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066A - Taci-fc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Taci-fc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4066A KR20240014066A KR1020237044556A KR20237044556A KR20240014066A KR 20240014066 A KR20240014066 A KR 20240014066A KR 1020237044556 A KR1020237044556 A KR 1020237044556A KR 20237044556 A KR20237044556 A KR 20237044556A KR 20240014066 A KR20240014066 A KR 202400140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ci
- fusion protein
- syndrome
- group
- seq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108020001507 fusion proteins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08000021386 Sjogren Syndrom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102000037865 fusion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02100029675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3B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01000795167 Homo sapiens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3B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40121625 telitacicep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02000009786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08010009817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08000034943 Primary Sjögren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FWMNVWWHGCHHJJ-SKKKGAJSSA-N 4-amino-1-[(2r)-6-amino-2-[[(2r)-2-[[(2r)-2-[[(2r)-2-amino-3-phenylpropanoyl]amino]-3-phenylpropanoyl]amino]-4-methylpentanoyl]amino]hexanoyl]piperidi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CCN)C(=O)N1CCC(N)(CC1)C(O)=O)NC(=O)[C@H](N)CC=1C=CC=CC=1)C1=CC=CC=C1 FWMNVWWHGCHHJJ-SKKKGAJS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2220511094 Endothelial cell-specific molecule 1_L14A_mutatio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2220527687 Transmembrane emp24 domain-containing protein 3_L15E_mutatio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1001105586 Xenopus laevis 60S ribosomal protein L18-A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2220327654 rs747078163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3275 alpha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902 placeb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229940068196 placebo Drugs 0.000 description 39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102100024222 B-lymphocyte antigen CD19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1000980825 Homo sapiens B-lymphocyte antigen CD19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100036922 Tumor necrosis factor ligand superfamily member 13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00 immun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446 lig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8010028006 B-Cell Activating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3556 Dry Eye Syndrome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3774 Dry ey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8071 Immunoglobulin Fc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91135 Immunoglobulin Fc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5385 biologic drug Drug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3781 dry mouth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99 exocrine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3390 tumor necrosis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BGFTWECWAICPDG-UHFFFAOYSA-N 2-[bis(4-chlorophenyl)methyl]-4-n-[3-[bis(4-chlorophenyl)methyl]-4-(dimethylamino)phenyl]-1-n,1-n-dimeth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l)=CC=2)C=2C=CC(Cl)=CC=2)C(N(C)C)=CC=C1NC(C=1)=CC=C(N(C)C)C=1C(C=1C=CC(Cl)=CC=1)C1=CC=C(Cl)C=C1 BGFTWECWAICPD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523209 Antis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6942 B-Cell Maturation Anti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8014 B-Cell Maturation Anti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66 CD8-positive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1493 Cyclophil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8682 Cyclophil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40 analysis of vari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66 disease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QZNNVYOVQUKYSC-JEDNCBNOSA-N (2s)-2-amino-3-(1h-imidazol-5-yl)propanoic acid;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O)[C@@H](N)CC1=CN=CN1 QZNNVYOVQUKYSC-JEDNCBNOSA-N 0.000 description 1
- MXBCYQUALCBQIJ-RYVPXURESA-N (8s,9s,10r,13s,14s,17r)-13-ethyl-17-ethynyl-11-methylidene-1,2,3,6,7,8,9,10,12,14,15,16-dodecahydrocyclopenta[a]phenanthren-17-ol;(8r,9s,13s,14s,17r)-17-ethynyl-13-methyl-7,8,9,11,12,14,15,16-octahydro-6h-cyclopenta[a]phenanthrene-3,17-diol Chemical compound OC1=CC=C2[C@H]3CC[C@](C)([C@](CC4)(O)C#C)[C@@H]4[C@@H]3CCC2=C1.C1CC[C@@H]2[C@H]3C(=C)C[C@](CC)([C@](CC4)(O)C#C)[C@@H]4[C@@H]3CCC2=C1 MXBCYQUALCBQIJ-RYVPXURESA-N 0.000 description 1
- NFGXHKASABOEEW-UHFFFAOYSA-N 1-methylethyl 11-methoxy-3,7,11-trimethyl-2,4-dodecadienoate Chemical compound COC(C)(C)CCCC(C)CC=CC(C)=CC(=O)OC(C)C NFGXHKASABOE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CXYFEDJOCDNAF-UHFFFAOYSA-N Asparagine Natural products OC(=O)C(N)CC(N)=O DCXYFEDJOCDN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275 Autoimmu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41 Conjunctiv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700 Drug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14 Herpes zost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623 Hypoalbumi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319 Keratoconjunctivitis Sicc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REOHCLBHSA-N L-Cysteine Chemical compound SC[C@H](N)C(O)=O XUJNEKJLAYXESH-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N L-argi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C(N)N ODKSFYDXXFIFQN-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P L-argininium(2+) Chemical compound NC(=[NH2+])NCCC[C@H]([NH3+])C(O)=O ODKSFYDXXFIFQN-BYPYZUCNSA-P 0.000 description 1
