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759A -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759A
KR20240013759A KR1020237042792A KR20237042792A KR20240013759A KR 20240013759 A KR20240013759 A KR 20240013759A KR 1020237042792 A KR1020237042792 A KR 1020237042792A KR 20237042792 A KR20237042792 A KR 20237042792A KR 20240013759 A KR20240013759 A KR 2024001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ight
area
peripheral vision
correspon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7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7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or depth of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7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a device modifying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ed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표시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기술의 표시 장치는, 유저의 양안 중 적어도 일방의 망막의, 중심 시야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외측의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계를 구비한다. 본 기술에 의하면, 표시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하 「본 기술」이라고도 부름)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의 시각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는, 주변 시야(시야 범위의 주변 부분)에 전해지는 광선의 수차를 보정함으로써 주변 시야의 시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14-20925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표 2010-50624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표시상(display image)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에, 본 기술은, 표시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해당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기술은, 유저의 양안(兩眼) 중 적어도 일방의 망막의, 중심 시야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외측의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계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이다.
상기 중심 시야는, 3° 이하의 시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심 시야는, 6.5° 이하의 시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fovea)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중심 시야의 중심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영역의 중심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조사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만 상기 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주변 시야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해당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더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 및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상기 조사계는, 상기 제1 영역에도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아도 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주변 시야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1 및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보다 단순한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광이 조사되어도 된다.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1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보다 단순한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광이 조사되어도 된다.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2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과,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은, 해상도 및/또는, 표시 내용의 단순함이 달라도 된다.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하여도 된다.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하여도 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더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하여도 된다.
상기 조사계는, 상기 망막 중, 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다른 영역에 조사되도록 조사 범위를 변경하여도 된다.
상기 일 영역은, 상기 망막에 있어서의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상기 다른 영역은, 상기 망막에 있어서의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시야의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사용시에 상기 양안 중 일방에 일체화되는 표시 소자 및/또는 타방에 일체화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 소자는, 안구 장착형의 표시 소자이어도 된다.
상기 표시 소자는, 안구 매립형의 표시 소자이어도 된다.
상기 표시 소자는, 자발광형의 표시 소자이어도 된다.
상기 표시 소자는, 광 편향기 및 광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부 및 광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사용시에 상기 양안 중 일방에 일체화되는 광학 소자 및/또는 타방에 일체화되는 광학 소자와, 상기 광학 소자를 향해 광을 투사하는 광 투사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학 소자는, 안구 장착형의 광학 소자인, 청구항 33에 기재된 표시 장치이다.
상기 광학 소자는, 안구 매립형의 광학 소자이어도 된다.
상기 광 투사부는, 광 편향기 및 광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 투사부는, 자발광 소자, 또는, 액정 표시부 및 광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기술은,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도 제공한다.
도 1의 A는, 종래의 종방향의 시야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B는, 종래의 횡방향의 시야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안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두개골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두개골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통상 시야 범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종방향에 관한 확장 시야 범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B는, 횡방향에 관한 확장 시야 범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1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1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1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2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3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3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4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4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5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5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5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6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6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7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7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8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의 해상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8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1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1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1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2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2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2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3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3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4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4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5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5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6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6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6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7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7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8의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8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8의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광이 망막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5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에 의해 상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본 기술의 변형예 1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기술의 변형예 1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기술의 변형예 2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기술의 변형예 3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51은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2는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기능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기술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에 의해 본 기술의 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의 각각이 복수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기재되는 경우라도, 본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나타내면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순서로 설명을 행한다.
1. 도입
2. 통상 시야 범위
3. 확장 시야 범위
4. 환경광 조사 범위
5. 중심 시야 및 제1 영역
6. 제2 영역
7.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1) 실시예 1의 표시 장치
(2) 실시예 2의 표시 장치
(3) 실시예 3의 표시 장치
(4) 실시예 4의 표시 장치
(5) 실시예 5의 표시 장치
(6) 실시예 6의 표시 장치
(7) 실시예 7의 표시 장치
(8) 실시예 8의 표시 장치
8.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1) 실시예 1의 표시 장치
(2) 실시예 2의 표시 장치
(3) 실시예 3의 표시 장치
(4) 실시예 4의 표시 장치
(5) 실시예 5의 표시 장치
(6) 실시예 6의 표시 장치
(7) 실시예 7의 표시 장치
(8) 실시예 8의 표시 장치
9.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
10.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
11. 본 기술의 변형예 1의 표시 장치
12. 본 기술의 변형예 2의 표시 장치
13. 본 기술의 변형예 3의 표시 장치
14.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
15. 본 기술의 다른 변형예
<1. 도입>
사람의 시야 범위는, 통상, 양안의 망막에 입사할 수 있는 환경광(Ambient Light)의 광선의 각도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여기서, 환경광이란, 예를 들면, 태양광 등의 자연광, 조명광 등의 인공광 등의 광을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이러한 어느 일정한 시야 범위 내의 시각 정보에 의지하여 다양한 활동을 행하고 있다.
종래, 시야 범위 내에 상을 중첩 표시하는 AR(Augmented Reality) 표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AR 표시 기술에서는, 통상, 시야 범위 내에 균일한 해상도로 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시야 범위에 있어서 주변 시야의 시각은 중심 시야의 시각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정된 화소를 시야 범위의 전역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것은 시인성 향상의 관점에서 반드시 유효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양안의 시야 범위에 다른 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시야투쟁(視野鬪爭)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시인성 향상에 큰 문제가 된다.
이에,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끝에, 표시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본 기술의 표시 장치 및 해당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 통상 시야 범위>
이하의 설명에서는, 얼굴의 후측으로부터 앞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향이라고 하고, 얼굴 앞측으로부터 후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방향이라고 하고, 얼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하방향이라고 하고, 얼굴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이라고 하고, 얼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우방향이라고 하고, 얼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방향이라고 한다.
통상의 종방향(예를 들면, 수직 방향, 이하 동일)의 각 눈의 시야 범위는, 예를 들면,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로 정면을 향하고 있는 시선 방향에 대해 상방을 향해 예를 들면, 65°의 각도를 이루는 상방 시야 한계(해당 각도로 환경광이 입사하는 방향)와, 해당 시선 방향에 대해 하방을 향해 예를 들면, 75°의 각도를 이루는 하방 시야 한계(해당 각도로부터 환경광이 입사하는 방향)의 사이의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통상의 우안(右眼) 횡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 이하 동일)의 시야 범위는,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로 정면을 향하고 있는 시선 방향에 대해 우방향을 향해 예를 들면, 100°의 각도를 이루는 우방 시야 한계(해당 각도로 환경광이 입사하는 방향)와, 해당 시선 방향에 대해 좌방향을 향해 예를 들면, 60°의 각도를 이루는 좌방 시야 한계(해당 각도로 환경광이 입사하는 방향)의 사이의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통상의 좌안(左眼) 횡방향의 시야 범위는,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로 정면을 향하고 있는 시선 방향에 대해 좌방향을 향해 예를 들면, 100°의 각도를 이루는 좌방 시야 한계(해당 각도로 환경광이 입사하는 방향)와, 해당 시선 방향에 대해 우방향을 향해 예를 들면, 60°의 각도를 이루는 우방 시야 한계(해당 각도로 환경광이 입사하는 방향))의 사이의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세신쇼보 출판의 「감각+지각」의 p190으로부터 발췌)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구(EB)에 입사한 광선은, 각막(5), 동공(4), 수정체(6) 및 유리체(7)를 경유하여 망막(1)에 도달한다.
