폐 밸브(71)를 경과한 후 에어컨 본체 냉각기(92) 내에 입력되고; 반대일 경우, 냉매는 제2 개폐 밸브(72)를 거쳐 수냉 응축기(40) 내에 입력된다.
제1 팽창 밸브(73)와 제2 팽창 밸브(74)는 병렬로 설치되고, 이들의 입구는 모두 파이프라인을 통해 동축관(93)과 연통되고, 제1 팽창 밸브(73)의 출구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열교환기(5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된다. 제2 팽창 밸브(74)의 출구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에어컨 본체 증발기(90)와 연통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차량이 동작할 때, 2 개의 팽창 밸브는 동시에 열려 동작할 수 있고, 즉, 동축관(93)으로부터 출력된 냉매는 동시에 2 개의 팽창 밸브 내에 진입하여 서로 다른 부재에 입력될 수 있다.
하지만 수냉 응축기(40)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팽창 밸브와 연통되고,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압축기(91) 흡기구와 연통되고, 에어컨 본체 응축기(92)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팽창 밸브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에어컨 시스템 중 냉매의 유통 경로는, 냉매가 압축기(91) 배기구로부터 에어컨 통합 밸브(70)로 입력된 후 선택 가능한 경로가 두 개 있으며, 제1 경로는 제1 개폐 밸브(71)를 경과한 후 에어컨 본체 냉각기(92)에 입력되고, 이어서 다시 동축관(93) 내에 입력되고, 이어서 동축관(93)으로부터 팽창 밸브로 입력되고; 제2 경로는 제2 개폐 밸브(72)를 경과한 후 수냉 응축기(40)로 입력되고, 이어서 다시 동축관(93) 내에 입력되고, 이어서 동축관(93)으로부터 팽창 밸브에 입력된다. 팽창 밸브로부터 출력된 냉매는 두 경로로 나누어 지고, 제1 경로는 제1 팽창 밸브(73)로부터 열교환기(50)로 출력되고, 이어서 다시 기액 분리기(60)로 입력되고, 이어서 동축관(93)을 통해 압축기(91)로 입력되어, 완전한 냉매 유통 회로를 형성한다. 제2 경로는 제2 팽창 밸브(74)로부터 에어컨 본체 증발기(90)로 출력되고, 이어서 다시 기액 분리기(60)로 입력되고, 이어서 동축관(93)을 통해 압축기(91)로 입력되어, 완전한 냉매 유통 회로를 형성한다.
게속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20)는 히팅 펌프(21), 배터리 펌프(22)와 모터 펌프(23)를 포함하고, 히팅 펌프(21), 배터리 펌프(22)와 모터 펌프(23)는 각각 커버 플레이트(12)에 등지는 하우징(11)의 일면에 설치되고, 히팅 펌프(21), 배터리 펌프(22)와 모터 펌프(23)는 각각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한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라인 내부의 냉각액의 유동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하우징(11)의 제1 표면(113) 상에 설치된 펌프 조립체(20)는 히팅 펌프(21), 배터리 펌프(22), 모터 펌프(23)를 포함한다. 히팅 펌프(21)와 히터(84)는 직렬 연결되고, 히팅 펌프(21)의 출수구는 파이프라인(130)을 통해 히터(84)의 입수구와 연통되며, 히팅 펌프(21)는 냉각액이 히터(84)에 유입되는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배터리 펌프(22)와 배터리 냉각 기구(83)가 직렬 연결된 후, 배터리 펌프(22)의 출수구는 파이프라인(130)을 통해 배터리 냉각 기구(83)의 입수구와 연통되며, 배터리 펌프(22)는 냉각액이 배터리 냉각 기구(83)에 입력되는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모터 펌프(23)와 모터 냉각 기구(80)는 직렬 연결된 후, 모터 펌프(23)의 출수구는 모터 냉각 기구(80)의 입수구와 연통되고, 모터 펌프(23)는 냉각액이 모터 냉각 기구(80)에 입력되는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차량을 더 제공하는 바, 해당 차량은 차체, 차체 상에 설치된 열관리 시스템과 에어컨 시스템을 포함한다. 열관리 시스템과 에어컨 시스템은 상술한 내용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도 10의 D 부분의 확대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E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각 유통도에서, 실선과 화살표의 조합은 냉각액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점선과 화살표의 조합은 냉매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2점 쇄선과 화살표의 조합은 냉각액 보충 시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도 3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열전도 경로는 도면 중 실선으로 연통된 냉각액 회로와 점선으로 연통된 냉매 회로를 포함한다. 요컨대, 냉각액 회로에서는 주로 냉각액으로 열을 전달하고, 냉매 회로에서는 주로 냉매로 열을 전달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냉각액 회로에는 파이프라인(130)을 사용하여 각 부재를 연통하고, 냉매 회로에는 에어컨 파이프라인(도면에 미도시)을 사용하여 각 부재를 연통한다.
