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357A -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357A
KR20240013357A KR1020220090794A KR20220090794A KR20240013357A KR 20240013357 A KR20240013357 A KR 20240013357A KR 1020220090794 A KR1020220090794 A KR 1020220090794A KR 20220090794 A KR20220090794 A KR 20220090794A KR 20240013357 A KR20240013357 A KR 20240013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ata
upload
user input
cloud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욱
황원준
강인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알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알엠 filed Critical (주)아이알엠
Priority to KR102022009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357A/ko
Publication of KR2024001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3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eth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의료 데이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술한 단계들을 통해 의료 기관 및/또는 환자는 별도의 CD 전달 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의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SHARING MEDICAL DATA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병원과 환자 및/또는 병원 간에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의학 기술 및 의학 장비가 발달함에 따라, 근래에는 의학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의료 데이터를 이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병원 간에 의료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경우, 의료 데이터는 민감한 개인 정보이고, 보안과 관련되어 있어 이메일이나 일반적인 파일 공유 서비스는 사용할 수 없어서 문제가 있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영상 데이터 공유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환자(1)의 거주지 변경으로 인해 병원을 옮기는 경우나, 단일 과목을 진찰하는 1차 병원에서 입원진료를 위한 2차 병원으로 옮겨야 하는 경우, 환자(1)는 A 병원에서 제작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CD(2)를 B 병원에 직접 전달한다.
그러나, CD(2)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전달은 CD 분실의 위험, 의료 폐기물 발생, 각 병원에서 이용하는 의료 데이터의 형태의 상이함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의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은, 의료 데이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의 업로드 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권한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권한을 나타내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료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2 사용자 입력 및 상기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의 업로드 불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불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제작을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업로드 대기 표시자(indicator)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 대기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의료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 및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를 함께 압축하여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상기 의료 데이터 및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 뒤, 업로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업로드 완료 메시지는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운로드 링크, 송장번호,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전술한 내용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의료 기관 및/또는 환자는 별도의 CD 전달 없이 정확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의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의료 데이터 공유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도 6a 내지 6e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 다운로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 데이터 공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병원 시스템(100a, 100b), 클라우드 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병원 시스템(100a)은 의료 데이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제1 병원 시스템(100a)은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 하고, 사용자 디바이스(300) 및 제2 병원 시스템(100b) 중 적어도 하나는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본 개시에 따른 의료 데이터는 영상(image), 파형(waveforms), 측정값(measured values) 등 일반적인 연산 장치에서 처리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병원 시스템(100a, 100b)은 일반적으로 환자가 진료를 위해 방문하는 1차 병원, 2차 병원, 대학 병원 등의 병원을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병원 시스템(100a, 100b)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각각의 병원 시스템(100a, 100b)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IHE, DICOM, HL7과 같은 의료정보 표준 및 W3C, ISO와 같은 국제표준에 근거하여 의료 정보 데이터를 검색, 저장, 전송, 조회, 교환, 연결하는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제1 병원 시스템(100a) 및 제2 병원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병원 시스템(100)일 수 있다. 병원 시스템(100)은 제어 모듈(110), 업로드 요청 모듈(120), 데이터 취합 모듈(130), 데이터 저장 모듈(140), 키오스크(150),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 160),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0)은 데이터 업로드 요청 수신, 환자 정보 검색, 의료 데이터 검색, 데이터 압축 및 해제, DB 업데이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어 모듈(110)이 병원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병원 시스템(100) 외부에서 각 병원 시스템(도 2의 100a 또는 100b)과 통신함으로써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의료 데이터를 업로드해달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환자(1)의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요청을 수신하거나, 환자(1)로부터 직접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1)는 스마트폰을 통해 요청을 발송하거나, 병원의 원무과에 방문하여 의료 데이터를 업로드해주길 요청할 수 있다.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의료 데이터를 업로드해달라는 요청에 기초하여 의료 데이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공유 요청 신호는 제어 모듈(110)에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의료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고, 제어 모듈(110)은 취합된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영상 의학과에 배치될 수 있고, 영상 의학과는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업로드 대기 표시자를 확인하고, 업로드 대기 표시자에 기초하여 의료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써 의료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고,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검색된 의료데이터를 제어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 모듈(110)은 전달받은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모듈(140)은 의료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임시적으로 의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CS(160)로부터 다운로드된 의료 영상은 C:\TEMP\에 임시로 저장된 뒤, 제어 모듈(110)로 전달될 수 있다.