- DCXYFEDJOCDNAF-REOHCLBHSA-N L-asparag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N)=O DCXYFEDJOCDNAF-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ZDXPYRJPNDTMRX-VKHMYHEASA-N L-glutam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O ZDXPYRJPNDTMRX-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AGPKZVBTJJNPAG-WHFBIAKZSA-N L-isoleucine Chemical compound CC[C@H](C)[C@H](N)C(O)=O AGPKZVBTJJNPAG-WHFBIAKZSA-N 0.000 description 1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COLNVLDHVKWLRT-QMMMGPOBSA-N L-phenylal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C1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AYFVYJQAPQTCCC-GBXIJSLDSA-N L-threonine Chemical compound C[C@@H](O)[C@H](N)C(O)=O AYFVYJQAPQTCCC-GBXIJSLDSA-N 0.000 description 1
- QIVBCDIJIAJPQS-VIFPVBQESA-N L-tryptopha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O)=CNC2=C1 QIVBCDIJIAJPQS-VIFPVBQESA-N 0.000 description 1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597 Pyelonephritis acu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AYFVYJQAPQTCCC-UHFFFAOYSA-N Threonine Natural products CC(O)C(N)C(O)=O AYFVYJQAPQTC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3 Threo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IVBCDIJIAJPQS-UHFFFAOYSA-N Tryptophan Natural products C1=CC=C2C(CC(N)C(O)=O)=CNC2=C1 QIVBCDIJIAJP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60008683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78302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3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KZSNJWFQEVHDMF-UHFFFAOYSA-N Valine Natural products CC(C)C(N)C(O)=O KZSNJWFQEVHD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946 Xerosto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555 acute pyelonep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21 argi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89 argin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7 artificial te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82 asparag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30 asparag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3 autoimmu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074 biopharmaceutical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98 bone marrow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50005901 briobacept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311 drug allerg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DXPYRJPNDTMRX-UHFFFAOYSA-N glutam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O ZDXPYRJPNDTM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9637 ianal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47 immunogen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221 immunoglobul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1 in-depth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8 infect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61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3 intrathe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10 isoleu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AGPKZVBTJJNPAG-UHFFFAOYSA-N iso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AGPKZVBTJJNP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61 lacrimal apparat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364 leukope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22 leukopenia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17 methio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COLNVLDHVKWLRT-UHFFFAOYSA-N phenylalan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C=C1 COLNVLDHVKWL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24 primary amino group Chemical group [H]N([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96 proliferativ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79 salivary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28 statistic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3 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01 thyroid function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7199 tibu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00 topi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298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OUYCCCASQSFEME-UHFFFAOYSA-N tyros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O)C=C1 OUYCCCASQSFE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75—NGF/TNF-superfamily, e.g. CD70, CD95L, CD153, CD154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78—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Fc-receptors, e.g. CD16, CD32, CD64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TACI-Fc 융합단백질을 이용한 쇼그렌 증후군 치료용 약물, 이의 복용량 용법, 투여간격 및 투여방식을 제공한다. 그 결과 제공된 TACI-Fc 융합 단백질은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24주차 ESDAI 점수와 MF-20 점수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치료 중에도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냈다.
Description
[0001] 본 개시내용은 쇼그렌 증후군 치료를 위한 약물, 및 그의 복용량 요법, 투여 간격 및 투여 모드에 관한 것이다.
[0002]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SS)은 주로 눈물 및 침샘과 같은 외분비선을 침입하는 만성적 자가 면역 질환이며, 따라서 자가 면역 외분비선 질환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것은 주로 건성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sicca), 결막염(conjunctivitis) 및 구강건조증(xerostomia)을 포함하는 징후를 가지고 있으며 호흡기 시스템, 소화 시스템, 소변 시스템, 혈액 시스템, 신경계, 근육 및 관절과 같은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여러 시스템 및 기관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0003] 쇼그렌의 증후군은 발병률이 높은 전 세계적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는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 및 노인이며, 그 중 90% 이상이 여성이고 어린이는 거의 없다. 지금까지 균일한 진단 기준의 부족으로 인해, 질병의 유병률은 매우 부정확하며 일반적으로 0.1%-0.7%로 추정된다. 미국에서 쇼그렌의 증후군은 유병률에 있어서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어 두 번째이다. 중국에서 10,000 명 이상의 사람들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이 질병의 유병률은 0.29%-0.77%이며, 이는 중국에서 이 질병의 유병률이 0.3%-0.4%의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률보다 낮지 않음을 나타낸다.
