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885A - 축분 부숙장치 - Google Patents

축분 부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885A
KR20240012885A KR1020220090400A KR20220090400A KR20240012885A KR 20240012885 A KR20240012885 A KR 20240012885A KR 1020220090400 A KR1020220090400 A KR 1020220090400A KR 20220090400 A KR20220090400 A KR 20220090400A KR 20240012885 A KR20240012885 A KR 2024001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unit
vertical direction
compostin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현
Original Assignee
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현 filed Critical 신상현
Priority to KR102022009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885A/ko
Publication of KR2024001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 양측에 장착부(111)를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몸체(130); 상기 회동몸체(130)를 지정각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고정유닛(140);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50); 상기 회전몸체(150)를 지정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고정유닛(160);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축분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숙유닛(170); 상기 부숙유닛(17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80);을 포함하는 축분 부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축분의 위치에 따라서 부숙유닛의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여 축분의 부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축분을 여러 방향에서 뒤집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축분 부숙장치{Livestock manure composting device}
본 발명은 축분 부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분을 골고루 뒤집어서 부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축분 부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분 부숙장치는 축사에 쌓여 있는 축분을 뒤집어서 공기와 혼합시켜 부숙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축분 부숙장치는 단순히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축사의 협소한 공간 및 위치에 진입할 수 없으므로 축분을 원활하게 부숙시킬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축분을 한 방향으로 뒤집을 수밖에 없으므로 부숙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1850호(1999.05.06.)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1-0002665호(2021.12.0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0719호(2022.03.3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90368호(2022.06.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축분의 위치에 따라서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축분 부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축분의 뒤집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축분 부숙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100)는,
후방 양측에 장착부(111)를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몸체(130); 상기 회동몸체(130)를 지정각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고정유닛(140);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50); 상기 회전몸체(150)를 지정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고정유닛(160);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축분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숙유닛(170); 상기 부숙유닛(17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고정유닛(140)은 상기 회동몸체(130)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및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41); 상기 조절공(141)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유닛(160)은 상기 회전몸체(150)의 상부에 상기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161);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공(161)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62); 상기 고정구(162)의 상부에 작업자가 상기 고정구(16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손잡이(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숙유닛(170)은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형성하는 회전축(171); 상기 회전축(171)의 외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및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부숙날(1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80)은 모터(181); 상기 모터(181)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182); 상기 부숙유닛(170)의 회전축(171)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183); 상기 제1회전체(182)와 제2회전체(183)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분의 위치에 따라서 부숙유닛의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여 축분의 부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축분을 여러 방향에서 뒤집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양측에 장착부(111)를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몸체(130); 상기 회동몸체(130)를 지정각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고정유닛(140);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50); 상기 회전몸체(150)를 지정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고정유닛(160);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축분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숙유닛(170); 상기 부숙유닛(17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8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장착부(11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 또는 스키드 스티어 로더 등과 같은 이동장비(10)의 전방에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형성하여 상기 부숙유닛(170)이 축분의 위치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부숙유닛(170)의 위치를 조절한 후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고정부재(112)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10)와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몸체(13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부숙유닛(170)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회동축(121)은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동몸체(130)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유닛(140)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몸체(130)를 지정각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회동몸체(130)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및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41); 상기 조절공(141)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4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조절공(141)은 상기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일정길이 및 각도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동몸체(130)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상기 체결구(142)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142)는 볼트 및 너트 또는 핀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120)와 회동몸체(130)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상기 회동몸체(130)를 지정각도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50)는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동시에 상기 부숙유닛(170)을 축분위치 및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고정유닛(160)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몸체(150)를 지정각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회전몸체(150)의 상부에 상기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161);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공(161)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62); 상기 고정구(162)의 상부에 작업자가 상기 고정구(16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손잡이(16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공(161)은 상기 회전몸체(15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방사상의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구(162)는 상기 통공(161)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이탈하면서 상기 회전몸체(150)를 고정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62)는 핀 또는 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63)와 고정구(162)의 사이에 힌지축(163a)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63)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구(16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숙유닛(170)은 축분을 뒤집어서 공기와 혼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형성하는 회전축(171); 상기 회전축(171)의 외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및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부숙날(172);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회전축(171)은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부숙날(172)의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17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일정간격 떨어지고 단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방사상으로 다수개를 배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유닛(180)은 상기 부숙유닛(17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형태를 갖는 구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유닛(180)은 모터(181); 상기 모터(181)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182); 상기 부숙유닛(170)의 회전축(171)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183); 상기 제1회전체(182)와 제2회전체(183)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8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회전체(182) 및 제2회전체(183)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84)는 체인 또는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분의 뒤집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부숙유닛(17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 및 고정시켜 부숙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숙유닛(170)을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협소한 축사에 쉽게 근접할 수 있음은 물론 축분의 뒤집는 방향을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유도하여 축분의 부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이동장비
100: 본 발명 축분 부숙장치
110: 본체 111: 장착부
112: 고정부재
120: 지지부 121: 회동축
130: 회동몸체 140: 제1고정유닛
141: 조절공 142: 체결구
150: 회전몸체 151: 중심축
160: 제2고정유닛 161: 통공
162: 고정구 163: 손잡이
170: 부숙유닛 171: 회전축
172: 부숙날 180: 구동유닛
181: 모터 182: 제1회전체
183: 제2회전체 184: 연결체

