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474A -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 - Google Patents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474A
KR20240011474A KR1020220088954A KR20220088954A KR20240011474A KR 20240011474 A KR20240011474 A KR 20240011474A KR 1020220088954 A KR1020220088954 A KR 1020220088954A KR 20220088954 A KR20220088954 A KR 20220088954A KR 20240011474 A KR20240011474 A KR 20240011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hutter
locking member
toner
develop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양성웅
신영광
김성진
박승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2008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474A/ko
Priority to US18/110,797 priority patent/US20240027937A1/en
Publication of KR2024001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2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closed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Abstract

개시된 현상 카트리지는, 토너가 유입되는 토너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전환가능한 셔터와, 셔터를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와 셔터의 개방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shutter locking structure for development cartridge}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카트리지는 토너 보충을 위한 토너 유입구를 구비한다. 수명이 다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구비하는 감광 유닛과, 현상 롤러를 구비하는 현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에 대하여 현상갭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 1은 현상 카트리지의 일 예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셔터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셔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현상 카트리지의 일 예의 장착 방향으로 본 정면도로서, 잠금 부재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토너 유입구 부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잠금 부재가 안전 구간의 말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셔터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잠금 부재의 제1안내부에 의하여 셔터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잠금 부재가 제2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복귀될 때에 잠금 돌기가 제2안내부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잠금 위치로 복귀되는 잠금 부재의 제2안내부에 의하여 셔터가 닫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잠금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제1간섭부와 잠금 부재와의 간섭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예를 들어 감광드럼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토너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된다. 현상 카트리지에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토너가 유입되는 토너 유입구를 구비한다. 현상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탈거된 때에 토너 유입구를 통하여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 외부로 누출되거나, 토너 유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현상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현상 카트리지에 토너 유입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마련될 수 있다.
셔터는 예를 들어 토너 유입구를 막는 캡(cap)일 수 있다. 이 경우, 현상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하기 전에 캡을 제거하고 현상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탈거한 때에는 캡을 다시 토너 유입구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는 토너 유입구를 막는 위치와 토너 유입구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셔터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토너 유입구를 막는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는 소모품으로서 화상형성장치와는 별개로 유통될 수 있는데, 유통 과정에서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셔터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현상 카트리지 내부의 토너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크게 하면, 셔터의 동작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크기를 감안하여 셔터, 셔터를 지지하는 구조 등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셔터가 안정적으로 토너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셔터의 개방이 용이한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현상 카트리지의 일 예는, 셔터를 토너 유입구를 막는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와, 셔터가 토너 유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횐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 가능한 잠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잠금 부재에 의하여 셔터가 폐쇄 위치에 잠기므로, 셔터의 비의도적인 개방 및 이로 인한 토너 누출이나 이물질의 현상 카트리지 내부로의 혼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잠금 부재는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잠금 위치에 위치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폐될 수 있다. 셔터는 제1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잠금 위치에서 셔터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잠금부를 구속하는 제2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잠금부는 힌지로부터 오프셋된 잠금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잠금부는 잠금 돌기를 구속하는 잠금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홈은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일시적으로 잠금 돌기를 구속하는 안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안전 구간을 마련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한 잠금 부재의 유동과 이로 인한 셔터 잠금의 비의도적인 해제 가능성이 줄이거나 방지될 수 있다. 제1잠금부가 홈 형상이고, 제2잠금부가 돌기 형상일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셔터와 토너 유입구 사이에 탄성 씰링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는 셔터가 닫힐 때에 토너 유입구와 셔터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어 셔터와 토너 유입구 사이에 틈새를 막는다.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와 잠금 홈 사이의 간격은 탄성 씰링 부재의 압축량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잠금 돌기와 잠금 홈 사이의 간격으로 인한 셔터와 토너 유입구 사이에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잠금 부재는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넘어서 제2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셔터와 간섭되어 셔터를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는 잠금 위치로부터 제2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와 간섭되어 셔터를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제1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잠금 부재는 제2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될 때에 셔터와 간섭되어 셔터를 폐쇄 위치 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는 제2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될 때에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와 간섭되어 셔터를 폐쇄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제2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저장부와 제1간섭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되는 전술한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는 토너 유입구를 개방하기기 위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현상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될 때에 제1간섭부와 간섭되어 셔터를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로부터 셔터의 개방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는 현상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간섭부는 현상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될 때에 결합부에 잠금 부재를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제1간섭부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결합부에 잠금 부재를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2간섭부는 예를 들어 탄력 아암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현상 카트리지(2)의 일 예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셔터(21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셔터(210)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는 토너가 유입되는 토너 유입구(201), 토너 유입구(201)를 개폐하는 셔터(210), 및 셔터(210)를 선택적으로 잠그는 잠금 부재(220)를 구비한다. 