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448A -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448A
KR20240011448A KR1020220088914A KR20220088914A KR20240011448A KR 20240011448 A KR20240011448 A KR 20240011448A KR 1020220088914 A KR1020220088914 A KR 1020220088914A KR 20220088914 A KR20220088914 A KR 20220088914A KR 20240011448 A KR20240011448 A KR 2024001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ink
control signal
spac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찬우
김양신
곽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8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448A/en
Publication of KR2024001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는 전력설비가 구비된 제1 공간에서 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송신되는 메인 제어 신호 또는 서브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메인 제어 신호를 제1 링크를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서브 제어 신호를 제2 링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1 공간의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로컬 제어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 제어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을 상기 제1 링크로부터 상기 제2 링크로 절체 결선시키는 절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ut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main control signal or a sub-control signal transmitted as gas is generated in a first space equipped with power equipmen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 local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the main control signal through a first link or the sub-control signal through a second link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in the first space; and a switching module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ocal control module, and switching the local control module from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control signal is received. do.

Figure P1020220088914
Figure P1020220088914

Description

셔터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Shutter control device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본 발명은 셔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소에 설치된 셔터의 개폐 동작을 급전분소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셔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er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utter control device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shutter installed in a substation from a power substation.

현재, 변전소(예: 154kV 옥내변전소)에서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개폐장치)가 구비된 공간에는 GIS, 보호배전반, 소내변압기 등의 설비의 증설 또는 교체 시 전력설비의 반입구 및 반출구로 기능하는 셔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셔터의 개폐 동작은 변전소 내부의 직원이 별도 마련된 수동 버튼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Currently, the space equipped with GIS (Gas Insulated Switchgear) in a substation (e.g. 154kV indoor substation) is used as an inlet and outlet for power equipment when expanding or replacing facilities such as GIS, protection switchboard, and on-site transformer. A functioning shutter is installed and operated, and the shutter is opened and closed by an employee inside the substation operating a separately provided manual button.

한편, GIS의 내부 고장에 따라 SF6 가스가 발생하는 상황이 변전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SF6 가스는 전력설비 절연성능이 매우 높으나 사람에게 있어 질식에 따른 위험이 높은 가스이기 때문에, 셔터 조작을 위해 GIS실 내부로 진입하는 직원의 질식 등 안전상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 같이 셔터의 개폐 동작이 직원의 수동 버튼 조작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원이 현장으로 출동한 후 버튼 조작으로 인해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데 장시간 소요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situations in which SF6 gas is generated due to internal failure of GIS frequently occur in substations. SF6 gas has a very high power facility insulation performance, but is a gas with a high risk of suffocation to humans. Therefore, GIS gas is used to operate the shutter. There are safety risks such as suffocation for employees entering the room.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is performed by the employee's manual button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release the gas to the outside due to the button operation after the employee is dispatched to the site.

