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318A -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318A
KR20240011318A KR1020220088617A KR20220088617A KR20240011318A KR 20240011318 A KR20240011318 A KR 20240011318A KR 1020220088617 A KR1020220088617 A KR 1020220088617A KR 20220088617 A KR20220088617 A KR 20220088617A KR 20240011318 A KR20240011318 A KR 20240011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nformation
scoreboard
terminal
sche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우전자
Priority to KR102022008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318A/en
Publication of KR2024001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31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6Means for conducting or scheduling competition, league, tournaments or rank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identification means that can be read by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경기 매치를 위한 편성을 수행하는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경기 진행을 안내하는 방법은, 경기 도구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이 밀착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선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선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organizing a game match in a game management system. 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guiding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game management system is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or the game tool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attached to the game tool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ame tool, and the racket sensor The module acquires clos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s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collects player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and collects the collected play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layer name or team name, game progress time, or score can be generated and displayed.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Description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Match operating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본 발명은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경기 매치를 위한 편성 및 온라인 중계를 제공하는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provides organization and online broadcasting for game matches in a game management system.

일반적으로 스포츠 경기는 사전에 대진표는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대진표에 따른 일정에 의해 경기가 진행된다. 즉, 기존에는 시청자 또는 경기 참가자가 대진표를 통해 경기 일정 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팀 편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 (예: 선수, 코트) 및 코트 정보 등 구체적인 경기 정보를 공개하여 안내하지 않았다.In general, for sports games, a bracket is prepared in advance, and games are played according to a schedule according to the prepared bracket. In other words, previously, viewers or game participants could only check the game schedule through the bracket, and specific game information such as team composition (e.g. players, court) and court information was not disclosed and provided.

또한,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스코어보드(scoreboard)에서는 점수만을 표시함에 따라, 선수와 점수를 매칭(matching)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일부 대회에서는 전광판을 통해 선수 이름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 선수 이름을 운영자가 직접 입력하여야 했다. 그뿐만 아니라, 경기 진행에 있어서, 득점과 같은 이벤트에 따른 정보가 변경될 시, 이 또한 운영자 또는 심판이 수동으로 점수를 입력하여야 했다.In addition, even when a sports game was in progress, the scoreboard only displayed scores, making it difficult to match players and scores. In some competitions, players' names are displayed on an electronic display board. To do this, the operator had to enter the player's name directly. In addition, as the game progresses, when event-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score, changes, the operator or referee must manually enter the score.

특허등록 10-1579755호(발명의 명칭: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등록일자: 2015년12월17일)Patent registration No. 10-1579755 (Title of invention: Table tennis game progress system including multiple impact detection sensors and table tennis game scor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Registration date: December 17, 2015)

따라서, 본 발명은 많은 경기 참가자가 한 장소에서 경기를 치르는 대회에서, 구체적인 경기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참가자 자신이 경기할 코트 및 경기 정보를 스스로 쉽게 찾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m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allows participants to easily check specific game information in a competition where many game participants play in one place, and to easily find and confirm the court and game information on their own.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참가자의 경기 도구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의해 운영 서버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매치를 수행하는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 game match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by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ticipant's game equipment in the gam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진행 중인 경기의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온라인 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transmits event information of the game in progress from the game management system to the management server to enable real-time online broadcasting.

또한, 적은 수의 운영요원으로 대회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am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allows the game to be played with a small number of operating person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의 스코어보드 터미널은,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와, 경기 도구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태그부와, 상기 라켓 센서 모듈에 마련된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운영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상기 무선 태그부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태그부로부터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이 밀착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수집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집한 선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eboard terminal of the gam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a game progress time, or a score, and a game tool.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attached to the racke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in a critical distan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 wireless ta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 or game equipment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racket sensor module, or a network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operat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 wireless tag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racket sensor module is in close contact from the wireless tag unit, and ,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collect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network, generates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play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display uni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nd display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의 스코어보드 터미널에서 경기 진행을 안내하는 방법은, 경기 도구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이 밀착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선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한 선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guiding the progress of a game at the scoreboard terminal of a game management system includes, when a racket sensor module attached to a game tool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in a critical distance, a user or a game tool is detected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A process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d, a process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racket sensor module is in close contact, request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peration server, and receiving player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A process of collecting, and a process of generating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a game progress time, or a score based on the collected play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process of displaying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의 운영 서버는,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수신한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한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저장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of the gam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a game progress time, or a score,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game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connected scoreboard terminal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a user or game. Receiv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 tool, obtain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player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acquired player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Transmit to the scoreboard terminal, store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at has changed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의 운영 서버에서 경기 진행을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미리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한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한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game progress in an operation server of a game management system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or game tool from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and selecting a player in advance. Obtain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is registered, transmitting the obtained player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and A process of receiving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s name or a team name, a game progress time, or a score,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at changes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process of storing and displaying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의 스코어보드 터미널에 포함된 스코어보드 어셈블리는,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장착 슬롯, 상기 장착 슬롯 내측 면에 마련된 체결 포트, 및 장착 슬롯의 좌측 또는 우측에 약간의 높이를 갖는 홈의 형상으로 마련된 인출 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태그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슬롯에 라켓 센서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장착 슬롯에 마련된 체결 포트와 상기 라켓 센서 모듈에 마련된 통신/전원 포트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라켓 센서 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며,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라켓 센서 모듈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eboard assembly included in the scoreboard terminal of the gam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display provided at the front; A plurality of tags including a mounting slo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so as not to overlap the display, a fastening po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lot, and a pull-out groove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with a slight height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ounting slot. It includes a slot, and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is mounted in the mounting slot, the fastening port provided in the mounting slot and the communication/power port provided in the racket sensor module are electrically coupl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racket sensor module to charge it. And, a signal con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cket sens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to the scoreboard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경기 참가자가 한 장소에서 경기를 치르는 대회에서, 미리 작성된 대진표에 맞추어 코트에 있는 스코어보드 터미널에 경기 편성 정보(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코트 정보(진영 정보), 경기 진행 시간, 단복식 등)을 표시하여, 참가자 자신이 경기할 코트 및 경기 정보를 스스로 쉽게 찾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petition where many game participants play in one place, game organization information (player name or team name, court information (camp information), game progress) is displayed on the scoreboard terminal on the court according to the pre-written bracket. By displaying the time, singles, doubles, etc.), a gam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an be provided that allows participants to easily find and check the court and game information on their 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참가자가 경기 도구를 스코어보드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경기 매치를 위한 팀 편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경기의 공정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참가자의 경기 도구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의해 운영 서버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매치를 수행하여, 적은 수의 운영요원으로 대회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irness and convenience of the game can be provided by automatically forming a team for the game match when the participant touches the game tool to the scoreboard, and the game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The game match is performed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ame tool,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tournament to be played with a small number of operating person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진행 중인 경기의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여 경기 상황에 대한 실시간 온라인 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real-time online broadcasting of the game situation by 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of the game in progress from the game management system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clearly derived and understood by those who have it. That is, unintended effects resulting from implement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경기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도구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경기 운영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편성을 위한 초기 설정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구현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의 구조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m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a gam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racket sensor module attached to a gam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scoreboar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procedure for game management in a gam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 implementation screen for explaining initial setting input for team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trol flowchart performed by the scoreboar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trol flow diagram performed by the operat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structural diagrams of a scoreboar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cket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top view of a racket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c is a side view of a racket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d is a rear view of the racket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rela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scription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for clarity and bre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경기 운영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me management system 100 based o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10)(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통신이 가능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 또는 운영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기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과 무선 통신 (예: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하 “라켓 센서 모듈”이라 칭함)을 구비한 경기 도구(예컨대, 탁구 라켓, 테니스 라켓, 베드민턴 라켓 등 라켓, 야구 글러브, 야구 배트 등 운동에 사용되는 어떠한 개인 용구도 경기 도구로 정의되어 포함될 수 있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gam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scoreboard terminal 120 or an operation server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110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include (140). The game management system 10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cquet sensor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e.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ools (for example, any personal equipment used for exercise, such as rackets such as table tennis rackets, tennis rackets, and badminton rackets, baseball gloves, and baseball bats, may be defined and included as game tool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그룹(121)에 포함된 태그 슬롯들 (제1 및 제2 태그 슬롯(121a, 121b)), 제2 그룹(123)에 포함된 태그 슬롯들 (제3 및 제4 태그 슬롯(123a, 123b))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ncludes tag slot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121 (first and second tag slots 121a and 121b) and tag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123. It may include slots (third and fourth tag slots 123a and 123b).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도구(130)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131)이 태그 슬롯들 (121a, 121b, 123a, 123b) 중 하나에 대하여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131)의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라켓 센서 모듈(13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상기 라켓 센서 모듈(131)이 밀착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attached to the game tool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tag slots (121a, 121b, 123a, 123b) within a critical distance,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of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or the game tool may be received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obtain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n close contact.

