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626A -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626A
KR20240013626A KR1020220110918A KR20220110918A KR20240013626A KR 20240013626 A KR20240013626 A KR 20240013626A KR 1020220110918 A KR1020220110918 A KR 1020220110918A KR 20220110918 A KR20220110918 A KR 20220110918A KR 20240013626 A KR20240013626 A KR 2024001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signal strength
channel
targ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유우춘
김용현
노동훈
안진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82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19330A1/ko
Publication of KR2024001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장치는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와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하고, 주변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변 블루투스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서,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WAVE OUTPUT IN BLUETOOTH ENVIRONMENT}
이하의 일 실시 예들은 블루투스 환경에서 블루투스 장치의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기술은 기존부터 좁은 구역에서 여러 대의 기기를 사용하는 수요가 항상 존재하였다. 다른 통신에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듯이 블루투스 환경에서도 혼잡을 피하기 위하여 다수의 주파수 채널을 통한 컨트롤을 사용한다. 최적의 환경에서 데이터 연결에 사용하도록 배정된 블루투스 채널은 37개로 이러한 각각의 통신이 각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여, 중복된 공간에서도 다수의 블루투스 지원을 쾌적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블루투스 장치가 널리 보급되면서, 많은 블루투스 장치로 인해 블루투스 환경이 혼잡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다른 무선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서도 블루투스 환경에 간섭이 발생하고 있어서, 혼잡한 블루투스 환경이 발생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제1 동작(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하는 제2 동작(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 동작(2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제4 동작(21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면, 상기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하는 동작(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는 안테나(112, 897);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블루투스 모듈(114, 892);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6, 8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면, 상기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회신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수신률이 저하될 때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점선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환경은 블루투스 장치(110)와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장치(110)는 새로 블루투스 환경에 진입하거나, 새로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거나 하는 등의 변동이 발생한 장치일 수 있다.
즉, 블루투스 장치(110)와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는 구성상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관점에서 블루투스 장치(110)는 주변에 위치한 주변 블루투스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안테나(112), 블루투스 모듈(114) 및 프로세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112)는 어드버타이즈 채널(advertise channel)을 통해서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advertise message)를 송신하고, 제 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114)은 안테나(112)를 통해서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타겟 장치는 블루투스 장치(1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장치일 수 있다. 블루투스 타겟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키보드, 및/또는 블루투스 마우스와 같은 블루투스 주변 기기에 해당하는 블루투스 가젯(Gadget)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안테나(112)와 블루투스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는 블루투스 채널 정보 외에도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장치(110)의 식별정보(예: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세기강도(RSSI; Receiver Signal Strength Indicator)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수신되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협응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수신되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협응성이 충분하다는 것은 해당 블루투스 장치가 주변 블루투스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에 혼선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로, 수신되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판단 결과, 협응성이 충분하면,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연결된 신호 세기로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판단 결과,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세기의 조정 가능 여부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이상이면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최소 보장 신호 세기와 기준값은 사전에 실험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면, 즉,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이상이면,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연결된 신호 세기를 제2 값 만큼 낮추도록 블루투스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즉,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고,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한 경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의 채널 정보와 연결된 신호 세기를 확인하고,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여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다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모듈(114)을 통해서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신률 저하는 예를 들어, wifi와 같이 블루투스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는 통신에 의한 채널 침식으로 특정 채널에서 큰 노이즈가 발생할 경우 패킷의 전달율이 떨어져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한 결과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고,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타겟과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한 경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한 결과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1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6)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현재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하는 것은 현재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의 채널 정보와 연결된 신호 세기를 확인하고,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여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다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 또한 각각 안테나(122, 132), 블루투스 모듈(124, 134) 및 프로세서(126, 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122, 132)는 어드버타이즈 채널(advertise channel)을 통해서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advertise message)를 수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124, 134)은 안테나(122, 132)를 통해서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24, 134)은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세기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세기강도(RSSI; Receiver Signal Strength Indicator)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6, 136)는 안테나(122, 132)와 블루투스 모듈(124, 13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6, 136)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생성하여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블루투스 장치(1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블루투스 장치(110)와 블루투스 타겟 장치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210). 블루투스 장치(110)와 블루투스 타겟 장치간의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210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212).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할 수 있다(214). 이때,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장치(1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216). 이때,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세기강도(RSSI; Receiver Signal Strength Indicator)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할 수 있다(218). 이때, 협응성이 충분한지 여부의 판단은 수신되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협응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수신되는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은 해당 블루투스 장치(110)의 신호가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 방해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값으로, 협응성이 충분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판단결과 협응성이 충분하면,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연결된 신호 세기로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할 수 있다(2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판단결과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20).
