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80A -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80A
KR20240011980A KR1020220089311A KR20220089311A KR20240011980A KR 20240011980 A KR20240011980 A KR 20240011980A KR 1020220089311 A KR1020220089311 A KR 1020220089311A KR 20220089311 A KR20220089311 A KR 20220089311A KR 20240011980 A KR20240011980 A KR 2024001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fective
signal strength
preset valu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환
박복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8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80A/ko
Publication of KR2024001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4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M2M(Machine-to-Machine) 단말의 불량에 관련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erminal in M2M communication unavailable state}
이하의 설명은 인공 지능에 기초하여, 불량 원인이 M2M 단말인지 네트워크 품질 불량인지를 정확하게 판정하는 방법 및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 M2M(Machine-to-Machine) 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M2M 통신은 사람의 개입 없이 기계(Machine)와 기계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의미하며,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으로도 지칭된다. M2M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을 M2M 단말(M2M device)라고 지칭하는데, M2M 단말은 일반적으로 낮은 이동성(low mobility), 시간 내성(time tolerant) 또는 지연 내성(delay tolerant), 작은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등과 같은 특성을 가지며, 기계 간 통신 정보를 중앙에서 저장하고 관리하는 M2M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또한, M2M 단말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따라 연결되면, 통신 방식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 M2M 단말과 M2M 서버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전체 M2M 시스템이 구성된다. 해당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물 추적(Tracking), 전력 계량(Metering), 자동 지불 시스템(Payment), 의료 분야 서비스, 원격 조정 등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 IMSI 별 S1-AP 절단 발생 및 과금 data 생성 여부에 기초하여 불량 원인이 M2M 단말인지 네트워크 품질 불량인지를 정확하게 판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는, M2M(Machine-to-Machine) 단말의 불량에 관련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방법이다.
일 실시예는, M2M(Machine-to-Machine) 단말 장치의 불량을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2M 단말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프로세서이다.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M2M 단말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저장매체이다.
상기 S1 Call 절단 호 수가 n회 이상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1 불량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의 합산된 수가 0건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2 불량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조건은 제1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이, 제2 소정 기간 연속하여 검출된 경우일 수 있다.
상기 S1 call 절단호의 수 및 상기 과금 데이터의 수는 소정 시간 단위로 평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불량 상태의 판단 및 상기 제2 불량 상태의 판단은 IMSI 별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n은 24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는 RSRP(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14 dB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M2M 단말들의 사전 원격분석을 통해 장애를 미리 예지하고 조치를 취하여 사용자의 체감 불량률을 낮추고, 분석의 정확도 향상을 통해 현장 불량원인이 단말불량인지 NW 품질 불량인지 정확하게 판단하여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 자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M2M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M2M 시스템의 계층 구조(layered structure)를 예시한다.
도 3은 M2M 시스템의 기능적 아키텍처(functional architecture)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개시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2M 단말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M2M 단말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2M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M2M 단말은 단말(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M2M 서버는 M2M 통신을 위한 서버를 지칭하며 고정국(fixed station) 또는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M2M 서버는 M2M 단말들 및/또는 다른 M2M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단말이 연결된 네트워크와 M2M 서버가 연결된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경우,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연결점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단말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 예를 들어 M2M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M2M 단말을 관리하거나,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된 M2M 단말들에게 동일 또는 변경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message fanout), 메시지 집적(message aggregation)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2M 단말이라는 용어는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는 M2M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엔티티(entity)”라는 용어는 M2M 단말,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와 같은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공통) 서비스 계층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oftware component)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는 M2M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되지만 본 개시는 M2M 시스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서버(또는 송신자-응답자(sender-responder)) 모델에 따른 시스템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M2M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은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 TS)에 따른 M2M 시스템을 예시한다.
