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495A -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495A
KR20240015495A KR1020220093454A KR20220093454A KR20240015495A KR 20240015495 A KR20240015495 A KR 20240015495A KR 1020220093454 A KR1020220093454 A KR 1020220093454A KR 20220093454 A KR20220093454 A KR 20220093454A KR 20240015495 A KR20240015495 A KR 2024001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evice
st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ent disclosur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근
박종원
변성훈
이재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495A/ko
Priority to PCT/KR2023/010860 priority patent/WO2024025346A1/ko
Publication of KR2024001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4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broadcast or multicast in a specific location, e.g. geo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타겟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획득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ATUS OF EXTERNAL DEVICE}
본 출원은 외부 망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 장치(external device)의 상태 정보 또는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달로, 이동성이 없는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상태 변화를 전자 장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댁내에 설치된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외부 장치는 외부 망(network)과 연결된 중계 장치에 접속하고, 중계 장치와 연결된 서버를 통해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타겟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획득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타겟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획득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의 예시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타겟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타겟 장치(2000), 중계 장치(3000), 서버(4000), 및 모바일 장치(5000)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 는, 모니터링 대상인 전자 장치를 의미하며, 중계 장치(3000)는 네트워크 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5000)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0)는 사용자 계정에 타겟 장치(2000)를 등록 및 연동하여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바일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5000)로 전달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가 가전제품(예를 들어, 세탁기, 냉장고, 또는 TV등)인 경우, 가전 제품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경우가 많으며 이동성(mobility)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에너지 소모가 많아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가전제품은 대부분 처음 설치된 위치에서 계속 사용되므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지 않고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 실내 공간의 구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전제품이 구석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미도시)는 가전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해서 해당 가전제품의 위치로 직접 이동하여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위치에 상관없이 가전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와 중계 장치(3000), 중계 장치(3000)와 서버(4000), 또는 서버(4000)와 모바일 장치(5000)를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호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BT, 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계 장치(3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전달된 타겟 장치(20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서버(4000)로 전달하고, 서버는 중계 장치(3000)로부터 전달된 타겟 장치(2000)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장치(50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미도시)는 모바일 장치(5000)를 통해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타겟 장치(20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타겟 장치(2000)를 제어하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5000)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에 대한 정보는 기설정된 소정의 조건(예를 들어,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에 따라 타겟 장치(2000)가 중계 장치(3000)로 전달하거나, 모바일 장치(500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타겟 장치(2000)가 중계 장치(30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타겟 장치(2000)는 외부망(예를 들어, 서버(4000)) 연결을 위하여 중계 장치(30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타겟 장치(2000)에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수단(예를 들어, 네트워크 연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5000)) 및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2000)와 중계 장치(3000)의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타겟 장치(2000)가 복수개인 경우, 타겟 장치(2000) 모두가 각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한다.
중계 장치(3000)는 타겟 장치(2000) 외의 다른 장치(예를 들어, IoT 장치들)의 연결을 위해 실내 중앙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타겟 장치(2000)가 구석에 위치하는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위치가 중계 장치(3000)의 동작 영역(coverage)을 벗어난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와 같은 공간(예를 들어, 집 안)에 있는 경우라도 타겟 장치(20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5000)를 항상 휴대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장치 모니터링을 위한 전자 장치(1000)가 타겟 장치(2000)의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스캔하여 타겟 장치(20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타겟 장치(2000) 각각은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다. 또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0)를 통해 다양한 타겟 장치(2000)의 정보를 획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0), 및 타겟 장치(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출력하여 타겟 장치(20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어, 허브)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1000)와 타겟 장치(2000)를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일 수 있으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는, 기존의 블루투스(Bluetooth classic)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Bluetooth 4.0 스펙으로 채택이 되었으며 버튼형 전지 1개로 수년간 구동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BT와 BLE의 기술 조합을 기준으로 Classic(BT) 과 Smart(BLE), Smart ready(BT+BLE) 로 분류된다. 즉, Classic은 기존 BT기술만 지원하고, Smart는 BLE만 지원하고, Smart Ready는 기존의 BT와 BLE 기술을 모두 지원한다.