본 실시예의 경우 위치 정보로서 라켓 센서 모듈(131)이 밀착된 태그 슬롯들(121a, 121b, 123a, 123b) 중 하나의 태그 슬롯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may obtain tag slot information of one of the tag slots 121a, 121b, 123a, and 123b to which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n close contact as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운영 서버(140)로부터 선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상기 수집한 선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상기 경기 편성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request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40 and collect player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generate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game progress time, or score based on the collected play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display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on a display or transmit it to the operation server 140.

라켓 센서 모듈(131)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부터 가져오므로, 선수나 운영자가 선수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다. Since player information is retrie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there is no need for players or operators to directly input player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 태그 슬롯들 (121a, 121b, 123a, 123b) 중 하나에 라켓 센서 모듈(131)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됨을 인지하면, 해당 태그 슬롯을 통하여 새로운 라켓 센서 모듈(131)의 식별정보 및 새로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상기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상기 새로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하여 새로운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generating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detects that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tag slots 121a, 121b, 123a, and 123b within a critical distance. ,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ew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w racket sensor module 131 can be received through the corresponding tag slo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generate new game schedule information by changing existing game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ew location information.

이를 통해 선수 또는 선수의 포지션의 변경 시 라켓 센서 모듈(131) 또는 그 밀착 위치의 변경만으로 용이하게 경기 변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player or player's position changes, the game modification information can be easily changed just by changing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or its close contact position.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상기 변경된 경기 편성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display the changed game schedule information on a display or transmit it to the operation server 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상기 개시된 경기의 진행에 따른 득점을 포함한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한 경기 진행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the scoreboard terminal 120 sends game prog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cluding scor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to the operation server 140. Can be trans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미리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server 140 may receiv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or a game tool from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120. The operation server 140 may obtain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player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transmit the obtained player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120. .

상기 운영 서버(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기 편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경기 편성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시청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120 receives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a game progress time, or a score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120, and organizes the received game schedule. Information can be stored, displayed through a display such as an electronic signboard, or broadcasted to viewer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1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40)는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상기 개시된 경기의 진행에 따른 득점을 포함한 경기 진행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상기 수신한 경기 진행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한 경기 진행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진행에 관한 정보를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시청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the operation server 140 may receive gam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scor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from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120. there is. The operation server 140 stores the received game progress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game progress on a display such as an electronic signboard based on the received game progress information, or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game progress through a display such as an electronic signboard, or to viewers through the network 110. It can be broadcast to terminals.