[0004] 현재,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는 주로 호르몬을 통해 환자의 비정상 면역 반응을 억제하여 외분비선 및 기타 중요한 기관의 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세계에서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특정 요법이나 생물학적 약물은 없다. 2021년 7월 20일 현재,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 BAFF/BLyS/APRIL을 표적으로 하는 5 개의 새로운 생물학적 약물이 존재한다(표 1 참조).
표 1. 전세계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 BAFF/BLyS/APRI을 표적으로하는 새로운 생물학적 약물
의약품명 | 연구 기관 | 관련 적응증에 대한 세계 최고의 연구개발 현황 |
텔리타시셉트(Telitacicept) | 레미젠(RemeGen) 바이오파마수티칼 (Yantai) Co., Ltd. | 임상 2상 |
이아날루맙(Ianalumab) | 노바티스 | 임상 2상 |
ALPN-303 | 알핀 이뮨 사이언시스(Alpine Immune Sciences) | 전임상 연구 |
브리오바셉트(Briobacept) | 바이오젠(Denmark) A/S; 제넨테크 | 임상 2상 |
티불리주맙(Tibulizumab, Eli Lilly) | 일라이 릴리 | 임상 1상 |
[0005] 따라서, 쇼그렌 증후군 치료 분야에서 중국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충족되지 않은 큰 임상적 수요가 존재한다.
[0006] 다수의 임상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은 놀랍게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TACI-Fc 융합 단백질이 쇼그렌 증후군을 앓고 있는 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예상치 못한 기술적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TACI-Fc 융합 단백질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다음을 포함한다:
[0007] (i) Blys 및/또는 APRIL에 결합하는 TACI 세포외 영역 또는 이의 단편; 그리고
[0008] (ii)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
[0009]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약 0.1 내지 10 mg/kg의 단일 용량으로 투여된다.
[0010] 본 개시내용은 쇼그렌 증후군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TACI-Fc 융합 단백질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0011] 일 구현예에서, TACI 세포외 영역 또는 이의 단편은 서열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1
[0012] 일 구현예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은 IgG1이거나, 또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은 서열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2와 적어도 90%, 적어도 91%, 적어도 92%, 적어도 93%,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6% 동일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2
[0013]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은 서열번호 2의 위치 3, 8, 14, 15, 17, 110, 111 또는 173에 아미노산의 하나 이상의 변형을 포함하며, 여기서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또는 삽입이다.
[0014]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치환은 P3T, L8P, L14A, L15E, G17A, A110S, P111S 및 A173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0015]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은 서열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3
[0016] 일 구현예에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텔리타시셉트(Telitacicept)이고, 서열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서열번호 4
[0017]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피하, 근육내 또는 정맥내로, 또는 허벅지, 복부 또는 상완에 투여된다.
[0018]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1개월 간격으로 2-4회 투여된다.
[0019]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주 1회 빈도로 투여된다.
[0020]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투여는 약 2-50주 동안 지속된다.
[0021]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쇼그렌 증후군은 원발성(primary) 쇼그렌 증후군이다.
[0022]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쇼그렌 증후군은 이차성(secondary) 쇼그렌 증후군이다.
[0023]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160 내지 240mg, 바람직하게는 160mg 또는 240mg의 단일 용량으로 투여된다.
[0024] 본 개시내용은 쇼그렌 증후군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TACI-Fc 융합 단백질의 용도를 추가로 포함한다.
[0025] 본 개시내용에 따라 수행된 임상시험 결과는 텔리타시셉트 치료가 24주차 pSS 환자의 ESSDAI 점수와 MF-20 점수를 유의하게 개선시킴을 나타내었고, pSS 환자에서 텔리타시셉트는 좋은 안전성을 나타냈다.
[0026] 도 1은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G 레벨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27] 도 2는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A 레벨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28] 도 3은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M 레벨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29] 도 4는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CD19+ B세포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30] 도 5는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CD4+ T 세포 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0031] 도 6은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CD8+ T 세포 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27] 도 2는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A 레벨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28] 도 3은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M 레벨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29] 도 4는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CD19+ B세포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30] 도 5는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CD4+ T 세포 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0031] 도 6은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CD8+ T 세포 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0032]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 및 기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당업계의 정의 및 용어에 대해, 숙련된 기술자는 문헌(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Ausubel))을 참조할 수 있다.
[0033]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아미노산의 3-문자 코드 및 1-문자 코드는 문헌(J.biol.chem, 243, p3558(1968))에 기재된 바와 같다.
[0034] 본 개시내용은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서 막횡단 활성화제, 칼슘 조절제 및 사이클로필린 리간드 상호작용자(TACI)-면역글로불린 융합 단백질(즉, TACI-Fc 융합 단백질)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환자는 바람직하게는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이다.
