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610A -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610A
KR20240014610A KR1020247002236A KR20247002236A KR20240014610A KR 20240014610 A KR20240014610 A KR 20240014610A KR 1020247002236 A KR1020247002236 A KR 1020247002236A KR 20247002236 A KR20247002236 A KR 20247002236A KR 20240014610 A KR20240014610 A KR 20240014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wire
zone
distal
wi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에이. 리퍼트
에드워드 제이. 스나이더
클락 씨. 데이비스
Original Assignee
사이언시아 바스큘라,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917,255 external-priority patent/US11052228B2/en
Application filed by 사이언시아 바스큘라,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사이언시아 바스큘라,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4001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61M2025/09091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where a sheath surrounds the coil at the distal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 A61M2025/09141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made of shape memory alloys which take a particular shape at a certain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66Shape memory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가능한 팁 및 효과적인 토크특성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근위 구역 및 테이퍼진 원위 구역을 갖는 코어를 포함한다. 튜브 구조는 테이퍼진 원위 구역이 튜브 구조 내로 연장되도록 코어에 결합된다. 튜브 구조는 튜브 구조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성형된 원위 팁을 방해하는 튜브 구조로부터 탄성력 성향을 감소시키도록 튜브 구조 내로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바이패스 절개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GUIDEWIRE DEVICES HAVING SHAPEABLE TIPS AND BYPASS CUTS}
본 발명은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3월 9일에 출원된 “DEVICES HAVING SHAPEABLE TIP AND BYPASS CU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5/917,255에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전체가 이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종종 카테터 또는 다른 중재 장치를 환자의 신체 내의 목적하는 해부학적 위치로 이끌거나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와이어는 예를 들어, 환자의 심장 또는 신경 혈관 조직 또는 그 부근에 있을 수 있는 목적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환자의 혈관계를 통과하게 된다. 방사선 촬영 이미징은 일반적으로 가이드 와이어를 목적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많은 경우, 가이드와이어는 중재적 절차 중에 신체 내의 위치에 남겨져서, 다수의 카테터 또는 기타 중재 장치를 목적하는 해부학적 위치로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만곡되거나 구부러진 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환자의 혈관계를 더 잘 탐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팁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가리키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의 근위 단부 또는 부착된 근위 핸들에 토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환자의 혈관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와이어를 더 향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유연성, 특히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원위 구역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수의 경우, 비교적 높은 수준의 유연성이 가이드 와이어의 충분한 굽힘성을 제공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대상 구역에 도착하기 위해 혈관 통로의 구부러진 굴곡 및 곡선을 통해 각을 이루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신경 혈관 구조의 일부에 가이드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경동맥 사이펀 및 기타 구부러진 경로와 같은 굴곡진 통로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를 통과하게 해야 한다.
가이드 와이어 장치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은 주어진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의 토크 전달 능력이다 (즉,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토크특성”). 더 많은 가이드 와이어가 혈관 통로 내로 그리고 이를 통해 통과함에 따라, 가이드 와이어와 혈관계 사이의 마찰면 접촉 양이 증가하고, 혈관 통로를 통한 가이드 와이어의 용이한 이동을 방해한다. 양호한 토크특성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는 근위 단부에서의 토크력이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원위 단부로 전달되도록 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회전하고 마찰력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적용된 비틀림 힘을 장치의 단부를 향해 더 말단으로 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의 코어의 원위 단부 위에 위치한 미세 가공된 하이포 튜브 (hypotube)를 포함한다. 비틀림 힘은 일 부재의 단면의 외측 구역을 통해 주로 전달되기 때문에, 튜브는 튜브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가이드 와이어 코어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의 양과 비교하여, 토크의 증가된 전달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튜브는 양호한 수준의 가요성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원하는 토크 전달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니티놀과 같은 초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일부 제한 사항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토크 전달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토크 전달 튜브가 있는 가이드 와이어의 설계 특성의 대부분은 가이드 와이어 팁의 성형가능성을 제한하고 반하여 작용한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9/025500 (2009.10.08.)
본 발명은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성형가능한 팁 및 효과적인 토크 특성 (torquability)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근위 구역 및 테이퍼진 원위 구역을 갖는 코어를 포함한다. 테이퍼진 원위 구역이 튜브 구조 내로 연장되도록 튜브 구조는 코어에 결합된다. 튜브 구조는 튜브 구조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성형된 원위 팁을 방해하는 튜브 구조로부터의 탄성력 성향을 감소시키도록 튜브 구조 내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바이패스 절개들을 포함한다. 바이패스 절개는 복수의 원주 방향 및 횡 방향 링을 연결하는 복수의 축 방향 연장 빔을 형성하는 절개 패턴의 일부이다. 바이패스 절개는 1-빔 절개 패턴을 형성하고, 이는 1-빔 절개 패턴 내의 각각의 인접한 링 사이 단일 빔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코어의 원위 구역의 외부 표면 및 튜브 구조의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튜브 구조 내에 배치된 코일을 더 포함한다. 