이를 통해 종래 온라인 경기 중개 시 득점을 포함한 경기 진행 정보를 사람이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상기 운영 서버(140)가 상기와 같이 수신한 경기 편성 정보 및 경기 진행 정보를 시청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함으로써 자동화된 경기의 온라인 중계가 가능해진다.Through th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nually input gam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scores, when brokering a conventional online game is eliminated, and the operation server 140 sends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game progress information received as above to the viewer terminal. By broadcasting, automated online broadcasting of games become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100)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gam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100)은 하나의 운영 서버(140) 또는 복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들(예: 스코어보드 터미널#1(120-1), 스코어보드 터미널#2(120-2), 스코어보드 터미널#3(120-3), ………스코어보드 터미널#n(120-n))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들(예: 스코어보드 터미널#1(120-1), 스코어보드 터미널#2(120-2), 스코어보드 터미널#3(120-3), ………스코어보드 터미널#n(120-n))은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으로 통칭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gam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one operation server 140 or a plurality of scoreboard terminals (e.g., scoreboard terminal #1 (120-1), scoreboard terminal # 2 (120-2), scoreboard terminal #3 (120-3), ……… scoreboard terminal #n (120-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a plurality of scoreboard terminals (e.g., scoreboard terminal #1 (120-1), scoreboard terminal #2 (120-2), scoreboard terminal #3 (120-3), … ……Scoreboard Terminal #n (120-n))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coreboard Terminal (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선수와 같이 경기에 참가하는 사람(이하 “참가자”라 칭함)의 경기 도구가 임계 거리 내로 접근하여 밀착될 경우, 이를 등록 요청으로 인지하여 상기 경기 도구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임계 거리는 미리 설정되거나, 기존에 설정된 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임계 거리는, 예를 들어, 경기 도구가 터치 될 정도의 근거리일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참가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거나, 또는 경기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참가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 또는 경기 도구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는 운영자(예: 경기를 주관하는 사람)에 의해 미리 할당되어 경기 도구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경기 도구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ognizes this as a registration request when the game tool of a person participating in the game like the p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rticipant”) approaches within a critical distance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tool. The threshold distance may be set in advance or changed after being previously set. The critical distance may be, for example, a short distance at which the playing tool is touch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articipant o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game tool. To this e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participants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game tools may be pre-assigned by an operator (e.g., person in charge of the game) and set in the game tool. For example,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game too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도구가 밀착됨을 인지하기 위하여 고유한 위치 정보를 갖는 복수의 식별 위치 각각에 상응한 태그 슬롯들(예: 도 1의 제1 내지 제4 태그 슬롯(121a, 121b, 123a, 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도구가 복수의 태그 슬롯들 중 한 곳에 밀착됨을 인지하면, 상기 경기 도구가 밀착된 태그 슬롯에 대응한 식별 위치에 관한 정보(이하 “위치 정보”라 칭함)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해당 경기 도구를 소지한 참가자에 대한 대진 편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방식에 따라 포함할 태그 슬롯의 개수 또는 활성화할 태그 슬롯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경기 방식이 단식인 경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두 개의 태그 슬롯들을 마련할 수 있고, 경기 방식이 복식인 경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네 개의 태그 슬롯들을 마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방식이 단식인 경우, 네 개의 태그 슬롯들 중 두 개의 태그 슬롯들 만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네 개의 태그 슬롯들을 두 개씩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하나의 태그 슬롯만을 통해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남은 하나의 태그 슬롯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ncludes tag slots (e.g., the first to fourth tags in FIG. 1)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positions with unique position information in order to recognize that the game tool is in close contact. It may include slots 121a, 121b, 123a, and 123b). Whe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ognizes that a game tool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a plurality of tag slots,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slot to which the game tool is in close cont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s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to generate matchmaking information for participants holding the corresponding game equip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change the number of tag slots to include or the number of tag slots to activate depending on the game format. For example, when the game format is single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provide two tag slots, and when the game format is double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provide four tag slots. As another example, when the game format is single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ctivates only two tag slots out of four tag slots, or divides the four tag slots into groups of two, with one tag slot from each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only through the tag slot, and the remaining tag slot can be deactiv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도구가 태그 슬롯에 밀착됨에 의해 획득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이하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라 칭함)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 서버(14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이하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라 칭함)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는, 예를 들어, 이름 또는 소속팀과 같이 해당 참가자를 안내하기 위한 선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도구가 특정 태그 슬롯에서 인식되어 식별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해당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활성화된 모든 태그 슬롯들을 통해 식별정보를 수집 완료된 후, 운영 서버(140)로부터 일괄적으로 모든 참가자들에 대한 선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ransmits a message con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game tool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g sl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operation server 140, and , a message contain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may b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The player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player information to guide the participant, such as name or affiliated team. Whenever a game tool is recognized in a specific tag slo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eives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or through all activated tag slots. Aft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player information on all participants can be collectively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참가자들 각각에 대하여 수집한 선수 정보 및 태그 슬롯을 식별하는 위치에 관한 정보 (이하 “위치 정보”라 칭함)을 기반으로 상기 참가자들에 대한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편성 정보 (이하 “제1 경기 편성 정보”라 칭함)를 생성한 후, 이미 인식된 적이 있는 경기 도구가 다른 태그 슬롯에 밀착되면, 이를 편성 변경 요청으로 인식하여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새로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편성 정보 (이하 “제2 경기 편성 정보”라 칭함)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에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이를 편성 변경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의한 대진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organizes the game for each participant based on player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participant and lo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tag sl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ation information”). Programming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 scoreboard terminal 120 generates game schedul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when a game tool that has already been recognized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tag slot, it recognizes this as a request to change the game schedule. Thus, game schedul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ew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after genera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determine this as a request to change the schedule and generate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transmit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40.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display the bracket based on the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개시된 경기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할 시, 이에 관한 경기 진행 정보인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득점 또는 선수 교체와 같은 이벤트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onitors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and if an event that may affect the game result occurs. At the time, event information, which is game progres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40. Events that may affect the outcome of the game may be, for example, events such as scoring a goal or replacing a play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가 종료하면, 최종 경기 결과를 포함한 경기 종료를 안내하는 메시지 (이하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라 칭함)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하 “경기 종료 확인 메시지”라 칭함)를 상기 운영 서버(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game end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ransmits a message informing the end of the game including the final game result (hereinafter referred to as “game end information message”) to the operation server 140, A response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ame end confirmation message”) may b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4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신한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선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는 참가하는 선수들 중 선수 한 명에 대한 정보이거나, 또는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는 해당 선수들이 참가하는 경기를 식별하는 경기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receiving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e operation server 140 identifies one or m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a database in which player information is registered. Playe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140 may transmit a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acquired player information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e play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one player among participating players, or may be information about all participating players. The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g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game in which the players particip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4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제공되면, 진행 중인 경기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사용하여 경기 진행 상황을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하거나, 또는 전광판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경기가 종료하였음을 알리는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경기를 종료 처리한 후, 경기 종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event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e operation server 140 obtains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ongoing game and uses the event information to report the game progress through the network. It can be broadcast to viewer terminals or displayed through an electronic signboard. When the operation server 140 receives a game-ending inform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game has ended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t processes the game as ending and sends a game-ending confirmation message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be trans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도구(예: 도 1의 경기 도구(130))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예: 라켓 센서 모듈(131))의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racket sensor module (eg, racket sensor module 131) attached to a game tool (eg, game tool 13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131)은 제어부(310), 센서부(320), 전원부(330), 무선 태그부(340) 또는 근거리 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센서부(320), 상기 무선 태그부(340)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unit 310, a sensor unit 320, a power unit 330, a wireless tag unit 340,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50. there is. The control unit 3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20, the wireless tag unit 340, 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320)는 공에 의해 경기 도구에 마련된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에 상응한 진동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지 신호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에 공이 맞는 강도 또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20 may detect vibration caused by an impact applied to a plate provided on a game tool by a ball and output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vibra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sity or location of the ball hitting the pl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330)는 배터리와 같은 소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라켓 센서 모듈(131)이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30)를 구성하는 배터리는 일회용 배터리이거나, 충전을 통해 재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재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일 경우, 상기 전원부(330)는 충전을 위한 단자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330 may be composed of an element such as a battery, and may supply the driving voltage required for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to operate. The battery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unit 330 may be a disposable battery or a reusable battery through charging. In the case of the reusable battery, the power unit 330 may be separately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charg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태그부(340)는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는 태그 동작을 통해 상대 장치인 스코어보드 터미널(예: 도 1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태그부(340)에 의해 전달될 식별정보는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tag unit 34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 or game tool to a scoreboard terminal (e.g., the scoreboard terminal 120 of FIG. 1), which is an opposing device, through a tag operation that comes in close contact within a critical distance. can be transmit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by the wireless tag unit 340 may be set in advan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부(350)는 센서부(320)에 의해 출력되는 진동 감지 정보를 소정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50 may transmit vibration detection information output by the sensor unit 320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using a predetermined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라켓 센서 모듈(131)의 동작을 통제하거나, 운영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라켓 센서 모듈(131)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임계 거리 안쪽으로 밀착되면, 무선 태그부(340)를 제어하여 식별정보가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센서부(320)에 의해 출력된 진동 감지 정보가 근거리 통신부(350)를 통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or perform control for operation.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coreboard terminal 120 within a critical distance,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wireless tag unit 340 t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 control can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vibration detection information output by the sensor unit 320 to be transmitted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예: 도 1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의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scoreboard terminal (eg, scoreboard terminal 120 of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어부(410), 무선 태그부(420), 전원부(430), 제1통신부(441) 또는 제2통신부(4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부(440) 또는 표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무선 태그부(420), 상기 통신부(440) 또는 상기 표시부(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 control unit 410, a wireless tag unit 420, a power unit 430, a first communication unit 441, or a second communication unit 443.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40 or a display unit 450. The control unit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tag unit 420, the communication unit 440, or the display unit 4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태그부(420)는 상대 장치인 라켓 센서 모듈(예: 라켓 센서 모듈(131))이 부착된 경기 도구(예: 도 1의 경기 도구(130))가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는 태그 동작을 통해, 상기 라켓 센서 모듈(131)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태그부(420)는 고유한 위치 정보를 갖는 복수의 식별 위치 각각에 상응한 태그 슬롯들(예: 도 1의 제1 내지 제4 태그 슬롯(121a, 121b, 123a, 123b))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tag unit 420 detects that a game tool (e.g., game tool 130 of FIG. 1) to which a racket sensor module (e.g., racket sensor module 131), which is an opponent device, is attached is within a critical distance. Through a close tag oper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or game tool can be received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The wireless tag unit 420 includes tag slots (e.g., the first to fourth tag slots 121a, 121b, 123a, and 123b in FIG. 1)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positions with unique location information.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430)는 배터리와 같은 소자에 의해 구성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43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이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30)를 구성하는 배터리는 일회용 배터리이거나, 충전을 통해 재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재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일 경우, 상기 전원부(430)는 충전을 위한 단자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430 may be composed of an element such as a battery, or may be a circuit capable of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ower supply unit 430 may supply the driving voltage required for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o operate. The battery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unit 430 may be a disposable battery or a battery that can be reused through charging. In the case of the reusable battery, the power unit 430 may be separately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charg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44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과 외부 전자 장치(예: 라켓 센서 모듈(131) 또는 운영 서버(예: 도 1의 운영 서버(140))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440)은 제어부(41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44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40)에 포함된 제1통신부(441)는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라켓 센서 모듈(131) 또는 운영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40)에 포함된 제1통신부(441)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영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 또는 운영 서버(140)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스코어보드 터미널(120), 또는 운영 서버(140)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440 provides direct communication (e.g., betwee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or an operation server (e.g., the operation server 140 of FIG. 1). It can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unit 440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unit 410 and provides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44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441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440 may be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e.g., Bluetooth,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or the operation server 140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440 441 may communicate with the operating server 140 via a second network (e.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such as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s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a LAN or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separate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used to identify subscribers.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stored in the module can be used to identify or authenticate the scoreboard terminal 120 or the operation server 140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be used in a 4G network. It may support future 5G networks and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NR access technology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R access technology provides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inimization of terminal power and access to multiple terminal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latency communications)) can be suppor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support a high 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for example, to achieve a high data transfer 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es various technologies to secure performance in high frequency bands, such as beamforming, massive MIMO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and full-dimensional multiple input/output ( It can support technologies such as FD-MIMO (full dimensional MIMO),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or large scale antenna.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support various requirements specified i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or the operation server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s Peak data rate (e.g., 20Gbps or more) for realizing eMBB, loss coverage (e.g., 164dB or less) for realizing mMTC, or U-plane latency (e.g., downtime) for realizing URLLC. Link (DL) and uplink (UL) each of 0.5 ms or less, or round trip 1 ms or less) can be supported.