사람의 시각은, 망막(1)에 조사된 광을 망막(1)의 시세포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시신경(8)을 경유하여 뇌의 시각 피질에 전달함으로써 발생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막(1)은, 안구(EB) 내에 있어서, 안저(眼底)로부터 수정체의 주위에 인접하는 모양체(毛樣體)(안구의 단면에 나타내는 모양체에 인접하는 위치)까지의 사이의 대략 전역에(대략 구각(spherical shell) 형상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각의 일부가 결손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광은, 예를 들면, 얼굴이나 두부(頭部)에 의해 동공(4)을 통하여 망막(1)에 조사되는 범위가 제한되어, 일정 범위로부터의 광선만이 동공(4)을 통하여 망막(1)에 상으로서 도달한다. 이 환경광의 광선이 동공(4)을 통하여 망막(1)에 도달하는 일정 범위가 통상의 시야 범위(이하 「통상 시야 범위」라고도 부름)가 된다. 이하, 망막(1)에 있어서의 동공(4)을 통한 환경광이 조사되는 범위를 「환경광 조사 범위」라고도 부른다. 즉, 환경광 조사 범위는, 통상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망막(1)의 범위이다. 본 명세서 중, 「시야 범위」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통상 시야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안구로부터 보아, 상측에 있는 전두골과, 하측에 있는 상악골 및 협골과, 수평 내측에 있는 비골(鼻骨)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로 시야가 제한된다. 이러한 시야 중에서 유일하게 수평 시야의 외측은 골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넓은 시야가 얻어진다.
반대로 말하면, 환경광에 있어서의 통상 시야 범위 외의 광선은 망막에 상으로서 도달하지 않는다. 광선이 도달하지 않는 망막의 위치에서는 시세포가 광에 의해 자극받지 않고, 시세포가 활성화되지 않고, 시신경에 시각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시각을 얻을 수 없음). 도 4에는, 각 눈의 환경광 조사 범위에 대응하는 통상 시야 범위(도 4에 있어서 회색의 범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서, 우안의 통상 시야 범위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는 파선으로 나타내져 있다. 도 4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최소의 원이 중심 시야이고, 양안의 시야 범위(통상 시야 범위)를 합한 범위로부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가 주변 시야이다.
이와 같이, 안구 내의 망막 상에 넓게 시세포가 존재하고 있지만, 얼굴이나 두부 등에 의해 광이 전해지지 않는 범위(환경광 조사 범위 외의 영역, 도 4에서 백색의 범위)에 대해서는 시각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뇌의 시각 피질을 TMS(경두개 자기 자극)로 자극하면, 통상 시야 범위 외의 가슴 및 목 안에서 광이 보이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참고 문헌: 임상 신경 생리학 40권 제4호 「Single-pulse stimulation」마츠모토 히데유키 저).
이는 뇌의 시각야이지만, 통상시에서는 광이 도달하지 않는 망막의 범위에 대해, 어떠한 방법으로든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면, 해당 범위의 시세포에서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시각야에서 상으로서 처리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해당 범위에 대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시각이 얻어질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안구의 구조는 망막 상의 시세포 분포(코측과 귀측에서 다름)를 제외하고 대체로 회전 대칭(도 2 참조)으로 되어 있다. 이로부터 얼굴이나 두부의 형상에 의한 제약이 없으면 상하 좌우로 동등 또는, 망막(1)에 있어서의 통상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범위 이외의 시세포가 존재하는 범위에도 시각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즉, 망막에 있어서의 환경광이 도달하지 않는 범위(환경광 조사 범위 외의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면, 그 범위의 시세포로부터도 시각을 얻을 수 있어, 통상 시야 범위(도 4 참조)보다 넓은 범위에 정보를 표시하여 시인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실증하기 위해, 수평 표시 60°의 RETISSA OptHead(망막 투영 장치)를 사용하여 시야 범위 외의 영역에서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방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화면 하단에 주시 포인트를 설정하고, 안구를 아래로 향해 주시 포인트를 보아도 60° 상방에 있는 움직이는 표시가 보였다. 코측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코측과는 반대측에 주시 포인트를 설정하고, 안구를 코측과는 반대측을 향해 주시 포인트를 보아도 60° 코측에 있는 움직이는 표시가 보였다. 이상의 실험은, 망막이 전방위에 존재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보다 상의 표시 범위를 넓힐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확장 시야 범위>
따라서, 통상 시야 범위를 잠재적인 시야 범위까지 확장한 확장 시야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각 눈의 확장 시야 범위는, 종방향의 범위(종단면 내의 범위)와 횡방향의 범위(횡단면 내의 범위)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각 눈의 종방향 확장 시야 범위는, 도 5의 A에서, 수평 방향에 대해 각도(θ1)(예를 들면, θ1≥70°)를 이루는 상방 시야 한계와 수평 방향에 대해 각도(θ2)(예를 들면, θ2≥80°)의 하방 시야 한계의 사이의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각 눈의 횡방향 확장 시야 범위는, 도 5의 B에서, 정면 방향에 대해 각도(θ3)(예를 들면, θ3≥60°)를 이루는 좌안의 좌방 시야 한계와, 정면 방향에 대해 각도(θ4)(예를 들면, θ4≥60°)를 이루는 우안의 우방 시야 한계의 사이의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각 눈의 횡방향 확장 시야 범위는, 양안의 횡방향 통상 시야 범위를 포함한다.
<4. 환경광 조사 범위>
환경광 조사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망막(1)에 있어서의 동공(4)을 통한 환경광이 조사되는 범위이다.
환경광 조사 범위는, 망막(1)의 주변의, 해당 망막(1)에의 환경광의 도달을 방해하는 얼굴의 부위(예를 들면, 코, 눈꺼풀, 속눈썹, 눈꼬리 등), 및/또는, 얼굴 또는 머리에 장착되는 물체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물체로서는, 예를 들면, 안경, 헬멧, 입이나 코를 가리는 마스크, 얼굴이나 머리에 감겨지는 붕대 등을 들 수 있다.
환경광 조사 범위는, 망막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범위(횡단면 내의 범위)와 종방향의 범위(종단면 내의 범위)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횡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
이하, 망막에 있어서의 횡방향(횡단면 내)의 환경광 조사 범위(10H)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좌안의 망막(1)의 횡단면(예를 들면, 동공의 중심을 통하는 횡단면) 내의 환경광 조사 범위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좌안의 망막의 다른 횡단면 내의 환경광 조사 범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논의가 성립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망막(1)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10H)는, 동공(4) 측에 잘린 곳을 갖는 횡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범위이다. 마찬가지로, 우안의 횡방향 망막에 있어서의 환경광 조사 범위도, 동공측에 잘린 곳을 갖는 횡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범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좌방 시야 한계(동공(4)의 직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좌방으로 예를 들면, 90°∼11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로부터 좌안으로 입사하여 동공(4)을 통과한 환경광(Aml)이 도달하는 망막(1)의 위치가 좌안의 망막(1)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10H)의 우단(10Ha)이다. 좌방 시야 한계(동공(4)의 직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우방으로 예를 들면, 50°∼6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로부터 좌안으로 입사하여 동공(4)을 통과한 환경광(Aml)이 도달하는 망막(1)의 위치가 좌안의 망막(1)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10H)의 좌단(10Hb)이다.
마찬가지로, 우안의 우방 시야 한계(동공의 직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우방으로 예를 들면, 90°∼11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로부터 우안의 안구에 입사하여, 동공을 통과한 환경광이 도달하는 망막의 위치가 우안의 망막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의 좌단이다. 우안의 우방 시야 한계(동공의 직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좌방으로 예를 들면, 50°∼6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로부터 우안으로 입사하여, 동공을 통과한 환경광이 도달하는 망막의 위치가 우안의 망막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의 우단이다.
