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705A -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 Google Patents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705A
KR20240012705A KR1020220090020A KR20220090020A KR20240012705A KR 20240012705 A KR20240012705 A KR 20240012705A KR 1020220090020 A KR1020220090020 A KR 1020220090020A KR 20220090020 A KR20220090020 A KR 20220090020A KR 20240012705 A KR20240012705 A KR 20240012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al instrument
magnetic properties
attached
prop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삼열
Original Assignee
조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삼열 filed Critical 조삼열
Priority to KR102022009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705A/ko
Publication of KR2024001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7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6Bows; Guides for bows; Plectra or similar playing means
    • G10D3/173Plectra or similar accessories for playing; Plectrum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08K2003/2275Ferroso-ferric oxide (Fe3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Magnetic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으로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 있어서, 상기 악기 몸체부 외관 일측면에 부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탈부착되는 피크를 포함하고, 상기 악기 소품은, 유기 화합물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수지(樹脂)에, 아철산염, 페라이트(Ferrite) 분말 등을 섞어 사출한 것인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Musical instrument props with magnetic properties}
본 발명은 악기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성에 반응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악기 소품인 피크를 연주 도중 필요로 할 때, 빠르고 간편하게 찾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으로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는 기타, 하프, 바이올린 등 다양한 악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손으로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 중, 피크를 사용하는 것으로는 기타를 예로 들 수 있다.
기타는 다양한 음악 장르에 적용 가능하며 휴대성 및 접근성이 용이하여 오늘날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유도발현 악기로서, 현의 울림으로 공명음을 발생시키는 바디와, 바디로부터 길게 뻗어 나와 음계 및 화음에 따른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현이 배치되는 넥(Neck), 그리고 넥의 끝단에 연결되고 현을 조이는 헤드스탁(headstock)이 배치되는 헤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타는 크게 클래식 기타, 어쿠스틱 기타, 전기 기타로 분류할 수 있다. 각 기타에 사용되는 현의 재질을 살펴보면 클래식 기타는 고음의 1~3현에 부드러운 나일론 현을 사용하고 저음의 4~6현에는 가는 나일론 심에 금속을 휘감은 현을 사용하며 어쿠스틱 기타나 전기 기타는 대부분 강철 현을 사용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연주자는 기타를 연주하기 위해 손톱을 이용하여 기타 현을 퉁기는 방법과, 손가락 끝 부분만으로 퉁기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데 손톱을 이용하여 현을 퉁기는 방법이 소리가 명쾌하고 빠른 운지(運指)에 적합하기 때문에 오늘날 대부분의 기타 연주자가 손톱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손톱이 짧은 연주자는 손톱을 이용한 연주가 어려우며 독주(solo)연주나 스트록 등 기타가 강조될 때에는 피크(pick)를 사용하여 강하고 정확하게 연주한다. 즉, 손톱을 이용하여 연주하는 과정에서 손톱의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기타 연주자는 손톱을 대신하여 피크(pick)라는 작은 조각을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피크는 그 크기가 매우 작고 얇아 분실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 종래의 기타 연주자는 기타 피크의 분실 방지를 위해 기타 피크를 기타의 넥과 현 사이에 개재하여 보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기타 현이 늘어날 수 있어 음이 안 맞게 될 뿐 아니라 기타 피크가 넥과 현 사이에서 쉽게 분리되어 분실 방지의 효과도 뛰어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6986호(선행문헌 1)에서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흡착고무를 기타에 흡착시키고, 끼움공이 형성된 피크를 흡착고무에 끼움으로써 보관시키는 구조를 제안하였지만, 이는 피크에 형성된 끼움공에 의해 피크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고 끼움돌기를 끼움공에 삽입 또는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피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흡착고무의 부착 위치에 따라서는 연주자가 기타를 연주할 때 기타에 부착된 흡착고무가 연주자의 움직임을 간섭하거나 연주자가 흡착고무에 의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주시 흡착고무를 제거하고 다시 피크를 보관할 때에는 흡착고무를 부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실용신안 제20-02069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악기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성에 반응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악기 소품인 피크를 연주 도중 필요로 할 때, 빠르고 간편하게 찾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으로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 있어서, 상기 악기 몸체부 외관 일측면에 부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탈부착되는 피크를 포함하고, 상기 악기 소품은, 유기 화합물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수지(樹脂)에, 아철산염, 페라이트(Ferrite) 분말 등을 섞어 사출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 외관 일측면에 접착부재로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관통 결합되는 여분피크와, 상기 여분피크와 관통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여분피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면이 상기 악기 몸체부 일측에 접착부재로 부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삽입홈이 형성되는 돌기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상부면에 탄성력을 지닌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면과, 상기 피크가 인력으로 부착되도록 내부에 자성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성에 반응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악기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에 악기 소품을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악기 소품인 피크를 연주 도중 필요로 할 때, 빠르고 간편하게 찾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악기와 악기 소품인 피크가 자성의 인력으로 인해 피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의 결합 과정에서 쿠션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서 본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서 여분피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서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서 피크를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서 쿠션부와 피크가 인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서 쿠션부에 자성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서 결합부와 쿠션부와 피크가 자성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의 지탱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의 제1지탱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10)은, 본체부(100) 및 피크(200)로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악기 외관 일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본체부(100)는 고정부(110)와 여분피크(120)와,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10)는 악기 몸체부(11) 외관 일측면에 접착부재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 다양한 접착수단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0)는 일면이 악기 몸체부(11) 일측에 접착부재로 부착될 수 있고, 타면에는 결합부(130)와 결합되도록 결합부(1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분피크(120)는 연주할수록 점점 갈려 나가는 소모품으로 교체가 필요하여, 여유분으로 고정부(11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여분피크(120)는 고정부(110)에 관통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여분피크(120)와 관통 결합되되, 고정부(110)와 결합되어, 여분피크(120)의 이탈을 방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0)는 결합돌기부(111)가 삽입되도록 결합돌기부(111)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삽입홈(132)이 형성되는 돌기삽입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32)은 결합돌기부(1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크(200)는 연주 시 사용하는 삼각형 또는 물방울 모양의 작은 판이다. 이러한 피크(200)는 본체부(100)에서 탈부착된다.
한편,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은, 본체부(100) 상부면에 탄성력을 지닌 쿠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300)는 결합부(130)의 상부면과, 피크(200)가 인력으로 부착되도록 내부에 자성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300)는 피크(200)와 동일한 모양과, 크기에 대응되게 제작될 수 있고, 다양한 캐릭터의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300) 외부면은 실리콘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내부에는 물, 젤리 등 다양한 액체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300)는 자성부재(310)가 내부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피크(200) 및 결합부(130)가 자성을 지니고 있어, 쿠션부(300)가 피크(200) 및 결합부(130) 사이에 위치되되, 자성에 의해 피크(200)와 결합부(130)가 서로 인력 작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300)는 사용자가 피크(200)를 본체부(100)에 탈부착 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과, 피크(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악기 소품은, 유기 화합물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수지(樹脂)에 아철산염, 페라이트(Ferrite) 분말 등을 섞어 사출한 것이다.
이로 인해, 자성을 지닌 플라스틱(plastic)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10)를 통해 자성에 반응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악기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에 악기 소품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악기 소품인 피크(200)를 연주 도중 필요로 할 때, 빠르고 간편하게 찾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악기와 악기 소품인 피크가 자성의 인력으로 인해 피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11 : 악기 몸체부
100 : 본체부
110 : 고정부
111 : 결합돌기부
120 : 여분피크
121 : 관통홀
130 : 결합부
131 : 돌기삽입부
132 : 삽입홈
200 : 피크
300 : 쿠션부
310 : 자성부재

