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214A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14A
KR20240014214A KR1020220091678A KR20220091678A KR20240014214A KR 20240014214 A KR20240014214 A KR 20240014214A KR 1020220091678 A KR1020220091678 A KR 1020220091678A KR 20220091678 A KR20220091678 A KR 20220091678A KR 20240014214 A KR20240014214 A KR 2024001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user
horizontal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조
Original Assignee
김민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조 filed Critical 김민조
Priority to KR102022009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14A/ko
Publication of KR2024001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 앞꿈치로 올라서서 발 뒷꿈치를 들었다 내리는 동작에 의해 종아리등 하체근력운동 및 팔굽혀펴기등의 상체근력운동과 함께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에 놓이는 제1베이스판 및 제2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의 일측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고 사용자의 발 앞꿈치가 올려지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선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의 사이거리가 점점 작아지게 연장되어 경사지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탱하는 경사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상기 수평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상기 수평판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공간인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수평판의 폭방향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는 상체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AL SPORTING GOODS}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 앞꿈치로 올라서서 발 뒷꿈치를 들었다 내리는 동작에 의해 종아리등 하체근력운동 및 팔굽혀펴기등의 상체근력운동과 함께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운동량이 부족한데, 특히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을 하는 직장인들은 다리의 운동량이 부족하여 다리가 매우 취약해지기 쉽고, 게다가 나이가 들면서 근육 손실까지 발생하여 힘이 없어지고 무기력하게 되는 게 현실이다.
이에, 현대인들은 다리의 근력을 키워주기 위해 등산, 걷기등을 하거나, 헬스클럽과 같은 곳에서 근력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력운동방법들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만 하는 것이므로 일부의 사람들만 실행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근력운동을 위한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고가이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92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4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보관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가정에서 간편하게 하체 및 상체 근력운동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에 놓이는 제1베이스판 및 제2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의 일측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고 사용자의 발 앞꿈치가 올려지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선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의 사이거리가 점점 작아지게 연장되어 경사지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탱하는 경사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에는 사용자의 손이 통과하도록 관통된 수용구를 가로지르며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바와;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상기 수평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상기 수평판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공간인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수평판의 폭방향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는 상체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이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는 폭조정대와;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을 상기 폭조정대의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체운동부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의 소정 위치에 관통된 관통홀에 인입되어 상기 폭조정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지구와; 상기 파지구가 상기 관통홀에 일단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구의 타단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파지구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상기 파지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 늘어나는 탄성재질의 탄성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파지구가 상기 폭조정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관통된 보조관통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은 상기 수평판에 상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을 소정 기울기에서 지지하는 소정 높이의 받침구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폭으로 운동기구를 놓고 다리운동, 팔운동, 상체운동 및 스트레칭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인 신발사이즈 부피를 갖는 운동기구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상체운동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상체운동부가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상체운동부가 수직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폭조정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경사판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탄성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제1베이스판 및 제2베이스판에 수용구 및 손잡이바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다기능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두 발 앞꿈치가 각각 올려지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에 놓이는 두 개의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과,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 각각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판(30)과, 수직판(3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40)과, 수평판(40)의 선단에서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판(50)과,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과 수평판(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수평판(40)을 지지하는 지지판(60)과,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과 수평판(40) 사이에 구비되어 수평판(40)의 폭방향으로 인출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는 상체운동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운동기구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이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는 폭조정대(80)와, 폭조정대(80)의 임의 위치에서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90)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경사판(50)이 상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는 경사판(50)을 소정 위치에서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받침구(100)가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에 더 구비된다.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은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이나 본 발명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과, 상호간에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간편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누어 표기한다.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 수직판(30), 수평판(40), 경사판(50)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나무, 합성수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친환경재질인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은 수평판(40)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경사판(50)이 경사지게 구비된 상태에서 일정부분이 경사판(50)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과 수직판(30), 수평판(40)과 수직판(30)은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고, 경사판(50)은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과의 사이거리가 점점 작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수평판(40)은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에 대해 수직판(30)의 높이만큼 소정 높이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앞꿈치가 수평판(40)에 올려지면 발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 앞꿈치를 수평판(40)에 올린 상태에서 발 뒤꿈치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종아리 근육 운동등의 다리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
경사판(50)은 무리한 발 뒤꿈치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몸의 균형이 무너져 넘어지거나 근육 손상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지지판(60)은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 수직판(30), 수평판(40), 경사판(50)에 둘러싸여서 형성된 소정 공간인 수납공간의 내부에 위치되어 가장자리가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 수직판(30), 수평판(40)에 밀착되어 수평판(40) 및 수직판(3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60)은 한 쌍이 구비되어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의 폭방향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의 양측을 차폐하게 되는데, 일측의 지지판(60)은 인출되는 상체운동부(7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의 폭중심으로 후퇴된 위치에 구비되어 수납공간(110)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되어 있다.