냉각액 회로는 주로 모터 냉각 기구 회로,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 및 온풍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 냉각 기구(모터 방열 장치를 가리키며, 아래 모터 냉각 기구로 약칭)(80)의 액체 출구는 제1 밸브 포트m(318)와 연통되고, 모터 펌프(23)의 액체 입구는 제1 밸브 포트c(313)와 연통되고, 모터 펌프(23)의 액체 출구는 각각 제2 밸브 포트e(324) 및 모터 냉각 기구(80)의 액체 입구와 연통된다.
배터리 냉각 기구(배터리팩 방열 장치를 가리키며, 아래 배터리 냉각 기구로 약칭)(83)의 액체 출구는 각각 제어기(81)의 액체 입구 및 제1 밸브 포트f(315)와 연통되고, 배터리 펌프(22)의 액체 입구는 제1 밸브 포트a(311)와 연통되고, 배터리 펌프(22)의 액체 출구는 배터리 냉각 기구(83)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제어기(81)의 액체 출구와 제1 밸브 포트h(316)는 모두 각각 히팅 펌프(21)의 액체 입구 및 열교환기(50)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열교환기(50)의 액체 출구는 제1 밸브 포트b(312)와 연통되고, 히팅 펌프(21)의 액체 출구는 히터(84)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히터(84)의 액체 출구는 제2 밸브 포트a(321)와 연통되고, 온풍 코어(85)의 액체 입구는 제2 밸브 포트c(323)와 연통되고, 온풍 코어(85)의 액체 출구는 히팅 펌프(21)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제2 밸브 포트b(322)는 제1 밸브 포트b(312)와 연통되고, 제2 밸브 포트f(325)는 수냉 응축기(40)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수냉 응축기(40)의 액체 출구는 제1 밸브 포트m(318)와 연통되고,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입구는 제1 밸브 포트k(317)와 연통되고,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출구는 제1 밸브 포트e(314)와 연통되고, 제1 밸브 포트n(319)는 제1 밸브 포트e(314)와 연통된다.
냉매 회로 중 에어컨 본체 냉각기(92)의 냉매 입구는 제1 개폐 밸브(71)와 연통되고, 에어컨 본체 냉각기(92)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제1 팽창 밸브(73) 및 제2 팽창 밸브(74)와 연통되고, 제1 팽창 밸브(73)는 열교환기(5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열교환기(50)의 냉매 출구는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압축기(91)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제2 팽창 밸브(74)는 에어컨 본체 증발기(9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에어컨 본체 증발기(90)의 냉매 출구는 기액 분리기(6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압축기의 냉매 출구는 각각 제1 개폐 밸브(71) 및 제2 개폐 밸브(72)와 연통되고, 제2 개폐 밸브(72)는 수냉 응축기(40)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수냉 응축기(40)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93)을 통해 제1 팽창 밸브(73) 및 제2 팽창 밸브(74)와 연통된다.
저수영역(150)은 냉각액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저수영역(150) 내의 냉각액은 액체 보충구를 통해 각 파이프라인(130)에 입력되어 냉각액에 대해 실시간으로 보충함으로써, 냉각액의 빠른 소모에 따라 시스템의 열전도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1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제1 워크 컨디션은 강온 모드이고, 이 워크 컨디션은 차량이 주행 시 차량의 모터와 배터리에 대해 냉각하여 강온해야 하는 것이다. 열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m(318)와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k(317)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m(318)는 모터 냉각 기구(80)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k(317)는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모터 냉각 기구(80) 중의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m(318)과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k(317)를 거쳐 라디에이터(82)로 유입되고;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출구는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연통되고,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는 모터 냉각 기구(80)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라디에이터(82)에 유입된 냉각액은 라디에이터(82)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를 거쳐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제어하여 모터 냉각 기구 회로 중 냉각액의 유동 방향이 아래와 같도록 한다: 냉각액이 모터 냉각 기구(80)로부터 유출된 후 제1 밸브 포트m(318)로 유입되고, 그 다음 다시 제1 밸브 포트k(317)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k(317)로부터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입구로 유입되고, 라디에이터(82)를 거쳐 열교환한 후 다시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출구로부터 제1 밸브 포트e(314)로 유입되고, 다시 제1 밸브 포트e(314)로부터 제1 밸브 포트c(313)로 유입되고, 다시 제1 밸브 포트c(313)로부터 유출되어 모터 펌프(23)로 유입되고, 모터 펌프(23)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냉각액은 모터 냉각 기구(80)에서 생성된 열량을 흡수하고 라디에이터(82)로 전달하고, 라디에이터(82)를 통해 에어와 열교환을 수행한 후, 냉각액이 흡수한 열량을 에어로 전달하여, 모터 냉각 기구(80)에 대한 강온을 구현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다섯 번째 제1 밸브 포트f(315)와 여섯 번째 제1 밸브 포트h(316)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다섯 번째 제1 밸브 포트f(315)는 배터리 냉각 기구(83)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여섯 번째 제1 밸브 포트h(316)는 열교환기(50)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배터리 냉각 기구(83) 중의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다섯 번째 제1 밸브 포트f(315), 여섯 번째 제1 밸브 포트h(316)를 거쳐 열교환기(50)로 유입되고;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열교환기(50)의 액체 출구는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연통되고, 배터리 냉각 기구(83)의 액체 입구는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와 연통되고, 열교환기(50)로 유입된 냉각액은 열교환기(50)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제어하여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 중 냉각액의 유동 방향이 아래와 같도록 한다: 냉각액이 배터리 냉각 기구(83)로부터 유출된 후 두 경로로 나누어 지도록 하며, 여기서 하나의 경로는 제1 밸브 포트f(315)로 유입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h(316)로 유입하고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경로는 제어기(81)를 통과한 후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된 냉각액과 합류된 후 함께 열교환기(50)로 유입되고, 다시 열교환기(50)로부터 제1 밸브 포트b(312)로 유입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a(311)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a(311)로부터 배터리 펌프(22)로 유입되어, 배터리 펌프(22)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냉각액은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에서 발생된 열량을 흡수하여 열교환기(50)로 전달하고, 열교환기(50) 중에서 냉매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흡수된 열량을 냉매에 전달하며, 이로부터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에 대한 강온을 구현한다.