키오스크(1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환자(1)는 키오스크(150)를 이용하여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를 요청하거나, 의료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PACS(160)는 의료 영상을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예를 들어, 의사 등 의료 전문 인력)가 저장된 의료 영상을 독출하고, 영상 진단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을 의미한다.
EMR(170)은 환자의 진료와 관련된 정보(즉, 의무기록)를 전산화하여 입력, 관리, 저장할 수 있는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때, 의무 기록은 환자의 인적 사항, 병력, 건강 상태, 진찰 기록, 입원 또는 퇴원 기록 등 환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병원 시스템(100)은 전술한 구성 외에도 다수의 의료 장치, 의료 데이터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시스템(100)은 방사선 정보 시스템(Radiology Information System ; RIS), 임상 정보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 LI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정보 시스템(RIS)은 엑스레이(X-Ray) 영상, 단층 촬영 영상(CT), 자기 공명 영상(MRI) 등과 같은 의료 영상의 분석ㆍ관리 시스템. 분석 보고서관리와 촬영 예약 관리, 영상 분석을 위한 참고 자료의 관리 등과 같은 방사선과의 일반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임상 정보 시스템(LIS)은 병원의 각 검사실과 각 진료과 별로 구축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상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검사실에서 자동으로 검사 결과들이 환자 등록 시스템에 검사 항목으로 입력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담당 의사가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필요한 검사 항목이 표시되어 나가기 때문에 환자를 직접 대하지 않는 임상 병리과, 진단 방사선과 등에서는 환자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모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임상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는 각 검사실에서 단말기를 통해서 환자의 기록을 열람하고, 진단에 필요한 자료를 검토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송수신부(210),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송수신부(210)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 또는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송수신부(210)는 NFC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RAM, ROM,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AM, ROM,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체계화된 데이터의 모임으로, 복수의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들의 묶음이다. 즉, 데이터베이스(220)는 복수의 병원 시스템(100a, 100b)로부터 수신한 의료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송수신부(210),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220) 및 프로세서(230)가 클라우드 서버(200) 내에 각각 별도의 모듈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클라우드 서버(200) 중 적어도 2 이상이 구성요소가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는 송수신부(210),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220) 및 프로세서(230)가 하나의 서버에 구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이한 서버에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B(220)가 별도의 서버에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23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DB(2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10에서,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환자(1)로부터 의료 데이터 업로드 의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1)는 병원의 원무과에 방문하여 의료 영상을 업로드해 줄 것을 요청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300) 또는 키오스크(150)를 통해 의료 영상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S520에서,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모듈(110)로 공유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업로드를 원하는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1)의 업로드 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환자(1)가 업로드에 동의한다는 내용에 대한 서명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1)의 업로드 불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불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제작을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는 환자(1)의 개인 정보이고 악용의 우려가 있는 바, 환자에게 업로드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 환자(1)가 동의한 경우에만 업로드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환자(1)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환자(1)가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병원 시스템(예를 들어, 도1의 100a)에 존재하는 설비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제작함으로써, 기존 설비와 본 개시의 시스템을 통합시키고, 기존 설비를 철거하는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최신 기술에 익숙치 않은 환자(1)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S530에서, 제어 모듈(110)은 EMR(170)에서 환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10)은 EMR에 View table을 요청하거나, API를 요청할 수 있다.
S540에서, 제어 모듈(110)은 업로드 큐 테이블에 업로드할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업로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10)은 메모리에 환자(1)의 서명 파일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50에서, 제어 모듈(110)은 업로드 요청이 정상적으로 승인되었다는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560에서, 업로드 요청 모듈(120)은 확인 신호에 따라서, 환자(1)에게 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서는 종이에 인쇄되어 환자(1)에게 전달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확인서는 해당 영상 데이터에 대한 송장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e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7c를 참고하여, 도 5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a를 참고하면, 원무과 PC의 모니터는 영상 데이터 공유 요청을 위한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610 영역에는, 접수, 새로고침 버튼이 표시되고, 접수 버튼을 클릭하면 업로드 대기 목록에 신규 요청을 추가할 수 있고, 새로고침 버튼을 클릭하면 업로드 목록이 새로고침될 수 있다.