특히, BLE의 동작모드는 브로드캐스트(또는 애드버타이즈) 모드와 커넥션 모드의 두가지가 있다. 브로드캐스트 모드는 주변의 모든 장치에 일방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전송 모드로, 브로드캐스팅(또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으로 비콘(beacon)등의 신호를 전송한다. 커넥션 모드는 브로드캐스트 모드로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장치 중 하나와 1:1로 연결되는 통신 모드를 의미한다. 커넥션 모드로 전환된 이후로는 서로 타이밍을 맞춰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이전 모드에서 진행했던 애드버타이징 및 스캔 과정은 더 이상 불필요하다.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데이터가 매우 작고, BLE 전송 장치는 상대 장치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패킷을 전송하여 근거리에 있는 BLE 수신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구성은 구체적 구현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브로드캐스팅 모드는 BLE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가 타겟 장치(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식별 정보(2100)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식별 정보(2100)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식별(ID, identification)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장치 종류 정보, 모델 번호, 고유 번호 정보 및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종류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의 종류는, TV, 디스플레이 장치, AV 장치,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세탁기, 건조기, 의류관리기, 청소기, 냉장고, 오븐, 정수기, 전자레인지, 신발관리기, 레인지후드, 레인지, 쿡탑, 식기세척기, 태그/트래커, 센서(동작감지센서, 문열림센서, 출입감지센서, 누수감지센서, 공기질센서, 비전센서, 연기감지센서), 카메라, 초인종, 에너지모니터링 기기, 조명기기, 도어록, 스마트플러그, 리모컨, 경보기, 스피커, 스위치/조광기, 보일러, 밸브, 환기구, 커튼/블라인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타겟 장치(2000)의 모델 번호는, 장치 종류에 따른 모델 번호일 수 있으며, 장치 종류 정보와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의 고유 번호 정보는 타겟 장치(2000)가 다른 장치와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장치 생산자가 부여하는 시리얼번호뿐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의 장치에 부여되는 서로 다른 고유 번호(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의 UUID, UDID, IMEI, ADID/IDFA, CI/DI 등)를 포괄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의 기능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종류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식별 정보(2100)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주변의 모든 장치에 단방향으로 전송되며, 상대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전송되어 근거리에 있는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식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타겟 장치(2000)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예를 들어, 파워 리셋) 매번, 또는 타겟 장치(2000)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된 경우(예를 들어, 공장초기화 후 최초 설정시) 식별 정보(2100)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 매번, 또는 타겟 장치(2000)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된 경우, 장치 등록을 위하여 식별 정보(2100)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이후부터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소정의 주기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타겟 장치(2000)를 다른 장치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타겟 장치(2000)의 고유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2100)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2100)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 결과 타겟 장치(2000)가 이미 등록되어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확인한다. 반면, 식별 결과 타겟 장치(2000)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모니터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2000)가 집안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공동주택의 경우 이웃집과 벽을 통해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가까운 거리에 다른 가전 제품이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웃집에 위치하는 장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이 전자 장치(1000)에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대상 장치가 아닌 이웃집에 위치하는 장치가 오등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신호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한 장치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종류의 장치가 복수개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신호 세기에 따라 등록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2100)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2100)를 출력하고, 식별 정보(2100)에 대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한 장치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에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2100)가 출력되면, 사용자가 출력된 정보를 확인하고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한 장치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지 여부를 피드백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피드백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장치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의 종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0)에 등록 가능한 장치의 개수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또는 냉장고 등의 경우 한 가정 내에 설치되는 장치의 개수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장치의 종류에 따라 등록 가능한 장치의 개수를 다르게 결정하는 경우 관리 대상 장치의 오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가 타겟 장치(2000)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겟 장치(2000)는 소정의 주기로, 또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가 변화하는 이벤트의 발생시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 방법으로 전송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2100)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한 장치가 등록된 관리 대상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식별 결과, 타겟 장치(2000)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0)는 등록 조건(예를 들어, 신호 수신 강도, 장치 등록 개수, 또는 사용자 입력 등)이 만족된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반면, 식별 결과 타겟 장치(2000)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0)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를 획득 및 식별할 수 있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가 복수의 타겟 장치(2001) 내지(2003)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헤더(header)에 포함되고, 상태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바디(body)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서 식별 정보를 먼저 획득하여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았거나, 등록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장치에 대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폐기(discard)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2 타겟 장치(2002) 및 제3 타겟 장치(2003)가 전자 장치(1000)의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되어 있다. 제1 타겟 장치(2001), 제2 타겟 장치(2002), 및 제3 타겟 장치(2003)로부터 브로드캐스팅 패킷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0)는 등록된 제2 타겟 장치(2002) 및 제3 타겟 장치(2003)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타겟 장치(2002) 및 제3 타겟 장치(2003)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제1 타겟 장치(2001)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되지 않은 장치로 판단되면, 수신된 제1 타겟 장치(2001)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이 등록 조건을 만족(예를 들어, 수신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등)하는 경우 제1 타겟 장치(2001)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하고 등록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타겟 장치(2001)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2100)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이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가 변경된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가 기설정된 소정의 변화에 해당하는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2000)가 냉장고인 경우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의 온도 변화가 소정의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상태 변화를 출력하지 않고,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만 상태 변화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태 변화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LED 등의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문구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음성 또는 알림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LED를 점멸하여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가 변화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표 1] 내지 [표 8]은 타겟 장치의 종류에 따른 상태 정보 및 출력 메시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냉장고
분류 메시지
온도이상 XX에 이상온도가 감지 되었습니다.
- 문이 열렸는지 혹은 XX에 뜨거운 음식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 보관 식품이 상하거나 동결될 수 있으니, 즉시 조치 바랍니다.
문 상태 문이 열렸습니다. 문을 닫아주세요.
문이 닫혔습니다.
해동기능 XX에서 해동이 시작됩니다.
XX에서 해동이 완료되었습니다.
관리 물 넘침을 감지하였습니다.
정수 필터를 교체해 주세요. 성능 개선과 안전을 위해 정품 인증 필터를 사용하세요.
물 공급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탈취 필터를 교체해 주세요. 성능 개선과 안전을 위해 정품 인증 필터를 사용하세요.
