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96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964A
KR20240014964A KR1020220092778A KR20220092778A KR20240014964A KR 20240014964 A KR20240014964 A KR 20240014964A KR 1020220092778 A KR1020220092778 A KR 1020220092778A KR 20220092778 A KR20220092778 A KR 20220092778A KR 20240014964 A KR20240014964 A KR 2024001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gain value
display device
image
ap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964A/ko
Publication of KR2024001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하고, 게인 값에 기초하여 결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결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A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컨투어 노이즈를 최소화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출력할 경우 일반적으로 컨투어 노이즈(contour noise)가 발생하게 된다.
컨투어 노이즈(contour noise), 일명 의사 윤곽으로 일컫어지는 노이즈는 원영상에서 실제로 윤곽이 없는 밝기가 평탄한 부분에서 윤곽선 형태의 잡음이 관찰되는 열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컨투어 노이즈는 영상을 취득할 때 거치게 되는 양자화 과정이나, 영상의 압축 및 복원과정,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처리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주로 평탄한 영역에서 볼 수 있다.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관적인 강도(static curve를 이용하는 등)로 컨투어 노이즈 제거하고 있다. 밝은 영상일수록 오브젝트 및 그의 엣지가 잘 인지되고, 어두운 영상일수록 컨투어 노이즈가 강하게 인지되는 경향과 관계없이 일관적인 강도로 컨투어 노이즈가 제거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밝은 영상에서 오브젝트 및 그의 엣지가 흐려지는 문제 혹은 어두운 영상에서 컨투어 노이즈가 여전히 인지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영상의 밝기 특성에 기초하여 영상의 디테일 성분을 보호하면서, 사용자에게 컨투어 노이즈가 강하게 인지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컨투어 노이즈를 최소화하면서, 오브젝트 및 그의 경계의 인식률을 높임으로써,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하고, 게인 값에 기초하여 결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결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이 어두울수록 게인 값을 크게 조절하고, 영상이 밝을수록 게인 값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밝기 정보로서 영상의 APL을 획득하고, 게인 값을 APL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APL이 작을수록 게인 값을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밝기 정보로서 영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하고, 게인 값을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을 획득하고,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밝기 정보로서 획득한 APL이 기설정된 중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이 가운데가 볼록한 분포 패턴인 경우 게인 값을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이 양 사이드가 볼록한 분포 패턴인 경우 게인 값 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화면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복수개의 블록 각각의 블록 APL을 산출하고, 블록 APL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블록 별로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의 밝기 특성에 의하여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컨투어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밝은 영상에서 영상의 디테일 성분을 보호하고, 어두운 영상에서 컨투어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컨투어 게인을 적응적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컨투어 게인을 적응적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APL과 디컨투어 게인이 매핑된 디컨투어 게인 정보의 제1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APL과 디컨투어 게인이 매핑된 디컨투어 게인 정보의 제2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APL이 중간 범위일 때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의 종류가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는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에 게인 값을 상이하게 적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마이크로폰(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영상 출력 시, 컨투어 노이즈(contour noise)가 발생할 수 있다. 