코일은 백금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고, 튜브 구조는 니티놀 (nitinol)과 같은 초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개 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단일-측면 1-빔 절개 패턴을 포함하고, 여기서 복수의 연속적인 빔들은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튜브 구조의 단일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개 패턴은 1-빔 절개 패턴의 근위에 배치된 2-빔 절개 패턴을 포함한다. 2-빔 절개 패턴은 깊이-대칭적 2-빔 절개 패턴 및 깊이-오프셋 2-빔 절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깊이-대칭 2-빔 절개 패턴은 깊이 오프셋 2-빔 절개 패턴의 근위에 배치되어 깊이-오프셋 2-빔 절개 패턴이 1-빔 절개 패턴과 깊이-대칭 2-빔 절개 패턴 사이 전이로서 기능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1-빔 절개 패턴은 튜브 구조의 원위 단부를 향해 증가하는 깊이를 갖는 절개들이 배치되고 및/또는 연속적 절개 사이의 간격이 튜브 구조의 원위 단부를 향할수록 감소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의 원위 구역은 성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 원위 팁이 성형된 형상으로 구부러질 때 코어이 원위 구역이 튜브 구조의 탄성 회복력으로 인한 변형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구조는 제1구역 및 제1구역에서 원위인 제2구역을 포함한다. 튜브의 제2구역에서, 절개 패턴은 각각의 인접한 링들 쌍 사이에 단일 빔을 형성한다. 제2구역의 빔들은 선호하는 굽힘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이전 빔에 대해 약 180˚ 회전된 각 연속 빔에 의하여). 튜브는 선호하는 굽힘 평면 내에서 굽힘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낮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의 원위 구역은 튜브의 제2구역을 통과하고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는 평평한 리본 (flat ribbon)으로 테이퍼진다. 코어의 평평한 리본은 튜브의 제2구역의 선호하는 굽힘 평면에 수직으로 놓인 주 평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구조는 전이 지점에 의해 분리된 제1구역 및 제2구역을 포함하고, 제2구역은 제1구역에서 원위에 있다. 제1구역은 2-빔 절개 패턴을 포함하고 제2구역은 1-빔 절개 패턴을 포함한다. 전이 지점 바로 근위에 있는 2-빔 절개 패턴과 전이 지점 바로 원위에 있는 1-빔 절개 패턴은 튜브의 강성 프로파일이 제1구역과 제2구역 사이 전이지점을 통과하여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2구역의 가장 근위 링의 두께는 제1구역의 가장 원위 링의 두께보다 더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는 제1구역, 제1구역에서 원위인 제2구역, 제2구역에서 원위인 제3구역을 포함한다. 제1구역은 2-빔 구역을 포함하고, 제2구역은 1-빔 절개 패턴을 포함하고, 제3구역은 2-빔 절개 패턴을 포함한다. 튜브의 원위 단부로부터 측정하여, 제3구역은 근위로 약 0.25mm 내지 2.5mm까지 연장된다.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부분적으로 후속하는 내용에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 의해 습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된 요소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전술한 요약 및 후술된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또는 청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에서 간략히 기술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들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특이성 및 세부 사항으로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효과적인 토크특성을 제공하고 성형가능한 팁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1 및 도2의 가이드 와이어 장치로 활용될 수 있는 튜브 구조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튜브는 원위 팁의 효과적인 가요성 및 성형가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바이패스 절개 패턴 (즉, 1-빔 절개 패턴)을 갖는다;
도 4는 대안적 1-빔 절개 패턴을 갖는 튜브 구조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대칭적으로 이격된 대향하는 빔들을 갖는 2-빔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튜브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단일-측면 1-빔 절개 패턴을 갖는 구역을 포함하는 튜브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결과적 빔의 나선형 패턴을 제공하는 예시적 각도 오프셋된 바이패스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튜브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제3구역을 포함하는 튜브 구조의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9a는 내부에 코어의 원위 구역이 배치된 튜브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a 및 도 9b의 튜브의 제1구역 및 제2구역 사이 전이의 확장된 측면도이다; 및
도 11은 제2구역 및 제3구역을 포함하는, 도 9a 및 도 9b의 튜브의 원위 팁의 확장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해부학적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표하는 해부학적 위치로 가이드 와이어를 조종하고 유도하는 기능은 토크 특성과 성형된 팁을 유지하는 능력 간의 상충을 균형 맞추고 최적화하는데 달려 있다.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사용자가 원위 팁을 회전시킴으로써 혈관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팁을 향하게 할 수 있도록 성형 가능한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토크 특성이 불충분하면, 사용자는 성형된 원위 팁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성형된 원위 팁에 비틀림 힘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방해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가 혈관계로 더 멀리 진입하여 마찰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문제가 될 것이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 장치가 성형된 팁을 적합하게 형성하고 유지할 수 없는 경우, 팁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이 제한되어 혈관 네비게이션을 어렵게 한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가이드 와이어의 토크 특성 및 성형된 팁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 사이의 관계를 균형 및/또는 최적화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는 가이드 와이어에 배치하는 동안 사용자의 조작에 반응하고, 성형된 원위 팁이 전달된 비틀림 힘을 수용할 수 있게 하여 효과적인 네비게이션 능력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성형가능한 팁은 환자의 혈관계 내에 가이드 와이어 장치를 설치하기 직전에 수동으로 팁의 형태를 만드는 것과 같이 팁을 맞춤 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호도 및/또는 특정 용도에 맞는 조건에 따라서 원위 팁의 형태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또한 성형된 팁을 유지하는 동안 토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기술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은 단일 과정에 걸쳐서 또는 다수의 과정들에 걸쳐서 또는 대응하는 재성형력을 받을 때까지 무한하게 구부러진 또는 만곡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팁들을 포함한다.
도 1은 코어 (102)를 갖는 예시적 가이드 와이어 장치 (100)를 도시한다. 튜브 (104)는 코어 (102)에 결합되고 코어 (102)에 부착되는 지점으로부터 말단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102)의 원위 구역은 튜브 (104) 내로 연장되고 튜브 (104)로 둘러싸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 (102)가 튜브 (104) 내에 맞춰져 연장될 수 있도록 코어 (102)는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구역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코어 (102)의 원위 구역은 원위 단부에서 더 작은 직경이 되도록 점진적으로 테이퍼지도록 연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 (102) 및 튜브 (104)는 상호 인접 및 부착되는 부착 지점 (103)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외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 (102) 및 튜브 (104)는 상호 인접 및 부착되는 부착 지점 (103)에서 상이한 외경을 갖고, 직경의 차이는 용접, 땜납, 접착제, 간섭 맞춤 또는 기타 구조적 부착 수단으로 보상한다.