제2 멀티웨이 밸브(32) 중 첫 번째 제2 밸브 포트a(321)와 두 번째 제2 밸브 포트c(323)가 연통되도록 제어하고, 여기서, 첫 번째 제2 밸브 포트a(321)는 히터(84)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두 번째 제2 밸브 포트c(323)는 온풍 코어(85)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온풍 코어(85)의 액체 출구는 히터(84)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히터(84)로부터 유출된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2 밸브 포트a(321), 두 번째 제2 밸브 포트c(323)와 온풍 코어(85)를 거쳐 히터(84)로 유입된다.
온풍 회로는 차량 조종실에 대해 가열하는 것으로, 냉각액이 히터(84)에 의해 가열된 후 히터(84)의 액체 출구로부터 제2 밸브 포트a(321)로 유입된 후, 제2 밸브 포트a(321)로부터 제2 밸브 포트c(323)로 유입되고, 이어서 다시 온풍 코어(85)로 유입되며, 냉각액은 온풍 코어(85)로부터 유출된 후 다시 히팅 펌프(21)로 유입되고, 히팅 펌프(21)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히터(84)의 액체 입구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히터(84)는 주로 냉각액에 대해 가열하기 위한 것이고, 온풍 코어(85)는 조종실 내에 설치되어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된 후의 냉각액이 온풍 코어(85)를 거친 후, 온풍 코어(85)에 의해 냉각액이 흡수한 열량을 조종실 내로 전달하여, 조종실에 대한 가열을 구현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해당 회로는 단지 저온 환경 상태에서, 운전자가 조종실에 대해 예열하는 경우에만 적용된다. 환경 온도가 보다 높을 때에는, 해당 회로는 운행 정지 상태에 있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2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제2 워크 컨디션은 라디에이터 공용 방열 모드이고, 이 워크 컨디션은 모터 냉각 기구 회로와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가 연통되어 동일한 라디에이터를 공용하여 방열을 수행하는 것이다. 열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라디에이터(82)에 유입된 냉각액은 디에이터(82)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열교환기(50)에 유입된 냉각액이 열교환기(50)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를 거쳐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제어하여 모터 냉각 기구(80)와 배터리 냉각 기구(83)가 구성한 직렬 회로의 유동 방향이 아래와 같도록 한다: 냉각액이 모터 냉각 기구(80)의 액체 출구로부터 유출된 후 제1 밸브 포트m(318)로 유입되고, 그 다음 다시 제1 밸브 포트k(317)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k(317)로부터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입구로 유입되고, 라디에이터(82)의 열교환을 거친 후 다시 라디에이터(82)의 액체 출구로부터 제1 밸브 포트e(314)로 유입되고, 이어서 다시 제1 밸브 포트a(311)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a(311)로부터 배터리 펌프(22)로 유입되고, 배터리 펌프(22)의 증압 후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한다. 배터리 냉각 기구(83)로부터 유출된 후 두 경로로 나누어지고, 여기서 하나의 경로는 제1 밸브 포트f(315)로 유입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h(316)로 유입하고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된다. 다른 하나의 경로는 제어기(81)를 통과한 후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된 냉각액과 합류된 후 열교환기(50)로 함께 유입되고, 다시 열교환기(50)로부터 제1 밸브 포트b(312)로 유입되고, 이어서 다시 제1 밸브 포트c(313)로 유입되고, 이어서 제1 밸브 포트c(313)로부터 모터 펌프(23)로 유입되고, 모터 펌프(23)의 순환 증압 후 모터 냉각 기구(80)의 액체 입구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이때, 모터 냉각 기구(80), 배터리 냉각 기구(83) 및 제어기(81)는 동일한 회로에 직렬 연결되고, 셋이 발생한 열량은 냉각액에 의해 흡수되고 라디에이터(82)로 전달되고, 라디에이터(82)에 의해 통일적으로 방열되어 강온 처리된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3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제3 워크 컨디션은 모터 냉각 기구 급속 승온 모드이고, 이 워크 컨디션은 차량을 작동시킬 때, 모터 냉각 기구(80)에 대해 신속하게 예열하여, 모터 냉각 기구(80)의 온도가 될수록 빨리 최적의 동작 온도 범위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응하게,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에 대해서도 예열 처리를 수행하여, 둘의 온도가 될수록 빨리 최적의 동작 온도 범위까지 상승하도록 한다. 열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m(318)와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n(319)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n(319)와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는 연통되고,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는 연통되고, 모터 냉각 기구(80) 중의 냉각액이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m(318),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n(319),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를 거쳐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열교환기(50)로부터 유출된 냉각액이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제어하여 모터 냉각 기구 회로의 흐름 방향이 아래와 같도록 한다: 냉각액이 모터 냉각 기구(80)로부터 제1 밸브 포트m(318)로 