상체운동부(7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봉으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파지구(71)와, 파지구(71)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파지구 지지대(72)로 이루어져 있다.
파지구 지지대(72)는 'ㅗ'형으로 형성되어 파지구(71)의 일측에만 구비되어 있다.
지지판(60)에는 파지구(71)가 인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소정 높이에 관통된 관통홀(61)이 형성되어 있다. 파지구(71)는 일단이 관통홀(61)에 인입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파지구 지지대(72)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체운동부(70)는 충분한 길이의 파지구(71)가 관통홀(61)에 인입된 상태에서 슬리이딩되어 수납공간(110)으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된다.
한편, 인출된 상체운동부(70)는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의 두께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는데, 관통홀(61)을 하측으로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의 두께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게 되면, 파지구(71)가 관통홀(61) 상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체운동부(70)를 수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직판(30)에 파지구(71)가 인입되는 보조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60)으로부터 파지구(71)를 완전히 분리한 후, 수직판(30)의 보조관통홀(31)에 파지구(71)를 인입하여 상체운동부(7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체운동부(70)가 수직판(30)의 보조관통홀(31)에 설치되면 파지구(71)가 세로형태로 구비되고, 지지판(60)의 관통홀(61)에 설치되면 파지구(71)가 가로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하는 손의 형태를 세로와 가로 중에 선택하여 팔굽혀펴기를 할 수가 있다.
한편, 제1베이스판(10)과 제2베이스판(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폭조정대(80)는 일정 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종단면은 더브테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한 판재에 폭조정대가 레일처림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의 저면에는 폭조정대(80)가 폭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폭조정대(80)의 종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인 더브테일형의 폭조정홈(120)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은 폭조정대(80)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고정수단(90)은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 폭조정대(80)와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고정하는 클램프, 소정 탄성력에 의해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에서 진퇴되어 돌출되는 걸림쇠와 걸림쇠가 인입되는 것으로 폭조정대에 오목하게 패인 다수의 걸림홈등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가 예시되어 있다.
볼트부재는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관통하여 폭조정대(80)의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폭조정대(80)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경사판(50)이 상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기울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되는 경사판(50)을 소정 기울기에서 고정하는 받침구(100)가 구비된다.
받침구(100)는 'ㅗ'형으로 형성되어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경사조정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구는 그 하단이 경사조정홈(130)에 인입되어 슬라이딩된다.
경사판(50)의 저면에는 받침구(100)의 상단 가장자리 일부가 인입되도록 일정 깊이로 패인 걸림홈(51)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되는 경사판(50)은 소정 기울기에서 받침구(100)의 상단이 걸림홈(51)에 인입됨으로써 지지되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일단이 파지구(71)에 연결되며 탄성에 의해 늘어나는 탄성재질의 탄성밴드(140)가 더 구비된다.
사용자는 수평판(40)에 올라선 상태에서 탄성밴드(140)를 양손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팔운동을 할 수가 있다.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수평판(40) 및 경사판(50)과,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상체운동부(70)의 파지구(71)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판(150)이 부착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판(150)은 표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엠보싱이 형성된 패드이며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두 개의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에 사용자의 손이 통과되는 수용구(160)를 형성하고, 수용구(160)에는 수용구(160)를 가로지르는 손잡이바(170)가 구비되어 있다. 수용구(160)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손잡이바(170)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의 바(bar)로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바((170)는 사용자가 상체운동부(70)를 사용하지 않고 수평판(40)이 바닥에 놓이고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이 상부로 오도록 본 발명을 뒤집은 상태로 놓은 다음, 사용자가 손잡이바(170)를 파지하여 상체 운동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손잡이바(170)는 상체 운동이외에 본 발명을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원하는 폭간격으로 한 쌍의 운동기구를 놓고 운동을 하게 된다.
폭간격은 폭조정대(80)에서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고정수단(90)인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서 제1베이스판(10) 및 제2베이스판(20)을 고정시키면 된다.
소정 폭 간격으로 운동기구가 놓이면, 사용자는 두 발의 앞꿈치를 수평판(4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발 뒤꿈치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종아리 근육운동을 할 수가 있다. 한편, 경사판(50)은 발 뒤꿈치가 하방으로 과도하게 내려가는 것을 제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몸의 균형을 유지시켜 안정적인 동작으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두 발을 경사판(50)에 올려놓아 종아리 근육을 인장시키는 스트레칭을 할 수가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경사판(50)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스트레칭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경사판(50)의 기울기는 경사판(50)을 소정 기울기에 오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받침구(100)를 이동시키고 그 상단을 경사판(50) 저면의 걸림홈(51)에 인입시키면 된다. 이때, 경사판(50)은 받침구(100)에 지지되어 소정 기울기에서 고정된다.