또한, GIS 설비는 화재 발생 설비가 아니고 GIS실은 가스 소화 구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GIS실의 내부 가스로 인해 화재 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잘못 인지되어 불필요한 후속 조치(예: 소방서 출동)가 수반되는 불편의성도 존재한다.In addition, even though the GIS facility is not a fire-generating facility and the GIS room is not a gas extinguishing area, the gas inside the GIS room is incorrectly perceived as a fire situation, resulting in the inconvenience of unnecessary follow-up measures (e.g., dispatching the fire department). Onomatopoeia also exist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8407호(2021.03.16.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28407 (announced on March 16, 202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변전소에 설치된 셔터의 개폐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함으로써 변전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셔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installed in the substation, thereby providing shutter control that can quickly release the gas generated in the substation to the outside. The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는 전력설비가 구비된 제1 공간에서 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송신되는 메인 제어 신호 또는 서브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메인 제어 신호를 제1 링크를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서브 제어 신호를 제2 링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1 공간의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로컬 제어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 제어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을 상기 제1 링크로부터 상기 제2 링크로 절체 결선시키는 절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ut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main control signal or a sub-control signal transmitted as gas is generated in a first space equipped with power equipmen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 local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the main control signal through a first link or the sub-control signal through a second link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in the first space; and a switching module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ocal control module, and switching the local control module from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control signal is received. do.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된 가스 센서를 통해 가스 발생 상황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른 가스 발생 신호를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제2 공간에 마련된 리모트 제어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control module recognizes a gas generation situation through a gas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space, and sends a gas gen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to a second space located remotely from the first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o a remote control modul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리모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가스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 제어 신호를 피드백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feed back the main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as generation signal from the local control modul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브 제어 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 신호가 상기 로컬 제어 모듈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한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control signal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from a manager terminal owned by a manager located in the second space to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main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local control modul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절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링크 사이에 접속되는 제1 RC 회로와,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링크 사이에 접속되는 제2 RC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RC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link, and a second RC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link. .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절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을 상기 제1 링크로부터 상기 제2 링크로 절체 결선시키기 위한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relay for switching and wiring the local control module from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절체 모듈은, 상기 릴레이에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의 온오프 동작을 구동하며 상기 제2 RC 회로에 형성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턴 온되어 상기 릴레이를 턴 온시키는 릴레이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module is connected to the relay, drives an on-off operation of the relay, and further includes a relay drive switch that turns on the relay by turning on based on the voltage formed in the second RC circui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 초기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을 상기 제1 링크로 결선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RC 회로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RC 회로에 형성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릴레이 구동 스위치가 턴 온됨으로써 상기 릴레이가 턴 온되며, 상기 릴레이의 턴 온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상기 제1 링크로부터 상기 제2 링크로 절체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itial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local control module to the first link, and when the main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the sub-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C circuit, Accordingly, the relay is turned on by turning on the relay driving switch based on the voltage formed in the second RC circuit, and when the relay is turned on, the local control module switches from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It is characterized by switching wiring.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공간은 변전소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간은 급전분소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간에서의 가스는 상기 제1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 또는 상기 전력설비의 고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ace is provided in a substation and the second space is provided in a power distribution station, and the gas in the first space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y a fire occurring in the first space or a failure of the power equipmen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control module is implemented as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급전분소에 마련된 리모트 제어 모듈로부터 제어 신호가 송신되고 변전소에 마련된 로컬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되어 변전소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원격 셔터 제어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변전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어 변전소 직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화재 상황 오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후속 조치의 수반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제어 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로컬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이상 발생 상황에 대비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가 로컬 제어 모듈로 송신되는 리던던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변전소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shutter control' which consists of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ubstation shutter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module provided at the power distribution station and receiving it by a local control module provided at the substation. By adopting the 'method', gas generated in the substation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substation staff and eliminating unnecessary follow-up measures due to misperception of the fire situation. 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situations wher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module is not received by the local control module, a redundancy configuration is adopted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to the local control module, thereby enabling more effectiv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substation shutter. You can control i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에서 절체 모듈의 동작을 보인 회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hut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2 and 3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odule in the shut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hut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에서 절체 모듈의 동작을 보인 회로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hut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s 2 and 3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dule in the shut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제어 장치(10)는 센서 모듈(100), 통신 모듈(200), 로컬 제어 모듈(300) 및 절체 모듈(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hutter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module 100, a communication module 200, a local control module 300, and a switching module 400.

센서 모듈(100)은 전력설비가 구비된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제1 공간에서의 가스 발생 상황을 인식하도록 동작하며, 그 인식 결과는 로컬 제어 모듈(300)로 전달된다. 여기서, 전력설비는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개폐장치) 또는 변압기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공간은 위와 같은 전력설비가 구비되는 변전소(예: 154kV 옥내변전소)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간에서의 가스는 변전소에서 발생한 화재에 의한 가스 또는 GIS의 고장에 의해 발생하는 SF6 가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공간에서의 가스를 인식하기 위해 센서 모듈(100)은 통상의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공간에서의 상황을 촬상하여 후술하는 제2 공간에 위치한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예: CCTV)가 센서 모듈(1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sensor module 100 is installed in a first space equipped with power equipment and operates to recognize a gas generation situation in the first space, and the recogni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Here, the power equipment may correspond to GIS (Gas Insulated Switchgear) or a transformer, and the first space may correspond to a substation (e.g., 154kV indoor substation) equipped with the above power equipment. Accordingly, the gas in the first space may be gas caused by a fire that occurred in a substation or SF6 gas produced by a failure of the GIS. In order to recognize gas in the first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module 100 may include a normal gas sensor, and may also image the situation in the first space so that an administrator located in the second sp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confirm it. An image sensor (eg, CCTV)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ensor module 100 for this purpose.