탄산 가스 실린더를 교체해 주세요. 성능 개선과 안전을 위해 정품 인증 실린더를 사용하세요.
제빙 기능 사용을 원하지 않으면 제빙 꺼짐(Ice Off)으로 변경해 주세요.
숙성기능 XX에서 숙성이 시작됩니다.
XX에서 숙성이 완료되었습니다.
- Serve 모드로 전환됩니다.
- 저장 모드가 시작됩니다.
- 관련 레시피를 확인해 보세요.
타이머가 종료되었습니다. 냉장실을 확인해주세요.
메모가 추가되었습니다.
기타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목표 전력량에 도달하였습니다.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공기청정기/에어컨
분류 메시지
오염도 실내 오염도가 높습니다.
- 청정 운전을 실행하시겠습니까?
- 청정 운전을 실행합니다.
실내 대기가 청정해졌습니다. 청정 운전을 해제합니다.
점검 인공지능 진단으로 에어컨 상태를 미리 살펴볼 수 있습니다.
여름 전에 에어컨을 점검해 볼까요?
수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전원에 전압 점검이 필요합니다.
관리 자동 청소 건조 기능을 활성화해보세요. 내부에 있는 습기를 건조해 더욱 위생적으로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어요.
실내 열교환기를 청소해야 할 때입니다.
- 워시클린을 실행할까요?
- 워시클린을 실행합니다.
필터를 청소해주세요.
물보충을 해주세요.
물통의 물을 교체해 주세요.
에너지 사용 전력량이 평소보다 높습니다. 에어컨 주변 문이나 창문이 열려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실외기 환기 효율이 낮습니다. 실외기가 설치된 공간의 환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타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세탁기
분류 메시지
점검 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팬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프레임 쿨링팬 점검이 필요합니다.
세제 자동 투입장치 점검이 필요합니다.
EEPROM 점검이 필요합니다.
MEMS Sensor 점검이 필요합니다.
전원에 전압 점검이 필요합니다.
세탁기 조작부 점검이 필요합니다.
DR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WIFI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LCD 모듈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PBA 사이의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버튼이 계속 눌려있는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도어 스위치 점검이 필요합니다.
- 메인 세탁조 도어 스위치를 점검해주세요.
- 세탁기 안쪽 도어 스위치를 점검해주세요.
- 애드 도어 스위치를 점검해주세요.
전원 주파수 점검이 필요합니다.
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 세탁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 건조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수위 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누수 점검이 필요합니다.
누수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클러치 점검/클러치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세탁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공기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콘덴싱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IPM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Compressor 온도센서/Filter막힘 감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워터젯 온도센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진단됩니다.
증발기 입구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증발기 출구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압축기 상단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전원 주파수 점검이 필요합니다.
센서에 전류 누설이 감지되었어요. 고객 서비스 센터에 문의해 주세요.
문열림 세탁기 문을 닫아주세요.
- 메인 세탁조 문을 닫아주세요.
- 세탁기 안쪽 문을 닫아주세요.
- 애드 도어를 닫아주세요.
급/배수 세탁조에 물이 넘치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탈수 동작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급수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배수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너무 뜨거운 물이 급수되어 옷감보호가 필요합니다.
물탱크에 물이 가득 차 있는 것으로 진단됩니다.
세탁조 내부의 공기나 물의 냉각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동작 세탁을 곧 시작합니다.
- 늦게 귀가할 예정이면 세탁 종료 시간을 바꿔보세요.
오염도가 높게 감지되어 세탁과 헹굼을 추가했어요. %s분 후 세탁이 완료됩니다.
오염도가 낮게 감지되어 세탁시간을 조절했어요. %s분 후 세탁이 완료됩니다.
헹굼을 시작합니다. 세탁물 추가를 원하시면 멈춤 버튼을 눌러 세탁물을 추가한 후 동작 버튼을 눌러주세요.
탈수를 시작합니다. 세탁물 추가를 원하시면 멈춤 버튼을 눌러 세탁물을 추가한 후 동작 버튼을 눌러주세요.
세탁이 완료되었어요.
- 세탁 코스에 맞춰 건조기를 가장 적합한 코스로 준비할게요.
- 세탁물을 꺼내주세요.
- 지금 꺼내기 어렵다면 헹굼+탈수 코스를 실행하여 냄새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 코스가 끝난 후 세탁물을 바로 꺼내기 어렵다면, 자동 문 열림 기능으로 내부 습기 걱정없이 세탁물을 보관해보세요.
린트(보푸라기) 필터를 확인해 주세요.
열교환기 필터를 확인해 주세요.
세탁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탁물을 꺼낸 후 무세제 통세척 코스를 실행해 보세요.
배수필터 청소가 필요합니다..
온도가 낮아 기기가 결빙될 수 있습니다. 결빙 방지 조치 방법을 확인하세요.
결빙방지 기능을 실행합니다. 진행 후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결빙방지 기능이 종료 되었습니다. 세탁기 상태를 확인하세요.
어린이 보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세제 세제함을 닫아주세요.
세제에 대한 자동 재주문이 설정되었습니다. 날짜를 확인하십시오.
세제의 자동 재주문 예상 배송일이 변경되었습니다.