유입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제1 밸브 포트n(319), 제1 밸브 포트e(314), 제1 밸브 포트c(313)를 통과하고, 제1 밸브 포트c(313)로부터 모터 펌프(23)로 유입되고, 모터 펌프(23)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하여,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회로에서, 냉각액이 라디에이터(82)를 경과하지 않았으므로, 냉각액이 모터 냉각 기구(80)로부터 흡수한 열량은 또한 모터 냉각 기구(80)로 다시 전달할 수 있으며, 모터 냉각 기구(80)의 열량 소모를 감소하여, 모터 냉각 기구(80)의 온도가 신속하게 최적의 동작 온도 범위 내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제어하여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의 흐름 방향이 아래와 같도록 한다: 냉각액이 배터리 냉각 기구(83)로부터 유출한 후 두 경로로 나누어 지도록 하며, 여기서 하나의 경로는 제1 밸브 포트f(315)로 유입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h(316)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된다. 다른 하나의 경로는 제어기(81)를 통과한 후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된 냉각액과 합류되어 함께 열교환기(50)로 유입되고, 다시 열교환기(50)로부터 제1 밸브 포트b(312)로 유입되고, 이어서 다시 제1 밸브 포트a(311)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a(311)로부터 배터리 펌프(22)로 유입되고, 배터리 펌프(22)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이 워크 컨디션에서, 열교환기(50)는 동작되지 않고, 즉 열교환기(50)는 유입된 냉각액에 대해 방열 처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냉각액이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로부터 흡수한 열량을 다시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의 열량 소모를 감소하여,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의 온도가 신속하게 최적의 동작 온도 범위 내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워크 컨디션에서, 조종실의 온도도 마찬가지로 보다 낮으며, 온풍 회로의 동작을 개시하여, 조종실에 대해 가열 처리를 수행하고, 조종실 내의 온도가 일정한 값까지 상승한 후 해당 회로의 동작을 오프한다.
도 16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4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제4 워크 컨디션은 폐열 회수 모드로서, 이 워크 컨디션은 모터 냉각 기구(80)에서 발생된 열량을 수집하여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를 가열하는 것이다. 모터 냉각 기구(80)가 일정 기간 작동된 후, 이의 온도는 신속하게 최적의 동작 온도 범위 내로 상승할 수 있으나, 이때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 상의 온도는 아직 보다 낮은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모터 냉각 기구(80)에서 발생된 열량을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로 전달하여, 둘의 온도가 될수록 빨리 최적의 동작 온도 범위 내로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워크 컨디션에서, 모터 냉각 기구 회로와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가 연결되어 하나의 직렬 회로를 구성한다. 열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가 연통되고, 모터 냉각 기구(80) 중의 냉각액이 순차적으로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m(318),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n(319),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e(314)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a(311)를 거쳐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31)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가 연통되고, 열교환기(50)로부터 유출된 냉각액이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b(312)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c(313)를 거쳐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제어하여 모터 냉각 기구(80)와 배터리 냉각 기구(83)의 직렬 연결 회로의 흐름 방향이 아래와 같도록 한다: 냉각액이 모터 냉각 기구(80)로부터 제1 밸브 포트m(318)로 유입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제1 밸브 포트n(319), 제1 밸브 포트e(314), 제1 밸브 포트a(311)를 통과하고, 제1 밸브 포트a(311)로부터 배터리 펌프(22)로 유입되고, 배터리 펌프(22)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도록 한다. 배터리 냉각 기구(83)로부터 유출된 후 두 경로로 나뉘어 지고, 여기서 하나의 경로는 제1 밸브 포트f(315)로 유입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h(316)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된다. 다른 하나의 경로는 제어기(81)를 통과한 후 제1 밸브 포트h(316)로부터 유출된 냉각액과 합류되어 함께 열교환기(50)에 유입되고, 다시 열교환기(50)로부터 제1 밸브 포트b(312)로 유입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c(313)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c(313)로부터 모터 펌프(23)로 유입되고, 모터 펌프(23)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이 워크 컨디션에서, 라디에이터(82)와 열교환기(50)는 모두 동작 정지 상태에 있으며, 모터 냉각 기구(80)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냉각액에 의해 배터리 냉각 기구(83)와 제어기(81)로 전달되어 둘에 대해 가열한다.