비틀림 힘이 코어 (102)로부터 튜브 (104)로 전달되어 튜브 (104)에 의해 보다 말단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튜브 (104)는 코어 (102)에 결합된다 (예, 접착제, 땜납, 및/또는 용접 활용). 의료용 등급 접착제 (120)가 장치의 원위 단부에서 튜브 (104)가 코어 (102) 와이어에 결합하여 비외상 커버링 (atraumatic covering)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튜브 (104)는 복수의 절개들을 포함하도록 미세 가공된다. 이 절개들은 양호한 토크 특성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와이어 장치 (100)의 원위 팁에 인접한 부분에 효과적인 성형 가능성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절개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명료성을 위해, 절개 패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튜브 (104)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절개 패턴의 예시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다.
가이드 와이어 장치 (100)의 근위 구역 (110)은 목표하는 해부학적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충분한 가이드 와이어 길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길이로 근위로 연장된다. 근위 구역 (110)은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300 cm 범위의 길이를 갖는다. 근위 구역 (110)은 0.014 인치의 직경, 또는 약 0.008 내지 0.125 인치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은 약 0.002 인치의 직경, 또는 약 0.001 내지 0.050 인치 범위의 직경으로 테이퍼 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 (104)는 약 3 내지 100 cm 범위 내의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은 원형 단부로 테이퍼진다. 타 실시예에서,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은 평면형 또는 사각형 단부를 갖는다. 원위 구역 (112)는 기타 다각형 형상, 난형 (ovoid) 형상, 불규칙 형상,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영역에서 상이한 단면 형상의 조합과 같은 기타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원위 1 cm 내지 3 cm (약)를 원하는 형태로 수동으로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조작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장치 (100)의 원위 단부를 성형한다. 이러한 길이는 도1에서 원위 “팁” (106)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팁 (106)은 스테인리스 스틸, 백금 및/또는 기타 성형가능한 재료들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성형가능한 구성요소들을 (튜브 (104) 내에)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팁 (106)은 성형되는 경우 (즉, 소성 변형) 성형된 구역에 성형되기 전보다 높은 탄성 계수를 제공하도록, 가공 경화 속성들을 나타내는 재료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이드 와이어 장치 (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102)는 근위 구역 (110) 및 원위 구역 (112)을 포함하고, 근위 구역 (11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위 구역을 갖는다. 코일 (114)는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한다. 코일 (114)는 바람직하게는 백금계, 금, 은, 팔라듐, 이리듐, 오스뮴, 탄탈륨, 텅스텐, 비스무스, 디스프로슘, 가돌리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들로 제조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코일 (114)은 적어도 일부분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구부러지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후 효과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일 (114)은 장치의 원위 단부 상에 또는 인접하여 배치되고, 부착 지점 (103)을 향해 근위 거리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 (114)은 튜브 (10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일 (114)이 더 짧다. 예를 들어 코일 (114)는 원위 단부로부터 1, 2, 4, 6, 8, 10, 12, 15, 20, 25, 30, 또는 35 cm로 연장될 수 있거나, 상술한 수치들 중 임의의 두 수치로 한정되는 범위 내의 거리로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 (114)은 단일 일체형 부재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일 (114)은 상호 인접하여 배치 및/또는 상호 코일들을 통해 연동되는 복수의 개별 구역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별 부분들은 완벽한 코일 (114)을 형성하도록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호 간에 땜납,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방사성 불투과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튜브 (104)의 내부의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의 센터링을 개선하기 위한 크기 및 모양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이 코일 (114) 및 튜브 (104) 사이의 공간을 보여주나, 간편한 도식화를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 (114)은 원위 구역 (112) 및 튜브 (104) 사이의 더 큰 공간 비율을 채우고 담기 위해서 크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코일 (114)는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 및 튜브 (104)의 내부 표면 모두와 접촉하기 위해 크기가 맞춰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은 튜브 (104) 및 코어 (102)가 공동 범위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100)의 구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코어 (102) 및 튜브 (104) 사이에 공간을 포함한다.
코일 (114)은 코어 (102) 및 튜브 (104)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유리하게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의 굴곡이 튜브 (104)의 굴곡과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곡률이 튜브 (104)에 형성되는 경우, 밀접하게 채워진 내측 코일 (114)의 구역은 원위 구역 (112)에 동일한 곡률을 부여하기 위해 튜브 (104)와 원위 구역 (112) 사이를 채우는 기능을 한다. 대조적으로, 이러한 코일을 생략한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코어는 튜브와 동일한 곡선을 따르지 않을 수 있지만, 만곡하는 힘을 받기 전에 튜브의 내부 표면에 접할 때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는 유리하게 원위 팁 (106)이 원하는 위치로 성형되고,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성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 장치와 대조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성형된 구조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 장치에서는, 튜브 구조와 내부 구성 요소들 (코어 및 코일) 사이의 속성들 간의 불일치로 인해 성형가능성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종종 발생한다. 튜브 구조는 일반적으로 니티놀 또는 기타 초탄성 물질로 제조된다. 구부러지거나 성형이 되면 이러한 튜브는 이의 원래 위치를 (예를 들어, 직선)을 향해 편향되고, 임의의 성형가능한 내부 구성 요소들에 회복력을 부여하여, 팁의 커스터마이징된 형상의 상실 또는 변형을 초래한다.
종종, 예를 들어,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는 설치 전에 성형된 팁을 갖지만, 원하는 팁 형상에 대향하여 초탄성 튜브가 원래의 형상을 향해 구부러질 때, 성형된 팁은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 중에 손실되거나 저하될 것이다. 따라서, 튜브에 의해 부여된 복원력은 내부 구성 요소에 작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원하는 형상을 축소시키거나 저하시킨다. 대조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는 팁 (106)이 튜브로부터 최우선하는 복원력을 받지 않고 성형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튜브 (104)는 효과적인 토크 특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팁 (106)의 커스텀된 형상을 방해하지 않도록 원위 팁 (106)에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절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7은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실시예에 활용될 수 있는 튜브 절개 패턴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튜브 (104)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에 따라 절개될 수 있다.
