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379A - Controlling method for an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Controlling method for an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379A
KR20240010379A KR1020220165739A KR20220165739A KR20240010379A KR 20240010379 A KR20240010379 A KR 20240010379A KR 1020220165739 A KR1020220165739 A KR 1020220165739A KR 20220165739 A KR20220165739 A KR 20220165739A KR 20240010379 A KR20240010379 A KR 20240010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wire
exercise
length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37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본체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인입되는 와이어와, 와이어가 인출/인입될 때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부하발생기와, 부하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 및 부하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와이어의 인출/인입시 부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운동부하를 설정하기 위한 기본부하를 설정하는 부하 설정단계; 와이어의 인출/인입시 와이어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단계; 및 부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운동부하를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 및 탄성부하에 따라 운동부하를 증가/감소시키는 부하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and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the outer shape, a wi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load generator that provides an exercise load when the wire is drawn out/retracted. In the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load generato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load generator, a basic load for setting the exercise load generated by the load generator when the wire is withdrawn/retracted A load setting step of setting; A wi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withdrawn/retracted; and a load control step of increasing/decreasing the exercise load generated by the load generator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and the elastic load.

Description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CONTROLLING METHOD FOR AN EXERCISE EQUIPMENT}Control method of exercise equipment {CONTROLLING METHOD FOR AN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안착면에 사용자가 올라가 와이어를 인출/인입하는 운동기기에서 와이어의 인출/인입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for controlling the load of the wire being drawn/drawn in in the exercise machine where the user climbs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draws/draws the wire.

일반적으로, 근력 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운동 기기는 일정 단위의 무게를 가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서 근육의 이완 및 수축을 반복 하도록 되어 있다.Generally, exercise equipment used for strength training is designed to repeat muscle relaxation and contraction by pushing or pulling a lever connected to a weight having a certain unit of weight.

이러한 운동 기기 중에는, 이두근 운동을 위한 암컬(Arm curl) 기기, 대흉근 등 가슴 운동을 위한 체스트 프레스(Chest press) 또는 버터플라이(Butterply) 기기, 근육의 운동을 위한 풀 업(Pull up) 기기 등 다양한 운동기기가 존재한다.Among these exercise devices, there are a variety of exercise devices, such as arm curl machines for bicep exercises, chest press or butterfly machines for chest exercises such as the pectoralis major, and pull up machines for muscle exercises. Exercise equipment exists.

근래에 자기관리의 일환으로 휘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집에서 혼자 운동하는 홈 트레이닝이 인기를 끌고 있고, 이와 같은 트랜드에 맞춰 홈 트레이닝을 위한 다양한 운동기기가 제안되고 있다.Recently, home training, which involves exercising alone at home without visiting a fitness center, has become popular as a form of self-management, and in line with this trend, various exercise devices for home training are being proposed.

홈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 기기 중에는 사용자가 해당 운동 기기에 올라가 일어선 상태에서 운동하는 운동 기기, 예컨대, 매트형 운동기기가 있다. 이러한 매트형 운동 기기의 경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에 핸들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핸들을 잡아 당기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운동한다.Among the exercise devices for home training, there are exercise devices that allow the user to exercise while standing up on the exercise device, for example, a mat-type exercise device. In the case of such a mat-type exercise device, a handle is connected to a wi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user exercises by repeatedly pulling the handle.

이와 같은 운동 기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부하에 맞춰,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만큼 운동 기기가 능동적으로 저항력을 가하여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운동 기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부하에 맞춰 구동 모터 등으로 구성된 구동부가 가상의 출력 부하를 생성하여 제공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운동 기구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부하를 피드백하도록 구성된다.Such exercise devices enable exercise by actively applying resistance equal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load set by the user. In other words, the exercise device generates and provides a virtual output load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load set by the user, and the driving unit composed of a drive motor is generally configured to feed back the output loa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xercise device.

일반적인 재활 치료용 운동 기기와는 달리, 홈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 기기의 경우, 운동의 특성상 고출력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출력 부하를 생성하고 있다.Unlike general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exercise equipment for home training generates an output load using a high-output driving unit due to the nature of exercise.

고출력의 구동부와, 구동부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 등과 같이 운동 기기에는 자체의 동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운동 기기 자체가 갖는 동특성으로 인해, 구동부의 출력 부하(또는 제어 입력값)는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운동 부하를 발새하게 된다.Exercise equipment has its own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a high-output driving unit and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to the user. Therefore, due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device itself, the output load (or control input value) of the driving unit always generates a constant exercise load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또한, 최근에는 홈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 도구 중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탄성 밴드는 탄성이 높고 잘 찢어지지 않는 튜빙 밴드, 라텍스 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recently, among exercise tools for home training, exercise methods using elastic bands have been widely used. Elastic bands include tubing bands and latex bands that have high elasticity and do not tear easily.

이러한, 탄성 밴드는 인장 길이에 따라 다른 부하가 작용되어 탄성 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인장 초기에는 부위에 근육을 긴장시켜주고, 긴장된 근육이 관절이 구부러져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se elastic bands apply different loads depending on the tension length, so that the user who uses the elastic band tenses the muscles in the area at the beginning of the tension, and the tense muscles prevent the joints from bending and twisting, thereby preventing injury to the user. You can.

