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834A -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 Google Patents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834A
KR20240010834A KR1020220088029A KR20220088029A KR20240010834A KR 20240010834 A KR20240010834 A KR 20240010834A KR 1020220088029 A KR1020220088029 A KR 1020220088029A KR 20220088029 A KR20220088029 A KR 20220088029A KR 20240010834 A KR20240010834 A KR 20240010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
vision assistance
fixing pa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환
Original Assignee
유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환 filed Critical 유승환
Priority to KR102022008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834A/ko
Publication of KR2024001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를 제공한다. 렌즈와 상기 렌즈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맞춤 체결되고 다양한 VR 장비와 결합 가능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저시력을 가진 사용자가 여러가지 VR 장비를 사용할 때마다 매번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 렌즈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다양한 VR 기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Glasses for VR vision aid}
본 발명은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맞춤 체결되고 다양한 VR 장비와 결합 가능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저시력을 가진 사용자가 여러가지 VR 장비를 사용할 때마다 매번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 렌즈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다양한 VR 기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산업은 게임, 영화, 공연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엔지니어링, 디자인, 헬스케어, 군사, 교육 등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VR 기기를 접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안경을 착용하는 저시력자는 눈과 VR기기 사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안경이 VR 기기에 닿거나 착용감을 떨어트려 큰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VR 기기 내에 시력 교정 장치가 포함되거나 VR 기기의 렌즈를 도수 렌즈로 교체하는 등의 방법이 쓰이고 있지만 다양한 VR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매번 기기에 알맞은 도수 렌즈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부담이 큰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VR기기에 쉽게 적용 할 수 있는 저시력자를 위한 시력 보조 방법 관련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0900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설정된 도수를 가지는 렌즈, 상기 렌즈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맞춤 체결되고 다양한 VR 장비와 결합 가능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매번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 렌즈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다양한 VR 기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VR 기기에 장착하여 사용가능한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에 있어서, 상기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설정된 두께의 테두리를 가지는 프레임인 가이드부;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설정된 두께의 테두리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상기 가이드부와 맞춤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고, 설정된 도수를 가지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와 맞춤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인 그립홈; 및 상기 렌즈를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정된 각도로 형성되는 홈인 렌즈고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형성되는 단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층 구조의 상측면을 따라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돌기인 잠금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다양한 VR기기와 체결돌기 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방법, 자석을 형성하여 자력으로 체결되는 방법, 상기 VR 기기의 장착 부분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하거나 단층 구조를 형성하여 끼워 넣어 체결되는 방법 및 벨크로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맞춤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380nm 내지 440nm의 단파장 광선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는, 외측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인 제1자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내측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으로 상기 제1자석과 맞춤 체결되는 제2자석;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자력으로 쉽게 맞춤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서 상기 조절노브를 회전시키면 나사산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조절노브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를 고정시켜 상기 렌즈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는, VR 기기가 달라질 때마다 매번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도수 렌즈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에게 알맞은 도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글라스를 다양한 VR 기기에 쉽게 탈부착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평상시에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도 안경을 착용하고 VR 기기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주고, 비용면에서 절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고정부와 가이드부의 회전 조립형 구조로 내구성이 높고 렌즈의 교체가 쉬운 형태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분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고정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고정부를 수직 절단하였을 때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고정부의 회전 조립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가이드부를 수직 절단하였을 때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고정부와 가이드부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의 렌즈 고정 예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분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고정부(110)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고정부(110)를 수직 절단하였을 때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설정된 두께의 테두리를 가지는 프레임인 가이드부(150),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설정된 두께의 테두리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상기 가이드부(150)와 맞춤 결합되는 고정부(110) 및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될 수 있고, 설정된 도수를 가지는 렌즈(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130)는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380nm 내지 440nm의 유해한 단파장 광선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10)는,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150)와 맞춤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쉽게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11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인 그립홈(111) 및 상기 렌즈(130)를 상기 고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정된 각도로 형성되는 홈인 렌즈고정라인(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홈(111)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잡고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110)와 가이드부(150)가 결합되거나 상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110)와 가이드부(15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고정라인(112)은 상기 렌즈(130)를 정방향에서는 쉽게 끼울 수 있지만 역방향으로 빠지지 않는 산각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내구성이 높은 회전 조립형 구조를 가져 교체가 쉽고, 산각을 적용하여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되는 상기 렌즈(130)의 변형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눈두덩이 부분에 상기 고정부(110)의 일부가 닿더라도 라운드(Round)가 큰 면에 닿아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면 처리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고정부(110)의 회전 조립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는 설정된 위치에 도 4의 A 부분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측면이 설정된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설정된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고정부(110)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150)와 결합시키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15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상기 돌기가 쉽게 결합될 수 있지만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더 큰 힘을 필요로 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가이드부(15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가이드부(150)를 수직 절단하였을 때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형성되는 단층 구조(도 5의 B부분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층 구조의 상측면을 따라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돌기인 잠금돌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돌기(151)는 상기 고정부(110)를 어느 위치에서 돌리더라도 락을 걸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150)의 상기 단층 구조의 경사면을 타고 회전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복수개의 상기 잠금돌기(151) 각각의 높이를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할수록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형성하여 설정된 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다양한 VR 기기와 체결돌기 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방법, 자석을 형성하여 자력으로 체결되는 방법, 상기 VR 기기의 장착 부분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하거나 단층 구조를 형성하여 끼워 넣어 체결되는 방법 및 벨크로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맞춤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표시된 C부분과 같이 단층 구조를 형성하여 VR 기기 본체에 상기 가이드부(15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착용 중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50)는 다양한 VR 기기 뿐만 아니라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확장현실(XR)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6.5 디옵터와 같은 높은 도수의 렌즈를 장착해도 본체의 VR 렌즈에 간섭이 없도록 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고정부(110)와 가이드부(150)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R시력 보조용 글라스(100)의 렌즈(130) 고정 예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는, 외측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인 제1자석(113)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150)는, 내측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으로 상기 제1자석과 맞춤 체결되는 제2자석(152)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110)와 상기 가이드부(150)가 자력으로 쉽게 맞춤 체결될 수 있어, 간편한 탈부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조절노브(1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에서 상기 조절노브(114)를 회전시키면 나사산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조절노브(114)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130)를 고정시켜 상기 렌즈(130)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100)는 상기 고정부(110)를 통해 상기 렌즈(130)를 고정 후 상기 고정부(110)와 다양한 VR 기기에 장착가능한 상기 가이드부(150)를 결합시켜 저시력을 가진 사용자가 매번 VR 기기에 맞는 도수 렌즈를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안경을 쓰지 않고도 편리하게 VR 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와 상기 가이드부(150)의 회전 조립형 구조로 내구성이 높고 렌즈의 교체가 쉬운 형태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존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110: 고정부
111: 그립홈
112: 렌즈고정라인
113: 제1자석
114: 조절노브
130: 렌즈
150: 가이드부
151: 잠금돌기
152: 제2자석

