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969A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969A
KR20240013969A KR1020220090899A KR20220090899A KR20240013969A KR 20240013969 A KR20240013969 A KR 20240013969A KR 1020220090899 A KR1020220090899 A KR 1020220090899A KR 20220090899 A KR20220090899 A KR 20220090899A KR 20240013969 A KR20240013969 A KR 2024001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de
touch
axis direction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969A/ko
Priority to US18/116,396 priority patent/US20240028148A1/en
Priority to CN202321824793.XU priority patent/CN220569156U/zh
Publication of KR2024001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25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or a plurality of detectors forming a reference frame from which to derive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 e.g. by triangulation or on the basis of reference deformation in the picked up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9Image acquisition by sensing codes defining pattern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코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이 배열된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화소들 각각이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없이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를 이용한 터치 입력, 및 전자 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지원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전자 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터치 입력만을 이용할 때보다 더욱 세밀하게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들에 형성된 코드 패턴들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코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이 배열된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은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 중 일부 터치 전극들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미리 설정된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터치 전극들의 전면 절연층 상에 상기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투명성 필름상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성 필름과 함께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X축 또는 Y축의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 또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는 0, 3 또는 0, 4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숫자 코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은 가상으로 미리 설정된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과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기 교차 포인트 위치들의 상, 하, 좌, 우 또는 교차 포인트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터치 입력 시스템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터치를 입력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코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이 배열된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X축 또는 Y축의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 또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는 0, 3 또는 0, 4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숫자 코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은 가상으로 미리 설정된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과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기 교차 포인트 위치들의 상, 하, 좌, 우 또는 교차 포인트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을 감지하여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를 검출하는 코드 검출부, 및 상기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을 가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의 배치 위치를 식별하여 터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코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프로세서는 터치가 시작되는 검출 영역의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와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매칭시켜 비교하고,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 대비 상기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지털 위치 코드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디지털 위치 코드들을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지정 위치 코드들과 비교하여 상기 터치가 시작되는 검출 영역에 대한 터치 시작 및 진입 방향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코드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위치 코드들이 추출되면, 상기 터치가 시작되는 검출 영역과 가장 인접한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X축 또는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 영역의 진입 방향 좌표와 상기 X축 또는 Y축 위치 좌표를 조합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에 의하면, 표시 패널에 형성된 코드 패턴들을 이용하여 복잡한 연산 및 보정 없이 더욱 정확하게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에 의하면,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코드 패턴들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 시작 지점이나 진입 위치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자리 영역의 터치 위치 미검출 오류를 없애고, 보다 정확한 입력 좌표에 의한 터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구동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와 표시 장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싱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1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 전극과 감지전극들의 연결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B1 영역에 형성된 코드 패턴들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각 발광 영역들의 사이에 형성된 코드 패턴들의 배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의 코드 프로세서의 코드 패턴 위치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터치 센서 영역의 코드 패턴들에 의해 형성된 위치 코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터치 입력 장치에서 검출된 위치 코드 및 검출 위치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터치 센서 영역의 외곽에 영역에 형성된 위치 코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터치 입력 장치에서 검출된 위치 코드 및 검출 위치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다른 도면이다.
도 16은 터치 센서 영역의 코드 패턴들에 의해 형성된 위치 코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터치 입력 장치에서 검출된 위치 코드 및 검출 위치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코드 프로세서의 코드 패턴 위치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와 표시 장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표시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표시 구동부(200), 터치 구동부(400), 메인 프로세서(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치 입력 장치(20)는 코드 검출부(21), 압전 센서(22), 코드 프로세서(23), 통신 모듈(24), 및 메모리(25)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는 터치 입력 장치(20)를 터치 입력 기구로 이용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10)의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DU), 및 손가락 등의 인체 부위와 터치 입력 장치(20) 등을 감지하는 터치 센싱부(TSU)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표시부(DU)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를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터치 센싱부(TSU)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싱부(TSU)는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여, 정전 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부(TSU)는 복수의 터치 전극 중 일부 터치 전극의 전면 절연층 상에 패터닝되거나, 터치 센싱부(TSU) 전면의 투명성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코드 패턴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센싱부(TSU)의 코드 패턴들은 터치 입력 장치(20)의 적외선 광 반사 감지시 터치 입력 장치(20)에 감지된다.
구체적으로, 코드 패턴들은 각 화소들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각 화소들의 사이 영역인 비발광 영역에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코드 패턴들은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태로 복수의 터치 전극 중 일부의 전극들의 전면 일부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 패널(100)의 코드 패턴들은 복수의 터치 전극 중 일부 전극의 전면 방향에 소정 면적의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드 패턴들은 차광 부재(또는 흡광 부재)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의 반사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코드 패턴들은 차광 부재나 반사 부재의 평면 코드 형상, 및 평면 코드의 크기에 등에 따라 터치 입력 장치(20)에 감지된다.