[0035] 본 개시내용에서 용어 "TACI"는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인 막횡단 활성화제 및 CAML 상호작용자를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용어 "BLys"는 B 림프구 자극제를 의미하며, 이는 막-결합형과 가용성 형태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 TNF 리간드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으로, 골수 세포 표면 상에 발현되며 선택적으로 B 림프구의 증식과 면역글로불린의 생성을 자극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용어 "APRIL"(증식 유도 리간드)은 종양 괴사 인자(TNF) 유사체를 의미하며, 이는 체내 원시 B 세포 및 T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고, B 세포의 축적을 촉진하며, 비장 내 그들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APRIL은 TACI 및 BCMA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은 APRIL이 B 세포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APRIL에 의해 자극된 원시 B 세포의 증식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APRIL은 수용체(BCMA 및 TACI)에 대한 결합을 놓고 BLys와 경쟁할 수 있다.
[0036] 본 개시내용에 관련된 용어 "TACI-Fc 융합 단백질"은 막횡단 활성화제, 칼슘 조절제 및 사이클로필린 리간드 상호작용자(TACI)-면역글로불린 융합 단백질(즉, TACI-Fc 융합 단백질)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공되는 TACI-면역글로불린 융합 단백질은 (i) Blys 및/또는 APRIL에 결합하는 TACI 세포외 영역 또는 이의 단편; 및 (ii)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을 포함한다.
[0037] 용어 "TACI 세포외 영역 또는 Blys 및/또는 APRIL에 결합하는 이의 단편"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번호 제5,969,102호, 제6,316,222호 및 제6,500,428호와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569,245호 및 제09/627,206호에 개시된 TACI 세포외 도메인 및 TACI 리간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TACI 세포외 도메인의 특정 단편을 참조할 수 있는데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에 참조로 포함되며, 또는 중국 특허 공개 번호 CN101323643A에 개시된 TACI 세포외 도메인의 아미노산 13-118의 단편을 참조할 수 있다.
[0038] 본 개시내용에서 제공되는 TACI-면역글로불린 융합단백질의 면역글로불린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인간의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IgG1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IgG1 중쇄 불변 영역은 야생형 IgG1 Fc 단편 또는 돌연변이된 IgG1 Fc 단편일 수 있는 CH2 및 CH3 도메인을 함유하는 IgG1 Fc 단편을 포함한다.
[0039]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이라는 용어에서, 면역글로불린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인간의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IgG1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은 힌지 영역 도메인의 일부, CH2 도메인 및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단편이다. 일부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은 서열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2와 적어도 90%, 적어도 91%, 적어도 92%, 적어도 93%,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일부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은 서열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0040] 본 개시내용에 포함된 용어 "아미노산"은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며, 이는 아미노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 부류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내용에 관련된 아미노산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주요 단위이며, 이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프롤린, 트립토판, 세린, 티로신, 시스테인, 페닐알라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트레오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라이신,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을 포함한다.
[0041]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아미노산의 3-문자 코드 및 1-문자 코드는 문헌(J.biol.chem, 243, p3558(1968))에 기재된 바와 같다. 카바트(Kabat) 넘버링 시스템, EU 넘버링 시스템, 및 서열 넘버링과 같은 아미노산 위치를 넘버링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서열번호 매기기"를 이용하여 아미노산의 위치를 넘버링하는데,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서 "서열번호 2의 3, 8, 14, 15, 17, 110, 111 또는 173번 위치"는 서열번호 2의 3번째 아미노산, 8번째 아미노산 등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서 "P3T"는 서열번호 2의 3번째 아미노산이 종전 "P"에서 "T"로 변이된 것, 그리고 "L8P"는 서열번호 2의 8번째 아미노산이 종전 "L"에서 "P"로 변이된 것 등을 의미한다.
[0042] 대안적인 구현예로서,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공되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치환(즉, 돌연변이), 추가(즉, 삽입) 또는 결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이 도입될 수 있다.
[0043]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텔리타시셉트"는 TACI-Fc 융합 단백질을 의미하며, INN 명칭은 Telitacicept이고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4 또는 https://extranet.who.int/soinn/mod/page/view.php?id=137&inn_n=10932를 참조하라.
[0044] 본 개시내용의 TACI-Fc 융합 단백질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데, 비제한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 정맥내 주입, 근육내 주입, 동맥내 주입, 골수내 주입, 복강내 주입, 척수강내 주입, 심장내 투여, 경피 투여, 경피 투여, 국소 투여, 피하 투여, 비강 투여, 장내 투여, 설하 투여, 질 투여, 직장 투여 등.
[0045] 본 개시내용에 포함된 용어 "치료"는 주어진 질병 또는 상태와 관련되며, 이는 비제한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질병 또는 상태의 발병을 예방하는 것과 같이 질병 또는 상태를 억제하는 것; 질병 또는 상태의 퇴행 유발과 같은 질병 또는 상태의 완화; 또는 질병 또는 상태의 증상을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과 같이 질병 또는 상태로 인한 증상을 개선하는 것.
