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837A -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837A
KR20220013837A KR1020200093307A KR20200093307A KR20220013837A KR 20220013837 A KR20220013837 A KR 20220013837A KR 1020200093307 A KR1020200093307 A KR 1020200093307A KR 20200093307 A KR20200093307 A KR 20200093307A KR 20220013837 A KR20220013837 A KR 2022001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ser terminal
access inform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837A/ko
Priority to US17/383,805 priority patent/US11824679B2/en
Publication of KR2022001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전자 기기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할 때 종래와 같이 직접 여러가지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하지 않고, 단지 사용자 단말에 등록 명령어를 음성으로 입력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의 제품 군과 함께 등록을 요청하는 간단한 명령어를 발화한다. 종래에 비해 보다 간단하면서 보다 적은 횟수의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DEVICE}
본 명세서는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전자 기기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은 인터넷, 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것이다. 사물 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전자 기기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원격 제어를 통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기존의 사물 지능 통신(Machine to Machine, M2M)과 유사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전자 기기들이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한다는 점에서 통신장비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M2M과는 다르다.
최근 사물 인터넷 기술은 가정 내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 기기들, 예컨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전자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용자가 각각의 전자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각각의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가전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술을 통해 가정 내 전자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용 단말,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들을 네트워크 상에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사물 인터넷 기술과 관련된 선행 기술인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16022호는 인공지능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도 1은 종래 사물 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전자 기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4)(예컨대, 이동 단말기 또는 태블릿)을 이용하여 가정 내에 설치된 전자 기기(102)(예컨대, 에어컨 또는 세탁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전자 기기(102)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전자 기기(102)의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전자 기기(102)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거나 전자 기기(102)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 조회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04)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전자 기기(102)에 관한 정보 송신을 요청한다.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는 가정 내에 설치된 공유기(106)를 통해서 전자 기기(102)와 통신을 수행한다.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는 공유기(106)를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전자 기기(102)에 전달하거나, 전자 기기(102)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송신을 전자 기기(102)에 요청한다. 전자 기기(102)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제어되거나, 전자 기기(102)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기(106)를 통해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에 전송한다.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는 수신된 전자 기기(102)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4)에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4)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02)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전자 기기(102)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 기기(102)의 관리 과정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전자 기기(102)가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에 사용자의 관리 대상 장치로서 등록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102)의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전자 기기(102)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자 기기(102)를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에 관리 대상 장치로 등록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기기의 등록 절차가 수행될 때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102)는 스탠드 에어컨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102)의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화면이 사용자 단말(10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102)를 등록하기 위해서 등록 버튼(202)을 누른다.
사용자가 도 2의 초기 화면에서 등록 버튼(202)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104)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품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제품 선택 화면에는 제품 그룹(product group)(예컨대, 에어컨/에어케어, IoT 허브)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제품 그룹 중 어느 하나(예컨대, 에어컨/에어케어)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품 그룹에 속하는 제품 군(product family)(예컨대, 벽걸이 에어컨, 스탠드 에어컨, 시스템 에어컨, 공기청정기, 제습기)이 표시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102)가 속하는 제품 그룹인 에어컨/에어케어(204)를 선택하고, 이어서 전자 기기(102)가 속하는 제품 군인 스탠드 에어컨(205)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102)의 제품 군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102)의 제품 모델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품의 특성에 대한 확인 요청 화면이 사용자 단말(10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동일한 제품 군에 속하지만 제품 모델이 다른 제품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스탠드 에어컨에 속하며 제품 모델이 A인 스탠드 에어컨 전면의 컨트롤 패널에는 와이파이 버튼이 배치되지만, 스탠드 에어컨에 속하며 제품 모델이 B인 스탠드 에이컨 전면의 컨트롤 패널에는 와이파이 버튼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102)의 전면 컨트롤 패널에 와이파이 버튼이 있는지 확인하고, 와이파이 버튼이 있으면 예 버튼(207)을 누르고,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208) 버튼을 누른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2)의 전면 컨트롤 패널에 와이파이 버튼이 있고 사용자가 예 버튼(207)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104)의 디스플레이에는 '와이파이 버튼을 3초간 누르세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208)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104)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5와 같이 다른 안내 메시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안내 메시지에 따라서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누른 후 'Wi-Fi' 아이콘이 깜빡이는지 확인한다. 사용자는 확인 결과에 따라서 예 버튼(209) 또는 아니오 버튼(210)을 누른다.
