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525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525A
KR20240011525A KR1020220089066A KR20220089066A KR20240011525A KR 20240011525 A KR20240011525 A KR 20240011525A KR 1020220089066 A KR1020220089066 A KR 1020220089066A KR 20220089066 A KR20220089066 A KR 20220089066A KR 20240011525 A KR20240011525 A KR 20240011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vel
signal
differential signal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525A/ko
Publication of KR2024001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Abstract

본 개시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한편, 패널은, 데이터 드라이버 등에 의해 구동되며, 데이터 드라이버는, 신호 처리 장치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패널로 공급한다.
최근, 패널의 해상도가 증가하면서, 데이터 드라이버의 개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데이터 드라이버까지의 배선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이 불량인 경우, 패널에 수직 바 형태로 패널 노이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차동 신호의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가변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며, 소정 범위와의 차이가 커질수록,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거나, 피크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이후,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증가된 스윙 레벨 및 증가된 피크 레벨에 기반한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패널에서 수직 불량이 발생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패널에서의 수직 불량이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패널에 공통 전압과,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큰 경우, 제2 기간 이후에, 제3 스윙 레벨 및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작은 경우, 제2 기간 이후에, 제3 스윙 레벨 및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패널에 공통 전압과,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작은 경우, 제2 기간 이후에, 제3 스윙 레벨 및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 바(bar) 형태의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며, 소정 범위와의 차이가 커질수록,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거나, 피크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동 신호의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동 신호의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이후,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증가된 스윙 레벨 및 증가된 피크 레벨에 기반한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패널에서 수직 불량이 발생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패널에서의 수직 불량이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패널에 공통 전압과,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전압의 레벨을 가변함으로써, 패널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 보다 큰 경우, 제2 기간 이후에, 제3 스윙 레벨 및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작은 경우, 제2 기간 이후에, 제3 스윙 레벨 및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 바(bar) 형태의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패널에 공통 전압과,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신호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공통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전압의 레벨을 가변함으로써, 패널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기간 동안,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작은 경우, 제2 기간 이후에, 제3 스윙 레벨 및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전원공급부와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광원 배열의 일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패널의 픽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배치도의 일예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도 11a 또는 도 11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c는 도 1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도 2의 180)와,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도 2의 170),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도 2의 19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가,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경우, 별도의 광원, 예를 들어, LED 등이 사용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해상도가, HD(High Definition), Full HD, UHD(Ultra High Definition), 4K, 8K 등으로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광원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광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광원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의 개수도 증가하게 되며, 특히,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데이터 드라이버까지의 배선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데이터 드라이버까지의 배선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 패널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이 불량인 경우, 패널에 수직 바 형태로 패널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a)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도 11a의 170)와,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도 11a의 236)와, 데이터 드라이버(236)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도 11a의 210)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VDa)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 바(bar) 형태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 장치(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셋탑 박스(250)로부터의 방송 신호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통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개시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메모리(140)가 신호 처리 장치(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신호 처리 장치(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시청장치(미도시)로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미도시)는,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3D용 글래스일 수도 있다. 3D용 글래스(미도시)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신호 처리 장치(170), 특히 영상 처리부(3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320)의 출력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3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3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의 (b)), 앞뒤(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신호 처리 장치(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전원공급부와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정 패널(LCD 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액정 패널(210), 구동 회로부(230), 백라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2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와 접속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는 제1 기판과,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230)는,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통해 액정 패널(210)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드라이버(234),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R,G,B 데이터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34)와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제어하고, R,G,B 데이터 신호를 재배치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제공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34)와 데이터 드라이버(236),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액정 패널(210)에 공급한다.
백라이트(250)는, 액정 패널(210)에 빛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250)는, 복수의 광원(252)과, 광원(252)의 스캐닝 구동을 제어하는 스캔 구동부(254)와, 광원(252)을 온(On)/오프(Off)하는 광원 구동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210)의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광 투과율이 조절된 상태에서, 백라이트(250)로부터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액정 패널(210)에 공통전극 전압(Vcom)을 공급하며,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감마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250)에 광원(2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광원 배열의 일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정 패널(210)의 후면에,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 플레이트(LBA)가 배치될 수 있다.