세탁물 무게는 XX kg입니다. 세제 라벨을 참조하여 적합한 양의 세제를 사용하세요.
기타 AI 절약 모드로 에너지를 %1$sWh (%2$s%) 절약하여 세탁을 완료했습니다.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건조기
분류 메시지
점검 증발기 입구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증발기 출구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압축기 상단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압축기 점검이 필요합니다.
세탁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공기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콘덴싱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전원에 전압 점검이 필요합니다.
버튼이 계속 눌려있는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도어 스위치 점검이 필요합니다.
조작부 점검이 필요합니다.
수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누수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팬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세탁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MEMS Sensor 점검이 필요합니다.
수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클러치 점검/클러치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EEPROM 점검이 필요합니다.
세제 자동 투입장치 점검이 필요합니다.
DR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WIFI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LCD 모듈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PBA 사이의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프레임 쿨링팬 점검이 필요합니다.
IPM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Compressor 온도센서/Filter막힘 감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전원 주파수 점검이 필요합니다.
냉매 누설이 감지되었습니다. 서비스 센터에 문의해 주세요.
관리 어린이 보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린트(보푸라기) 필터를 확인해 주세요.
열교환기 필터를 확인해 주세요.
제습 키트가 올바르게 끼워져 있는지 확인하세요.
건조기에서 세탁물을 모두 꺼내세요.
온도가 낮아 기기가 결빙될 수 있습니다. 결빙 방지 방법을 확인하세요.
건조기의 열교환기를 청소할 때가 되었어요. 홈캐어매니저 내 사용 가이드에서 청소방법을 확인해주세요.
결빙 방지 기능을 실행합니다. 16시간 동안 진행되며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결빙방지 기능이 종료 되었습니다. 건조기 상태를 확인하세요.
물통에 물이 가득 찼습니다. 물을 비우고 건조기의 시작 버튼을 누르세요.
건조기 주변 공간의 습도가 높습니다. 공간을 쾌적하게 관리하기 위해 건조기 내부를 비우고 공간제습+ 코스를 사용해 보세요.
건조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탁물을 꺼낸 후 내부 관리 코스를 실행해 보세요.
온도가 낮아 기기가 결빙될 수 있습니다. 결빙 방지 방법을 확인하세요.
최적 건조 성능 유지를 위해, 열교환기를 청소해주세요.
동작 건조기에서 세탁물을 모두 꺼내세요.
건조가 완료되었습니다.
건조가 완료되었습니다. 세탁물을 꺼낼 때까지 옷감에 주름이 생기지 않게 관리할게요.
구김방지 동작이 시작됩니다. 세탁물을 꺼내셔도 좋습니다.
다림질이 필요한 옷감은 지금 꺼내주세요.
AI로 세탁물 건조도를 분석했어요. 지금부터 %s분 뒤 건조가 완료됩니다.
건조를 곧 시작합니다. 늦게 귀가할 예정이면 건조 종료 시간을 바꿔보세요.
최적화된 성능을 위해 종료 시각이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종료 시각을 확인해주세요.
건조기 문을 닫아주세요.
건조기 내부를 확인 바랍니다. 건조 완료된 아이템들을 꺼내주세요.
기타 건조기의 스마트 컨트롤 설정이 변경되었습니다.
AI 절약 모드로 에너지를 %1$sWh (%2$s%) 절약하여 건조를 완료했습니다.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식기세척기
분류 메시지
점검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팬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공기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건조 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관리 정수 필터를 교체할 때가 됐어요.
통 살균을 실행하여 식기세척기의 세척조를 청소해주세요.
동작 세척이 종료되었습니다.
[%s]을 요리했다면 식기세척기 XX코스를 사용해 보세요.
- 보통
- 강력
- 급속
세제 세제가 소진되어 자동으로 주문합니다. 예상 배송일을 확인하세요.
세제 배송 날짜가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예상 배송일을 확인하세요.
기타 식기세척기의 설정이 변경되었습니다.
AI 절약 모드로 에너지를 %1$sWh (%2$s%) 절약하여 세탁을 완료했습니다.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로봇청소기
분류 메시지
점검/관리 브러시에 이물질이 걸렸습니다. 청소기를 끈 후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왼쪽 바퀴에 이물질이 걸렸습니다. 청소기를 끈 후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오른쪽 바퀴에 이물질이 걸렸습니다. 청소기를 끈 후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앞쪽 부딪침 감지 센서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커버를 열어 앞쪽 범퍼가 눌려있거나 뭔가 걸리지 않았는지 확인해 주세요.
장애물 센서창에 먼지나 얼룩 등의 이물질이 쌓였습니다. 청소기를 끈 후 전면과 후면 센서창에 쌓인 이물질을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세요.
추락방지 센서창에 먼지나 얼룩 등의 이물질이 쌓였습니다. 청소기를 끈 후 바닥면에 있는 작은 검은색 창에 쌓인 이물질을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세요.
먼지통이 제대로 삽입되지 않았습니다. 먼지통을 넣고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밀어주세요.