220동작에서 신호 세기의 조정 가능 여부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이상이면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220동작의 판단결과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면, 즉,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이상이면,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연결된 신호 세기를 제2 값 만큼 낮출 수 있다(222).
222동작 이후에 블루투스 장치(110)는 212동작으로 돌아가 이후 일련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220동작의 판단결과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지 않으면, 즉, 비교결과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고(224),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할 수 있다(226).
226동작 이후에 블루투스 장치(110)는 212동작으로 돌아가 이후 일련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회신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110)로부터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310),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31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는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생성하여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블루투스 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314).
도 3의 설명에서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도 3의 동작이 수행됨을 설명하고 있지만, 블루투스 장치(110)에서도 다른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도 3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수신률이 저하될 때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블루투스 타겟 장치로부터의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410), 현재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412).
블루투스 장치(110)는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14).
414동작의 확인결과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416).
414동작의 확인결과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418).
블루투스 장치(110)는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할 수 있다(420).
그리고, 블루투스 장치(110)는 도 2의 전파 출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422). 이때, 도 2의 210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510동작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블루투스 장치(110)는 도 2의 전파 출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5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110)(또는 프로세서(116))는 블루투스 타겟 장치와 블루투스 채널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도 2의 210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안한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은 블루투스 타겟 장치에 해당하는 블루투스 가젯을 생산하고, 생성된 블루투스 타겟 장치를 검사하는 생산 라인에서 한꺼번에 많은 블루투스 가젯을 검사할 때, 협응성을 고려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블루투스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안한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은 군집화된 드론을 제어하는 환경에서 각 드론과의 무선 통신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안한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은 아마존과 같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운송 로봇이 많은 물류 센터와 같은 환경에서 각 운송 로봇과의 무선 통신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안한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장치가 많아 무선 통신이 혼잡한 IoT 환경에도 적용 할 수 있다.
그러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안한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된 블루투스 가젯을 검사하는 생산 라인의 검사 시스템 환경의 예를 다음의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점선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검사 시스템(600)은 검사 장치(610)와 다수의 블루투스 장치(620, 630, 640, 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검사 장치(610)는 다수의 블루투스 장치(620, 630, 640, 6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연결하여 검사 대상인 다수의 블루투스 가젯(621-624, 631-634, 641-644, 651-654)의 검사에 관한 지시를 다수의 블루투스 장치(620, 630, 640, 650)로 송신하고, 다수의 블루투스 장치(620, 630, 640, 650) 각각은 검사결과를 검사 장치(6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사 장치(610)와 다수의 블루투스 장치(620, 630, 640, 650)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 또는 USB 통신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검사 장치(610)와 다수의 블루투스 장치(620, 630, 640, 650)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WIFI 통신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안한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은 다수의 블루투스 장치(620, 630, 640, 650) 간의 협응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적용되는 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검사 환경에서 -75dB의 RSSI값을 보증하도록 표준을 잡고, 검사 환경의 유지를 위한 최적 SNR비를 10배(10dB)로 지정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75dB에 대한 최적값(RSSI값)은 -85dB일 수 있다. 즉, -75dB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이고, -85dB는 연결하고자 하는 신호 세기이자 기준값 일 수 있다. 이때, 연결된 신호 세기는 조정을 통해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예: 도 1의 블루투스 장치(110))에 새로운 블루투스 가젯(621)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시작되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 640, 650)(예: 도 1의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 640, 650)로부터 수신한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신호세기강도(RSSI)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협응성이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에서 측정된 RSSI는 -89dB일 수 있다. -89dB는 최적값(-85dB)에서 4dB 마진(margin, 여유)을 가진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40)에서 측정된 RSSI는 -91dB일 수 있다. -91dB는 최적값(-85dB)에서 6dB 마진을 가진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 스 장치(650)에서 측정된 RSSI는 -87dB일 수 있다. -87dB는 최적값(-85dB)에서 2dB 마진을 가진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75dB)에서 연결된 신호 세기(-85dB)를 뺀 제1 값(10dB)과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89dB, -91dB, -87dB)에서 기준값(-85dB)을 뺀 제2 값(-4dB, -6dB, -2dB)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제1 값(10dB)이 제2 값((-4dB, -6dB, -2dB) 이상이므로,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현상태의 블루투스 통신을 유지하거나 또는 여유가 있는 값들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인 2dB에 해당하는 만큼 블루투스 장치(620)와 블루투스 가젯(621) 간의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변경하는 경우, 블루투스 장치(620)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고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환경에서 -75dB의 RSSI값을 보증하도록 표준을 잡고, 검사 환경의 유지를 위한 최적 SNR비를 10배(10dB)로 지정하고, 검사 환경의 유지를 위한 최소 SNR비를 4배(6dB)로 지정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75dB에 대한 최소값(RSSI값)은 -81dB일 수 있다. 즉, -75dB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이고, -81dB는 연결하고자 하는 신호 세기이자 기준값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에 새로운 블루투스 가젯(621)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시작되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 640, 65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 640, 650)로부터 수신한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신호세기강도(RSSI)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협응성이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에서 측정된 RSSI는 -75dB일 수 있다. -75dB는 최소값(-81dB)에서 6dB 초과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40)에서 측정된 RSSI는 -77dB일 수 있다. -77dB는 최소값(-81dB )에서 4dB 초과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50)에서 측정된 RSSI는 -76dB이다. -76dB는 최소값(-81dB)에서 5dB 초과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75dB)에서 연결된 신호 세기(-81dB)를 뺀 제1 값(6dB)과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75dB, -77dB, -76dB)에서 기준값(-81dB)을 뺀 제2 값(6dB, 4dB, 5dB)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제1 값(6dB)이 제2 값(6dB, 4dB, 5dB) 이상이므로,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검사 환경에서 협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측정된 RSSI 값 중에서 최소값에서 가장 크게 초과된 값인 6dB에 해당하는 만큼 블루투스 장치(620)와 블루투스 가젯(621) 간의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변경하는 경우, 블루투스 장치(620)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고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환경에서 -75dB의 RSSI값을 보증하도록 표준을 잡고, 검사 환경의 유지를 위한 최적 SNR비를 10배(10dB)로 지정하고, 검사 환경의 유지를 위한 최소 SNR비를 4배(6dB)로 지정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75dB에 대한 최소값(RSSI값)은 -81dB일 수 있다. 