ETSI TS M2M 기술 규격에 따른 M2M 시스템은 다양한 M2M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위한 공통 M2M 서비스 프레임워크(Service Framework)를 정의한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e헬스(e-Health), 도시 자동화(City Automation), 커넥티드 컨슈머(Connected Consumer), 오토모티브(Automotive)와 같은 M2M 서비스 솔루션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oftware component)를 지칭할 수 있다. M2M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M2M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되며,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은 M2M 서비스 또는 M2M 공통 서비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M2M 공통 서비스를 이용하면 각 M2M 애플리케이션마다 기본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다시 구성할 필요 없이 M2M 애플리케이션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M2M 서비스는 서비스 능력(Service Capability, SC)의 집합 형태로 제공되며, M2M 애플리케이션은 오픈 인터페이스(open interface)를 통해 SC(Service Capability)의 집합 또는 SC(Service Capability)에 접근하여 SC(Service Capability)가 제공하는 M2M 서비스 또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SC는 M2M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 (예, 디바이스 관리, 위치, 발견, 그룹 관리, 등록, 보안 등)을 제공할 수 있고, SC 계층(Service Capabilities Layer) 또는 SC 엔티티(Service Capability Entity)는 M2M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 프레임워크 상에서 제공될 때 사용할 수 있는 M2M 서비스를 위한 기능(function)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SC(Service Capability)는 xSC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는 N/G/D 중의 하나로 표현될 수 있으며, SC(Service Capability)가 네트워크(Network)(및/또는 서버), 게이트웨이(Gateway), 디바이스(Device) 중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NSC는 네트워크 및/또는 서버 상에 존재하는 SC(Service Capability)를 나타내고, GSC는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하는 SC(Service Capability)를 나타낸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또는 디바이스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거나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존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은 M2M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M2M Network Application)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NA(Network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NA는 서버에 직접 연결되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이며, M2M 게이트웨이 또는 M2M 단말과 통신하고 이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상에 존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은 M2M 단말 애플리케이션(M2M Device Application)이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DA(Device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DA는 M2M 단말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이며, 센서 정보 등을 NA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은 M2M 게이트웨이 애플리케이션(Gateway Application)이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GA(Gateway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GA는 M2M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역할도 할 수 있고 DA에게 M2M 서비스 또는 기능(예, SCs(Service Capabilities) 또는 SC(Service Capability))를 제공할 수도 있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와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통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도메인과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도메인은 M2M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function)들과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능(fun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M2M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은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과 M2M SCs(Service Capabilities)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능은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는 M2M 기능을 수행한다기보다는 각 엔티티들 간의 연결을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과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에서 M2M SCs(Service Capabilities) 간에 M2M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도메인의 M2M 애플리케이션은 각 도메인의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신호 또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는 M2M 단말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엔티티이다.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HFC(Hybrid Fiber Coax), 위성(satellite), GERAN, UTRAN, eUTRAN, 무선(Wireless) LAN, WiMAX 등이 있다.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는 IP(Internet Protocol) 연결, 서비스와 네트워크 제어, 상호연결, 로밍(roaming)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엔티티이다. 코어 네트워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코어 네트워크, ETSI TISPAN(Telecommunications and Internet converged Services and Protocols for Advanced Networking) 코어 네트워크와 3GPP2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M2M SC(Service Capability)는 여러 M2M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들에서 공유될 수 있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을 제공하고 M2M 서비스를 오픈 인터페이스(open interface)를 통해 노출하여 M2M 애플리케이션들이 M2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2M SCL(Service Capability Layer)은 이러한 M2M SC 엔티티들 또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들을 포함하는 계층을 지칭할 수 있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을 동작시키고, 오픈 인터페이스를 통해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사용할 수 있는 엔티티이다.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이러한 M2M 애플리케이션 및 관련 동작 로직(operational logic)을 포함하는 계층을 지칭할 수 있다.