측면 회전솔에 이물질이 걸렸습니다. 청소기를 끈 후 회전솔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셔터에 이물질이 걸렸습니다. 청소기를 끈 후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3D 센서에 문제가 있습니다. 전원을 껐다 켜주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라이다 센서에 문제가 있습니다. 전원을 껐다 켜주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주 시스템에 문제가 있습니다. 전원을 껐다 켜주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장애물 센서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전원을 껐다 켜주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카메라에 문제가 있습니다. 전원을 껐다 켜주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배터리를 삽입하세요.
배터리 연결 상태를 점검하세요.
충전기 안에 있는 먼지봉투를 교체하세요. 교체할 때 비닐 등 이물질로 인해 봉투 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해 주세요.
AI 시스템에 문제가 있습니다. 전원을 껐다 켜주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청소 제한 구역에서는 움직일 수 없습니다. 로봇청소기를 제한 구역 밖으로 옮겨주세요.
로봇청소기가 여러 번 동일한 곳에서 떨어진 후 빠져나오지 못했습니다. 해당 구역을 청소 제외 구역으로 설정해 보세요.
부분 청소를 완료하지 못했습니다. 충전기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이동 경로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로봇청소기가 장애물에 걸렸습니다.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청소기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세요.
로봇청소기를 평평한 곳에 놓아주세요.
로봇청소기가 원활히 움직일 수 없습니다. 로봇청소기가 장애물에 걸렸거나 바닥이 미끄러운지 확인해주세요.
가구 주변을 청소하지 못했습니다. 가구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지, 충전기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하세요.
충전/복귀 30분 동안 조작이 없어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5분 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없어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청소를 완료했습니다.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작동 금지 시간이 되어 충전기로 돌아갑니다.
선택한 공간을 청소했습니다. 충전기로 돌아갑니다.
청소해야 할 방을 찾을 수 없습니다.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작동 금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어 진행 중인 청소를 취소하고 충전 복귀합니다.
먼지통을 비우기 위해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배터리가 부족합니다. 진행 중인 청소를 취소하고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현재 위치를 찾을 수 없어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선택한 방을 찾을 수 없어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충전기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이동 경로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전원 로봇청소기의 전원이 꺼졌습니다.
배터리가 부족하여 전원이 꺼졌습니다. 청소기를 충전기로 이동해 주세요.
남은 청소를 마치기 위해 충전하고 있습니다. 로봇청소기를 임의로 이동하거나 정지 버튼을 누르면 남은 청소가 취소됩니다.
충전 중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전원이 꺼졌습니다.
충전기의 위치를 찾을 수 없어 전원이 꺼졌습니다.
절전 모드로 전환합니다.
맵/학습 자율 주행하며 공간을 학습하여 맵을 완성했습니다. 확인해 볼까요?
남은 공간 학습을 마치기 위해 충전하고 있습니다. 로봇청소기를 임의로 이동하거나 정지 버튼을 누르면 남은 공간 학습이 취소됩니다.
맵을 완성했습니다. 충전기로 복귀합니다.
청소를 완료하고 맵을 업데이트했습니다. 확인할까요?
자율주행하며 공간을 학습하여 맵을 빠르게 그릴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이사를 했거나 충전기의 위치가 바뀌었다면 맵을 다시 그려보세요
맵을 완성하지 못했습니다. 다시 맵을 그려주세요.
동작 청소를 완료했습니다. 청소 리포트를 확인할까요?
현재 위치를 찾을 수 없어 대기 모드로 전환합니다
현재 위치를 찾을 수 없어 임시로 맵을 그리면서 청소합니다.
예약 청소를 시작합니다.
로봇청소기가 충전기에 있지 않아 예약 청소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작동 금지 시간이 되어 청소를 중단했습니다.
로봇청소기가 충전기에 있지 않아 예약한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예약한 모니터링을 실행합니다.
선택한 곳에 도착했어요. 모니터링해 보세요.
로봇청소기가 모니터링할 구역을 찾을 수 없습니다. 충전기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이동 경로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예약 모니터링을 완료하고 충전기로 돌아갑니다.
로봇청소기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영상을 촬영했습니다. 확인해 보세요.
기타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오븐
분류 메시지
관리 쿡센서의 배터리가 얼마 남지 않아 약 30분에서 1시간 사용 가능합니다. 충전 후 사용해 주세요.
쿡센서가 이탈됐는지 확인해 주세요.
카메라 렌즈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려면 스팀청소를 실행하세요.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동작 예열을 완료했습니다.
조리를 완료했습니다.
조리를 잠시후 완료할 예정입니다.
조리를 취소했습니다.
청소를 완료했습니다.
청소를 취소했습니다.
보온을 완료했습니다.
타이머를 완료했습니다.
보온을 취소했습니다.
완료했어요. 10분간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완료했어요. 찬물에 헹구세요.
조리 시간이 다 되었습니다. 오븐을 확인하세요.
조리법 재료를 추가하고 시작해 주세요.
재료를 추가하고 잘 저어주세요.
재료를 추가하고 잘 볶아주세요.
조리물을 잘 저어주세요.
조리물을 잘 볶아주세요.
전용 용기의 뚜껑을 덮어주세요.
조리물을 뒤집어주세요.
조리물을 건져주세요.
조리물을 냄비에 넣으세요.