사용자가 전술한 안내 메시지에 따라서 전자 기기(102)의 와이파이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전자 기기(102)는 사용자 단말(104)과의 통신 연결을 위해서 소프트 액세스 포인트(Soft Access Point)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서 전자 기기(102)는 통신 연결을 위한 자신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의 안내 메시지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104)의 와이파이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전자 기기(102)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104)은 전자 기기(102)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104)과 전자 기기(102)는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의 안내 메시지에 따라서 가정 내에 설치된 공유기(106)의 SSID(212) 및 비밀번호(214)를 각각 입력한다. 사용자가 연결 버튼(216)을 누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공유기(106)의 SSID(212) 및 비밀번호(214)는 전자 기기(102)로 전송되고, 전자 기기(102)는 수신된 공유기(106)의 SSID(212) 및 비밀번호(214)를 기초로 공유기(106)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전자 기기(102)가 공유기(106)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전자 기기(102)는 공유기(106)를 통해서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에 전자 기기(102)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해 줄 것을 요청한다. 전자 기기(102)가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와의 통신 연결 및 등록 요청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104)의 화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 진행율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전자 기기(102)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한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는 전자 기기(102)가 송신하는 전자 기기(102)에 관한 정보(제품 모델, 스펙 등)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102)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한다.
등록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4)의 디스플레이에는 초기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이 때 초기 화면에는 등록된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거나 등록된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회 탭(218)이 표시된다. 조회 탭(218)에는 전자 기기(102)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 버튼(220) 및 전자 기기(102)의 동작 상태가 각각 표시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자 기기(102)를 전자 기기 관리 서버(108)에 등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복잡하고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품 특성 확인 절차(도 3 내지 도 5), 통신 연결 절차(도 6 내지 도 7) 등을 거치면서 전자 기기(102)의 특성을 직접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4)을 통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복잡하고 많은 절차로 인해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102)의 등록에 어려움과 불편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연령이나 장애에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102)의 특성을 확인하거나 사용자 단말(104)을 조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4)이 전자 기기(102)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자 기기(102)의 접속 정보(예컨대, SSID 및 비밀번호)가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각 전자 기기(102)의 제품 모델마다 서로 다른 접속 정보가 부여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102)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102)의 제품 그룹이나 제품 군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102)의 특성을 직접 확인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전자 기기(102)의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전자 기기(102)의 특성 확인 및 접속 정보 입력에 어려움과 불편을 느낀다. 특히 사용자가 전자 기기(102)의 접속 정보를 잘못 입력할 경우 전자 기기(102)의 등록이 불가능해지는 문제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보다 간단하면서 보다 적은 횟수의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전자 기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할 때 종래와 같이 직접 여러가지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하지 않고, 단지 사용자 단말에 등록 명령어를 음성으로 입력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의 제품 군과 함께 등록을 요청하는 간단한 명령어를 발화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전자 기기의 특성을 확인하는 절차가 생략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확인하거나 입력하지 않아도 전자 기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에 의해서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이 전자 기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스스로 수행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기기의 등록을 위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로부터 등록 명령어 및 전자 기기 명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 명칭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공유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품 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구동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명령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 기기의 등록 완료를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기기의 등록을 위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입력받는 음성 처리부,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접속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는 등록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로부터 등록 명령어 및 전자 기기 명칭을 추출하고,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전자 기기 명칭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공유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품 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록 관리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등록 관리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구동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명령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 기기의 등록 완료를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보다 간단하면서 보다 적은 횟수의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계정에 전자 기기를 관리 대상 전자 기기로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전자 기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물 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전자 기기와 사용자 단말 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기기의 등록 절차가 수행될 때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장치와 전자 기기들, 사용자 단말 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등록 절차가 수행될 때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장치와 전자 기기들, 사용자 단말 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전자 기기(302)를 자신의 계정에 등록한다. 사용자 단말(3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기기(302)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전자 기기(3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 단말(3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장치(30)에 의해서 배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4)은 명령어 처리나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음성 입력 장치(예컨대, 마이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 장치(예컨대, 스피커),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304)의 예시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 태블릿, 데스크탑, 랩탑 등을 들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304)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304)이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전자 기기(302)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서 구동되며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구동되는 일련의 기기를 의미한다. 전자 기기(302)의 예시로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전자 기기(302)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기기(302)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자 기기(302)가 에어컨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공유기(306)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통신 라인과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출한다. 사용자 단말(304) 및 전자 기기(302)는 공유기(306)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한다. 공유기(306)는 공유기(306)와 통신 연결된 장치, 예컨대 사용자 단말(304) 또는 전자 기기(302)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통신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이에 따라서 공유기(306)에 접속된 전자 기기(302)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장치(30)는 음성 처리부(32), 접속 정보 관리부(34), 등록 관리부(36)를 포함한다.
