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049A - 표시 제어 방법,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방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049A
KR20240010049A KR1020237044345A KR20237044345A KR20240010049A KR 20240010049 A KR20240010049 A KR 20240010049A KR 1020237044345 A KR1020237044345 A KR 1020237044345A KR 20237044345 A KR20237044345 A KR 20237044345A KR 20240010049 A KR20240010049 A KR 2024001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display
area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팅팅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는 표시 제어 방법,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방법,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07월 15일 중국에 제출된 특허 출원 제202110802299.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제어 방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화면이 점점 커져가고 스크린샷, 퍼즐 등 이미지 처리 기술이 점차 성숙해짐에 따라 표시 화면에 완전히 표시되지 않는 사진이 전자기기에 나타나는 빈도가 대폭 상승하였다.
현재, 긴 이미지로 예를 들면, 전자기기가 긴 이미지를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표시 인터페이스의 표시 가능한 픽셀 치수를 기반으로 긴 이미지를 축소 표시한다. 사용자가 긴 이미지의 디테일한 부분을 살펴보려면 긴 이미지를 확대하고 확대된 긴 이미지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조작이 발생하여 긴 이미지가 축소 표시의 상태로 복원되기 쉬워 사용자가 긴 이미지를 다시 확대해야 하므로 조작이 비교적 번거롭다.
종래기술에서는 표시 화면에 완전히 표시되지 않는 사진을 살펴보는 조작이 비교적 번거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의 목적은 표시 화면에 완전히 표시되지 않는 사진을 살펴보는 조작이 비교적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표시 제어 방법,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 실시예는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 실시예는 표시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출원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 전자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상에서, 본 출원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양상에서, 본 출원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며,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을 구현한다.
제6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상에서,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섬네일의 형태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에 비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이미지를 확대하는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완전한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도록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을 단순화한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1이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2이다.
도 4a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3이다.
도 4b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4이다.
도 4c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5이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6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도 1이다.
도 10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도 2이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가 본 출원에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될 수 있으며, ‘제1’, ‘제2’ 등에 의해 구분되는 대상은 일반적으로 한 종류로 대상의 수를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대상은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도면에 결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표시 제어 방법은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전자기기를 수행 주체로 하여 상기 표시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제1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임의의 입력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은 촬영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입력, 스크린샷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입력, 이미지 살펴보기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입력의 세 가지 구현 형태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세 가지 구현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촬영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입력이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기기의 카메라는 현재 미리보기 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한다. 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촬영 기능 컨트롤 또는 버튼에 작용하는 클릭 입력, 더블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또는 슬라이딩 입력 등일 수 있고, 사용자가 수행하는 특정 제스처 입력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두 번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스크린샷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입력이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현재 페이지를 캡쳐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한다. 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이미지는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타겟 페이지의 국부 이미지이거나, 스크롤 스크린샷 또는 긴 이미지 스크린샷 등 기능을 기반으로 캡쳐한 타겟 페이지의 전체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은 스크린샷 기능 컨트롤 또는 버튼에 작용하는 클릭 입력, 더블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또는 슬라이딩 입력 등일 수 있고, 사용자가 수행하는 특정 제스처 입력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세 번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이미지 살펴보기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입력이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사전에 생성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사전에 촬영을 통해 얻은 이미지이거나, 사전에 스크린샷을 통해 얻은 이미지이거나, 사전에 다중 이미지 접합 또는 편집 또는 자르기를 통해 얻은 이미지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파일 식별자에 대한 클릭 입력, 더블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또는 슬라이딩 입력 등일 수 있고, 사용자가 수행하는 특정 제스처 입력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102: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표시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 치수값이 전자기기 표시 화면의 이 방향의 표시값을 초과하여 전자기기의 표시 화면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완전히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련 기술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는 제1 이미지(10)를 축소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는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20)를 표시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내용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고,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의 안내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의 완전한 이미지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전자기기의 표시 화면의 폭과 높이가 같지 않을 때,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첫 번째 경우, 전자기기는 세로화면으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 단변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 장변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두 