한편, 코드 패턴들은 일부 터치 전극들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소정 면적의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터치 전극들의 전면 절연층 상에 소정 면적의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코드 패턴들은 별도의 투명성 필름상에 형성되어, 투명성 필름과 함께 터치 센싱부(TSU)의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드 패턴들은 일부 터치 전극들의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투명성 필름상에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싱부(TSU)의 상부 또는 전면에 배치되는 코드 패턴들의 형성 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응용 및 적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하에서는 코드 패턴들이 터치 전극들의 전면 절연층 상에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형성된 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코드 패턴들의 구체적인 배열 및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서 이후에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터치 센싱부(TSU)는 복수의 터치 전극 형성시 복수의 터치 전극과 동일한 공정 과정을 통해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복수의 그리드 패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드 패턴들은 터치 입력 장치(20)에서 위치 좌표 산출을 위한 복수의 그리드 기준 라인 형성시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그리드 기준 포인트가 되는 패턴들로서, 복수의 터치 전극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터치 전극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그리드 패턴들은 복수의 그리드 기준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그리드 기준 포인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드 패턴들은 각각의 그리드 기준 포인트 위치에서 복수의 터치 전극으로부터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그리드 패턴들은 각각의 기준 포인트 위치에서 터치 전극들과는 분리되어, 미리 설정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면적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그리드 패턴들은 평면상 가로, 세로, 및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폭이나 넓이가 각 터치 전극들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각 그리드 패턴의 광 반사율이 주변 터치 전극들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표시부(DU)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전원 배선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며, 게이트 구동부에 게이트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터치 센싱부(TSU)에 접속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터치 센싱부(TSU)의 복수의 터치 전극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복수의 터치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복수의 터치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여부 및 터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500)는 표시 장치(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500)는 표시 패널(100)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구동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500)는 터치 구동부(400)로부터 터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터치 좌표를 판단한 후, 터치 좌표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사용자의 터치 좌표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인 프로세서(500)는 터치 입력 장치(20)로부터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여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 좌표를 판단한 후, 터치 좌표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 좌표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통신부(600)는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00)는 터치 입력 장치(20)의 통신 모듈(24)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600)는 터치 입력 장치(20)로부터 데이터 코드로 구성된 좌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좌표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500)에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20)는 터치 입력 기구로 이용되며, 스타일러스펜(Stylus Pen), 스마트 펜(Smart Pen) 등과 같은 전자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20)는 광학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광이나 표시 패널(100)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전자펜으로서, 감지된 광에 기반해서 표시 패널(100)에 포함된 코드 패턴들을 검출하고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 장치(20)는 필기구 형상의 전자 펜일 수 있으나, 단순히 필기구 형태나 구조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검출부(21)는 터치 입력 장치(20)의 펜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에 포함된 코드 패턴들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코드 검출부(21)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광원을 이용해서 적외선 광을 출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21(a)), 및 코드 패턴들을 포함한 터치 센싱부(TSU)의 일부면에서 반사된 적외선 광을 적외선 카메라로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21(b))를 포함한다.
발광부(21(a))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광원은 행렬 구조의 적외선 LED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광부(21(b))의 적외선 카메라는 적외선 이외의 파장 대역을 차단하고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필터, 필터를 통과한 적외선을 포커싱하는 렌즈계, 및 렌즈계에 의해 형성된 광학 이미지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광학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이미지 센서는 적외선 LED 어레이와 마찬가지로 행렬 구조의 어레이로 구성되어, 코드 패턴들로부터 반사된 형상 및 반사 광량에 따라 코드 패턴들의 형상 데이터를 코드 프로세서(23)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센싱부(TSU)에 그리드 패턴들과 코드 패턴들이 모두 형성된 경우에 광학 이미지 센서는 그리드 패턴들과 코드 패턴들로부터 반사된 형상 및 반사 광량에 따라 코드 패턴들의 형상 데이터를 코드 프로세서(2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검출부(21)는 사용자의 제어 및 움직임에 따라 코드 패턴들을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코드 패턴들의 형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생성해서 코드 프로세서(23)로 제공할 수 있다.