셔터(210)는 토너 유입구(201)를 개폐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도 2)와 개방 위치(도 3)로 전환가능하다. 잠금 부재(220)는 셔터(210)를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도 2)와, 셔터(210)의 개방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잠금 부재(220)의 해제 위치는 후술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0)의 잠금이 해제되어 셔터(210)가 개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위치이다. 도 3에 도시된 잠금 부재(220)의 위치는 잠금 부재(220)가 해제 위치를 넘어서 더 이동된 위치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셔터(210)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더 이동된 제2해제 위치일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도 15: 1)에 착탈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2)는 예를 들어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되어 본체(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 방향(A1)의 반대 방향인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되어 본체(1)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예를 들어 감광 드럼(미도시)과,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롤러(미도시)를 포함하는 일체형 현상 카트리지일 수 있다. 일체형 현상 카트리지(2)를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이미징 카트리지'라 지칭하기도 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현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예를 들어 감광 드럼(미도시)을 포함하는 감광체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2)와 개별적으로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본 예의 현상 카트리지(2)는 일체형 현상 카트리지이다. 장착 방향(A1)과 탈거 방향(A2)는 감광 드럼 또는 현상 롤러의 축방향일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 내부에는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와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토너 저장부(도 15: 3),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현상 카트리지(2)에 토너 유입구(20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토너 유입구(201)는 현상 카트리지(2)의 상측 부분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와 토너 유입구(201) 사이에 토너 공급 관로(도 15: 310)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토너 유입구(201)는 토너 공급 관로(310)의 공급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되는 소모품으로서, 화상형성장치와는 별개로 유통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사용 중에 메인터넌스 등을 위하여 본체(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토너 유입구(201)를 통하여 토너가 누출되거나, 토너 유입구(201)를 통하여 현상 카트리지(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셔터(210)는 토너 유입구(201)를 개폐한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셔터(210)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카트리지(2)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도록 토너 유입구(20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면, 셔터(210)는 토너 유입구(201)를 막는 폐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21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셔터(210)는 힌지(23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힌지(230)는 힌지 축(202)과 힌지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 카트리지(2)에 힌지 축(202)이 마련되고, 셔터(210)에 힌지 축(202)과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는 힌지 홀(211)이 마련될 수 있다. 셔터(21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예를 들어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의 이동 방향은 장착 방향(A1)과 탈거 방향(A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220)는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되어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되어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현상 카트리지(2)의 일 예의 장착 방향(A1)으로 본 정면도로서, 잠금 부재(220)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에 장착 방향(A1)으로 연장된 제1레일(203)이 마련된다. 잠금 부재(220)는 제1레일(203)에 장착 방향(A1) 및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2레일(22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셔터(210)가 토너 유입구(201)를 덮는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잠금 부재(220)는 셔터(210)를 폐쇄 위치에서 잠그는 잠금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셔터(210)는 제1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잠금 위치에서 셔터(2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잠금부를 구속하는 제2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잠금부는 힌지(230), 예를 들어 힌지 홀(211)로부터 오프셋된 잠금 돌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잠금부는 잠금 돌기(212)를 구속하는 잠금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21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고 잠금 부재(220)가 잠금 위치에 위치되면, 잠금 돌기(212)가 잠금 홈(223)에 삽입된다. 잠금 홈(223)은 셔터(21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즉 도 2에서 B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잠금 돌기(212)를 구속한다. 따라서, 셔터(210)가 폐쇄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현상 카트리지(2)는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 본체(1)로부터 탈거된 상태일 수 있다. 셔터(21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잠금 부재(220)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잠겨 있으므로, 셔터(210)가 안정적으로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가 토너 유입구(201)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토너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유입구(201)를 통한 현상 카트리지(2)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토너 유입구(201) 부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토너 유입구(201)와 셔터(210) 사이에 탄성 씰링 부재(250)가 개재될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250)는 토너 유입구(201)를 에워싸는 형태일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250)는 셔터(210)가 닫힐 때에 토너 유입구(201)와 셔터(210)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어 셔터(210)와 토너 유입구(201) 사이에 틈새를 막는다. 탄성 씰링 부재(25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진 스펀지,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점선은 탄성 씰링 부재(250)가 압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실선은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압축량(251)는 점선과 실선 사이의 간격이다.