(종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
이하, 망막(1)에 있어서의 종방향(종단면 내)의 환경광 조사 범위(10V)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좌안의 망막(1)의 종단면(예를 들면, 동공의 중심을 통하는 종단면) 내의 환경광 조사 범위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좌안의 망막의 다른 종단면 내의 환경광 조사 범위 및 우안의 망막의 임의의 단면 내의 환경광 조사 범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논의가 성립한다. 한편, 양안의 망막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는, 대체로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망막(1)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10V)는, 동공(4) 측에 잘린 곳을 갖는 종단면 대략 C자 형상의 범위이다. 마찬가지로, 우안의 종방향 환경광 조사 범위도, 동공측에 잘린 곳을 갖는 종단면 대략 C자 형상의 범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 시야 한계, 즉, 동공(4)의 직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예를 들면, 60°∼7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부터 좌안으로 입사하여 동공(4)을 통과한 환경광(Aml)이 도달하는 망막(1)의 위치가 좌안의 망막(1)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10V)의 하단(10Va)이다. 하방 시야 한계(동공(4)의 직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에 대해 하방으로 예를 들면, 70°∼8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로부터 좌안으로 입사하여 동공(4)을 통과한 환경광(Aml)이 도달하는 망막(1)의 위치가 좌안의 망막(1)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환경광 조사 범위(10V)의 상단(10Vb)이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는, 중심 시야(CFV)와 주변 시야(PeV)로 나뉜다.
좌안의 망막(1)의, 확장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범위는, 중심 시야(CFV)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과, 해당 제1 영역(A1)의 외측의 제2 영역(A2)으로 나뉜다. 여기서는,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좌안의 횡단면 및 종단면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우안의 횡단면 및 종단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논의가 성립한다.
<5. 중심 시야 및 제1 영역>
중심 시야(CFV)는, 일례로서, 3° 이하의 시각을 갖는 시야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범위는, 미세 환속 운동(Microsaccades)을 고려한 범위이다. 중심 시야(CFV)는, 중심시(시각 1.5°)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 시야(CFV)의 시각은, 예를 들면, 중심시의 시각 1.5°에 미세 환속 운동에 의한 진동 폭 1°의 반인 0.5°를 더한 편측 각도 2°로 할 수 있다. 또한, 중심 시야(CFV)의 시각은, 개인차에 의한 편차를 0.5∼1° 정도라고 상정하면 편측 각도 2.5∼3°로 할 수 있다.
중심 시야(CFV)는, 일례로서, 6.5° 이하의 시각을 갖는 시야 범위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범위는, 미세 환속 운동을 고려한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 시야(CFV)는, 예를 들면, 중심와(9)의 시각 5°에 미세 환속 운동에 의한 진동 폭 1°의 반인 0.5°을 더한 편측 각도 5.5°로 할 수 있다. 또한, 중심 시야(CFV)의 시각은, 개인차에 의한 편차를 0.5∼1° 정도라고 상정하면 편측 각도 6.0∼6.5°로 할 수 있다.
중심 시야(CFV)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은, 망막(1)의 중심와(9)(도 2 참조)에 포함되어도 되고, 중심와(9)를 포함하여도 된다.
중심 시야(CFV)의 중심은, 망막(1)의 중심와(9)의 중심(9a)(중심 소와(foveola))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제1 영역(A1)의 중심은, 망막(1)의 중심와(9)의 중심(9a)에 실질적으로 일치한다고 생각하여도 된다.
이상의 논의는, 횡단면 내 뿐만 아니라, 종단면 내에 있어서도 성립한다.
<6. 제2 영역>
제2 영역(A2)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주변 시야(PeV)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양안의 시야 범위 외(「양안 시야 범위 외」라고도 부름)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를 갖는다.
해당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과,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과,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을 갖는다.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은,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CFV)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한다.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은, 제1 영역(A1)의 양쪽 외측(우측 및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은,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에 대응한다.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은, 우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은,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의 범위에 대응한다.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은, 좌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은,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앞측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영역(A2)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주변 시야(PeV)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과,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을 갖는다.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은, 제1 영역(A1)의 양쪽 외측(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은, 상측의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 앞측 및 하측의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영역(A2)은, 망막(1)의 중심와(9)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영역(A2)은, 망막(1)의 중심와(9)의 내측에 일부가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7.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
이하,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5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구(EB)의 동공(4)을 통하여 망막(1)에 광(표시광)을 조사하여 해당 광의 상을 표시한다.
해당 표시광은, 명암, 색, 패턴, 도형, 문자, 화상 등을 표시하는 광이다.
표시 장치(50)는, 유저의 양안 중 적어도 일방의 망막(1)의, 중심 시야(CFV)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의 외측의 제2 영역(A2)의 적어도 일부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계(100)를 구비한다. 조사계(100)는, 제2 영역(A2)의 적어도 일부에만 광을 조사할 수도 있고, 제2 영역(A2)에 더하여 제1 영역(A1)에도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조사계(100)는, 일례로서, 동공(4)을 통하여 망막(1)에 광을 조사 가능하다.
조사계(100)는, 일례로서, 적어도 사용시에 안구에 일체화되는 표시 소자(100a)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일례로서, 표시 소자(100a)가 좌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표시 소자(100a)를 좌안에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우안에도 장착하여도 된다.
표시 소자(100a)는, 예를 들면, 안구 장착형(콘택트 렌즈형)의 표시 소자이다. 즉, 표시 소자(100a)는, 안구(EB)의 각막(5)을 덮도록 장착되어 사용된다.
표시 소자(100a)는, 특정한 파장의 광(예를 들면,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킨다. 이에 의해, 표시 소자(100a)가 유저의 안구(EB)에 장착된 상태로 환경광(Aml) 중 가시광이 표시 소자(100a)를 투과하기 때문에, 유저는 표시 소자(100a)를 통해 현실 풍경(배경)을 시인할 수 있다.
표시 소자(100a)는, 일례로서 자발광형의 표시 소자(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어레이,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소자 어레이 등)이어도 되고, 액정 표시부 및 해당 액정 표시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예를 들면, LED: 발광 다이오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되고, 광 편향기(예를 들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미러) 및 해당 광 편향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예를 들면, 레이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소자(100a)는, 일례로서, 온 칩 구조의 표시 소자이다.
표시 소자(100a)는, 예를 들면, 망막(1)의, 통상 시야 범위를 포함하는 확장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전역에 표시광(광)을 조사 가능하다.
표시 소자(100a)는, 예를 들면, 망막(1)의, 통상 시야 범위를 포함하는 확장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광을 조사 가능하다.
표시 소자(100a)는, 좌안의 망막(1)의 환경광 조사 범위에 대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 내에 배경에 중첩한 상 표시(AR 표시)를 행할 수 있고, 좌안의 망막(1)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대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 및 통상 시야 범위 외의 범위(좌안의 배경이 시인되지 않는 범위)에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시야 범위의 통상 시야 범위 내에 배경에 중첩 표시한 상은, 배경이 비쳐 보이기 때문에,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한편, 확장 시야 범위의 통상 시야 범위 외에서는, 표시된 상에 배경이 비쳐 보이지 않는다는 관점에서는 시인성에 영향이 없지만 원래 시각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영역이기 때문에 시각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런데, 확장 시야 범위에 있어서 중심 시야에 더하여 중심 시야 외의 범위에도 상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표시 소자에 필요한 화소수가 방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수평 2000화소를 갖는 표시 소자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200°의 범위에 상 표시를 행할 경우, 수평 1° 당 10화소의 표시가 되어, 표시가 매우 거칠게 된다.
