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476A -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476A
KR20240011476A KR1020220088958A KR20220088958A KR20240011476A KR 20240011476 A KR20240011476 A KR 20240011476A KR 1020220088958 A KR1020220088958 A KR 1020220088958A KR 20220088958 A KR20220088958 A KR 20220088958A KR 20240011476 A KR20240011476 A KR 20240011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car sharing
sharing service
service
servic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철
Original Assignee
다니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니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8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476A/ko
Publication of KR2024001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특정하여 특정된 각 대상에게 공유차량 공동 이용을 추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서비스 참여도의 제고할 수 있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RIDE SHARING SERVICE PLATFORM}
본 발명은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특정하여 특정된 각 대상에게 공유차량 공동 이용을 추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유경제 서비스는 대여자와 이용자 간 이뤄지는 커뮤니티 기반의 재화 이용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공유경제 서비스는 전통적인 렌탈 서비스와 달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서비스의 지위를 위협하는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다.
공유경제 서비스의 높은 경쟁력은 경제성과 편리성 측면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지속 가능한(sustainable)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출시되어 있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유형은 제공되는 서비스 운영 주체가 기업인지(B2C), 사용자들인지(C2C)에 따라 나눠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는 현재 출시된 가장 일반적인 공유경제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경우, 기존의 렌터카 서비스와 유사한 점을 갖지만, 렌터카 서비스와 달리 차량을 이용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계약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고, 먼 거리에 위치한 서비스 업체를 찾아갈 필요 없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차량 공유 서비스는 이처럼 기존의 렌터카 서비스 대비 위와 같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직접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공유차량 조회, 이용 설정 등의 일련의 서비스 절차로 인해 개개인의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진입 장벽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은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확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추천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서비스 참여도를 제고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특정하여 특정된 각 대상에게 공유차량 공동 이용을 추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각 고객단말의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는 생성명령; 및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공유차량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공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특정 시간대에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교통상황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통상황정보는, 상기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확인되며, 상기 판별명령은,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에 따라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명령은,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고객단말 중 거주지 간 접근도가 임계치 이상인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후보그룹으로 결정하며, 상기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상기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주지 간 접근도는, 상기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위 각의 연장선을 따라 거주지가 위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방위 각의 연장선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거점 지역과 거주지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는,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중 상기 특정 지역으로부터 거주지가 가장 먼 특정 고객단말의 거주지가 목적지로 설정되며, 나머지 고객단말의 거주지는 경유지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공유 차량 이용에 따른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하는 비용산정명령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서비스비용은,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에 대해서 각각의 거주지 도착 전까지의 경유지 개수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한 비용으로 산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방법은,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에 따라 특정 지역에 위치한 각 고객단말의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공유차량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단계 이전에, 특정 시간대에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교통상황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통상황정보는, 상기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확인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에 따라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고객단말 중 거주지 간 접근도가 임계치 이상인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후보그룹으로 결정하며, 상기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상기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주지 간 접근도는, 상기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위 각의 연장선을 따라 거주지가 위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방위 각의 연장선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거점 지역과 거주지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에 의하면,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특정하여 특정된 각 대상에게 공유차량 공동 이용을 추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서비스 참여도의 제고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계획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및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중 적어도 일부에게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각각은, 차량 공유 서비스 수신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일컫는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1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차량 공유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거나,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와 연계(제휴)된 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중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들을 특정하여 특정된 대상들에게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추천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내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에 따라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중 적어도 일부를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특정하여 공유차량의 공동이용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 공유 서비스의 경우, 기존의 렌터카 서비스와 유사한 점을 갖지만, 렌터카 서비스와 달리 차량을 이용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계약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고, 먼 거리에 위치한 서비스 업체를 찾아갈 필요 없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차량 공유 서비스는 이처럼 기존의 렌터카 서비스 대비 위와 같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직접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공유차량 조회, 이용 설정 등의 일련의 서비스 절차로 인해 개개인의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진입 장벽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은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확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추천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서비스 참여도를 제고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의 설명에 앞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각각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는바, 고객단말(1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은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11), 및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 차량 공유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모듈(1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획득모듈(11), 및 서비스모듈(12)를 포함하는 고객단말(1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와의 실질적인 통신을 위한 RF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13)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1310)에 해당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은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 차량 공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고객단말(10) 내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획득모듈(11)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모듈(11)는 고객단말(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획득모듈(11)는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주기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예컨대 AP 접속정보, 및 GPS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정보는 고객단말(10)의 식별정보(가입자 ID)와 매칭된 형태로 위치정보가 획득된 시각정보와 함께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모듈(12)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모듈(12)는 전달된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객단말(10)이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으로 특정되는 경우에,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추천 받게 된다.