즉, 홈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 기기의 경우 항상 동일한 운동부하를 이용하여운동을 실시할 수밖에 없으며, 사용자의 근육의 긴장 이후 이완의 과정없이 처음부터 과도한 부하를 통하여 근육이 이완되도록하여 운동시 과도한 운동부하에 의해 의해 부상의 위험이 뒤따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exercise equipment for home training, there is no choice but to always exercise using the same exercise load, and the muscle is relaxed through excessive load from the beginning without a relaxation process after the user's muscle tension, so excessive exercise load during exercise is avoided. There is a problem that may result in a risk of inju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를 이용한 운동기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가변되는 운동부하를 부여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n exercise device using a wire that applies a variable exercise load depending on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를 이용한 운동기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운동부하를 가변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an exercise device using a wire, the control of the exercise device can prevent injury to the user by varying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를 이용한 운동기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운동부하를 가변하여 탄성 밴드의 기능을 구현한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an exercise machine using a wire, a control method of the exercise machine implements the function of an elastic band by varying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The purpose is to provide.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기의 제어방법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인입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인출/인입될 때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부하발생기와, 상기 부하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부하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시 상기 부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운동부하를 설정하기 위한 기본부하를 설정하는 부하 설정단계;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시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단계; 및 상기 부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상기 운동부하를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 및 상기 탄성부하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증가/감소시키는 부하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n external shape, a wi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wire being drawn in/out.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including a load generator that provides an exercise load when drawn/drawn out, a power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load generato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unit and the load generator, wherein the wire is drawn out. /Load setting step of setting a basic load to set the exercise load generated from the load generator when entering; A wi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withdrawn/retracted; and a load control step of increasing/decreasing the exercise load generated by the load generator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and the elastic load.

상기 부하 설정단계는 상기 기본부하를 설정하는 기본부하 설정단계; 상기 기본부하를 기초로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가변하기 위한 탄성부하를 설정하는 탄성부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ad setting step includes a basic load setting step of setting the basic loa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load setting step of setting an elastic load for varying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of the wire based on the basic load.

여기서, 상기 기본부하 설정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기본부하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의 기본부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load of the exercise load is set according to the basic load input in the basic load setting step.

한편, 상기 탄성부하 설정단계는, 상기 와이언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증가/감소되는 탄성계수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elastic load sett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odulus increases/decreases depending on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on.

상기 와이어 감지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 감지단계; 상기 와이어가 인출 및 인입될 때 인출길이 및 인입길이를 감지하는 길이변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detection step includes a pull-out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at the wire is pulled ou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drawn-out length and the drawn-in length when the wire is drawn out and retracted.

여기서, 상기 인출 감지단계 및 상기 길이변화 감지단계는, 상기 부하발생부에 구비되는 감지부에서 상기 부하발생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withdrawal detection step and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it is preferable tha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load generation unit detects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ad generation unit.

한편, 상기 부하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ad control step varies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detected by the sensor.

상기 부하 제어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공급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가변단계;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부하발생시에서 상기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부하부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ad control step includes a power variable step of controlling the supply current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lead-out/in-out length of the wi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oad unit control step of generating the exercise load when the loa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여기서, 상기 전원 가변단계는 상기 기본부하, 상기 탄성부하 및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스테이터로 공급되는 전류을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wer variable step preferably varies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stator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asic load, the elastic load, and the length of the wire.

한편, 상기 부하발생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느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부 제어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스테이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load generation unit includes a stator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rotor around which the wire is wound and whose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of the stator, and the load unit control step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input of the wire.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current supplied to the stator from the power supply.

한편, 상기 부하 제어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의 운동 진행여부를 판단하는 운동 판단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fter the load control step,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xercise determination step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xercising.

여기서, 상기 운동 판단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에서 인입되는 과정 또는 인입에서 인출되는 과정이 전환되는 것을 판단하는 와이어 감지단계; 상기 와이어가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판단하는 운동 종료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tion determination step includes a wire detec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re is switched from being drawn out to being retracted, or from being drawn in to being withdraw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ovement e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re is completely retracted.

한편, 상기 와이어 감지단계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에서 인입되는 과정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 증감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비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wire detection step, it is preferable to proportionally reduce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switched from being pulled out to being pulled in.

또한, 상기 와이어 감지단계는 상기 와이어가 인입에서 인출되는 과정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 증감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ire detection step, it is preferable to proportionally increase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switched from being pulled in to being pulled ou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와이어를 이용한 운동기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가변되는 운동부하를 부여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ercise machine using a wir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that applies a variable exercise load depending on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와이어를 이용한 운동기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운동부하를 가변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ercise machine using a wire, the exercise machine can prevent injury to the user by varying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ntrol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와이어를 이용한 운동기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운동부하를 가변하여 탄성 밴드의 기능을 구현한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ercise machine using a wire, control of the exercise machine implements the function of an elastic band by varying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서 부하부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탄성부하 설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 load portion in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ss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elastic load settings of th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기 및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ercise machin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each defined component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each name defined for each component may be called a different name in the art.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First,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서 부하부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load portion, an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기기(100)는 안착면(111)과 장착면(112)이 구비된 본체(1), 상기 본체(1)에서 인출/인입 가능한 와이어(24)가 구비된 부하부(2), 상기 장착면(112)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24)를 지지하는 와이어 가이드(3), 상기 와이어(24)의 인출/인입에 따라 상기 부하부(2)를 제어하는 제어부(8), 상기 부하부(2)의 부하 조건(예를 들어 기본부하, 탄성부하)을 입력 및 표시하는 컨트롤패널(7) 및 상기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xercise machine 100 includes a main body 1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111 and a mounting surface 112, and a load provided with a wire 24 that can be withdrawn/retracted from the main body 1. Part (2), a wire guide (3)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112) to support the wire (24), a control unit ( 8), provided to include a control panel 7 that inputs and displays the load conditions (e.g., basic load, elastic load) of the load unit 2, and a power supply unit 27 that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part. It can be.