광원 플레이트(LBA)는, 복수의 광원 블록 어레이(BK1~BK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10개의 광원 블록 어레이(BK1~BK10)를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각 광원 블록 어레이(BK1~BK10)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 광원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LED의 크기 또는 LED 간의 간격이, mm 단위인 경우, 광원 플레이트(LBA)는 mini LED 기반의 광원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는, LED의 크기 또는 LED 간의 간격이, um 단위인 경우, 광원 플레이트(LBA)는 micro LED 기반의 광원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패널의 픽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널(210)은, 복수의 픽셀(PXL)을 구비하며, 각 픽셀(PXL)에는, 데이터 전압(Vd)과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된다.
도면에서는, 픽셀(PXL)가, 1개의 스위칭 소자(SW)와 2개의 커패시터 소자(Cgg,Cbc)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스위칭 소자(SW)의 게이트 단자에,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되며, 스위칭 소자(SW)의 드레인 단자에, 데이터 전압(Vd)이 인가된다.
게이트 전압(Vg)이 하이 레벨인 경우, 스위칭 소자(SW)가 턴 온되어, 데이터 전압(Vd)이 저장용 커패시터 소자(Cgg)와 구동 커패시터 소자(Cbc)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구동 커패시터 소자(Cbc)는, 액정 소자에 대응할 수 있으며, 구동 커패시터 소자(Cbc)의 일단에 데이터 전압(Vd)이 인가되고, 구동 커패시터 소자(Cbc)의 타단에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어, 데이터 전압(Vd)과 공통 전압(Vcom)의 차이에 기초하여, 액정의 투과율이 가변되게 된다.
한편, 데이터 전압(Vd)은, 영상 프레임 별로, 공통 전압(Vcom) 보다 높은 포지티브 감마 전압과,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네거티브 감마 전압이, 교호하게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커패시터 소자(Cbc)에 전압 누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적으로 픽셀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배치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차동 신호(Sima)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DD1~DD12)와,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DD1~DD12)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210)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도 11a의 VDa)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140)와 함께, 메인 보드(MDa)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보드(MDa)와 디스플레이(180a)를 구분하고, 디스플레이(180a) 내에,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Sima)를 수신하는 커넥터 인터페이스(CIa,CIb),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패널(210)을 구동하는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DD1~DD12), 및 패널(210)이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DD1~DD12)는, 회로 기판(SPa,Spb)에 실장된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출력되는 차동 신호는,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이 교차하므로, 차동 신호 측정시, 아이 다이어그램(eye diagram)이 나타나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출력되는 제1 차동 신호(Simxa)를 예시한다.
한편, 도 10a에 의하면, 제1 차동 신호(Simca)는, 제1 하이 레벨(Lv1)과 제1 로우 레벨(LV2)을 가질 수 있다.
도 10b는, 제1 차동 신호(Simca)가 출력되는 경우, 패널(210)의 양 단부(Ara,Arb)에 열화 등의 패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
패널 노이즈는, 제1 차동 신호(Simca)의 품질에 따른 아이 마진(eye margin) 부족시 또는 데이터 전압의 범위가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DD1~DD12)는, 패널(210)의 양단부에서 중앙 방면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수신하는 커넥터 인터페이스(CIa,CIb)가, 패널(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므로,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DD1~DD12) 중 패널(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드라이버(DD6,DD7)는, 전기 배선의 길이가 짧지만, 패널(210)의 양단부 영역(Ara,Arb)에 배치되는 데이터 드라이버(DD1,DD12)는, 전기 배선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기 배선의 차이에 기초하여, 도 10b와 같이, 패널(210)의 양 단부(Ara,Arb)에 열화 등의 패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도 10b의 패널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동 신호에, 피크 레벨 구간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도 10c는 피크 레벨 구간을 갖는 차동 신호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피크 레벨(LV3)까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제1 하이 레벨(LV1)을 유지하는 차동 신호(Simx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차동 신호(Simxc)는, 제2 피크 레벨(LV4)까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여 제1 로우 레벨(LV2)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제1 피크 레벨(LV3) 또는 제2 피크 레벨(LV4)이 인가되는 구간을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 구간이라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차동 신호(Simxc)가, 제1 피크 레벨(LV3)과 제1 하이 레벨(LV1)의 차이(ΔLV1)와, 제2 피크 레벨(LV4)과 제1 로우 레벨(LV2)의 차이(ΔLV2)를 가짐에 따라, 패널(210)의 양 단부(Ara,Arb)에 열화 등의 패널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 10e는 복수의 차동 신호에 따른 아이 다이어그램(Eyxa)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c의 차동 신호(Simxc)를 출력하는 중에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 구간에서의 피크 레벨로 인하여, 아이 다이어그램(Eyxa) 내의 아이(eye)의 형상(EYxa)이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불안정한 현상의 아이 다이어그램(Eyxa)이 나타나게 된다.