음성 처리부(32)는 사용자 단말(304)로부터 전자 기기(302)의 등록을 위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302)의 등록을 위해 사용자 단말(304)에 음성으로 등록 명령어를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304)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음성 처리부(32)로 전송한다. 음성 처리부(32)는 음성 등록 명령어로부터 등록 명령어 및 전자 기기(302) 명칭을 추출한다.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음성 등록 명령어를 기초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304)로 전송한다. 음성 처리부(32)에 의해서 등록 명령어 및 전자 기기(302)의 명칭이 추출되면,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추출된 전자 기기(302)의 명칭을 참조하여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는 전자 기기(302)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대응되는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전자 기기(302)의 제품 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302)의 제품 군이 에어컨인 경우, 에어컨의 종류(스탠드 에어컨, 벽걸이 에어컨)나 제품 모델과는 무관하게 모든 에어컨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LG_AIRCONDITIONER'로 동일하게 지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보급형 모델에 속하는 냉장고나 고급형 모델에 속하는 냉장고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모두 'LG_REFRIGERATOR'로 동일하게 지정될 수 있다. 전자 기기(302)의 제품 군의 범위나 각 제품 군에 속하는 전자 기기(302)의 종류는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이 주지되어야 한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제품 군에 속하는 전자 기기들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가 모두 동일하게 설정된다.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전자 기기의 제품 군(예컨대, 에어컨,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등)을 쉽게 구별할 수 있으나, 각 전자 기기의 세부적인 특성이나 제품 모델 등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이로 인해 종래의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세부적인 특성이나 제품 모델을 잘못 확인할 경우 전자 기기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여 전자 기기의 등록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글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제품 군에 따라서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가 설정되므로 전자 기기의 등록이 실패할 가능성이 종래에 비해 낮아진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302)의 등록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304)에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는 접속 정보 관리부(34)로 전달되고,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사용자 단말(304)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가 사용자 단말(304)로 전송되면 전자 기기(302)는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사용자 단말(304)은 접속 정보 관리부(34)로부터 수신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전자 기기(302)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304)이 전자 기기(302)와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사용자 단말(304)은 접속 정보 관리부(34)로부터 수신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전자 기기(302)로 전송한다. 전자 기기(302)는 사용자 단말(304)로부터 수신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공유기(306)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전자 기기(302)는 공유기(306)를 통해서 전자 기기 관리 장치(30)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304)이 전자 기기(302)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등록 관리부(36)는 전자 기기(302)로부터 전자 기기(302)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등록 관리부(36)는 전자 기기(302)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전자 기기(302)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304)에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의 식별 정보는 전자 기기(302)의 제품 모델 명칭 또는 제품 모델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는 전자 기기(302)의 사양 및 기능에 관한 정보이다. 전자 기기(302)의 모델 별로 세부적인 사양 및 기능이 다르므로, 등록 관리부(36)는 전자 기기(302)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스펙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펙 정보를 사용자 단말(304)에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등록 관리부(36)는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를 기초로 전자 기기(302)의 구동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4)에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304)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명령을 전자 기기(302)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가 사용자 단말(304)로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304)은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전자 기기(302)의 등록 완료를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등록 절차가 수행될 때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기초로,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관리 방법이 기술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4)에 설치된 전자 기기의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실행할 때 자신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자 단말(304)의 화면에는 도 11과 같은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후 등록된 제품이 없으면 도 11과 같이 등록된 제품이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302)의 등록을 위해 도 11의 초기 화면에서 등록 버튼(402)을 눌러 신규 제품 등록을 요청한다(502).
사용자가 신규 제품 등록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304)은 도 12에 도시된 음성 등록 명령어 입력 요청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등록 명령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504).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예시를 참조하여 "에어컨 등록해줘" 또는 "세탁기 등록"과 같은 등록 명령어를 발화한다. 사용자가 발화한 등록 명령어는 사용자 단말(304)의 음성 입력 장치(예컨대, 마이크)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304)에 입력된다.
사용자가 음성 등록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304)은 도 13에 도시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 입력 요청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508). 사용자는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 즉 공유기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404) 및 패스워드(406)를 각각 입력한다(510). 사용자가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입력하고 연결 버튼(408)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304)은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등록 관리부(36)로 전달한다(512). 만약 사용자가 이전에 다른 전자 기기의 등록 과정에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이미 입력하였다면,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508),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510) 및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등록 관리부(36)로 전달하는 단계(512)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4)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음성 처리부(34)로 전달한다(514).