[0046]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다음 실시예가 단지 본 개시내용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0047] 실시예 1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대한 텔리타시셉트의 임상시험
[0048] 1. 연구방법
[0049] 본 연구는 다-기관,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제2상 임상 연구였다. 피험자는 스크리닝 기간 동안 ESSDAI≥5가 요구되는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pSS)을 갖는 항-SSA 항체 양성 환자로 확인되었다. 임상시험은 스크리닝 기간과 이중-맹검 치료 기간을 포함하는, 2개 부분으로 나뉘었다. 스크리닝 기간은 -28일부터 -1일까지였으며, 이 기간 동안 포함 기준은 충족하고 제외 기준은 충족하지 않은 피험자를 1:1:1 비율에 따라 위약군, 텔리타시셉트 160mg군, 텔리타시셉트 240mg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이중-맹검 치료기간은 0일차부터 168일차(24주차)까지였으며, 이 기간 중 약물을 주 1회, 총 24회 투여하였다.
번호 | 명칭 | 투여 방법 |
1 | 위약군 | 투여방법 및 용량: 유효성분(히스티딘염산염, 아르기닌염산염, 만니톨 및 자당 포함)을 함유하지 않는 동결건조된 주입용 제제; 피하 주입; 주 1회, 24-주 치료 과정. |
2 | 텔리타시셉트 160mg군 | 투여방법 및 용량: 동결건조된 주입용 제제; 피하 주입; 주 1회, 매회 160 mg, 24-주 치료 과정. |
3 | 텔리타시셉트 240mg군 | 투여방법 및 용량: 동결건조된 주입용 제제; 피하 주입; 주 1회, 매회 240 mg, 24-주 치료 과정. |
[0050] 2. 포함된 피험자
[0051]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2016 ACR/EULAR 분류 기준을 충족하고 안구 건조 또는 구강 건조 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즉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양성인 환자가 포함되었다:
· 3개월 이상 매일 참기 힘든 안구 건조증이 지속됨;
· 눈에 모래 같은 느낌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 하루에 3번 이상 인공 눈물을 사용해야 함;
· 3개월 이상 매일 입이 마름;
· 건조한 음식을 삼킬 때 자주 마시는 도움이 필요하고, 항-SSA 항체 양성이고 ESSDAI≥5임.
[0052] 3. 평가 기준
[0053] 3.1 효능 지표
[0054] 3.1.1 주요 효능 지표
·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24주차의 ESSDAI 점수 변화.
[0055] 3.1.2 2차 효능 지표
·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12주차의 ESSDAI 점수 변화;
·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12주차와 24주차의 ESSPRI 점수 변화;
·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12주차와 24주차에 의사의 전반적인 평가에 대한 질병 활동의 변화;
·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12주차와 24주차에 환자의 전반적인 평가에서 질병 활성도의 변화;
·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12주차와 24주차의 SF-36 변화;
·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12주차와 24주차의 MFI-20 변화;
· 자극되지 않은 전체 타액(UWS) 유속;
· 5분에 여과지 스트립의 젖은 부분의 앞쪽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눈금;
· 면역학적 지표: IgG, IgA, IgM, 보체(C3, C4), 총 B 림프구 수(CD19+), CD4+ T 세포 수 및 CD8+ T 세포 수.
[0056] 3.2 안전성 평가
· 부작용;
· 실험실 테스트;
· 활력징후;
· 흉부 엑스레이;
· 심전도;
· 면역원성.
[0057] 4. 통계적 방법
[0058]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SAS 9.4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테스트는 양-측 테스트였으며 P 값이 ≤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연속 변수는 평균, 표준 편차, 중앙값,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 설명되었으며 개수 및 순위 데이터는 빈도 및 백분율로 설명되었다.
[0059] 본 연구에는 3가지 분석 세트가 있다:
· 전체 분석 세트(FAS): 전체 분석 세트는 무작위로 추출되어 시험 약물을 1회 이상 사용한 모든 사례의 집합을 의미한다.
· 프로토콜별 세트(PPS): 프로토콜별 세트는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충분히 준수하는 피험자가 생성한 데이터 세트이며, 준수에는 받은 치료, 1차 종말점 지표 측정의 접근성, 임상시험 프로토콜의 중대한 위반 없음이 포함된다.
· 안전성 세트(SS): 적어도 1회의 치료를 받고 안전성 지표가 기록된 사례로부터의 실제 데이터 세트이다. 이상 사례 발생의 경우, 안전 세트 내 사례 수를 분모로 사용한다.