컨투어 노이즈(contour noise)는 영상 압축으로 인한 영상 정보의 손실에 의해 발생되며, 흔히 등고선 노이즈로 불린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디컨투어(de-contour)'라고 명명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러한 명칭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원본 이미지에 원본 이미지의 블러 이미지를 삽입을 하여 블러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본 이미지와 블러링 이미지를 합성하고 블렌딩시킴으로써 등고선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70)는 원본 이미지의 블러 이미지를 생성하여 원본 이미지의 픽셀과 비교하여 평균 절대 편차(MAD: mean absolute deviation)가 크면 디컨투어 정도를 나타내는 게인 값(gain)을 줄여 영상의 디테일 성분을 보호하고, 평균 절대 편차가 작으면 디컨투어 정도를 나타내는 게인 값(gain)을 높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컨투어 노이즈 제거 방법은, 디컨투어 정도를 나타내는 게인 값을 영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정 값으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디컨투어 정도를 나타내는 게인 값이 최대 100으로 설정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컨투어를 하지 않거나, 일정 값인 10의 게인 값을 이용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게인 값을 Off(예를 들어 0), Low(예를 들어 30), Mid(중간단계 만큼 제거, 예를 들어 60) 및 High(강하게 제거, 예를들어 90)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즉,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게인 값에 따라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는 바, 영상에 따라 컨투어 노이즈가 제거되는 효과 대비 영상의 디테일 영역이 흐려지는 문제가 더 심할 수 있다. 여기서, 디테일 영역은 디테일 성분이 많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디테일 영역이란 영상에 포함된 물체(오브젝트) 및 경계와 관련된 특징 데이터가 나타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디테일 영역은 엣지 및 텍스처(edge & texture)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 밝을수록 컨투어 노이즈 보다 디테일 영역이 사용자에게 잘 인지되는 경향이 있어, 일부 밝은 영상에 게인 값이 강하게 적용될 경우 영상이 흐려지거나,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경계에 아티펙트(artifact)가 생기는 등 이미지 선명도를 해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컨투어 게인(De-contour gain)을 적응적(Dynamic)으로 설정함으로써 출력 영상의 선명도 저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컨투어 게인을 적응적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디컨투어 게인은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밝기 정보 획득부(620) 및 블렌딩부(65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밝기 정보 획득부(620) 및 블렌딩부(650)는 컨트롤러(170)의 구성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컨트롤러(170)는 영상 데이터(610)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밝기 정보 획득부(620)로 입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밝기 정보 획득부(62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밝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의 밝기 정보는 APL(Average picture level), 휘도 히스토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PL은 평균 휘도 레벨로, 디스플레이 최대 밝기에 대한 화면 각 부분의 밝기의 평균일 수 있다. 휘도 히스토그램은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가 갖는 휘도 값의 도수 정보일 수 있다. 휘도 히스토그램은 각각의 화소가 갖는 휘도 값의 분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렌딩부(650)는 밝기 정보 획득부(620)로부터 영상의 밝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렌딩부(650)는 밝기 정보 획득부(620)로부터 APL 및 휘도 히스토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블렌딩부(650)는 영상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컨투어를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하고, 디컨투어를 위한 게인 값에 기초하여 원본 영상을 블러링 처리한 블러 데이터(630)를 생성할 수 있다. 블렌딩부(650)는 영상 데이터에 게인 값을 적용하여 블러 데이터를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와 블러 데이터를 조합하여 결과 영상 데이터(660)를 생성할 수 있다.
블렌딩부(650)는 게인 값이 클수록 영상 데이터에 블러(blur)를 강하게 적용한 블러 데이터를 생성하고, 게인 값이 작을수록 영상 데이터에 블러를 약하게 적용한 블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블러 데이터(630)는 블렌딩부(650)를 통하여 원본 영상 데이터(610)와 알파블렌딩 될 수 있다.
블렌딩부(650)는 원본 영상 데이터(610) 및 블러 데이터(630)를 블렌딩할 수 있다. 이 때, 블렌딩은 영상 데이터(610)에 블러 데이터에 대응하는 픽셀을 삽입하는 것 혹은 알파 블렌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컨투어 게인을 적응적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컨트롤러(170)는 영상의 밝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1).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영상의 밝기 정보로서 APL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영상의 밝기 정보로서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영상의 밝기 정보로서 APL 및 휘도 히스토그램 모두 획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컨트롤러(170)는 영상의 밝기 정보로서 APL과 휘도 히스토그램을 제외한 다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70)는 영상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S103).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APL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밝기 정보로서 영상의 APL을 획득하고, 게인 값을 APL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APL과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매핑한 디컨투어 게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APL과 디컨투어 게인이 매핑된 디컨투어 게인 정보의 제1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40)에는 APL이 소정 단계로 구분되고, 각 APL 단계에 게인 값이 매핑된 디컨투어 게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컨투어 게인 정보에는 제1 범위(High)의 APL에 대응하는 게인 값으로 제1 값이 매핑되고, 제2 범위(Med)의 APL에 대응하는 게인 값으로 제2 값이 매핑되고, 제3 범위(Low)의 APL에 대응하는 게인 값으로 제3 값이 매핑되어 있을 수 있고, 이 때 제1 값은 제2 값 보다 작고, 제2 값은 제3 값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범위(High)의 APL은 고 APL로 밝음에 속하고, 제2 범위(Med)의 APL은 중 APL로 중간 밝기에 속하고, 제3 범위(Low)의 APL은 저 APL로 어두움에 속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범위(High)와 제2 범위(Med), 제2 범위(Med)와 제3 범위(Low)는 각각 연속될 수 있다. 