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868A -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868A
KR20240010868A KR1020220088143A KR20220088143A KR20240010868A KR 20240010868 A KR20240010868 A KR 20240010868A KR 1020220088143 A KR1020220088143 A KR 1020220088143A KR 20220088143 A KR20220088143 A KR 20220088143A KR 20240010868 A KR20240010868 A KR 20240010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information
drug
smart
me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주)아이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쿱 filed Critical (주)아이쿱
Priority to KR102022008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868A/ko
Publication of KR2024001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5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dispensing of multiple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약통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약통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처방된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약통으로부터 상기 약제 수납부별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SMART MEDICINE BOX CONTROL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마트 약통에 수납된 소정의 약제를 인입 및 배출하는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시 치료수단으로 약을 제때 복용하여 약제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은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현대인의 경우, 기억에만 의존하여 약을 복용하기 때문에 직장에 출근하여 일에 집중하거나 다른 일에 몰두하거나 외출하는 경우에 자신도 모르게 약 복용을 잊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그에 따라 약효가 떨어지고 치료 효과도 감소하여 환자의 건강도 나빠지게 된다.
또한, 만성질환자, 중증환자 및 고령 환자의 경우, 약 복용 사실을 망각하거나 착오로 인해 중복하여 약을 복용할 수 있고, 질환이 심하게 나타나면 자의적으로 권장량 이상의 약을 복용하여 그에 따라 점점 병세가 악화되어 생명이 위독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부에 약을 담아서 보관한 후 휴대하고 다니다가 복용 시간이 되면 타이머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그 복용 시간을 정확히 알려주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약을 꺼내어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약통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알림을 제공하더라도 상기 알림에 따라 실제로 사용자가 정시에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까지는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중증환자가 자의적으로 권장량 이상의 약을 복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기능에 대하여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여전히 사용자의 정량 복용을 유도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환자가 처방약에 대한 복용 현황을 의사 및 보호자에게 구두로 보고하게 되면 의사 및 보호자는 환자의 기억에만 의존한 내용만을 획득하게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와 연동되는 시스템에 대하여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아 환자의 처방약 복용에 따른 호전 정도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 개발 및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158454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용할 약을 종류별로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방된 약의 종류별 잔여 약의 개수를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처방약 복용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기록을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약통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약통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처방된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약통으로부터 상기 약제 수납부별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정보 내 약제 종류와 상기 약제 수납부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약제 수납부에 내장된 약제 개수와 상기 처방정보 내 약제 개수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의 잔여 약제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약통으로부터 상기 약제 수납부별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약통의 제n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n 센서를 기초로 상기 제n 약제 수납부로부터 배출된 약제의 개수를 센싱한 제n 개수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 약통의 제n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n 센서를 기초로 상기 제n 약제 수납부와 연결된 제n 약제 출입부의 개방 및 폐쇄 여부를 센싱한 제n 개폐 여부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 약통의 제n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n 센서를 기초로 상기 제n 약제 수납부에 잔여하는 약제의 무게를 센싱한 제n 무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n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대응되는 약제 수납부의 약제 수납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출 약제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개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출 개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의 획득 시간을 기초로 상기 배출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약제 배출정보를 상기 약제 종류별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방정보는 약제 용량, 1회 투여량, 전체 투여량, 1일 투여횟수, 복약 시간, 처방 날짜 및 투약 일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제 종류별 정상 복약 시간 및 정상 복약량을 포함하는 정상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상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약제 배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약제를 처방받은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의 바이오 요소별 정상 바이오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는 외부 기기를 연동하는 단계와, 상기 연동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소정의 바이오 요소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상 바이오 기준값 및 상기 수신된 바이오 정보에 포함된 바이오 요소별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시스템은, 소정의 약제를 내장하는 약제 수납부, 상기 약제 수납의 통로를 제공하는 약제 출입부, 상기 약제 출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약제의 출입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및 상기 스마트 약통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처방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와 연동하여 상기 약제 수납부별 센서부를 기초로 획득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처방정보는 약제 용량, 1회 투여량, 전체 투여량, 1일 투여횟수, 복약 시간 및 투약 일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복용할 약을 종류별로 제어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정시, 정량 복용이 유도되어 복약 순응도(환자가 처방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정도)를 향상시키고 약물 섭취의 남용 및 오용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건강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처방된 약의 종류별 잔여 약의 개수를 제공함으로써 의료인에게 있어서 추후 재 처방 시 약제의 종류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퍼런스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처방약 복용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기록을 제공함으로써 환자 및 보호자에게는 환자의 복용 현황을 용이하게 알리는 효과가 있고 의료인에게 있어서는 환자의 경험 및 기억에 의존하지 않는 정확한 복용 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여 처방의 객관성 및 보호조치의 적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약통에 기초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약통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례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시스템은, 환자의 올바른 처방약 복용을 위해 상기 스마트 약통에 수납된 소정의 약제를 정시에 정량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을 제어하는 서비스(이하,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 약통(100), 단말(200), 서비스 제공서버(300) 및 네트워크(10: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약통(100), 단말(200) 