코드 프로세서(23)는 코드 검출부(21)로부터 코드 패턴들의 형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코드 프로세서(23)는 코드 패턴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자체적으로 형성된 그리드 기준 라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구조를 각각 식별 및 분석하여 좌표 데이터를 추출한다. 코드 패턴들과 함께 그리드 패턴들의 형상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그리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그리드 기준 라인들을 형성하고 그리드 기준 라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구조를 각각 식별 및 분석하여 좌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프로세서(23)는 자체적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을 형성하고,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을 기준으로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를 매칭시켜서 비교한다. 그리고,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 비교 결과에 따라 터치 위치 좌표 및 좌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달리, 코드 프로세서(23)는 코드 검출부(21)로부터 코드 패턴들과 그리드 패턴들이 혼합된 형상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그리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그리드 기준 라인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프로세서(23)는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를 매칭시켜서 비교함으로써,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 비교 결과에 따른 터치 위치 좌표 및 좌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 위치 좌표가 포함된 좌표 데이터를 통신 모듈(24)을 통해 표시 장치(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코드 프로세서(23)는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 비교 결과 형상에 대응되는 터치 위치 좌표 및 좌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복잡한 연산 및 보정 없이 실시간으로 좌표 데이터를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24)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4)은 표시 장치(10)의 통신부(600)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4)은 코드 프로세서(23)로부터 터치 위치 좌표가 포함된 좌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좌표 데이터를 통신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5)는 터치 입력 장치(2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5)에는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 비교 결과 형상 이미지나 형상 데이터, 및 형상 이미지나 형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터치 위치 좌표 및 좌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메모리(25)는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 비교 결과 형상 이미지나 형상 데이터, 및 형상 이미지나 형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터치 위치 좌표 및 좌표 데이터들을 코드 프로세서(23)와 공유한다. 이에, 코드 프로세서(23)는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들과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를 매칭시켜서 비교한다. 그리고, 매칭시켜서 비교한 비교 결과를 메모리(25)에 저장된 배치 위치 비교 결과 형상 이미지나 형상 데이터와 대응시켜서 비교함으로써, 비교 결과에 따른 터치 위치 좌표 및 좌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사각형과 유사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X축 방향의 단변과 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사각형과 유사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X축 방향의 단변과 Y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태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메인 영역(MA) 및 서브 영역(SB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MA)은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들을 구비한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발광 영역 또는 복수의 개구 영역으로부터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하는 화소 회로, 발광 영역 또는 개구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 및 자발광 소자(Self-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바깥쪽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패널(100)의 메인 영역(MA)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 및 표시 구동부(200)와 표시 영역(DA)을 연결하는 팬 아웃 배선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메인 영역(M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영역(SBA)이 벤딩되는 경우, 서브 영역(SBA)은 메인 영역(MA)과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표시 구동부(200), 및 회로 보드(300)와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브 영역(SBA)은 생략될 수 있고, 표시 구동부(200) 및 패드부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되어 COG(Chip on Glass) 방식, COP(Chip on Plastic) 방식, 또는 초음파 접합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200)는 서브 영역(SBA)에 배치될 수 있고, 서브 영역(SBA)의 벤딩에 의해 메인 영역(MA)과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200)는 회로 보드(3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회로 보드(300)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패드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 보드(300)의 리드 배선들은 표시 패널(100)의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보드(30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은 연성 필름(Flexible Film)일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회로 보드(3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집적 회로(IC)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구동부(400)는 터치 센싱부(TSU)의 복수의 터치 전극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복수의 터치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구동 신호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복수의 터치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기초로 손가락 등 사용자 신체 부위의 터치 입력 여부 및 터치 좌표를 산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표시부(DU), 터치 센싱부(TSU), 및 편광 필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U)는 기판(SUB),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및 봉지층(TFE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다.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글라스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화소들의 화소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게이트 배선들, 데이터 배선들, 전원 배선들, 게이트 제어 배선들, 표시 구동부(200)와 데이터 배선들을 연결하는 팬 아웃 배선들, 및 표시 구동부(200)와 패드부를 연결하는 리드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표시 영역(DA), 비표시 영역(NDA), 및 서브 영역(SBA)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의 화소들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게이트 배선들, 데이터 배선들, 및 전원 배선들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의 게이트 제어 배선들 및 팬 아웃 배선들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의 리드 배선들은 서브 영역(SB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 및 화소들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의 복수의 발광 소자는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소정의 전압을 수신하고, 제2 전극이 캐소드 전압을 수신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으로 이동될 수 있고, 유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은 애노드 전극이고, 제2 전극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소자는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L)은 발광 소자층(EML)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고, 발광 소자층(EML)을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TFEL)은 발광 소자층(EML)을 봉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부(TSU)는 봉지층(TF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싱부(TSU)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전극, 복수의 터치 전극과 터치 구동부(400)를 접속시키는 터치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싱부(TSU)는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터치 센싱부(TSU)는 표시부(DU) 상에 배치된 별도의 기판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싱부(TSU)를 지지하는 기판은 표시부(DU)를 봉지하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다.