즉, 제1 범위(High)의 하한 값은 제2 범위(Med)의 상한 값과 동일하고, 제2 범위(Med)의 하한 값은 제3 범위(Low)의 상한 값과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High)와 제2 범위(Med) 사이에 소정 갭이 있고, 제2 범위(Med)와 제3 범위(Low) 사이에 소정 갭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갭에 속하는 APL은 도 7에 도시된 직선 그래프를 통해 APL이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APL과 디컨투어 게인이 매핑된 디컨투어 게인 정보의 제2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40)에는 APL이 증가할수록 게인 값이 감소하는 소정의 그래프를 통해 각 APL 과 게인 값이 매핑된 디컨투어 게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예시에 불과하며, 메모리(140)에는 APL과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매핑한 디컨투어 게인 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APL이 클수록 게인 값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컨트롤러(170)는 APL이 작을수록 게인 값을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밝기 정보로서 영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하고, 게인 값을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먼저, 컨트롤러(17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70)는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가 갖는 휘도 값을 산출하고, 각 휘도 값 마다 화소 발생 빈도를 산출하여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하고, 획득된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하면, 획득된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개의 분포 패턴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값이 밝은 영역(오른쪽 영역)에 치우친 제1 분포 패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값이 중간 영역(가운데 영역)에 치우친 제2 분포 패턴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값이 어두운 영역(왼쪽 영역)에 치우친 제3 분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분포 패턴은 제1 게인 값과 매핑되고, 제2 분포 패턴은 제1 게인 값 보다 작은 제2 게인 값과 매핑되고, 제3 분포 패턴은 제2 게인 값 보다 작은 제3 게인 값과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70)는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하면 획득된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제1 내지 제3 분포 패턴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결정된 분포 패턴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피크치에 해당하는 휘도 값(최빈 값)에 기초하여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제1 내지 제3 분포 패턴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피크치에 해당하는 휘도 값(최빈 값)이 제1 휘도 값 이상이면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제1 패턴으로 결정하고, 피크치에 해당하는 휘도 값(최빈 값)이 제1 휘도 값 미만 제2 휘도 값 이상이면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제2 패턴으로 결정하고, 피크치에 해당하는 휘도 값(최빈 값)이 제2 휘도 값 미만이면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제3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170)는 획득된 히스토그램의 모양(윤곽선)을 기설정된 제1 내지 제3 분포 패턴 각각의 모양(윤곽선)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모양을 갖는 분포 패턴을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컨트롤러(17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결정하여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APL 및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0)는 APL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APL이 중 APL에 해당하더라도, 실제 영상은 전체적으로 중간 밝기의 영상인 경우와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이 반반 섞인 영상인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중간 밝기 또는 밝은 영역과 대비하여 어두운 영역에서 컨투어 노이즈가 부각되는 바, 전체적으로 중간 밝기의 영상 보다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이 섞인 영상에서 강한 컨투어 노이즈의 제거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70)는 APL이 기설정된 중간 범위(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제2 범위(Med))에 속하는 경우,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APL이 기설정된 중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은 도 10에 도시된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APL이 중간 범위일 때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의 종류가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휘도 값이 중간 영역(가운데 영역)에 치우친 분포 패턴의 예시이고, 도 10의 (b)는 휘도 값이 어두운 영역(왼쪽 영역) 및 밝은 영역(오른쪽 영역)으로 치우진 분포 패턴의 예시이다.