잠금 부재(220)가 잠금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와 잠금 홈(223) 사이에 간격(도 2: 225), 예를 들어 유격이 있을 수 있다. 간격(도 2: 225)은 셔터(210)의 폐쇄 위치에의 안정적인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와 잠금 홈(223) 사이의 간격(유격)(225)은 셔터(21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의 탄성 씰링 부재(250)의 압축량(도 5: 25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잠금 돌기(212)와 잠금 홈(223) 사이의 간격(유격)(225)으로 인한 셔터(210)와 토너 유입구(201) 사이의 틈새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는 탄성 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잠금 부재(220)에 잠금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240)는 잠금 부재(220)에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예를 들어,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잠금 부재(220)와 현상 카트리지(2)에 연결된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잠금 부재(220)를 잠금 위치에 위치되도록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240)에 의하여 잠금 부재(220)는 잠금 위치에, 셔터(210)는 폐쇄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로부터 분리되어 유통될 수 있다. 유통 과정에서 현상 카트리지(2)에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보다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충격에 의하여, 잠금 부재(220)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쪽으로, 예를 들어 탈거 방향(A2)으로 약간 움직이면, 셔터(210)의 잠금이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셔터(210)와 토너 유입구(201) 사이에 일시적으로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일시적인 틈새를 통하여 토너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예의 현상 카트리지(2)에 따르면, 제2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홈(223)은 잠금 부재(220)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일시적으로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를 구속하는 안전 구간(224)을 가질 수 있다. 잠금 부재(220)의 탈거 방향(A2)으로의 이동량이 안전 구간(224)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잠금 부재(220)에 의한 셔터(21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다. 안전 구간(224)을 마련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한 잠금 부재(220)의 유동과 이로 인한 셔터(210) 잠금의 일시적인 해제 가능성 및 이로 인한 토너 누출 가능성이 저감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예를 들어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장착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잠금 부재(220)는 본체(1)에 마련된 제1간섭부(101)와 간섭되어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어 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220)에 간섭 레버(229)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되면, 잠금 부재(220)의 간섭 레버(229)가 제1간섭부(101)와 간섭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잠금 부재(220)는 상대적으로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된다. 잠금 부재(220)의 탈거 방향(A2)으로의 이동량이 안전 구간(224)의 길이보다 커지면,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는 제2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홈(223)으로부터 벗어난다. 잠금 부재(220)는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셔터(210)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즉 도 3에서 B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일 예로서, 셔터(210)는 본체(1)에 마련된 제2간섭부(미도시)와 간섭되어 힌지(230)를 중심으로 B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제1간섭부(101)에 밀려서 계속하여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의 장착 위치에 도달되면, 셔터(2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탈거 방향(A2)으로 더 이동되어 제2해제 위치에 도달될 수 있다. 토너 공급 관로(310)의 공급 단부가 토너 유입구(201)에 결합될 수 있으며, 토너 저장부(3),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카트리지(2)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잠금 부재(220)는 해제 위치로부터 제2해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셔터(210)와 간섭되어 셔터(210)를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잠금 부재(220)는 해제 위치로부터 제2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와 간섭되어 셔터(210)를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제1안내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안내부(226)는 잠금 부재(220)가 해제 위치로부터 제2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를 밀어 셔터(210)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예를 들어 B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안내부(226)는 예를 들어, 잠금 부재(220)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선(226B)에 대하여 셔터(210)의 개방 방향(B1)의 반대 방향(B2)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선(226B)와 제1안내부(226) 사이의 각도(226A)는 셔터(210)가 제1안내부(226)에 밀려서 자연스럽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잠금 부재(220)는 제2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될 때에 셔터(210)와 간섭되어 셔터(210)를 폐쇄 위치 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잠금 부재(220)는 제2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될 때에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와 간섭되어 셔터(210)를 