이에, 예를 들면, 주변 시야나 양안 시야 범위 외에서는 원래 시각이 떨어져 세밀한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주변 시야나 양안 시야 범위 외에 대해서는 소수 화소에 의한 저밀도의 표시(저해상도 표시)로 하고 시각이 우수한 중심 시야에 대하여는 다수 화소에 의한 고밀도인 표시(고해상도 표시)로 함으로써, 한정된 화소수의 표시 소자를 사용하여 중심 시야를 포함하는 원하는 범위에 시인성이 좋은 상을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소자가 스캔형(주사형)인 경우, 중심 시야에 대한 스캔 속도를 느리게 하고, 주변 시야나 양안 시야 범위 외에 대한 스캔 속도를 빨리함으로써, 영역 간에 해상도가 다른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스캔형의 표시 소자의 예로서, 직선적으로 스캔(예를 들면, 라스터 스캔) 하는 것 외에, 나선 형상으로 스캔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시야의 시각보다 중심 시야의 시각이 현격히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변 시야는, 중심 시야의 시각을 보충하는 기능(예를 들면, 중심 시야만으로는 판별할 수 없는 표시상의 윤곽 등을 판별하는데도 도움이 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표시상의 인식에 불가결하다.
또한, 양안 시야 범위 외의 시각보다 주변 시야의 시각이 우수하다고 상정된다.
또한, 주변 시야 중에서는,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의 영역보다,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영역으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하는 영역이, 시각이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발명자는, 확장 시야 범위에 있어서, 비교적 시각이 떨어지는 영역의 시인성을 강화하는 것보다 비교적 시각이 우수한 영역의 시인성을 한층 강화하는 것에 주력함으로써, 확장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착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발명자는, 제1 수법으로서, 확장 시야 범위 내에 있어서, 시각이 우수한 영역일수록 고해상도로 상 표시를 행함으로써, 확장 시야 범위에 있어서 보다 고정밀도의 상 표시를 행할 수 있고,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발명자는, 확장 시야 범위에 있어서, 비교적 시각이 떨어지는 영역에 단순한 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시각이 우수한 영역에 복잡한 상을 표시함으로써, 영역마다 시각의 우열에 따라 표시상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착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발명자는, 제2 수법으로서, 확장 시야 범위 내에 있어서, 시각이 떨어지는 영역일수록 심플한(단순한) 상을 표시함으로써, 확장 시야 범위에 있어서,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발명자는, 상기 제1 및 제2 수법을 실현하기 위해,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개발하였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상기 제1 수법의 실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영역 간에 해상도를 다르게 하는 것에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영역 간에 표시상의 단순함을 변화(예를 들면, 시각이 떨어지는 영역일수록 표시되는 상이 보다 심플하게 되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수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명암은 도형보다 심플하고, 도형은 문자보다 심플하며, 적은 색의 패턴은 많은 색의 패턴보다 심플하다.
이하에,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서는, 조사계(100)는, 제2 영역(A2)에 더하여 제1 영역(A1)에도 광을 조사하며, 제2 영역(A2)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제1 영역(A1)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높다.
조사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의 좌안에 장착된 표시 소자(100a)를 포함한다. 표시 소자(100a)는, 전술한 스캔형(주사형)이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좌안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우안의 횡단면 및 종단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논의가 성립한다.
(1) 실시예 1의 표시 장치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도 9 및 도 10 참조)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8에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8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8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높고,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2번째로 높고,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 및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3번째로 높고, 양안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낮다.
즉,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서는, 4종류의 해상도가 사용되고 있다.
도 8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표시 소자의 화소마다의 광, 이하 동일)이 조사되고,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3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3)이 조사되고,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4)이 조사된다. 한편, 각 표시광을 나타내는 파선을 구성하는 선분의 간격이 좁을수록 해당 표시광의 조사 밀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이하 동일).
도 8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4)이 조사된다.
도 9 및 도 10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광(DL1, DL2, DL3, DL4)은,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 부근에서 교차하도록 출사된다. 이에 의해, 동공(4)을 통하여 표시광을 망막(1)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조사할 수 있다. 즉, 각 표시광이 동공(4)의 주위부(예를 들면, 홍채)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차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서는, 조사계(100)는, 표시 소자(100a)로부터 좌안의 망막(1)의 제1 및 제2 영역(A1, A2)에 광을 조사한다.
제2 영역(A2)은, 망막(1)의, 주변 시야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는다.
해당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과,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을 갖는다.
조사계(100)는, 좌안의 망막(1)의, 적어도 제1 및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A2L)에 광을 조사한다.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다.
해당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을 더 갖고, 조사계(100)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도 광을 조사한다.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높다.
여기서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전자)와,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후자)는, 같지만, 달라도 된다.
제2 영역(A2)은, 좌안의 망막(1)의,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를 더 갖고, 조사계(100)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광을 조사한다.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높다.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 의하면, 확장 시야 범위 전역에 시각이 우수한 영역일수록 고해상도로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매우 광범위하게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를 행할 수 있다.
(2) 실시예 2의 표시 장치
실시예 2의 표시 장치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11의 A에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11의 A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도 11의 B에서도 마찬가지). 상세히 기술하면, 도 11의 A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높고,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2번째로 높고,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3번째로 높고,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4번째로 높고, 양안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낮다.
도 11의 A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2의 표시 장치에서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 의한 표시에 대하여, 횡단면 내에 있어서, 좌안의 망막(1)의, 우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좌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조사되는 표시광의 조사 밀도보다,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조사되는 표시광의 조사 밀도를 높게 하고 있다.
도 11의 A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2의 표시 장치에서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와 마찬가지로,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4)이 조사된다(도 10 참조).
이상 설명한 실시예 2의 표시 장치에서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와,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다르다.
여기서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대한 조사 밀도보다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대한 조사 밀도가 높게 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도 11의 B의 해상도 분포를 얻기 위해,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대한 조사 밀도보다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대한 조사 밀도가 높게 되어도 된다.
또한, 좌안에 있어서,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서의 시각과,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시각은, 일률적으로 어느 쪽이 우수하다고도 단언할 수 없어, 유저마다, 표시 장치의 사용 기간 등에 의해 우열의 관계가 다른 것이 상정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대응하는 시야 범위에서는 상에 배경이 비쳐 보이는 한편, 평상시 환경광이 조사되어 시각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비침이 신경 쓰이지 않는 유저에 있어서는 상의 시인성은 비교적 양호하고, 비침이 신경 쓰이는 유저에 있어서는 상의 시인성이 양호하지 않은 것이 된다.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서는 상에 배경이 비쳐 보이지 않지만, 원래 환경광이 조사되지 않고 시각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영역이기 때문에 시각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에는 시간을 요하는 것이 상정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유저의 우안의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우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좌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의 시야가 결손되어 있는 경우에 우안의 정보 수집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좌안의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좌안의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표시광을 조사하는 것은, 예를 들면, 우안을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좌안으로 유저에 근접해 있는 어떤 장해물 등의 존재를 재빨리 통지하는데 유효하다.
실시예 2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표시 장치에 비해, 해상도의 종류가 많아(5종류), 광 편향기의 제어가 약간 번잡하게 되지만, 유저마다, 표시 장치의 사용 기간 등에 따라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3) 실시예 3의 표시 장치
실시예 3의 표시 장치(50-3)(도 13 참조)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12에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12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12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높고,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2번째로 높고,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 및 양안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낮다.
도 12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3의 표시 장치(50-3)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4)이 조사된다.