다음, 도 10c의 차동 신호(Simxc)를 출력하는 중에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이내로 안정적인 경우,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 구간에서의 피크 레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아이 다이어그램(Eyxb)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본 개시에서는,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인 경우,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 구간에서의 피크 레벨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a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a)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236)와, 데이터 드라이버(236)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210)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VDa)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 바(bar) 형태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의 소정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140)와 함께, 메인 보드(MD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는, 데이터 드라이버(236), 전압 검출부(VDa), 패널(210)을 구비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데이터 전압은, 신호 처리 장치(170)로 인가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과,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의 소정 범위를 비교하고,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도 10b와 같이, 수직 바와 같은 패널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차동 신호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피크 레벨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과 피크 레벨이 함께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동 신호의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며, 소정 범위와의 차이가 커질수록,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거나, 피크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거나,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과 피크 레벨이 함께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동 신호의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이후,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증가된 스윙 레벨 및 증가된 피크 레벨에 기반한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패널(210)에서 수직 불량이 발생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패널(210)에서의 수직 불량이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b)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232)와,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236)와, 데이터 드라이버(236)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210)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VDa)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가변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 바(bar) 형태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의 소정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140), 타이밍 컨트롤러(232)와 함께, 메인 보드(MD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0)는, 데이터 드라이버(236), 전압 검출부(VDa), 패널(210)을 구비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데이터 전압은, 신호 처리 장치(170)로 인가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도 11a와 같이,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과,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의 소정 범위를 비교하고,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도 10b와 같이, 수직 바와 같은 패널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차동 신호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도 10b와 같이, 수직 바와 같은 패널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차동 신호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2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며, 소정 범위와의 차이가 커질수록, 제2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거나, 피크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2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제2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이후,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증가된 스윙 레벨 및 증가된 피크 레벨에 기반한 제2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 바(bar) 형태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도 11a 또는 도 11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a는 패널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구동 전압 파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널(210)에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으로 이루어진 영상(IMga)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 PB), 휴지 구간(Pc), 제2 영상 프레임 구간(Pd, Pe) 동안, 도면과 같은 데이터 전압(Vda)이 인가된다.
Pa 구간은,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중 n-1 lane에 대응하는 구간이며, Pb 구간은,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중 n lane에 대응하는 구간이며, Pd 구간은,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중 1 lane에 대응하는 구간이며, Pe 구간은,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중 2 lane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Pa 구간 동안, 데이터 전압(Vda)으로,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4개의 레벨이 인가되며, 각 4개의 레벨은, 공통 전압(Vcom) 보다 높은, 포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서는, Pa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4개의 레벨을 예시한다.
유사하게, Pb 구간 동안, 데이터 전압(Vda)으로,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4개의 레벨이 인가되며, 각 4개의 레벨은, 공통 전압(Vcom) 보다 높은, 포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서는, Pb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4개의 레벨을 예시한다.
휴지 구간(Pc) 동안, 데이터 전압(Vda)으로,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다.
Pd 구간 동안, 데이터 전압(Vda)으로,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4개의 레벨이 인가되며, 각 4개의 레벨은,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네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서는, Pd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4개의 레벨을 예시한다.