M2M 단말은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M2M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엔티티이다. M2M 단말은 직접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연결될 경우에는 M2M 게이트웨이는 프록시(proxy)와 같이 동작한다. M2M 단말은 M2M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M2M 영역 네트워크(M2M area network)는 M2M 단말과 M2M 게이트웨이 간의 연결(connectivity)을 제공한다. 이 경우,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 간 네트워크와 M2M 단말과 M2M 게이트웨이 간 네트워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영역 네트워크는 IEEE802.15.1,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IETF ROLL, ISA100.11a와 같은 PAN(Personal Area Network) 기술과 PLC(Power Line Communication), M-BUS, 무선 M-BUS, KNX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M2M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M2M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티티이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단말과 네트워크 도메인간의 프록시 역할을 수행하고 ETSI 비-호환(non-compliant) M2M 단말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단말들 중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예시에 불과하고 각 엔티티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SC(Service Capability)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로 지칭될 수 있고, SCL(Service Capability Layer)는 공통 서비스 계층(Common Service Layer, CSL) 또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ommon Service Entity, CS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M2M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pplication entity, AE)로 지칭될 수 있고,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간략히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도메인의 명칭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oneM2M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도메인은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infrastructure domain)으로 지칭될 수 있고,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은 필드 도메인(field domain)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M2M 시스템은 M2M 통신을 위해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SC(Service Capability)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M2M 시스템의 계층 구조(layered structure)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M2M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계층(202), 공통 서비스 계층(204),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underlying network services layer)(206)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계층(202)은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대응되고, 공통 서비스 계층(204)은 M2M SCL에 대응될 수 있다.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206)은 코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 및 장치 트리거링(device triggering)과 같은 서비스들을 공통 서비스 계층(204)에 제공한다.
도 3은 M2M 시스템의 기능적 아키텍처(functional architecture)를 예시한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pplication entity, AE)(302), 공통 서비스 엔티티(common service entity, CSE)(304), 기저(underlying)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network service entity, NSE)(30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엔티티들(302, 304, 306)은 공통 서비스 엔티티(304)가 지원하는 기준점(reference point)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기준점(reference point)은 각 엔티티들(302, 304, 306) 간의 통신 흐름(communication flow)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기준점은 Mcx로 표현될 수 있고 Mc는 “M2M communications”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Mca 기준점, Mcc 기준점, Mcn 기준점은 각각 Mca, Mcc, Mcn으로 표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Mca 기준점(312)은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302)와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304)의 통신 흐름을 지정한다. Mca 기준점(312)은 AE(302)가 CSE(304)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CSE(304)가 AE(302)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Mca 기준점(312)은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공통 서비스 계층(또는 엔티티)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Mcc 기준점(314)은 서로 다른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304)들 간의 통신 흐름을 지정한다. Mcc 기준점(314)은 CSE(304)가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할 때 다른 CSE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cc 기준점(314)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CSE(304)가 지원하는 기능들에 의존적일 수 있다. Mcc 기준점(312)은 M2M 공통 서비스 계층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Mcn 기준점(316)은 CSE(304)와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NSE)(306) 간의 통신 흐름을 지정한다. Mcn 기준점(316)은 CSE(304)가 요구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기저 NSE(306)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cn 기준점(312)은 M2M 공통 서비스 계층과 M2M 기저 네트워크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예에서, CSE(304)는 다양한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E(304)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계층 관리(Application and Service Layer Management) 기능, 통신 관리 및 전달 처리(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Handling) 기능, 데이터 관리 및 저장(Data Management and Repository) 기능,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기능, 그룹 관리(Group Management) 기능, 발견(Discovery) 기능, 위치(Location) 기능,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서비스 실행 및 트리거링(Network Service Exposure/ Service Execution and Triggering) 기능, 등록(Registration) 기능, 보안(Security) 기능, 서비스 과금 및 계산(Service Charging and Accounting) 기능, 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Service Session Management), 구독/통지(Subscription/Notification)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SE(304)는 상기 공통 서비스 기능들의 인스턴스(instance)를 가리키며, M2M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통 서비스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제공한다.
