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899A - Automatic thre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thre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899A
KR20240011899A KR1020220088632A KR20220088632A KR20240011899A KR 20240011899 A KR20240011899 A KR 20240011899A KR 1020220088632 A KR1020220088632 A KR 1020220088632A KR 20220088632 A KR20220088632 A KR 20220088632A KR 20240011899 A KR20240011899 A KR 2024001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ink
threshing
rotatably coupled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해수
Original Assignee
손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해수 filed Critical 손해수
Priority to KR102022008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899A/en
Publication of KR2024001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8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70Threshing apparatus with fl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0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 A01F7/04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with axles transverse to the feeding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009/00Threshing machines with flails; Threshing devices with flails for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지면에 위치하는 곡식을 타격하여 낟알을 떨구어 내기 위한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타작부와, 상기 타작부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감속기능을 갖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접촉 또는 비접촉할 수 있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접촉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타작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technology relates to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out grains by striking grain located on the ground, and more specifically, comprising a movable base, a thresh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and the threshing part. A drive motor with a deceleration function installed on the base so that power for rotation can be transmitted, and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base so as to be in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drive motor to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threshing unit by pressure by contac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peed control member.

Description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Automatic threshing machine}Automatic threshing machine for shaking grains

본 기술은 지면에 위치하는 곡식을 타격하여 낟알을 떨구어 내기 위한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에 관한 것이다.This technology relates to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out grains by striking grain located on the ground.

우리 나라 농촌도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농촌인구가 급속도로 줄어들면서 농업도 기계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곡식(하기에는 '콩'을 실시예로 기재한다)에서 낟알을 털어내기 위한 농사관리기는 소형이고 가격도 저렴하며 또 조작이 용이하므로 각 농가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As the rural population in our country rapidly decreases with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griculture is also becoming mechanized. In particular, farm management machines for shaking out grains from grains ('soybeans' are listed as an example below) are small and small. Because it is inexpensive and easy to operate, it is widely distributed to each farm.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농가마다 기본적으로 곡식의 종류인 콩 농사를 짓고 있으며, 콩을 수확하면 콩 줄기를 잘라서 한곳으로 모아 건조시키고, 건조가 완료되면 타작을 하여 콩깍지 속의 콩알을 이탈시키고, 이탈된 콩알과 콩깍지 및 무거리(콩대)를 분리하게 된다.In general, almost all farms are farming soybeans, which are basically a type of grain. When soybeans are harvested, the soybean stems are cut and gathered in one place to be dried. When drying is completed, they are threshed to remove the bean kernels in the pods, and the separated soybean kernels are then harvested. Separate the bean pods and bean stalks.

과거에는 콩을 잘 건조시킨 뒤 도리깨를 사용하여 타작을 하였고 아직도 많은 농가에서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나 점차 농업분야에서도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콩을 기계로 타작하는 농가가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농사관리기와 함께 콩 탈곡기(또는 타작기)가 보급되고 있다.In the past, soybeans were dried well and then threshed using a flail, and many farms still adhere to this traditional method. However, as mechanization is gradually progressing in the agricultural field, the number of farms that thresh soybeans by machin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farm management equipment is increasing. Along with this, bean threshing machines (or threshing machines) are becoming popular.

여기서, 탈곡기란 본체의 타공된 받이판 상부에 탈곡부재가 구비된 회전드럼을 설치하고, 일측에는 농작물 투입부를, 또 다른 일측에는 무거리 배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농작물 투입부에 농작물을 투입함으로써, 상기 회전드럼의 탈곡부재에 농작물이 탈곡되어 받이판의 타공부로 빠지도록 함과 동시에 농작물의 줄기 등의 무거리는 상기 무거리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계를 말한다. Here, the threshing machine is a rotary drum equipped with a thresh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receiving plat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crop input part on one side and a distanceless discharge part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crops are put into the crop input part, thereby rotating the crop. It refers to a machine that allows the crops to be threshed by the threshing member of the drum and fall into the perforated part of the receiving plate, and at the same time, the stems of the crops, etc.,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tanceless discharge part.

