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365A -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365A
KR20240015365A KR1020220093142A KR20220093142A KR20240015365A KR 20240015365 A KR20240015365 A KR 20240015365A KR 1020220093142 A KR1020220093142 A KR 1020220093142A KR 20220093142 A KR20220093142 A KR 20220093142A KR 20240015365 A KR20240015365 A KR 2024001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measurement
biometric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현
박철순
이성민
이연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22009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365A/ko
Publication of KR2024001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61B5/1451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using means for aiding extraction of interstitial fluid, e.g. microneedles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일정한 사용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체내의 체액과 반응하여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는 시약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 변화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거나, 상기 획득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측정/통신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통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측정/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 모듈과 분리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SENSOR-REPLACEABLE IN-VIVO CONTINUOUS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당뇨병의 위험성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게 되어 혈당 측정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채혈식 혈당 측정기는 손가락에 바늘 또는 침을 침투시켜 환자의 혈액을 채혈하는 것으로 잦은 채혈로 손가락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혈당 변동폭이 큰 경우 혈당의 전반적인 상태를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환자에게 더 위험한 상태는 저혈당 상태로 저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의식 소실과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를 즉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존의 채혈식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면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밖에 없으므로 혈당의 전반적인 상태를 측정할 수 없다.
연속 혈당 측정 장치는 분 단위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의 건강 관리에 유용하다. 또한, 연속 혈당 측정 기술은 환자 개개인의 생활 습관이 혈당에 주는 영항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환자 개개인의 적당한 운동량을 파악하는 지침을 줄 수 있다.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효소 반응 기반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샘플 채취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기존의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센서와 측정기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센서의 유효기간이 지나면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 부담이 매우 큰 문제가 있다.
바이오마커는 DNA, RNA, 단백질, 대사물질 등에서 유래된 분자 또는 분자들의 패턴에 기반하여 질병을 감지할 수 지표로서 바이오마커를 진단에 이용하면 분자적 정보를 사용하여 생체 내 질병에 의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7623호(2001.07.13)
혈당 정보를 포함하는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유지 비용을 경감하기 위하여 센서의 사용기간이 지나면 센서만 교체하되, 나머지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과제들은 발명의 설명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일정한 사용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체내의 체액과 반응하여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는 시약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 변화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거나, 상기 획득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측정/통신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통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측정/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 모듈과 분리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교체 가능한 마이크로 니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통신 모듈은 획득한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을 매핑한 룩업 테이블에 기반하여 측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통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피부 속에 이식되거나, 상기 전력 모듈 내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센서 모듈과 측정/통신 모듈 및 전력 모듈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사용기간이 경과하면 센서만 교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유지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생체정보 측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통신 모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방법의 전 단계 또는 어느 일부 단계는 하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분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구성요소인 측정/통신 모듈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내부의 센서를 교체하거나 모듈 전체가 교체될 수 있는 센서 모듈(110), 센서 신호를 획득하여 측정값을 산출하거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측정/통신 모듈(120) 및 센서 모듈(110) 및 측정/통신 모듈(1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사용 일례로서 혈당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혈당 측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사람이 특정 질병에 감염되었을 때 혈액 등의 체액에 포함된 항체, 호르몬 또는 단백질 등 해당 특정 질병에 감염되었을 때 특징적으로 높게 나타나거나 낮게 나타나는 바이오마커를 측정하는데 본 발명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10)은 피부를 최소한으로 침습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로 니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센서는 경피 투여 방식에 사용될 수 있는 센서로서 신체 내의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니들 센서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하는 측정 대상 물질과 반응하는 반응 시약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로 니들 센서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하는 측정 대상 물질과 반응 시약과의 반응에 의한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통신 모듈(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마이크로 니들 센서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하는 측정 대상 물질과 반응 시약과의 반응에 의한 형광 흡광, 색 변화, 생체 발광(bioluminescence)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통신 모듈(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니들 센서는 사람의 피부(S) 피하 지방에 부착될 수 있고, 세포 간질액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니들 센서는 생체 독성이 적은 PEDOT: PSS 소재로 제작되어 사람의 피부(S)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10)은 사람의 피부(S) 피하조직 상의 간질액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센서 모듈(110)은 사람의 피부(S)를 최소한으로 침습할 수 있도록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로 뾰족해지게 형성된 촉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센서일 수 있다.
상술한 마이크로 니들 센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센서 모듈(110)은 센서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제어부 또는 측정/통신 모듈(120)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10)은 측정/통신 모듈(120) 및 전력 모듈(130)과 별도로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센서 모듈(110)에 포함된 센서의 사용 주기 또는 사용 가능 기간이 만료되면 센서 모듈(110)에 포함된 센서가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모듈(110)은 측정/통신 모듈(120) 및 전력 모듈(130)과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별도의 결합 수단(예: 후크 결합)을 통하여 측정/통신 모듈(120) 또는 전력 모듈(130)과 결합될 수 있으므로 센서 모듈(110) 전체 또는 센서 모듈(110)에 포함된 센서가 교체될 수 있다.