도 3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들 (530) 및 (횡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들 (540)을 형성하는 일련의 절개들 (508)을 갖는 튜브 (504)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개들 (508)은 일련의 “바이패스 절개(bypass cuts)”로서 튜브 상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이패스 절개는 튜브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직접 대향하는 대향 절개를 갖지 않고, 이로써 횡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료의 링들 (54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료의 단일 빔 (530)을 남긴다. “바이패스” 절개 패턴은 본 명세서에서 “1-빔” 절개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빔들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블레이드가 있는 절단 톱으로 만든 것과 같은 반원형, 레이저 가공 작업으로 만든 것과 같은 편평한 면, 또는 모든 유형의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개는 튜브 (504)의 길이를 따라 한 절개에서 다음 절개로 180˚ 오프셋되는 교대 절개로 배열되나, 회전 오프셋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180˚에서 0˚와 다른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즉, 1-빔) 절개의 하나 이상의 구역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튜브는 특히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관련 성형가능한 팁에 대해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튜브의 유연성은 절개가 없거나 연속적인 링들 사이에 다중 빔들을 남기는 절개를 갖는 튜브의 유연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예를 들어, 빔 폭, 링 크기 및 절개 간격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 유리하게는, 바이패스 절개 배열에 의해 증가한 유연성은 튜브가 가이드 와이어의 내부 구조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한다. 예를 들어, 튜브의 내부에 배치된 코어(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는 구부러지거나 굴곡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소성 변형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팁에 원하는 형상을 제공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경우들에서, 튜브의 탄성 회복과 관련된 힘이 성형된 코어에 부여될 것이고, 적어도 튜브 내에 배치된 성형된 코어의 부분에 대하여 성형된 코어를 곧게 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튜브의 유연성을 적절히 조정하면 성형된 코어에 부여되는 회복력을 감소시키고 성형된 코어가 그 형상을 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바이패스 절개들 또는 절개의 집합들의 깊이는 원위 단부를 향해 움직이는 각각의 연속적인 절개 또는 절개의 집합들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절개 깊이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주어진 적용 분야에서 원하는 유연성 및 토크 특성을 갖는 튜브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튜브 구조는 비교적 낮은 유연성 및 상대적으로 높은 토크 특성을 갖는 근위 구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바이패스 절개가 원위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깊어 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유연성 및 상대적으로 낮은 토크 특성을 갖는 원위 구역으로 빠르게 진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더 깊은 절개를 갖는 구역은 성형가능성이 기대되거나 요구되는 튜브의 가장 원위 부분 (예를 들어, 튜브의 말단 1 내지 3cm)에서만 형성되어, 튜브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 높은 토크 특성을 유지하게 한다.
바이패스 절개 (508)는 깊이, 폭 및/또는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 (508)는 장치의 원위 팁에 가까울수록 점차 더 깊게 및/또는 보다 인접하게 이격될 수 있다. 더 깊거나 더 인접하게 이격된 절개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의 점진적으로 더 원위 영역 일수록, 증가하는 가이드 와이어 유연성을 제공하는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절개 (508)는 또한 각각의 인접 절개에 인가되거나 인접한 절개 집합에 인가되는 각도 오프셋에 따라 교대하는 각도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절개로부터 다음 절개까지 180˚의 각도 오프셋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는 하나의 절개에서 다음 절개까지 또는 하나의 절개 집합에서 다음 절개 집합까지 약 5, 15, 30, 45, 60, 75, 80 또는 85˚의 각도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바이패스 절개들 및 바이패스 절개들에 근접하게 배치된 대향하는 깊이-오프셋 2-빔 절개들의 집합을 갖는 튜브 (60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절개 집합은 빔들 (630)을 초래한다. 빔들 (630)에는 빔들 (634)을 초래하는 대하는 절개로서 배치된 절개들의 집합에 근접한다. 본 도면에는 미도시 되지만, 각각의 빔 (634)과 마주하여 추가적 빔이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빔들 (634) 뒤에 가려짐). 깊이-오프셋 2-빔 절개 패턴 내의 각각의 링(640)은 따라서 근위에 인접한 링에 이를 연결하는 두 빔의 집합 및 원위에 인접한 링에 이를 연결하는 두 빔의 집합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2-빔 절개는 각각 대향하는 절개 쌍 (튜브 축의 각각의 측면 상의 하나의 절개)에 대해, 절개들 중 하나가 대향하는 절개 보다 큰 깊이를 갖도록 깊이가 오프셋된다. 이러한 깊이-오프셋 2-빔 절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절개의 길이로부터 비-오프셋 대향 2-빔 절개로의 전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2-빔 절개 패턴을 갖는 튜브 (204)의 구역을 도시하며, 결과적 빔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각 대향 절개 쌍의 각각의 절개는 대략 동일한 절개 깊이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는 각 링들 (240)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빔들 (234)을 초래한다. 다른 각도 오프셋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본원에 도시된 절개들은 대향하는 한 쌍의 절개들로부터 다음 쌍으로 약 90˚ 각도로 오프셋된다.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이격된 빔을 갖는 2-빔 절개 패턴을 갖는 튜브의 구역은 일반적으로 토크를 전달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능력 및 상대적으로 낮은 유연성을 가지며,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튜브의 구역은 일반적으로 토크를 전달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능력 및 상대적으로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깊이-오프셋 2-빔 절개 구조를 갖는 튜브의 구역은 일반적으로 깊이-대칭 대향 2-빔 절개의 구역과 바이패스 절개 구역 사이와 같은 토크 전달성 및 유연성을 가질 것이다. 대향 절개들의 깊이의 차이가 클수록, 원주 방향으로 더 가깝게 결과적인 빔들이 생기므로, 오프셋 2-빔 절개는 1-빔/바이패스 절개와 더 유사해진다. 마찬가지로, 대향 절개의 깊이가 유사할수록, 오프셋 2-빔 절개는 대칭 2-빔 절개와 유사해진다.