번째 경우, 전자기기는 가로화면으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 장변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 단변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여기서는 전자기기의 표시 화면의 폭과 높이가 같지 않고, 전자기기가 세로화면으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입력을 수신한 경우 먼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 및 높이값을 획득할 수 있고,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 및 높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세 가지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은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크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는 높이방향에서 완전히 표시될 수 있고, 폭방향에서는 완전히 표시되지 않고 국부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를 처음 표시할 때,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국부 이미지(20)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폭방향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일 수 있고, 국부 이미지(20)는 높이방향에서 완전히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표시 화면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크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는 폭방향에서 완전히 표시될 수 있고, 높이방향에서는 완전히 표시되지 않고 국부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를 처음 표시할 때,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국부 이미지(20)는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방향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일 수 있고, 국부 이미지(20)는 폭방향에서 완전히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표시 화면의 상측 영역 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세 번째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폭값은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높이값은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크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는 폭방향 및 높이방향에서 모두 완전히 표시될 수 없고 국부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를 처음 표시할 때,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국부 이미지(20)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즉 대각선방향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일 수 있고, 국부 이미지(20)는 폭방향 및 높이방향에서 모두 완전히 표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표시 화면의 좌측 상단 모서리 영역 또는 우측 하단 모서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국부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임의의 단부 이미지가 아닐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국부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 중심 영역의 국부 이미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상기 국부 이미지와 나란히 배열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상기 국부 이미지를 덮지 않는다. 일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전자기기는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1 윈도우는 상기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30)은 국부 이미지(20)의 부분 영역을 덮을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 치수 및 전자기기 표시 화면의 해상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기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1) 표시 화면의 종횡비(PH/PW) 또는 횡종비(PW/PH)를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전자기기 표시 화면의 해상도가 2376*1080이면, 세로화면으로 표시할 때 PH/PW=2376/1080=2.2, PW/PH=1080/2376=0.45이다.
2)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폭값이 비교적 작은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 치수가 4032*3024인 것으로 예를 들면,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를 폭방향에서 완전히 표시할 수 있으며, 즉 표시 화면에 상기 제1 이미지의 폭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은 W’=3024이며, 표시 화면의 종횡비(PH/PW=2.2)를 기반으로, 표시 화면에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은 H’=(PH/PW)*W’=3024*2.2=6652.8이며,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높이값이 4032이고, 4032<6652.8이므로,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작고, 상기 제1 이미지가 높이방향에서도 완전히 표시될 수 있어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높이값이 표시 화면에 상기 제1 이미지의 길이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 H’보다 크면,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이미지가 높이방향에서 완전히 표시될 수 없어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높이값이 비교적 작은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 치수가 3872*10750인 것으로 예를 들면,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를 높이방향에서 완전히 표시할 수 있으며, 즉 표시 화면에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은 H’=3872이며, 표시 화면의 종횡비(PH/PW=2.2)를 기반으로, 표시 화면에 상기 제1 이미지의 폭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은 W’=(PW/PH)*H’=3872*0.45=1742.4이며, 상기 제1 이미지의 픽셀높이값이 10750이고, 10750>1742.4이므로,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이미지가 폭방향에서 완전히 표시될 수 없어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섬네일의 형태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에 비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미지를 확대하는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내용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완전한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도록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뚜렷한 이미지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되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1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2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2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제2 단에서 상기 제1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대향하는 양단이며;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3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4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4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의 표시에 대한 안내 및 제어를 위해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일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윈도우는 비-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1 윈도우는 상기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윈도우는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제1 표시상태와 상기 제2 표시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제3 표시상태와 상기 제4 표시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은 상이한 표시상태에서 상이한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양단이거나, 높이방향에서 대향하는 양단이거나, 폭방향 및 높이방향에서, 즉 대각선방향에서 대향하는 양단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가 어떤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며, 예컨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크면,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양단일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즉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이 