즉, -75dB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이고, -81dB는 연결하고자 하는 신호 세기이자 기준값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에 새로운 블루투스 가젯(621)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시작되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 640, 65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 640, 650)로부터 수신한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신호세기강도(RSSI)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협응성이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30)에서 측정된 RSSI는 -75dB일 수 있다. -75dB는 최소값(-81dB)에서 6dB 초과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40)에서 측정된 RSSI는 -77dB일 수 있다. -77dB는 최소값(-81dB )에서 4dB 초과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블루투스 장치(650)에서 측정된 RSSI는 -73dB이다. -73dB는 최소값(-81dB)에서 8dB 초과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최소 보장 신호 세기(-75dB)에서 연결된 신호 세기(-81dB)를 뺀 제1 값(6dB)과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75dB, -77dB, -73dB)에서 기준값(-81dB)을 뺀 제2 값(6dB, 4dB, 8dB)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제1 값(6dB)이 제2 값(6dB, 4dB, 8dB) 미만이므로, 신호 세기의 조정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검사 환경에서 협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측정된 RSSI 값 중에서 최소값에서 가장 크게 초과된 값인 8dB에 해당하는 만큼 블루투스 장치(620)와 블루투스 가젯(621) 간의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낮출 경우 블루투스 장치(620)의 통신 상태가 불량하기 때문에 다른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검색된 채널의 RSSI 값을 확인하고, RSSI 값이 가장 낮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환경에서 특정 채널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중에 패킷 손실률이 기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로 지속됨을 감지하면, 블루투스 장치(620)는 다른 채널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의 RSSI 값을 확인하고, RSSI 값이 가장 낮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킷 손실률이 기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가 발생하는 것은 블루투스가 2.4 Ghz의 공용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며 저전력을 장점으로 한 특성 상 전파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다른 통신수단(예를 들어, 와이파이)에 의해서 간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블루투스 장치(620)는 다른 채널을 검색하여 다른 통신수단을 회피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800)에서 전자 장치(801)(예: 도 1의 블루투스 장치(110) 또는 도 6의 블루투스 장치(620))는 제1 네트워크(8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8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입력 모듈(850), 음향 출력 모듈(855), 디스플레이 모듈(860), 오디오 모듈(870), 센서 모듈(876), 인터페이스(877), 연결 단자(878), 햅틱 모듈(879), 카메라 모듈(880), 전력 관리 모듈(888), 배터리(889), 통신 모듈(890), 가입자 식별 모듈(896), 또는 안테나 모듈(8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8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8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876), 카메라 모듈(880), 또는 안테나 모듈(8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8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820)에 연결된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8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8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20)는 메인 프로세서(8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8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가 메인 프로세서(821) 및 보조 프로세서(8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8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8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와 함께,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860),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8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880) 또는 통신 모듈(8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8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8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8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 메인 프로세서(821) 또는 보조 프로세서(823)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은 도 1의 프로세서(116)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 또는 센서 모듈(8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8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메모리(8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842), 미들 웨어(844) 또는 어플리케이션(8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850)은,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8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8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8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60)은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8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870)은, 입력 모듈(8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855), 또는 전자 장치(8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전자 장치(8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8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8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8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8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전자 장치(8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8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8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전자 장치(8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프로세서(8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90)은 무선 통신 모듈(8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8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8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8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가입자 식별 모듈(8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898) 또는 제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도 1의 블루투스 모듈(114)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전자 장치(8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2 네트워크(8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8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898) 또는 제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8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8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8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도 1의 안테나(112)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899)에 연결된 서버(808)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와 외부의 전자 장치(8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802, 또는 804) 각각은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802, 804, 또는 8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8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8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는 제2 네트워크(8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는 안테나(112, 897);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블루투스 모듈(114, 892);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6, 8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하고,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면, 상기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하고,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상기 제2 값 만큼 낮추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고, 낮춘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통해서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통해서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수신되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세기강도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현재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제1 동작(212);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하는 제2 동작(214);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 동작(216);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제4 동작(218);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면, 상기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하는 동작(230) 및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동작(212) 이전에,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제4 동작(218)은, 수신되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은,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는 동작(220); 및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상기 제2 값 만큼 낮추는 