도 12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3의 표시 장치에서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와 마찬가지로,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4)이 조사된다(도 10 참조).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광(DL1, DL2, DL4)은,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 부근에서 교차하도록 사출된다. 이에 의해, 동공(4)을 통하여 표시광을 망막(1)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조사할 수 있다. 즉, 각 표시광이 동공(4)의 주위부(예를 들면, 홍채)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차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3의 표시 장치(50-3)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 비해, 해상도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3종류) 광 편향기의 제어가 용이하고, 또한, 표시 범위에 있어서 저해상도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기 때문에 한정된 화소수로 표시할 경우에 고해상도 영역을 보다 고해상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실시예 4의 표시 장치
실시예 4의 표시 장치(50-4)(도 15 참조)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14에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14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14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높고,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 및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3번째로 높고,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 및 양안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낮다.
도 14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4의 표시 장치(50-4)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및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우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좌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4)이 조사된다.
도 14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4의 표시 장치에서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와 마찬가지로,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4)이 조사된다(도 10 참조).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광(DL1, DL2, DL4)은,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 부근에서 교차하도록 사출된다. 이에 의해, 동공(4)을 통하여 표시광을 망막(1)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조사할 수 있다. 즉, 각 표시광이 동공(4)의 주위부(예를 들면, 홍채)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차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4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 비해, 해상도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3종류) 광 편향기의 제어가 용이하고, 또한, 좌안의 배경에 중첩하여 표시된 상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5) 실시예 5의 표시 장치
실시예 5의 표시 장치(50-5)(도 17, 도 18 참조)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16에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통상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16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16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높고,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2번째로 높고,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 및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가장 낮다.
도 16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5의 표시 장치(50-5)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가장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2번째로 고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되고,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가장 저밀도로 표시광(DL3)이 조사된다.
도 16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5의 표시 장치(50-5)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비교적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비교적 저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된다.
도 17 및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광(DL1, DL2, DL3)은,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 부근에서 교차하도록 사출된다. 이에 의해, 동공(4)을 통하여 표시광을 망막(1)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조사할 수 있다. 즉, 각 표시광이 동공(4)의 주위부(예를 들면, 홍채)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차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5의 표시 장치(50-5)에서는, 조사계(100)는, 망막(1) 중, 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다른 영역에 조사되도록 조사 범위를 변경한다. 해당 일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해당 다른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영역이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일례로서, 망막(1)의,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된 영역은,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5의 표시 장치(50-5)에 의하면, 일정한 화소수를 갖는 표시 소자(100a)를 사용하는 경우에, 확장 시야 범위의 전역에 상을 표시하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50-1)에 비해, 좁은 범위(양안의 통상 시야 범위)에 고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범위는 좁아지지만 표시상의 시인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해상도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3종류) 광 편향기의 제어가 용이하다.
(6) 실시예 6의 표시 장치
실시예 6의 표시 장치(50-6)(도 20 참조)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19에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통상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19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19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주변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도 19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6의 표시 장치(50-6)에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비교적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비교적 저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된다.
실시예 6의 표시 장치(50-6)에서는, 조사계(100)는, 망막(1) 중, 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다른 영역에 조사되도록 조사 범위를 변경한다. 해당 일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해당 다른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영역이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일례로서, 망막(1)의,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된 영역은,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전역)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6의 표시 장치(50-6)에 의하면, 일정한 화소수를 갖는 표시 소자(100a)를 사용하는 경우에, 확장 시야 범위의 전역에 상을 표시하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에 비해, 좁은 범위(양안의 통상 시야 범위)에 고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범위는 좁아지지만 시인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의 표시 장치(50-6)에 의하면, 해상도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2종류) 광 편향기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7) 실시예 7의 표시 장치
실시예 7의 표시 장치(50-7)(도 22 참조)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21에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21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21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도 21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7의 표시 장치(50-7)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비교적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비교적 저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된다.
도 21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7의 표시 장치(50-7)에서는,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비교적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비교적 저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된다(도 18 참조).
실시예 7의 표시 장치(50-7)에서는, 조사계(100)는, 망막(1) 중, 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다른 영역에 조사되도록 조사 범위를 변경한다. 해당 일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해당 다른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영역이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일례로서, 좌안의 망막(1)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을 포함한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된 영역은,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7의 표시 장치(50-7)에 의하면, 일정한 화소수를 갖는 표시 소자(100a)를 사용하는 경우에, 확장 시야 범위의 전역에 상을 표시하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에 비해, 극히 좁은 범위(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에 고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범위는 좁아지지만 표시상의 시인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7의 표시 장치(50-7)에 의하면, 해상도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2종류) 광 편향기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한편, 실시예 7의 표시는,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에 집중하여 정보 표시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 특히 유효하며, 예를 들면, 실시예 1∼6의 표시 중에 필요에 따라 실시예 7의 표시로 전환하여도 된다.
(8) 실시예 8의 표시 장치
실시예 8의 표시 장치(50-8)(도 24 참조)는,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한다.
도 23에는,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에 표시된 상의 해상도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23에서는, 색이 진한 영역일수록 상의 해상도가 높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23에서는, 중심 시야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 내 및 중심 시야 외에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도 23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8의 표시 장치(50-8)에서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비교적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및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비교적 저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된다.
도 23의 해상도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8의 표시 장치(50-8)에서는,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영역(A1)에 비교적 고밀도로 표시광(DL1)이 조사되고,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비교적 저밀도로 표시광(DL2)이 조사된다(도 18 참조).
실시예 8의 표시 장치에서는, 조사계(100)는, 망막(1) 중, 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다른 영역에 조사되도록 조사 범위를 변경한다. 해당 일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해당 다른 영역은,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영역이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일례로서, 좌안의 망막(1)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을 포함한다. 해당 유저의 시야가 확보된 영역은,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8의 표시 장치(50-8)에 의하면, 일정한 화소수를 갖는 표시 소자(100a)를 사용하는 경우에, 확장 시야 범위의 전역에 상을 표시하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에 비해, 좁은 범위(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고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범위는 좁아지지만 표시상의 시인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8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해상도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2종류) 광 편향기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한편, 실시예 8의 표시는,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에 집중하여 정보 표시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 특히 유효하며, 예를 들면, 실시예 1∼6의 표시 중에 필요에 따라 실시예 8의 표시로 전환하여도 된다.
한편, 실시예 7, 8에서도 설명하였으나,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는, 실시예 1∼8의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를 필요에 따라 서로 예를 들면,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전환하여도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양안의 시야 범위에 다른 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시야투쟁에 의해 시인성에 영향이 생긴다.
이에, 발명자는, 양안의 시야 범위에 물체가 있는 경우에 일방의 눈에만 상을 표시한 경우의 시야투쟁의 유무를 조사하는 실험을 복수의 피험자에 대해 행하였다.
그 결과, 일방의 눈의 중심 시야에 상을 중첩 표시한 경우에 시야투쟁이 빈번하게 생기고, 일방의 눈의 주변 시야에 상을 중첩 표시한 경우에 시야투쟁이 대부분 생기지 않았다.
또한, 일방의 눈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눈의 시야 범위 외나,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상을 중첩 표시한 경우에는, 시야투쟁이 생기지 않는다고 추정된다. 시야투쟁은, 이론적으로는, 적어도 일방의 눈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표시된 상이 원인으로 생기는 경우는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에, 발명자는,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로서, 양안의 적어도 일방의 확장 시야 범위의,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상을 표시함으로써, 시야투쟁의 발생을 억제한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개발하였다.
<8.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이하에,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60)에서는, 조사계(100)는, 제2 영역(A2)의 적어도 일부에만 광을 조사한다. 조사계(100)는, 유저의 좌안에 장착되는 표시 소자(100a)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좌안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우안의 횡단면 및 종단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논의가 성립한다.