611 영역에는, 업로드 대기 목록이 표시될 수 있고, 업로드 상태 컬럼을 이용하여 현재 업로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접수 일시는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업로드를 요청한 시각일 수 있고, 업로드 일시는 실제로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된 시각일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620 영역의 접수 버튼이 클릭되면 접수 등록을 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621 영역의 접수 등록 화면에서는 환자 ID를 검색하고, 업로드하려는 해당 환자의 영상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c를 참고하면, 입력란(630)에 환자 ID를 입력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환자 ID가 검색되고, 이 때, 환자 ID는 EMR(170)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검색된 환자 ID는 631영역에 표시되고, 해당 환자 ID를 클릭하면 632 영역에 환자 ID가 입력되며, 업로드할 영상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d를 참고하면, 640 영역에서 영상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업로드할 영상의 검사일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업로드할 영상에 대한 설정 이후, 사용자는 “동의 서명 받기” 버튼을 클릭하여 환자(1)의 동의 서명을 받을 수 있다.”동의 서명 받기” 버튼을 클릭하면 서명 패드 화면(641)이 나올 수 있다. 환자(1)는 PC에 연결된 서명 패드에 서명을 하고, 원무과에서는 프로그램을 통해 서명 패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642 영역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업로드 접수가 완료될 수 있고,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업로드 접수가 취소될 수 있다.
도 6e를 참고하면, 업로드 접수가 완료되면 업로드 목록 영역(650)에 해당 접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c를 참고하면, 환자(1)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의료 데이터에 대한 업로드 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6e에서 설명한 내용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S810에서,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업로드 대기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제어 모듈(110)과 통신하여 업로드 대기 목록을 검색하거나 확인할 수 있고,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업로드해야 하는 의료 데이터를 업로드 대기 목록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업로드 대기 목록은 다양한 표시자(indicator)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고, 업로드 대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시자는 업로드 대기 표시자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자는 표(table), 아이콘, 텍스트, 그림 등일 수 있다.
S820에서,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PACS(160)에서 업로드 해야하는 의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S830에서, 데이터 취합 모듈(130)은 검색된 의료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 모듈(140)로 전달할 수 있다.
S840에서, 제어 모듈(110)은 데이터 저장 모듈(140)로부터 검색된 의료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S850에서, 제어 모듈(110)은 의료 데이터을 암호화 및/또는 압축하여 압축 데이터 또는 압축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데이터는 의료 데이터 및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와 함께 압축된 데이터 일 수 있다. 압축된 데이터는 제어 모듈(110)에 의해 압축해제 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0의 S1040).
병원 시스템들이 사용하는 의료 데이터는 각각 그 형태(예를 들어, 파일의 확장자)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환자(1)는 별도의 의료 데이터 열람을 위한 뷰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의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다운로드하는 병원 시스템이 그 의료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툴, 뷰어, 프로그램 등을 갖추지 않았다면 의료 데이터의 열람이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데이터뿐만 아니라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를 함께 압축/압축해제 함으로써, 별도의 뷰어를 구입해야 하는 등의 불편 없이, 더 적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의료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S860에서, 제어 모듈(110)은 압축 파일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S870에서, 제어 모듈(110)은 해당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전송완료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S880에서서, 제어 모듈(110)은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의료 데이터 또는 압축 파일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했음을 나타내는 업로드 완료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로드 완료 메시지는 업로드된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운로드 링크, 송장번호,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로드 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은 바코드, QR코드, 숫자 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Web 발신] 귀하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타 병원에 방문하여 이 문자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송장번호: …"와 같은 업로드 완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9c를 참고하여, 도 8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a를 참고하면, 영상의 촬영/관리/업로드를 담당하는 부서(예를 들어, 영상 의학과)의 PC는 영상 데이터 업로드를 위한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업로드 대기 목록 영역(910)에는 업로드 해야 하는 의료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PACS(160)에서 업로드 해야 하는 영상을 검색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9c를 참고하면, 930영역에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 또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표시인 "전송완료"가 표시되고, 931영역에 SMS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표시인 "전송완료"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 다운로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S1010에서, 환자(1)는 키오스크(150) 또는 원무과 등에 의료 데이터 다운로드를 접수 또는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접수 또는 요청하는 환자(1)로부터의 입력은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1)는 이전 병원에서 전달받은 종이, SMS 등에 기초하여, 키오스크(150)에 해당 의료 데이터와 관련된 송장번호 및/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다운로드를 접수할 수 있다. 그러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환자(1)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제어 모듈(110)에 직접 다운로드를 접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권한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사전에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다운로드 접수 없이도 해당 병원은 필요한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S1020에서, 키오스크(150)는 제어 모듈(110)에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요청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DB에 직접 다운로드를 요청하거나, API로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S1030에서, 제어 모듈(110)은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환자(1)의 요청에 대응하는 의료 데이터 또는 압축 데이터를 검색하고, 의료 데이터 또는 압축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S1040에서, 제어 모듈(110)은 다운로드한 파일을 복호화 및/또는 압축해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10)은 압축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의료 데이터 및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
S1050에서, 제어 모듈(110)은 데이터 저장 모듈(140)에 의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S1060에서, 데이터 저장 모듈(140)에 저장된 의료 데이터는 PACS(160)에 등록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환자(1)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QR을 촬영할 수 있고(1130),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다운로드 화면(1100)을 표시할 수 있다. 환자(1)는 1110영역에 송장 번호와 생년월일을 입력할 수 있다. 환자(1)는 1120영역의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 화면(1100)을 표시하는 방식은 QR을 촬영하는 방식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표시된 QR을 이용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1)는 원무과 또는 키오스크에 배치되어 있는 리더기에 QR을 입력(1140)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a 및 12b를 참고하면,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은, 앞서 설명된 시스템(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도면들의 시스템(1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들은 이하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S1210에서, 병원 시스템(예를 들어, 도1의 100a)은 의료 데이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S1211에서, 병원 시스템(100a)은 의료 데이터 업로드 요청을 접수 또는 수신할 수 있다.