그러나 이와 같은 탈곡기는 편리하기는 하지만 매우 고가이므로 농가에서 탈곡기를 구입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되고 있어 근래에는 저가이면서도 용이하게 콩대에서 콩을 떨구어낼 수 있는 탈곡기의 보급이 시급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However, although such a thresher is convenient, it is very expensive, so it is a great burden for farmers to purchase a thresher. Recently, the supply of a thresher that is inexpensive and can easily remove beans from the soybean stalk has become an urgent problem.

국내공개특허 제10-2016-100443호(공개일:2016.08.24.)Domestic Published Patent No. 10-2016-100443 (Publication date: 2016.08.24.) 국내등록특허 제10-1007657호(공고일:2011.01.13.)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007657 (announcement date: 2011.01.1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액적인 부담이 없으면서도 타작기에 대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용이하고, 숙련도에 상관 없이 사용이 간편한 타작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shing machine that is durable enough to smooth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threshing machine without the burden of money and is easy to use regardless of skill level. .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는 이동가능한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타작부(200)와, 상기 타작부(20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감속기능을 갖는 구동모터(300) 및 상기 구동모터(300)와 접촉 또는 비접촉할 수 있게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어 접촉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타작부(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automatic threshing machine for shaking g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base 100, a threshing unit 200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00, and the threshing unit 200. ) A drive motor 300 with a deceleration function installed on the base 100 so that power for rotation can be transmitted, and a drive motor 300 installed on the base 100 so as to be in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drive motor 30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peed control member 400 tha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threshing unit 200 by pressure by contact.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서로 결합하되 전방에는 상기 타작부(200)가 형성되며, 후방에는 손잡이(1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구동모터(300)가 장착되는 다수의 브라켓(110) 및 상기 브라켓(110)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바퀴(120)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손잡이(113)를 연결하는 상기 브라켓(110)에는 상기 속도제어부재(400)를 단속하기 위한 걸쇠(111)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10)에는 상기 타작부(200)에서 상기 손잡이(113) 방향으로 낟알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막(1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es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length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threshing part 200 is formed at the front, a handle 113 is formed at the rear, and the drive motor 300 is formed at the top. It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s 110 mounted and wheels 120 rotatably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brackets 110, and the bracket 110 connecting the pair of handles 113 includes the speed control member. A latch 111 is formed to control the 400, and the bracket 110 includes a safety film 130 to prevent grains from bouncing from the threshing unit 200 toward the handle 113.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타작부(200)는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3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제1풀리(211)가 형성된 제1축봉(210)과, 상기 제1축봉(210)과 소정거리 이웃하게 상기 베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면에는 벨트(230)에 의해 상기 제1풀리(211)와 연결되는 제2풀리(221)가 형성된 제2축봉(220) 및 상기 제2풀리(221)를 기준으로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2축봉(2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낟알을 떨구기 위해 곡식을 타격하는 타격부재(240)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부재(240)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제2축봉(220)과 결합하며, 상기 벨트(230)는 상기 속도제어부재(400)에 가압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resh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shaft rod 210,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motor 300 and a first pulley 21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rod 210 and the first shaft rod 210. A second shaft rod 22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base 100 and has a second pulley 221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211 by a belt 230 on its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shaft rod 220. It includes at least one striking member 240 on both sides of the pulley 221 rotatably coupled by the second shaft rod 220 to strike the grain to shake off the grains, wherein the striking member 240 It is preferable that the belt 230 is coupled to the second shaft rod 220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d that the belt 230 can be pressed or released from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또한, 상기 타격부재(240)는 상기 제2축봉(220) 외면에 형성되는 고정체(241) 및 상기 고정체(241)에 형성된 삽입공(24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삽입되되 만곡 형상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되는 타격체(24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riking member 240 is detachably and fixedly inserted into the fixture 24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rod 220 and the insertion hole 243 formed in the fixture 241, and has a curved sha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riking body 245 molded from a flexible material.