경사판(50)의 기울기는 종아리 근육운동시 발 뒤꿈치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두 발의 앞꿈치가 수평판(40)에 올려놓은 상태 또는 두 발을 경사판(5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서는 스쿼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체운동부(70)를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고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다. 상체운동부(70)가 지지판(60)의 관통홀(61)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파지구(71)를 가로방향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팔굽혀펴기를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체운동부(70)가 수직판(30)의 보조관통홀(31)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파지구(71)를 세로방향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팔굽혀펴기를 할 수가 있다.
상체운동부(70)가 인출된 상태에서 탄성밴드(14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두 발을 수평판(40) 또는 경사판(5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탄성밴드(140)를 잡아당겨 팔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1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쿼드 운동을 하여 그 운동강도를 늘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원하는 폭으로 조정하여 최적의 운동조건을 제공하며, 다리운동, 상체운동, 팔운동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폭조정대 및 받침구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제1베이스판 및 제2베이스판, 수직판, 수평판, 경사판이 결합된 운동기구는 성인 신발사이즈의 부피를 갖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아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제1베이스판 20 : 제2베이스판
30 : 수직판 31 : 보조관통홀
40 : 수평판 50 : 경사판
51 : 걸림홈 60 : 지지판
61 : 관통홀 70 : 상체운동부
71 : 파지구 72 : 파지구 지지대
80 : 폭조정대 90 : 고정수단
100 : 받침구 110 : 수납공간
120 : 폭조정홈 130 : 경사조정홈
140 : 탄성밴드 150 : 미끄럼 방지판
160 : 수용구 170 : 손잡이바

Claims (5)

  1.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에 놓이는 제1베이스판 및 제2베이스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의 일측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고 사용자의 발 앞꿈치가 올려지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선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의 사이거리가 점점 작아지게 연장되어 경사지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탱하는 경사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에는 사용자의 손이 통과하도록 관통된 수용구를 가로지르며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상기 수평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과 상기 수평판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공간인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수평판의 폭방향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는 상체운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이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는 폭조정대와;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을 상기 폭조정대의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운동부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의 소정 위치에 관통된 관통홀에 인입되어 상기 폭조정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파지구와;
    상기 파지구가 상기 관통홀에 일단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구의 타단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파지구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파지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 늘어나는 탄성재질의 탄성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파지구가 상기 폭조정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관통된 보조관통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은 상기 수평판에 상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 및 상기 제2베이스판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을 소정 기울기에서 지지하는 소정 높이의 받침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220091678A 2022-07-25 2022-07-25 다기능 운동기구 KR20240014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78A KR20240014214A (ko) 2022-07-25 2022-07-25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78A KR20240014214A (ko) 2022-07-25 2022-07-25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14A true KR20240014214A (ko) 2024-02-01

Family

ID=8985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678A KR20240014214A (ko) 2022-07-25 2022-07-25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276B1 (ko) 2004-10-29 2006-11-24 (주) 앵클맨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101631434B1 (ko) 2015-02-04 2016-06-17 동진프로텍 주식회사 발목 펌프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276B1 (ko) 2004-10-29 2006-11-24 (주) 앵클맨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101631434B1 (ko) 2015-02-04 2016-06-17 동진프로텍 주식회사 발목 펌프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2329A (en) Exercise apparatus
US8834329B2 (en) Bench press combining full body safety bars and gliding bar holder arms
US8029420B1 (en) Blood clot risk reducing apparatus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8641582B2 (en) Leg-stretching exercise apparatus
US20130023392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exercise support system
US10052511B2 (en) Triceps dip exercise stand
US9498664B2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20140329651A1 (en) Total Body Exercise Device
US3010720A (en) Exercise rack
KR101627359B1 (ko) 리포머 운동기구
US9168417B2 (en) Abdominal exercising apparatus
US9919178B2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 person's calves in two different ways
US20150141219A1 (en) Configurable and storable exercise equipment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EP3246074B1 (en)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KR20240014214A (ko) 다기능 운동기구
US11198030B2 (en) Ped-A-Pull exercise apparatus
AU2017370696A1 (en) Exercise assist device
CN111447975B (zh) 用于辅助体育活动锻炼的器械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14260563U (zh) 一种民族体育防摔的高跷
US6261206B1 (en) Gymnastic apparatus
TWM451994U (zh) 拉筋板之改良
CA2590880C (en) Exercise bench platform with multiple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