및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10)는, 스마트 약통(100),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1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현하는 스마트 약통(100), 단말(200) 및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스마트 약통(100: Smart Medecine Box)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은, 환자가 가진 증상 및 환자로부터 발현되는 통증을 치료 및 완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를 수납하고, 인입 및 배출을 제어하여 수납된 소정의 약제를 환자에게 정시에 정량으로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마트 약통(100)을 사용하는 환자를 사용자라고 지칭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상기 스마트 약통(100), 단말(200) 및/또는 타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납된 소정의 약제를 환자에게 정시에 정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단말(200) 및/또는 타 단말(예컨대, 웨어러블 기기)에 등록된 장치가 될 수 있고, 상기 단말(200) 및/또는 타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스마트 약통(100)으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상기 단말(200), 타 단말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약통(100)은 사용자에게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약통(100)은, 약제 출입부(110), 개폐부(120), 약제 수납부(130), 센서부(140), 입출력 시스템부(150), 통신부(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출입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마트 약통(100)의 내부로 소정의 약제를 주입하거나 스마트 약통(100)에 내장된 소정의 약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약제 출입부(110)는 사용자가 복용해야 할 1회 분 이상의 약제를 주입하거나, 1회 분의 약을 배출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 및/또는 폐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폐부(12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모드(예를 들어, 잠금 모드 및/또는 해제 모드 등)가 설정되어 상기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 및/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120)는 상기 약제 출입부(110)와 일체형 및/또는 개별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약제 수납부(130)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약제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약제 수납부(130)는, 수납되는 약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인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Partition)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파티션을 기초로 약제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수납부(130)는 상기 약제 출입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한 약의 유무, 증감, 출입 및 상기 개폐부(130)의 개폐 여부 등을 소정의 센서를 기초로 측정할 수 있다.
자세히, 센서부(140)는, 이미지 센서, 위치 센서, 오디오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감지 센서, 압력 센서 및/또는 무게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40)는, 약제 출입부(110) 상에 배치된 감지 센서 및/또는 적외선 센서를 기초로 약제의 인입 및 배출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센서부(140)는, 약제 수납부(130) 상에 배치된 무게 센서를 기초로 내부에 수용된 약제의 무게를 측정 및 감지할 수 있다.
입출력 시스템부(150)는, 입력을 수행하는 조작부(151), 출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53) 및 알림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51)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작부(151)는, 버튼, 터치 센서 및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구성도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튼으로 구현된 조작부(151)에 기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조작부(151)는, 수납된 약제의 종류 별 개수를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 수납되는 약제를 복용해야 하는 타이머 시간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소정의 알림을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3)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 이미지(예컨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등)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3)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의 복약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 정보, 내장된 약제의 유무 정보 및/또는 개수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55)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부(155)는, 소정의 LED 센서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정의 빛 및/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알림부(155)는, 사용자가 복약 시간이 아닐 때 복약을 위해 약제 출입부(110)를 강제로 개방하려 할 때, 기 설정된 복약 시간에 도달했을 때 등의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빛 및/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단말(200) 및/또는 타 단말과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60)는, 근거리 통신(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등)을 통해 단말(200) 및/또는 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200)이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6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2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저장부(170)는, ~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7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1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저장부(17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스마트 약통(100)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수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수납부(130)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출입부(110), 개폐부(120) 및 센서부(140)와 연결되어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수납부(130)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기초로 각 약제 수납부(130) 별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140)를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의 약제 수납부(130)로부터 배출된 약제의 개수를 센싱한 개수 데이터, 개폐부(120)에 의한 약제 출입부(110)의 개방 및 폐쇄 여부를 센싱한 개폐 여부 데이터 및 약제 수납부(130)에 잔여하는 약제의 무게를 센싱한 무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제n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n 센서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n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는 후술되는 단말(200)에 의해 각 약제 수납부 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 생성 시 기초가 되는 데이터일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통신부(160)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상기 센싱 데이터를 전송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200)로부터 개폐부(120)와 연결된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 및/또는 폐쇄하는 소정의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에 따라 약제 출입부(110)를 이동시켜 약제 수납부(130)에 내장된 소정의 약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스마트 약통(100)은, 한 종류의 약제를 수용하는 하나의 약제 수납부(130)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100) 및/또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구분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약제 수납부(130)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1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이 한 종류의 약제를 수용하는 하나의 약제 수납부(130)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100)으로 구현된 경우, 다양한 종류의 약제를 복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복수 개의 스마트 약통(1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스마트 약통(100)은, 각 스마트 약통(100)마다 개별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각 스마트 약통(100)이 상기 단말(200)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른 제1 스마트 약통은 제1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스마트 약통은 제2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3 