조리물을 팬에 올리세요.
시머링 중입니다. 가끔 저어주세요.
조리물을 추가하고 시작해 주세요.
즉석밥을 넣고 시작해 주세요.
소스를 넣고 시작해 주세요.
소스를 바른 후 시작해 주세요.
치즈를 추가하고 시작해 주세요.
조리물을 뒤집어 주세요.
상단 조리물을 뒤집고 하단에 조리물을 넣어주세요.
예열을 완료했습니다. 조리물을 넣어주세요.
조리물을 저어주고 시작해 주세요.
빵을 넣고 시작해 주세요.
조리물을 뒤집어 주세요.
조리용기를 치우고 제품을 충분히 식힌 후 사용하세요.
음식이 타기 시작했습니다. 조리물을 확인하세요.
음식이 너무 익은 것 같습니다. 조리물을 확인하세요.
음식이 덜 익은 것 같습니다. 제대로 익히기 위해 조리 시간을 조금 더 추가하세요.
음식이 타기 시작해서 요리가 일시 정지되었습니다. 조리물을 확인하세요.
쿡센서 거치 후 조리물을 추가하세요.
기기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오븐 문이 열렸습니다. 조작하기 전에 오븐 안을 한 번 더 확인해 주세요.
주방 공기질이 나빠졌어요. 후드를 켤까요?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기타
의류관리기
분류 메시지
점검 압축기 점검이 필요합니다.
전원에 전압 점검이 필요합니다.
의류관리기 조작부 점검이 필요합니다.
PBA 사이의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버튼이 계속 눌려있는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팬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증발기 입구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증발기 출구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스팀 급수 동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서비스 점검이 필요합니다.
압축기 토출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Duct In 공기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Duct Out 공기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스팀 수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상부 댐퍼 동작 점검이 필요합니다.
하부 댐퍼 동작 점검이 필요합니다.
IPM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스팀 온도센서 점검이 필요합니다.
순환 팬 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스팀 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압축기 온도센서/필터 막힘 감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PBA 사이의 통신 점검이 필요합니다.
스팀히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상부 팬 모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관리 의류관리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탁물을 꺼낸 후 내부살균 코스를 실행해 보세요.
미세먼지 집진필터를 교체해 주세요. 효과적인 성능과 안전을 위해 정품 인증 필터를 사용하세요.
급수통을 채워주세요.
배수통을 비워주세요.
급수통을 채워주시고, 배수통을 비워주세요.
동작 의류 관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류관리기에서 의류를 꺼내주세요.
최적 성능을 위해 완료 시간이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완료 시간을 확인해 주세요.
코스가 시작되었습니다.
10분후 관리가 종료됩니다.
청정 보관이 시작됩니다.
곧 의류관리가 시작됩니다.
관리를 완료하지 않을 경우 의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의류 관리를 완료해 주세요.
의류관리기의 문이 닫혀 있습니다. 공간제습 코스를 사용하려면 문을 열어주세요.
공간제습이 완료되었습니다.
내부살균이 완료되었습니다.
기타 배수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의류관리기의 스마트 컨트롤 설정이 변경되었습니다.
의류관리기 문을 닫아주세요.
실외 미세먼지가 ‘나쁨’입니다. 미세먼지 코스로 겉옷을 깨끗하게 관리해 보세요.
실외 미세먼지가 ‘매우나쁨’입니다. 미세먼지 코스로 겉옷을 깨끗하게 관리해 보세요.
습도가 높습니다. 공간제습 코스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해 보세요.
기기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세요
약관동의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새로운 약관을 확인하고 동의해주세요.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출력부(1100), 입력부(1200), 저장부(1300), 프로세서(1400), 및 통신 인터페이스(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지칭됨으로써 전자 장치(10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출력부(1100)는, 전자 장치(1000)가 획득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등으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스피커(1100), 디스플레이(1130), LED(1150), 및 진동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11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를 음성 또는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0)는 액정 디스플레이부(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부(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부(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13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LED(113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가 수신된 경우 동작되어,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가 변화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진동부(115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가 수신된 경우 동작하여,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가 변화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200)는, 출력부(1100)의 출력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2100) 및 상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버튼부(1210), 마이크(1230), 및 터치입력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210)는, 전원 버튼, 밝기 설정 버튼, 예약 설정 버튼, 모드 변경 버튼, 음량 조정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1230)는, 음성 또는 음향 수신부의 일 예로, 마이크는 외부의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1230)는 외부 장치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예컨대, 음성 명령)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23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터치입력부(1250)는,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입력부(1200)는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300)는, 프로세서(14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저장부(1300)는 식별 정보 획득부(1310), 장치 등록부(1330), 및 상태 정보 획득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 획득부(131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2100)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타겟 장치(2000)는 식별 정보(2100)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주변의 모든 장치에 단방향으로, 상대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2100)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2100)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 결과 타겟 장치(2000)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치 등록부(1330)는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모니터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대상 장치가 아닌 이웃집에 위치하는 장치가 오등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신호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한 장치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등록 가능한 장치의 개수를 다르게 결정하여 경우 관리 대상 장치의 오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 결과 타겟 장치(2000)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태 정보 획득부(1350)는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에 등록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 즉 등록된 장치에 대한 데이터만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관리 대상 장치의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전자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0)는, 전술한 저장부(1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의 아바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장치(10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과 시그널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및 기타 연산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전자장치(1000)와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미도시) 또는 서버(3000)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미도시) 또는 서버(3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미도시) 또는 서버(3000)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전자장치(1000)가 장치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서버(40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장치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미도시) 및 다른 서버(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50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예컨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를 통하여 외부 전자장치(미도시) 또는 서버(30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410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다.