유사하게, Pe 구간 동안, 데이터 전압(Vda)으로,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4개의 레벨이 인가되며, 각 4개의 레벨은,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네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서는, Pe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4개의 레벨을 예시한다.
도 12a와 같은, 데이터 전압(Vda)이, 인가되어,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되는 경우, 도 10b와 같은 패널 노이즈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 도 12b는 패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의 구동 전압 파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널(210)에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으로 이루어진 영상(IMga)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 PB), 휴지 구간(Pc), 제2 영상 프레임 구간(Pd, Pe) 동안, 도면과 같은 데이터 전압(Vdb)이 인가된다.
Pa 구간 동안, 데이터 전압(Vdb)으로, 백색 영역에 대응하여 제1 레벨이 인가되고, 옅은 회색에 대응하여, 제1 레벨 보다 작은 제2 레벨이 인가되고, 짙은 회색에 대응하여 제2 레벨 보다 작은 제3 레벨이 인가되다가,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Ara 영역에서,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전압(Vdb)이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Pa 구간 동안,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제3 레벨 보다 작은 제4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 레벨 전압 내지 제4 레벨 전압은 각각 공통 전압(Vcom) 보다 높은, 포지티브 감마 전압에 대응한다.
다만, Ara 영역에서,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패널(210)에 표시되는 영역 중 짙은 회색에 대응하는 영역에, 패널 노이즈(PBBa)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포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경우, 패널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메모리(140)는, 포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의 소정 범위는, 포지티브 감마 전압과 공통 전압(Vcom)과의 차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포지티브 감마 전압의 최저 전압과, 공통 전압(Vcom)과의 차이를, 소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패널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 Pb 구간 동안, 도 12a와 유사하게, 데이터 전압(Vdb)으로,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4개의 레벨이 인가되며, 각 4개의 레벨은, 공통 전압(Vcom) 보다 높은, 포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서는, Pb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4개의 레벨을 예시한다.
휴지 구간(Pc) 동안, 데이터 전압(Vdb)으로,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다.
Pd 구간 동안, 도 12a와 유사하게, 데이터 전압(Vdb)으로, 백색 영역, 옅은 회색 영역, 짙은 회색 영역,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4개의 레벨이 인가되며, 각 4개의 레벨은,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네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서는, Pd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4개의 레벨을 예시한다.
한편, Pe 구간 동안, 백색 영역에 대응하여 제5 레벨이 인가되고, 옅은 회색에 대응하여, 제5 레벨 보다 높은 제6 레벨이 인가되다가,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Arb 영역에서,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전압(Vdb)이 그라운드 전압까지 하강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Pe 구간 동안, 짙은 회색 영역에 대응하여, 제6 레벨 보다 높은 제7 레벨이 인가되고, 흑색 영역에 대응하여, 제7 레벨 보다 높은 제8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5 레벨 전압 내지 제8 레벨 전압은 각각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네가티브 감마 전압에 대응한다.
한편, Arb 영역에서, 공통 전압(Vcom)까지 하강하는 경우가 발행하나, 공통 전압(Vcom)과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이므로, 패널 노이즈(PBBb)의 발생 가능성은 약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패널(210)에 표시되는 영역 중 옅은 회색에 대응하는 영역에, 패널 노이즈(PBBa)가 발생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패널 노이즈(PBBb)의 발생 가능성은 약하게 된다. Pa 구간 보다는 낮게 된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네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으며, 그라운드 전압으로 하강하더라도, 패널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메모리(140)는, 네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의 소정 범위는,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메모리(140)는, 네가티브 감마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에도, 포지티브 감마 전압의 최저 전압과, 공통 전압(Vcom)과의 차이를, 소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b와 관련하여, 데이터 신호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동안, 공통 전압(Vcom)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Pd,Pe) 동안, 공통 전압(Vcom) 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전압의 레벨을 가변함으로써, 패널(210)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작은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원 온 입력에 기초하여, 파워 온 한다(S1310).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18), 신호 처리 장치(170) 등에 전원을 공급힌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 표시를 위한 차동 신호를 출력한다(S1315).
