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008A - Lighting fence - Google Patents

Lighting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008A
KR20240015008A KR1020230079320A KR20230079320A KR20240015008A KR 20240015008 A KR20240015008 A KR 20240015008A KR 1020230079320 A KR1020230079320 A KR 1020230079320A KR 20230079320 A KR20230079320 A KR 20230079320A KR 20240015008 A KR20240015008 A KR 2024001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unit
sliding
dispose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울
Publication of KR2024001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008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휀스 구조체 및 상기 휀스 구조체에 배치되는 점등 가능한 조명 유닛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fence structure fixed to the ground and a lighting unit disposed on the fence structure that can be turned on.

Description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LIGHTING FENCE}Fence capable of lighting {LIGHTING FENCE}

본 발명은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나 인도에 설치되어 조명을 점등할 수 있는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capable of turning on ligh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fence capable of turning on lights, which can be installed on a road or sidewalk to turn on lights.

일반적으로 휀스는 집, 도로 가장자리를 둘러 경계를 표시하거나, 특정장소의 침입을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설치되는 울타리로서, 그외 공원이나 각종장소로부터 동식물(잔디, 보호수 등..)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설치되어 사용된다.In general, a fence is a fence installed around the edge of a house or road to mark a boundary or to prevent intrusion into a specific area and protect plants and animals (grass, protected trees, etc.) from parks and other places. It is also installed and used for this purpose.

용도에 따라서는 그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며, 범용적으로는 성인의 평균신장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며, 재질은 목재, 금속재(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알루미륨 등)로 설치된다.It is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general purposes, it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bout half the average height of an adult, and is made of wood or metal (corrosion-resistant stainless steel, aluminum, etc.).

종래의 휀스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피면, 기둥과, 휀스부재로 크게 구성된다.Looking at the basic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ence, it is largely composed of a pillar and a fence member.

상기 휀스부재는 상호 평행하는 상,하측 횡바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바의 설치로서 이루어진 것인바, 이는 작업성의 편리성 추구로 상기 횡바와 수직바는 기둥을 포함하는 동일소재의 선택과 동일색상으로 제작된다.The fence member is made up of vertical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rs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pursuit of convenience in workability, the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are selected from the same material including the pillar and are of the same color. It is produced with

상호 이들의 연결은 용접작업에 의한 횡바와 수직바의 연결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횡바와 수직바의 조합으로 된 하나의 휀스부재는 각 지점의 연결구조를 살피면, 상기 기둥에 마련된 끼움구에 대하여 횡바의 일단을 각각 삽입시켜 체결보울트로서 나사를 관통하는 체결방식이거나, 별도의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 설치되는 경우가 일례이다.Most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se are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through welding, and when looking at the connection structure at each point, one fence member made of a combination of these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has a horizontal bar with respect to the fitting provided on the pillar. An example is a fastening method in which one end of each is inserted and passes through a screw as a fastening bolt, or the case is welded and installed through a separate welding operation.

한편, 제공되는 문양판 또한, 상기 횡바와 수직바와 일체로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호환성 및 문양판의 색채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ovided pattern plate is manufactured by welding it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ompatibility and the color of the pattern plate are not diverse.