터치 센싱부(TSU)의 복수의 터치 전극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는 터치 센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싱부(TSU)의 터치 배선들은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되는 터치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서브 영역(SBA)은 메인 영역(M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영역(SBA)이 벤딩되는 경우, 서브 영역(SBA)은 메인 영역(MA)과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표시 구동부(200), 및 회로 보드(300)와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DU)의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SP), 복수의 게이트 배선(GL), 복수의 데이터 배선(DL), 및 복수의 전원 배선(VL)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SP) 각각은 광을 출력하는 최소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배선(GL)은 게이트 구동부(210)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신호를 복수의 화소(SP)에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배선(GL)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X축 방향과 교차하는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배선(DL)은 표시 구동부(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전압을 복수의 화소(SP)에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배선(DL)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전원 배선(VL)은 표시 구동부(200)로부터 수신된 전원 전압을 복수의 화소(SP)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원 전압은 구동 전압, 초기화 전압, 및 기준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전원 배선(VL)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표시부(DU)의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게이트 구동부(210), 팬 아웃 배선들(FOL), 및 게이트 제어 배선(GCL)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10)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복수의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 신호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게이트 배선(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팬 아웃 배선들(FOL)은 표시 구동부(200)로부터 표시 영역(DA)까지 연장될 수 있다. 팬 아웃 배선들(FOL)은 표시 구동부(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전압을 복수의 데이터 배선(DL)에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 배선(GCL)은 표시 구동부(200)로부터 게이트 구동부(2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제어 배선(GCL)은 표시 구동부(200)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210)에 공급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표시 구동부(200),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1, TP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팬 아웃 배선들(FOL)에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팬 아웃 배선들(FOL)을 통해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배선(DL)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은 복수의 화소(SP)에 공급될 수 있고, 복수의 화소(SP)의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게이트 제어 배선(GCL)을 통해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210)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서브 영역(SBA)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SAP 등과 같은 저저항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회로 보드(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은 복수의 표시 패드부(DP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패드부(DPP)는 회로 보드(300)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50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패드부(DPP)는 회로 보드(300)와 접속되어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구동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싱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부(TSU)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영역(TSA), 및 터치 센서 영역(TSA)의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주변 영역(TPA)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영역(TSA)은 표시부(DU)의 표시 영역(DA)에 중첩될 수 있고, 터치 주변 영역(TPA)은 표시부(DU)의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영역(TSA)은 복수의 터치 전극(SEN) 및 복수의 더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SEN)은 물체 또는 사람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호 정전 용량 또는 자기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SEN)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TE)들은 복수의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구동 배선(TL)을 통해 제1 터치 패드부(DTP1)와 접속될 수 있다. 구동 배선(TL)은 하부 구동 배선(TLa) 및 상부 구동 배선(TL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 영역(TSA)의 하측에 배치된 일부의 구동 전극(TE)들은 하부 구동 배선(TLa)을 통해 제1 터치 패드부(DTP1)에 접속될 수 있고, 터치 센서 영역(TSA)의 상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TE)들은 상부 구동 배선(TLb)을 통해 제1 터치 패드부(DTP1)에 접속될 수 있다. 하부 구동 배선(TLa)은 터치 주변 영역(TPA)의 하측을 지나 제1 터치 패드부(DTP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부 구동 배선(TLb)은 터치 주변 영역(TPA)의 상측, 좌측, 및 하측을 경유하여 제1 터치 패드부(DTP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부(DTP1)는 회로 보드(300)를 통해 터치 구동부(400)에 접속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은 꺾쇠 형태(“<” 또는 “>”)를 가질 수 있으나, 연결 전극(CE)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TE)들은 복수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전극(CE)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구동 전극(TE)들은 나머지 연결 전극(CE)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TE)들은 두 개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 전극(CE)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 전극(C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RE)들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같은 층에 배치된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RE)들은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TE)들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들은 구동 전극(TE)들과 감지 전극(RE)들이 형성된 층의 배면 층(또는, 하부층)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들은 복수의 콘택홀을 통해 인접한 각각의 구동 전극(TE)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연결 전극(CE)들이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Z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더라도,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상호 정전 용량은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감지 배선(RL)을 통해 제2 터치 패드부(TP2)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 영역(TSA)의 우측에 배치된 일부의 감지 전극(RE)들은 감지 배선(RL)을 통해 제2 터치 패드부(TP2)에 접속될 수 있다. 