Claims (5)

  1. 손으로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에 있어서,
    상기 악기 몸체부 외관 일측면에 부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탈부착되는 피크를 포함하고,
    상기 악기 소품은,
    유기 화합물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수지(樹脂)에, 아철산염, 페라이트(Ferrite) 분말 등을 섞어 사출한 것인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 외관 일측면에 접착부재로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관통 결합되는 여분피크와,
    상기 여분피크와 관통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여분피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면이 상기 악기 몸체부 일측에 접착부재로 부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삽입홈이 형성되는 돌기삽입부를 포함하는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부면에 탄성력을 지닌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면과, 상기 피크가 인력으로 부착되도록 내부에 자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인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KR1020220090020A 2022-07-21 2022-07-21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KR20240012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020A KR20240012705A (ko) 2022-07-21 2022-07-21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020A KR20240012705A (ko) 2022-07-21 2022-07-21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705A true KR20240012705A (ko) 2024-01-30

Family

ID=8971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020A KR20240012705A (ko) 2022-07-21 2022-07-21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7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986Y1 (ko) 2000-05-18 2000-12-15 박용수 기타의 피크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986Y1 (ko) 2000-05-18 2000-12-15 박용수 기타의 피크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6103B1 (en) Musical instrument pick holder
US20130247743A1 (en) Sleeve for Contact with Tuning Pegs and Process for Sleeve Interaction with Tuning Peg
US20070079685A1 (en) Plectrum or pick
US200802715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the playing of a stringed instrument
JP2006163382A (ja) リガチャ
JP7197148B2 (ja) 電気弦楽器
US7638698B1 (en) Harmonica removably attached to a musical string instrument such as a guitar
US8319081B1 (en) Combination banjo, bass, and guitar
KR20240012705A (ko) 자성의 성질을 지닌 악기 소품
WO2006086530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10748517B2 (en) Tuner
KR101377211B1 (ko) 연주 및 반주 겸용 우쿨렐레
US8779261B2 (en) Converter for fretted instruments
CN104269160A (zh) 一种融合弹拨与敲击乐器于一体的阮
WO2018021976A1 (en) Device for making musical sounds
KR200483190Y1 (ko) 바로크식 운지법과 독일식 운지법의 선택 적용이 가능한 리코더 링
KR20120126947A (ko) 현악기용 피크 및 그의 고정 장치
CN209266003U (zh) 一种弦乐器的闷音结构
JP3190159U (ja) 電気弦楽器及び電気弦楽器用のピックアップ装置
US7358429B2 (en) Magnetized frets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3197284U (ja) エンドピンホルダー
US9058794B2 (en) Tools for bowed string musical instruments
CN202632744U (zh) 双面板提琴
CN207268928U (zh) 一种简易小提琴
US109913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