여기서, 차량 공유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고객단말(10)의 식별정보(가입자 ID)와 사전 매칭되어 관리되는 거주지정보로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는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가 특정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의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는 이처럼 공유서비스그룹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공유차량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유차량정보에는 예컨대, 공유차량의 위치, 및 공유차량을 함께 탑승하게 되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다른 고객단말의 정보(예: 전화번호, 거주지, 신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이러한 공유서비스그룹 생성 및 공유차량정보의 제공 과정에 앞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우선 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기초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예: CCTV 영상, 사진)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교통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방식을 통한 교통상황정보 확인 결과, 예컨대,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게 되며, 나아가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비로서 공유차량을 함께 탑승하게 되는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여, 생성된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서비스모듈(12)는 이러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의 동작 특성에 따라 고객단말(10)이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으로의 특정 즉, 공유서비스그룹에 속하게 되는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 공유차량정보를 수신하여 공유차량의 이용을 가입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고객단말(1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을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고객단말(1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1000)으로 구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부(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메모리부(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고객단말(10) 내 구성인 획득모듈(11), 및 서비스모듈(12)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는 프로세서부(1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1310), 및 입출력부(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객단말(10)에서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및 차량 공유 서비스 과정에서의 가입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등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 메모리부(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고객단말(1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1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매개로 통신부(1310)와 입출력부(1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공유 차량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는 생성모듈(22), 및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는 공급모듈(2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는 식별부(21), 및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하는 비용산출모듈(2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식별부(21), 생성모듈(22), 공급모듈(23), 및 비용산출모듈(24)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고객단말(10)과의 실질적인 통신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2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25)의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2310)과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추천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식별부(21)는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부(21)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근거로 특정 지역(예: 인구밀집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예: CCTV 영상, 사진)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교통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방식을 통한 교통상황정보 확인 결과, 예컨대, 해당 지역에서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생성모듈(22)는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모듈(22)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특정 지역(예: 인구밀집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며,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의 식별정보와 사전 매칭되어 관리되는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생성모듈(22)는 공유서비스그룹의 생성에 앞서 고객단말 중 거주지 간 접근도를 근거로 공유서비스후보그룹을 생성하게 되며,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주지 간 접근도는, 예컨대,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위 각의 연장선을 따라(연장선과 근접하여) 거주지가 위치하는 여부, 및 해당 방위 각의 연장선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거점 지역(예: 지하철역, 랜드마크)과 거주지와의 거리 등을 근거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거주지 간 접근도는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최단경로로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고객단말의 거주지가 얼마만큼 근접하여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생성모듈(22)는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중 거주지 간 접근도가 임계치 이상인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후보그룹으로 결정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공유서비스그룹에 대해 결정되는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중 특정 지역으로부터 거주지가 가장 먼 특정 고객단말의 거주지가 목적지로 설정되며, 나머지 고객단말의 거주지는 각각의 경유지로 설정될 수 있다.
공급모듈(23)는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모듈(23)는 공유서비스그룹이 생성되는 경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공유차량정보에는 예컨대, 공유차량의 위치, 및 공유차량을 함께 탑승하게 되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의 정보(예: 전화번호, 거주지, 신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비용산출모듈(24)는 공유 차량 이용에 따른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용산출모듈(24)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 대한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하게 된다.
이때, 비용산출모듈(24)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을 부과하게 되며, 이처럼 부과된 기본서비스비용에 대해서 각각의 거주지 도착 전까지의 경유지 개수에 따른 할인율을 추가 적용한 비용을 각 고객단말에 대한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을 부과하되, 보다 많은 개수의 경유지를 거쳐야만 하는 고객단말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할인율을 추가 적용해줌으로써, 경유지로 인한 시간 지연을 비용적 측면으로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 내 각 구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를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2000)으로 구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부(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를 통해 메모리부(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2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 내 각 구성인 식별부(21), 생성모듈(22), 공급모듈(23), 및 비용산출모듈(24)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2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는 프로세서부(2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2310) 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서 메모리부(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2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매개로 통신부(231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에 따르면,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특정하여 특정된 각 대상에게 공유차량 공동 이용을 추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서비스 참여도의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 전달한다(S11-S12).