또한, 밤에는 조명이 어두워 휀스와 도로의 경계가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구분되어 보이지 못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Additionally, because the lighting is dark at night, the boundary between the fence and the road cannot be clearly seen by the driver, which can lead to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야간 주행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ence that can be illuminated to ensure visibility when driving at n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점등이 가능 휀스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휀스 구조체 및 상기 휀스 구조체에 배치되는 점등 가능한 조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휀스 구조체는 하부가 지중에 설치되어 있는 바디고정부에 삽입 고정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로 하고, 상기 바디고정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고정블록; 상기 메인고정블록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고정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는 서브고정블록; 및 하나의 서브고정블록의 둘레를 감싸도록 벨트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체결구가 형성되어 벨트가 체결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ence capable of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ence structure fixed to the ground and a lighting unit disposed on the fence structure capable of lighting. The fenc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s lower par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by inserting into a body fixing part installed in the ground, and the body fixing part includes a main fixing block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sub-fixed block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fixed block and installed between the main fixed blocks; and a fixing belt portion in which a belt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one sub-fixing block and a fastener is formed on the other sub-fixing block, and the belt is fastened to the fastener and fix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휀스 구조체는, 상호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상기 조명 유닛의 설치가 가능한 홈이 형성되는 휀스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홈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이 수집한 태양광으로부터 축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태양광 패널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 및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nc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ence unit having a groove formed in which the lighting unit can be installed by sliding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housing fixedly coupled to the groove, A solar panel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collect sunlight, a storage battery to store electricity from the sunlight collected by the solar panel and supply power, and a storage batter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olar panel to collect power from the storage battery. It may include a lamp that receives and emits light, and a cover installed on the housing in a direction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휀스 유닛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제1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제2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은,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1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타단 돌출부와, 상기 제1 일단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2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 방항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타단 돌출부와, 상기 제2 일단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의 최대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 결합시, 상기 제1 베어링은 상기 제1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어링은 상기 제1 베어링이 배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본체의 타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본체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일단 돌출부는, 상기 제1 일단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일단 돌출부는, 상기 제2 일단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n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first sliding unit including a sliding groove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to enable sliding engagement, and a first sliding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enable sliding engagement. A second sliding unit including a sliding groove, and the first sliding unit include a first body, a first end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en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It includes a first other end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and a first bearing that rotates while coupled to the first bod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d protrusion protrudes, and the second sliding unit includes the second end protrusion. A main body, a second e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main body in one direction, a second other e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ain body in one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nd protrusion protrudes. and a second bearing coupled to the second body in the same direction and rotating, and limiting the maximum sliding range of the first sliding unit and the second sliding unit. When coupled, the first bearing is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i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earing is disposed agains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where the first bearing is not disposed. is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inwardly from the end of the first end, the first end protrus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end protrusion, and the second end protrusion include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는 외부로부터의 별도 전원 없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저장된 전기로 야간 및 우천시 램프를 가동시켜, 전기 사용료 없이 친환경적으로 자가작동하고 시공이 간단하며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조명 유닛을 구비하여 시인성을 확보함으로써, 주행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ence capable of lighting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lamp at night and in rainy weather using electricity stored through solar power generation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so it operates on its own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without electricity usage costs, is simple to construct, and is stable to use. By ensuring visibility by providing a possible lighting unit,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the safety of drivers and pedestrian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는 휀스 유닛의 용이한 조립을 통하여 휀스 구조체를 신속하게 설치 가능하여 시공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휀스 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ence capable of light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creases construction efficiency by allowing the fence structure to be quickly installed through easy assembly of the fence unit, but also ensures durability by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of each fence unit.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도 1은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휀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높이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바디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도면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to explain a fence unit capable of lighting.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unit.
Figures 3 to 6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ence unit.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body fixing par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가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pecific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Meanwhile, a “module” or “unit” for a component used in this specification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e “module” or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r operation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dditionally,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excluding a “module” or “unit” that must be performed on specific hardware or performed on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to explain a fence unit capable of lighting.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100)는 휀스 구조체(110) 및 조명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ence 100 capable of lighting may include a fence structure 110 and a lighting unit 200.

상기 휀스 구조체(110)는 도에 설치되어 방음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휀스 구조체(110)는 후술하는 휀스 유닛(30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휀스 유닛(300)에 형성되는 홈(305)에 상기 조명 유닛(200)이 배치되어 특히 야간 주행시나 우천 주행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해줌으로써,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ence structure 110 can be installed on the road to provide sound insulation and prevent accidents. In addition, the fence structure 110 is formed by combining the fence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ghting unit 200 is disposed in the groove 305 formed in the fence unit 300, especially when driving at night. It can play a role in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by ensuring driver visibility when driving in the rain.

도 9는 바디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도면이다.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body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휀스 구조체(110)는, 하부가 지중에 설치되어 있는 바디고정부(120)에 삽입 고정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ence structure 11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by inserting its lower part into the body fixing part 120 installed in the ground.

일 실시예에서, 바디고정부(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고정블록(121), 상기 메인고정블록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고정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는 서브고정블록(122) 및 하나의 서브고정블록의 둘레를 감싸도록 벨트(12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체결구(124)가 형성되어 벨트가 체결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벨트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fixing part 120 includes a main fixing block 121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sub fixing block 122 formed with a width smaller than the main fixing block and installed between the main fixing blocks. And a belt 123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one sub-fixing block, and a fastener 124 is formed on the other, so that the belt is fastened to the fastener and fixed to the fixing belt portion 125. .