(1) 실시예 1의 표시 장치
도 25에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60-1)(도 26, 27 참조)에 의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25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표시 장치(60-1)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25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1의 표시 장치(60-1)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25의 상 표시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1의 표시 장치(60-1)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1의 표시 장치(60-1)에 의하면, 확장 시야 범위 중 중심 시야를 제외하는 영역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매우 광범위하게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의 표시 장치(60-1)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야투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매우 광범위하게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2) 실시예 2의 표시 장치
도 28에는,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도 29, 30 참조)에 의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26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를 제외한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28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에서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28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에서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적어도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종단면에 따라서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도) 표시광(DL)이 조사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에 의하면,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를 제외한 범위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광범위하게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광범위하게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3) 실시예 3의 표시 장치
도 31에는, 실시예 3의 표시 장치(60-3)(도 32 참조)에 의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31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3의 표시 장치(60-3)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주변 시야(좌안의 통상 시야 범위 및 우안의 통상 시야 범위를 맞춘 범위)로부터 우안의 시야 범위를 제외한 범위 및 양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31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3의 표시 장치(60-3)에서는,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31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3의 표시 장치(60-3)에서는,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와 마찬가지로,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적어도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종단면에 따라서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도) 표시광(DL)이 조사된다(도 30 참조).
이상 설명한 실시예 3의 표시 장치(60-3)에 의하면, 확장 시야 범위 중, 주변 시야로부터 우안의 시야 범위를 제외한 범위 및 양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에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약간 광범위한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의 표시 장치(60-3)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약간 광범위하게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4) 실시예 4의 표시 장치
도 33에는, 실시예 4의 표시 장치(60-4)(도 34 참조)에 의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33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4의 표시 장치(60-4)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주변 시야로부터 좌안의 시야 범위를 제외한 범위 및 양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33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4의 표시 장치(60-4)에서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33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4의 표시 장치(60-4)에서는,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와 마찬가지로,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적어도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종단면에 따라서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도) 표시광(DL)이 조사된다(도 30 참조).
이상 설명한 실시예 4의 표시 장치(60-4)에 의하면, 확장 시야 범위 중, 주변 시야로부터 좌안의 시야 범위를 제외한 범위 및 양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에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약간 광범위한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4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약간 광범위하게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5) 실시예 5의 표시 장치
도 35에는, 실시예 5의 표시 장치(60-5)(도 36 참조)에 의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35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5의 표시 장치(60-5)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35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5의 표시 장치(60-5)에서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35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5의 표시 장치(60-5)에서는, 실시예 2의 표시 장치(60-2)와 마찬가지로,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도 30 참조).
이상 설명한 실시예 5의 표시 장치(60-5)에 의하면,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만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한정된 범위에서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5의 표시 장치(60-5)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6) 실시예 6의 표시 장치
도 37에는, 실시예 6의 표시 장치(60-6)(도 38, 도 39 참조)에 의해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37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6의 표시 장치(60-1)는,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와,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의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37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6의 표시 장치(60-6)에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37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6의 표시 장치(60-6)에서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단, 중앙의 종단면 이외의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6의 표시 장치(60-6)에 의하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와,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의 범위에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약간 좁은 범위에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6의 표시 장치(60-6)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야투쟁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약간 좁은 범위에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7) 실시예 7의 표시 장치
도 40에는, 실시예 7의 표시 장치(60-7)(도 41 참조)에 의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40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7의 표시 장치(60-7)는,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로부터, 중앙 시야와,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와,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의 범위를 제외한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40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7의 표시 장치(60-7)에서는,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40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7의 표시 장치(60-7)에서는, 실시예 1의 표시 장치(60-1)와 마찬가지로,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도 27 참조).
이상 설명한 실시예 7의 표시 장치(60-7)에 의하면, 확장 시야 범위로부터, 좌안의 시야 범위 내 및 우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와, 좌안의 시야 범위 외 및 우안의 시야 범위 내의 범위를 제외한 범위에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약간 광범위하게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7의 표시 장치(60-7)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야투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약간 광범위하게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8) 실시예 8의 표시 장치
도 42에는, 실시예 8의 표시 장치(60-8)(도 43, 도 44 참조)에 의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내에 표시된 상의 분포가 나타내져 있다. 도 42에서는, 상이 표시되는 범위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상이 표시되지 않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8의 표시 장치(60-8)는,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상을 표시한다.
도 42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8의 표시 장치(60-8)에서는,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도 42의 상 분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예 8의 표시 장치(60-8)에서는,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표시 소자(100a)로부터 동공(4)을 통하여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에 표시광(DL)이 조사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8의 표시 장치(60-8)에 의하면, 좌안의 확장 시야 범위 중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야투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시각이 우수한 범위에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8의 표시 장치(60-8)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역 사이에서 해상도를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야투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시각이 우수한 범위에 시인성이 좋은 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제2 실시형태의 실시예 1∼8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는, 실시예 1∼8의 표시 장치에 의한 상 표시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전환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런데, 유저의 눈에 시야의 결손이 있는 경우에, 시야의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범위(유저의 시각이 확보되지 않는 범위)에 표시되는 상을 유저의 시각이 확보된 영역으로 시프트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하면, 일정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 소자(100a)를 사용하여, 보다 고해상도인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이 표시를 행하는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9.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에서는,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 시야에 있어서의 좌안의 시야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범위(백색의 영역) 이외의 범위(진한 회색의 영역)에 고해상도의 상 표시를 행하고, 양안의 시야 범위 외의 범위(연한 회색의 영역)에 저해상도의 표시를 행한다.
한편, 주변 시야 중 좌안의 시야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범위 이외의 범위에만 상을 표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 보다 고해상도의 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10.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표시 장치에서는,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 시야 범위에 있어서의 좌안의 시야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범위(여기서는 중심 시야를 포함하는 백색의 영역) 이외의 범위(진한 회색의 영역)에 상 표시를 행한다.
한편, 주변 시야 중 좌안의 시야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범위 이외의 범위에만 상을 표시하여도 된다.
11. <본 기술의 변형예 1의 표시 장치>
이하, 본 기술의 변형예 1의 표시 장치(150)에 대해서, 도 47,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의 표시 장치(150)에서는, 도 47,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계(200)는, 적어도 사용시에 안구에 일체화되는 광학 소자(200a)와, 해당 광학 소자(200a)를 향해 광을 투사하는 광 투사부(200b)를 포함한다.
광학 소자(200a)는, 안구 장착형(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형)의 광학 소자(예를 들면, 렌즈)이며, 굴절 또는 회절에 의해 입사 광선을 구부리는 기능을 갖고, 안구(EB)의 각막(5)을 덮도록 장착된다. 도 47, 도 48은, 광학 소자(200a)가 유저의 좌안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다.
광 투사부(200b)는, 예를 들면, 광원(예를 들면, 레이저)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평행광으로 하는 콜리메이트 렌즈를 포함한다. 이 구성은,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의한 상 표시에 적합하다.
한편, 광 투사부(200b)는, 예를 들면, MOLED, LED 어레이, 유기 EL 소자 어레이 등의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액정 표시부 및 광원(예를 들면, LED)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광 편향기(예를 들면, MEMS 미러) 및 해당 광 편향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예를 들면, 레이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된 광(L1)은, 광학 소자(200a)의 중앙부에 입사되고 그대로 직진하여 동공(4)을 통과하여 제1 영역(A1)에 입사된다.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내에 있어서,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된 광(L2, L3, L4, L5, L6, L7)은, 각각 광학 소자(200a)에 입사되고 굴절되어 동공(4)을 통과하고, 우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우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 좌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 좌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에 입사된다.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된 광(L1)은, 광학 소자(200a)의 중앙부에 입사되고 그대로 직진하여 동공(4)을 통과하여 제1 영역(A1)에 입사된다.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 내에 있어서,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된 광(L2, L3, L4, L5)은, 각각 광학 소자(200a)에 입사되고 굴절되어 동공(4)을 통과하고, 하측의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 하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 상측의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i), 상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에 입사된다.