감지 배선(RL)은 터치 주변 영역(TPA)의 우측 및 하측을 경유하여 제2 터치 패드부(TP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회로 보드(300)를 통해 터치 구동부(40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더미 전극(D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에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더미 전극(D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과 이격되어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전극(DE)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전극(DE)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그리드 기준 포인트 위치에서 분리된 형태로 복수의 그리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전극(DE)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극의 전면 방향 일부 영역들에는 미리 설정된 각각의 간격으로 평면 코드 형상의 코드 패턴들이 형성된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서브 영역(SBA)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SAP 등과 같은 저저항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회로 보드(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은 표시 패드 영역(DP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DTP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DTP1)는 회로 보드(300) 상에 배치된 터치 구동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DTP1)는 복수의 구동 배선(TL)을 통해 터치 구동 신호를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표시 패드 영역(DP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DT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DTP2)는 회로 보드(300) 상에 배치된 터치 구동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DTP2)에 접속된 복수의 감지 배선(RL)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간의 상호 정전 용량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터치 구동부(400)는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 각각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 각각으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400)는 터치 센싱 신호를 기초로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 각각의 전하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A1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연결 전극와 감지전극들의 연결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전극(DE)은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TE)들은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RE)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전극(RE)들은 연결부(RCE)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RCE)는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TE)들의 최단 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CE)은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과 다른 층, 예를 들어 배면층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제1 부분(CEa) 및 제2 부분(CE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의 제1 부분(CEa)은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에 연결되어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의 제2 부분(CEb)은 감지 전극(RE)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1 부분(CEa)으로부터 절곡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방향(DR1)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 사이의 방향이고, 제2 방향(DR2)은 Y축 방향의 반대 방향과 X축 방향 사이의 방향이며,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이고, 제4 방향(DR4)은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 전극(CE) 각각은 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TE)들을 접속시킬 수 있다.
각각의 단위 화소 그룹(PG)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 또는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를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 각각은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EA2, EA3, EA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EA1)은 제1 색의 광 또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제2 발광 영역(EA2)은 제2 색의 광 또는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3 발광 영역(EA3)은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발광 영역(EA4)은 제4 색의 광 또는 제1 내지 제3 색 광 중 어느 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단위 화소 그룹(PG)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 내지 EA3) 또는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을 통해 백색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 내지 EA3) 또는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에서 방출된 광의 조합에 의해 백색 등 다양한 색의 계조가 표현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SP) 즉,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 또는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의 배치 구조에 따라,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전극(DE)은 평면상 메쉬(Mesh) 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전극(DE)은 평면상에서 단위 화소 그룹(PG)을 이루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 내지 EA3) 또는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 각각의 사이와 그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전극(DE)은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CE) 역시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에서 방출된 광의 휘도가 터치 센싱부(TSU)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부분(TEa)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부분(TEb)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감지 전극(RE)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부분(REa)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부분(REb)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더미 전극(DE) 또한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EA1 내지 EA4)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B1 영역에 형성된 코드 패턴들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각 발광 영역들의 사이에 형성된 코드 패턴들의 배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코드 패턴(CP)들은 각 단위 화소 그룹(PG)의 발광 영역(EA1, EA2, EA3, EA4)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각 발광 영역(EA1, EA2, EA3, EA4)들의 사이 비발광 영역에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코드 패턴(CP)들은 복수의 터치 전극(SEN) 중 일부 전극의 전면 방향에 소정 면적의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코드 패턴(CP)들은 가상으로 미리 설정된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과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기준으로, 교차 포인트들의 상, 하, 좌, 우 또는 교차 포인트 대응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코드 패턴(CP)들은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과 인접하게 교차 포인트 위치의 상부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교차 포인트 위치의 하부 방향(예를 들어, - Y축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코드 패턴(CP)들은 각각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과 인접하게 교차 포인트 위치의 우측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교차 포인트 위치의 좌측 방향(예를 들어, - X축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을 정의하기 위해, 복수의 터치 전극 형성시 터치 전극들과 동일한 공정 과정을 통해 동일한 재질로 그리드 패턴들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드 패턴들에 따른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 대비 각 코드 패턴(CP)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지털 좌표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의 코드 프로세서의 코드 패턴 위치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검출부(21)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광원을 이용해서 적외선 광을 출광시키고, 코드 패턴(CP)들을 포함한 터치 센싱부(TSU)의 일부면에서 반사된 적외선 광을 적외선 카메라로 검출한다. 그리고, 코드 검출부(21)는 코드 패턴(CP)들의 적외선 반사 형상에 따른 코드 패턴(CP)들의 형상 데이터를 코드 프로세서(23)로 제공한다.