상기의 가스 센서에 의해 제1 공간에서의 가스 발생 상황이 인식된 경우, 로컬 제어 모듈(300)은 가스 발생 신호를 제1 공간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제2 공간에 마련된 리모트 제어 모듈(500)로 전달한다. 제2 공간은 변전소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급전분소에 해당할 수 있다. 리모트 제어 모듈(500)은 로컬 제어 모듈(300)로부터 가스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메인 제어 신호(S1)를 피드백 하도록(즉, 로컬 제어 모듈(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gas generation situation in the first space is recognized by the gas sensor,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transmits the gas generation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module 500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located remotely from the first space. do. The second space may correspond to a power distribution station located remotely from the substation. The remote control module 500 is configured to feed back (i.e., transmit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the main control signal S1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as generation signal from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통신 모듈(200)은 제1 공간에서 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리모트 제어 모듈(500)로부터 송신되는 메인 제어 신호(S1)를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여 로컬 제어 모듈(300)로 전달한다. 메인 제어 신호(S1)는 로컬 제어 모듈(300)로 하여금 셔터를 개방시키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통신 모듈(200)은 제2 공간에 위치한 관리자(즉, 변전소 셔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600)(예: 스마트폰과 같은 텔레매틱스 단말)로부터 서브 제어 신호(S2)를 수신하여 로컬 제어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메인 제어 신호(S1)가 수신되는 단자와 서브 제어 신호(S2)가 수신되는 단자는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IC 칩 도는 LPWA(Low Power Wide Area), LoRa(Long Range)와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 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제어 신호(S1)가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채널과 서브 제어 신호(S2)가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채널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gas is generated in the first space,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receives the main control signal (S1)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module 5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nd transmits it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The main control signal S1 refers to a signal for causing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to open the shutter.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receives a sub-control signal (e.g., a telematic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from the manager terminal 600 (e.g., a telematic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possessed by the manager (i.e., the manager performing remote control of the substation shutter) located in the second space. S2) can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and the terminal at which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received and the terminal at which the sub-control signal (S2) is received can b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ed.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may be implement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C chip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Fi, or Zigbee, or a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C chip such as Low Power Wide Area (LPWA) or Long Range (LoRa).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sub-control signal (S2)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로컬 제어 모듈(300)은 메인 제어 신호(S1)를 제1 링크(L1)를 통해 입력받아 제1 공간의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제1 링크(L1)는 후술하는 절체 모듈(400)로부터 메인 제어 신호(S1)가 로컬 제어 모듈(300)로 입력되는 경로에 해당한다. 로컬 제어 모듈(300)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셔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제어 모듈(300)은 서브 제어 신호(S2)를 제2 링크(L2)를 통해 입력받아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링크(L2)는 제1 링크(L1)와 구분되는, 절체 모듈(400)로부터 서브 제어 신호(S2)가 로컬 제어 모듈(300)로 입력되는 경로에 해당한다. 서브 제어 신호(S2)를 통한 셔터의 개폐 동작은 메인 제어 신호(S1)를 통한 셔터의 개폐 동작에 대한 리던던시 로직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로컬 제어 모듈(300)은 셔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예: 셔터 구동 모터의 회전 위치 신호)를 소정 주기에 따라 후술하는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local control module 300 receives the main control signal S1 through the first link L1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in the first space. The first link L1 corresponds to a path through which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input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from the switching modul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driving motor. In addition,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by receiving a sub-control signal (S2) through the second link (L2), and the second link (L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L1) and It corresponds to a path through which the sub-control signal (S2) is input from the transfer module 400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through the sub control signal S2 may correspond to redundancy logic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through the main control signal S1. Meanwhile,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e open state of the shutter (for example, a rotational position signal of the shutter driving motor) to the manager terminal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a predetermined period.