Claims (6)

  1. 후방 양측에 장착부(111)를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몸체(130); 상기 회동몸체(130)를 지정각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고정유닛(140);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50); 상기 회전몸체(150)를 지정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고정유닛(160);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축분을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숙유닛(170); 상기 부숙유닛(17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부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부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유닛(140)은 상기 회동몸체(130)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및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41); 상기 조절공(141)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부(120)의 전방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부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유닛(160)은 상기 회전몸체(150)의 상부에 상기 중심축(15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161); 상기 회동몸체(13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공(161)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62); 상기 고정구(162)의 상부에 작업자가 상기 고정구(16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손잡이(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부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숙유닛(170)은 상기 회전몸체(150)의 하부에 형성하는 회전축(171); 상기 회전축(171)의 외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및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부숙날(1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부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80)은 모터(181); 상기 모터(181)의 구동축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182); 상기 부숙유닛(170)의 회전축(171)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183); 상기 제1회전체(182)와 제2회전체(183)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부숙장치.
KR1020220090400A 2022-07-21 2022-07-21 축분 부숙장치 KR20240012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400A KR20240012885A (ko) 2022-07-21 2022-07-21 축분 부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400A KR20240012885A (ko) 2022-07-21 2022-07-21 축분 부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885A true KR20240012885A (ko) 2024-01-30

Family

ID=8971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400A KR20240012885A (ko) 2022-07-21 2022-07-21 축분 부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88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850A (ko) 1997-10-15 1999-05-06 김강권 가축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
KR20210002665U (ko) 2020-05-26 2021-12-03 박종삼 가축사체 부숙장치
KR102380719B1 (ko) 2020-11-11 2022-03-31 (주)글로벌고베 가축분뇨의 급속부숙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90368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네이처이엔지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시스템,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조성물,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조성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850A (ko) 1997-10-15 1999-05-06 김강권 가축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
KR20210002665U (ko) 2020-05-26 2021-12-03 박종삼 가축사체 부숙장치
KR102380719B1 (ko) 2020-11-11 2022-03-31 (주)글로벌고베 가축분뇨의 급속부숙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90368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네이처이엔지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시스템,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조성물,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조성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42169A (ja) 電動切断機
US7237546B2 (en) Ball throwing machine
KR20240012885A (ko) 축분 부숙장치
CN211913575U (zh) 一种畜牧养殖饲料加工生产线
KR100911444B1 (ko) 유기질 비료살포기의 비료 살포량 조절장치
CN107519786B (zh) 食用菌糠有机肥料混合机
KR20110074078A (ko) 다기능 전동식 운반차
FI76667B (fi) Skaeranordning i slaottermaskin.
KR20110137717A (ko) 면취용 커터
CN113216993B (zh) 盾构机刀盘以及盾构机
CN209854014U (zh) 一种掘进式制肥翻抛机
CN208874818U (zh) 一种集排式排肥装置
CN113750859A (zh) 一种用于阻燃剂生产的物料混合装置
CN111894505B (zh) 一种井下作业广域搜索检测打捞设备
JP2000167375A (ja) 水中ミキサーの据付装置
KR200393293Y1 (ko) 발효교반장치의 에스컬레이터용 체인 장력 조절장치
KR20100005590A (ko)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
KR200392362Y1 (ko) 두둑 성형기가 장착된 경운기
US10584450B2 (en) Rotary mixer
KR100362263B1 (ko) 증기 발생기의 스파이럴 아암 커버 커팅장치
CN115572189A (zh) 一种移动式有机肥翻料车
JPH10118478A (ja) 発酵肥料の攪拌装置
JP4351177B2 (ja) 攪拌バケットの攪拌羽根装置
CN215282612U (zh) 一种具有高效功能的单卧轴混凝土搅拌机
CN216087611U (zh) 一种自走式农用施肥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