상기 제어부(41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의 동작을 통제하거나, 운영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10)는 참가자의 경기 도구(예: 도 1의 경기 도구(130))가 임계 거리 내로 접근하여 밀착될 경우, 이를 등록 요청으로 인지하여 무선 태그부(420)를 통해 상기 경기 도구(13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임계 거리는 미리 설정되거나, 기존에 설정된 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임계 거리는, 예를 들어, 경기 도구(130)가 터치될 정도의 근거리일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참가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거나, 또는 경기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참가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 또는 경기 도구(130)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는 운영자에 의해 미리 할당되어 경기 도구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경기 도구(13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coreboard terminal 120 or perform control for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articipant's game tool (e.g., game tool 130 in FIG. 1) approaches within a critical distance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the control unit 410 recognizes this as a registration request and sends the wireless tag unit 420.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game tool 130 through. The threshold distance may be set in advance or changed after being previously set. The critical distance may be, for example, a short distance at which the game tool 130 is touch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articipant o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game tool. To this e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participants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game tools 130 may be pre-assigned by the operator and set in the game equipmen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1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game tool 130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10)는, 경기 도구(130)가 복수의 태그 슬롯들(121a, 121b, 123a, 123b) 중 한 곳에 밀착됨을 인지하면, 상기 경기 도구(130)가 밀착된 태그 슬롯에 대응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해당 경기 도구(130)를 소지한 참가자에 대한 대진 편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경기 방식에 따라 포함할 태그 슬롯의 개수 또는 활성화할 태그 슬롯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경기 방식이 단식인 경우, 제어부(410)는 두 개의 태그 슬롯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경기 방식이 복식인 경우, 제어부(410)는 네 개의 태그 슬롯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10)는, 네 개의 태그 슬롯들을 두 개씩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하나의 태그 슬롯만을 통해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남은 하나의 태그 슬롯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410 recognizes that the game tool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tag slots 121a, 121b, 123a, and 123b, the control unit 410 controls the tag with which the game tool 130 is in close contact.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lot can be obtaine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to generate matchmaking information for participants holding the corresponding game tool 130. The control unit 410 can change the number of tag slots to include or the number of tag slots to activate depending on the game format. For example, when the game format is singles, the control unit 410 can activate two tag slots, and when the game format is doubles, the control unit 410 can activate four tag slots.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410 may divide four tag slots into two groups,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only one tag slot in each group, and deactivate the remaining tag slo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10)는 경기 도구(130)가 무선 태그부(420)에 밀착됨에 의해 획득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운영 서버(예: 도 1의 운영 서버(140))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 서버(14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는, 예를 들어, 이름 또는 소속팀과 같이 해당 참가자를 안내하기 위한 선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경기 도구(130)가 특정 태그 슬롯에서 인식되어 식별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통신부(440)를 통해 해당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활성화된 모든 태그 슬롯들을 통해 식별정보를 수집 완료된 후, 운영 서버(140)로부터 일괄적으로 모든 참가자들에 대한 선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10 sends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con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when the game tool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less tag unit 420 to an operation server (e.g., the operation server of FIG. 1). 140)), and a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contain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The player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player information to guide the participant, such as name or affiliated team. The control unit 410 receives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40 whenever the game tool 130 is recognized in a specific tag slot and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f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all activated tag slots, player information for all participants can be collectively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10)는 참가자들 각각에 대하여 수집한 선수 정보 및 태그 슬롯을 식별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참가자들에 대한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 이미 인식된 적이 있는 경기 도구(130)가 무선 태그부(420)에 밀착되면, 이를 편성 변경 요청으로 인식하여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새로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에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410)는 이를 편성 변경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통신부(440)를 통해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의한 대진표를 표시부(4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10 may generate game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participant based on player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participant and lo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tag slot. After genera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when a game tool 130 that has already been recognize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reless tag unit 420, the control unit 410 recognizes this as a request to change the program and provides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new game schedul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after genera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10 may determine this as a request to change the program schedule and generate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10 may transmit the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40. The control unit 410 can display the bracket based on the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4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10)는,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개시된 경기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할 시, 이에 관한 경기 진행 정보인 이벤트 정보를 통신부(440)를 통해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득점 또는 선수 교체와 같은 이벤트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the control unit 410 monitors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and when an event that may affect the game result occurs, Event information, which is game progres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40. Events that may affect the outcome of the game may be, for example, events such as scoring a goal or replacing a play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10)는 경기가 종료하면, 최종 경기 결과를 포함한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를 통신부(440)를 통해 운영 서버(14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경기 종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440)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game ends, the control unit 410 transmits a game end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the final game result to the operation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40, and sends a game end confirmation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unit. It can b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through (4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45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45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45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450)는 제어부(410)의 제어에 의해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경기 진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450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scoreboard terminal 120 (eg, a user). The display unit 450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m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450 may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450 may display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ga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10.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운영 시스템(100)에서 경기 운영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편성을 위한 초기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현 화면이다.Figure 5a is a diagram showing a signal processing procedure for game management in the gam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b illustrates the initial settings for team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implementation screen for this.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기 운영 시스템(100)에서의 경기 운영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는 경기 편성 단계(510) 또는 경기 진행 단계(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기 편성 단계(510)는 참가자들의 요청에 응답하여 경기를 위한 팀 편성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운영 서버(예: 도 1의 운영 서버(140))와 공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기 진행 단계(520)는 경기를 개시하고, 상기 개시된 경기의 진행에 따른 진행 상황을 운영 서버(140)와 공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gnal processing procedure for game management in the game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game organizing step 510 or a game progress step 520. The game organizing step 5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organizing a team for a gam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participants and sharing the results with an operation server (eg, the operation server 140 of FIG. 1). In the game progress step 520, a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start the game and share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with the operation server 14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라켓 센서 모듈(131)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임계 거리 안쪽으로 밀착되면, 라켓 센서 모듈(131)은 경기 참여를 위하여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등록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과정 511). 상기 라켓 센서 모듈(131)은 등록 요청을 위하여,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참가자 또는 경기 도구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달할 수 있다. Looking more specifically,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coreboard terminal 120 within the critical distance,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can perform a registration request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o participate in the game. There is (Course 511).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participants or game tools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o request registr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참가자의 경기 도구에 해당하는 라켓 센서 모듈(131)이 임계 거리 내로 접근하면, 이를 등록 요청으로 인지하여 상기 라켓 센서 모듈(131)로부터 식별정보(USER_ID)를 수신할 수 있다 (과정 511). 상기 임계 거리는 미리 설정되거나, 기존에 설정된 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임계 거리는, 예를 들어, 라켓 센서 모듈(131)이 터치될 정도의 근거리일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참가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거나, 또는 경기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참가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 또는 경기 도구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는 운영자에 의해 미리 할당되어 라켓 센서 모듈(131)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라켓 센서 모듈(131)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corresponding to the participant's game tool approaches within a threshold distance,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ognizes this as a registration request and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 USER_ID) can be received (process 511). The threshold distance may be set in advance or changed after being previously set. For example, the critical distance may be close enough to touch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articipant o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game tool. To this e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participants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game tools may be pre-assigned by the operator and set i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For example,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라켓 센서 모듈(131)이 밀착됨을 인지하기 위하여 고유한 위치 정보를 갖는 복수의 식별 위치 각각에 상응한 태그 슬롯들(예: 도 1의 제1 내지 제4 태그 슬롯(121a, 121b, 123a, 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라켓 센서 모듈(131)이 복수의 태그 슬롯들 중 한 곳에 밀착됨을 인지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131)이 밀착된 태그 슬롯에 대응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해당 라켓 센서 모듈(131)을 소지한 참가자에 대한 대진 편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방식에 따라 포함할 태그 슬롯의 개수 또는 활성화할 태그 슬롯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경기 방식이 단식인 경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두 개의 태그 슬롯들을 마련할 수 있고, 경기 방식이 복식인 경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네 개의 태그 슬롯들을 마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방식이 단식인 경우, 네 개의 태그 슬롯들 중 두 개의 태그 슬롯들 만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네 개의 태그 슬롯들을 두 개씩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서 하나의 태그 슬롯만을 통해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남은 하나의 태그 슬롯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uses tag slots (e.g., the first tag slots in FIG. 1)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positions having unique position information in order to recognize that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n close contact. to fourth tag slots 121a, 121b, 123a, and 123b). Whe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ognizes that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tag slot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obtain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slot to which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n close contact. there is.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to generate matchmaking information for participants holding the corresponding racket sensor module 131.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change the number of tag slots to include or the number of tag slots to activate depending on the game format. For example, when the game format is single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provide two tag slots, and when the game format is double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provide four tag slots. As another example, when the game format is single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ctivates only two tag slots out of four tag slots, or divides the four tag slots into groups of two, with one tag slot from each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only through the tag slot, and the remaining tag slot can be deactiv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운영자가 초기 설정 시에, 경기 수 및/또는 경기 타입 (예: 단식 또는 복식)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 운영자가 레디 버튼을 누르도록 유도하고, 상기 운영자에 의해 레디 버튼이 눌려지면, 태그 슬롯에 라켓 센서 모듈(131)이 밀착되는 것으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획득한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참가자에 의한 확인을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allow the operator to select the number of matches and/or match type (eg, singles or doubles) during initial setup. After the initial setup is completed, the scoreboard terminal 120 guides the operator to press the ready button, and when the ready button is pressed by the operator,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dentified as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ag slo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induce confirmation by participants by displaying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라켓 센서 모듈(131)이 태그 슬롯에 밀착됨에 의해 획득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정 51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transmit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g slot to the operation server 140 (process 51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4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신한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선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정 513). 상기 선수 정보는 참가하는 선수들 중 선수 한 명에 대한 정보이거나, 또는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는 해당 선수들이 참가하는 경기를 식별하는 경기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receiving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e operation server 140 identifies one or m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a database in which player information is registered. Playe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140 may transmit a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acquired player information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process 513). The play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one player among participating players, or may be information about all participating players. The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g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game in which the players particip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운영 서버(140)로부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과정 513). 상기 선수 정보는, 예를 들어, 이름 또는 소속팀과 같이 해당 참가자를 안내하기 위한 선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라켓 센서 모듈(131)이 특정 태그 슬롯에서 인식되어 식별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해당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활성화된 모든 태그 슬롯들을 통해 식별정보를 수집 완료된 후, 운영 서버(140)로부터 일괄적으로 모든 참가자들에 대한 선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는, 수동이 아닌 자동적으로 선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영진이 수동으로 선수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receive a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includ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process 513). The player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player information to guide the participant, such as name or affiliated tea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eives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whenever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recognized in a specific tag slot and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ll activated Aft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tag slots, player information on all participants can be collectively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This allows player information to be provided automatically rather than manuall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management having to manually enter player information.