오프셋 2-빔 구역을 포함하는 튜브들의 실시예는 원위 바이패스 절개 영역 및 근위 대칭 2-빔 절개 구역 사이에서 원하는 전이 속성들을 제공하도록 배치 및 구성되는 전이 구역을 바람직하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이 구역은 전이 구역의 길이에 따라 및/또는 연속된 절개들의 오프셋에 대한 변화의 신속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점진적이거나 급격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튜브는 사용자에 의해 성형될 때 구부러진 형상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더 큰 유연성을 갖는 보다 유연한 원위 구역으로 전이하는, 보다 큰 토크 특성 및 보다 낮은 유연성을 갖는 근위 구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위 구역, 전이 구역, 원위 구역의 위치 및 구성은 효과적인 토크특성 및 성형가능한 팁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조정된다.
도 6은 복수의 빔들 (730) 및 링들 (740)을 형성하는 1-빔 절개들을 갖는 튜브 (70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빔들 (730)이 180˚ 또는 기타 각도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보다, 튜브 (704)의 일 측을 따라 렬되도록 절개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튜브의 축을 향한 관련 회복력이 더 감소되도록 일 방향으로(예를 들어, 정렬된 빔들 (730)을 향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구부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바이패스 절개 패턴 및 절개 집합들 사이의 각도 오프셋을 갖는 튜브 (304)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오프셋은 튜브 구역의 길이를 따라 회전형/ 나선형 원주 패턴으로 생성된 결과 빔들 (330)을 위치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각도 오프셋은 절개들의 하나의 집합 내에서 하나의 절개로부터 다음 절개로 적용되고, 제2각도 오프셋은 절개들의 하나의 집합으로부터 다음 절개 집합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인접한 절개 내의 각 절개들(308)은 결과 빔들 (330)을 가이드 와이어 방향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남기도록 약 180° 만큼 오프셋 될 수 있으며, 각 쌍은 소정의 다른 각도 오프셋만큼 인접한 쌍으로부터 오프셋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약 5° 만큼) 이러한 방식으로, 집합 내 각도 오프셋은 가이드 와이어 축의 대향 측면 상에 빔들 (3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반면, 집합 간의 각도 오프셋은 절개들 (308)의 여러 집합들의 길이에 걸쳐 가이드 와이어의 바람직한 굴곡 방향을 최소화하도록 연속적인 빔들의 각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절개 패턴들에도 회전 오프셋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정의 구역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각 절개 혹은 절개의 집합 (예를 들어,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등의 절개마다)이 약 1, 2, 3, 5 또는 10°로 회전 오프셋되거나, 또는 2-빔 구조에서 90° 로부터 약 1, 2, 3, 5 또는 10°로, 1-빔 구조에서 180°로부터 1, 2, 3, 5, 또는 10°로 오프셋 된다. 이러한 회전 오프셋 값들은 굴곡 바이어스를 제거하는 좋은 능력을 바람직하게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의 각 쌍이 동일하게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2-빔 절개 패턴에서, 90°에서 약 1, 2, 3, 5, 또는 10° 벗어난 회전 오프셋은 단지 몇 도의 비정렬로 절개 구역의 길이를 따라 빔의 모든 다른 쌍을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제2쌍의 빔은 제1쌍의 빔으로부터 90° 보다 약간 크거나 적게 회전하여 오프셋될 수 있지만, 제3쌍의 빔은 제1쌍으로부터 단지 몇 도만 회전 오프셋되고, 제4쌍의 빔은 제2쌍의 빔으로부터 단지 몇 도만 회전 오프셋된다. 여러 개의 연속적인 빔의 쌍들이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절개 구역의 길이를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될 때, 결과적인 구조로 인해 방향 유연성 바이어스를 도입하거나 심화시키지 않으면서 절개 패턴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튜브 실시예의 개별 구성요소들 및 특징들은 상이한 튜브 구조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튜브는 (도 3, 도 6 및/또는 도 7에서와 같이) 바이패스 (1-빔) 절개 구역 및 대칭적으로 이격된 2-빔 절개 구역을 갖고 (도 5에서와 같이),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깊이-오프셋 2-빔 절개들(도 4에서와 같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튜브 실시예는 바이패스 절개 배열을 갖는 원위 구역으로 전이하는 대칭적으로 이격된 2-빔 절개 패턴을 갖는 근위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는 유익하게 튜브의 더 많은 근위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게 하고, 튜브의 보다 원위 구역의 토크 특성을 감소시켜 토크의 과도한 희생 없이 팁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특징은 토크 특성, 유연성 및 팁 성형가능성 사이의 작동 관계를 최적화하기 위해 특정 요구 또는 적용에 맞춰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의 성형 가능한 원위 구역은 성형이 된 후 코어의 원위 구역에 튜브로부터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의 기대치를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의 성형 가능한 원위 구역은 튜브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재료(들)의 탄성 계수보다 약 1.5 내지 4 배 또는 약 2 내지 3배 높은 탄성 계수를 제공하는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으로 제조된다.