절체 모듈(400)은 통신 모듈(200) 및 로컬 제어 모듈(300) 사이에 접속되며, 메인 제어 신호(S1)의 수신 여부에 따라 로컬 제어 모듈(300)을 제1 링크(L1)로부터 제2 링크(L2)로 절체 결선시킨다. 즉, 메인 제어 신호(S1)가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채널의 이상으로 인해 로컬 제어 모듈(300)로 메인 제어 신호(S1)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경우 셔터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며, 제2 공간에 위치한 관리자는 전술한 상태 신호 또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확인되는 제1 공간의 현장 상황을 기반으로 셔터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지 않음을 확인하여 자신이 소지한 관리자 단말(600)을 통해 서브 제어 신호(S2)가 로컬 제어 모듈(300)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절체 모듈(400)에 의해 로컬 제어 모듈(300)이 제1 링크(L1)로부터 제2 링크(L2)로 절체 결선됨에 따라 서브 제어 신호(S2)는 제2 링크(L2)를 통해 로컬 제어 모듈(300)로 정상적으로 수신되게 되어 셔터의 개방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fer module 400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and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and switches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from the first link (L1) to the second link (L1)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received. Transfer wiring is done through link (L2). That is, if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not normally received by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shutter ope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shutter is not opened in the second space. The located manager confirms tha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hutter is not performed based on the on-site situation in the first space confi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atus signal or image sensor, and sends a sub-control signal (S2)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600 possessed by the manager. ) can be transmitted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As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is switched from the first link (L1) to the second link (L2) by the transfer module 400, the sub-control signal (S2) is transmitted to the local control module through the second link (L2). Since the signal is received normally at 300, the shutter ope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normally.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절체 모듈(4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switching module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체 모듈(400)은 제1 RC 회로(R1, C1), 제2 RC 회로(R2, C2), 릴레이(RY) 및 릴레이 구동 스위치(Q)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transfer module 400 includes a first RC circuit (R1, C1), a second RC circuit (R2, C2), a relay (RY), and a relay driving switch (Q).

제1 RC 회로(R1, C1)는 통신 모듈(200) 및 제1 링크(L1) 사이에 접속된다. 메인 제어 신호(S1)가 수신될 경우 제1 RC 회로(R1, C1)의 커패시터(C1)는 메인 제어 신호(S1)(전압 신호)에 의해 충전되며, 커패시터(C1)의 충전으로 인해 제1 링크(L1)에는 소정 전압이 형성된다. 제2 RC 회로(R2, C2)는 통신 모듈(200) 및 제2 링크(L2) 사이에 접속된다. 서브 제어 신호(S2)가 수신될 경우 제2 RC 회로(R2, C2)의 커패시터(C2)는 서브 제어 신호(S2)(전압 신호)에 의해 충전되며, 커패시터(C2)의 충전으로 인해 제2 링크(L2)에는 소정 전압이 형성된다.The first RC circuit (R1, C1)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and the first link (L1). When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received, the capacitor (C1) of the first RC circuit (R1, C1) is charged by the main control signal (S1) (voltage signal), and the first RC circuit (R1, C1) is charged by charging the capacitor (C1). A predetermined voltage is formed in the link L1. The second RC circuit (R2, C2)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and the second link (L2). When the sub-control signal (S2) is received, the capacitor (C2) of the second RC circuit (R2, C2) is charged by the sub-control signal (S2) (voltage signal), and the second RC circuit (R2, C2) is charged due to charging of the capacitor (C2). A predetermined voltage is formed in the link L2.

릴레이(RY)는 로컬 제어 모듈(300)을 제1 링크(L1)로부터 제2 링크(L2)로 절체 결선시키는 스위치로 기능하며, 제1 단자에는 전원 전압(VDD)이 접속되고 제2 단자에는 저항 소자를 통해 릴레이 구동 스위치(Q)가 접속된다. 릴레이 구동 스위치(Q)는 릴레이(RY)의 온오프 동작을 구동하며, 제2 RC 회로(R2, C2)에 형성되는 전압(즉, 제2 링크(L2)에 형성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턴 온되어 릴레이(RY)를 턴 온시키도록 동작한다.The relay (RY) functions as a switch to transfer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from the first link (L1) to the second link (L2),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o the second terminal. A relay driving switch (Q) is connected through a resistance element. The relay driving switch (Q) drives the on-off operation of the relay (RY) and turns based on the voltage formed in the second RC circuit (R2, C2) (i.e., the voltage formed in the second link (L2)) It turns on and operates to turn on the relay (RY).