높이방향에서 대향하는 양단인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상단으로 이해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트롤이 상기 제1 표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현재 표시된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상단의 단부 이미지로서 상기 국부 이미지 위쪽에는 이미지 내용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로써 상기 국부 이미지 아래쪽의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상기 국부 이미지의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으로의 전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트롤이 상기 제2 표시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현재 표시된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상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님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즉 상기 국부 이미지 위쪽에는 이미지 내용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1 컨트롤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국부 이미지의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단으로의 전환을 제어하여 상기 국부 이미지 위쪽의 이미지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상기 제2 컨트롤이 상기 제3 표시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현재 표시된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하단의 단부 이미지로서 상기 국부 이미지 아래쪽에는 이미지 내용이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로써 상기 국부 이미지 위쪽의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상기 국부 이미지의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단으로의 전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트롤이 상기 제4 표시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현재 표시된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하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님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즉 상기 국부 이미지 아래쪽에는 이미지 내용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2 컨트롤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국부 이미지의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으로의 전환을 제어하여 상기 국부 이미지 아래쪽의 이미지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 이미지(20)는 상기 제1 이미지 상단의 단부 이미지이고, 제1 컨트롤(40)은 상기 제1 표시상태로서 위쪽 단일 화살표 모양을 나타내고, 제2 컨트롤(50)은 상기 제4 표시상태로서 아래쪽 이중 화살표 모양을 나타낸다.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상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니고 상기 제1 이미지 하단의 단부 이미지도 아닌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제2 표시상태로서 위쪽 이중 화살표 모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제4 표시상태로서 아래쪽 이중 화살표 모양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하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제2 표시상태로서 위쪽 이중 화살표 모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제3 표시상태로서 아래쪽 단일 화살표 모양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을 표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섬네일의 표시가 상기 제1 이미지의 표시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컨트롤 및 상기 제2 컨트롤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의 완전한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는 유연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국부 이미지를 제1 국부 이미지에서 제2 국부 이미지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사전설정된 표시 모드로 표시되는 축소 영역을 제1 축소 영역에서 제2 축소 영역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국부 이미지와 상기 제1 국부 이미지는 부분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상기 제1 축소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상기 제1 국부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축소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상기 제2 국부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상기 국부 이미지에 대응하는 축소 영역은 상기 사전설정된 표시 모드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기타 영역은 상기 사전설정된 표시 모드와 다른 표시 모드로 표시되어 상기 제1 이미지에서의 현재 표시된 상기 국부 이미지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표시 모드로 표시되는 축소 영역은 현재 표시된 국부 이미지의 이미지 내용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상기 제4 입력은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기 국부 이미지를 전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4 입력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슬라이딩 입력일 수 있고; 상기 제4 입력은 상기 제1 컨트롤 또는 상기 제2 컨트롤에 작용하는 클릭 입력일 수도 있고; 상기 제4 입력은 또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클릭 입력 또는 슬라이딩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4 입력의 구현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표시 모드는 세 가지 구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 대응하는 축소 영역의 가장자리에 하이라이트 직사각형 테두리와 같은 사전설정된 테두리가 표시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 대응하는 축소 영역에 선형 커서 또는 원형 커서와 같은 사전설정된 식별자가 표시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 대응하는 축소 영역이 확대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사전설정된 표시 모드의 구현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살펴볼 때 상기 제2 입력을 수행하여 편집 대상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할 수 있다. 이는 편집해야 할 영역을 살펴보기 위해 상기 제1 이미지를 축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조작을 단순화하고, 이미지 편집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선태적으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제1 축소 영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축소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함 - ; 를 포함한다.
여기서, 첫 번째 선태적인 구현 형태에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한다.
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입력이다. 사용자가 상기 국부 이미지를 살펴볼 때, 상기 국부 이미지를 편집하려면 상기 국부 이미지에 상기 제2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상기 제2 입력이 작용하는 이미지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클릭 입력, 슬라이딩 입력, 누르기 입력 등 중 하나의 입력이거나, 여러 가지 입력을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형태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설정된 입력 형태이거나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사용자 정의 설정을 기반으로 결정한 입력 형태일 수 있다. 일 예시적인 구현 형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입력은 국부 이미지(20)의 두 위치에 작용하는 클릭 입력을 포함하고, 전자기기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클릭 입력이 작용하는 두 위치점을 대각점으로 하여 하나의 직사각형 이미지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으로 한다. 다른 일 예시적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슬라이딩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입력의 슬라이딩 궤적은 Z자형이고, 전자기기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Z자형 슬라이딩 궤적의 높이방향의 거리가 가장 먼 두 위치점으로 하나의 직사각형 이미지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직사각형 이미지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으로 한다.