구체적인 구현 예는 도 5b를 참조하면, 운영자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도록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 운영자는 디스플레이 된 선택 메뉴에서 ①터치 스크린상의 터치를 통해 게임의 수(3 Games, 5 Games, 7 Games)를 선택하고, 단식(Singles) 또는 복식(Doubles)를 선택한다. 이어, ②팀 편성을 위해 레디 버튼을 누르면 태그 슬롯으로부터 라켓 센서 모듈의 식별정보를 읽어 오고, ③읽어 온 식별정보를 해당 선수의 위치에 표시하여 참가자에게 알려주어 참가자에 의한 확인을 유도한다. 이어 ④읽어 온 식별정보는 서버로 전송되어, 선수 정보를 가져 온다. ⑤ 가져온 선수 정보에서 참가자 이름을 추출하여 선수 위치에 표시하고 ⑥ 팀 편성이 완료되고 경기를 시작한다.Referring to FIG. 5B for a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 the operator display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s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the user's touch input, and displays a selection menu to induce the user's input. The operator selects the number of games (3 Games, 5 Games, 7 Games) by touching the ① touch screen from the displayed selection menu and selects Singles or Doubles. Next, ② when the ready button is pressed to form a tea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cket sensor module is read from the tag slot, and ③ the re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the player and notified to the participant, encouraging the participant to confirm. Then, ④ the re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player information is retrieved. ⑤ The participant's name is extracted from the imported player information and displayed at the player's location. ⑥ Team formation is completed and the game begi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참가자들 각각에 대하여 수집한 선수 정보 및 태그 슬롯을 식별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참가자들에 대한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과정 514).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 라켓 센서 모듈(131)이 태그 슬롯에 밀착되면, 이를 편성 변경 요청으로 인식하여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새로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과정 515, 516). 즉,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에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이를 편성 변경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정 517).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의한 대진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과정 518). 이와 같이, 대진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선수가 경기를 치룰 경기장 (코트)을 인지하기가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중이 자신이 관심을 갖는 경기를 인지하기 또한 용이할 수 있다. 특히, 한 장소에서 많은 인원이 참가하는 대회의 경우, 경기장에 마련된 스코어보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팀 편성 정보(예: 팀 또는 선수 정보, 코드, 경기 시작 시간, 경기 타입 (단식/복식))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경기 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generate game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participant based on player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participant and lo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tag slot (process 514). . After genera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ognizes this as a request to change the schedule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g slot and makes a change based on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ew location information. 2 Game schedule information can be created (processes 515, 516). That is,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after genera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determine this as a request to change the schedule and generate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transmit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40 (process 517).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an display the bracket based on the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process 518). In this way, by displaying the bracket through the display, not only can it be easy for players to recognize the stadium (court) where they will play the game, but it can also be easy for spectators to recognize the game they are interested i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mpetitions in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n one location, team formation information (e.g. team or player information, code, match start time, match type (singles/doubles)) is displayed on the scoreboard provided in the stadium. Since you can check, smooth progress of the game can be possible.

하기 <표 1>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대진표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the bracket displayed on the display.

A 팀A team B 팀B team 슬롯slot 슬롯 1slot 1 슬롯 2slot 2 슬롯 3slot 3 슬롯 4slot 4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 go me all la