한편, M2M 단말의 경우 단말 제조사가 다양하고 스마트폰처럼 단말 품질이 안정화되지 않아, 불량 발생시 NW 문제보다는 단말 불량인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따라서 불량 발생 시 단말의 오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량 인지 NW품질 저하로 인한 불량인지 판단하기가 어렵고 보안상 단말 통신로그 확보가 어려워 원인 분석 관련 시간 소모가 많이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불량 원인이 M2M 단말인지 네트워크 품질 불량인지를 정확하게 판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M2M(Machine-to-Machine) 단말의 불량에 관련된 판단 방법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도 4의 S401)하고,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도 4의 S402)할 수 있다.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도 4의 S403)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도 4의 S404)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Call 절단 호 수가 n회 이상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1 불량 상태로 판단될 수 있으며, 상기 n은 24일 수 있다. 단말 IMSI 별 소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일 단위) S1 Call 절단호 수를 합산하고, 24회 이상인 경우 불량 상태로 판단한다. 이는 M2M 단말은 주기 data 전송 서비스 다수 포함되어 한시간에 한번이상 절단 발생 시 고객 체감 불량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구체적인 기준은 본 실시예의 목적 하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의 합산된 수가 0건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2 불량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단말 IMSI 별 소정 시간 단위 (예를 들어, 일 단위) data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data 수를 합산하고, 합산된 수가 0건인 경우 불량 상태로 판단한다. 과금 data 가 없는 경우 단말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단말 오류 또는 RF 신호 미약) 불량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소정 조건은 제1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이, 제2 소정 기간 연속하여 검출된 경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소정 조건은 주당 4회 이상 2주 연속하여 검출된 경우일 수 있다. 상기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대상이 일주일 과반이상(4일 이상) 발생하고, 2주 연속 검출된 경우 점검 대상으로 선정한다. 본 개시자에 의한 검증 결과 일주일 과반이상 및 2주 연속 발생한 경우 실제 단말 불량상태 검출 정확도가 90%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S1 call 절단호의 수 및 상기 과금 데이터의 수는 상기 소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일 단위)로 평가된 것이고, 상기 제1 불량 상태의 판단 및 상기 제2 불량 상태의 판단은 IMSI 별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는 RSRP(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일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14 dBm일 수 있다. 즉, 단말 수신 RF 신호가(RSRP) -114 dBm 이상인 경우 단말 불량으로 판단하고, 미만인 경우 NW불량으로 판단하여 불량 처리 주체를 정의한다. 여기서는 단말이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최소 기준을 -114dBm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정리하면, 단말 IMSI 별 S1-AP 절단 발생 및 과금 data 생성 여부를 확인하고, S1-AP 절단 발생 단말 중 0(Unspecified), 1(TX2RELOCOverall expiry), 6(Handover Failure In Target EPC/eNB Or Target System), 8(TS1RELOCoverall Expiry), 15(Unknown or inconsistent pair of UE S1AP ID), 21(Radio Connection With UE Lost), 25(Radio resources not available), 26(Failure in the Radio Interface Procedure) 중 어느 하나의 발생 숫자가 일 24회를 넘고, 과금 data가 미 생성된 경우 통신불가 상태 단말로 판단한다. 만약, 연속발생일이 특정 기준치 보다 크고 2주 이상 누적 검출이 되는 경우 점검 대상으로 판단한다. 즉, 누적 검출여부를 판단하여 검출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단말에서 수집한 RSRP값이 기준 값 이상(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환경 판단 기준)인 경우 단말불량, 미만인 경우 NW 품질불량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실시예는 S1-AP(Application Protocol) Cause 및 단말에서 수집한 RF 품질 결과를 활용하고 M2M 단말의 통신실패 Call Flow 패턴화 및 data 사용 여부를 통해 M2M 통신 실패 단말 검출, 통신실패 원인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M2M 단말들의 사전 원격분석을 통해 장애를 미리 예지하고 조치를 취하여 사용자의 체감 불량률을 낮추고, 분석의 정확도 향상을 통해 현장 불량원인이 단말불량인지 NW품질 불량인지 정확하게 판단하여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 자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과 관련하여, M2M(Machine-to-Machine) 단말 장치의 불량을 판단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M2M 단말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M2M 단말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 또는 M2M 디바이스는 각각 전송장치(10) 또는 수신장치(20)로 동작할 수 있다.
전송장치(10)와 수신장치(2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 신호, 메시지 등을 나르는 무선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유닛(13, 23)과, 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 22), 상기 RF 유닛(13, 23) 및 메모리(12, 22)등의 구성요소와 동작시 연결(operatively connected)되고,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해당 장치가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메모리(12, 22) 및/또는 RF 유닛(13,2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 21)를 각각 포함한다.