스마트 약통은 제3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스마트 약통은, 각 스마트 약통에서 생성된 제1 내지 제3 센싱 데이터를 단말(20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말(200)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이 복수 종류의 약제를 구분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약제 수납부(130)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100)으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스마트 약통(100)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약통(100)은, 각 약제 수납부(130)에 배치된 센서별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각 약제 수납부(130)와 연결된 개폐부(120)가 상기 단말(200)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은, 제1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1 센서에 기초한 제1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2 센서에 기초한 제2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3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3 센서에 기초한 제3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은, 제1 내지 제3 센싱 데이터를 단말(20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약제 수납부와 연결된 제1 내지 제3 개폐부가 각각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들이다. 도 3의 (a)에는 한 종류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스마트 약통의 외형이, (b)에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스마트 약통의 외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약제 출입부(110)는 개폐부(120)에 의해 전자적인 방법으로 자동 개폐되는 덮개로, 도시된 일례와 같이 x축을 기준으로 개폐되는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약제 출입부(110)는, 스마트 약통(100)의 내부에 위치한 약제 수납부(130)를 외부와 연통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개방 시 약제 수납부(130)에 소정의 약제를 주입하거나 상기 약제 수납부(130)에 내장된 소정의 약제를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폐부(120)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약제 출입부(110)의 내부 및/또는 외부 중 어느 한 영역의 일측에 포함되거나 상기 약제 출입부(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한 전력 공급을 위해 별도의 전력선과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약제 수납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의 약제를 수납하기 위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으로, 스마트 약통(100) 내부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약제 수납부(130)는, 사용자가 수납된 약제의 종류 및/또는 개수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약제 수납부(130)는, 약제 출입부(110) 및 개폐부(120)와 연결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내장된 소장의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약제 출입부(110), 개폐부(120) 및 약제 수납부(130)는, 일 실시예에서는 한 종류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해 스마트 약통(100) 상에 하나씩 존재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해 스마트 약통(100) 상에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약통(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출입부(110-1, 110-2), 개폐부(120-1, 120-2) 및 약제 수납부(130-1, 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도 3의 (a)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마트 약통(100)과 약제 출입부(110), 개폐부(120) 및 약제 수납부(130)의 개수만이 상이할 뿐 구동 방법 및 역할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내용은 제외하고 상이한 내용에 대하여만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120-1, 120-2) 및 약제 수납부(130-1, 130-2)는, 상기 약제 출입부(110-1, 110-2)와 상응하는 개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약제의 종류 개수에 따라 더 많은 개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약제 출입부(110-1), 제1 개폐부(120-1) 및 제1 약제 수납부(130-1)는 서로 연결되어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상기 제1 개폐부(120-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약제 수납부(130-1)에 내장할 제1 약제를 상기 제1 약제 출입부(110-1)를 통해 주입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상기 제1 개폐부(120-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약제 수납부(130-1)로부터 배출할 제1 약제를 상기 제1 약제 출입부(110-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약제 출입부(110-2), 제2 개폐부(120-2) 및 제2 약제 수납부(130-2)도 서로 연결되어있을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해당 내용을 준용하여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은, 복수 개의 약제 수납부(130-1, 130-2)에 서로 다른 종류 및/또는 용량의 약제를 주입하고, 각 약제 수납부와 연결된 개폐부(120-1, 120-2)를 제어하여 약제 출입부(110-1, 110-2)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복용 시간 및/또는 용량에 따라 알맞은 종류 및/또는 용량의 약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약통(100)을 복수 개의 약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100)에 기준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조작부(151)는, 스마트 약통(100)의 일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조작부(15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스마트 약통(100) 어느 일측에든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3)는, 스마트 약통(100)의 일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3)는, 출력되는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스마트 약통(100) 어느 일측에든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알림부(155)는, 스마트 약통(100)의 일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센서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알림부(155)는, 출력되는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스마트 약통(100) 어느 일측에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151), 디스플레이부(153) 및 알림부(155)는, 각 약제 수납부(110-1, 110-2)에 내장된 약제의 유무 정보 및/또는 개수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각 약제 수납부(110-1, 110-2)의 개수만큼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100)은, 단말(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마트 약통(100)에 수용된 소정의 약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 단말(200: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약통 제어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정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자세히,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정형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이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로 구현된 것에 기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200)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소정의 서버(Server)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주로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200-1)과 주로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인 단말(200-2)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단말(200-1)과 의료인 단말(200-2)은, 사용하는 주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200)이 수행하는 기능적 특징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적 관점에서 단말(200)은, 메모리(210), 프로세서 어셈블리(220), 통신 프로세서(230), 인터페이스 모듈(240), 입력 시스템(250), 센서 시스템(2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단말(2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210)에는, 애플리케이션(211)이 저장되며,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21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1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200)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2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21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210)의 