상기 본체(1)는 상기 안착면(111)과 상기 장착면(112)이 구비된 상부 케이스(11), 및 상기 상부 케이스(11)가 고정되는 하부 케이스(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upper case 11 provided with the seating surface 111 and the mounting surface 112, and a lower case 15 to which the upper case 11 is fixed. .

상기 안착면(111)은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착면(112)은 상기 부하부(2)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장착면(112)이 상기 안착면(1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1)의 가로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2개의 공간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seating surface 111 may be provided as a space where the user's feet are supported, and the mounting surface 112 may be provided as a space where the load unit 2 is located. Figure 1 shows an example where the mounting surface 112 is provided as two spaces spaced apart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with the seating surface 111 in between. .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일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7)은 상기 부하부(2)의 작동을 위한 부하조건(예를 들어 기본부하(kg), 탄성부하(K) 등)을 입력 및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panel 7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 The control panel 7 can input and display load conditions (for example, basic load (kg), elastic load (K), etc.) for operation of the load unit 2.

이러한, 컨트롤패널(7)은 부하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 노브 등을 구비하는 입력부(71)와, 입력된 부하조건 및 운동상태(예를 들어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 또는 부하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LCD 등을 구비하는 표시부(72)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7 includes an input unit 71 equipped with buttons, knobs, etc. for inputting load conditions, and the input load conditions and movement states (for example, the withdrawal/input length (X) of the wire 24). Or a display unit 72 including an LED, LCD, etc. to display the load status) may be provided.

다르게는 상기 컨트롤패널(7)의 경우 본체(1)와 별도의 통신기기(200,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 등)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제어부와 연결되는 별도의 통신인터페이스(8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통신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통신기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기기(200)에 구비되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입력부(71) 및 표시부(72)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panel 7 may be provided as a communication device (200,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separate from the main body 1. That is, a separate communication interface 81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81. In this case, the touch display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replace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71 and the display unit 72.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장착면(11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의 내부와 연통하는 장착면 관통홀(113) 및 체결홀(1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3)는 상기 장착면 관통홀(11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홀(114)을 통해 상기 장착면(112)에 고정될 수 있다.The main body 1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surface through-hole 113 and a fastening hole 114 that penetrate the mounting surface 112 and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 The wire guide 3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urface through-hole 113 and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112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부(2)는 상기 와이어(24) 및 부하발생기(21, 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4)는 일단은 상기 본체(1)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장착면(112)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부하발생기(21, 23)는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24)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oad unit 2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wire 24 and load generators 21 and 23. The wire 24 has one end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mounting surface 112, and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r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 to It may be provided to fix one end of the wire 24.

상기 와이어(24)는 상기 본체(1)의 좌측에 위치된 장착면(112)을 통해 상기 본체에서 인출/인입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본체의 우측에 위치된 장착면(112)을 통해 상기 본체(1)에서 인출/인입되는 제2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다.The wire 24 is a first wire drawn out/in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mounting surface 112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wire 24 is drawn into and ou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mounting surface 112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 It may be provided as a second wire that is pulled out/in from the main body (1).

상기 부하발생기(21, 23)는 상기 와이어(24)를 상기 본체(1) 내부로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와이어(24)가 두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부하발생기(21, 23)는 상기 제1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제1부하발생기, 및 상기 제2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제2부하발생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제1부하발생기 및 제2부하발생기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ad generators (21, 23) are means for generating a force that pulls the wire (24) into the main body (1). When two wires (24) are provided, the load generators (21, 23) I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load generator that provides tension to the first wire, and a second load generator that provides tension to the second wire.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 first load generator and the second load generator may have the same structure.

도 2 (b)에 도시된 부하발생기(21, 23)는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5)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21),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shown in Figure 2 (b) include a stator 21 that is fixed to the upper case 11 or the lower case 15 to form a rotating field, and the upper case ( 11) Alternatively, a case in which a rotor 23 is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case 15 and rotated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is shown as an examp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1)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고정된 코어(211), 상기 코어의 원주면에서 상기 코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코어 돌기(212), 및 상기 코어 돌기에 권선된 코일(213)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tator 21 includes a core 211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fixed to the upper case 11, and a stator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ore.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re protrusions 212 and a coil 213 wound around the core protrusions.

상기 로터(23)는 로터축(235)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판(231),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스테이터를 감싸는 원주면(232), 및 상기 원주면에 고정된 자석(23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otor 23 includes a rotating plate 231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case 11 through the rotor shaft 235, a circumferential surface 232 fixed to the rotating plate and surrounding the stator, and a stato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xed magnet 236.

상기 스테이터(21)는 상기 회전판(231)과 상기 원주면(23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S)에 위치하고, 상기 자석(236)은 자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영구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들은 상기 수용공간(S)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주면(232)에 고정되어야 한다.The stator 21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S) formed by the rotating plate 23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32, and the magnet 23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whose magnetic poles are alternately exposed. You can. The permanent magnets must be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32 to b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S).

상기 와이어(24)는 상기 로터(23)에 고정되는데, 상기 로터의 원주면(232)에는 상기 와이어(2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수용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The wire 24 is fixed to the rotor 23, and a wire receiving portion 233 that provides a space for receiving the wire 24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32 of the rotor.