또한, 상기 속도제어부재(4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돌출 형성된 지지편(410)과, 일측이 상기 지지편(4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링크(420)와, 상기 제1링크(420)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230)를 가압 또는 해지할 수 있는 가압체(430)와, 일측이 상기 제1링크(420) 외면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링크(440) 및 하부가 상기 베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상기 제2링크(44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100)와 결속 또는 해지되는 작동바(4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includes a support piece 410 protruding from the base 100, a first link 420 on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410, and the first link 420. A pressurizing body 43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420 and capable of pressing or releasing the belt 230, a second link 440 whose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nk 420, and The lower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00, and the outer surfa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440, and preferably includes an operating bar 450 that is coupled to or disengaged from the base 100. do.

또한, 상기 속도제어부재(400)는 상기 제2링크(440) 타측과 상기 작동바(450) 사이에 탄성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4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460)는 상기 작동바(450)와 상기 베이스(100) 간의 결속이 해지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벨트(230) 외면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체(430)를 해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링크(420)와 상기 제2링크(44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body 460 capable of elastic restoration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440 and the operating bar 450, and the elastic body 460 is the operating bar ( When the bond between 450 and the base 100 is released, the first link 420 and the second link 440 can be released so that the pressing body 430 that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230 by elastic force can be released. ) is desirable to rotat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경제적인 이득은 물론, 타작에 대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숙련도와 상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one, it is possible to achieve economic benefits as well as smoothly perform the function of threshing, can be easily used regardless of the user's skill level,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I do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에 대한 베이스의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에 대한 타작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에 대한 속도제어부재의 작용관계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threshing machine for shaking g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base for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threshing part of the automatic threshing machine for shaking g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speed control member for the automatic threshing machine for shaking g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pecific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이하, 간략하게 '타작기'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threshing machine for shaking gr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hrow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설명에 앞서, 하기에 기재되는 구동모터(300)는 공급되는 연료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되 회전속도를 감속할 수 있는 감속기능이 구비된 통상의 감속모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rive motor 300 described below refers to a normal deceleration motor whose drive shaft rotates by supplied fuel or applied power and is equipped with a deceleration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point.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작기(1)는 크게 베이스(100), 타작부(200), 구동모터(300) 및 속도제어부재(40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thresh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base 100, a threshing unit 200, a drive motor 300, and a speed control member 400. .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00)는 구동모터(300)는 물론, 후에 설명하고자 하는 타작부(200) 및 속도제어부재(400)가 장착되되 작업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브라켓(110), 바퀴(120) 및 안전막(130)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base 100 is equipped with a drive motor 300, as well as a threshing unit 200 and a speed control memb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moved and fix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work position. It refers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includes a bracket 110, wheels 120, and safety membrane 130.

예컨대 브라켓(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브라켓(110)을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이나 용접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다른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For example, as shown, the bracket 110 connects a plurality of brackets 110 having length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each other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screws or welding to enable other components to be mounted stably. This is a configuration for

브라켓(110)의 전방에는 타작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는 상기 타작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한 쌍의 손잡이(11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 후, 외력에 의해 타작기(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A threshing unit 20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bracket 110, and a drive motor 300 that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threshing unit 200 is provided at the top, and a pair of handles at the rear ( 113) is formed to allow the user to move the threshing device 1 by external force after gripping it.

이때, 한 쌍의 손잡이(113)를 서로 연결하는 브라켓(110) 외면에는 후에 설명하는 작동바(450)가 결속 또는 해지될 수 있는 걸쇠(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latch 111 through which the operating bar 4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fastened or release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110 that connects the pair of handles 113 to each other.