애플리케이션(2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2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21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단말(200)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2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23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23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 프로세서(23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소스를 저장한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받은 컨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세서(23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타 단말 및/또는 외부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23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2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단말(200)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단말(2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2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가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2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시스템(250)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시스템(250)은 소정의 버튼, 터치 센서 및/또는 사용자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스템(250)은,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260)은, 이미지 센서(261), 위치 센서(IMU, 263), 오디오 센서(265),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261)는, 단말(200)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261)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영상(예컨대, 사용자 영상 등)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61)는, 단말(2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2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261)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261)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61)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2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이미지 센서(261)는,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200)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외부의 장치(예컨대, 외부의 서버 등)에 포함되어 상술된 통신 프로세서(230) 및/또는 인터페이스 모듈(240)에 기초한 연동을 통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위치 센서(IMU, 263)는, 단말(2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IMU, 263)는, 통신 프로세서(230)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프로세서(230)과 연동하여, 단말(2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265)는, 단말(2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센서(265)는,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265)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270)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시스템(270)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난청 재활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기반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2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271) 상에 터치 센서(27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2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71)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2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271)는 터치 센서(27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2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2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소정의 딥러닝 모델(Deep learning model)과 연동하여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에 필요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소정의 이미지에 기초한 이미지 처리 프로세스(예컨대,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딥러닝 모델은, STT(Speech-to-text) 딥러닝 모델, Speech recognition 딥러닝 모델, HMM(Hidden Markov Model) 기반 딥러닝 모델 및/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기반 딥러닝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200)은, 후술되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 서비스 제공서버(300: Service Providing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단말(2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가 구동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환자 단말(200-1) 및/또는 의료인 단말(200-2) 등)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애플리케이션(211)이 동작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스마트 약통(100) 및/또는 단말(200) 등)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상기 제공된 소정의 데이터에 기초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맞춤형 딥러닝 모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소정의 딥러닝 모델(Deep learning model)과 연동하여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에 필요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상기 딥러닝을 수행하기 위해 구축되어 있는 소정의 딥 뉴럴 네트워크 구동 프로그램을 메모리 모듈(330)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소정의 딥 뉴럴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라 하기 기술하는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딥러닝 모델은, STT(Speech-to-text) 딥러닝 모델, Speech recognition 딥러닝 모델, HMM(Hidden Markov Model) 기반 딥러닝 모델 및/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기반 딥러닝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위와 같은 딥러닝 모델은,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직접 포함되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와는 별도의 장치 및/또는 서버로서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위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처방정보, 약제 수납정보, 약제 배출정보 및 약제 관리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모듈(310: Processor Module)과,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모듈(320: Communication Module)과,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330: Memory Module)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모듈(230)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모듈(330)은,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서버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서버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모리 모듈(330)은,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 모듈(3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모듈(330)은, 서버 상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 모듈(310)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유닛(unit)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모듈(310)은,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서버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 모듈(33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서버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310)은,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310)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서버(3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서버(3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단말(2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300)에서 더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1)이 환자의 올바른 처방약 복용을 위해 스마트 약통(100)에 수납된 소정의 약제를 정시에 정량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200)은 환자 단말(200-1) 및 의료인 단말(200-2)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자 단말(200-1)의 애플리케이션(211)이 수행하는 것에 기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11)을 