도 8은 제1구역 (850), 제2구역 (860) 및 제3구역 (870)을 갖는 튜브 (804)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구역 (860)은 제1구역 (850)에 떨어져 있고, 제3구역 (870)은 제2구역 (860)에 떨어져 있다. 각각의 구역 (850, 860, 870)은 각각의 구역의 절개 패턴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절개 패턴은 튜브 내에 링들 (840) 및 빔들 (83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역 (850, 860, 870)은 각 구역에서 서로 다른 절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역 (850)은 2-빔 절개 패턴을, 제2구역 (860)은 1-빔 절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제3구역 (870)은 2-빔 절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다른 절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구역 (850)은 둘 이상의 빔의 절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제2구역 (860)은 2-빔 절개 패턴 또는 1-빔 절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제3구역 (870)은 1-빔 절개 패턴을 가지거나 절개 패턴이 없을 수 있다. 또한, 튜브 (804)의 다른 실시예는 그 길이를 따라 3개보다 많거나 적은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804)의 일 실시예에는 4개 이상의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튜브 (804)의 일 실시예에는 단지 하나 또는 두개의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절개 패턴이 이용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절개 패턴 및 다른 특징은 또한 본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계속되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5/698,553에 기술되어 있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튜브의 실시예와 유사한 튜브 (904)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a의 튜브는 튜브 (904)를 통해 연장되는 코어 (902)의 원위 구역 (912)과 코일 (914)을 도시하기 위해 제2구역 (960)의 부분 단면도를 또한 도시한다. 여기에는 부분 단면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코어 (902)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원위 단부 (922)까지 연장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 (904)의 제2구역 (960)은 1-빔 절개 패턴을 포함한다. 1-빔 절개 패턴은 한 쌍의 인접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들 (94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일련의 축 방향 연장되는 빔들 (930)을 생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빔들 (93)은 튜브 (904)의 제1측면 (916)에서 튜브 (904)의 제2측면 (918)으로 위치가 교대한다 (즉, 각각의 연속적인 빔들 (93)은 약 180˚의 회전 오프셋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구역 (960)의 1-빔 절개 패턴의 빔들 (903)은 모두 튜브의 동일한 측면을 따라 위치하여,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튜브 (904)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링들 (940)을 연결하는 정렬된 빔들 (93)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제2구역 (960)의 1-빔 절개 패턴은 선호하는 굽힘 평면 (B)을 형성한다. 선호하는 굽힘 평면 (B)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904)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튜브 (904)를 가로 질러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구역 (960)의 빔들 (930)이 튜브 (904)와 축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튜브 (904)는 선호하는 굽힘 평면 (B)을 따라 가장 유연하다. 즉, 빔들 (930)은 튜브 (904)가 다른 어떤 평면보다 선호하는 굽힘 평면 (B)을 따라 구부러지는데 가장 적은 저항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구역 (960)의 절개 패턴은 도 9a에 도시된 빔들 (930)의 교대 패턴을 생성하든, 위에서 논의된 빔들 (930)의 단일 골격을 생성하든 선호하는 굽힘 평면 (B)을 생성한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902)의 원위 구역 (912)은 코일 (914) 및 튜브 (904)를 통해 원위로 연장됨에 따라 테이퍼지고 원위 부분에서 평평한 리본형 구성으로 테이퍼진다. 도 9b는 도 9a의 A-A 평면을 통한 튜브 (904)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코어 (902)의 원위 구역 (912)은 튜브 (904)의 적어도 제2구역 (960) 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리본이다. 코어 (902)의 리본 구성은 큰 치수 (D1) 및 작은 치수 (D2)를 갖는다. 코어 (902)의 원위 구역 (912)의 큰 치수 (D1)는 코어 (912)의 작은 치수 (D2)보다 커서, 코어 (902)의 리본형 원위 구역 (912)의 주 평면이 선호하는 굽힘 평면 (B)에 대해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코어 (902)의 원위 구역 (912)은 튜브 (904)와 함께 선호하는 굽힘 평면 (B) 내에서 굽힘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낮다. 즉, 코어 (912)가 리본으로 테이퍼지고 코어 (902)의 원위 구역 (912)이 제2구역 (960)의 빔들 (930)과 정렬되어 선호하는 굽힘 평면 (B)을 튜브 (904)와 공유하도록 튜브 (904)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904)의 제2구역 (960)의 길이는 약 0.5 cm 내지 약 5 c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904)의 제2구역 (960)의 길이는 약 1cm 내지 약 2cm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904)의 제2구역 (960)은 길이가 약 1 cm 내지 약 1.5 cm이다. 제2구역 (960)이 연장되는 원위 단부 (922)로부터의 거리는 주어진 절차를 위해 구부러 지거나 형상화된 튜브 (904)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절차를 수용하기 위해 실시예 간에 달라질 수 있다. 코일 (914), 튜브 (904) 및 코어 (902)의 재료 및 치수를 포함하고, 절개 패턴과 관련된 특정 특징을 포함하는 도 8 내지 9b에 예시된 실시예의 다른 특징은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도 10은 튜브 (904)의 제1구역 (950)과 제2구역 (960) 사이의 전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구역 (950)은 2-빔 절개 패턴을 포함하고, 제2구역 (960)은 1-빔 절개 패턴을 포함한다. 각 구역에서 튜브 (904)의 강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단 절개가 이루어지면 튜브 (904)에 남아 있는 재료의 양과 나머지 빔들 (930)의 배열/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각각의 인접한 링들 (940) 쌍 사이에 두 개의 빔들 (930)을 갖는 튜브 (904)의 구역은 다른 모든 것이 동일하지만, 각각의 인접한 링들 (940) 쌍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단일 빔 (930)을 갖는 튜브 (904)의 구역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절개 사이에 더 큰 거리를 갖는 튜브 (904)의 구역은 다른 모든 것이 동일하고 절개 사이의 거리가 더 짧은 구역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질 것이다. 즉, 절개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절개 사이에 형성된 링들 (940)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고 해당 구역에서 튜브 (904)의 강성이 더 커진다.
도 10에 도시된 튜브 (904)의 제1구역 (950)과 제2구역 (960) 사이의 전이 지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절개, 링들 (940) 및 빔들 (930)은 튜브 (904)의 강성 프로파일이 두 제1구역 (950)과 제2구역 (96) 사이 전이 지점을 통해 대략 연속적이 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구역 (950)과 제2구역 (96)의 절개 패턴은 전이 지점의 한 측에서 다른 측으로의 강성이 크게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물론, 튜브 (904)를 따라 측정되는 특정 입도 수준에 따라 그리고 측정된 분절의 특정 길이에 따라 측정된 분절로부터 측정된 분절로의 강성의 일부 수준의 불연속적인 변화가 존재할 수 있다. 무한한 수의 강성 측정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측정 가능한 강성 프로파일은 튜브의 일련의 개별 분절 길이 각각에서 측정된 강성 수준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측정된 분절에서 다음 측정된 분절로의 도약(즉, 강성의 변화)은 불연속적일 수 있지만, 그러한 도약의 전체 패턴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세트 또는 적어도 부드러운 곡선에 가깝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맥락에서, 한 분절에서 다음 분절로의 도약이 바로 인접한 도약보다 약 1.5 배 이상 큰 경우에 "상당한 도약"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당한 도약이 방지되고 전이 지점을 가로 지르는 강성 프로파일은 따라서 전이 지점을 가로 지르는 도약이 인접 도약보다 약 1.5 배 이상 크지 않으면 "연속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지점을 가로 지르는 어떤 도약도 인접한 도약보다 약 1.2 배 이상 크지 않다.