광 투사부(200b)는, 광(L1∼L7)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사 가능하다.
광 투사부(200b)는, 예를 들면,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편향·주사하는 광 편향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어느 상 표시에도 대응 가능하다.
변형예 1의 표시 장치(150)에 있어서는, 유저의 시선을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면, 복수의 PD를 포함하는 센서, 이미지 센서 등)를 사용하여, 시선이 변화하여도 망막(1)의 원하는 위치에 광이 조사되도록,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되는 광(L1∼L7)의 위치를 제어하여도 된다.
<12. 본 기술의 변형예 2의 표시 장치>
이하, 본 기술의 변형예 2의 표시 장치(250-1)에 대해서, 도 4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표시 장치(250-1)를 횡단면만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종단면 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논의가 성립한다.
변형예 2의 표시 장치(250-1)에서는,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계(300-1)의 표시 소자(300a-1)가 수정체(6)에 매립되어 있다.
표시 소자(300a-1)는, 수정체(6)의 내부 중앙에 동공(4)에 대향하도록 대략 평판상의 상태로 매립되어 있다.
표시 소자(300a-1)로부터 사출된 광(L1)은, 제1 영역(A1)에 입사된다.
표시 소자(300a-1)로부터 사출된 광(L2)은, 우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입사된다.
표시 소자(300a-1)로부터 사출된 광(L3)은,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에 입사된다.
표시 소자(300a-1)로부터 사출된 광(L4)은, 우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에 입사된다.
표시 소자(300a-1)로부터 사출된 광(L5)은, 좌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에 입사된다.
표시 소자(300a-1)로부터 사출된 광(L6)은,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에 입사된다.
표시 소자(300a-1)로부터 사출된 광(L7)은, 좌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에 입사된다.
표시 소자(300a-1)는, 광(L1∼L7)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선택적으로 사출 가능하다.
표시 소자(300a-1)는, 예를 들면,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편향·주사하는 광 편향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어느 상 표시에도 대응 가능하다.
<13. 본 기술의 변형예 3의 표시 장치>
이하, 본 기술의 변형예 3의 표시 장치(350-1)에 대해서, 도 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표시 장치(350-1)를 횡단면도만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종단면 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논의가 성립한다.
변형예 3의 표시 장치(350-1)는,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계(400-1)가, 광학 소자(400a-1)와, 해당 광학 소자(400a-1)에 광을 투사하는 광 투사부(200b)를 포함한다.
변형예 3의 표시 장치(350-1)의 광학 소자(400a-1)는, 수정체(6)의 내부 중앙에 동공(4)에 대향하도록 대략 평판상의 상태로 매립되어 있다.
광학 소자(400a-1)는, 일례로서,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로 감에 따라, 입사광을 바깥쪽(중심부로부터 주변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굴절율이 높아지는 굴절율 분포를 갖는다. 또한, 다른 예로서, 입사 광선을 회절하는 광학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광학 소자의 중앙부에 입사하는 광선보다 주변부에 입사하는 광선이 외측으로 회절하는 각도가 커지도록 한다.
도 50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되어 각막(5) 및 동공(4)을 통과하여 광학 소자(400a-1)의 중앙 위치에 입사한 광선(L1)이, 해당 광학 소자(400a-1) 내를 그대로 직진하여 제1 영역(A1)에 입사된다.
도 50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되어 각막(5) 및 동공(4)을 통과한 광선(L2, L3, L4, L5, L6, L7)은, 각각 각막(5)으로 굴절되어 동공(4)을 통과하고, 우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 우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o), 좌측의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LR),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A2R), 좌측의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A2o)에 입사된다.
광 투사부(200b)는, 광(L1∼L7)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사 가능하다.
광 투사부(200b)는, 예를 들면,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편향·주사하는 광 편향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어느 상 표시에도 대응 가능하다.
변형예 3의 표시 장치(350-1)에 있어서는, 유저의 시선을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면, 복수의 PD를 포함하는 센서, 이미지 센서 등)를 사용하여, 시선이 변화되어도 망막(1)의 원하는 위치에 광이 조사되도록, 광 투사부(200b)로부터 투사되는 광(L1∼L7)의 위치를 제어하여도 된다.
<14.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
이하에,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일례인 표시 시스템(1000)에 대해서, 도 5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표시 시스템(1000)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표시 시스템(1000)은, 표시 장치(50)와 제어 장치(17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70)는, 예를 들면, 신호 입력부(1000a), 신호 처리부(1000b), 구동부(1000c), 전력 취득부(1000d) 및 전원(1000e)을 포함한다.
신호 입력부(1000a)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센서)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입력한다.
신호 처리부(1000b)는, 신호 입력부(1000a)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표시 소자(100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부(1000c)는, 신호 처리부(1000b)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표시 소자(100a)에 인가하여 표시 소자(100a)를 구동한다.
전력 취득부(1000d)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전원(1000e)로부터 전력을 취득하고, 신호 입력부(1000a), 신호 처리부(1000b), 구동부(1000c) 및 표시 소자(100a)에 전력을 분배한다.
전원(1000e)는, 축전지(예를 들면, 전지, 2차전지 등)이어도 되고, 발전원 이어도 된다.
한편, 표시 시스템(1000)은, 표시 장치(50)의 대신에, 표시 장치(50-1∼50-8, 60-1∼60-8, 250-1)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52는,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다른 예인 표시 시스템(2000)의 블록도이다. 표시 시스템(2000)은,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150)의 조사계(200)가, 광학 소자(200a) 및 광 투사부(200b)를 포함한다.
표시 시스템(2000)은, 구동부(1000c)의 구동 대상이 광 투사부(200b)(보다 상세하게는 광 투사부(200b)의 광원)인 점을 제외하고, 도 51에 나타내는 표시 시스템(1000)과 마찬가지의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한편, 표시 시스템(2000)은, 표시 장치(150)의 대신에, 표시 장치(350-1)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5. 본 기술의 다른 변형예>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각 실시예 및 각 변형예의 표시 장치를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합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확장 시야 범위 내의 각 영역(중심 시야,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의 전역에 한하지 않고, 요컨대, 적어도 일부에 광(표시광)이 조사되면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각 실시예 및 각 변형예의 표시 장치는, 조사계가, 좌안에 장착 또는 매립되는 소자(표시 소자 또는 광학 소자)를 갖고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우안에 장착 또는 매립되는 소자(표시 소자 또는 광학 소자)를 갖고 있어도 된다.
한편,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유저의 양안 중 적어도 일방의 망막의, 중심 시야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외측의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계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 상기 중심 시야는, 3° 이하의 시각을 갖는,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중심 시야는, 6.5° 이하의 시각을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에 포함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중심 시야의 중심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제1 영역의 중심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외측에 위치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조사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만 상기 광을 조사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주변 시야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해당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9)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청구항(9) 또는 (10)에 기재된 표시 장치.
(12)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9)∼(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3)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4)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더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 및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9)∼(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5) 상기 조사계는, 상기 제1 영역에도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은,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6)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주변 시야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는, (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7)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1 및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보다 단순한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광이 조사되는, (16)에 기재된 표시 장치.
(18)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1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보다 단순한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광이 조사되는, (16)에 기재된 표시 장치.
(19)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2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과,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은, 해상도 및/또는 표시 내용의 단순함이 다른, (16)에 기재된 표시 장치.
(20)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한, (19)에 기재된 표시 장치.
(21)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한, (19)에 기재된 표시 장치.
(22)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더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고, 및/또는,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한, (16)∼(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23) 상기 조사계는, 상기 망막 중, 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다른 영역에 조사되도록 조사 범위를 변경하는, (1)∼(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24) 상기 일 영역은, 상기 망막에 있어서의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상기 다른 영역은, 상기 망막에 있어서의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영역인, (23)에 기재된 표시 장치.