차동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드라이버(236)는, 데이터 신호를 패널(210)로 출력한다(S1320).
다음, 전압 검출부(VDa)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인 데이터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한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소정 범위와,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비교하여, 검출된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25).
예를 들어, 소정 범위는, 포지티브 감마 전압의 최저 전압과, 공통 전압(Vcom)과의 차이일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소정 범위와,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비교하여, 검출된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출력하던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과 피크 레벨을 유지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소정 범위와,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비교하여, 검출된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S1330).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된 차동 신호를 출력한다(S1335).
그 이후, 전압 검출부(VDa)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인 데이터 전압을 추가로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소정 범위와, 추가로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비교하여, 추가로 검출된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가변하고, 추가로 가변된 차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 이후, 전압 검출부(VDa)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인 데이터 전압을 재추가로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소정 범위와, 재추가로 검출된 데이터 전압을 비교하여, 재추가 검출된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지 않고, 추가로 가변된 차동 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동 신호의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5c는 도 1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차동 신호의 아이 다이어 그램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4a의 (a)는 제1 차동 신호(DFFa)의 스윙 레벨이 SL1 이고, 피크 레벨이 PE1인 것을 예시한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제1 차동 신호(DFFa)를 출력하는 경우, 도 10b와 같은 패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 다이어 그램은 도면과 같이 불안정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4a의 (b)는, 제1 차동 신호(DFFa)에 비해,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이 모두 증가한 제2 차동 신호(DFFb)를 예시한다.
도 14a의 (b)는, 제2 차동 신호(DFFb)의 스윙 레벨이 SL1 보다 큰 SL2 이고, 피크 레벨이 PE1 보다 큰 PE2인 것을 예시한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제2 차동 신호(DFFb)를 출력하는 경우, 도 14a의 (a) 보다는 안정화된 아이 다이어 그램이 나타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제2 차동 신호(DFFb)를 출력한 이후,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차동 신호(DFFb)의 스윙 레벨과 피크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a의 (c)는, 스윙 레벨이 SL2 이고, 피크 레벨이 PE2인 제2 차동 신호(DFFb)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0b와 같은 패널 노이즈는 제거되며, 따라서, 아이 다이어 그램은 도면과 같이 안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5a는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중 T1a 기간 동안, 제1 피크 레벨(LVc) 및 제1 상승 기울기(SLa)에 기초하여 레벨이 상승하는 제1 차동 신호(Simba)를 출력한다.
도 15a의 (a)는, 제1 차동 신호(Simba)의 레벨이, 제1 피크 레벨(LVc)까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제1 하이 레벨(LVa)을 유지하고, 제1 로우 피크 레벨(LV4) 까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여 제1 로우 레벨(LVb)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스윙 레벨은, 제1 하이 레벨(LVa)과 제1 로우 레벨(LVb)의 차이인 LVa-LVb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스윙 레벨(LVa-LVb) 및 제1 피크 레벨(LVc)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작은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이후의 제1 기간(T1b) 동안, 제1 스윙 레벨(LVa-LVb)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LVa2-LVb2), 및 제1 피크 레벨(LVc)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LVe)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도 15a의 (b)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도 15a의 (b)는, 제2 차동 신호(Simbb)의 레벨이, 제1 피크 레벨(LVc)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LVe)까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제1 하이 레벨(LVa) 보다 큰 제2 하이 레벨(LVa2)을 유지하고, 제2 로우 피크 레벨(LVf) 까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여 제2 로우 레벨(LVb2)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2 피크 레벨(LVe)까지의 상승을 위해, 상승 기울기는, 도 15a의 (a)의 제1 상승 기울기(SLa) 보다 더 큰 제2 상승 기울기(SLc)일 수 있다.