실행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애플리케이션(211)의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동작하여 상술된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 애플리케이션(211)이 수행하는 것으로 단축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진료 및/또는 치료 등에 따른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단말(실시예로, 환자 단말(200-1) 및 의료인 단말(200-2) 중 적어도 하나)을 기초로 진료 및/또는 치료 등에 따른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처방정보란, 처방된 약제에 포함된 각 약제 별 명칭, 종류, 개수, 용량, 1회 투여량, 전체 투여량, 1일 투여횟수, 복약 시간, 처방 날짜 및 투약 일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처방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환자 단말(200-1)을 기초로 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가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내용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입력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환자 단말(200-1)로 제공된 입력 프로세스를 기초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처방약에 포함된 “A 약제”에 대하여는 용량은 “5mg”, 1회 투여량은 “1알” 등의 데이터를, “B 약제”에 대하여는 용량은 “10mg”, 1회 투여량은 “1알” 등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한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가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전자 및/또는 종이 처방전을 기초로 처방 내용을 추출함으로써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이 처방전을 기초로 처방정보를 획득하는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종이 처방전을 촬영하고 이에 따른 처방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이미지 센서(261)를 기초로 종이 처방전을 스캔 및 촬영하고, 상기 종이 처방전을 스캔 및 촬영한 이미지인 처방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처방전 이미지에 기초한 이미지 처리 프로세스(예컨대,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수행된 광학 문자 인식(OCR)을 기초로 상기 획득된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의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A 약제”라는 처방약의 명칭, “5mg”라는 약제의 용량, “1알”이라는 약제의 1회 투여량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광학 문자 인식(OCR)을 수행하여 처방전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함으로써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의료인 단말(200-2)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처방전을 수신함으로써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의료인 단말(200-2) 상에서는 진료한 환자에 대한 처방전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처방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의료인 단말(200-2)에서 제1 환자에 대한 처방전을 등록하면 상기 제1 환자의 단말인 환자 단말(200-1)로 등록된 처방전을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의료인 단말(200-2)에서 제1 환자에 대한 처방전을 등록하고, 상기 제1 환자의 단말인 환자 단말(200-1)로 전송하는 수동 입력을 기초로 등록된 처방전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환자 단말(200-1) 상에서는 전송된 처방전을 수신함으로써 처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처방정보에 따라 처방된 약을 스마트 약통(100)의 약제 수납부(130)에 종류별로 인입 및 보충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의 복수 개의 약제 수납부 별로 한 종류의 약제씩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S103)
실시예에서 약제 수납정보란, 현재 스마트 약통(100)의 약제 수납부(130)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써, 각 약제 수납부(130)는 각각 다른 종류의 약제를 포함하므로 약제 종류를 결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따른 환자 단말(200-1)의 사용자 입력, 의료인 단말(200-2)의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211)에 의한 자동 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환자 단말(200-1)을 기초로 사용자(실시예예서, 환자)가 스마트 약통(100)의 약제 수납부(130)에 어떤 종류의 약제를 얼마나 넣었는지를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환자 단말(200-1)을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의 각 약제 수납부(130-1, 130-2)별로 처방받은 약 중 어떤 종류의 약제를 주입하였는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처방정보에 포함된 약제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표시된 약제 종류 중 각 약제 수납부(130-1, 130-2)별로 주입한 약제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가 “A 약제” 및 “B 약제”를 포함하는 약을 처방받았다고 가정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약제 수납부(130-1)에 “A 약제”를, 제2 약제 수납부(130-2)에 “B 약제”를 주입하였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환자 단말(200-1)을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의 각 약제 수납부(130-1, 130-2) 별로 주입된 약제를 얼마나 넣었는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소정의 입력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공된 입력 프로세스를 기초로 각 약제 수납부(130-1. 130-2)별로 주입한 약제의 양을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입력되는 종류별 약제의 개수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약제별 개수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약제 수납부(130-1)에 수납된 “A 약제”에 대하여는 “10알”, 제2 약제 수납부(130-2)에 수납된 “B 약제”에 대하여는 “20알”을 주입하였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환자 단말(200-1)을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의 각 약제 수납부(130-1, 130-2) 별로 주입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를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의료인 단말(200-2)을 기초로 사용자(실시예에서, 의사)가 스마트 약통(100)의 약제 수납부(130)에 어떤 종류의 약제를 얼마나 넣었는지를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의료인 단말(200-2)을 기초로 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와 주체만이 상이하고 나머지 환자 단말(200-1)을 기초로 하는 내용에서의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를 준용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약제 수납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종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종류 중 한 종류의 약제를 스마트 약통(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수납부(130) 중 하나의 약제 수납부(130)와 1:1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매칭되는 한 종류의 약제 및 하나의 약제 수납부(130)를 랜덤 방식 및/또는 동일한 종류의 약제를 내장하고 있는 대응 약제 수납부(130)를 검출하여 매칭하는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제1 약제를 스마트 약통(100)의 제1 약제 수납부와 매칭되도록 랜덤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모든 약제를 상술된 바와 같이 결정된 약제 수납부(130)에 각각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약통(100)의 각 약제 수납부(13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제가 잔여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종류를 각 약제 수납부(130)와 매칭함으로써 약제 수납정보에 포함되는 잔여 약제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각 약제 종류별 개수정보를 각 약제 수납부(130)의 잔여 약제 개수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개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개수를 각 약제 종류와 매칭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제1 약제의 개수가 10개인 경우, 스마트 약통(100)의 제1 약제 수납부에 결정된 잔여 약제 종류인 제1 약제에 대한 잔여 약제 개수를 10개로 매칭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개수를 각 약제 수납부(130)에 기 매칭된 약제 종류와 매칭함으로써 약제 수납정보에 포함되는 잔여 약제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약제 수납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각 약제 수납부별 약제 수납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생성된 약제 수납정보에 따라 소유한 소정의 약제를 각 약제 수납부(130)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의 약제 보충에 따라 상기 약제 수납정보에 포함된 잔여 약제 종류에 대해 소정 개수의 약제를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기 저장된 약제 수납정보의 잔여 개수 정보에 입력된 잔여 개수 값을 합산함으로써 기 저장된 약제 수납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으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 약통(100) 이용에 따른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약통(100)에 