또한, 바퀴(120)는 베이스(100)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브라켓(110)에 설치되어 타작기(1)가 용이하게 지면(G)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heels 120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110 on both sides of the base 100 so that the threshing machine 1 can easily move along the ground G.

또한, 안전막(130)은 베이스(100) 상부에 판의 형상으로 설치되되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되어 타작기(1)의 동작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상기 타작기(1)의 동작에 의해 낟알이 사용자 방향 즉, 손잡이(113) 방향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시킨다.In addition, the safety film 130 is installed in the shape of a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100 and is molded using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crylic to visually identify whether the threshing machine 1 is operating. The operation of prevents safety accidents by preventing grains from bouncing in the direction of the user, that is, toward the handle 113.

그리고, 상기 타작부(2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100)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 등에 널부러진 곡식을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해당 곡식에서 낟알이 떨구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축봉(210), 제2축봉(220), 벨트(230) 및 타격부재(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threshing unit 200 is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base 100 described above and directly strikes grains scattered on the ground, causing grains to fall from the grains. It includes a first shaft rod 210, a second shaft rod 220, a belt 230, and a striking member 240.

예컨대 제1축봉(210)은 소정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성형되되 일측이 구동모터(300)와 연결되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으며, 타측은 브라켓(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For example, the first shaft rod 210 is molded into the shape of a cylinde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00 to receive power for rotation,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110.

제1축봉(210) 외면에는 원형의 제1풀리(2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풀리(211) 외면에는 제2풀리(221)와 연결되기 위한 벨트(230)가 설치되어 구동모터(300)의 회전력이 제2축봉(220)까지 전달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A circular first pulley 21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aft rod 210, and a belt 230 for connecting to the second pulley 221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ulley 211 and driven.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3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haft rod 220 so that it can rotate together.

이를 위해, 제2축봉(2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축봉(210)과 소정거리 이웃하도록 양측이 브라켓(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외면에는 벨트(230)에 의해 제1풀리(21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풀리(221)가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s shown, the second shaft rod 2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110 on both sides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shaft rod 2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pulley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by a belt 230. A second pulley 221 is formed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211).

이때, 제2풀리(221)는 제2축봉(22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제1풀리(211)와 벨트(230)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모터(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풀리(221)를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간격과 개수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격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pulley 221 is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211 and the belt 230 to be located in the center based on the length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aft rod 220,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0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nd through this, it is desirable to enable at least one striking member 240 to b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nd number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ulley 221.

여기서, 타격부재(240)는 곡식을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낟알이 떨궈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고정체(241) 및 타격체(245)를 포함한다.Here, the striking member 240 is configured to directly strike the grain so that the grains fall, and includes a fixture 241 and a striking body 245.

고정체(24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축봉(220) 외면을 감싸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부에는 타격체(245)가 인입되기 위한 삽입공(243)이 형성된다.As shown, the fixture 241 is detachably coupled by a fastening mean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rod 220, and an insertion hole 243 for inserting the striking body 245 is formed at the top.

타격체(245)는 러버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만곡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일측은 삽입공(243)에 삽입 후,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체(241)와 체결하여 제2축봉(220)의 회전을 통해 곡식을 타격한다.The striking body 245 is formed to have an overall curved shape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an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3 and then fastened to the fixture 241 through a fastening means to form the second shaft rod 220. ) strikes the grain through rotation.

이때, 타격체(245)가 만곡 형상을 갖는 이유는 수직상태에서 곡식을 타격 시, 그 충격에 의한 내구성이 저하될 확율이 만곡형상일 때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곡식의 타격은 상기 타격체(245)의 끝단으로만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hitting body 245 has a curved shape is because when hitting grain in a vertical state, the probability of durability deteriorating due to the impact increases relatively compared to when it has a curved shape, and this effect is further maximized. It is desirable that the grain be struck only with the end of the striking body 245.