이때 온풍 회로의 동작 상태는 환경 문제가 높고 낮음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된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5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제5 워크 컨디션은 모터 냉각 기구(80)가 급속 승온하고, 배터리 냉각 기구(83)는 유량 요청이 없고, 제어기(81)는 유량 요청이 있는 것이다. 이 워크 컨디션에서, 모터 냉각 기구 회로는 제3 워크 컨디션에서의 모터 냉각 기구 회로와 동일하며,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멀티웨이 밸브(31)를 제어하여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의 구체적인 흐름 방향이 아래와 같도록 한다: 냉각액이 배터리 냉각 기구(83)로부터 유출된 후 전부 제어기(81)로 유입되고, 제어기(81)로부터 유출된 후 다시 열교환기(50)로 유입되고, 열교환기(50)로부터 다시 제1 밸브 포트b(312)로 유입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a(311)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a(311)로부터 배터리 펌프(22)로 유입되고, 배터리 펌프(22)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워크 컨디션에서, 제어기(81) 동작 시 필요한 냉각액의 유량이 보다 크기에, 배터리 냉각 기구(83)로부터 유출된 냉각액은 전부 제어기(81)로 유입되어 동작 요구를 만족한다. 배터리 냉각 기구(83)를 통과하는 냉각액의 유량은 큰 변화가 없다.
도 18은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6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제6 워크 컨디션은 모터 냉각 기구(80)가 강온되어야 하고, 배터리 냉각 기구(83)는 유량 요구가 없지만 제어기(81)는 유량 요구가 있으며 에어 제거 모드이다. 이 워크 컨디션에서, 모터 냉각 기구 회로의 유통 방향은 제1 워크 컨디션에서의 모터 냉각 기구 회로의 유통 방식과 일치하다.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는 제5 워크 컨디션에서의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와 일치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하지만 설명해야 할 바로는, 차량을 유지보수할 때, 일반적으로 제어기(81)에 에어가 들어가며, 따라서 에어 제거 모드는 제어기(81)에 들어간 에어를 배출하는 것을 말하며, 냉각액이 전부 제어기(81)에 유입되는 방식으로 그 내부의 에어가 저수영역(150)의 액체 보충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차량의 동작에 영항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6 워크 컨디션에서, 온풍 회로도 정지 상태에 있다.
도 19는 본 출원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의 제7 워크 컨디션의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제7 워크 컨디션은 대직렬 보조 에어 제거 모드이고, 이 워크 컨디션은 전체 열관리 시스템에 대해 배기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때 모터 냉각 기구 회로와 배터리 냉각 기구 회로는 연통되어 대직렬 회로를 구성한다.
대직렬 회로 중 냉각액의 흐름 방향은 아래와 같다: 냉각액이 모터 냉각 기구(80)로부터 제1 밸브 포트m(318)로 유입되고, 이어서 제1 밸브 포트k(317)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k(317)로부터 라디에이터(82)로 유입되고, 라디에이터(82)로부터 유출된 후 제1 밸브 포트e(314)로 유입되고, 이어서 다시 제1 밸브 포트a(311)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a(311)로부터 유출된 후 다시 배터리 펌프(22)로 유입되고, 배터리 펌프(22)의 증압을 거친 후 배터리 냉각 기구(83)로 유입되고, 배터리 냉각 기구(83)로부터 유출된 후 전부 제어기(81)로 유입되고, 제어기(81)로부터 유출된 후 다시 열교환기(50)로 유입되고, 열교환기(50)로부터 유출된 후 다시 제1 밸브 포트b(312)로 유입되고, 이어서 제1 밸브 포트c(313)로 유입되고 제1 밸브 포트c(313)로부터 모터 펌프(23)로 유입되고, 모터 냉각 기구(80) 펌프(23)의 순환 증압을 거친 후 모터 냉각 기구(80)로 유입되어, 하나의 폐쇄 회로를 형성한다. 이 워크 컨디션에서, 차량은 정지 상태에 있고, 라디에이터(82)와 열교환기(50)는 모두 동작 정지 상태에 있으며, 이때 라디에이터(82)는 용량이 보다 큰 기액 분리 기기에 해당하고, 냉각액은 열관리 시스템 중의 에어를 라디에이터(82)로 배출하고, 에어는 라디에이터(82)에 의해 배출된다. 