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주변의 모든 장치에 단방향으로 전송되며, 상대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전송되어 근거리에 있는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식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 및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타겟 장치(2000)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예를 들어, 파워 리셋) 매번, 또는 타겟 장치(2000)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된 경우(예를 들어, 공장초기화 후 최초 설정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 매번, 또는 타겟 장치(2000)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된 경우, 장치 등록을 위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이후부터는 식별 정보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소정의 주기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타겟 장치(2000)를 다른 장치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타겟 장치(2000)의 고유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장치 종류 정보, 모델 번호, 고유 번호 정보 및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종류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의 종류는, TV, 디스플레이 장치, AV 장치,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세탁기, 건조기, 의류관리기, 청소기, 냉장고, 오븐, 정수기, 전자레인지, 신발관리기, 레인지후드, 레인지, 쿡탑, 식기세척기, 태그/트래커, 센서(동작감지센서, 문열림센서, 출입감지센서, 누수감지센서, 공기질센서, 비전센서, 연기감지센서), 카메라, 초인종, 에너지모니터링 기기, 조명기기, 도어록, 스마트플러그, 리모컨, 경보기, 스피커, 스위치/조광기, 보일러, 밸브, 환기구, 커튼/블라인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타겟 장치(2000)의 모델 번호는, 장치 종류에 따른 모델 번호일 수 있으며, 장치 종류 정보와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의 고유 번호 정보는 타겟 장치(2000)가 다른 장치와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장치 생산자가 부여하는 시리얼번호뿐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의 장치에 부여되는 서로 다른 고유 번호(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의 UUID, UDID, IMEI, ADID/IDFA, CI/DI 등)를 포괄할 수 있다.
타겟 장치(2000)의 기능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종류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각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헤더(header)에 포함되고, 상태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바디(body)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는 현재의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타겟 장치(2000)의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현재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표 1] 내지 [표 8]은 타겟 장치의 종류에 따른 상태 정보 및 출력 메시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430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저장부(1300)에 저장된 타겟 장치(2000)의 이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가 변경된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가 기설정된 소정의 변화에 해당하는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2000)가 냉장고인 경우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의 온도 변화가 소정의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상태 변화를 출력하지 않고,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만 상태 변화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태 변화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LED 등의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또는 상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문구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음성 또는 알림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LED를 점멸하여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가 변화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재한다.
단계 S510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 및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타겟 장치(2000)를 다른 장치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타겟 장치(2000)의 고유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510에서 획득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전자 장치(10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장치 종류 정보, 모델 번호, 고유 번호 정보 및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전자 장치(1000)는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저장부(1300)에 저장된 등록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등록 장치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단계 S530의 판단 결과 타겟 장치(2000)가 기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장치 리스트에 타겟 장치(2000)를 추가하여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단계 S510에서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이 등록 조건을 만족(예를 들어, 수신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등)하는 경우에 한해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단계 S530의 판단 결과 타겟 장치(2000)가 기등록되어 있거나, 단계 S540에서 타겟 장치(2000)를 등록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헤더(header)에 포함되고, 상태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바디(body)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저장부(1300)에 저장된 타겟 장치(2000)의 이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가 변경된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LED 등의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또는 상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문구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음성 또는 알림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LED를 점멸하여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가 변화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0), 타겟 장치(2000), 중계 장치(3000), 서버(4000), 및 모바일 장치(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출력하여 타겟 장치(20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어, 허브)를 의미한다. 타겟 장치(2000)는, 모니터링 대상인 전자 장치를 의미하며, 중계 장치(3000)는 네트워크 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5000)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a에 대한 설명에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1000)와 타겟 장치(2000)를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일 수 있으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겟 장치(2000)와 중계 장치(3000), 중계 장치(3000)와 서버(4000), 또는 서버(4000)와 모바일 장치(5000)를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호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BT, 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겟 장치(2000)가 가전제품(예를 들어, 세탁기, 냉장고, 또는 TV등)인 경우, 가전 제품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경우가 많으며 이동성(mobility)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에너지 소모가 많아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가전제품은 대부분 처음 설치된 위치에서 계속 사용되므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지 않고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 실내 공간의 구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중계 장치(3000)는 타겟 장치(2000) 외의 다른 장치(예를 들어, IoT 장치들)의 연결을 위해 실내 중앙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타겟 장치(2000)가 구석에 위치하는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위치가 중계 장치(3000)의 동작 영역을 벗어난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타겟 장치(2000)는 중계 장치(3000)의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타겟 장치(2000)는 중계 장치(3000)에 직접 연결될 수 없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0)가 타겟 장치(2000)의 동작 영역 안이면서, 또한 중계 장치(3000)의 동작 영역 안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중계 장치(30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목적의 장치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무선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장치(2000)가 중계 장치(3000)의 동작 영역 외부에 위치하더라도 전자 장치(1000)를 중계 장치(3000)의 동작 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타겟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중계 장치(30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가 서버(4000)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경우, 중계 장치(3000)의 동작 영역과 무관하게 전자 장치(1000)가 타겟 장치(2000)의 동작 영역 내에 위치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0)가 서버(4000)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경우, 타겟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0), 타겟 장치(2000), 중계 장치(3000), 서버(4000), 및 모바일 장치(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출력하여 타겟 장치(20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어, 허브)를 의미한다. 타겟 장치(2000)는, 모니터링 대상인 전자 장치를 의미하며, 중계 장치(3000)는 네트워크 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5000)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0)는 사용자 계정에 타겟 장치(2000)를 등록 및 연동하여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바일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50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도 4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재한다.