폐쇄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제2안내부(227)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안내부(227)는 잠금 부재(220)가 제2해제 위치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를 밀어 셔터(21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예를 들어 B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안내부(227)는 잠금 돌기(212)를 예를 들어 아래쪽으로 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부(227)는 예를 들어, 잠금 부재(220)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선(227B)에 대하여 셔터(210)의 폐쇄 방향(B2)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선(227B)와 제2안내부(227) 사이의 각도(227A)는 셔터(210)가 제2안내부(227)에 밀려서 자연스럽게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잠금 부재(220)가 안전 구간(224)의 말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셔터(21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잠금 부재(220)의 제1안내부(226)에 의하여 셔터(210)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잠금 부재(220)가 제2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복귀될 때에 잠금 돌기(212)가 제2안내부(227)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잠금 위치로 복귀되는 잠금 부재(220)의 제2안내부(227)에 의하여 셔터(210)가 닫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도 3, 및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셔터(210)의 개폐동작의 일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셔터(210)는 폐쇄 위치에 위치되고, 잠금 부재(220)는 잠금 위치에 위치된다. 잠금 돌기(212)가 잠금 홈(223)에 구속된다. 셔터(210)는 B1 방향으로의 회전될 수 없으며, 폐쇄 위치에서 잠긴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 부재(220)는 잠금 위치에 유지되며, 셔터(210)가 안정적으로 폐쇄 위치에서 잠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돌기(212)와 잠금 홈(223) 사이의 유격(225)은 탄성 씰링 부재(250)의 압축량(251)보다 작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2) 내부의 토너가 토너 유입구(201)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토너 누출이 방지될 수 있으며, 토너 유입구(201)를 통한 현상 카트리지(2)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를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시켜 본체(1)에 장착한다.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어느 정도 슬라이딩되면, 본체(1)의 제1간섭부(101)가 잠금 부재(220)의 간섭 레버(229)에 접촉된다. 계속하여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되면, 잠금 부재(220)는 상대적으로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220)가 안전 구간(224)의 말단부에 위치될 때까지 잠금 돌기(212)는 잠금 홈(223) 및 안전 구간(224)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셔터(210)는 B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으며, 셔터(210)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더 슬라이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220)가 해제 위치에 도달된다. 잠금 돌기(212)는 잠금 홈(223) 및 안전 구간(224)으로부터 벗어난다. 셔터(210)의 잠금이 해제되며, 셔터(210)는 B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더 슬라이딩되면 잠금 부재(220)의 제1안내부(226)가 잠금 돌기(212)에 접촉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더 슬라이딩되면 본체(1)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제2간섭부가 셔터(210)를 밀어 B1 방향으로 약간 초기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 후에, 잠금 부재(220)의 제1안내부(226)가 잠금 돌기(212)에 접촉될 수도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제1안내부(226)가 잠금 돌기(212)를 밀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0)를 B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 내에서 장착 위치에 도달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0)는 개방 위치에 도달된다. 잠금 부재(220)는 제2해제 위치에 도달된다. 토너 공급 관로(310)의 공급 단부가 토너 유입구(201)에 결합될 수 있으며, 토너 저장부(3),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카트리지(2)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2)를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현상 카트리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220)의 제2안내부(227)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셔터(210)의 잠금 돌기(212)에 접촉된다. 현상 카트리지(2)가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는 잠금 부재(220)의 제2안내부(227)가 잠금 돌기(212)를 밀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0)를 B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현상 카트리지(2)의 탈거가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10)는 폐쇄 위치에 도달되며, 잠금 부재(220)는 잠금 위치에 도달된다. 제1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돌기(212)는 제2잠금부, 예를 들어 잠금 홈(223)에 의하여 구속되며, 셔터(210)는 폐쇄 위치에서 잠긴다. 또한, 탄성 씰링 부재(250)가 셔터(210)와 토너 유입구(201)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셔터(210)와 토너 유입구(201) 사이의 틈새를 밀봉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2안내부(227)는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나, 제2안내부(227)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잠금 부재(220)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안내부(227)는 잠금 부재(220)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선(227B)에 대하여 셔터(210)의 폐쇄 방향(B2)으로 경사진 두 개의 경사면(227-1)(227-2)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홈(223)에 인접한 제1경사면(227-1)은 선(227B)에 대하여 제1각도(227A-1)를 가지며, 잠금 홈(223)으로부터 먼 제2경사면(227-2)은 선(227B)에 대하여 제2각도(227A-2)를 가질 수 있다. 