코드 프로세서(23)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가상의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과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설정한다. 그리고, 코드 패턴(CP)들의 형상 데이터와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매칭시켜서,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기준으로 코드 패턴(CP)들의 배치 위치를 분석한다.
[표 1]
일 예로, 도 11과 함께 상기 표 1을 매칭시켜 참조하면, 코드 프로세서(23)는 각각의 교차 포인트 위치(Pn) 대비 코드 패턴(CP)의 위치가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1로 검출하고, 코드 패턴(CP)이 교차 포인트 위치(Pn)의 상부 방향인 Y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2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코드 패턴(CP)이 교차 포인트 위치(Pn)의 좌측 방향인 -X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3을 검출하고, 코드 패턴(CP)이 교차 포인트 위치(Pn)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4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2는 터치 센서 영역의 코드 패턴들에 의해 형성된 위치 코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터치 입력 장치에서 검출된 위치 코드 및 검출 위치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부(TSU) 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센서 영역(TSA)의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X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2134' 등과 같이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 영역(TSA)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Y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1234' 등과 같이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영역(TSA)의 좌측 방향인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X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4321' 등과 같이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 영역(TSA)의 상부 방향인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Y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4213' 등과 같이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검출부(21)는 터치 입력 장치(20)의 이동 방향과 광학 이미지 센서의 행렬 구조에 따라, 먼저 터치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으로부터 적외선 반사광을 검출하고 코드 패턴(CP)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프로세서(23)는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과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설정하고,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CP)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와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매칭시킨다. 그리고, 코드 프로세서(23)는 각각의 교차 포인트 위치(Pn) 대비 코드 패턴(CP)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지털 위치 코드(또는, 코드 번호)들을 추출한다.
코드 프로세서(23)는 제1 검출 영역(PSD1)에서 추출된 디지털 위치 코드들을 메모리(25)에 미리 설정된 지정 위치 코드들과 비교하여,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에 대한 터치 시작 및 진입 위치 등을 먼저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검출 영역(PSD1)의 터치 좌표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500)와 공유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CP)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를 통해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예를 들어, '2134')들이 검출되면, 검출된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들을 메모리(25)에 미리 설정된 지정 위치 코드들과 비교한다. 위치 코드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 입력 장치(20)가 터치 센서 영역(TSA)의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진입 방향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 입력 장치(20)는 터치 시작 시점에서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예를 들어, '1234')들을 검출하게 되면, 터치 입력 장치(20)가 터치 센서 영역(TSA)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진입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20)는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를 통해 추출되는 방향 지정 위치 코드에 따라 터치 입력 장치(20)의 진입 방향 좌표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4는 터치 센서 영역의 외곽에 영역에 형성된 위치 코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터치 입력 장치에서 검출된 위치 코드 및 검출 위치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다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영역(TSA)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X축 또는 Y축의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센서 영역(TSA)의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Y축 방향의 위치 좌표를 지정하는 위치 좌표 코드, 예를 들어 '1221/1112' 등과 같은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 영역(TSA)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X축 방향의 위치 좌표를 지정하는 위치 좌표 코드, 예를 들어 '2221/2133' 등과 같은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영역(TSA)의 좌측 방향인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도 Y축 방향의 위치 좌표를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1221/1112' 등과 같은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 영역(TSA)의 상부 방향인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도 X축 방향의 위치 좌표를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2221/2133' 등과 같은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 위치 좌표 검출시,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프로세서(23)는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설정하고,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CP)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와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매칭시킨다.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를 통해 최외곽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예를 들어, '2134')들이 검출되면, 터치 입력 장치(20)가 터치 센서 영역(TSA)의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진입 방향을 먼저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와 인접한 외곽 영역의 Y축 위치 좌표 코드가 검출되면, Y축 위치 좌표 코드에 따른 Y축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의 X축 방향 진입 정보와 Y축 위치 좌표를 조합하여 제1 검출 영역(PSD1)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에, 터치 입력 장치(20)의 추가 터치가 수행되어, 제2 검출 영역(PSD2)에 적외선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검출하는 경우, 터치 입력 장치(20)는 제2 검출 영역(PSD2)에서 다시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20)는 제2 검출 영역(PSD2)의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를 통해 최외곽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예를 들어, '1234')들이 검출되면, 터치 센서 영역(TSA)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진입 방향을 