두 번째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제1 축소 영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축소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한다.
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입력이다. 사용자가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만 살펴볼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통해, 현재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지 않은 이미지 내용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빠르게 결정할 수 있으며, 현재 표시된 국부 이미지 내용을 전환한 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조작을 가일층 줄이고, 이미지 편집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형태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설정된 입력 형태이거나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사용자 정의 설정을 기반으로 결정한 입력 형태일 수 있다. 일 예시적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두 손가락 슬라이딩 입력을 포함하고, 전자기기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두 손가락 슬라이딩 입력의 두 슬라이딩 궤적의 종료 위치점을 대각점으로 하여 하나의 직사각형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으로 한다. 다른 일 예시적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더블클릭 입력을 포함하고, 전자기기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더블클릭 입력이 작용하는 위치점을 중심으로 하여 하나의 직사각형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직사각형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입력이 제스처 입력인 경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제스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스처와 상기 타겟 제스처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3 입력은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스처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스처를 사용자 정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사용자의 개인화 요구를 충족한다.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 전자기기는 설정된 타겟 제스처와 매칭되는 제스처를 수신하면 현재 사용자가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자 한다고 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스처를 기반으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의 수량은 하나이거나 다수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슬라이딩시켜 현재 표시된 국부 이미지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이한 국부 이미지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다수의 상이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의 상이한 영역에 작용하는 다수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다수의 상이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한 후,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편집 대상 영역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테두리 등을 통해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대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편집 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편집 대상 영역에 대해 낙서, 테두리 추가, 문자 추가, 필터 추가, 얼굴 보정 등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관련 기술의 편집 조작에 대한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함 - ,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접합을 통해 얻은 이미지임 - , 상기 제2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만 결정된 경우, 전자기기는 상기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직접 편집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전자기기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을 함께 편집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며, 예컨대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을 격자 모양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을 접합하여 표시함으로써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를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제1 이미지를 확대하는 것을 통해 편집 대상 영역을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미지의 편집 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킨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되고,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제1 편집 대상 영역 및 제2 편집 대상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는,
제3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3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다수의 위치결정 식별자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위치결정 식별자는 하나의 상기 편집 대상 영역과 연관되어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하나의 상기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축소 영역의 위치를 표기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제1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제2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식별자에 작용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제4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4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포함함 - ;
상기 제2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위치결정 식별자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고, 상기 제2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식별자에 작용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기기는 상기 제2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 상의 영역 1, 영역 2 및 영역 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때, 상기 제3 편집 인터페이스는 영역 1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는 영역 1과 연관되는 위치결정 식별자 1, 영역 2와 연관되는 위치결정 식별자 2 및 영역 3과 연관되는 위치결정 식별자 3이 포함되고; 위치결정 식별자 3에 작용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영역 1에 대응하는 이미지에서 영역 3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전환된다. 이로써, 다수의 편집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에 비해, 단일 편집 대상 영역을 표시하는 이미지의 표시 효과가 더 좋고, 다음 편집 대상 영역의 이미지를 편집해야 하는 경우, 위치결정 식별자를 통해 표시되는 편집 대상 이미지를 빠르게 전환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제1 이미지를 확대하는 것을 통해 편집 대상 영역을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미지의 편집 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접합하여 제3 이미지를 얻는 단계; 또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자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선택적인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을 직접 접합하거나 자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을 가일층 줄이고, 이미지의 편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타겟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타겟 대상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상기 타겟 대상을 기반으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타겟 대상은 상기 제1 이미지에 있는 인물 이미지, 음식 등 대상일 수 있다. 전자기기는 직사각형 테두리 등을 통해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표기하고,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편집 가능한 영역으로 하여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편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에 있는 인물 이미지에 대한 얼굴 보정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전자기기에 의해 자동으로 식별된 인물 이미지를 기반으로, 식별된 모든 인물 이미지에 대해 일괄적인 얼굴 보정 처리를 수행하거나 일부 인물 이미지에 대해 얼굴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이미지에 있는 인물 이미지를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조작을 줄이고, 이미지의 편집 효율을 향상시킨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601: 앨범 내의 이미지 1에 작용하는 클릭 입력을 수신하면, 이미지 1의 높이값*폭값(H*W)을 획득하고,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표시폭값(PH*PW)을 획득한다.