[0060] 5. 인구통계 및 베이스라인 특성
[0061] 본 시험에서는 57명의 환자를 선별하였고, 42 케이스가 무작위로 등록되었으며, 그 중 30 케이스는 24주 시험 관찰을 완료하였고 12 케이스는 시험을 조기에 중단하였다. 최종적으로 전체 분석 세트(FAS)에 42개 케이스가 포함되었고, 프로토콜별 세트(PPS)에 30개 케이스가 포함되었으며, 안전 세트(SS)에 42개 케이스가 포함되었다. 위약군에서는 FAS가 14 케이스, PPS가 10 케이스, 그리고 SS가 14 케이스였다. 160mg군에서는 FAS가 14 케이스, PPS가 12 케이스, 그리고 SS가 14 케이스였다. 240mg군에서는 FAS가 14 케이스, PPS가 8 케이스, 그리고 SS가 14 케이스였다.
[0062] 베이스라인에서, 240mg군(N=14), 160mg그룹(N=14) 및 위약군(N=14)의 피험자의 다음을 포함하는 특성은 모두 유사했다(P>0.05): 나이, 키, 체중, BMI, 성별, 민족, 직업, 결혼 여부, 생식 상태, 흡연 이력, 약물 알레르기 병력, 일차 쇼그렌 증후군 경과, 일차 쇼그렌 증후군 진단 점수, 일차 쇼그렌 증후군 발현, 일차 쇼그렌 증후군 치료 이력, 활력 징후, 바이러스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면역학적 지표, ESSDAI 총점, 조사자의 질병 종합 평가, ESSPRI 총점 및 각 차원의 점수, 피험자의 질병 종합 평가, SF-36 총점 및 각 차원의 점수, MFI-20 총점과 각 차원의 점수, 자가항체 검사, BLyS 농도, 및 APRIL 농도.
[0063] 6. 효능 결과
[0064] 6.1 1차 효능 종말점
[0065] 본 연구의 주요 효능 종말점은 24주차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ESSDAI 점수의 변화였다. 분석 시 MMRM(Mixed-Effect Model for Repeat Measures)을 이용하여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누락된 데이터는 채우지 않았다. FAS 분석 결과, 치료 후 24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ESSDAI 점수 변화와 95% CI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위약군(N=14)에서 -0.3 [95% CI: -2.1~1.6]; 160mg군(N=14)에서 -4.0 [95% CI:-5.7~-2.3]; 240mg군(N=14)에서 -3.1 [95% CI:-5.2~-1.0]. MMRM 비교에 따르면 16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4), 24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4). PPS 분석 결과, 치료 후 24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ESSDAI 점수 변화와 95% CI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위약군(N=10)에서 -0.2 [95% CI: -1.8~1.4]; 160mg군(N=12)에서 -3.9 [95% CI: -5.4~-2.5]; 240mg군(N=8)에서 -3.1 [95% CI: -4.8~-1.3]. MMRM 비교에 따르면 16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24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9).
[0066] 6.2 2차 효능 종말점
[0067] 6.2.1. 12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ESSDAI 점수 변화
[0068] 12주차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ESSDAI 점수의 변화는 본 연구의 2차 효능 지표 중 하나이다. 분석 시 MMRM(Mixed-Effect Model for Repeat Measures)을 이용하여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누락된 데이터는 채우지 않았다. FAS 분석 결과, 치료 후 12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ESSDAI 점수 변화와 95% CI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위약군(N=14)에서 0.7 [95% CI: -1.0~2.4]; 160mg군(N=14)에서 -3.8 [95% CI: -5.5~-2.1]; 240mg군(N=14)에서 -2.5 [95% CI: -4.3~-0.6]. MMRM 비교에 따르면 16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24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3). PPS 분석 결과, 치료 후 12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ESSDAI 점수 변화와 95% CI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위약군(N=10)에서 -0.5 [95% CI: -2.1~1.1]; 160mg군(N=12)에서 -3.8 [95%CI: -5.2~-2.3]; 240mg군(N=8)에서 -2.9 [95% CI: -4.7~-1.2]. MMRM 비교에 따르면 16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3), 24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5).