제1각도(227A-1)는 제2각도(227A-2)보다 클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제1간섭부(101)와 잠금 부재(220)와의 간섭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잠금 부재(220)는 결합부(228)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간섭부(101)는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될 때에 결합부(228)에 잠금 부재(220)를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또는 제2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제1간섭부(101)는 현상 카트리지(2)가 상기 본체(1)로부터 탈거될 때에 결합부(228)에 잠금 부재(220)를 제2해제 위치 또는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1간섭부는 예를 들어 탄력 아암(101C)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28)는 간섭 레버(229)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제2결합부(228A)(22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간섭부(101)는 탄력 아암(101C)과, 탄력 아암(101C)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3, 제4결합부(101A)(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28A)와 제3결합부(101A)는 장착 방향(A1)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1간섭부(101)와 결합부(228)에 따르면, 전술한 탄성 부재(240)가 생략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될 때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28A)와 제3결합부(101A)가 서로 걸린다. 제1결합부(228A)를 기준으로 하여 제3결합부(101A)는 장착 방향(A1) 쪽에 위치된다.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되면, 상대적으로 제3결합부(101A)가 제1결합부(228A)를 탈거 방향(A2)으로 민다. 따라서, 잠금 부재(220)는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된다. 잠금 부재(220)가 제2해제 위치에 도달되면, 잠금 부재(220)는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걸리며 더이상 탈거 방향(A2)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현상 카트리지(2)가 더 장착 방향(A1)으로 슬라이딩되면, 탄력 아암(101C)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휘면서 제3결합부(101A)가 제1결합부(228A)로부터 이탈된다. 현상 카트리지(2)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1결합부(228A)와 제3결합부(101A)와의 걸림이 종료된다. 탄력 아암(101C)이 탄력적으로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결합부(101B)가 제2결합부(228B)에 걸린다. 제2결합부(228B)를 기준으로 하여 제4결합부(101B)는 탈거 방향(A2) 쪽에 위치된다.
제4결합부(101B)가 제2결합부(228B)에 걸린 상태이므로,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대하여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되면 잠금 부재(220)는 현상 카트리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장착 방향(A1) 쪽으로 이동된다. 잠금 부재(220)가 잠금 위치에 도달되면,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걸리며 더이상 장착 방향(A1)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현상 카트리지(2)가 더 탈거 방향(A2)으로 슬라이딩되면, 탄력 아암(101C)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휜다. 현상 카트리지(2)의 탈거가 완료되면, 제2결합부(228B)와 제4결합부(101B)와의 걸림이 종료된다. 탄력 아암(101C)이 탄력적으로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서, 제1결합부(228A)와 제3결합부(101A)가 서로 걸린다.
도 15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는, 본체(1)와 현상 카트리지(2)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는 노광기(450), 중간 전사 벨트(460), 전사 롤러(470), 정착기(4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는 옐로우(Y: Yellow), 마젠타(M:magenta), 시안(C:cyan),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개의 현상 카트리지(2)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현상 카트리지(2)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와 캐리어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1)과 현상 롤러(21)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대전 롤러(12)는 감광 드럼(11)을 균일한 표면 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킨다. 노광기(4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11)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1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21)는 현상 카트리지(2)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 드럼(11)과 대향된 현상갭으로 공급한다. 현상 롤러(21)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가 현상갭을 가로질러 정전잠상으로 공급되며,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중간 전사 벨트(460)는 복수의 지지 롤러들(462, 463, 464, 465)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460)를 사이에 두고 4개의 현상 카트리지(2)의 감광 드럼(11)과 마주보는 위치에 4개의 중간 전사 롤러(461)가 배치된다. 중간 전사 롤러(461)에 인가되는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 드럼(11)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460)로 중간전사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3)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 드럼(11)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전사 롤러(470)는 중간 전사 벨트(460)와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한다. 인쇄 매체(P)는 픽업 롤러(402)에 의하여 급지 카세트(401)로부터 픽업되어 경로(491)를 따라 전사닙으로 공급된다. 전사 롤러(4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460) 상의 토너화상이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480)는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 롤러(492)에 의하여 배출된다.