먼저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와 인접한 외곽 영역의 X축 위치 좌표 코드가 검출되면,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와 인접한 X축 위치 좌표 코드(예를 들어, '2221/2133')에 따라 X축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가 재시작되는 제2 검출 영역(PSD2)의 -Y축 방향 진입 정보와 X축 위치 좌표를 조합하여 제2 검출 영역(PSD2)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6은 터치 센서 영역의 코드 패턴들에 의해 형성된 위치 코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터치 입력 장치에서 검출된 위치 코드 및 검출 위치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부(TSU) 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는 0, 3 또는 0, 4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숫자 코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센서 영역(TSA)의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X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1240' 등과 같이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 영역(TSA)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Y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1420' 등과 같이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영역(TSA)의 좌측 방향인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X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1230' 등과 같이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 영역(TSA)의 상부 방향인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Y축 방향을 지정하는 위치 코드, 예를 들어 '1340' 등과 같이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CP)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코드 프로세서의 코드 패턴 위치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검출부(21)는 터치 입력 장치(20)의 이동 방향과 광학 이미지 센서의 행렬 구조에 따라, 먼저 터치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으로부터 적외선 반사광을 검출하고 코드 패턴(CP)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프로세서(23)는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과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설정하고,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CP)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와 그리드 기준 라인(XLL, YLL)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Pn)들을 매칭시킨다. 그리고, 코드 프로세서(23)는 각각의 교차 포인트 위치(Pn) 대비 코드 패턴(CP)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지털 위치 코드(또는, 코드 번호)들을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코드 패턴(CP)들은 금속 재질의 반사 부재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적외선 광을 전면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18을 참조하면, 코드 프로세서(23)는 각각의 교차 포인트 위치(Pn) 대비 코드 패턴(CP)의 위치가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1로 검출하고, 코드 패턴(CP)이 교차 포인트 위치(Pn)의 상부 방향인 Y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2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코드 패턴(CP)이 교차 포인트 위치(Pn)의 좌측 방향인 -X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3을 검출하고, 코드 패턴(CP)이 교차 포인트 위치(Pn)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에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4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코드 패턴(CP)이 교차 포인트 위치(Pn)에 대응해서 교차 포인트 위치(Pn)에 동일하게 위치하면 디지털 코드 0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코드 프로세서(23)는 제1 검출 영역(PSD1)에서 추출된 디지털 위치 코드들을 메모리(25)에 미리 설정된 지정 위치 코드들과 비교하여,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에 대한 터치 시작 및 진입 위치 등을 먼저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검출 영역(PSD1)의 터치 좌표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500)와 공유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장치(20)의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CP)들에 대한 형상 데이터를 통해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예를 들어, '1240')들이 검출되면, 검출된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들을 메모리(25)에 미리 설정된 지정 위치 코드들과 비교한다. 위치 코드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코드 프로세서(23)는 터치 입력 장치(20)가 터치 센서 영역(TSA)의 우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진입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 입력 장치(20)는 터치 시작 시점에서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예를 들어, '1420')들을 검출하게 되면, 터치 입력 장치(20)가 터치 센서 영역(TSA)의 하부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진입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20)는 터치가 시작되는 제1 검출 영역(PSD1)의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를 통해 추출되는 방향 지정 위치 코드에 따라 터치 입력 장치(20)의 진입 방향 좌표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와 도 20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제1 방향(또는, X축 방향)에서 접히는 폴더블 표시 장치인 것을 예시하였다.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모두 유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전면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in-folding)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인 폴딩 방식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전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0)는 전면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 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아웃 폴딩 방식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배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폴딩 영역(FDA)의 일 측, 예를 들어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폴딩 영역(FDA)의 타 측, 예를 들어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상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부(TSU)가 각각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제1 폴딩 라인(FOL1)과 제2 폴딩 라인(FOL2)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0)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대략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표시 장치(10)를 휴대하기 편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폴딩 라인(FOL1)의 연장 방향과 제2 폴딩 라인(FOL2)의 연장 방향은 제2 방향(Y축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폴딩 라인(FOL1)과 제2 폴딩 라인(FOL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표시 장치(1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대략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는, 제1 폴딩 라인(FOL1)과 제2 폴딩 라인(FOL2)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 사이에 해당하는 표시 장치(10)의 대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는 삼각형 형태로 접힐 수 있다.