이때, 고객단말(10-1, 10-2, ..., 10-n)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주기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예컨대 AP 접속정보, 및 GPS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정보는 고객단말(10-1, 10-2, ..., 10-n)의 식별정보(가입자 ID)와 매칭된 형태로 위치정보가 획득된 시각정보와 함께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수신되는 위치정보로부터 고객단말(10-1, 10-2, ..., 10-n)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특정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기초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한다(S13-S14).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예: CCTV 영상, 사진)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교통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방식을 통한 교통상황정보 확인 결과, 예컨대,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의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한다(S15).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공유서비스그룹의 생성에 앞서 고객단말 중 거주지 간 접근도를 근거로 공유서비스후보그룹을 생성하게 되며,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주지 간 접근도는, 예컨대,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위 각의 연장선을 따라(연장선과 근접하여) 거주지가 위치하는 여부, 및 해당 방위 각의 연장선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거점 지역(예: 지하철역, 랜드마크)과 거주지와의 거리 등을 근거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거주지 간 접근도는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최단경로로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고객단말의 거주지가 얼마만큼 근접하여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중 거주지 간 접근도가 임계치 이상인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후보그룹으로 결정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이후,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생성된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공유차량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16).
이때, 공유차량정보에는 예컨대, 공유차량의 위치, 및 공유차량을 함께 탑승하게 되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다른 고객단말의 정보(예: 전화번호, 거주지, 신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으로의 특정 즉, 공유서비스그룹에 속하게 되는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 공유차량정보를 수신하여 공유차량의 이용을 가입자에게 안내한다.
한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비용산출모듈(24)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 대한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S17).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을 부과하게 되며, 이처럼 부과된 기본서비스비용에 대해서 각각의 거주지 도착 전까지의 경유지 개수에 따른 할인율을 추가 적용한 비용을 각 고객단말에 대한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을 부과하되, 보다 많은 개수의 경유지를 거쳐야만 하는 고객단말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할인율을 추가 적용해줌으로써, 경유지로 인한 시간 지연을 비용적 측면으로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고객단말(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 (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획득모듈(11)는 고객단말(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 전달한다(S21-S22).
이때, 획득모듈(11)는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주기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예컨대 AP 접속정보, 및 GPS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정보는 고객단말(10)의 식별정보(가입자 ID)와 매칭된 형태로 위치정보가 획득된 시각정보와 함께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모듈(12)는 공유차량정보를 수신한다(S23).
이때, 서비스모듈(12)는 전달된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객단말(10)이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으로 특정되는 경우에,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추천 받게 된다.
여기서, 차량 공유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고객단말(10)의 식별정보(가입자 ID)와 사전 매칭되어 관리되는 거주지정보로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는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가 특정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의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는 이처럼 공유서비스그룹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공유차량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유차량정보에는 예컨대, 공유차량의 위치, 및 공유차량을 함께 탑승하게 되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다른 고객단말의 정보(예: 전화번호, 거주지, 신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이러한 공유서비스그룹 생성 및 공유차량정보의 제공 과정에 앞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우선 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기초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예: CCTV 영상, 사진)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교통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방식을 통한 교통상황정보 확인 결과, 예컨대,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게 되며, 나아가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비로서 공유차량을 함께 탑승하게 되는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여, 생성된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서비스모듈(12)는 이러한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의 동작 특성에 따라 고객단말(10)이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으로의 특정 즉, 공유서비스그룹에 속하게 되는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로부터 공유차량정보를 수신하여 공유차량의 이용을 가입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식별부(21)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근거로 특정 지역(예: 인구밀집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한다(S31-S33).
이때,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20)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예: CCTV 영상, 사진)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 교통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방식을 통한 교통상황정보 확인 결과, 예컨대, 해당 지역에서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생성모듈(22)는 특정 시간대(예: 대중교통이 종료되어 택시 승차가 어려운 시간)에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이 특정 지역(예: 인구밀집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며,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정보를 근거로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의 식별정보와 사전 매칭되어 관리되는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한다(S34-S37).
이때, 생성모듈(22)는 공유서비스그룹의 생성에 앞서 고객단말 중 거주지 간 접근도를 근거로 공유서비스후보그룹을 생성하게 되며,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주지 간 접근도는, 예컨대, 각 고객단말(10-1, 10-2, ..., 10-n)이 위치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위 각의 연장선을 따라(연장선과 근접하여) 거주지가 위치하는 여부, 및 해당 방위 각의 연장선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거점 지역(예: 지하철역, 랜드마크)과 거주지와의 거리 등을 근거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거주지 간 접근도는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를 최단경로로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고객단말의 거주지가 얼마만큼 근접하여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생성모듈(22)는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객단말(10-1, 10-2, ..., 10-n) 중 거주지 간 접근도가 임계치 이상인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후보그룹으로 결정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공유서비스그룹에 대해 결정되는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중 특정 지역으로부터 거주지가 가장 먼 특정 고객단말의 거주지가 목적지로 설정되며, 나머지 고객단말의 거주지는 각각의 경유지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급모듈(23)는 공유서비스그룹이 생성되는 경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S38).