상기 <표 1>를 참조하면, 식별정보 “가”인 라켓 센서 모듈이 태그 슬롯 1에 밀착되고, 식별정보 “나”인 라켓 센서 모듈이 태그 슬롯 2에 밀착되며, 식별정보 “다”인 라켓 센서 모듈이 태그 슬롯 3에 밀착되고, 식별정보 “라”인 라켓 센서 모듈이 태그 슬롯 4에 밀착되면, 이를 인지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식별정보 “가”에 상응한 선수 (가)와 식별정보 “나”에 상응한 선수 (나)를 A팀에 배정하고, 식별정보 “다”에 상응한 선수 (다)와 식별정보 “라”에 상응한 선수 (라)를 B 팀에 배정하는 것으로 팀 편성한 일 예이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4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로부터 획득한 경기 편성 정보를 전광판에 표시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경기를 시청할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할 수 있다 (과정 519).Referring to <Table 1> above, the racket sensor modul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is in close contact with tag slot 1, the racket sensor modul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B” is in close contact with tag slot 2, and the racket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C” is in close contact with tag slot 1. When the sensor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tag slot 3 and the racket sensor modul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 is in close contact with tag slot 4, the scoreboard terminal 120, which recognizes this, connects the player (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The player (B)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 is assigned to team A, and the player (C)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 and the player (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 are assigned to team B. This is an example of organizing a te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server 140 receives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nd the received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obtained from can b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signboard or broadcast to user terminals that will watch the game through the network (process 519).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제1 또는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개시된 경기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할 시, 이에 관한 경기 진행 정보인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정 521, 522, 523). 상기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득점 또는 선수 교체와 같은 이벤트일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라켓 센서 모듈의 식별정보와 경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onitors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and if an event that may affect the game result occurs. At the time, event information, which is game progres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40 (processes 521, 522, and 523). Events that may affect the outcome of the game may be, for example, events such as scoring a goal or replacing a player. The event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cket sensor module and game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서버(140)는,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제공되면, 진행 중인 경기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사용하여 경기 진행 상황을 저장하거나, 온라인으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예: 문자 중계 또는 동영상 중계)하거나, 또는 오프라인으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전광판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과정 523, 524).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event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e operation server 140 acquires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ongoing game and stores the game progress using the event information. In order to share information onlin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processes can be performed: broadcasting to view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e.g., text broadcast or video broadcast), or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an electronic signboard to share information offline ( Courses 523, 52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가 종료되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경기가 종료하면, 최종 경기 결과를 포함한 경기 종료를 안내하는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정 524, 526). 상기 운영 서버(140)는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경기를 종료 처리한 후, 경기 종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정 526, 527).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상기 운영 서버(140)로부터 경기 종료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과정 527).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the game is over, and when the game ends, it transmits a game end information message informing the end of the game including the final game result to the operation server 140. (Courses 524, 526). When the operation server 140 receives a game end information message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t can process the game to end and then transmit a game end confirmation message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process 526) , 527).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receive a game end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process 527).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도 1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Figure 6 is a control flowchart performed by a scoreboard terminal (scoreboard terminal 120 in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과정 611에서, 라켓 센서 모듈(131)로부터 경기 참여를 위한 등록 요청이 접수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요청은, 예를 들어, 라켓 센서 모듈(131)이 임계 거리 안쪽으로 밀착됨에 따라, 참가자 또는 경기 도구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a registration request for participation in a game is received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n step 611. The registration request can be determined by, for example,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a participant or game equipment as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in a critical distance.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등록 요청을 접수하면, 과정 613에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식별정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과정 615에서, 경기를 위하여 설정된 인원의 참가자가 모두 참여를 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설정된 인원의 참가자가 모두 참여할 때까지 과정 611 내지 과정 615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registration reques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ep 613 and temporarily store the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ep 615,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all participants in the set number of participants for the game have participated.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repeatedly perform steps 611 to 615 until a set number of participants participate.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진행을 위한 참가자가 모두 참여하였다고 판단하면, 과정 617에서, 선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앞서 획득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운영 서버(예: 도 1의 운영 서버(140))로 전송하고, 상기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운영 서버(140)로부터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는, 예를 들어, 이름 또는 소속팀과 같이 해당 참가자를 안내하기 위한 선수 정보일 수 있다.If the scoreboard terminal 120 determines that all participants for the game have participated, it can collect player information in step 617.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ransmits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previously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peration server (e.g., the operation server 140 of FIG. 1), and includes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 the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 response, a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40, and play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can be collected. The player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player information to guide the participant, such as name or affiliated team.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과정 619에서, 참가자들 각각에 대하여 수집한 선수 정보 및 라켓 센서 모듈(131)이 태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참가자들에 대한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기 편성 정보에 의한 대진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 라켓 센서 모듈(131)이 태그 슬롯에 밀착되면, 이를 편성 변경 요청으로 인식하여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새로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편성 정보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 편성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619, the scoreboard terminal 120 generates game schedule information for the participants based on player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participant and location information tagged by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and The match schedule based on game schedul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generating game schedule information,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g slot, the scoreboard terminal 120 recognizes this as a request to change the game schedule and uses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ew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it. You can re-create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transmit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40.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과정 621에서,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가 개시되었다고 판단하면, 과정 623에서, 개시된 경기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할 시, 이에 관한 경기 진행 정보인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득점 또는 선수 교체와 같은 이벤트일 수 있다.In step 621,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monitor whether a game corresponding to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If the scoreboard terminal 120 determines that the game has started, in step 623,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onitors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and when an event that may affect the game result occurs, event information, which is game progress information regarding this event, is provided.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40. Events that may affect the outcome of the game may be, for example, events such as scoring a goal or replacing a player.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과정 625에서, 경기가 종료되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가 종료하지 않았다면, 과정 623에서, 경기 진행 정보인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140)로 계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은, 경기가 종료하면, 과정 627에서, 최종 경기 결과를 포함한 경기 종료를 안내하는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를 운영 서버(140)로 전송한 후, 경기를 종료 처리할 수 있다.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the game is over at step 625. If the game has not ended, the scoreboard terminal 120 may continue to transmit event information, which is game progres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40 in step 623. When the game ends,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ransmits a game end information message informing the end of the game including the final game result to the operation server 140 in step 627, and then processes the game to end.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예: 도 1의 운영 서버(140))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FIG. 7 is a control flow diagram performed by an operation server (eg, operation server 14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140)는, 과정 711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예: 도 1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과정 713에서,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신한 선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선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는 참가하는 선수들 중 선수 한 명에 대한 정보이거나, 또는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선수 정보 응답 메시지는 해당 선수들이 참가하는 경기를 식별하는 경기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operation server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monitor whether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e.g., the scoreboard terminal 120 of FIG. 1) in step 711. there is. When receiving a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he operation server 140 acquires player information in response to one or more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lay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a database in which player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step 713. And, a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acquired player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The play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one player among participating players, or may be information about all participating players. The player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g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game in which the players participate.

상기 운영 서버(140)는, 과정 715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경기 편성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경기 편성 정보를 수신하면, 과정 717에서, 상기 수신한 경기 편성 정보로부터 획득한 경기 편성 정보를 전광판에 표시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경기를 시청할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40 may monitor whether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n step 715. When receiving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140 displays the game schedul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received game schedul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signboard or broadcasts it to user terminals to watch the game through the network in step 717. You can.

상기 운영 서버(140)는, 과정 719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과정 721에서, 진행 중인 경기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사용하여 경기 진행 상황을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을 대상으로 방송하거나, 또는 전광판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40 may monitor whether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n step 719. When receiving event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140 obtains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ongoing game in step 721 and broadcasts the game progress to viewer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using the event information. Alternatively, it can be displayed through an electronic signboard.

상기 운영 서버(140)는, 과정 723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부터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40)는, 경기 종료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면, 과정 725에서, 해당 경기를 종료 처리한 후, 경기 종료 확인 메시지를 상기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operation server 140 may monitor whether a game end guidanc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coreboard terminal 120 in step 723. Upon receiving the game end information message, the operation server 140 may process the game to end in step 725 and then transmit a game end confirmation message to the scoreboard terminal 120.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예: 도 1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의 구조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예: 도 8a 또는 도 8c의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예: 도 8a 또는 도 8c의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의 평면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 (예: 도 8a 또는 도 8c의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의 측면도이며,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예: 도 8a 또는 도 8c의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의 배면도이다.FIGS. 8A to 8D are structural diagrams of a scoreboard terminal (eg, scoreboard terminal 12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cket sensor module (e.g., racket sensor modules 813a, 813b, 813c, 813d of Figure 8a or 8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b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a racket sensor module (e.g., racket sensor modules 813a, 813b, 813c, 813d of Figure 8a or 8c), and Figure 9c is a racket sensor module (e.g., Figure 8a or 8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C is a side view of the racket sensor module (813a, 813b, 813c, 813d), and FIG. 9D is a side view of the racket sensor module (e.g., the racket sensor module (813a, 813b) of FIG. 8A or FIG. 8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rear view of , 813c, 813d)).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코어보드 터미널(120)를 구성하는 스코어보드 어셈블리(810)는 디스플레이(811),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 및 인출 홈(819a, 819b, 818c, 819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태그 슬롯, 또는 전원 버튼(8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라켓 센서 모듈은, 경기 도구(130) 및 태그 슬롯 모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 8A to 8C, the scoreboard assembly 810 constituting the scoreboard terminal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811, mounting slots 815a, 815b, 815c, and 815d, and a fastening port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ag slots including 817a, 817b, 817c, and 817d) and withdrawal grooves 819a, 819b, 818c, and 819d, or a power button 82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acket sensor module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both the game tool 130 and the tag slot.