내장되어 있던 약제의 종류 별 배출 시점, 횟수 및 개수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약제가 배출된 시점을 사용자가 약을 복용한 시각으로, 약제의 배출 개수를 사용자가 복용한 약의 개수로 간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에 내장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약제가 외부로 토출될 때마다 스마트 약통(100)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데이터는, 스마트 약통(100)의 센서부(140)를 기초로 생성된 센싱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함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에 내장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약제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의 약제 출입부(110) 및/또는 약제 수납부(130) 상에 배치된 소정의 센서(예컨대,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및/또는 무게 센서 등)로부터 개수 데이터, 개폐 여부 데이터 및 무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획득되는 제n 센싱 데이터는, 제n 약제 수납부, 제n 약제 수납정보 및 제n 센서와 매칭된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n 센서를 기초로 센싱된 제n 센싱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제n 센싱 데이터와 매칭된 제n 약제 수납부 및 제n 약제 수납정보를 기초로 외부로 토출된 약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n 센서를 기초로 센싱된 제n 센싱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제n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개수 데이터를 기초로 외부로 토출된 약제의 배출 개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n 센서를 기초로 센싱된 제n 센싱 데이터의 획득 시점 및 획득 횟수를 기초로 외부로 토출된 약제의 배출 시점 및 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의 제n 약제 수납부 및/또는 약제 출입부 일측에 배치된 센서를 기초로 제n 약제 수납부로부터 배출된 약제의 개수를 센싱한 개수 데이터, 개폐부(120)에 의한 약제 출입부(110)의 개방 및 폐쇄 여부를 센싱한 개폐 여부 데이터 및 약제 수납부(130)에 잔여하는 약제의 무게를 센싱한 무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n 센싱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제n 약제 수납부에 잔여하는 약제의 종류별 배출 시점, 횟수 및 개수를 포함하는 제n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기 저장된 약제 수납정보의 잔여 개수 정보에서 약제 배출정보에 포함된 배출 개수를 추가 및/또는 차감함으로써 기 저장된 약제 수납정보에 포함된 잔여 개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배출정보를 약제 종류별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으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 및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처방약을 복용한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복약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을 제어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약제 배출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하거나 타 단말(실시예에서, 의료인 단말(200-2) 및/또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따라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스마트 약통(1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환자의 정상 복약 시간 및 정상 복약량을 포함하는 정상 기준값을 기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S107 단계에서 생성된 약제 배출정보에 포함된 약제의 종류 별 배출 시점, 횟수 및 개수 정보 및 기 설정된 정상 기준값에 포함된 정상 복약 시간 및 정상 복약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약제 배출정보 및 기 설정된 정상 기준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스마트 약통(100)의 개폐부(120)를 제어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타 단말의 사용자인 의료인 및 보호자가 환자의 복약 시간 및 복약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S107 단계에서 생성된 약제 배출정보를 실시간으로 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확인된 환자의 복약 현황에 따라 타 단말로부터 스마트 약통(100)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스마트 약통(100)의 개폐부(120)를 제어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의 개폐부(120) 및/또는 알림부(15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환자의 복약을 유도 및/또는 제한하기 위해 개폐부(120)와 연결된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 및 폐쇄하고 상기 개방 및 폐쇄를 알리기 위해 알림부(155)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개폐부(120)와 연결된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하는 제1 모드 및 개폐부(120)와 연결된 약제 출입부(110)를 폐쇄하는 제2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부(120) 중 제어의 대상이 되는 개폐부(120)를 특정한 정보(이하, 개폐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타 단말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신호는 개폐부 정보 및 상기 개폐부 정보에 포함된 개폐부에 대한 개방 및/또는 해제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약제 배출정보를 기 설정된 정상 기준 값과 비교하거나, 타 단말로부터 개폐부 정보 및 상기 개폐부 정보에 포함된 개폐부에 대한 개방 및/또는 해제 여부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스마트 약통(100)에 소정의 모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약통(100)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약통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례들이다. 도 6의 (A)에는 스마트 약통에 해제 모드가 설정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스마트 약통에 잠금 모드가 설정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의 개폐부(120) 및/또는 알림부(15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스마트 약통(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개폐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부(120)에 잠금 모드 및/또는 해제 모드를 설정하거나 알림부(155)에 포함된 LED 센서 및/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작동시켜 소정의 빛 및/또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스마트 약통(1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상기 제1 모드에 포함된 개폐부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모드에 포함된 개폐부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개폐부(120)에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가 정해진 복약 시간에 A 약제를 복약을 하지 않았을 시에 A 약제가 내장된 제1 약제 수납부(130-1)와 연결된 제1 약제 출입부(110-1)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을 유도하기 위해 제1 개폐부(120-1)를 제어하는 제1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모드는 제1 개폐부(120-1)를 특정하는 개폐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제1 개폐부(120-1)에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약제 출입부(110-1)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 약제 수납부(130-1)에 내장된 A 약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모드가 수행됨에 따라 알림부(155)에 포함된 LED 센서 및/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작동시켜 소정의 빛 및/또는 오디오를 출력함으로써 제1 약제 출입부(110-1)가 개방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복약을 하지 않았을 시 복약하지 않은 약의 복약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2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상기 제2 모드에 포함된 개폐부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출입부(110)를 폐쇄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2 모드에 포함된 개폐부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개폐부(120)에 잠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가 정해진 복약 시간이 아닐 때 A 약제를 복약하려고 시도할 시에 A 약제가 내장된 제1 약제 수납부(130-1)와 연결된 제1 약제 출입부(110-1)를 폐쇄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을 제한하기 위해 제1 개폐부(120-1)를 제어하는 제2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모드는 제1 개폐부(120-1)를 특정하는 개폐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제1 개폐부(120-1)에 잠금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약제 출입부(110-1)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 약제 수납부(130-1)에 내장된 A 약제가 외부로 배출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복약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제2 모드가 수행됨에 따라 알림부(155)에 포함된 LED 센서 및/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작동시켜 소정의 빛 및/또는 오디오를 출력함으로써 제1 약제 출입부(110-1)가 