도 2는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uni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 유닛(200)은 하우징(210), 태양광 패널(220), 축전지(230), 램프(240) 및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ighting unit 200 may include a housing 210, a solar panel 220, a storage battery 230, a lamp 240, and a cover 250.

상기 조명 유닛(200)은 상기 휀스 유닛(300)에 형성된 상기 홈(30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2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groove 305 formed in the fence unit 300.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220), 축전지(230) 및 램프(240)를 수용할 수 있다.The housing 210 has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solar panel 220, storage battery 230, and lamp 240.

상기 하우징(210)은 원통 형상 뿐만 아니라 사각 기둥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철제에 비하여 향상된 탄성을 가짐으로써, 미관상이 변형 없이 장시간 사용 및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 housing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a square pillar. In addition, the housing 210 is made of a lightweight plastic material and has improved elasticity compared to steel, so that it can be used and reused for a long time without deforming the aesthetics.

상기 태양광 패널(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100)는 상기 태양광 패널(220)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별도 전기 시설 시공 없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 상기 램프(240)를 작동시켜,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단하여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 solar panel 220 may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10. The fence 100 capable of lighting the light is provided with the solar panel 220, so that the lamp 240 is operated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using electricity charged through solar power generation without the construction of separate electrical facilities from the outside. Not only is it constructed in an eco-friendly way, but construction is simple and it can be used reliably.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220)은 다양한 공지의 태양광 발전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olar panel 220 may use various known solar power generation panels.

상기 축전지(230)는 상기 태양광 패널(220)이 수집한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된 에너지를 축진할 수 있다. 상기 축전지(230)는 상기 태양광 패널(220)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지(230)는 후술하게 되는 상기 램프(24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램프(240)측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storage battery 230 can store energy produced from sunlight collected by the solar panel 220. The storage battery 230 may be connected and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solar panel 220. Additionally, the storage battery 230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lamp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supply power to the lamp 240.

상기 램프(240)는 실질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명하는 수단으로, LED 램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amp 240 is a means of illuminating by substantially irradiating light, and may be composed of an LED lamp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태양광 패널(220)의 상하에 각각 3개씩 상기 램프(240)이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램프(240)의 개수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three lamps 240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solar panel 220. 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lamps 240 can be changed.

상기 램프(240)는 상기 태양광 패널(220) 및 축전지(230)의 자체 충전량 및 조명 조도의 구현이 가능하여 에너지 절약 뿐만 아니라 장시간 조사가 가능할 수 있다.The lamp 240 can realize the self-charge amount and lighting illuminance of the solar panel 220 and the storage battery 230, thereby enabling not only energy saving but also long-term irradiation.

상기 커버(250)는 전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240)의 조명 효과를 향상시켜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cover 250 has a convex curved front surface, which can improve visibility by improving the lighting effect of the lamp 240.

또한, 상기 커버(250)는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210) 내부의 구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격에 강한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색의 유색의 아크릴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250 may be made of an impact-resistant acrylic material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housing 210 from the outside, and may be made of acrylic of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each need. It can be.

상기 커버(250) 및 하우징(210)은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ver 250 and the housing 210 may be coupled by screwing, fitting, or the like.

도 3 내지 도 6은 휀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도면이다.Figures 3 to 6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ence unit.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100)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휀스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휀스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6 , the fence 100 capable of turning on the light may include fence units 300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fence structure 110.

상기 휀스 유닛(300)은 바디(310), 제1 슬라이딩 유닛(320) 및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ence unit 300 may include a body 310, a first sliding unit 320, and a second sliding unit 330.

상기 휀스 유닛(300)은 상기 바디(310)의 일단에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이 배치되고, 타단에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이 배치되어, 제1 슬라이딩 유닛(320)과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이 결합함으로써, 다수 개의 휀스 유닛(300)들이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휀스 구조체(110)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fence unit 300, the first sliding unit 3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310, and the second sliding unit 33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first sliding unit 320 and the second sliding unit 300 are formed. By combining the two sliding units 330, a plurality of fence units 300 can be sequentially combined to form the fence structure 110.

상기 바디(310)는 상기 조명 유닛(200)이 결합될 수 있는 홈(305)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31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305 into which the lighting unit 200 can be coupled.