이 경우 경기 도구(130)에 부착되는 라켓 센서 모듈(131)은 경기 도구(130)의 부품으로 착탈 가능하게 경기 도구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경기 도구(130)의 구성에 포함되는 정의될 수 있다. 동시에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의 태그 슬롯에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이 경우 복수의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은 스코어보드 터미널(120)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acket sensor module 131 attached to the game tool 130 is a part of the game tool 13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ame tool, and can be defined as being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game tool 130. . At the same time,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ag slot of the scoreboard terminal 120, so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racket sensor modules 813a, 813b, 813c, and 813d are defined as being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coreboard terminal 120. You ca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811)는 스코어보드 어셈블리(81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11)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811)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811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scoreboard assembly 810 (eg, to a user). The display 811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phic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811 may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811)는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거나, 선수 또는 팀 정보(850a, 850b) 또는 점수(830a, 830b, 860a, 860b), 경기 시간(840)과 같은 경기 진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811 displays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such as player or team information (850a, 850b), scores (830a, 830b, 860a, 860b), and game time (840).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태그 슬롯 내지 이에 포함되는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은 디스플레이(811)의 하단에 전원 버튼(82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분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태그 슬롯 내지 이에 포함되는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은, 예를 들어, 상기 전원 버튼(820)의 좌측에 두 개의 장착 슬롯(815a, 815b)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원 버튼(820)의 우측에 두 개의 장착 슬롯(815c, 815d)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 각각에는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이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tag slots or the mounting slots 815a, 815b, 815c, and 815d included therein may be distributed and arrang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power button 820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811. . The plurality of tag slots or the mounting slots 815a, 815b, 815c, and 815d included therein may include, for example, two mounting slots 815a, 815b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ower button 820, Two mounting slots 815c and 815d may be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wer button 820. A racket sensor module (813a, 813b, 813c, 813d) may be independently mount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lots (815a, 815b, 815c, and 815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는 복수의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에 일대일로 마련될 수 있고,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이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에 끼워져 결합 시, 각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내의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와 라켓 센서 모듈의 통신/전원 포트(919)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는 결합된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의 통신/전원 포트(919)를 통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거나, 상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있어, 라켓 센서 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며,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라켓 센서 모듈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817a, 817b, 817c, 817d) may be provided one to one in a plurality of mounting slots (815a, 815b, 815c, 815d), and the racket sensor modules (813a, 813b, 813c) , 813d)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lots (815a, 815b, 815c, 815d) and communicate with the fastening ports (817a, 817b, 817c, 817d) in each mounting slot (815a, 815b, 815c, 815d) and the racket sensor module. /The power port 919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817a, 817b, 817c, 817d) supply operating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 power port 919 of the combined racket sensor modules (813a, 813b, 813c, 813d) to charge or exchange mutual information. It functions a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exchange, so that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racket sensor module to charge it, and a signal con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cket sensor module is transmitted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to the scoreboard terminal.

이를 통해, 스코어 보드 터미널에 경기 도구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구성이 구현된다.Through this, a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or the game tool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attached to the game tool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coreboard terminal within a critical distan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인출 홈(819a, 819b, 818c, 819d)은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출 홈(819a, 819b, 818c, 819d)은 사용자가 장착 슬롯(815a, 815b, 815c, 815d)에 끼워진 라켓 센서 모듈(813a, 813b, 813c, 813d)을 분리하기가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raw-out grooves 819a, 819b, 818c, and 819d may be provided in a recessed form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astening ports 817a, 817b, 817c, and 817d. The plurality of pull-out grooves (819a, 819b, 818c, 819d) are provided to facilitate the user's separation of the racket sensor modules (813a, 813b, 813c, 813d) inserted into the mounting slots (815a, 815b, 815c, 815d). .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센서 모듈(813)은 하우징(911), LED 표시창(913), 전원 버튼(915), 체결 홀(917a, 917b, 917c) 또는 체결 포트(919)를 포함할 수 있다.9A to 9D, the racket sensor module 8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911, an LED display window 913, a power button 915, fastening holes 917a, 917b, and 917c, or a fastening port. It may include (919).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 표시창(913)은 하우징(911)의 상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LED 표시창(913)은 센서 모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전원을 켜는 경우 LED가 점등하며,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LED가 점멸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D display window 91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911. The LED display window 913 display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ensor module. The LED lights up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LED can blink whe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is connec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버튼(915)은 하우징(911)의 좌 측면 또는 우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915)은 사용자의 눌림에 의해 태그 슬롯(813)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button 915 may be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ousing 911. The power button 915 can supply or block driving voltage for operation of the tag slot 813 when pressed by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홀(917a, 917b, 917c)은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911)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holes 917a, 917b, and 917c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so tha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constituting the housing 911 can be coupled using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It can be extended in one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전원 포트(919)는, 4 핀(pin)으로 구성된 포트로, 2개의 핀은 하우징(911) 내부에 마련된 전기적인 소자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장치(예: 도 8a, 도 8b 또는 도 8c의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 중 대응되는 체결 포트(예: 도 8b의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로 전달하거나, 상대 체결 포트(817a, 817b, 817c, 817d)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코어보드 터미널의 통신 포트의 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 2개의 핀은 라켓 센서 모듈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전원 포트 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power port 919 is a port consisting of 4 pins, and 2 pins transmit signals output from electrical element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911 to an external device (e.g., Transfer to the corresponding fastening port (e.g., fastening ports 817a, 817b, 817c, 817d of FIG. 8b) among the fastening ports 817a, 817b, 817c, and 817d of FIGS. 8A, 8B, or 8C, or through relative fastening. It functions as a communication port of the scoreboard terminal that acts as a passage to receive signals supplied from the ports (817a, 817b, 817c, and 817d), and the remaining two pins supply driving power to the racket sensor module. It functions as a charging power por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개시에 의하면, 각 코트에 설치된 복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120a, 120b, 120c, 120d)와 운영 서버(140)간에 상술한 특징적인 구성에 의하여 경기 배정에 관한 경기 편성 정보를 전송하고, 경기 상황을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경기 운영 시스템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여, 많은 경기 참가자가 한 장소에서 경기를 치르는 대회에서, 미리 작성된 대진표에 맞추어 코트에 있는 스코어보드 터미널에 경기 편성 정보(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코트 정보(진영 정보), 경기 진행 시간, 단복식 등)을 표시하여, 참가자 자신이 경기할 코트 및 경기 정보를 스스로 쉽게 찾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 해진다, According to the various disclos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game allocation is organized between a plurality of scoreboard terminals (120a, 120b, 120c, 120d) installed in each court and the operation server 14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d operate a game management system to transmit information and receive and process game situations, so in competitions where many game participants play in one place, the game is displayed on the scoreboard terminal on the court according to a pre-written bracket. By displaying organization information (player name or team name, court information (side information), game progress time, singles, etc.), participants can easily find and check the court and game information on their own.

참가자가 경기 도구를 스코어보드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경기 매치를 위한 팀 편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경기의 공정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참가자의 경기 도구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의해 운영 서버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매치를 수행하여, 적은 수의 운영요원으로 대회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Fairness and convenience of the game can be provided by automatically forming a team for a match when the participant touches the game tool to the scoreboard, and the game management system can u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ticipant's game tool.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competitions to be conducted with a small number of operating personnel by performing match matches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perating server.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진행 중인 경기의 이벤트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여 경기 상황에 대한 실시간 온라인 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real-time online broadcasting of the game situation by 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of the game in progress from the game management system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of various types.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for example, display device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phones), computer devices, portable multimedia devices, portable medical devices, cameras, wearable devices, or home appliances.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changes, equivalents, or replacements of the embodiments. For example, a component expressed in the singular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plural compon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nly the sing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or' used in this document encompasses any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Terms such as 'include', 'have', 'consist', etc.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use of such terms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ny possible combination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o refer to that component in other re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rm “unit” or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with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for example,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same term. The “~part” or “~module” may be an integrated part or a minimum unit of the part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nit” or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 “if”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s interpreted to mean “when” or “when” 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or “in response to detecting,” depending on the context. It can be. Similarly, “when it is determined” or “when it is detected” is taken to mean “when determining” 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or “when detecting” or “in response to detecting,” depending on the context. It can be interpreted.