단계 602: 이미지 1이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충족하면, 단계 603을 수행하고, 충족하지 않으면, 단계 609를 수행한다.
이미지 1의 높이값*폭값이 9865*3024이고,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표시폭값이 2376*1080이고, 표시 화면이 현재 세로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표시 화면에 이미지 1이 완전히 표시될 수 없고, 이미지 1이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03: 이미지 1을 폭방향으로 완전히 표시하고, 표시 화면의 표시 비율을 기반으로, 이미지 1이 높이방향으로 표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을 결정한다.
이미지 1을 폭방향으로 완전히 표시하며, 즉 이미지 1이 폭방향으로 표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이 W’=3024이면, 이미지 1이 높이방향으로 표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픽셀값은 H’=(PH/PW)*W’=3024*2.2=6652.8이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는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서 6652.8*3024의 국부 이미지가 표시되고, 3212.2*3024의 국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다.
단계 604: 표시 인터페이스에 상기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국부 이미지의 위쪽에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이미지 1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네일(30)은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 인터페이스의 우측에 표시된다. 섬네일(30)이 처음 로딩될 때, 섬네일(30)의 상부에는 깜박이는 위쪽 화살표가 추가되고, 섬네일(30)의 하부에는 깜박이는 아래쪽 화살표가 추가되어 이미지 1이 완전히 표시되지 않았고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 국부 이미지만 표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현재 화면에 표시된 국부 이미지(20)에 따라, 섬네일(30)에서 직사각형 테두리로 국부 이미지(20)에 대응하는 축소 영역을 강조 표시한다. 국부 이미지(20)가 이미지 1 상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섬네일(30) 아래쪽의 단일 화살표를 이중 화살표로 전환하여, 아래쪽의 표시되지 않은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상기 국부 이미지의 위에서 아래로의 전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국부 이미지(20)가 이미지 1 상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니고 하단의 단부 이미지도 아닌 경우, 섬네일(30) 위쪽과 아래쪽의 단일 화살표는 모두 이중 화살표로 전환되어, 아래쪽 또는 위쪽의 표시되지 않은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국부 이미지의 위에서 아래로의 전환, 또는 아래에서 위로의 전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국부 이미지(20)가 이미지 1 하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섬네일(30) 위쪽의 단일 화살표를 이중 화살표로 전환하여, 위쪽의 표시되지 않은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상기 국부 이미지의 아래에서 위로의 전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단계 605: 상기 제4 입력을 수신하면, 이미지 1을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현재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국부 이미지를 전환하고, 이미지 1의 섬네일에 있는 직사각형 테두리로 선택된 축소 영역도 실시간으로 변화시킨다.
단계 606: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이미지 1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제스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설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입력 제스처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국부 이미지(20)의 상하로 대각인 두 위치점을 동시에 누르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오른손의 엄지로 국부 이미지(20) 좌측 하단 모서리의 위치점을 누르고, 동시에 오른손의 중지로 국부 이미지(20) 우측 상단 모서리의 위치점을 눌러 편집 대상 영역을 선택한다.
단계 607: 선택된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한다.
편집 대상 영역을 선택한 후 직접 편집 모드로 진입하고, 편집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낙서, 테두리 추가, 문자 추가, 자르기 등 편집 조작을 수행하여 편집 대상 영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08: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한 후, 소셜 플랫폼에 공유하려면, 편집된 국부 영역을 별도의 이미지로 생성하여 공유하거나, 편집된 이미지 1을 공유할 수 있다. 소셜 플랫폼에 공유할 필요가 없으면, 단계 605를 반복하여 수행하고, 이미지 1을 편집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606에서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사용자 정의를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701: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되, 상기 제3 입력은 타겟 제스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제스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의로 설정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먼저 상기 국부 이미지의 좌측 상단 모서리를 길게 누르고, 그 다음 슬라이딩을 통해 Z자형 호형을 그리고, Z자형 호형의 상하 위치에 따라 편집 대상 영역을 얻는다.