상기 부하부(2)는 상기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를 감지하는 감지부(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감지부(26)가 상기 로터의 원주면(232)에 구비된 로터 기어(263), 상기 로터 기어(263)에 연결된 기어(261), 및 상기 기어(261)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인코더(26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load unit 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tection unit 26 that detects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X) of the wire 24. Figure 3 shows that the detection unit 26 measures the rotor gear 263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32 of the rotor, the gear 261 connected to the rotor gear 263,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gear 261. The case where the sensing encoder 262 is provided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컨트롤패널(7)을 통한 사용자의 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을 기초로 상기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상기 부하발생기(21, 23)에서 가해지는 부하를 가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 generates the load generator 21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X) of the wire 24 based on the user's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through the control panel 7. , 23), the applied load can be varied.

여기서, 상기 제어부(8)는 운동기기의 작동이 시작됨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조건(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 입력을 대기하고, 사용자의 운동조건에 따라 전원부(27) 및 부하발생기(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와이어(24) 인출/인입에 따라 와이어(24)에 가해지는 부하를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탄성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8 waits for the input of the user's exercise conditions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as the exercise machine starts operating, and operates the power unit 27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user's exercise conditions. By controlling the generator 2, the load applied to the wire 24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user's withdrawal/input of the wire 24. Therefore, users can achieve the same exercise effect as using an elastic band.

상기 감지부(26)의 는 상기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감지부(26)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에 따라 인출/인입되는 길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는 감지부(26)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전원부(27)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하여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가변할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26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X) of the wire 24. That is, the sensing unit 26 can detect the length being drawn/drawn in according to the drawing/drawing of the wire 24, and the control unit 8 can detect the drawing/drawing/drawing length of the wire 24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6. The load generated by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can be varied by varying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7 according to the lead-in length (X).

상기 와이어 가이드(3)는 상기 와이어(24)의 인출/인입방향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상기 와이어 가이드(3)는 상기 와이어(24)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내 가능한 수단이다. The wire guide 3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withdrawal/retraction direction of the wire 24, and the wire guide 3 is a means for guiding the wire 24 in at least two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전원부(27)는 상기 제어부(8), 상기 부하발생기(21, 23), 상기 컨트롤패널(7)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7)는 별도의 외부 전원(미도시)을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기 본체(1) 내부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미도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power unit 27 may supply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8,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nd the control panel 7. The power unit 27 may be provided to receive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or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as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inside the main body 1.

여기서 전원부(27)는 입력부(71)를 통하여 설정되는 기본부하(kg), 탄성부하(K) 조건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의 스테이터(21)에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하여 스테이터(21)에 의해 와이어(24)에 가해지는 운동부하(kgf)를 가변할 수 있다. Here, the power unit 27 varies the current supplied to the stator 21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ccording to the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conditions set through the input unit 71 to generate the stator 21. ), the exercise load (kgf) applied to the wire 24 can be vari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기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Each element mention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탄성부하 설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ss of th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elastic load setting of th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사용자는 운동기기(100)의 사용에 앞서 운동기기(100)의 작동을 위한 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를 결정하고 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를 운동기기(100)에 입력하여 운동기기(100)를 이용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Meanwhile, before using the exercise device 100, the user determines the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for operation of the exercise device 100 and sets the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to the exercise device 100. You can perform exercise using the exercise device 100 by inputting it into (100).

여기서, 운동기기(100)의 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의 입력은 운동기기(100)에 구비되는 입력부(71) 또는 운동기기(100)와 통신인터페이스(81)에 의해 연결된 통신기기(20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Here, the input of the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of the exercise device 100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71 provided on the exercise device 100 or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exercise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81. It can be input through the device 200.

이러한, 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의 입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71) 및 통신기기(200)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운동기기(100)에 있어서 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를 입력하여 운동을 실시할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The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other embodiments. Therefore, the input unit 71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do not limi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ercise device 100 can input the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to perform exercise. In this case, it should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사용자는 기본부하(kg) 또는 기본부하(kg) 및 탄성부하(K)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Additionally, the user will be able to exercise by selectively inputting the basic load (kg) or the basic load (kg) and elastic load (K).

즉, 사용자는 기본부하(kg)만을 입력하여 운동기기(100)를 이용한 운동을 실시할 경우 제어부(8)는 전원부(27)를 제어하여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와 상관없이 부하발생기(21, 23)의 스테이터(21)에 가해지는 전류값을 일정하여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only the basic load (kg) and performs exercise using the exercise device 100, the control unit 8 controls the power unit 27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with the withdrawal/input length (X) of the wire 24. Without this,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stator 21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can be supplied at a constant level.

따라서 부하발생기(21, 23)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부하를 형성하며, 사용자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운동부하(kgf)로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즉, 기본부하(kg)만을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경우 입력된 기본부하(kg)가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운동부하(kgf)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lways form the same load regardless of the lead-in/out length (X) of the wire 24, and the user always creates the same load regardless of the lead-out/in-out length (X) of the wire 24. Exercises can also be performed with an exercise load (kgf). In other words, when exercising using only the basic load (kg), the input basic load (kg) can be considered the same as the exercise load (kgf) generated by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다르게는, 사용자는 기본부하(kg)와 탄성부하(K)를 모두 입력하여 운동기기(100)를 이용한 운동을 실시할 경우 제어부(8)는 기본부하(kg)에 더하여 탄성부하(K)를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대응하여 부하발생기(21, 23)의 스테이터(21)에 가해지는 전류값을 가변하여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user inputs both the basic load (kg) and the elastic load (K) and performs an exercise using the exercise device 100, the control unit 8 controls the elastic load (K) in addition to the basic load (kg).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stator 21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can be varied and supplied in response to the lead-out/in-out length (X) of the wire 24.