동작(2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은,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는 동작(220);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는 동작(224); 및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는 동작(2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세기강도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410),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는 동작(412); 및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 이하이면(414),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4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410),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는 동작(412);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414),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는 동작(418); 및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는 동작(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310),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312); 및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로 송신하는 동작(314)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는 안테나(112, 897);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블루투스 모듈(114, 892);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6, 82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하고,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면, 상기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하고,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상기 제2 값 만큼 낮추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고,
    낮춘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통해서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통해서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114, 892)을 제어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수신되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세기강도 인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6, 820)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현재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대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재 판단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로 송신하는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장치.
  10.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에 관한 정보인 블루투스 채널 정보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제1 동작(212);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송신하는 제2 동작(214);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로부터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 동작(216);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이용해서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제4 동작(218);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면, 상기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로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확정하는 동작(230); 및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212) 이전에,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와 상기 블루투스 타겟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210)
    을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응성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제4 동작(218)은,
    수신되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의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은,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는 동작(220); 및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2 값 이상이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상기 제2 값 만큼 낮추는 동작(222)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협응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신호 세기를 조정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연결된 블루투스 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은,
    최소 보장 신호 세기에서 상기 연결된 신호 세기를 뺀 제1 값과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서 기준값을 뺀 제2 값을 비교하는 동작(220);
    비교결과 상기 제1 값이 제2 값 미만이면,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는 동작(224); 및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는 동작(226)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는,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에서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세기강도 인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410),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는 동작(412); 및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 이하이면(414),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416)
    을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수신률 저하가 감지되면(410),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를 측정하는 동작(412);
    상기 현재 블루투스 채널의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414), 가용한 블루투스 채널들 중에서 수신신호세기강도가 가장 낮은 블루투스 채널을 선택하는 동작(418); 및
    상기 블루투스 타겟과 상기 선택된 블루투스 채널로 통신 연결하는 동작(42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에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1 동작(212), 상기 제2 동작(214), 상기 제3 동작(216) 및 상기 제4 동작(218)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4 동작(218)의 판단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블루투스 장치(120, 130)는,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하면(310), 상기 제1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312); 및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어드버타이즈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어드버타이즈 채널을 통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110)로 송신하는 동작(314)
    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전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220110918A 2022-07-22 2022-09-01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40013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8267 WO2024019330A1 (ko) 2022-07-22 2023-06-15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91335 2022-07-22
KR1020220091335 2022-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626A true KR20240013626A (ko) 2024-01-30

Family

ID=8971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18A KR20240013626A (ko) 2022-07-22 2022-09-01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6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58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 세션에 대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30361899A1 (en) Electronic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1730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모드 제어 방법
KR20240013626A (ko)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144223A (ko) 스캔 듀티에 기반한 백 오프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46082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20240034069A (ko) 피드백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39642A (ko) 디지털 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40035269A (ko) 기계학습 모델에 적합한 가속기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95740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송신 방법
KR20230052780A (ko) IPS(indoor positioning system)를 수행하기 위한 채널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위치 결정 시스템
KR20230088218A (ko) 주파수 대역들의 채널들을 스캔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30171349A (ko)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55308A (ko)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20230089740A (ko) 무선 통신을 위한 허브 장치의 링크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30113099A (ko) 빔의 탐색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58874A (ko) 셀의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02107A (ko) 외부 기기를 통해 무선 이어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40032590A (ko) 그라운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24546A (ko) Target Wake Time에 기초한 다중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23007100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40032593A (ko)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3630A (ko) Rf 경로 할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20145635A (ko) 광고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79117A (ko)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