본체(1)는 토너 저장부(3)와, 제1간섭부(101)를 구비할 수 있다. 4개의 토너 저장부(3),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토너 저장부는 토너 카트리지(3)로 기재한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는 각각 4개의 토너 카트리지(3)로부터 4개의 현상 카트리지(2)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공급 관로(310)의 일단부는 토너 카트리지(3)에 연결되고, 타단부, 예를 들어 공급 단부는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유입구(201)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는 본체(1)에 착탈가능하다. 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 각각은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잠금 부재(220)는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될 때에 제1간섭부(101)와 간섭되어 셔터(210)를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로부터 셔터(210)의 개방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제2해제 위치까지 이동되면서 셔터(210)와 간섭되어 셔터(210)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로부터 탈거될 때에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또는 제1간섭부(101)와 간섭되어 제2해제 위치 또는 해제 위치로부터 셔터(210)를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제2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되면서 셔터(210)를 밀어 폐쇄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잠금 부재(220)는 현상 카트리지(2)의 착탈 방향(A1, A2)으로 이동되어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및/또는 제2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 4: 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토너가 유입되는 토너 유입구;
    상기 토너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전환가능한 셔터;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와, 상기 셔터의 개방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현상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해제 위치를 넘어서 제2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셔터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현상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제2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셔터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현상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에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힌지로부터 오프셋된 잠금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셔터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 돌기를 구속하는 잠금 홈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홈은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잠금 돌기를 구속하는 안전 구간을 갖는 현상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와 상기 토너 유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씰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돌기와 상기 잠금 홈 사이의 간격은 상기 탄성 씰링 부재의 압축량보다 작은 현상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를 넘어서 제2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잠금 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제1안내부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제2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잠금 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제2안내부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0. 토너 저장부, 제1간섭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토너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토너가 유입되는 토너 유입구;
    상기 토너 유입구를 개방하기기 위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가능한 셔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제1간섭부와 간섭되어,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에 잠그는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셔터의 개방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잠금 부재에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힌지로부터 오프셋된 잠금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셔터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 돌기를 구속하는 잠금 홈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홈은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될 ‹š에 일시적으로 상기 잠금 돌기를 구속하는 안전 구간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와 상기 토너 유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씰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돌기와 상기 잠금 홈 사이의 간격은 상기 탄성 씰링 부재의 압축량보다 작은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간섭부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결합부에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걸리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결합부에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걸리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20088954A 2022-07-19 2022-07-19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 KR20240011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54A KR20240011474A (ko) 2022-07-19 2022-07-19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
US18/110,797 US20240027937A1 (en) 2022-07-19 2023-02-16 Shutter locking structure for development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54A KR20240011474A (ko) 2022-07-19 2022-07-19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74A true KR20240011474A (ko) 2024-01-26

Family

ID=8957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54A KR20240011474A (ko) 2022-07-19 2022-07-19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27937A1 (ko)
KR (1) KR20240011474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8920B2 (ja) * 1999-02-04 2007-09-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731894B2 (en) * 2002-05-17 2004-05-04 Aetas Technology Inc. Protective shutter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a replaceable developer cartridge
JP6108959B2 (ja) * 2013-05-27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16373B2 (ja) * 2013-05-27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現像剤補給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288962B2 (ja) * 2013-06-25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機構、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22103670A (ja) * 2020-12-28 2022-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2158481A (ja) * 2021-04-02 2022-10-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着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27937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764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08062B1 (ko)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694128B1 (ko)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184689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4740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shutter member
US9471007B2 (en) Developer supply cartridge shutter opening projection that moves in two directions
JP2005208661A (ja) プリンタの廃トナー貯蔵庫
KR20240011474A (ko) 현상 카트리지의 셔터 잠금 구조
WO2020045764A1 (en) Interface structure for toner refill cartridge and toner refill portion
US11067946B2 (en) Removably mountabl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02589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210039879A (ko) 폐토너 용기를 교체하기 위한 도어와 급지 카세트와의 연결 구조
JP424362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30055452A (ko) 현상 유닛의 피벗 축에 위치되는 토너 수용부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1123721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631194B1 (ko) 화상 형성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