단계 702: 상기 타겟 제스처와 매칭되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면, 이미지 1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703: 선택된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한다.
편집 대상 영역을 선택한 후 직접 편집 모드로 진입하고, 편집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낙서, 테두리 추가, 문자 추가, 자르기 등 편집 조작을 수행하여 편집 대상 영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704: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한 후, 소셜 플랫폼에 공유하려면, 편집된 국부 영역을 별도의 이미지로 생성하여 공유하거나, 편집된 이미지 1을 공유할 수 있다. 소셜 플랫폼에 공유할 필요가 없으면, 단계 605를 반복하여 수행하고, 이미지 1을 편집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요약하면,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섬네일의 형태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에 비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미지를 확대하는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내용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완전한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도록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뚜렷한 이미지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이 표시 제어 장치 내의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표시 제어 장치가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장치(800)는,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801);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802)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1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2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2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제2 단에서 상기 제1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대향하는 양단이며;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3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4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4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표시 제어 장치(800)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도록 구성된 제1 편집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제1 축소 영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축소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편집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 상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함 - ,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 상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접합을 통해 얻은 이미지임 - , 상기 제2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표시 제어 장치(800)는,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제스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스처와 상기 타겟 제스처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표시 제어 장치(800)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타겟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된 식별 모듈;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편집하도록 구성된 제2 편집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섬네일의 형태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에 비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미지를 확대하는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내용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완전한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도록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뚜렷한 이미지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표시 제어 장치는 장치이거나, 단말의 구성요소,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이 장치는 모바일 전자기기 또는 비모바일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팜탑 컴퓨터, 차량탑재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기기는 서버,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표시 제어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의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09), 및 메모리(9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9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기기(900)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표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와 비모바일 전자기기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0은 본 출원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 전자기기(10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01), 네트워크 모듈(1002), 오디오 출력 유닛(1003), 입력 유닛(1004), 센서(1005), 표시 유닛(1006), 사용자 입력 유닛(1007), 인터페이스 유닛(1008), 메모리(1009) 및 프로세서(1010) 등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전자기기(1000)에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 전지)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0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및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가 전자기기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유닛(1007)은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010)가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표시 유닛(1006)은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되고;
표시 유닛(1006)은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1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2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2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제2 단에서 상기 제1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대향하는 양단이며;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3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4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4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07)은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프로세서(1010)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1010)는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07)은 구체적으로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고; 또는,
사용자 입력 유닛(1007)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제1 축소 영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축소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표시 유닛(1006)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0)는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표시 유닛(1006)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접합을 통해 얻은 이미지이고, 프로세서(10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07)은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프로세서(1010)는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제스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프로세서(10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스처와 상기 타겟 제스처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010)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타겟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표기하고;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편집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섬네일의 형태로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에 비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미지를 확대하는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내용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완전한 이미지 내용을 살펴보도록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뚜렷한 이미지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1004)은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041) 및 마이크로폰(10042)을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10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표시 유닛(1006)은 표시 패널(10061)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10061)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07)은 터치 패널(10071) 및 기타 입력 장치(10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한다. 터치 패널(10071)은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10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 음량 조절 버튼, 전원 버튼 등), 트랙 볼, 마우스, 조이스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메모리(10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10)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표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전자기기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하며,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온 칩 등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표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 실시예는 상기 표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기기를 더 제공하며,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출현되는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서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기타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위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는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라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한 부분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되고, 한 대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몇몇 명령을 포함한다.