이때의 스윙 레벨은, 제2 하이 레벨(LVa2)과 제2 로우 레벨(LVb2)의 차이인 LVa2-LVb2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스윙 레벨(LVa2-LVb2) 및 제2 피크 레벨(LVe)의 제2 차동 신호(Simbb)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이후의 제1 기간(T1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작은 경우, 제1 기간(T1b) 이후의 제2 기간(T1c) 동안, 제2 스윙 레벨(LVa2-LVb2)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LVa4-LVb4), 및 제2 피크 레벨(LVe)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LVg)을 가지는 제3 차동 신호를, 도 15a의 (c)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도 15a의 (c)는, 제3 차동 신호(Simbc)의 레벨이, 제2 피크 레벨(LVe)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LVg)까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제2 하이 레벨(LVa2) 보다 큰 제3 하이 레벨(LVa4)을 유지하고, 제3 로우 피크 레벨(LVh) 까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여 제3 로우 레벨(LVb4)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3 피크 레벨(LVg)까지의 상승을 위해, 상승 기울기는, 도 15a의 (b)의 제2 상승 기울기(SLc) 보다 더 큰 제2 상승 기울기(SLe)일 수 있다.
이때의 스윙 레벨은, 제3 하이 레벨(LVa4)과 제3 로우 레벨(LVb4)의 차이인 LVa4-LVb4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3 스윙 레벨(LVa4-LVb4) 및 제3 피크 레벨(LVg)의 제3 차동 신호(Simbc)를 출력하고, 제2 기간(T1c)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큰 경우, 제2 기간(T1c) 이후에, 제3 스윙 레벨(LVa4-LVb4), 및 제3 피크 레벨(LVg)을 가지는 제3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유사하게,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Vcom)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스윙 레벨(LVa-LVb) 및 제1 피크 레벨(LVc)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Vcom)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이후의 제1 기간(T1b) 동안, 제1 스윙 레벨(LVa-LVb)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LVa2-LVb2), 및 제1 피크 레벨(LVc)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LVe)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기간(T1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Vcom)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제1 기간(T1b) 이후의 제2 기간(T1c) 동안, 제2 스윙 레벨(LVa2-LVb2)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LVa4-LVb4), 및 제2 피크 레벨(LVe)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LVg)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기간(T1c)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Vcom)의 레벨 보다 더 작은 경우, 제2 기간(T1c) 이후에, 제3 스윙 레벨 및 제3 피크 레벨(LVg)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5b는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먼저,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중 T2a 기간 동안, 제1 피크 레벨(LVc) 및 제1 상승 기울기(SLa)에 기초하여 레벨이 상승하는 제1 차동 신호(Simda)를 출력한다.
도 15b의 (a)는, 제1 차동 신호(Simda)의 레벨이, 제1 피크 레벨(LVc)까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제1 하이 레벨(LVa)을 유지하고, 제1 로우 피크 레벨(LV4) 까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여 제1 로우 레벨(LVb)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스윙 레벨은, 제1 하이 레벨(LVa)과 제1 로우 레벨(LVb)의 차이인 LVa-LVb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스윙 레벨(LVa-LVb) 및 제1 피크 레벨(LVc)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작은 경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이후의 제1 기간(T2b) 동안, 제1 스윙 레벨(LVa-LVb)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LVa2-LVb2), 및 제1 피크 레벨(LVc)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LVe)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도 15b의 (b)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도 15b의 (b)는, 제2 차동 신호(Simdb)의 레벨이, 제1 피크 레벨(LVc)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LVe)까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제1 하이 레벨(LVa) 보다 큰 제2 하이 레벨(LVa2)을 유지하고, 제2 로우 피크 레벨(LVf) 까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여 제2 로우 레벨(LVb2)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2 피크 레벨(LVe)까지의 상승을 위해, 상승 기울기는, 도 15b의 (a)와 동일한 제1 상승 기울기(SLa)일 수 있다.