상기 바디(310)는 차량의 충돌이나 공사 현장의 붕괴와 같은 안전 사고 발생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이나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소음 흡수가 가능한 다양한 공지의 기술로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310 may be formed in a shock-absorbing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shock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or collapse at a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t can be composed of various known technologies capable of absorbing noise that can attenuate noise generated while driving a vehicle or at a construction site.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은 상기 바디(310)의 일단에 배치되어 다른 휀스 유닛의 타단에 배치된 제2 슬라이딩 유닛(330)과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unit 3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310 a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unit 330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another fence unit.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은 제1 본체(321), 제1 일단 돌출부(323), 제1 타단 돌출부(325), 제1 베어링(327) 및 제1 결합 돌기(3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unit 320 may include a first body 321, a first end protrusion 323, a first other end protrusion 325, a first bearing 327,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329. there is.

상기 제1 일단 돌출부(323)은 상기 제1 본체(321)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d protrusion 323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321 in one direction.

상기 제1 타단 돌출부(325)는 상기 제1 본체(321)의 타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ther end protrusion 325 may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321 in one direction.

상기 제1 베어링(327)은 상기 제1 일단 돌출부(323)이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321)의 측면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bearing 327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321 and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d protrusion 323 protrudes.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은 제2 본체(331), 제2 일단 돌출부(333), 제2 타단 돌출부(335), 제2 베어링(337) 및 제2 결합 돌기(339)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unit 330 may include a second body 331, a second end protrusion 333, a second other end protrusion 335, a second bearing 337,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339. there is.

상기 제2 일단 돌출부(333)은 상기 제2 본체(331)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nd protrusion 333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second body 331 in one direction.

상기 제2 타단 돌출부(335)는 상기 제2 본체(331)의 타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other end protrusion 335 may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331 in one direction.

상기 제2 베어링(337)은 상기 제2 일단 돌출부(333)이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 본체(331)의 측면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bearing 337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331 and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nd protrusion 333 protrudes.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과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의 결합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과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의 최대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과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이 결합시, 상기 제1 베어링(327)은 상기 제1 본체(321)의 일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베어링(337)은 상기 제1 베어링(327)이 배치되지 않은 제1 본체(321)의 타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본체(331)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o describe in detail the method of combining the first sliding unit 320 and the second sliding unit 330, the maximum sliding range of the first sliding unit 320 and the second sliding unit 330 can be limited. When the first sliding unit 320 and the second sliding unit 330 are combined, the first bearing 327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321, , the second bearing 337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body 331 opposit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321 where the first bearing 327 is not disposed. You can.

다라서, 상기 제1 일단 돌출부(323)와 상기 제2 일단 돌출부(333)이 상호 결합하고 내측의 상기 제1 베어링(327)과 제2 베어링(337)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휀스 유닛(300) 상호간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end protrusion 323 and the second end protrusion 333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slide by the first bearing 327 and the second bearing 337 on the inside, so that the fence unit 300 ) Mutual coupling and disengagement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제1 결합 돌기(329)는 상기 제1 일단 돌출부(323)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베어링(337)은 상기 제2 본체(33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본체(331)와 상기 제2 베어링(337)의 사이에 중공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돌기(329)는 상기 제2 본체(331)와 상기 제2 베어링(337)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의 수용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에 대한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29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one end protrusion 323. At this time, the second bearing 337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ody 331 to form a hollow receiving space between the second body 331 and the second bearing 337. there i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29 is inserted into the hollow recei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331 and the second bearing 337, thereby allowing the second slid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unit 320. The cohesion of the unit 330 can be strengthened.

상기 제2 결합 돌기(339)는 상술한 상기 제1 결합 돌기(329)와 동일함으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39 is the same a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29 described above, it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 및 도 8은 높이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도면이다.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100)는 높이 조절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fence 100 capable of lighting the ligh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400.

상기 높이 조절 유닛(400)은 후방 휀스 프레임(410), 전방 휀스 프레임(420), 고정 유닛(430) 및 볼트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유닛(400)은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과 전방 휀스 프레임(420)으로 구성되어 상기 휀스 구조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400 may include a rear fence frame 410, a front fence frame 420, a fixing unit 430, and a bolt member 440.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0 is composed of the rear fence frame 410 and the front fence frame 420 and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fence structure 110.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은 상기 바디(310)의 양단, 즉,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320) 및 제2 슬라이딩 유닛(330)의 전방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fence frame 41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ody 310, that is, in front of the first sliding unit 320 and the second sliding unit 330.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은 슬라이딩 레일(4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fence frame 410 may include a sliding rail 415.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은 슬라이딩 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fence frame 420 may include a sliding protrusion 425.