아울러, 제2축봉(220) 외면에 다수 구비되는 타격부재(240)는 각각의 타격체(245)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속도가 감속된 상기 제2축봉(220)의 회전에 의해 타격에 의한 충격이 분산되어 곡식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triking members 24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rod 220 are installed so that each striking body 245 faces a different direction,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shaft rod 220 is reduced. This disperses the impact from the blow and allows it to hit the grain.

즉, 다수의 타격체(245)가 한번에 곡식을 타격하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낟알이 튀어오르거나 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져 상술한 안전막(130) 너머의 사용자에게 튀거나 수거하고자 하는 낟알이 본 발명인 타작기(1)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타격체(245)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켜 낟알이 떨구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multiple striking bodies 245 hit grain at once, the force causing the grains to bounce due to the impact becomes relatively large, causing the grains to bounce or be collected to the user beyond the safety barrier 130 described above. Since the inventor's threshing machine (1) can fly relatively far from the installed position, the impact caused by the striking body (245) is dispersed so that the grains fall.

그리고, 상기 속도제어부재(400)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300)에 의해 회전하는 타작부(200)의 회전속도를 추가적으로 감속시키거나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편(410), 제1링크(420), 제2링크(440), 작동바(450) 및 탄성체(460)를 포함하며, 하기에는 상기 타작부(200)를 정지시키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nd, as shown in FIGS. 1, 5, and 6,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can additionally reduce or completely stop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hreshing unit 200 rotated by the drive motor 300. It includes a support piece 410, a first link 420, a second link 440, an operating bar 450, and an elastic body 460. In order to stop the threshing unit 200, Let us explain by example.

예컨대 지지편(4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제1축봉(210) 후방에 위치하도록 브라켓(110)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는 제1링크(420)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For example, as shown, the support piece 410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bracket 110 so as to be located behind the first shaft rod 210, and is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first link 420 at the top. Combine.

여기서, 제1링크(420) 타측에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체(430)가 설치되되 상기 가압체(430)는 제1풀리(211)에서 연장된 벨트(23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외면에는 제2링크(440)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링크(440) 타측은 탄성체(460)를 통해 작동바(450) 외면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Here, a cylindrical pressing body 43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420, and the pressing body 43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lt 230 extending from the first pulley 211, and has a I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link 44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4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ng bar 450 through an elastic body 460.

아울러, 작동바(4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브라켓(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450)가 손잡이(113)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탄성체(460)와 연결된 제2링크(440)가 당겨지는 직선운동이 실행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440)와 연결된 제1링크(420)가 지지편(41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운동으로 가변된다.In addition, as shown, the operating bar 450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part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110, and when the operating bar 450 is pulled by the user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13, the elastic body 460 ), the second link 440 connected to the linear motion is pull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link 420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440 changes to a rotational motion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ece 410.

이를 통해, 제1링크(420)가 회전운동하면 상기 제1링크(420)에 구비된 가압체(43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벨트(230) 외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벨트(230)가 정지되고 이에 따라 제1축봉(210)과 제2축봉(220)이 동시에 정지되어 타작부(200)의 구동이 정지상태를 실행하게 된다.Through this, when the first link 420 rotates, the pressing body 430 provided on the first link 420 moves downward and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230, thereby stopping the belt 230. Accordingly, the first shaft rod 210 and the second shaft rod 220 are stopp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driving of the threshing unit 200 is in a stopped state.

한편, 본 발명에서의 작동바(450)는 손잡이 방향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상술한 걸쇠(111)에 결속되어 상기 작동바(450)를 상기 걸쇠(111)에서 해지하기 이전까지 타작부(200)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ng bar 45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and is simultaneously bound to the latch 111 described above, so that the operating bar 450 is held in the threshing unit 200 until the operating bar 450 is released from the latch 111.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ionary state.