측정/통신 모듈(120)은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10)은 센서에 포함된 반응 시약과 측정 대상 물질의 화학적 반응에 따라 발생한 전기화학적 신호, 광학적 신호를 획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측정/통신 모듈(120)은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거나,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측정/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PDA,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서버 등 다양한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은 둘 이상의 객체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측정/통신 모듈(120) 내부 또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센서 모듈(1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획득한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을 매핑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센서 모듈(110)을 부착한 사용자의 혈당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은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전기적 신호에 해당하는 혈당 값을 매핑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측정/통신 모듈(120)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으로, 혈당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통신 모듈(120)은 산출한 혈당 값 데이터, 측정 값 데이터 또는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혈당 값 데이터, 측정 값 데이터 또는 획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혈당 값 또는 측정 값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통신 모듈(12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 속에 이식되어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측정/통신 모듈(120)이 사용자의 피부에 이식된 경우는 장기간 혈당 측정 또는 생체 정보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센서 모듈(110) 및 전력 모듈(130)만 신체 외부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장착에 따른 불편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다.
전력 모듈(130)은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센서 모듈(110) 및 측정/통신 모듈(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모듈(130)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NFC 방식을 통해 다른 기기와의 EMI나 EMC의 영향을 받지 않는 주파수 영역을 탐지하고, 탐지된 주파수 영역을 이용하여 센서 모듈(110) 및 측정/통신 모듈(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통신 모듈(12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 속이 아닌 전력 모듈(130)에 포함되어 센서 모듈(110)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110)은 도 2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측정/통신 모듈(120) 및 전력 모듈(130)과 별도로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센서 모듈(110)에 포함된 센서의 사용 주기 또는 사용 가능 기간이 만료되면 센서 모듈(110)에 포함된 센서가 교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센서 모듈(110)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다. 센서 모듈(110)이 사용자의 피부에 이식된 경우 또는 전력 모듈(130)에 포함된 경우 외에도 측정/통신 모듈(120) 및 전력 모듈(130)과 공간적으로 분리되면서도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센서 모듈(110)만 따로 교체할 수 있는 또 다른 센서 모듈(110)의 위치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센서의 사용 주기 또는 사용 가능 기간이 만료되면, 다른 장치의 교체 없이 센서 모듈(110) 또는 센서 모듈(110)에 포함된 센서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모듈(130)은 NFC 방식으로 센서 모듈(110) 및 측정/통신 모듈(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근거리에 위치한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생체정보 측정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110), 측정/통신 모듈(120) 및 전력 모듈(130)을 포함하며 패치 형태로 제작된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을 신체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통신 모듈(120)은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에 기반하여 혈당 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혈당 값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그대로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는 사용자 단말로 스마트 폰일 수 있고, 다른 예를 들면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외부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는 연속적인 혈당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 혈당 값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측정/통신 모듈(120),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에 포함되어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혈당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통신 모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통신 모듈(120)은 프로세서(420), 메모리(430) 및 통신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2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2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420)는 메모리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측정/통신 모듈(120),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에 포함될 수 있고, 센서 모듈(110)로부터 획득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획득한 신호에 해당하는 혈당 값을 매핑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센서 모듈(110)을 부착한 환자의 생체정보 및 혈당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통신 모듈(440)로부터 갱신된 혈당 데이터 또는 생체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430)는, 프로세서(420)에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 및/또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예를 들어 RAM(Random-Access Memory)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Cache RAM, PSRAM (Pseudo S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30)는 전기적 신호와 전기적 신호에 해당하는 혈당 값을 매칭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30)는 프로세서가 갱신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40)은 측정/통신 모듈(120),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서버 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440)은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와 기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일정한 사용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체내의 체액과 반응하여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는 시약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호 변화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거나, 상기 획득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측정/통신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통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측정/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 모듈과 분리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교체 가능한 마이크로 니들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통신 모듈은 획득한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을 매핑한 룩업 테이블에 기반하여 측정 값을 산출하는,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통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피부 속에 이식되거나, 상기 전력 모듈 내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교체형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1020220093142A 2022-07-27 2022-07-27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20240015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42A KR20240015365A (ko) 2022-07-27 2022-07-27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42A KR20240015365A (ko) 2022-07-27 2022-07-27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365A true KR20240015365A (ko) 2024-02-05

Family

ID=8990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142A KR20240015365A (ko) 2022-07-27 2022-07-27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3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23A (ko) 2001-02-23 2001-07-13 홍영표 전기삼투압을 이용한 무채혈 글루코스 추출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23A (ko) 2001-02-23 2001-07-13 홍영표 전기삼투압을 이용한 무채혈 글루코스 추출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384B2 (en) Kit for determining an analyte concentration
US20190254559A1 (en) Implantable Sensor and Method for Such Sensor
CN107847191B (zh) 绷带型分析传感器的校准方法
US20140024907A1 (en) Method and system to indicate hyperglycemia or hypoglycemia for people with diabetes
JP2013523265A (ja) 検体センサーのデータを表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40074059A1 (en) Method and system to indicate glycemic impacts of insulin infusion pump commands
US10424975B2 (en) Sensor module and kit for determining an analyte concentration
CN105205340A (zh) 用于糖尿病管理的被分析物测试方法和装置
CA2936487C (en) Health monitoring system
CN105377121A (zh) 插入部位决策支持系统和方法
CN113164106A (zh) 测定生理液中循环酮体的上升水平
KR102270158B1 (ko) 건강 정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3721790B1 (en) Continuou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using sensor usage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KR20240015365A (ko) 센서 교체형 체내 연속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20200004165A (ko) 복합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멀티센서 기반 유연 패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생체신호 측정방법
CN213302230U (zh) 一种基于嵌入式系统的智能型血糖检测仪
Manoharan et al. An Intelligent Non-Invasive Sweat-Based Glucose Monitoring System for Managing Diabetes Mellitus
JP6081893B2 (ja) 成分測定装置、成分測定システム、医療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20379A (ko) 부착 시트 교체가 가능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