위와 같은 절체 모듈(400)의 회로 구조를 기반으로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transfer module 40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is explained as follows.

초기 상태에서(도 2), 릴레이(RY)는 로컬 제어 모듈(300)을 제1 링크(L1)로 결선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모트 제어 모듈(500)로부터 메인 제어 신호(S1)가 수신될 경우, 메인 제어 신호(S1)는 제1 링크(L1)를 통해 로컬 제어 모듈(30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로컬 제어 모듈(300)은 메인 제어 신호(S1)에 기초하여 셔터의 개방 동작을 수행한다.In the initial state (FIG. 2), the relay RY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to the first link L1. Therefore, when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module 500,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transmitted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through the first link (L1), and accordingly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performs a shutter opening operation based on the main control signal S1.

메인 제어 신호(S1)가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채널의 이상으로 인해 로컬 제어 모듈(300)로 메인 제어 신호(S1)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600)을 통해 서브 제어 신호(S2)가 로컬 제어 모듈(300)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브 제어 신호(S2)가 제2 RC 회로(R2, C2)로 전달된다. 서브 제어 신호(S2)가 수신될 경우 제2 RC 회로(R2, C2)의 커패시터(C2)는 서브 제어 신호(S2)에 의해 충전되어 제2 RC 회로(R2, C2)에는 소정 전압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릴레이 구동 스위치(Q)가 턴 온되어 릴레이(RY)가 턴 온된다.If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not normally received by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main control signal (S1)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manager sends the sub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6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S2 can be transmitted t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and thus the sub-control signal S2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C circuits R2 and C2. When the sub-control signal (S2) is received, the capacitor (C2) of the second RC circuit (R2, C2) is charged by the sub-control signal (S2) and a predetermined voltage is formed in the second RC circuit (R2, C2) , Accordingly, the relay driving switch (Q) is turned on and the relay (RY) is turned on.

릴레이(RY)의 턴 온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이 제1 링크(L1)로부터 제2 링크(L2)로 이동하게 되며(도 3), 따라서 로컬 제어 모듈(300)은 제1 링크(L1)로부터 제2 링크(L2)로 절체 결선된다. 이에 따라, 로컬 제어 모듈(300)은 제2 링크(L2)를 통해 서브 제어 신호(S2)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셔터의 개방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the relay (RY) turns on, the contact point of the relay switch moves from the first link (L1) to the second link (L2) (FIG. 3), so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moves from the first link (L1) It is switched and wired from to the second link (L2). Accordingly, the local control module 300 can normally receive the sub-control signal S2 through the second link L2 and thus can normally perform the shutter opening oper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급전분소에 마련된 리모트 제어 모듈로부터 제어 신호가 송신되고 변전소에 마련된 로컬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되어 변전소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원격 셔터 제어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변전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어 변전소 직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화재 상황 오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후속 조치의 수반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제어 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로컬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이상 발생 상황에 대비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가 로컬 제어 모듈로 송신되는 리던던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변전소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is embodiment adopts a 'remote shutter control method', which consists of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ubstation shutter by sending a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module provided at the power distribution station and receiving it by a local control module provided at the substation. , gas generated in the substation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ensuring the safety of substation staff and eliminating unnecessary follow-up measures due to misperception of the fire situation. 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situations wher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module is not received by the local control module, a redundancy configuration is adopted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to the local control module, thereby enabling more effectiv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substation shutter. You can control i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The term “module”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for example. A module may be an integrated part or a minimum unit of the parts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dditionally,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device, software program, data stream, or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devices or programs).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hardware, software, firmware, etc.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 device such as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processing device that includes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 셔터 제어 장치
100: 센서 모듈
200: 통신 모듈
300: 로컬 제어 모듈
400: 절체 모듈
500: 리모트 제어 모듈
600: 관리자 단말
10: Shutter control device
100: sensor module
200: communication module
300: local control module
400: transfer module
500: remote control module
600: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10)