위에서는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들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이며,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주지 및 청구항에 따른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되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1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2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2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제2 단에서 상기 제1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대향하는 양단이며;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3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4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4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국부 이미지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제1 축소 영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축소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함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함 - ,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접합을 통해 얻은 이미지임 - , 상기 제2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이 제스처 입력인 경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제스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스처와 상기 타겟 제스처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타겟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표기하는 단계;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8.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국부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미지가 충족하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폭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폭값보다 큰 것, 상기 제1 이미지의 높이값이 표시 화면의 표시높이값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은 플로팅 컨트롤의 방식으로 표시되며;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컨트롤 및 제2 컨트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1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컨트롤은 제2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2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제2 단에서 상기 제1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대향하는 양단이며;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3 표시상태이고;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2 단의 단부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컨트롤은 제4 표시상태이고, 상기 제4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2 컨트롤은 상기 국부 이미지가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편집하도록 구성된 제1 편집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국부 이미지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 작용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섬네일에서 제1 축소 영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축소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집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 상기 제1 편집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함 - , 상기 하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이 결정된 경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 상기 제2 편집 인터페이스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다수의 편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접합을 통해 얻은 이미지임 - , 상기 제2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제스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스처와 상기 타겟 제스처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편집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 대상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타겟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국부 이미지에서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표기하도록 구성된 식별 모듈;
    상기 타겟 대상의 이미지 영역을 편집하도록 구성된 제2 편집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5.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8.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37044345A 2021-07-15 2022-07-08 표시 제어 방법, 장치 KR20240010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802299.2A CN113407144B (zh) 2021-07-15 2021-07-15 显示控制方法、装置
CN202110802299.2 2021-07-15
PCT/CN2022/104566 WO2023284639A1 (zh) 2021-07-15 2022-07-08 显示控制方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049A true KR20240010049A (ko) 2024-01-23

Family

ID=7768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345A KR20240010049A (ko) 2021-07-15 2022-07-08 표시 제어 방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43148A1 (ko)
EP (1) EP4372544A1 (ko)
KR (1) KR20240010049A (ko)
CN (1) CN113407144B (ko)
WO (1) WO2023284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7144B (zh) * 2021-07-15 2022-10-2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
CN114063863A (zh) * 2021-11-29 2022-02-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2292B2 (en) * 2009-02-05 2015-10-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collage authoring
US20120198384A1 (en) * 2011-01-28 2012-08-02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presenting a unified view of a main document image and thumbnail images
CN103150089B (zh) * 2013-01-17 2015-12-02 恒泰艾普石油天然气技术服务股份有限公司 大幅面图形图像缩略图浏览和快速定位目标区域的方法
CN105335039A (zh) * 2014-07-30 2016-02-17 国际商业机器公司 在可编辑文档的页面之间移动对象的方法及装置
KR102302197B1 (ko) * 2015-04-01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6055247A (zh) * 2016-05-25 2016-10-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片显示装置、方法和移动终端
CN109753214A (zh) * 2017-11-06 2019-05-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CN111061531B (zh) * 2019-12-10 2022-07-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片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782097A (zh) * 2020-06-30 2020-10-1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图像资源切换方法及装置
CN112162683A (zh) * 2020-09-25 2021-0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放大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199552B (zh) * 2020-10-12 2024-03-1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图像的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3407144B (zh) * 2021-07-15 2022-10-2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07144A (zh) 2021-09-17
US20240143148A1 (en) 2024-05-02
CN113407144B (zh) 2022-10-25
WO2023284639A1 (zh) 2023-01-19
EP4372544A1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147B1 (ko) 영상 보기 응용 프로그램
US20100053342A1 (en) Image edi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240010049A (ko) 표시 제어 방법, 장치
CN113093968B (zh) 拍摄界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DE112007002107T5 (de)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ph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m Anzeigen strukturierter elektronischer Dokumente
CN112954210B (zh) 拍照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2714253B (zh) 视频录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102373021B1 (ko) 글로벌 특수 효과의 전환 방법, 전환 장치, 단말 설비 및 저장 매체
CN112099707A (zh) 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099695B (zh) 图标位置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083854A (zh) 应用程序的运行方法及装置
WO2011018683A1 (en) System to highlight differences in thumbnail images, mobile phone including system, and method
WO2023030115A1 (zh) 界面显示方法和装置
CN112911147A (zh)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装置及电子设备
CN113986076A (zh) 图标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268182B (zh) 应用图标的管理方法和电子设备
CN112822394B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449110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162814A (zh) 图像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078348A1 (zh) 应用程序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247830A1 (zh) 图片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32717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65500A (zh) 信息搜索方法及装置
CN112333395A (zh) 对焦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796746B (zh) 音量调节方法、音量调节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