APL이 기설정된 중간 범위에 속할 때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은 도 10의 (a) 또는 도 10의 (b)와 같을 수 있다. 컨트롤러(170)가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포 패턴을 획득하는 방법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70)는 APL이 기설정된 제1 범위(High)에 속하는 경우 게인 값을 제1 값으로 획득하고, APL이 기설정된 제2 범위(Med)에 속하면서 휘도 히스토그램이 중간 영역(가운데 영역)에 치우친 분포 패턴이면 게인 값을 제1 값 보다 큰 제2 값으로 획득하고, APL이 기설정된 제2 범위(Med)에 속하면서 휘도 히스토그램이 어두운 영역(왼쪽 영역) 및 밝은 영역(오른쪽 영역)으로 치우진 분포 패턴이면 게인 값을 제2 값 보다 큰 제3 값으로 획득하고, APL이 기설정된 제3 범위(Low)에 속하면 게인 값을 제3 값보다 큰 제4 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70)는 밝기 정보로서 획득한 APL이 기설정된 중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이 가운데가 볼록한 분포 패턴(도 10의 (a))인 경우의 게인 값을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이 양 사이드가 볼록한 분포 패턴(도 10의 (b))인 경우의 게인 값 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APL 또는 휘도 히스토그램 둘 중 하나에만 기초하여 게인 값을 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이 섞인 영상에서 어두운 영역에서 부각되는 컨투어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획득하는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트롤러(170)는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하면,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기준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시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기준 값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는 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트롤러(170)는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상의 밝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가 임계 값 이상이면 밝은 영상으로 인식하고,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가 임계 값 미만이면 어두운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70)는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가 임계 값 이상이면 게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고,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가 임계 값 미만이면 게인 값을 제1 값으로 큰 제2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예시에서 기준 값은 한 개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기준 값은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으로 구분하고,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 각각에 게인 값이 상이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170)는 어두운 영역의 게인 값을 밝은 영역의 게인 값 보다 크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에 게인 값을 상이하게 적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컨트롤러(170)는 화면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화면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개의 블록 각각의 블록 APL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를 참고하면, 컨트롤러(170)는 화면을 제1 내지 제n 블록(BL1, BL2, BL3, ..., BLn-2, BLn-1, BLn)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블록 각각의 블록 APL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70)는 제1 블록(BL1)의 블록 APL, 제2 블록(BL2)의 블록 APL, …, 제n 블록(BLn)의 블록 APL 각각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산출된 각각의 블록 APL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블록 별로 컨투어 노이즈 제거를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1 블록(BL1)의 블록 APL에 기초하여 제1 블록(BL1)에 적용될 게인 값, 제2 블록(BL2)의 블록 APL에 기초하여 제2 블록(BL2)에 적용될 게인 값, …, 제n 블록(BLn)의 블록 APL에 기초하여 제n 블록(BLn)에 적용될 게인 값 각각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1 내지 제n 블록(BL1, BL2, BL3, ..., BLn-2, BLn-1, BLn) 각각에 대응하는 블록 APL에 기초하여 블록별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블록 APL이 기설정된 기준 APL 이상인 블록에 게인 값을 제1 게인 값으로 설정하고, 블록 APL이 기설정된 기준 APL 미만인 블록에 게인 값을 제1 게인 값 보다 큰 제2 게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밝은 블록에 게인 값을 작게 적용하여 디테일 성분을 보호하고, 어두운 블록에 게인 값을 높게 적용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에 적용될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컨트롤러(170)는 획득된 게인 값을 이용하여 결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S105), 결과 영상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S10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영상의 밝기 정보로서 APL 및 휘도 히스토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게인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이 어두울수록 게인 값을 크게 조절하고, 영상이 밝을수록 게인 값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인 값이 크게 적용된 영상에서 컨투어 노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면 측정기 등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의 등고선 정보 등을 분석함으로써 노이즈 분포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컨투어 노이즈 제거 정도가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휘도 히스토그램과 컨투어 노이즈 제거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휘도 히스토그램에 따라 컨투어 노이즈가 어떻게 혹은 얼마나 제거되었는지 확인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컨투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게인 값을 획득하고, 상기 게인 값에 기초하여 결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결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이 어두울수록 상기 게인 값을 크게 조절하고, 영상이 밝을수록 상기 게인 값을 작게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밝기 정보로서 상기 영상의 APL을 획득하고, 상기 게인 값을 상기 APL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APL이 작을수록 상기 게인 값을 크게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밝기 정보로서 상기 영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을 획득하고, 상기 게인 값을 상기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휘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화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을 획득하고, 상기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밝기 정보로서 획득한 APL이 기설정된 중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게인 값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이 가운데가 볼록한 분포 패턴인 경우 게인 값을 휘도 히스토그램 분포 패턴이 양 사이드가 볼록한 분포 패턴인 경우 게인 값 보다 작게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화면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 각각의 블록 APL을 산출하고, 상기 블록 APL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블록 별로 상기 게인 값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92778A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14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78A KR20240014964A (ko)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78A KR20240014964A (ko)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964A true KR20240014964A (ko) 2024-02-02

Family

ID=8990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778A KR20240014964A (ko)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9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241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5915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AU20222018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400149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11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4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743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4267054A (zh) 显示装置和方法
US11580899B1 (en) Display device
US11961212B2 (en) Display device performing tone mapping using local mapping curves
KR202301308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798457B2 (en) Display device
US20230107150A1 (en) Display device
KR1025427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776456B2 (en) Display device
KR1023972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화면 제공 방법
EP4114027A1 (en) Display device
KR2024004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