아울러, 탄성체(460)는 걸쇠(111)에서 작동바(450)가 해지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바(450)가 전방으로 자동 이동 후, 그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타작부(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탄성체(460)는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제2링크(440)와 작동바(4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460 is such that when the operating bar 450 is released from the latch 111, the operating bar 450 automatically moves forward by elastic force and maintains that state so that the threshing unit 200 operates. The elastic body 46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so that it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link 440 and the operating bar 45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작기(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경제적인 이득은 물론, 타작에 대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숙련도와 상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sh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ified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so that it can not only provide economic benefits but also smoothly perform the threshing function, and can be easily performed regardless of the user's skill level. It is usable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본 발명에 따른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
100: 베이스
110: 브라켓 111: 걸쇠
113: 손잡이 120: 바퀴
130: 안전막
200: 타작부
210: 제1축봉 211: 제1풀리
220: 제2축봉 221: 제2풀리
230: 벨트 240: 타격부재
241: 고정체 243: 삽입공
245: 타격체
300: 구동모터
400: 속도제어부재
410: 지지편 420: 제1링크
430: 가압체 440: 제2링크
450: 작동바 460: 탄성체
1: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base
110: bracket 111: latch
113: handle 120: wheel
130: safety shield
200: Threshing unit
210: 1st shaft rod 211: 1st pulley
220: 2nd shaft 221: 2nd pulley
230: belt 240: hitting member
241: fixture 243: insertion hole
245: striking body
300: Drive motor
400: Speed control member
410: Support 420: First link
430: Pressure body 440: Second link
450: operating bar 460: elastic body

Claims (6)

이동가능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타작부(200);
상기 타작부(20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감속기능을 갖는 구동모터(300); 및
상기 구동모터(300)와 접촉 또는 비접촉할 수 있게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어 접촉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타작부(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
Movable base 100;
A threshing unit 200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00;
A drive motor 300 having a deceleration function installed on the base 100 to transmit power for rotating the threshing unit 200; and
A speed control member 400 installed on the base 100 so as to be in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drive motor 300 and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hreshing unit 200 by pressure by contact.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서로 결합하되 전방에는 상기 타작부(200)가 형성되며, 후방에는 손잡이(1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구동모터(300)가 장착되는 다수의 브라켓(110); 및
상기 브라켓(110)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바퀴(120);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손잡이(113)를 연결하는 상기 브라켓(110)에는 상기 속도제어부재(400)를 단속하기 위한 걸쇠(111)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10)에는 상기 타작부(200)에서 상기 손잡이(113) 방향으로 낟알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막(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se 100 is
A plurality of brackets 110 that are joined together to have length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the threshing portion 200 formed at the front, a handle 113 formed at the rear, and the drive motor 300 mounted at the top. ; and
Including a wheel 120 rotatably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bracket 110,
A latch 111 for controlling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is formed on the bracket 110 connecting the pair of handles 113,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110) includes a safety film (130) to prevent grains from bouncing from the threshing unit (200) toward the handle (1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작부(200)는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3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제1풀리(211)가 형성된 제1축봉(210);
상기 제1축봉(210)과 소정거리 이웃하게 상기 베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면에는 벨트(230)에 의해 상기 제1풀리(211)와 연결되는 제2풀리(221)가 형성된 제2축봉(220); 및
상기 제2풀리(221)를 기준으로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2축봉(2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낟알을 떨구기 위해 곡식을 타격하는 타격부재(240);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부재(240)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상기 제2축봉(220)과 결합하며,
상기 벨트(230)는 상기 속도제어부재(400)에 가압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reshing unit 200 is
A first shaft rod 210,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motor 300 and a first pulley 211 formed on its outer surface;
A second pulley 221 is installed rotatably with the base 100 adjacent to the first shaft 2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second pulley 221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211 by a belt 230 on the outer surface. 2-axis rod (220); and
At least one striking member 240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220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ulley 221 to strike the grain to shake off the grain;
The striking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second shaft rod 220 so as to have different directions,
The belt (230) is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230) can be pressed or released from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240)는
상기 제2축봉(220) 외면에 형성되는 고정체(241); 및
상기 고정체(241)에 형성된 삽입공(24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삽입되되 만곡 형상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되는 타격체(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hitting member 240 is
A fixture 24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rod 220; and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s, comprising a striking body (245) that is fixedly and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3) formed in the fixture (241)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curved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부재(4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돌출 형성된 지지편(410);
일측이 상기 지지편(4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링크(420);
상기 제1링크(420)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230)를 가압 또는 해지할 수 있는 가압체(430);
일측이 상기 제1링크(420) 외면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링크(440); 및
하부가 상기 베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상기 제2링크(44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100)와 결속 또는 해지되는 작동바(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is
A support piece 410 protrudes from the base 100;
A first link 420,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410;
A pressurizing body 43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420 and capable of pressurizing or releasing the belt 230;
a second link (440) on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nk (420); and
The lower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00, but the outer surfa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440, and includes an operating bar 450 that is engaged or released from the base 100.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부재(400)는
상기 제2링크(440) 타측과 상기 작동바(450) 사이에 탄성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4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460)는
상기 작동바(450)와 상기 베이스(100) 간의 결속이 해지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벨트(230) 외면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체(430)를 해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링크(420)와 상기 제2링크(44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낟알 털기용 자동타작기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speed control member 400 is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body 460 capable of elastic restoration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440 and the operating bar 450,
The elastic body 460 is
When the binding between the operating bar 450 and the base 100 is released, the first link 420 and the second link are connected so that the pressing body 430 that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230 by elastic force can be released. An automatic threshing device for shaking grain, characterized by rotating two links (440).
KR1020220088632A 2022-07-19 2022-07-19 Automatic threshing machine KR202400118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632A KR20240011899A (en) 2022-07-19 2022-07-19 Automatic thre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632A KR20240011899A (en) 2022-07-19 2022-07-19 Automatic thre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899A true KR20240011899A (en) 2024-01-29