이로부터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순환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응하게,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 있으므로, 온풍 회로도 마찬가지로 동작 정지 상태에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비록 상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는 여전히 상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에 대해 수정하거나 그 중 일부 또는 전부 기술특징에 대해 동등한 치환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치환에 의해, 상응한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각 유통을 나타내는 도면 중에서, 실선과 화살표의 조합은 냉각액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점선과 화살표의 조합은 냉매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며, 2점 쇄선과 화살표의 조합은 냉각액을 보충 시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10-케틀 조립체; 11-하우징; 12-커버 플레이트;
110-포트; 111-제1 설치영역; 112-제2 설치영역; 113-제1 표면; 114-제1 측면; 120-설치부; 130-파이프라인; 131-라디에이터 입수관; 132-라디에이터 출수관; 133-모터 냉각 기구 입수관; 134-모터 냉각 기구 출수관; 135-배터리 냉각 기구 입수관; 136-배터리 냉각 기구 출수관; 137-히터 입수관; 138-히터 출수관; 139-온풍 코어 입수관; 140-온풍 코어 출수관; 150-저수영역; 151-주액구;
1111-제1 포트a; 1112-제1 포트b, 1113-제1 포트c; 1114-제1 포트e; 1115-제1 포트f; 1116-제1 포트h; 1117-제1 포트k; 1118-제1 포트m; 1119-제1 포트n; 1121-제2 포트a; 1122-제2 포트b; 1123-제2 포트c; 1124-제2 포트e; 1125-제2 포트f;
20-펌프 조립체; 21-히팅 펌프; 22-배터리 펌프; 23-모터 펌프;
30-밸브 유닛; 31-제1 멀티웨이 밸브; 32-제2 멀티웨이 밸브;
311-제1 밸브 포트a; 312-제1 밸브 포트b; 313-제1 밸브 포트c; 314-제1 밸브 포트e; 315-제1 밸브 포트f; 316-제1 밸브 포트h, 317-제1 밸브 포트k, 318-제1 밸브 포트m, 319-제1 밸브 포트n; 321-제2 밸브 포트a; 322-제2 밸브 포트b, 323-제2 밸브 포트c, 324-제2 밸브 포트e, 325-제2 밸브 포트f;
40-수냉 응축기;
50-열교환기;
60-기액 분리기;
70-에어컨 통합 밸브; 71-제1 개폐 밸브; 72-제2 개폐 밸브; 73-제1 팽창 밸브; 74-제2 팽창 밸브;
80-모터 냉각 기구; 81-제어기; 82-라디에이터; 83-배터리 냉각 기구; 84-히터; 85-온풍 코어;
90-에어컨 본체 증발기; 91-압축기; 92-에어컨 본체 응축기; 93-동축관.
10-케틀 조립체; 11-하우징; 12-커버 플레이트;
110-포트; 111-제1 설치영역; 112-제2 설치영역; 113-제1 표면; 114-제1 측면; 120-설치부; 130-파이프라인; 131-라디에이터 입수관; 132-라디에이터 출수관; 133-모터 냉각 기구 입수관; 134-모터 냉각 기구 출수관; 135-배터리 냉각 기구 입수관; 136-배터리 냉각 기구 출수관; 137-히터 입수관; 138-히터 출수관; 139-온풍 코어 입수관; 140-온풍 코어 출수관; 150-저수영역; 151-주액구;
1111-제1 포트a; 1112-제1 포트b, 1113-제1 포트c; 1114-제1 포트e; 1115-제1 포트f; 1116-제1 포트h; 1117-제1 포트k; 1118-제1 포트m; 1119-제1 포트n; 1121-제2 포트a; 1122-제2 포트b; 1123-제2 포트c; 1124-제2 포트e; 1125-제2 포트f;
20-펌프 조립체; 21-히팅 펌프; 22-배터리 펌프; 23-모터 펌프;
30-밸브 유닛; 31-제1 멀티웨이 밸브; 32-제2 멀티웨이 밸브;
311-제1 밸브 포트a; 312-제1 밸브 포트b; 313-제1 밸브 포트c; 314-제1 밸브 포트e; 315-제1 밸브 포트f; 316-제1 밸브 포트h, 317-제1 밸브 포트k, 318-제1 밸브 포트m, 319-제1 밸브 포트n; 321-제2 밸브 포트a; 322-제2 밸브 포트b, 323-제2 밸브 포트c, 324-제2 밸브 포트e, 325-제2 밸브 포트f;
40-수냉 응축기;
50-열교환기;
60-기액 분리기;
70-에어컨 통합 밸브; 71-제1 개폐 밸브; 72-제2 개폐 밸브; 73-제1 팽창 밸브; 74-제2 팽창 밸브;
80-모터 냉각 기구; 81-제어기; 82-라디에이터; 83-배터리 냉각 기구; 84-히터; 85-온풍 코어;
90-에어컨 본체 증발기; 91-압축기; 92-에어컨 본체 응축기; 93-동축관.