메모리(12, 22)는 프로세서(11, 2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 22)가 버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 22)는 각종 설정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소스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통상적으로 전송장치 또는 수신장치 내 각종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1, 21)는 본 개시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개시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개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1, 2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개시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개시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개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1, 21)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2, 2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 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송장치(10)의 프로세서(11)는 상기 프로세서(11) 또는 상기 프로세서(11)와 연결된 스케줄러로부터 스케줄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RF 유닛(13)에 전송한다. 수신장치(20)의 신호 처리 과정은 전송장치(10)의 신호 처리 과정의 역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21)의 제어 하에, 수신장치(20)의 RF 유닛(23)은 전송장치(10)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서(21)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를 수행하여, 전송장치(10)가 본래 전송하고자 했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RF 유닛(13, 23)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안테나는, 프로세서(11, 21)의 제어 하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유닛(13, 23)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RF 유닛(13, 23)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에서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각각 RF 유닛을 통해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RF 유닛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network interface unit, NIU)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2 :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304 : 공통 서비스 엔티티

Claims (20)

  1. M2M(Machine-to-Machine) 단말의 불량에 관련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
    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Call 절단 호 수가 n회 이상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1 불량 상태로 판단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의 합산된 수가 0건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2 불량 상태로 판단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제1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이, 제2 소정 기간 연속하여 검출된 경우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call 절단호의 수 및 상기 과금 데이터의 수는 소정 시간 단위로 평가된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량 상태의 판단 및 상기 제2 불량 상태의 판단은 IMSI 별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4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는 RSRP(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14 dBm인, 방법.
  10. M2M(Machine-to-Machine) 단말 장치의 불량을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
    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1 Call 절단 호 수가 n회 이상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1 불량 상태로 판단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의 합산된 수가 0건인 경우 상기 M2M 단말은 제2 불량 상태로 판단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제1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이, 제2 소정 기간 연속하여 검출된 경우인,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1 call 절단호의 수 및 상기 과금 데이터의 수는 소정 시간 단위로 평가된 것인,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량 상태의 판단 및 상기 제2 불량 상태의 판단은 IMSI 별로 수행되는 것인,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4인,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는 RSRP(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14 dBm인, 장치.
  1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2M 단말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
    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프로세서.
  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M2M 단말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M2M 단말에 관련된 S1 Call 절단 호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1 불량 상태를 판단;
    상기 M2M 단말의 데이터 사용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 수 합산에 기초하여 상기 M2M 단말을 제2 불량 상태를 판단;
    제1 불량 상태 및 제2 불량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으로 판단;
    을 포함하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네트워크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말 수신 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단말 불량으로 판정하는, 저장매체.
KR1020220089311A 2022-07-20 2022-07-20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240011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11A KR20240011980A (ko) 2022-07-20 2022-07-20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11A KR20240011980A (ko) 2022-07-20 2022-07-20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80A true KR20240011980A (ko) 2024-01-29

Family

ID=8971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11A KR20240011980A (ko) 2022-07-20 2022-07-20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449B1 (ko) M2m(machine-to-machine)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9342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nectivity to terminal in order to use edge computing service
JP6254702B2 (ja) M2mシステムにおける通知メッセージ伝達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EP3745746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39295A (ko)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분석 정보를 활용한 효율적 mico 모드 관리 방법
US202300624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ype in edge computing system
CN115299127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提供低时延位置信息服务的装置和方法
US20220369110A1 (en) Methods and devices of detection of misbehaving ues using data analysis
US20220256422A1 (en) Notification of Expected Event
CN114501511A (zh) 测量方法和测量装置
EP39321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idle mode measurements
KR20240011980A (ko) M2m 통신불가 상태인 단말 검출 방법 및 장치
EP3771240B1 (en) Establishing tethering cells remotely
CN114501510B (zh)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3092272A1 (zh) 感知节点的选择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2242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backhaul information-based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663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network function opening service for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55475A1 (zh) 网络测量的方法和装置
EP43010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backhaul information-based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56871A1 (en) Resource allocation status subscription for application related function
US202303627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achine learning model based on network conges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353273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ng object and a remote server
KR202300636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73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능 체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