(25)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시야의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영역을 포함하는, (24)에 기재된 표시 장치.
(26)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24) 또는 (25)에 기재된 표시 장치.
(27)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사용시에 상기 양안의 일방에 일체화되는 표시 소자 및/또는 타방에 일체화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1)∼(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28) 상기 표시 소자는, 안구 장착형의 표시 소자인, (27)에 기재된 표시 장치.
(29) 상기 표시 소자는, 안구 매립형의 표시 소자인, (27)에 기재된 표시 장치.
(30) 상기 표시 소자는, 자발광형의 표시 소자인, (27)∼(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31) 상기 표시 소자는, 광 편향기 및 광원을 포함하는, (27)∼(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32) 상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부 및 광원을 포함하는, (27)∼(29)에 기재된 표시 장치.
(33)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사용시에 상기 양안의 일방에 일체화되는 광학 소자 및/또는 타방에 일체화되는 광학 소자와, 상기 광학 소자를 향해 광을 투사하는 광 투사부를 포함하는, (1)∼(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34) 상기 광학 소자는, 안구 장착형의 광학 소자인, (33)에 기재된 표시 장치.
(35) 상기 광학 소자는, 안구 매립형의 광학 소자인, (33)에 기재된 표시 장치.
(36) 상기 광 투사부는, 광 편향기 및 광원을 포함하는, (33)∼(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37) 상기 광 투사부는, 자발광 소자, 또는, 액정 표시부 및 광원을 포함하는, (33)∼(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38) (1)∼(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
1: 망막
9: 중심와
9a: 중심와의 중심
50-1∼50-8, 60-1∼60-8, 150, 250-1, 350-1: 표시 장치
100, 200, 300-1, 400-1: 조사계
100a, 300a-1: 표시 소자
200a, 400a-1: 광학 소자
200b: 광 투사부
광(L1∼L7), 표시광(DL), DL1∼D4: 광
CFV: 중심 시야
PeV: 주변 시야
A1: 제1 영역
A2LR: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
A2L: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
A2R: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
A2i, 주변 시야 대응 영역
A2o: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

Claims (38)

  1. 유저의 양안(兩眼) 중 적어도 일방의 망막의, 중심 시야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외측인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계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시야는, 3° 이하의 시각을 갖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시야는, 6.5° 이하의 시각을 갖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fovea)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시야의 중심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중심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중심와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계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만 상기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주변 시야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더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 및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계는, 상기 제1 영역에도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은,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주변 시야에 대응하는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1 및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게 표시하는 상기 광과,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보다 단순한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사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가 겹치는 범위로서 상기 중심 시야를 제외한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1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게 표시되는 광과,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보다 단순한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광 중 어느 하나가 조사되는, 표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은,
    상기 양안 중 일방의 시야 범위 내 및 타방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과,
    상기 일방의 시야 범위 외 및 상기 타방의 시야 범위 내에 대응하는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양안 중 상기 일방의 망막의, 상기 제2 및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과,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은, 해상도 와, 표시 내용의 단순함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은 것과,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은 것과, 상기 제2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제3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망막의,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을 더 갖고,
    상기 조사계는,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 및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상기 광을 조사하고,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보다,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상의 해상도가 낮은 것과, 상기 양안 시야 범위 외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주변 시야 대응 영역에 조사되는 상기 광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단순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계는, 상기 망막 중, 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다른 영역에 조사되도록 조사 범위를 변경하는,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은, 상기 망막에 있어서의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상기 다른 영역은, 상기 망막에 있어서의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영역인, 표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시야의 결손에 의해 상실된 시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시야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상기 망막의, 상기 양안의 시야 범위 외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사용시에 상기 양안의 일방에 일체화되는 표시 소자와 타방에 일체화되는 표시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안구 장착형의 표시 소자인, 표시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안구 매립형의 표시 소자인, 표시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자발광형의 표시 소자인, 표시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광 편향기 및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부 및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계는,
    적어도 사용시에 상기 양안의 일방에 일체화되는 광학 소자와 타방에 일체화되는 광학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광학 소자를 향해 광을 투사하는 광 투사부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안구 장착형의 광학 소자인, 표시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안구 매립형의 광학 소자인, 표시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사부는, 광 편향기 및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사부는, 자발광 소자, 또는, 액정 표시부 및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8. 제1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
KR1020237042792A 2021-05-28 2022-01-28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KR20240013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0055 2021-05-28
JP2021090055 2021-05-28
PCT/JP2022/003205 WO2022249544A1 (ja) 2021-05-28 2022-01-28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759A true KR20240013759A (ko) 2024-01-30

Family

ID=8422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792A KR20240013759A (ko) 2021-05-28 2022-01-28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0421A1 (ko)
JP (1) JPWO2022249544A1 (ko)
KR (1) KR20240013759A (ko)
CN (1) CN117355788A (ko)
WO (1) WO202224954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256A (ja) 2007-10-26 2014-11-06 ブリアン・ホールデン・ヴィジョン・インスティテュート 周辺視覚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4636A (ja) * 1989-02-27 1990-09-06 Toyo Medical Kk 網膜電位計
JP3263278B2 (ja) * 1995-06-19 2002-03-04 株式会社東芝 画像圧縮通信装置
EP2084568A2 (en) 2006-10-10 2009-08-05 Novartis AG A lens having an optically controlled peripheral portion and a method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lens
IL242895B (en) * 2015-12-03 2021-04-29 Eyeway Vision Ltd Image projection system
EP3435138A1 (en) * 2017-07-28 2019-01-30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Device for providing a panoramic view or a binocular view for a monocular eye
EP3489737A3 (en) * 2017-11-24 2019-06-26 Optotune AG Near-eye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256A (ja) 2007-10-26 2014-11-06 ブリアン・ホールデン・ヴィジョン・インスティテュート 周辺視覚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55788A (zh) 2024-01-05
JPWO2022249544A1 (ko) 2022-12-01
WO2022249544A1 (ja) 2022-12-01
EP4350421A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641B2 (en) Light management for image and data control
TWI708985B (zh) 影像投影系統
US11956414B2 (en)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correction for vision defects and augmentation of vision and sensing
US10275024B1 (en) Light management for image and data control
US10634912B2 (en) See-through near eye optical module
US8403490B2 (en) Beam scanning-type display device,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KR20230020951A (ko) 굴절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주변 망막에 대한 디포커스된 이미지의 투영
US200200367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he retinal reflex image
US20090295683A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variable focal length lens
US20200257122A1 (en) See-Through Near Eye Display Optical Dithering
CN104812342A (zh) 视觉帮助投影仪
AU2023285715A1 (en)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correction for vision defects and augmentation of vision and sensing
US20090073386A1 (en) Enhanced head mounted display
CN110770636B (zh) 具有矫正视力缺陷、增强视力和感知能力的可穿戴图像处理和控制系统
JP7395803B2 (ja) 眼科装置
CN110023815A (zh) 显示装置和使用图像渲染器和光学组合器进行显示的方法
KR20240013759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WO2021111792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EP3762764A1 (en) See-through near eye optical module
CN115280219A (zh) 强化视力的系统与方法
WO2020009819A1 (en) See-through near eye optical display
JP2002156599A (ja) 画像観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観察システム
ES2961643T3 (es) Pantalla de campo de luz, método de representación de píxeles ajustados para la misma y sistema y método de percepción de visión ajustada que usan el mismo tratamiento del astigmatismo o condiciones similares
WO2021222218A1 (en) See-through near eye display optical dithering
CA3237309A1 (en) Head-wearable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