따라서 부하발생기(21, 23)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탄성부하(K)에 대응되어 증감되는 부하를 형성하며, 사용자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탄성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운동부하(kgf)로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form a load that increases or decreases in response to the elastic load (K) according to the withdrawal/input length (X) of the wire 24, and the user controls the withdrawal/input length (X) of the wire 24 Depending on X), the exercise may be performed with the same exercise load (kgf) as using an elastic ban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기(100)의 제어방법은 운동기기(100)의 부하를 설정하는 부하 설정단계(S110, S120)와, 와이어(24)의 인출/인입 및 인출/인입 길이(X)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단계(S130, S140)와 와이어(24)의 인출/인입에 따라 설정된 부하에 따라 전원부(27)를 제어하여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운동부하(kgf)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단계(S150, S160) 및 와이어(24)의 인출/인입에 따라 운동기기(10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운동 판단단계(S170, S18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method of the exercis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oad setting steps (S110, S120) for setting the load of the exercise machine 100, and drawing out the wire 24. /wire detection step (S130, S140) that detects the lead-in and draw-in/draw-in length (X) and the load generator (21, 23)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27 according to the load set according to the lead-in/draw-out length (X) of the wire 24 A load control step (S150, S160) to control the exercise load (kgf) generated in the exercise judgment step (S170, S180) to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withdrawal/input of the wire 24. It can be included.

여기서, 부하 설정단계(S110, S120)는 탄성부하(K)의 기준이 되는 기본부하(kg)를 설정하는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와 기본부하(kg)를 기초로 와이어(24)의 인출/인입에 따라 부하를 가변하기 위한 탄성부하(K)를 설정하는 탄성부하 설정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load setting step (S110, S120) is a basic load setting step (S110) that sets the basic load (kg), which is the standard for the elastic load (K), and the drawing of the wire 24 based on the basic load (kg). /It may include an elastic load setting step (S120) of setting the elastic load (K) to vary the load according to the pull-in.

상기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는 운동기기(100)의 작동이 시작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기기(100)에 구비되는 입력부(71) 또는 통신기기(200)를 통하여 기본부하(kg)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부하(kg)는 중량을 나타내는 단위, 또는 중량에 따라 임의로 구분된 수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basic load setting step (S110)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s the exercise device 100 begins to operate. The user can input the basic load (kg) through the input unit 71 or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provided in the exercise device 100. Here, the basic load (kg) can be entered as a unit representing weight, or as a numerical value arbitrarily divided according to weight.

여기서,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는 이후 사용자가 설정할 탄성부하(K)의 기준이 되는 값으로, 사용자가 와이어(24)를 인출/인입할 때 기본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부하를 설정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운동기기(100)를 사용함에 있어 최초 와이어(24)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와이어(24)가 감겨있는 부하발생기(21, 23)에 기본적으로 가해지는 부하라고 할 수 있다.Here, the basic load setting step (S110) is a value that becomes the standard for the elastic load (K) to be set by the user later, and sets the load that can be basically applied when the user withdraws/retracts the wire 24.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load is basically applied to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round which the wire 24 is wound during the process of first pulling out the wire 24 when the user uses the exercise device 100.

상기 탄성부하 설정단계(S120)는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 이후에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의 부하를 가변하기 위한 탄성부하(K)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하 설정단계(S120)는 기본부하(kg) 입력 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기기(100)에 구비되는 입력부(71) 또는 통신기기(200)를 통하여 탄성부하(K)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하(K)는 탄성계수를 나타내는 단위 또는 임의로 구분된 수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elastic load setting step (S120) is for inputting an elastic load (K) to vary the load of the load generators (21, 23)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of the wire after the basic load setting step (S110). This elastic load setting step (S120)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fter inputting the basic load (kg). The user can input the elastic load (K) through the input unit 71 provided in the exercise device 100 or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Here, the elastic load (K) can be entered as a unit representing the elastic modulus or as an arbitrarily divided value.

여기서, 상기 탄성부하 설정단계(S120)는 상기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에서 설정된 기본부하(kg)에 대하여 와이어의 인출 길이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와이어의 인입 길이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탄성부하(K)의 경우 기본부하(kg)에 대한 증가/감소 함수로 다양한 조건의 함수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load setting step (S120) increases the load generated from the load generators (21, 23) according to the drawn-out length of the wire with respect to the basic load (kg) set in the basic load setting step (S110). This is to reduce the load generated from the load generators (21, 23) depending on the lead-in length of the wire. Here, in the case of elastic load (K), functions of various conditions can be applied as an increase/decrease function for the basic load (kg).

구체적으로, 제어부(8)는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에서 입력되는 기본부하(kg)와, 탄성부하 설정단계(S120)에서 입력되는 탄성부하(K)에 따라 전원부(27)에서 부하발생기(21, 23)의 스테이터(21)에 공급되는 전류를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따라 증가/감소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8 generates a load generator ( The current supplied to the stator 21 of 21, 23) can be increased/decreased depending on the withdrawal/input of the wire.

즉, 제어부(8)에 의한 부하발생기(21, 23)의 제어과정은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에서 입력되는 기본부하(kg)에 따라 운동부하(kgf)가 시작되는 부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하 설정단계(S120)에서 입력되는 탄성부하(K)에 따라 운동부하(kgf)가 시작되는 부하로부터 탄성부하(K)에 따라 운동부하(kgf)가 비례적으로 증가/감소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process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by the control unit 8 may appear as in the graph shown in FIG. 6. As shown, the load at which the exercise load (kgf) starts can be set according to the basic load (kg) input in the basic load setting step (S110). In addition, the exercise load (kgf) can be increased/decreas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elastic load (K) from the load where the exercise load (kgf) starts according to the elastic load (K) input in the elastic load setting step (S120). there is.