Family

ID=8971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632A KR20240011899A (en) 2022-07-19 2022-07-19 Automatic thre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89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57B1 (en) 2008-09-24 2011-01-13 박덕수 Soybean Threshing Tool Attaching For Farm Machine Farm Machine
KR20160100443A (en) 2015-02-14 2016-08-24 박형규 Soybean Threshing Tool Attaching For Farm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57B1 (en) 2008-09-24 2011-01-13 박덕수 Soybean Threshing Tool Attaching For Farm Machine Farm Machine
KR20160100443A (en) 2015-02-14 2016-08-24 박형규 Soybean Threshing Tool Attaching For Farm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7192A (en) Conditioning crops
US6616528B2 (en) Vertical crop residue chopper and spreader
US3125845A (en) Swath gathering mechanism
US5387153A (en) Rotary combine
JPH05500753A (en) rotary agricultural equipment
US20110024538A1 (en) Combine Chopper For Feeding A Baler
US4137923A (en) Chaff spreading attachment for harvesters
US4137695A (en) Corn harvesters
US3803820A (en) Powered rotor for row crop harvesters
KR20240011899A (en) Automatic threshing machine
US2352257A (en) Harvester-thresher combine
JP4361376B2 (en) Crop processing device and mowing machine using this processing device
US2471771A (en) Corn picker gathering shoe
US3785132A (en) Grain pick up
US3742687A (en) Pickup attachment for corn harvesters
CA3051641C (en) Knife brush for a header reel
US2867962A (en) Row crop attachment for combines
JP4066784B2 (en) Combine
US2424171A (en) Stone ejector for field hay choppers
CN109757195A (en) Transverse-axis-flow combine harvester throws careless device
US1206409A (en) Clover-head harvester or picker.
US20240164252A1 (en) Straw and chaff spreader for combine harvester
JP2003000049A (en) Roll baler
KR101458765B1 (en) Cutting cutter of forage crop cutting, compressing and bending pparatus
JP2502155Y2 (en) All culm input combine harvester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