단계 S701에서, 타겟 장치(2000)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한다.
브로드캐스팅 패킷은 주변의 모든 장치에 단방향으로 전송되며, 상대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전송되어 근거리에 있는 장치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식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 및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소정의 주기 또는 기설정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 및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타겟 장치(2000)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예를 들어, 파워 리셋) 매번, 또는 타겟 장치(2000)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된 경우(예를 들어, 공장초기화 후 최초 설정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2000)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 매번, 또는 타겟 장치(2000)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된 경우, 장치 등록을 위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이후부터는 식별 정보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소정의 주기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는, 타겟 장치(2000)의 장치 종류 정보, 모델 번호, 고유 번호 정보 및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는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저장부(1300)에 저장된 등록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등록 장치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전자 장치(1000)는 획득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기초하여 등록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단계 S703에서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수신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등록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단계 S703에서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기초하여 식별된 장치 종류에 기초하여, 소정의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등록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를 서버(4000)로 전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를 중계 장치(3000)를 통해 서버(40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장치 리스트에 타겟 장치(2000)를 추가하여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713에서, 서버(4000)는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4000)는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의 등록 장치 리스트에 타겟 장치(2000)를 추가하여 타겟 장치(2000)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715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0)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헤더(header)에 포함되고, 상태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바디(body)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717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모바일 장치(5000)로 전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의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중계 장치(3000) 또는 서버(4000)를 통해 모바일 장치(50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719에서,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이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가 변경된 경우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LED 등의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또는 상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문구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음성 또는 알림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LED를 점멸하여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가 변화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721에서, 모바일 장치(5000)는 타겟 장치(20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5000)는 모바일 장치(5000)에 포함된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 또는 상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5000)는 디스플레이에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문구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타겟 장치(2000)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음성 또는 알림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LED를 점멸하여 사용자가 타겟 장치(2000)의 상태가 변화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는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및 신호 등의 매체를 전체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본 개시에 따른 결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메트릭에 기초하여, 누락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타이머의 길이를 설정하는 명령어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에 제공하는 수단이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이 등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조건은,
    상기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신호 강도, 또는 상기 타겟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타겟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타겟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타겟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하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패킷이 등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를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하는,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조건은,
    상기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신호 강도, 또는 상기 타겟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패킷에 포함된 타겟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장치.
KR1020220093454A 2022-07-27 2022-07-27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5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54A KR20240015495A (ko) 2022-07-27 2022-07-27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3/010860 WO2024025346A1 (ko) 2022-07-27 2023-07-26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54A KR20240015495A (ko) 2022-07-27 2022-07-27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495A true KR20240015495A (ko) 2024-02-05

Family

ID=8970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454A KR20240015495A (ko) 2022-07-27 2022-07-27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5495A (ko)
WO (1) WO20240253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522B1 (ko) * 2018-05-24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전자 기기 등록 처리 방법
KR102206824B1 (ko) * 2020-02-27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3837A (ko) * 2020-07-27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25432A (ko) * 2020-08-24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연동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346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922B2 (en) External communications module for household devices
US9874873B2 (e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mobile robots and methods using same
US20240051153A1 (en)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US10228671B2 (en)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20910B1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AU2014207323B2 (en)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EP3961982A1 (en) Method of an online system including a laundry machine
CN108488992A (zh) 一种空调器过滤网脏堵提示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JP2018189257A (ja) 空気調和機
US20230183906A1 (en) Clothing treatment system and clothing treatment device
JP2016080332A (ja) 冷却庫の庫内乾燥方法及び装置
US10181803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15495A (ko)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JP5960490B2 (ja) 太陽光発電装置の給電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端末装置、洗濯乾燥機および冷蔵庫
KR20220007805A (ko)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공기질 케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2317142B1 (ko) 가전제품 보조장치
US20220326020A1 (en) Household appliances navigation system
JP745876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家電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49398A (ja) 冷却庫
CN110873403A (zh) 一种空调及其自清洁的控制方法
CN110873404A (zh) 一种空调及其自清洁的控制方法
CN117889538A (zh) 空调器的控制方法、机器可读存储介质和空调器
KR102013452B1 (ko) 냉장고 제어 방법
Giacomini Energy Smart Appliances
JP2022096939A (ja) 家電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