[0069] 6.2.9. 면역학적 지표
[0070] 면역학적 지표에는 IgG, IgA, IgM, 보체(C3, C4), B 림프구의 총 수(CD19+), CD4+ T 세포의 수 및 CD8+ T 세포의 수가 포함된다. 치료 후 베이스라인과 비교한 면역학적 지표의 변화를 분산 분석을 통해 그룹 간 비교했다. 분산 분석에서 P가 ≤0.05인 경우 LSD-t 테스트를 사용하여 그룹 간 쌍 비교를 수행했다. 분석에는 FAS의 실제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0071] 위약군에 비해 텔리타시셉트 치료군의 IgG, IgA, IgM 레벨은 4주차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러한 감소는 24주차까지 지속되었다. 24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G 레벨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1.02±21.855, -23.91±10.199, 및 -28.40±11.219, 여기서 160mg군 및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01), 240mg군 및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4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A 레벨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1.29±14.749, -47.55±8.790, 및 -49.18±11.294, 여기서 160mg군 및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01), 240mg군 및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4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에서 IgM 레벨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7.87±19.062, -55.74±11.010, 및 -61.61±8.692, 여기서 160mg군 및 위약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01), 240mg군 및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베이스라인 대비 각 군에서 IgG, IgA, 및 IgM 레벨의 변화율을 통시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0072] 위약군과 비교하여, 텔리타시셉트 치료군에서는 CD19+ B 세포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4주차 베이스라인 대비 위약군, 160mg군, 240mg군의 CD19+ B세포 수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6.31±32.826, -29.26±44.698, 및 -39.36±37.836, 여기서 160mg군 및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44), 240mg군과 위약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21).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각 그룹에서 CD19+ B 세포 수의 변화율에 대한 통시적 분석을 도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0073] 6.3 안전성 결과
[0074] 위약군 중 단 한 명의 피험자만이 저알부민혈증, 대상포진, 폐결핵, 감염성 폐렴 및 악화된 쇼그렌 증후군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보였으며 이는 치료 후 완화되었다.
[0075] 240mg군에서 단 2명의 피험자만이 각각 급성 신우신염 및 백혈구감소증인, 중증 및 보다 중증(CTCAE 등급 3-5)의 부작용을 경험했다.
[0076] 6.4 결론
[0077] 위약군과 비교하여 텔리타시셉트 치료는 24주차 pSS 환자의 ESSDAI 점수와 MF-20 점수를 유의하게 개선시켰으며; 텔리타시셉트는 pSS 환자에서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
[0078] 위의 설명은 단지 예시로서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을 효과로 구현하는 데 필요한 특징들의 조합을 제한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제목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구현예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함유하는(including)", "포함하는(comprising)" 및 "함유하는(containing)" 같은 용어는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단수형 "하나(a)", "하나(an)" 및 "그(the)"는 복수형을 포함하며, "또는(or)"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0079] 본 출원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및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에 기술된 방법 및 조성물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발명은 이러한 특정 구현예에 과도하게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당업자에게 명백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된 모드의 많은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6)
-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SS)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TACI-Fc 융합 단백질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다음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i) Blys 및/또는 APRIL에 결합하는 TACI 세포외 영역 또는 이의 단편; 및
(ii)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 - 제1항에 있어서, Blys 및/또는 APRIL에 결합하는 TACI 세포외 영역 또는 이의 단편이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인간 면역글로불린이 IgG1이거나, 또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이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2와 적어도 90%, 적어도 91%, 적어도 92%, 적어도 93%,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6%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이 서열번호 2의 3, 8, 14, 15, 17, 110, 111 또는 173 위치에 아미노산의 하나 이상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또는 삽입인 것인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치환이 P3T, L8P, L14A, L15E, G17A, A110S, P111S 및 A173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단편이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인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텔리타시셉트(Telitacicept)인 것인 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쇼그렌 증후군이 원발성 쇼그렌 증후군 또는 이차성 쇼그렌 증후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약 0.1 내지 10 mg/kg의 단일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160 내지 240 mg, 바람직하게는 160 mg 또는 240 mg의 단일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피하, 근육내 또는 정맥내로, 또는 허벅지, 복부 또는 상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TACI-Fc 융합단백질은 1개월 간격으로 2-4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TACI-Fc 융합 단백질은 주 1회의 빈도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투여는 약 2-50주 동안 지속되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11156909.2 | 2021-09-30 | ||
CN202111156909 | 2021-09-30 | ||
PCT/CN2022/122399 WO2023051660A1 (zh) | 2021-09-30 | 2022-09-29 | 用TACI-Fc融合蛋白治疗干燥综合征的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4066A true KR20240014066A (ko) | 2024-01-31 |
Family