Claims (19)
- 케틀 조립체, 밸브 유닛, 라디에이터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틀 조립체는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 커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챔버 내에는 액체가 흐르는 복수의 파이프라인이 있고, 상기 하우징 상에는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라인의 제2 단과 일부분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 유닛은 복수의 밸브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포트와 상기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제1 멀티웨이 밸브와 제2 멀티웨이 밸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밸브 포트는 복수의 제1 밸브 포트와 복수의 제2 밸브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상기 제2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상기 라디에이터와 상기 열교환기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파이프라인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케틀 조립체, 펌프 조립체, 및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케틀 조립체는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 커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 조립체와 상기 밸브 유닛은 각각 상기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챔버 내에는 액체가 흐르는 복수의 파이프라인이 있고, 상기 하우징 상에는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라인의 제2 단과 일부분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 유닛은 복수의 밸브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포트와 상기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포트와 상기 포트에 대응되는 상기 밸브 포트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하여, 상기 파이프라인 사이의 차단 또는 연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등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제1 설치영역과 제2 설치영역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포트는 복수의 제1 포트와 복수의 제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1 설치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제2 설치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제1 멀티웨이 밸브와 제2 멀티웨이 밸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밸브 포트는 복수의 제1 밸브 포트와 복수의 제2 밸브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상기 제2 멀티웨이 밸브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는 상기 제1 설치영역 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고, 상기 제2 멀티웨이 밸브는 상기 제2 설치영역 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일대일 대응되게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파이프라인은 복수의 제1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상기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제1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각각의 상기 제1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상기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상기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각각의 상기 제1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제1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각각의 상기 제1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서브 파이프라인의 제2 단은 상기 차량 중의 동일 부재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부재는 라디에이터, 배터리 냉각기 또는 모터 냉각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파이프라인은 제2 파이프라인과 제3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제1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상기 제3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제2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상기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은 상기 차량 중의 온풍 코어의 출수관과 연통하고, 상기 제2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서브 파이프라인은 상기 차량 중의 히터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의 상기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은 상기 히터의 출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하나의 상기 제3 서브 파이프라인은 상기 온풍 코어의 입수관과 연통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챔버 내부에는 저수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저수영역은 상기 파이프라인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영역에는 액체 보충구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 보충구는 상기 파이프라인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수냉 응축기와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냉 응축기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등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냉 응축기는 제1 입구와 제1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에 등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제2 입구와 제2 출구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4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제2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하나의 상기 제4 파이프라인과 상기 제1 입구는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제4 파이프라인의 제1 단과 상기 제1 설치영역은 대응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제4 파이프라인과 상기 제1 출구는 연통되고;
복수의 상기 파이프라인은 2 개의 제5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5 파이프라인의 제1 단은 모두 상기 제1 설치영역과 대응되고, 하나의 상기 제5 파이프라인은 상기 제2 출구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제5 파이프라인은 상기 제2 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는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수용 챔버 밖에 설치되고, 상기 기액 분리기는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상기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액 분리기와 상기 수냉 응축기는 서로 인접하고;
상기 기액 분리기의 냉매 입구와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 출구는 연통되고, 상기 기액 분리기는 또한 상기 차량의 에어컨 본체 증발기 출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에어컨 통합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컨 통합 밸브는 상기 하우징에 등지는 상기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컨 통합 밸브와 상기 열교환기는 서로 인접하고, 상기 에어컨 통합 밸브는 각각 상기 수냉 응축기의 냉매 입구 및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수냉 응축기의 냉매 출구는 동축관을 통해 상기 에어컨 통합 밸브와 연통되고;
상기 기액 분리기의 냉매 출구는 상기 동축관을 통해 상기 차량의 압축기 흡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동축관은 또한 상기 차량의 에어컨 본체 내부 냉각기 출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어컨 통합 밸브는 상기 에어컨 본체 내부 냉각기 입구와 연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에어컨 통합 밸브는 또한 상기 압축기 배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조립체는 히팅 펌프, 배터리 펌프와 모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펌프, 상기 배터리 펌프와 상기 모터 펌프는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등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히팅 펌프, 상기 배터리 펌프와 상기 모터 펌프는 각각 상기 수용 챔버 밖에 위치한 서로 다른 상기 파이프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시스템. -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제1항에 따른 열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열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첫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두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첫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모터 냉각 기구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두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라디에이터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모터 