또한, 이러한, 운동부하(kgf)의 증가는 탄성부하(K)와 와이어(24)의 인출/인입과 탄성부하(K)의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기본부하(kg)와 탄성부하(K)에 의해 설정된 운동부하(kgf)는 탄성부하(K)에 더하여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is increase in exercise load (kgf)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elastic load (K), the withdrawal/input of the wire 24, and the elastic load (K). That is, the exercise load (kgf) set by the basic load (kg) and the elastic load (K)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lead-out/retract length (X) of the wire 24 in addition to the elastic load (K).

한편, 와이어 감지단계(S130, S140)는, 사용자가 와이어(24)의 인출을 시작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 감지단계(S130)와, 상기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를 감지하는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ire detection step (S130, S140) includes a withdrawal detection step (S130) that detects that the user starts to withdraw the wire 24, and a withdrawal/retraction length (X) of the wire 24. It may include a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상기 인출 감지단계(S130)는 사용자가 운동기기(100)를 사용함에 있어 최초 와이어가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후 설명할 부하 제어단계(S150, S160)에서 부하발생기(21, 23)의 부하제어를 위한 변수로 적용할 수 있다. The withdrawal detection step (S130) detects that the first wire is pulled out when the user uses the exercise device 100, and controls the load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in the load control steps (S150 and S16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applied as a variable for

여기서, 인출 감지단계(S130)는 사용자가 와이어(24)를 당김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에 권취된 와이어(24)가 풀리면서 와이어 가이드(3)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부하발생기(21, 23)의 로터(23)에 구비되는 로터 기어(263)와 치합된 기어(261)가 회전되면서 인코더(262)에서 와이어(24)가 인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출 감지단계(S130)는 와이어(24)의 인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질적인 운동 시작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Here, in the withdrawal detection step (S130), as the user pulls the wire 24, the wire 24 wound around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is unwound and moves along the wire guide 3. At this time, it can be detected that the wire 24 is pulled out from the encoder 262 as the gear 261 meshed with the rotor gear 263 provided on the rotor 23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rotates. In this withdrawal detection step (S13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ctually started exercising by using the withdrawal of the wire 24.

상기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는 인코더(262)에서 와이어(24)의 인출이 감지됨에 따라 와이어(24)의 인출에 따른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를 감지할 수 있다.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는 제어부(8)에서 부하발생기(21, 23)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원부(27)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변수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as the encoder 262 detects the withdrawal of the wire 24,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X) of the wire 24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wire 24 can be detected. The withdrawal/input length ( It can be applied as.

한편, 부하 제어단계(S150. S160)는 상술한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따라 전원부(27)에서 부하발생기(21, 23)의 스테이터(21)로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하여 부하발생기(21, 23)에 의한 와이어(24)의 운동부하(kgf)를 가변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in the load control step (S150 and S160), the power supply unit 27 supplies the stator 21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ccording to the withdrawal/input of the wire detected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This is to vary the exercise load (kgf) of the wire 24 by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by varying the current.

이러한, 부하 제어단계(S150, S160)는 와이어(24)의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전원부(27)를 제어하여 부하발생기(21, 23)의 스테이터(21)로 공급되는 전류를 증감하는 전원 가변단계(S150)와, 상기 전원 가변단계(S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가 제어되는 부하부 제어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se load control steps (S150, S160) control the power unit 27 according to the withdrawal/input length (X) of the wire detected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of the wire 24 to load generators 21 and 23. ), a power variable step (S150) that increases and decreases the current supplied to the stator (21), and a load control step (S160) in which the load generators (21, 23)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wer supplied in the power variable step (S150). ) may include.

상기 전원 가변단계(S150)는 상기 기본부하 설정단계(S110)에서 입력되는 기본부하(kg), 상기 탄성부하 설정단계(S120)에서 입력된 탄성부하(K) 및 상기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길이 변화에 따라 전원부(27)에서 상기 스테이터(21)로 공급되는 전류을 가변한다. The power variable step (S150) includes the basic load (kg) input in the basic load setting step (S110), the elastic load (K) input in the elastic load setting step (S120), and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7 to the stator 21 vari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24 detected.

상기 부하부 제어단계(S150, S160)는 상기 전원 가변단계(S150)에서 제어되는 전원부(27)의 전류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의 스테이터(21)에 회전자계가 발생되며 스테이터(21)의 회전자계에 의해 로터(23)의 회전에 부하가 작용된다. In the load control step (S150, S160), a rotating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stator 21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power supply 27 controlled in the power variable step (S150), and the stator 21 ) A load is applied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23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여기서, 스테이터(21)에 의해 로터(23)에 작용하는 회전자계는 상기 전원 가변단계(S150)에서의 전원부(27) 제어에 따라 가변되며, 로터에 권취된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운동부하로 작용될 수 있다. Here, the rotating magnetic field acting on the rotor 23 by the stator 21 is vari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ower supply unit 27 in the power variable step (S150), and is applied as a kinetic load to the withdrawal/input of the wire wound on the rotor. It can work.

즉, 제어부(8)는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와이어(24)의 인출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키고, 다르게는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인입 길이에 감소함에 따라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비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8 operates in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s the drawn-out length of the wire 24 increases according to the drawn-out/drawn-out length (X) of the wire 24 detected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The load generated from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can be proportionally increased, and alternatively, the load generated from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can be proportionally reduced as the lead-in length of the wire 24 detected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decreases. You can.