도 10은 구역 (950, 960) 사이의 전이에 걸쳐 연속적인 강성 프로파일을 달성하는 링들 (940) 및 빔들 (930)을 갖는 튜브 (904)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구역 (960)의 가장 근위 링 (940a)의 축 방향 두께는 제1구역 (950)의 가장 원위 링 (940b)의 축 방향 두께보다 크다. 이런 식으로, 전이 지점에서 튜브 (904)의 총 재료의 양은 구역 (950, 960) 사이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유사하다. 이로 인해, 상술한 것처럼, 전이에 걸쳐 연속적인 강성이 발생한다. 또한, 제2구역 (960)의 링들 (940)의 축 방향 두께는 튜브 (904)의 길이를 따라 원위로 갈수록 감소하여 강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도 10에 설명되어 있지만, 도 9a에 더 극적으로 표시된다.
도 11에서, 튜브 (904)의 원위 팁 (906)이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원위 팁 (906)은 제3구역 (970), 제2구역 (960)의 적어도 일부, 및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에서 제3구역 (970)의 원위에 배치된 폴리머 접착제 (920)를 포함한다. 튜브 (904)의 제3구역 (970)은 인접한 링들 (940) 쌍 사이에 두 개의 빔들 (930)을 형성하는 2-빔 절개 패턴을 포함한다. 이것은 제2구역 (960)의 1-빔 절개 패턴과 대조된다. 제2구역 (960)과 제3구역 (9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구역 (950)과 제2구역 (960) 간의 전이와 유사 할 수 있다. 즉, 튜브 (904)의 강성은 제2구역 (960)에서 제3구역 (970)으로의 전이를 가로질러 대략 연속적일 수 있다.
튜브 (904)의 원위 단부(922)에 배치된 접착제 (920)는 튜브 (904)와 코어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에서 코어와 튜브 (90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102)의 원위 구역 (112)은 튜브 (104)를 넘어 접착제 (120) 내로 원위로 연장 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120)는 튜브 (104)를 코어 및/또는 코일 (114)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접착제 (920)는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3구역 (970)의 다양한 링들 (940)과 빔들 (930)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절개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로 심지 될 수 있다. 제3구역 (970)의 2-빔 절개 패턴은 접착제 (920)가 접착될 수 있는, 제2구역 (960)의 1-빔 절개 패턴에 비해 튜브 (904) 재료의 추가적인 표면적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3구역 (970)의 2-빔 절개 패턴은 코어 및/또는 코일의 원위 구역과 접착제 (920) 사이에 더 강한 결합을 제공한다. 각 쌍의 인접한 링들 (940) 사이에 2 개 이상의 빔들 (930)을 포함하는 절개 패턴은 따라서 코어 (102) 및/ 또는 코일의 원위 구역과 튜브 (904) 사이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절개가 튜브 (904)로부터 제거되는 재료가 많을수록, 튜브 (904)는 덜 뻣뻣해지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조 중에,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에 더 많은 양의 접착제 (920)를 배치하면 접착제 (920)가 튜브 (904)에 더 근접하게 위킹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제3구역 (970)의 2-빔 절개 패턴은 제3구역 (970)에서 접착제 (920) 심지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는데, 절개 패턴의 절개 수와 간격으로 제조업자에게 효과적인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제3구역 (970)의 이러한 시각적 표시는 또한 기계 또는 다른 자동화 된 제조 장치에서 제조 중에 접착제 (920)가 제3구역 (970)을 근위로 얼마나 멀리 훑는지를 감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자가 제조 중에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에 접착제 (920)를 배치할 때, 접착제는 제3구역 (970)에서 링들 (940)과 빔들 (9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흡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제3구역 (970)의 2-빔 절개 패턴은 제2구역 (960)의 1-빔 절개 패턴과 달리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하며, 제조업자는 튜브 (904)에서 접착제가 한 링(940)에서 다음 링으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업자는 또한 접착제를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에 얼마나 배치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제조업자는 또한 접착제 (920)가 위킹된 링 (940) 또는 미리 결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접착제 (120)의 첨가 중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904)의 제3구역 (970)은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로부터 약 0.5mm 내지 1.5mm 사이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 (904)의 제3구역 (970)은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로부터 약 0.75 mm 및 1.25 mm로 연장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튜브 (904)의 제3구역 (970)은 튜브 (904)의 원위 단부 (922)로부터 약 1 mm 로 연장된다. 제3구역 (970)이 연장되는 원위 단부 (922)는 구부러지거나 성형되어야 하는 튜브 (904)의 길이, 또는 접착제 (920)가 튜브 (904) 위로 충분히 위킹되는데 필요한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튜브 및 절차를 수용하기 위한 실시예 간에 다양할 수 있다. 코일 (914), 튜브 (904) 및 코어 (902)의 재료, 특성 및 치수를 포함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특징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 된 용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는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는 명시된 양 또는 상태에 가까운 양 또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용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는 명시된 양 또는 조건에서 10 % 미만, 5 % 미만, 1 % 미만, 0.1 % 또는 0.01 % 미만으로 차이가 나는 양 또는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 및/또는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또는 설명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와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튜브 구역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구성 요소는 도1 및 2의 가이드 와이어 장치 또는 도 8 내지 도 11의 가이드 와이어 장치의 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데 결합될 수 있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이패스 절개, 깊이 오프셋 2-빔 절개, 및/또는 깊이 대칭 2-빔 절개를 갖는 튜브를 포함 할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조합들에서, 코어 와이어의 원위 팁은 원형, 평면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한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표시된다.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성형가능한 팁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이되, 가이드 와이어 장치는:
    근위 구역 및 원위 구역을 갖는 코어; 및
    코어의 원위 구역이 튜브 구조를 지나도록 코어에 결합되는 튜브 구조로, 제1구역 및 제1구역에 인접하고 제1구역에서 원위인 제2구역을 갖는 튜브 구조;를 포함하는 장치이되,