폐쇄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가 정해진 복약 시간 이외의 시간에 복약을 시도할 시에 복약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약물 섭취의 남용 및 오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실시간으로 수집된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약통(100)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웨어러블 단말 및/또는 의료기기 등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된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스마트 약통(1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 정보란, 환자와 관련한 각종 건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환자의 신체활동 및 환자의 신체의 현재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 정보는, 환자의 걸음 수, 활동 시간, 활동 거리, 심박수 및 수면패턴 및 그에 따른 환자의 현재 인슐린 수치, 통증 수치, 혈압 및 체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연동된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바이오 정보에 포함된 요소 별로 정상 바이오 기준값을 기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바이오 기준값은, 환자의 정상 심박수, 정상 인슐린(혈당) 수치, 정상 통증 수치, 정상 혈압 및 정상 체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획득된 바이오 정보에 포함된 각 요소별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정상 바이오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획득된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바이오 기준값보다 미달 및/또는 초과되는 경우, 스마트 약통(100)의 개폐부(120) 및/또는 알림부(15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측정 및 획득된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환자에게 복약이 필요한 경우에는 복약을 유도하고 복약이 금지되는 경우에는 복약을 제한하기 위해 개폐부(120)와 연결된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 및 폐쇄하고 상기 개방 및 폐쇄를 알리기 위해 알림부(155)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개폐부(120)와 연결된 약제 출입부(110)를 개방하는 제1 모드 및 개폐부(120)와 연결된 약제 출입부(110)를 폐쇄하는 제2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연속혈당측정기로부터 측정 및 획득된 혈당 수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바이오 기준값에 포함된 정상 혈당 수치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제1 모드를 설정하여 제1 약제 수납부(130-1)에 내장된 혈당 조절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측정 및 획득된 통증 수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바이오 기준값에 포함된 정상 통증 수치보다 낮은 경우, 제2 모드를 설정하여 제1 약제 수납부(130-1)에 내장된 높은 용량의 진통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라 스마트 약통(100)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내용을 준용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이 스마트 약통(100)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파악된 사용자의 복약 현황에 따라 사용자의 복약을 유도 및/또는 제한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약제 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수집된 사용자에 대한 처방정보, 약제 수납정보, 약제 배출정보 및 바이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인 약제 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약제 관리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 약통 사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시각화하여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표, 그래프, 이미지 및 동영상 등으로 표시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 관리정보는, 진료 시 의사가 환자의 약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확인하고 기존 처방약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의 사용 이전, 사용 중 및 사용 이후에 각각 측정 및 수집된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약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처방정보의 생성 날짜, 약제 수납정보 및 약제 배출정보 획득 날짜 및 바이오 정보 획득 날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각 날짜마다 측정된 지속 통증 수치, 혈압 및 혈당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바이오 정보의 변화 추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점 및/또는 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성되는 그래프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예컨대, 일, 주 및/또는 월 등의 단위)를 기준으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처방 기간동안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통증 수치, 진통제 복약 시점 및 통증 수치의 변화를 표시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처방정보, 약제 수납정보 및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처방 기간동안 권장된 복용 횟수 및 복용량을 준수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복약 순응도(의사가 처방한 대로 환자가 약을 복용한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계산된 복약 순응도를 포함하는 콘텐츠(예컨대, 표 및/또는 그래프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처방정보에 포함된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및 복약 시간 정보를 기초로 처방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처방 가이드라인은, “1회 투여량: 1알(5mg)”, “1일 투여횟수: 3회”, “복약 시간: 식후 30분” 등의 정보가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상기 설정된 처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각 요소별 수행률을 계산함으로써 복약 순응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가 정량 및 정시 복용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 복약 순응도를 100%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1일 투여 횟수가 3회인 처방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1회만 수행한 경우, 복약 순응도를 약 33%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진료에 따라 획득 및/또는 기록된 환자에 대한 건강 및 치료와 관련된 데이터인 PHR(Personal Health Record)에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처방정보, 약제 수납정보, 약제 배출정보 및 바이오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시각화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100)의 사용 이전 당뇨병 환자 A의 PHR에 포함된 제1 혈당 정보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의 사용에 따라 처방된 소정의 약을 복용한 이후 획득된 바이오 정보에 포함된 당뇨병 환자 A의 제2 혈당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 혈당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당뇨병 환자 A에 대한 혈당 변화를 시각화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누적하여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배출정보 중 하나의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복약 시점을 추출함으로써, 스마트 약통(100)의 사용 이전 및 상기 추출된 복약 시점까지의 바이오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스마트 약통 제어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수집된 처방정보, 약제 수납정보 및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의 종류 별 최종 잔여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기 저장된 약제 수납정보의 잔여 개수 정보에서 약제 배출정보에 포함된 배출 개수를 추가 및/또는 차감함으로써 기 저장된 약제 수납정보에 포함된 잔여 개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 날짜 및 투약 일수를 기초로, 상기 처방 날짜로부터 상기 투약 일수만큼 경과한 날짜에 업데이트된 약제 수납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처방약 복용 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업데이트된 약제 수납정보에 포함된 잔여 개수 정보가 0이면, 사용자가 처방약의 복용을 완료한 것으로 간주하여 복용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업데이트된 약제 수납정보에 포함된 잔여 개수가 0보다 큰 수이면, 사용자가 처방약의 복용을 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여 복용 미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결정된 사용자의 처방약 복용 완료 여부를 약제 관리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의 처방약 복약에 따른 약제 관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건강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약제 관리 정보를 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11)은, 상기 약제 관리정보를 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 및 의료인이 환자의 처방약 복용에 따른 건강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의료인에게 있어서는 약제 종류 별 잔여 개수를 파악하여 어떤 종류의 약이 얼만큼 남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재 처방 시 약제의 종류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퍼런스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복용할 약을 종류별로 제어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정시, 정량 복용이 유도되어 복약 순응도(환자가 처방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정도)를 향상시키고 약물 섭취의 남용 및 오용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건강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처방된 약의 종류별 잔여 약의 개수를 제공함으로써 의료인에게 있어서 추후 재 처방 시 약제의 종류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퍼런스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처방약 복용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기록을 제공함으로써 환자 및 보호자에게는 환자의 복용 현황을 용이하게 알리는 효과가 있고 의료인에게 있어서는 환자의 경험 및 기억에 의존하지 않는 정확한 복용 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여 처방의 객관성 및 보호조치의 적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약통에 기초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1)