S1213에서, 업로드 불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불허가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S1240으로 진행한다. S1240에서, 병원 시스템(100a)은 기록매체(예를 들어, CD)를 제작하여 환자(1)에게 전달한다.
S1213에서, 업로드에 대한 동의 또는 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S1220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은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권한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 입력이거나,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권한만을 나타내는 제2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S1220에서, 병원 시스템(100a)은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다시 도 12a를 참고하면, S1230에서, 병원 시스템(예를 들어, 도 1의 100b)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S1231에서, 의료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권한이 존재하는 경우, S1235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 시스템(100b)은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권한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S1231에서, 의료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권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1233로 진행한다. S1233에서, 병원 시스템(100b)은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S1235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 시스템(100b)은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권한만을 나타내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의료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2 사용자 입력 및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서 다운로드 권한을 별도로 부여함으로써, 환자(1)의 니즈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300) 조작에 익숙치 않은 환자(1)의 경우 별도로 다운로드를 요하는 병원에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이 때, 업로드를 신청하는 시점에, 업로드 권한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의 다운로드 권한까지 나타내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생성함으로써, 추후 접수에 대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반면에, 일부 환자(1)는 자신의 의료 데이터가 최소한의 범위에서만 공유되기를 원할 수 있고, 업로드할 때와 다운로드할 때 각각 별도로 동의를 요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권한만을 나타내는 제2 사용자 입력뿐만 아니라, 의료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까지 확인이 되어야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물론,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의 종류는 전술한 예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환자(1) 또는 의사가 지정한 병원에만 다운로드 권한을 부여하거나, 환자(1) 소유의 사용자 디바이스(300)에만 다운로드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의료 데이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의 업로드 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권한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의료 데이터의 업로드 권한만을 나타내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료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2 사용자 입력 및 상기 다운로드 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의 업로드 불허가를 나타내는 업로드 불허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제작을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업로드 대기 표시자(indicator)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 대기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의료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 및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를 함께 압축하여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상기 의료 데이터 및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 뒤, 업로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완료 메시지는 상기 의료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운로드 링크, 송장번호,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데이터 공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090794A 2022-07-22 2022-07-22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3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794A KR20240013357A (ko) 2022-07-22 2022-07-22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794A KR20240013357A (ko) 2022-07-22 2022-07-22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357A true KR20240013357A (ko) 2024-01-30

Family

ID=8971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794A KR20240013357A (ko) 2022-07-22 2022-07-22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3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38382A1 (en) Methods of treatment and diagnosis using enhanced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US109657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access to a state of an application program
CA289090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tasks
US1073326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patient apps
US8959027B2 (en) Health portal data consolidation
US10446274B2 (en) Open healthcare apparatus and method
WO201012679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CN113508439A (zh) 提供个性化医疗保健信息和治疗建议
US20150234984A1 (en) Patient-Centric Portal
US20190267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pecialized Delivery of Telemedicine Services
JP3232539U (ja) データ統合システム
US20160078196A1 (en) Specimen fulfillment infrastructure
JP5874524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US20150379204A1 (en) Patient application integration into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US20140119632A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adiological second opinions
KR20240013357A (ko)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U2020102635A4 (en) SDHR-Blockchain Technology: Securely Store Digital Healthcare Records, Notification, Aler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JP2022031189A (ja) 医療機関間において共有される患者情報の閲覧制御
GB2459128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Patient Referrals
JP6059303B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US201803302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agnostic imaging orders
KR20210025352A (ko) 의료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5741393B2 (ja) 医用情報処理装置
JP5471683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US201602104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managed health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