    튜브 구조는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들을 결합하는 복수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들을 형성하는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개 패턴은 상기 제1구역 내에서 인접한 각 링 사이에 둘 이상의 빔을 형성하고, 제2구역 내에서 인접한 각 링 사이에 단일 빔을 형성하고,
    제2구역의 가장 근위 링의 두께는 제1구역의 가장 원위 링의 두께보다 크고,
    제1구역의 전체 강성은 제2구역의 전체 강성보다 크되, 튜브 구조의 강성은 제1구역과 제2구역 사이의 전이를 가로질러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구역은 0.5 cm 내지 5 cm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구역은 1 cm 내지 2 cm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 구조의 내부 표면과 코어의 원위 구역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튜브 구조 내에 배치된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 구조는 초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구역은 중간 지점을 포함하고, 중간 지점의 근위에 있는 제2구역의 링들은 중간 지점의 원위에 있는 제2구역 링들의 평균 링 두께보다 큰 평균 링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 구조를 코어에 연결하는 튜브 구조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접착제를 더 포함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구역의 빔은 선호하는 굽힘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구역의 링들 사이의 빔들은 튜브 구조의 제1 측면에서 튜브 구조의 제2 측면으로 번갈아 위치를 바꾸고, 제2 측면은 제1 측면이 180˚ 반대편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2구역의 링들 사이의 빔들은 튜브 구조의 단일 측면에 정렬되어 제2구역 내에서 복수의 링들을 연결하는 정렬된 빔들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튜브의 제2구역을 통과하는 코어의 원위 구역의 적어도 일부는 선호하는 굽힘 평면에 수직으로 놓인 주 평면을 갖는 평평한 리본이고,
    제2구역의 빔들 각각은 선호하는 굽힘 평면을 가로지르고, 빔들의 내부 표면은 평평한 리본의 주 평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장치의 원위 팁은 수동으로 성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KR1020247002236A 2018-03-09 2019-03-06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KR20240014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17,255 2018-03-09
US15/917,255 US11052228B2 (en) 2016-07-18 2018-03-09 Guidewire devices having shapeable tips and bypass cuts
KR1020207029028A KR102664167B1 (ko) 2018-03-09 2019-03-06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PCT/US2019/021031 WO2019173527A1 (en) 2018-03-09 2019-03-06 Guidewire devices having shapeable tips and bypass cu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028A Division KR102664167B1 (ko) 2018-03-09 2019-03-06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610A true KR20240014610A (ko) 2024-02-01

Family

ID=658186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236A KR20240014610A (ko) 2018-03-09 2019-03-06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KR1020207029028A KR102664167B1 (ko) 2018-03-09 2019-03-06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028A KR102664167B1 (ko) 2018-03-09 2019-03-06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746169A1 (ko)
JP (2) JP7441173B2 (ko)
KR (2) KR20240014610A (ko)
CN (2) CN112236187B (ko)
AU (1) AU2019231700A1 (ko)
CA (1) CA3093296A1 (ko)
WO (1) WO20191735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5500A1 (en) 2007-07-27 2009-01-29 Harmonic Drive Systems Inc. Wave gea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246B2 (en) * 1999-12-22 2003-06-17 Sarcos, Lc Coronary guidewire system
US20080188928A1 (en) * 2005-09-16 2008-08-07 Amr Salahieh Medical device delivery sheath
US20090177119A1 (en) * 2008-01-03 2009-07-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rticulating intracorporeal medical device
US8376961B2 (en) * 2008-04-07 2013-02-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icromachined composite guidewire structure with anisotropic bending properties
US10363389B2 (en) * 2009-04-03 2019-07-30 Scientia Vascular, Llc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having varying diameters
US8551021B2 (en) * 2010-03-31 2013-10-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wire with an improved flexural rigidity profile
US9072874B2 (en) * 2011-05-13 2015-07-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with a heat transfer region and a heat sink regio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medical devices
WO2017123945A1 (en) * 2016-01-15 2017-07-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lotted tube with planar steering
US11207502B2 (en) * 2016-07-18 2021-12-28 Scientia Vascular, Llc Guidewire devices having shapeable tips and bypass cu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5500A1 (en) 2007-07-27 2009-01-29 Harmonic Drive Systems Inc. Wave gea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6169A1 (en) 2020-12-09
KR20200128738A (ko) 2020-11-16
JP2024028979A (ja) 2024-03-05
CN112236187A (zh) 2021-01-15
CN112236187B (zh) 2022-12-20
CN115779240A (zh) 2023-03-14
CA3093296A1 (en) 2019-09-12
WO2019173527A1 (en) 2019-09-12
JP2021514783A (ja) 2021-06-17
JP7441173B2 (ja) 2024-02-29
KR102664167B1 (ko) 2024-05-07
AU2019231700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624B1 (ko) 말단으로 연장되는 코일 및 성형가능한 팁을 갖는 가이드와이어 장치
US11951267B2 (en) Guidewire devices having shapeable tips and bypass cuts
KR20240052806A (ko) 혈관 내 가이드와이어 및 마이크로카테터 시스템
KR102664167B1 (ko) 성형가능한 팁 및 바이패스 절개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 장치
US20240123196A1 (en) Guidewire devices having distally extending coils and shapeable t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