  1.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약통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약통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처방된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약통으로부터 상기 약제 수납부별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정보 내 약제 종류와 상기 약제 수납부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약제 수납부에 내장된 약제 개수와 상기 처방정보 내 약제 개수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의 잔여 약제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약통으로부터 상기 약제 수납부별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약통의 제n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n 센서를 기초로 상기 제n 약제 수납부로부터 배출된 약제의 개수를 센싱한 제n 개수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 약통의 제n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n 센서를 기초로 상기 제n 약제 수납부와 연결된 제n 약제 출입부의 개방 및 폐쇄 여부를 센싱한 제n 개폐 여부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 약통의 제n 약제 수납부에 배치된 제n 센서를 기초로 상기 제n 약제 수납부에 잔여하는 약제의 무게를 센싱한 제n 무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n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대응되는 약제 수납부의 약제 수납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출 약제 종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개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출 개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의 획득 시간을 기초로 상기 배출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약제 배출정보를 상기 약제 종류별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정보는 약제 용량, 1회 투여량, 전체 투여량, 1일 투여횟수, 복약 시간, 처방 날짜 및 투약 일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제 종류별 정상 복약 시간 및 정상 복약량을 포함하는 정상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상 기준값 및 상기 획득된 약제 배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를 처방받은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소정의 바이오 요소별 정상 바이오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는 외부 기기를 연동하는 단계와,
    상기 연동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소정의 바이오 요소별 측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정상 바이오 기준값 및 상기 수신된 바이오 정보에 포함된 바이오 요소별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10. 소정의 약제를 내장하는 약제 수납부,
    상기 약제 수납의 통로를 제공하는 약제 출입부,
    상기 약제 출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약제의 출입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및
    상기 스마트 약통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처방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처방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약통의 약제 수납부별 잔여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수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와 연동하여 상기 약제 수납부별 센서부를 기초로 획득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배출 약제 종류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배출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정보는 약제 용량, 1회 투여량, 전체 투여량, 1일 투여횟수, 복약 시간 및 투약 일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약제 배출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제 수납부별 개폐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약통 제어 시스템.
KR1020220088143A 2022-07-18 2022-07-18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10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143A KR20240010868A (ko) 2022-07-18 2022-07-18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143A KR20240010868A (ko) 2022-07-18 2022-07-18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868A true KR20240010868A (ko) 2024-01-25

Family

ID=8972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143A KR20240010868A (ko) 2022-07-18 2022-07-18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8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41B1 (ko) 2015-09-07 2016-01-22 서병현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 및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41B1 (ko) 2015-09-07 2016-01-22 서병현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 및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7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 data collection combining visual data with historical health records metadata
US2019008473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spensing one or more substances
CN103366323B (zh) 执行用户定制的健康管理的用户终端装置和系统及其方法
US20150199484A1 (en) Using sensors and demographic data to automatically adjust medication doses
US20090326509A1 (en) Context aware medical monitoring and dosage delivery device
CN108882892A (zh) 跟踪患者运动的系统和方法
Eggerth et al. Medication management nee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based approaches, including telehealth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N107851225A (zh) 健康维护咨询技术
BR112016025512B1 (pt) Biométrica para identificação de usuário em sistemas de saúde móveis
KR101600379B1 (ko)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혈당 관리 방법
CN105981070A (zh) 生理数据的呈现
CN108133757A (zh) 用于提供健康管理服务的设备及其方法
KR101501280B1 (ko) 당뇨병 관련 의료정보 송수신 장치
US10973976B2 (en) Control device with recommendations
KR20190047566A (ko)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JP2019531522A (ja) 適応的目標グルコース値による基礎滴定
US20200345299A1 (en)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with a Dosage Regimen
CN116529687A (zh) 用于血管通路装置放置的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Singh et al. Industry 4.0 internet of medical things enabled cost effective secure smart patient care medicine pouch
KR20240010868A (ko) 스마트 약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92603A1 (en) Exercise safety prediction based on physiological conditions
JP6780035B2 (ja) グルコース測定値およびインスリンペンデータに基づくインスリン治療のための計画アドヒアランス測定
WO201619614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spensing one or more substances
US20210393486A1 (en) Controlled compliance medication dispenser system
US20210313037A1 (en) Early exercise detection for diabetes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