따라서, 사용자는 와이어(24)를 인출/인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운동기기를 통한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전원부(27)에서 부하발생기로 공급되는 전류가 가변되어 부하발생기(21, 23)에서의 운동부하(kgf) 증가/감소시 탄성 밴드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exercise using the exercise device through the process of withdrawing/retracting the wire 24,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7 to the load generator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X) of the wire 24 When the current is varied and the exercise load (kgf) increases/decreases in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n exercise effect similar to that of an elastic band can be obtained.

한편, 운동 판단단계(S170, S180)는 사용자가 와이어(24)의 인출/인입을 통한 운동을 진행함에 있어 와이어(24)의 인출과정에서 인입과정으로 전환되는 것을 판단하여, 와이어(24)가 인출에서 인입으로 전환될 때 부하발생기(21, 23)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운동기기(100) 사용 종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in the exercise determination steps (S170, S180),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 24 is switched from the withdrawal process to the retraction process as the user proceeds with the movement through the withdrawal/retraction of the wire 24. This is to control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when switching from withdrawal to withdrawal,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finished using the exercise device 100.

이러한, 운동 판단단계(S170, S180)는 와이어(24)의 인출에서 인입(또는 인입에서 인출)과정이 전환되는 것을 판단하는 와이어 감지단계(S170)와, 사용자의 운동 종료를 판단하는 운동 종료판단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se exercise determination steps (S170, S180) include a wire detection step (S170) that determines that the wire 24 is switched from withdrawal to retraction (or from retraction to withdrawal), and an exercise end judgment that determines the end of the user's exercise. It may include step S180.

상기 와이어 감지단계(S170)는 사용자가 운동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와이어를 인출(또는 인입)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를 인입(또는 인출)하는 것을 감지하여 부하발생기(21, 23)의 부하제어를 가변 할 수 있다. The wire detection step (S170) changes the load control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by detecting the user pulling in (or pulling out) the wire while using the exercise device. You can.

즉, 와이어 감지단계(S170)에서 사용자가 와이어를 인출에서 인입(또는 인입에서 인출)하는 과정으로 전환될 경우 상술한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을 재차 진행하여 와이어의 길이 변화 증감에 따라 부하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운동부하를 비례적으로 증가/감소시킬 수 있다. That is, in the wire detection step (S170), when the user switches from drawing out to drawing in the wire (or from drawing in to drawing out), the above-described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is performed again to generate a load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The exercise load generated in the area can be proportionally increased/decreased.

예를 들어, 제어부(8)는 와이어 감지단계(S170) 이후에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가 증가될 경우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 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8)는 와이어 감지단계(S170) 이후에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가 감소될 경우 부하발생기(21, 2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 감소에 비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 operates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when the withdrawal/input length (X) of the wire 24 detected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increases after the wire detection step (S170). The load generated from can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lead-out/in-out length (X) of the wire 24.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 generates a signal in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when the withdrawal/input length (X) of the wire 24 detected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after the wire detection step (S170) decreases. The load can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in the lead-in/out length (X) of the wire 24.

상기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는 인코더(262)에서 와이어(24)의 인출이 감지됨에 따라 와이어(24)의 인출에 따른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를 감지할 수 있다. 길이변화 감지단계(S140)에서 감지되는 와이어(24)의 인출/인입 길이(X)는 제어부(8)에서 부하발생기(21, 23)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원부(27)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변수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S140), as the encoder 262 detects the withdrawal of the wire 24,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X) of the wire 24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wire 24 can be detected. The withdrawal/input length ( It can be applied as.

상기 운동 종료판단단계(S180)는 사용자가 운동기기(100)의 사용을 종료할 경우 와이어가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부하발생기(21, 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In the exercise end determination step (S180), when the user ends use of the exercise device 100,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can be stopped by detecting that the wire is completely retracted.

여기서, 운동 종료판단단계(S180)는 사용자가 와이어(24)를 당김힘을 해제하여 와이어가 부하발생기(21, 23)에 완전히 권취될 때 사용자가 운동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부하발생기(21, 23)의 로터(262)에 구비되는 로터 기어(263)와 치합된 기어(261)가 회전되면서 인코더(262)에서 와이어(24)가 인입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종료판단단계(S180)는 와이어(24)의 인입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in the exercise end determination step (S18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finished the exercise when the user releases the pulling force on the wire 24 and the wire is completely wound around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At this time, as the gear 261 meshed with the rotor gear 263 provided on the rotor 262 of the load generators 21 and 23 rotates, it can be detected that the wire 24 is drawn into the encoder 262. In this exercise end determination step (S18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exercise has ended using the insertion of the wire 24.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기(100)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와이어(24)를 인출/인입할 때 기본부하(kg), 탄성부하(K) 및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운동부하(kgf)를 가변함으로써 사용자가 탄성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exercise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ithdraws/retracts the wire 24, the basic load (kg), elastic load (K), and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X By varying the exercise load (kgf) according to ), the user can obtain the same exercise effect as using an elastic ban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기(100)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와이어(24)를 인출/인입할 때 기본부하(kg), 탄성부하(K) 및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X)에 따라 운동부하(kgf)를 가변함으로써 와이어(24)의 인출/인입에 따른 운동부하(kgf)를 비례적으로 가변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exercise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ithdraws/retracts the wire 24, the basic load (kg), elastic load (K), and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By varying the exercise load (kgf) according to (X), injury to the user can be prevented by proportionally varying the exercise load (kgf)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of the wire 2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s discuss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Therefore, changes in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운동기구 6: 핸들
1: 본체 11: 상부 케이스
15: 하부 케이스 2: 부하부(제1부하부/제2부하부)
21: 스테이터 23: 로터
24: 와이어 26: 감지부
261: 기어 262: 인코더
263: 로터 기어 3: 와이어 가이드
7: 컨트롤 패널 8: 제어부
27: 전원부
100: exercise equipment 6: handle
1: Main body 11: Upper case
15: Lower case 2: Load section (first load section/second load section)
21: stator 23: rotor
24: wire 26: sensing unit
261: gear 262: encoder
263: rotor gear 3: wire guide
7: Control panel 8: Control section
27: power unit