전력설비가 구비된 제1 공간에서 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송신되는 메인 제어 신호 또는 서브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메인 제어 신호를 제1 링크를 통해 입력받거나 상기 서브 제어 신호를 제2 링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1 공간의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로컬 제어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 제어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을 상기 제1 링크로부터 상기 제2 링크로 절체 결선시키는 절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main control signal or a sub-control signal transmitted as gas is generated in a first space equipped with power equipmen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 local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the main control signal through a first link or the sub-control signal through a second link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in the first space; and
a switching module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ocal control module, and switching the local control module from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control signal is received;
A shutter control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된 가스 센서를 통해 가스 발생 상황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른 가스 발생 신호를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제2 공간에 마련된 리모트 제어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ocal control module recognizes a gas generation situation through a gas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space, and sends a gas gen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to a remote control module provided in a second space located remotely from the first space. A shutter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가스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메인 제어 신호를 피드백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remot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feed back the main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as generation signal from the local control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 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 신호가 상기 로컬 제어 모듈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한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ub-control signal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from a manager terminal owned by a manager located in the second space to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main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local control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링크 사이에 접속되는 제1 RC 회로와,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링크 사이에 접속되는 제2 RC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witching module includes a first RC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link, and a second RC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li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을 상기 제1 링크로부터 상기 제2 링크로 절체 결선시키기 위한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switch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relay for switching and wiring the local control module from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모듈은, 상기 릴레이에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의 온오프 동작을 구동하며 상기 제2 RC 회로에 형성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턴 온되어 상기 릴레이를 턴 온시키는 릴레이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transfer module is connected to the relay, drives an on-off operation of the relay, and further includes a relay driving switch that turns on the relay by turning on based on a voltage formed in the second RC circuit. shutter control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을 상기 제1 링크로 결선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RC 회로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RC 회로에 형성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릴레이 구동 스위치가 턴 온됨으로써 상기 릴레이가 턴 온되며,
상기 릴레이의 턴 온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상기 제1 링크로부터 상기 제2 링크로 절체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In clause 7,
In an initial state, the relay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local control module to the first link,
When the main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the sub-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C circuit, and accordingly, the relay driving switch is turned on based on the voltage formed in the second RC circuit, thereby turning on the relay. And
Shutt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control module is switched from the first link to the second link according to the turn on of the re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변전소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간은 급전분소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간에서의 가스는 상기 제1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 또는 상기 전력설비의 고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space is provided in a substation and the second space is provided in a power distribution station,
A shutter control device, wherein the gas in the first space is generated by a fire that occurred in the first space or a failure of the power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hutt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control module is implemented as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KR1020220088914A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KR202400114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14A KR20240011448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14A KR20240011448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48A true KR20240011448A (en) 2024-01-26

Family

ID=8971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14A KR20240011448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44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4528B2 (en) DC switch
CN201417390Y (en) Control system for multiple vacuum contactors
US20200251297A1 (en) Bus plug including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 and electr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1689042A (en) Safety apparatus for the multichannel control of a safety device
US20120081829A1 (en) Safety iso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dc loads
CN211377564U (en) Circuit breaker capable of automatically reclosing
CN101379448A (en) Electrical service arrangement, as well as a method for operation of an electrical service arrangement
US7148585B2 (en) Power grid backfeed protection apparatus
CN208637648U (en) A kind of mutual sports equipment intermittence power supply unit
KR2024001144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CN209516612U (en) A kind of residual current action breaker
JP2010252425A (en) Apparatus power control apparatus
CN208890360U (en) A kind of surge protector back-up protection device with alarm device
CN205401891U (en) Intelligent valve control module
Begum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ctivation and monitoring of home automation system via SMS through microcontroller
JP6590137B2 (en) Valve remote control device
RU2724430C1 (en) Electric switch mechanism control system
JP2010119271A (en) Converter
CN203645226U (en) Pressure protection structure of ring main unit
KR10114098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appliances from remote sites
CN109510244A (en) Low pressure distributed photovoltaic switch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JP2010080100A (en) Multiple rated breaker and registration method of rated current
JP2005143072A (en) 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al equipment
JP4830940B2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CN220305663U (en) Remote terminal unit contro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