이때의 스윙 레벨은, 제2 하이 레벨(LVa2)과 제2 로우 레벨(LVb2)의 차이인 LVa2-LVb2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스윙 레벨(LVa2-LVb2) 및 제2 피크 레벨(LVe)의 제2 차동 신호(Simdb)를 출력하고,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이후의 제1 기간(T2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작은 경우, 제1 기간(T2b) 이후의 제2 기간(T2c) 동안, 제2 스윙 레벨(LVa2-LVb2)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LVa4-LVb4), 및 제2 피크 레벨(LVe)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LVg)을 가지는 제3 차동 신호를, 도 15b의 (c)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도 15b의 (c)는, 제3 차동 신호(Simdc)의 레벨이, 제2 피크 레벨(LVe)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LVg)까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제2 하이 레벨(LVa2) 보다 큰 제3 하이 레벨(LVa4)을 유지하고, 제3 로우 피크 레벨(LVh) 까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여 제3 로우 레벨(LVb4)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3 피크 레벨(LVg)까지의 상승을 위해, 상승 기울기는, 도 15b의 (b)와 동일한 제1 상승 기울기(SLa)일 수 있다.
이때의 스윙 레벨은, 제3 하이 레벨(LVa4)과 제3 로우 레벨(LVb4)의 차이인 LVa4-LVb4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3 스윙 레벨(LVa4-LVb4) 및 제3 피크 레벨(LVg)의 제3 차동 신호(Simdc)를 출력하고, 제2 기간(T2c)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이, 공통 전압(Vcom) 보다 큰 경우, 제2 기간(T2c) 이후에, 제3 스윙 레벨(LVa4-LVb4), 및 제3 피크 레벨(LVg)을 가지는 제3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유사하게,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Pa,Pb) 동안, 전압 검출부(VDa)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공통 전압(Vcom)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동 신호의 단게적인 가변에 의해 패널(210)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5c는 도 15a의 (c)의 제3 차동 신호(Simbc) 또는 도 15b의 (c)의 제3 차동 신호(Simdc)에 의해, 패널 노이즈가 제거되어 표시되는 영상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는, 패널 노이즈된 영상(1500)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5a 또는 도 15b에 의하면, 제1 차동 신호(Simba 또는 Simda) 또는 제2 차동 신호(Simbb 또는 Simdb)에 의해, 도 10b와 같은 패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으나, 도 15b의 (c)의 제3 차동 신호(Simbc 또는 Simdc)와 같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에 의해, 도 15c와 같이, 패널 노이즈가 사라지는 영상(1500)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
    상기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을 가변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또는 피크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며, 상기 소정 범위와의 차이가 커질수록,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피크 레벨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 이후,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증가된 스윙 레벨 및 증가된 피크 레벨에 기반한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패널에서 수직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패널에서의 상기 수직 불량이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공통 전압과,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공통 전압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공통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상기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공통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상기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공통 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기간 이후에, 상기 제3 스윙 레벨 및 상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상기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상기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제2 기간 이후에, 상기 제3 스윙 레벨 및 상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5.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동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공통 전압과,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공통 전압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공통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차동 신호의 스윙 레벨 및 피크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스윙 레벨 및 제1 피크 레벨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구간 이후의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윙 레벨 보다 큰 제2 스윙 레벨, 및 상기 제1 피크 레벨 보다 큰 제2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윙 레벨 보다 큰 제3 스윙 레벨, 및 상기 제2 피크 레벨 보다 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상기 공통 전압의 레벨 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제2 기간 이후에, 상기 제3 스윙 레벨 및 상기 제3 피크 레벨을 가지는 차동 신호를 계속 출력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KR1020220089066A 2022-07-19 2022-07-19 영상표시장치 KR20240011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66A KR20240011525A (ko) 2022-07-19 2022-07-19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66A KR20240011525A (ko) 2022-07-19 2022-07-19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525A true KR20240011525A (ko) 2024-01-26

Family

ID=8971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066A KR20240011525A (ko) 2022-07-19 2022-07-19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5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373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3025792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5866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109426A1 (en) Glassless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13272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72011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US90477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US2015028738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83222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40011525A (ko) 영상표시장치
KR10222463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30152418A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8408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local dimming thereof
KR1023484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2578B1 (ko) 영상표시장치
US2023039712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114813A (ko) 영상표시장치
US2023030691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8368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591292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4239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64381A (ko)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