Claims (14)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인입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인출/인입될 때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부하발생기와, 상기 부하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부하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시 상기 부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운동부하를 설정하기 위한 기본부하를 설정하는 부하 설정단계;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시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단계; 및
상기 부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상기 운동부하를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 및 상기 탄성부하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증가/감소시키는 부하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A main body forming the outer shape, a wi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load generator that provides an exercise load when the wire is drawn out/retracted, and power supply to the load generator. I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load generator,
A load setting step of setting a basic load for setting an exercise load generated by the load generator when the wire is withdrawn/retracted;
A wi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withdrawn/retracted; and
A load control step of increasing/decreasing the exercise load generated by the load generator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re and the elastic lo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설정단계는
상기 기본부하를 설정하는 기본부하 설정단계;
상기 기본부하를 기초로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가변하기 위한 탄성부하를 설정하는 탄성부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ad setting step is
A basic load setting step of setting the basic loa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further comprising: setting an elastic load for varying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of the wire based on the basic loa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부하 설정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기본부하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의 기본부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sic load of the exercise load is set according to the basic load input in the basic load setting step.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하 설정단계는, 상기 와이언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증가/감소되는 탄성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lastic load setting step involves increasing/decreasing the elastic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withdrawal/retraction length of the w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감지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 감지단계;
상기 와이어가 인출 및 인입될 때 인출길이 및 인입길이를 감지하는 길이변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re detecting step is
A pull-out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at the wire is pulled out;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drawn-out length and the drawn-in length when the wire is drawn out and retrac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감지단계 및 상기 길이변화 감지단계는,
상기 부하발생부에 구비되는 감지부에서 상기 부하발생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ithdrawal detection step and the length change detection step are:
A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load generator detects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ad generato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oad control step varies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detected by the sens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 길이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공급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가변단계;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부하발생시에서 상기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부하부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ad control step is
A power variable step of controlling the supply current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lead-out/in-out length of the wire;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ad unit control step of generating the exercise load when the loa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가변단계는 상기 기본부하, 상기 탄성부하 및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스테이터로 공급되는 전류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wer variable step varies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stator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asic load, the elastic load, and the length of the wir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발생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느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부 제어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인입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스테이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ad generator includes a stator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rotor around which the wire is wound and whose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of the stator,
The load unit control step is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to the stator according to the withdrawal/input of the wir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의 운동 진행여부를 판단하는 운동 판단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an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 exercis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progressing with the exercise after the load control step.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판단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인출에서 인입되는 과정 또는 인입에서 인출되는 과정이 전환되는 것을 판단하는 와이어 감지단계;
상기 와이어가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판단하는 운동 종료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xercise determination step is
A wire detec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rocess from drawing out to drawing in the wire or a process from drawing in to drawing out is switch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xercise e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wire is completely retract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감지단계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에서 인입되는 과정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 증감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비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ire detection step proportionally reduces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switched from being pulled out to being pulled i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감지단계는 상기 와이어가 인입에서 인출되는 과정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 증감에 따라 상기 운동부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ire detection step proportionally increases the exercise loa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switched from being pulled in to being pulled out.
KR1020220165739A 2022-07-15 2022-12-01 Controlling method for an exercise equipment KR2024001037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293 2022-07-15
KR20220087293 2022-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379A true KR20240010379A (en) 2024-01-23

Family

ID=8971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739A KR20240010379A (en) 2022-07-15 2022-12-01 Controlling method for an exercis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37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692B2 (en) Compact smart phone enabled system for strength and endurance training
JP5633777B2 (en) Gyro exercise equipment
EP317053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readmill, treadmill and related program product
WO2020167356A1 (en) Strength calibration
US11794056B2 (en) Racking and unracking exercise machine
WO2021236594A1 (en) Dynamic strength loading per movement
KR20120130692A (en) Training machine and weight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061151A (en) Fitness cable machine for motor operating type
KR102158338B1 (en) Compact cable fitness machine of motor load type
KR20240010379A (en) Controlling method for an exercise equipment
CN108114410A (en) Has the fitness equipment for being controlled without section magnetic force and damping and combining manual emergency brake
CN109758728B (en) Rehabilitation walking and exercising machine capable of prolonging exercise time
CN112999011A (en) Control method of upper and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O2009107904A1 (en) Training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a weight, training device included in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40026844A (en) An exercise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for same
CN217489643U (en) Adjustable portable pull rope exercise device
KR20090119514A (en) Training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a weight and training machine included in the same
DE102021104709A1 (en) Training device for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KR101896354B1 (en) Smart training machine for using electromotive force and control Method
KR101259744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CN218572740U (en) Body-building apparatus
KR200326767Y1 (en) Load origination apparatus for weight sporting goods
KR20030029540A (en) Load origination apparatus for weight sporting goods
CN109568881A (en) A kind of treadmill
EP4252867A1 (en) Exercising device for developing, strengthening and/or rehabilitat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