ID=8578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4556A Pending KR20240014066A (ko) | 2021-09-30 | 2022-09-29 | Taci-fc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18212A1 (ko) |
EP (1) | EP4296287A4 (ko) |
JP (1) | JP2024512935A (ko) |
KR (1) | KR20240014066A (ko) |
CN (1) | CN117203242A (ko) |
AU (1) | AU2022358137A1 (ko) |
CA (1) | CA3202187A1 (ko) |
TW (1) | TW202333771A (ko) |
WO (1) | WO20230516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94467A (zh) | 2020-05-08 | 2023-05-30 | 高山免疫科学股份有限公司 | 具有和不具有t细胞抑制蛋白的april和baff抑制性免疫调节蛋白及其使用方法 |
BR112023018745A2 (pt) * | 2021-08-10 | 2024-03-12 | Remegen Co Ltd | Método para tratar nefropatia por iga com proteína de fusão de taci-fc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69102A (en) | 1997-03-03 | 1999-10-19 |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 Lymphocyte surface receptor that binds CAML, nucleic acids encod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e thereof |
RS52228B (en) * | 2001-05-24 | 2012-10-31 | Zymogenetics, Inc. | TACI-IMUNOGLOBULINSKI PROTEIN FUNCTIONS |
CA2651791A1 (en) * | 2006-05-15 | 2007-11-22 | Ares-Trading S.A. | Methods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using a taci-ig fusion molecule |
CN101323643B (zh) | 2007-06-15 | 2010-12-01 | 烟台荣昌生物工程有限公司 | 优化的TACI-Fc融合蛋白 |
CN105168123B (zh) * | 2007-11-12 | 2019-03-08 | 阿雷斯贸易股份有限公司 | Taci-免疫球蛋白融合蛋白制剂 |
CN102085368B (zh) * | 2011-01-19 | 2013-06-12 | 烟台荣昌生物工程有限公司 | 优化的TACI-Fc融合蛋白用于制备治疗系统性红斑狼疮药物的应用 |
US9209076B2 (en) | 2013-11-22 | 2015-12-08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Method of double patterning lithography process using plurality of mandrels fo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
JP2015194855A (ja) | 2014-03-31 | 2015-11-05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
CN110522908A (zh) * | 2018-05-25 | 2019-12-03 | 荣昌生物制药(烟台)有限公司 | TACI-Fc融合蛋白用于制备治疗视神经脊髓炎谱系疾病和多发性硬化之药物中的应用 |
WO2021115321A1 (zh) * | 2019-12-10 | 2021-06-17 | 荣昌生物制药(烟台)股份有限公司 | TACI-Fc融合蛋白药物制剂 |
-
2022
- 2022-09-29 KR KR1020237044556A patent/KR20240014066A/ko active Pending
- 2022-09-29 EP EP22875043.6A patent/EP4296287A4/en active Pending
- 2022-09-29 CN CN202280021391.8A patent/CN117203242A/zh active Pending
- 2022-09-29 JP JP2023557035A patent/JP2024512935A/ja active Pending
- 2022-09-29 AU AU2022358137A patent/AU2022358137A1/en active Pending
- 2022-09-29 WO PCT/CN2022/122399 patent/WO2023051660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9-29 US US18/257,872 patent/US20240018212A1/en active Pending
- 2022-09-29 CA CA3202187A patent/CA3202187A1/en active Pending
- 2022-09-30 TW TW111137348A patent/TW202333771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96287A1 (en) | 2023-12-27 |
EP4296287A4 (en) | 2025-01-15 |
JP2024512935A (ja) | 2024-03-21 |
US20240018212A1 (en) | 2024-01-18 |
CA3202187A1 (en) | 2023-04-06 |
AU2022358137A9 (en) | 2024-10-24 |
CN117203242A (zh) | 2023-12-08 |
TW202333771A (zh) | 2023-09-01 |
WO2023051660A1 (zh) | 2023-04-06 |
AU2022358137A1 (en) | 2023-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014066A (ko) | Taci-fc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 |
JP5646617B2 (ja) | 多発性硬化症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 |
HUE029027T2 (en) | Procedures for Multiple Myeloma Treatment Using HuLuc63 and Bortezomib Combination Therapies | |
KR20150138240A (ko) | 리툭시맙 유도 요법과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요법 | |
JP2013100313A (ja) | Taci融合分子を使用する自己免疫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 | |
WO2021133476A1 (en) | Combination therapy using an il-2 receptor agonist and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 |
EP4442702A1 (en) | Method for treating myasthenia gravis with taci-fc fusion protein | |
Johnson | Herpes zoster and postherpetic neuralgia: optimal treatment | |
TW202227131A (zh) | 帕金森氏症之治療 | |
RU2829509C2 (ru) |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индрома шегрен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литого белка taci-fc | |
ES2996275T3 (en) | Therapeutic method using dose escalation protocol for tolerogenic peptides | |
WO2019034862A1 (en) | METHOD | |
KR101226605B1 (ko) | 질병의 치료 | |
US11167005B2 (en) | Peptides f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 |
EP1100829B1 (en) | Use of basiliximab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or skin diseases | |
WO2023034182A1 (en) | Non-opioid methods for treating pain | |
Ntoukaki et al. | A Promising Antigen-specific Immun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Myasthenia Gravis | |
Zwibel | Long-term experience of glatiramer acetate (Copaxone) in the treatment of clinically isolated syndrome and 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 |
BR112022021284B1 (pt) | Composição farmacêutica, seu uso para tratar ou prevenir um câncer induzido pelo vírus do papiloma humano, e combinação | |
HK40016470B (en) | Therapeutic method using dose escalation protocol for tolerogenic peptides | |
HK40016470A (en) | Therapeutic method using dose escalation protocol for tolerogenic peptides | |
HK40012327A (en) | Peptides f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2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