음성 처리부(34)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등록 명령어로부터 등록 명령어(예컨대, '등록해줘' 또는 '등록') 및 전자 기기의 명칭(예컨대, '에어컨' 또는 '세탁기')을 각각 추출한다(516). 음성 처리부(34)는 종래 알려진 음성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분석하여 등록 명령어 및 전자 기기의 명칭을 각각 분리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음성 처리부(34)는 추출된 등록 명령어(예컨대, 등록) 및 전자 기기의 명칭(예컨대, 에어컨)을 접속 정보 관리부(34)로 전달한다(518).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음성 처리부(34)로부터 수신한 등록 명령어가 '등록'임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등록을 요청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또한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음성 처리부(34)로부터 수신한 전자 기기의 명칭인 '에어컨'을 참조하여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생성한다(520). 예컨대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참조하여 전자 기기(302)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LG_AIRCONDITIONER'로 설정하고, 미리 정해진 비밀번호(예컨대, 'qwer1234')를 서비스 세트 식별자인 'LG_AIRCONDITIONER'와 대응되는 비밀번호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는 'LG_AIRCONDITIONER' 및 'qwer1234'로 설정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에는 접속 정보 관리부(34)가 설정하는 접속 정보, 즉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비밀번호와 동일한 접속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즉,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전자 기기(302)에 미리 저장된 접속 정보와 동일한 접속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등록 관리부(36)에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전달해 줄 것을 요청한다(522). 등록 관리부(36)는 미리 저장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접속 정보 관리부(34)에 전달한다(524).
접속 정보 관리부(34)는 앞서 생성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 및 등록 관리부(36)로부터 수신한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304)에 전달한다(526).
이어서 사용자 단말(528)은 도 14에 도시된 전원 인가 요청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자 기기(302)의 전원을 켤 것을 요청한다(528).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302)의 전원 버튼을 눌러 전자 기기(302)의 전원을 인가한다(53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자신의 접속 정보, 즉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한다(532).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302)는 전원이 인가된 이후 미리 정해진 설정 시간(예컨대, 3분) 동안에만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만약 미리 정해진 설정 시간 내에 공유기(306)와의 통신 연결이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528)은 사용자에게 전자 기기(302)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켤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528)이 전자 기기(302)의 전원 인가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정보의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전자 기기(302)의 조작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302)가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하면, 사용자 단말(304)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목록에서 전자 기기(302)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확인하고, 앞서 접속 정보 관리부(34)로부터 수신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302)에 접속함으로써 전자 기기(302)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534).
전자 기기(302)와의 통신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304)은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 즉 공유기(306)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전자 기기(302)로 전달한다(536). 전자 기기(302)는 전달받은 공유기(306)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기(306)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서 전자 기기(302)는 공유기(306)를 통해서 전자 기기 관리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기기(302)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30)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달한다(538). 예컨대 전자 기기(302)는 식별 정보로서 자신의 모델 명칭, 모델 번호, 시리얼 넘버와 같은 정보를 전자 기기 관리 장치(30)에 전달할 수 있다.
등록 관리부(36)는 전자 기기(302)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전자 기기(302)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한다(540). 즉, 등록 관리부(36)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계정에 전자 기기(302)를 종속시킨다. 하나의 사용자 계정에는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가 종속될 수 있다.
또한 등록 관리부(36)는 전자 기기(302)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면서 전자 기기(302)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를 획득한다.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는 전자 기기(302)의 사양 및 기능에 관한 정보이다. 전자 기기(302)의 모델 별로 세부적인 사양 및 기능이 다르므로, 등록 관리부(36)는 전자 기기(302)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스펙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펙 정보를 사용자 단말(304)에 전달한다(542). 이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304)은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 즉 전자 기기(302)의 사양이나 전자 기기(302)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인식하고 표시할 수 있다.