상기 고정 유닛(430)은 삽입홀(431), 받침 부재(433), 돌기 부재(435) 및 나사홀(437)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430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431, a support member 433, a protruding member 435, and a screw hole 437.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은 전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411)의 양단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415)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ar fence frame 410 may form the sliding rails 415 at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411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front.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은 좌우측 양단 후면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415)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425)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fence frame 420 may have sliding protrusions 425 that are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s 415 formed at the rear of both left and right ends.

상기 고정 유닛(430)은 상단에 상기 삽입홀(431)이 형성되는 받침 부재(433)를 포함하고, 후면 양측에 측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기 부재(435)를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나사홀(437)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430 includes a support member 433 on which the insertion hole 431 is formed at the top, and the protruding members 435 protruding laterally on both sides of the rear can be formed to be long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the screw hole 437 penetrating the interior can be formed on the front side.

상기 고정 유닛(430)의 상기 삽입홀(431)에는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의 좌우측 양단의 프레임의 하단 전면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받침 부재(433)의 후방에는 좌우측 양단의 프레임의 하단 후면을 올려 놓을 수 있다.The bottom front of the frame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fence frame 42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31 of the fixing unit 430, and the bottom of the frame at both left and right ends at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433. The back can be raised.

상기 고정 유닛(430)의 상기 받침 부재(433) 전면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 유닛(430)을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의 좌우측 양단의 프레임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430 can be firm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fence frame 420 by fastening screws to the front of the support member 433 of the fixing unit 430.

또한, 상기 볼트 부재(440)은 타원 형태의 헤드 중앙부에 체결홈(441)을 형성할 수 있고, 헤드부의 후면에는 나사산(4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443)을 상기 고정 유닛(430)의 상기 나사홀(437)에 결합하여 헤드부를 조여 상기 나사산(443)의 끝단이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의 상기 돌출부(411)에 밀착되면서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을 고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lt member 440 may have a fastening groove 44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val-shaped head, and a screw thread 443 may be formed on the rear of the head. The screw thread 443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437 of the fixing unit 430 to tighten the head portion so that the end of the screw thread 443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411 of the rear fence frame 410. The front fence frame 420 can be fix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높이 조절 유닛(400)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의 좌우측 양단 프레임의 하단 전면을 상기 고정 유닛(430)의 상기 삽입홀(431)에 삽입 설치하고, 그 후면은 상기 받침 부재(433)의 후방 상면에 올려놓고, 상기 고정 유닛(430)의 받침 부재(433) 전면에 다수의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 유닛(430)을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의 좌우측 양단 프레임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고정 유닛(430)의 상기 돌기 부재(435)를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의 좌우측 양단 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415)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To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0 in more detail, the lower front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end frames of the front fence frame 42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31 of the fixing unit 430, and the The rear side is plac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33, and a plurality of screws are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member 433 of the fixing unit 430 to attach the fixing unit 430 to the front fence frame 420.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after, the protruding member 435 of the fixing unit 43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liding rail 415 at the top of both left and right end frames of the rear fence frame 410.

이 때,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의 상측 프레임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으며, 하측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41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이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no sliding rail is formed on the upper frame of the rear fence frame 410, the front fence frame 420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and the sliding rail 415 is formed on the lower frame. This can prevent the rear fence frame 410 from falling downwar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유닛(430)의 나사홀(437)에 상기 볼트 부재(440)를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볼트 부재(440)를 조여 상기 나사산(443)의 전면을 상기 후방 휀스 프레임(410)의 돌출부(411)에 밀착시켜 상기 전방 휀스 프레임(420)을 고정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bolt member 440 can be screwed into the screw hole 437 of the fixing unit 430, and the bolt member 440 is tightened to attach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w thread 443 to the rear fence frame. The front fence frame 420 can be fixed by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411 of 4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100. Fence with lights on