냉각 기구 중의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두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는 단계;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세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라디에이터의 액체 출구는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상기 모터 냉각 기구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라디에이터로 유입된 상기 냉각액은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다섯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섯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다섯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배터리 냉각 기구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여섯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열교환기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 중의 상기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다섯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 여섯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열교환기의 액체 출구는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의 액체 입구는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된 상기 냉각액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경과하여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라디에이터에 유입된 상기 냉각액은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된 상기 냉각액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후,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첫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아홉 번째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아홉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모터 냉각 기구 중의 상기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 아홉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처 상기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된 상기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모터 냉각 기구 중의 상기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 아홉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 세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된 상기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네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모터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로부터 유출된 부분 상기 냉각액은 제어기로 유입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유출된 상기 냉각액은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멀티웨이 밸브 중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 중의 상기 냉각액은 상기 제어기를 거쳐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된 상기 냉각액은 일곱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와 여덟 번째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거쳐 상기 배터리 냉각 기구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멀티웨이 밸브 중 첫 번째 상기 제2 밸브 포트와 두 번째 상기 제2 밸브 포트가 연통되도록 제어하되, 여기서, 첫 번째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히터의 액체 출구와 연통되고, 두 번째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온풍 코어의 액체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온풍 코어의 액체 출구와 상기 히터의 액체 입구는 연통되는 단계;
상기 히터로부터 유출된 상기 냉각액은 순차적으로 첫 번째 상기 제2 밸브 포트, 두 번째 상기 제2 밸브 포트와 상기 온풍 코어를 거쳐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11138847.2 | 2021-09-27 | ||
CN202111138847.2A CN113829832A (zh) | 2021-09-27 | 2021-09-27 | 热管理系统及车辆 |
CN202111137071.2 | 2021-09-27 | ||
CN202111137071.2A CN113829831B (zh) | 2021-09-27 | 2021-09-27 | 热管理系统、车辆及热管理方法 |
PCT/CN2022/092868 WO2023045355A1 (zh) | 2021-09-27 | 2022-05-13 | 热管理系统、车辆及热管理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5685A true KR20240015685A (ko) | 2024-02-05 |
Family
ID=8571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5393A KR20240015685A (ko) | 2021-09-27 | 2022-05-13 |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49639A1 (ko) |
EP (1) | EP4344913A1 (ko) |
JP (1) | JP2024526620A (ko) |
KR (1) | KR20240015685A (ko) |
WO (1) | WO202304535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968543B (zh) * | 2023-09-22 | 2024-02-02 | 豫新汽车热管理科技有限公司 | 一种集成式的热管理集成模块 |
CN117293449A (zh) * | 2023-11-27 | 2023-12-26 | 豫新汽车热管理科技有限公司 | 一种储能机柜用冷媒直冷直热式热管理系统及其分流结构 |
CN118705775A (zh) * | 2024-08-30 | 2024-09-27 | 豫新汽车热管理科技有限公司 | 一种车用r290制冷剂的封装热系统总成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9010B1 (ko) * | 2019-08-19 | 2024-08-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통합 열관리 모듈 |
CN114502396B (zh) * | 2019-09-09 | 2024-03-12 | 博泽沃尔兹堡汽车零部件欧洲两合公司 | 用于对机动车调温的紧凑型模块 |
CN113276628A (zh) * | 2021-06-16 | 2021-08-20 | 广州小鹏新能源汽车有限公司 | 热管理集成单元、热管理系统和车辆 |
CN113276630B (zh) * | 2021-06-24 | 2022-09-02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一种热管理集成模块和电动车辆 |
CN113829857B (zh) * | 2021-09-27 | 2024-04-09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电动车辆及其热管理器 |
CN113829832A (zh) * | 2021-09-27 | 2021-12-24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热管理系统及车辆 |
CN113829831B (zh) * | 2021-09-27 | 2024-06-07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热管理系统、车辆及热管理方法 |
-
2022
- 2022-05-13 EP EP22871416.8A patent/EP4344913A1/en active Pending
- 2022-05-13 JP JP2023580893A patent/JP2024526620A/ja active Pending
- 2022-05-13 WO PCT/CN2022/092868 patent/WO2023045355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5-13 KR KR1020237045393A patent/KR2024001568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4
- 2024-01-04 US US18/403,724 patent/US20240149639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149639A1 (en) | 2024-05-09 |
JP2024526620A (ja) | 2024-07-19 |
WO2023045355A1 (zh) | 2023-03-30 |
EP4344913A1 (en) | 2024-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27771B2 (ja) | 自動車用熱管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用熱管理システムに基づく熱管理方法 | |
US20230158856A1 (en) |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 |
KR20240015685A (ko) | 열관리 시스템, 차량 및 열관리 방법 | |
CN113547888B (zh) | 冷媒热管理模块、热管理系统及车辆 | |
CN102575567B (zh) | 用于混合动力车辆的冷却装置 | |
CN208170778U (zh) | 电动汽车热管理系统 | |
CN215621268U (zh) | 一种热泵系统及车辆 | |
CN107351627B (zh) | 汽车热管理系统和电动汽车 | |
CN113829832A (zh) | 热管理系统及车辆 | |
KR20210011170A (ko) | 차량용 열관리 장치 및 차량용 열관리 방법 | |
CN113829831B (zh) | 热管理系统、车辆及热管理方法 | |
WO2022127328A1 (zh) | 间接式热泵系统 | |
EP3666565B1 (en)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13997753A (zh) | 一种新能源汽车热管理系统 | |
CN113715576A (zh) | 电动车辆及其热管理装置 | |
CN114851802A (zh) | 一种集成式热管理装置及系统 | |
CN114683804A (zh) | 一种电动车的多源热泵系统 | |
CN111251807B (zh) | 整车热管理系统及具有其的车辆 | |
CN212289436U (zh) | 热管理系统、电动汽车 | |
CN116039325A (zh) | 多通阀热管理系统及汽车 | |
US20230398831A1 (en) | Refrigerant heat exchange apparatus and indirect heat pump system | |
KR20210004565A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CN208134007U (zh) | 车辆热管理系统及车辆 | |
CN220562510U (zh) | 用于车辆的热管理装置及车辆 | |
CN219236755U (zh) | 车辆的热管理系统及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