Claims (7)

  1. VR 기기에 장착하여 사용가능한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에 있어서,
    상기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설정된 두께의 테두리를 가지는 프레임인 가이드부;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설정된 두께의 테두리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상기 가이드부와 맞춤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고, 설정된 도수를 가지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와 맞춤 결합되고,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쉽게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인 그립홈; 및
    상기 렌즈를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정된 각도로 형성되는 홈인 렌즈고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형성되는 단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층 구조의 상측면을 따라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돌기인 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측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인 제1자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내측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으로 상기 제1자석과 맞춤 체결되는 제2자석;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자력으로 쉽게 맞춤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서 상기 조절노브를 회전시키면 나사산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조절노브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를 고정시켜 상기 렌즈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다양한 VR 기기와 체결돌기 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방법, 자석을 형성하여 자력으로 체결되는 방법, 상기 VR 기기의 장착 부분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하거나 단층 구조를 형성하여 끼워 넣어 체결되는 방법 및 벨크로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맞춤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380nm 내지 440nm의 단파장 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KR1020220088029A 2022-07-18 2022-07-18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KR20240010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29A KR20240010834A (ko) 2022-07-18 2022-07-18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29A KR20240010834A (ko) 2022-07-18 2022-07-18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834A true KR20240010834A (ko) 2024-01-25

Family

ID=8972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029A KR20240010834A (ko) 2022-07-18 2022-07-18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8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94B1 (ko) 2018-05-23 2020-03-17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광 시야각을 제공하는 vr 헤드셋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94B1 (ko) 2018-05-23 2020-03-17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광 시야각을 제공하는 vr 헤드셋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1639A (en) Prism section lens spectacles
US9778491B2 (en) Adjustable tint eyewear using polarized filters
US8157375B2 (en) Variable prism eyeglasses
US20070057867A1 (en) Display device
JP2010231119A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JP4333875B2 (ja) 接眼部材及び双眼鏡
JP6038943B2 (ja) 調整可能な眼鏡
JPH09222569A (ja) 光学機器の目当て機構
JP2017118286A (ja) ウェアラブル装置
US7901072B1 (en) Prismatic ocular device and personal video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same
KR20240010834A (ko) Vr 시력 보조용 글라스
KR101106545B1 (ko) 탈부착 및 상ㆍ하 개폐가 가능한 보조 입체안경
CN111929899A (zh) 一种增强现实头戴显示设备
US6984036B1 (en)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WO2018049620A1 (zh) 头戴式电子设备及其显示模组
CN110007463A (zh) 头戴显示装置
CN218003863U (zh) 方便更换镜片的磁吸式墨镜镜框及磁吸式镜片
CN215678944U (zh) 一种弱视矫正眼镜
TWI747419B (zh) 穿戴型光學裝置
TWM636149U (zh) 結合放大鏡之眼鏡結構
US20210141245A1 (en) Eyewear having polarizers
US11112596B1 (en) Arc shaped visual aid
US6877856B1 (en) Spectacles for presbyopia
JPH02242221A (ja) 作業用メガネ
KR200327177Y1 (ko) 쌍안경의 시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