Claims (3)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휀스 구조체; 및
상기 휀스 구조체에 배치되는 점등 가능한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
A fence structure fixed to the ground; and
A fence capable of turning on lighting, comprising a lighting unit disposed on the fenc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휀스 구조체는 하부가 지중에 설치되어 있는 바디고정부에 삽입 고정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디고정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고정블록;
상기 메인고정블록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고정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는 서브고정블록; 및
하나의 서브고정블록의 둘레를 감싸도록 벨트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체결구가 형성되어 벨트가 체결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휀스 구조체는 상호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상기 조명 유닛의 설치가 가능한 홈이 형성되는 휀스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홈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수집하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이 수집한 태양광으로부터 축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상기 태양광 패널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 및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enc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body fixing part installed in the ground and fixed to the ground,
The body fixing part is,
A main fixing block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sub-fixed block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fixed block and installed between the main fixed blocks; and
A belt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one sub-fixing block, and a fastener is formed on the other sub-fixing block, so that the belt is fastened to the fastener and fixed to the fastener.
The fence structure is composed of a fence unit in which a groove is formed to enable installation of the lighting unit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in a sliding manner,
The lighting unit is,
a housing fixedly coupled to the groove;
a solar panel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collect sunlight;
a storag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by storing electricity from sunlight collected by the solar panel;
Lamp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olar panel and emitting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torage battery; and
A fence capable of lighting, comprising: a cover installed on the housing in a direction exposed to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휀스 유닛은,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제1 슬라이딩 유닛;
상기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제2 슬라이딩 유닛;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은,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일단 돌출부;
상기 제1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타단 돌출부;
상기 제1 일단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은,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일단 돌출부;
상기 제2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일 방항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타단 돌출부;
상기 제2 일단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의 최대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 결합시, 상기 제1 베어링은 상기 제1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어링은 상기 제1 베어링이 배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본체의 타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본체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일단 돌출부는,
상기 제1 일단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일단 돌출부는,
상기 제2 일단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점등이 가능한 휀스.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ence unit is,
body;
a first sliding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including a sliding groove to enable sliding engagement;
a second sliding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ncluding a sliding groove to enable sliding engagement;
The first sliding unit,
first body;
a first e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in one direction;
a first other e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in one direction;
A first bearing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d protrusion protrudes;
The second sliding unit,
second body;
a second e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body in one direction;
a second end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A second bearing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nd protrusion protrudes,
When the first sliding unit and the second sliding unit are combined so as to limit the maximum sliding range of the first sliding unit and the second sliding unit, the first bearing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i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is disposed, and the second bearing is arranged to be spaced a certain distance in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body opposit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where the first bearing is not disposed,
The first end protrusion is,
A first coupling protrusion protrude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end protrusion,
A fence capable of turning on a light,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end protrusion.
KR1020230079320A 2022-07-26 2023-06-20 Lighting fence KR2024001500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662 2022-07-26
KR20220092662 2022-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008A true KR20240015008A (en) 2024-02-02

Family

ID=8990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320A KR20240015008A (en) 2022-07-26 2023-06-20 Lighting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0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03B1 (en) Fence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KR101817547B1 (en) A Rack for Guardrail with a Guide Lamp
EA023924B1 (en) Fence post
KR101308794B1 (en) Street light use solar
KR101743213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post cap
KR20240015008A (en) Lighting fence
KR102397106B1 (en) Road marker
KR102135147B1 (en) A Safety Railing
KR20190003002U (en) Pillar for Traffic Warning
KR20110112521A (en) Light-emitting device protective cover for boundary stone
KR101073699B1 (en) A safety fence
KR101432755B1 (en) Using the median combined solar LED pedestrian safety fence
KR20080084546A (en) Lighting appratus for road safety facilities
KR102443185B1 (en) A bollard having a lighting device
KR20130013401A (en) H beam mounting system of transparent soundproof pannel
KR200493043Y1 (en) Fence cap
KR200439497Y1 (en) Sun electric cell lighting having fens and bridge
KR101156506B1 (en) Delineator of hybrid type
KR20100116246A (en) Display fence for use of bicycle road
KR20120108428A (en) Fence
KR200462855Y1 (en) Guard fence
KR20120008696A (en) safety banister pillar
KR101809597B1 (en) A LED Lighting facility for soundproof walls
KR200394498Y1 (en) Bollard
KR102448001B1 (en) A guard-rail with solar power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