제1 폴딩 라인(FOL1)과 제2 폴딩 라인(FOL2)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폴딩 영역(FDA)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의 길이는 폴딩 영역(FDA)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의 길이는 폴딩 영역(FDA)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표시 장치(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폴딩 영역(FDA),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가 펼쳐진 경우, 표시 장치(10)의 폴딩 영역(FDA),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 전면 방향으로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장치(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가 접힌 경우, 표시 장치(10)의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 전면 방향으로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9와 도 20에서는 카메라(SDA) 등이 형성되는 관통 홀(TH)이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 홀(TH)이나 카메라(SDA)는 제2 비폴딩 영역(NFA2) 또는 폴딩 영역(FD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등의 표시부로 적용될 수 있다.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수첩, 노트북, 모니터 등에 표시부로 적용되는 표시 장치(10)는 터치 입력 장치(20)가 터치 입력 기구로 이용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에는 손가락 등의 인체 부위와 터치 입력 장치(20) 등을 감지하는 터치 센싱부(TSU)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20)와 표시 장치(10)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에 의하면, 표시 장치(10)의 표시 패널(100)에 형성된 코드 패턴(CP)들을 이용하여 복잡한 연산 및 보정 없이 더욱 정확하게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시스템에 의하면, 표시 패널(100)의 외곽 영역, 즉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코드 패턴(CP)들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장치(20)의 터치 입력 시작 지점이나 진입 위치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자리 영역의 터치 위치 미검출 오류를 없애고, 보다 정확한 입력 좌표에 의한 터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구동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20: 터치 입력 장치
21: 코드 검출부 23: 코드 프로세서
100: 표시 패널 200: 표시 구동부
300: 회로 보드 400: 터치 구동부
500: 메인 프로세서 600: 통신부
CP: 코드 패턴

Claims (20)

  1.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코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이 배열된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은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 중 일부 터치 전극들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미리 설정된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터치 전극들의 전면 절연층 상에 상기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투명성 필름상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성 필름과 함께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전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X축 또는 Y축의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 또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는 0, 3 또는 0, 4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숫자 코드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은
    가상으로 미리 설정된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과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기 교차 포인트 위치들의 상, 하, 좌, 우 또는 교차 포인트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표시 장치.
  10.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터치를 입력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미리 설정된 평면 코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코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이 배열된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미리 설정된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된 터치 입력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터치 입력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에는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터치 입력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X축 또는 Y축의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터치 입력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터치 입력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X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X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Y축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Y축 방향의 외곽 영역에는 상기 X축 위치 좌표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터치 입력 시스템.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 또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최외곽 영역과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향 지정 위치 코드는 0, 3 또는 0, 4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숫자 코드로 형성되는 터치 입력 시스템.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은
    가상으로 미리 설정된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과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기 교차 포인트 위치들의 상, 하, 좌, 우 또는 교차 포인트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터치 입력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을 감지하여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를 검출하는 코드 검출부, 및
    상기 수직 및 수평 방향 그리드 기준 라인들을 가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코드 패턴의 배치 위치를 식별하여 터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코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프로세서는
    터치가 시작되는 검출 영역의 코드 패턴 형상 데이터와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을 매칭시켜 비교하고,
    상기 그리드 기준 라인들의 교차 포인트 위치들 대비 상기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지털 위치 코드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디지털 위치 코드들을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지정 위치 코드들과 비교하여 상기 터치가 시작되는 검출 영역에 대한 터치 시작 및 진입 방향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위치 코드들이 추출되면, 상기 터치가 시작되는 검출 영역과 가장 인접한 코드 패턴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X축 또는 Y축 위치 좌표 코드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 영역의 진입 방향 좌표와 상기 X축 또는 Y축 위치 좌표를 조합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1020220090899A 2022-07-22 2022-07-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40013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899A KR20240013969A (ko) 2022-07-22 2022-07-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US18/116,396 US20240028148A1 (en) 2022-07-22 2023-03-02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2321824793.XU CN220569156U (zh) 2022-07-22 2023-07-12 显示装置和触摸输入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899A KR20240013969A (ko) 2022-07-22 2022-07-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969A true KR20240013969A (ko) 2024-01-31

Family

ID=8957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899A KR20240013969A (ko) 2022-07-22 2022-07-22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28148A1 (ko)
KR (1) KR20240013969A (ko)
CN (1) CN220569156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28148A1 (en) 2024-01-25
CN220569156U (zh)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2217537A (zh) 驅動可攜式資料處理裝置的方法
US20230229247A1 (en) Smart pe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30135703A (ko) 터치 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20569156U (zh) 显示装置和触摸输入系统
US11816274B2 (en)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960667B2 (en)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874975B2 (en) Electronic pen,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20230133989A (ko) 위치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입력 시스템
US11709555B2 (en) Smart pen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2008187B2 (en) Display device and position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847285B2 (en) Display device and position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350511A1 (en) Display device and position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EP4209871A1 (en)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40025084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US20230143220A1 (en) Smart pe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30174330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2023011164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3010675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30092077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20230112180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40029671A (ko) 터치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09798A (ko)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
KR2024000609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펌웨어 설정 방법
KR20230156194A (ko) 터치 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