이때, 공유차량정보에는 예컨대, 공유차량의 위치, 및 공유차량을 함께 탑승하게 되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의 정보(예: 전화번호, 거주지, 신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비용산출모듈(24)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 대한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한다(S39).
이때, 비용산출모듈(24)는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을 부과하게 되며, 이처럼 부과된 기본서비스비용에 대해서 각각의 거주지 도착 전까지의 경유지 개수에 따른 할인율을 추가 적용한 비용을 각 고객단말에 대한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을 부과하되, 보다 많은 개수의 경유지를 거쳐야만 하는 고객단말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할인율을 추가 적용해줌으로써, 경유지로 인한 시간 지연을 비용적 측면으로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 공유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특정하여 특정된 각 대상에게 공유차량 공동 이용을 추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서비스 참여도의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부,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부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부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구매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고객단말
11: 획득모듈 12: 서비스모듈
20: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21: 식별부 22: 생성모듈
23: 공급모듈 24: 비용산출모듈

Claims (10)

  1.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각 고객단말의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는 생성명령; 및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공유차량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공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특정 시간대에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교통상황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황정보는,
    상기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확인되며,
    상기 판별명령은,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에 따라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명령은,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고객단말 중 거주지 간 접근도가 임계치 이상인 고객단말을 공유서비스후보그룹으로 결정하며,
    상기 공유서비스후보그룹 내 고객단말 중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동의가 확인되는 적어도 일부의 고객단말을 상기 공유서비스그룹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지 간 접근도는,
    상기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위 각의 연장선을 따라 거주지가 위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방위 각의 연장선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거점 지역과 거주지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차량의 이동경로는,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중 상기 특정 지역으로부터 거주지가 가장 먼 특정 고객단말의 거주지가 목적지로 설정되며, 나머지 고객단말의 거주지는 경유지로 설정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공유 차량 이용에 따른 공유서비스비용을 산정하는 비용산정명령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서비스비용은,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 별로 이동거리 당 기본서비스비용에 대해서 각각의 거주지 도착 전까지의 경유지 개수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한 비용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8.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에 따라 특정 지역에 위치한 각 고객단말의 거주지정보에 기초한 공유차량의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공유차량의 공동 이용을 위한 공유서비스그룹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공유서비스그룹 내 각 고객단말에게 공유차량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공유차량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단계 이전에, 특정 시간대에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교통상황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황정보는,
    상기 특정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분석 결과로부터 확인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에 따라 택시차량을 대기하는 인원이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전체 차량 중 택시차량의 비율이 설정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방법.
KR1020220088958A 2022-07-19 2022-07-19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KR20240011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58A KR20240011476A (ko) 2022-07-19 2022-07-19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58A KR20240011476A (ko) 2022-07-19 2022-07-19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76A true KR20240011476A (ko) 2024-01-26

Family

ID=8971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58A KR20240011476A (ko) 2022-07-19 2022-07-19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4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6691A1 (en) System for generating travel route to be serviced by primary transportation service and secondary transportation service
US11842302B2 (en) Method, device, cloud ser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smart parking a connected vehicle
EP4020935A1 (en) Transportation operator collaboration system
JP6934024B2 (ja) 経路計画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634509B2 (en) Providing navigational data to a driver computing device to direct the driver computing device to a geographic region in view of a location specified by the driver computing device
US9037389B2 (en)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platoon travel and method for selecting lead vehicle
CN106908065B (zh) 车辆搭载无人机的双层路径构建方法及系统
US20170249847A1 (en) System for navigating drivers to service transportation requests specifying sightseeing attractions
US20170132696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merchandise to passengers of a taxi service
Pawłowicz et al. Smart city traff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5G cellular network, RFID and machine learning
JP6963370B2 (ja) 自動車、サーバ装置、地図提供システム、地図提供方法、プログラム
US10977941B2 (en) Passenger transit vehicle geolocation
CN109658724B (zh) 一种用于提供用户公交出行信息的方法与设备
US11536577B2 (en) Car-sharing servic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hlemann Autonomous vehicles are connecting...[connected vehicles]
US10488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power-saving vehicular utilization changes
CN110741401B (zh) 用于预约拼车服务的系统和方法
KR20240011476A (ko) 차량 공유 서비스 플랫폼
Rebbeck et al. Socio-economic benefits of cellular V2X
KR20220064186A (ko) 지오펜스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31675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reciprocation in vehicular micro cloud
KR102644762B1 (ko) 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90340585A1 (en) Payment servic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22268B1 (ko) 비콘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1392B1 (ko)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