본 문서를 통해 설명된 신체 치수 측정 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 program executed by the body size measurement device 1 described throughout this document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A program can be executed by any system that can execut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stored o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for example,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Read-Only Memory), RAM (Random-Access Memory),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 media (e.g., CD-ROM). (CD-ROM), DVD (Digital Versatile Disc), etc.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s distributed across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Computer programs may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online,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or directly between two user devices (e.g., smart 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r plural entity,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entities may be separately placed in other components. there i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multipl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110 : 네트워크
120 : 스코어보드 터미널
130 : 경기 도구
140 : 운영 서버
110: network
120: Scoreboard terminal
130: Match tool
140: Operation server

Claims (15)

경기 운영 시스템의 스코어보드 터미널에 있어서,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경기 도구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태그부;
상기 라켓 센서 모듈에 마련된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운영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상기 무선 태그부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태그부로부터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이 밀착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수집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집한 선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코어보드 터미널.
In the scoreboard terminal of the game management system,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game progress time, or score;
a wireless ta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or the playing tool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attached to the playing tool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in a critical distanc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racket sensor module or to communicate with an operat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the wireless tag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racket sensor module is in close contact from the wireless tag unit, and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collect from the operation server, generat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play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Scoreboard terminal,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코어보드 터미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 scoreboard terminal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무선 태그부에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무선 태그부로부터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새로운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상기 새로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한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코어보드 터미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fter genera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s the racket sensor modu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reless tag unit within a critical distance, when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ew lo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wireless tag unit, the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ew lo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wireless tag unit. Change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new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at changes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 scoreboard terminal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개시된 경기의 진행에 따른 득점을 포함한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한 경기 진행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코어보드 터미널.
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The control unit,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to send game prog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cluding a scor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to the operation server. A scoreboard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부는, 경기 진행 방식에 기반한 개수의 태그 슬롯들을 포함하는, 스코어보드 터미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ireless tag unit includes a number of tag slots based on how the game is play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 진행 방식이 단식인 경우, 상기 무선 태그부는 적어도 두 개의 태그 슬롯들을 포함하는, 스코어보드 터미널.
According to clause 5,
When the game is played in a singles format, the wireless tag unit includes at least two tag slo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 진행 방식이 복식인 경우, 상기 무선 태그부는 적어도 네 개의 태그 슬롯들을 포함하는, 스코어보드 터미널.
According to clause 5,
When the game is played in doubles, the wireless tag unit includes at least four tag slots.
경기 운영 시스템의 스코어보드 터미널에서 경기 진행을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기 도구에 부착된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되면, 상기 라켓 센서 모듈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이 밀착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운영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선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한 선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guiding the progress of the game on the scoreboard terminal of the game management system,
When a racket sensor module attached to a playing tool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in a critical distance,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 or a playing tool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A process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racket sensor module is in close contact;
Request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perating server, and collecting player information from the operat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Generating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game progress time, or score based on the collected play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 process of display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A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이 임계 거리 내로 밀착됨에 따라, 새로운 식별정보의 수신 및 새로운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새로운 식별정보 및 상기 새로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한 재2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After generating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s the racket sensor modu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in a critical distance, when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new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based on the new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ew location information. 1 Process of changing game schedule information;
A process of displaying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at has changed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상기 개시된 경기의 진행에 따른 득점을 포함한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한 경기 진행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a process of transmitting game prog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cluding a scor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to the operation server is further performed. Including, method.
경기 운영 시스템의 운영 서버에 있어서,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기 편성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수신한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한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저장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하는, 운영 서버.
In the operating server of the game operating system,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game progress time, or scor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Receiv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or a game tool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btain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player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acquired player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An operation server that stores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at changes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시된 경기의 진행에 따른 득점을 포함한 경기 진행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경기 진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경기 진행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진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운영 서버.
According to clause 11,
The control unit,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receive gam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scor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operation server that stores the received game progress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game progress based on the received game progress information.
경기 운영 시스템의 운영 서버에서 경기 진행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사용자 또는 경기 도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미리 선수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상응한 선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한 선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선수 이름 또는 팀 이름 중 적어도 하나, 경기 진행 시간 또는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를 변경한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한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In a method of providing game progress from the operating server of the game operating system,
Receiv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or game tool from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A process of obtaining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player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transmitting the obtained player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Receiving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or a team name, a game progress time, or a score, or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that changes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process; and
A method comprising storing and displaying the received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기 편성 정보 또는 상기 제2 경기 편성 정보에 대응한 경기가 개시되면, 상기 개시된 경기의 진행에 따른 득점을 포함한 경기 진행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보드 터미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한 경기 진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경기 진행 정보를 기반으로 경기 진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When a g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me schedule information or the second game schedule information is started, receiving game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scor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tarted game from the at least one scoreboard terminal; an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storing the received game progress information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game progress based on the received game progress information.
경기 운영 시스템의 스코어보드 터미널에 포함된 스코어보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장착 슬롯, 상기 장착 슬롯 내측 면에 마련된 체결 포트, 및 장착 슬롯의 좌측 또는 우측에 약간의 높이를 갖는 홈의 형상으로 마련된 인출 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태그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슬롯에 라켓 센서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장착 슬롯에 마련된 체결 포트와 상기 라켓 센서 모듈에 마련된 통신/전원 포트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라켓 센서 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며, 상기 라켓 센서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라켓 센서 모듈에서 스코어보드 터미널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스코어보드 어셈블리.
In the scoreboard assembly included in the scoreboard terminal of the game management system,
Display provided at the front;
A plurality of tags including a mounting slo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so as not to overlap the display, a fastening po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lot, and a pull-out groove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with a slight height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ounting slot. Contains a slot,
When the racket sensor module is mounted in the mounting slot, the fastening port provided in the mounting slot and the communication/power port provided in the racket sensor module are electrically coupl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racket sensor module to charge the racket sensor. A scoreboard assembly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containing the modul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acket sensor module to the scoreboard terminal.
KR1020220088617A 2022-07-19 202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KR202400113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617A KR20240011318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617A KR20240011318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318A true KR20240011318A (en) 2024-01-26

Family

ID=8971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617A KR20240011318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3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755B1 (en) 2014-11-20 2015-12-24 주식회사 여우전자 System for proceeding table tennis game with multiple shock sensor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ores of table tennis game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755B1 (en) 2014-11-20 2015-12-24 주식회사 여우전자 System for proceeding table tennis game with multiple shock sensor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ores of table tennis game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5949B1 (en)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beer pong game, and online beer pong game system
US6652284B2 (en) Virtual assistant coach
US20020049507A1 (en) Recording game information into a server
KR1012232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Billiard Game Using Touch-Screen Monitor
CN110225412B (en) Video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206577350U (en) A kind of style contest timing and scoring system
CN103747278A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of sport television show
CN109126099A (en) Long-range judgement method and its system
KR202400113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ch
KR20210139021A (en) Sports Game Management System for Matches among Members
CN107115670A (en) A kind of anagrammatism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CN112631172A (en) Cloud intelligent rope skipping handle, automatic networking method and student movement network platform
CN109045679B (en) Chess and card recognition system and chess and card system
KR101420169B1 (en) System for online golf competition service using screen golf device
CN112135067B (en) System, method, memory and device for direct competition and guess interaction and group transmission
KR102288745B1 (en) Billiards game ranking 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KR100711515B1 (en) Th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rtial arts tournament
KR101953803B1 (en) Dart game system
JP2002027431A (en) Question distribution and answer collection system
US11908284B2 (en) Combining sports wagering and television spor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2000139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able multiview features
US20090023522A1 (en) Method of playing a golf game
JP7158770B2 (en) Game viewing system, video collection and distribution device, program for spectator terminal and video collection and distribution device, and program for spectator terminal
CN112533011B (en) Live broadcast system, method and equipment
US20220118357A1 (en) Interactive video streaming apparatus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