등록 관리부(36)로부터 전자 기기(302)의 스펙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304)은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54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4)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 또는 전자 기기(302)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4)은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음성 출력 장치(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302) 등록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304)을 주시할 필요 없이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통해 전자 기기(302)의 등록 완료 여부를 쉽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 단말(304)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초기 화면에는 등록된 전자 기기(302)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거나 등록된 전자 기기(302)를 제어하기 위한 조회 탭(412)이 표시된다. 조회 탭(412)에는 전자 기기(302)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 버튼(414) 및 전자 기기(302)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냉방 중, 29℃)가 각각 표시된다. 사용자는 초기 회면에서 등록 버튼(410)을 눌러 다른 전자 기기를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302)를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등록 버튼(402)(도 11)을 누른 후 음성 등록 명령어를 발화하고(도 12) 전자 기기(302)의 전원을 켜는 것만으로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완료된다. 즉, 사용자는 전자 기기(302)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전자 기기(302)의 제품 그룹이나 제품 군의 선택(도 3), 전자 기기(302)의 특성 관찰 및 그에 따른 정보 입력(도 4, 도 5),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 입력(도 6)과 같은 조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단지 음성 등록 명령어를 발화하고 전자 기기(302)의 전원을 켜는 조작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전자 기기(302)의 등록을 위한 조작이 훨씬 쉬워지고 조작 횟수가 감소하며 전자 기기(302)의 등록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직접 확인하거나 입력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304)이 등록 관리부(36)로부터 수신한 전자 기기(302)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302)와의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보다 편리해지며 전자 기기(302)의 등록이 실패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전자 기기(302)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제조사의 관점에서는 종래와 같이 제품 군이나 모델 별로 서로 다른 접속 정보를 전자 기기에 할당할 필요 없이 동일한 제품 군에 속하는 모든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동일하게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동일한 제품 군 내에서 새로운 모델이 출시되더라도 새로운 접속 정보를 할당하지 않고 기존의 접속 정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명세서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6)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기기의 등록을 위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로부터 등록 명령어 및 전자 기기 명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 명칭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공유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품 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구동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명령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 기기의 등록 완료를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 관리 방법.
  9.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기기의 등록을 위한 음성 등록 명령어를 입력받는 음성 처리부;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접속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는 등록 관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등록 명령어로부터 등록 명령어 및 전자 기기 명칭을 추출하고,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전자 기기 명칭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공유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제품 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관리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관리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의 구동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명령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기기의 스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자 기기의 등록 완료를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 관리 장치.
KR1020200093307A 2020-07-27 2020-07-27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13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07A KR20220013837A (ko) 2020-07-27 2020-07-27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US17/383,805 US11824679B2 (en) 2020-07-27 2021-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07A KR20220013837A (ko) 2020-07-27 2020-07-27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837A true KR20220013837A (ko) 2022-02-04

Family

ID=7968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07A KR20220013837A (ko) 2020-07-27 2020-07-27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24679B2 (ko)
KR (1) KR20220013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346A1 (ko) * 2022-07-27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656A (ko)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간편 등록 방법
JP2022091494A (ja) * 2020-12-09 2022-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登録方法、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3075B1 (en) * 2015-11-06 2017-05-16 Google Inc. Voice commands across devices
KR20180016022A (ko) 2016-08-05 201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304463B2 (en) * 2016-10-03 2019-05-28 Google Llc Multi-user personalization at a voice interface device
KR102021832B1 (ko) 2017-01-13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등록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KR20190028212A (ko) 2017-09-08 2019-03-18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기기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9586A (ko) 2018-02-19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346A1 (ko) * 2022-07-27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9848A1 (en) 2022-01-27
US11824679B2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3837A (ko) 전자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US9866892B2 (en)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CN107204903B (zh) 智能家居系统及其控制方法
EP2911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information for registration of device in smart home service
US2014012178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8118A (ko)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80447A1 (en) Smart adapter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N104660714A (zh) 终端设备的远程控制方法、装置及系统
EP1446939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ubiquitous resources in an intelligent environment
US11929872B2 (en) Method for configuring home devices in batches and device
EP396144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reof
CN112351414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20220050565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전자 기기 등록 방법
JP2020067824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電気機器
JP2014175698A (ja) スマートアクセスシステム
KR102177078B1 (ko) 단말기와 용이하게 페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페어링 설정 방법
KR201800774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3974233B2 (ja) 被制御機器、制御装置、初期設定可能通信システム及び媒体
KR20140058906A (ko) 중고휴대폰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및 감시 방법
KR101888544B1 (ko) 지정 영역별 설정 서비스 수행방법
CN111696544A (zh) 家用电器的控制方法、家用电器及控制装置
CN113556723B (zh) 智能设备的激活方法、智能设备、智能设备的激活系统
US9351323B2 (en) Method of registering electric devices in wireless control system
KR101613650B1 (ko) 스마트 기기, 그의 다중 무선중계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308118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