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659A - 돼지 우리 - Google Patents

돼지 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659A
KR20240009659A KR1020220086814A KR20220086814A KR20240009659A KR 20240009659 A KR20240009659 A KR 20240009659A KR 1020220086814 A KR1020220086814 A KR 1020220086814A KR 20220086814 A KR20220086814 A KR 20220086814A KR 20240009659 A KR20240009659 A KR 2024000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pig
side wall
rotating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부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바이오인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바이오인티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바이오인티
Priority to KR102022008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659A/ko
Publication of KR2024000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1Cubicle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1Rotary, round or circular animal ba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27Battery cages for pigl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돼지 우리는, 사각 형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수직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전후좌우 측벽들 및 상기 전후 측벽들 하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펜스는 어미 돼지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측벽들로 둘러싸인 이동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돼지 우리{Pigpen}
본 발명은 돼지 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미 돼지로부터 새끼 돼지들을 보호할 수 있는 돼지 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우리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벽들로 이루어지며, 돼지를 한 마리씩 가두어 효율적으로 사육하는데 이용된다.
어미 돼지가 새끼 돼지를 낳으면, 새끼 돼지에게 젖을 먹여야 하므로 어미 돼지와 새끼 돼지를 서로 다른 돼지 우리로 격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어미 돼지가 새끼 돼지와 좁은 돼지 우리에 같이 있게 된다.
어미 돼지가 새끼 돼지와 좁은 돼지 우리에 같이 있는 되면, 새끼 돼지가 어미 돼지에게 깔려 죽거나 어머 돼지에게 물려 죽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새끼 돼지들이 어미 돼지로부터 피난할 수 있는 피난 공간이 형성되며 어미 돼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돼지 우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우리는, 사각 형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수직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전후좌우 측벽들 및 상기 전후 측벽들 하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펜스는 어미 돼지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측벽들로 둘러싸인 이동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상기 좌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키기 전에 새끼 돼지들이 상기 회전 펜스를 통과하여 어미 돼지로부터 피난하기 위한 피난 공간을 상기 좌 측벽과 상기 회전 펜스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후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고정홈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1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펜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걸림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하기 전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고정홈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회전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미 돼지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회전 펜스는 상단부가 우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돼지 우리는, 상기 전후 측벽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펜스는, 어미 돼지의 상기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측벽들로 둘러싸인 이동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후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3 고정홈 및 제4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펜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제2 걸림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하기 전의 제3 위치에서 상기 제3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제4 위치에서 상기 제4 고정홈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동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미 돼지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이동 펜스는 상단부가 좌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돼지 우리는, 상기 전 측벽 및 상기 후 측벽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어미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통 및 상기 전 측벽 및 상기 후 측벽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어미 돼지의 출입을 위한 개폐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료통과 상기 개폐문은 상기 회전 펜스와 상기 이동 펜스 사이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돼지 우리는 상기 회전 펜스와 상기 이동 펜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켜 어미 돼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미 돼지의 분만 시 새끼 돼지가 어미 돼지에게 깔려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미 돼지의 도축시 상기 어미 돼지를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어미 돼지를 상기 돼지 우리로부터 쉽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돼지 우리는, 상기 좌 측벽과 상기 회전 펜스 사이에 상기 피난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회전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키기 전이라도 새끼 돼지들이 상기 회전 펜스를 통과하여 상기 피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새끼 돼지가 어미 돼지에게 깔려 죽거나 어머 돼지에게 물려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우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회전 펜스와 이동 펜스가 회전 및 이동하여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 부재 및 제1 걸림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고정 부재 및 제2 걸림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우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회전 펜스와 이동 펜스가 회전 및 이동하여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 부재 및 제1 걸림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고정 부재 및 제2 걸림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돼지 우리(100)는 바닥부(110), 측벽들(120), 사료통(130), 개폐문(140), 회전 펜스(150), 제1 고정 부재(160), 제1 걸림 부재(170), 이동 펜스(180), 제2 고정 부재(200) 및 제2 걸림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돼지 우리(100)에 수용되는 돼지를 지지한다. 상기 바닥부(110)는 사각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상기 바닥부(110)는 시멘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바닥부(110)는 분뇨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들이 구비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분뇨를 저장하거나 배출하는 저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들(120)은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110)와 수직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측벽들(120)은 전 측벽(120a), 후 측벽(120b), 좌 측벽(120c) 및 우 측벽(120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들(12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벽들(120)에 의해 어미 돼지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공간(S)이 한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이 높이가 상기 좌 측벽(120c) 및 상기 우 측벽(120d)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좌 측벽(120c) 및 상기 우 측벽(120d)에 상기 회전 펜스(150) 및 상기 이동 펜스(180)가 구비되므로, 상기 좌 측벽(120c) 및 상기 우 측벽(120d)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 측벽(120a), 상기 후 측벽(120b), 상기 좌 측벽(120c) 및 상기 우 측벽(120d)의 높이가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사료통(130)은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상기 사료통(130)은 오목한 용기 형상을 갖는다. 어미 돼지나 새끼 돼지가 먹기 위한 사료를 상기 사료통(130)에 공급한다.
상기 사료는 상기 사료통(130)으로 수동으로 공급되거나, 별도의 공급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개폐문(140)은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 중 상기 사료통(130)이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어미 돼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된다.
상기 사료통(130)과 상기 개폐문(140)은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펜스(150)는 상기 전 측벽(120a)의 하단 및 상기 후 측벽(120b)의 하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회전축(15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15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 펜스(150)는 상기 사료통(130)과 상기 개폐문(140)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51)은 상기 좌 측벽(120c)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회전 펜스(150)는 상기 회전축(151)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공간(S)이 축소됨에 따라 어미 돼지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펜스(150)는 상단부가 우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펜스(150)가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 펜스(150)는 어미 돼지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1)이 상기 좌 측벽(120c)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므로, 상기 좌 측벽(120c)과 상기 회전 펜스(150) 사이에 피난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새끼 돼지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펜스(150)의 하단이 상기 바닥부(110)와 이격되거나, 상기 회전 펜스(150)를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들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펜스(150)가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시키기 전이라도 새끼 돼지들이 상기 이동 공간(S)으로부터 상기 회전 펜스(150)를 통과하여 상기 피난 공간(S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새끼 돼지들이 어미 돼지로부터 피난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새끼 돼지가 어미 돼지에게 깔려 죽거나 어미 돼지에게 물려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160)는 상기 사료통(130) 및 상기 개폐문(140)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 부재(160)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고정 부재(160)는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160)의 상부면에는 제1 고정홈(161) 및 제2 고정홈(16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홈(161)은 상기 좌 측벽(120c)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홈(162)은 상기 좌 측벽(120c)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고정홈(161) 및 상기 제2 고정홈(162)은 상기 좌 측벽(120c)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부재(170)은 상기 회전 펜스(150)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 부재(170)는 상기 회전 펜스(150)의 전후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 펜스(150)의 전후 단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걸림 부재(170)에는 상하로 연장하는 장홀(171)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171)을 관통하여 체결 부재(172)가 상기 회전 펜스(15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걸림 부재(170)는 상기 장홀(171)의 길이만큼 상기 회전 펜스(150)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부재(170)의 하단에 제1 걸림 돌기(173)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 돌기(173)가 상기 제1 고정홈(161) 또는 상기 제2 고정홈(162)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 걸림 부재(17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걸림 부재(170)를 들어올리기 위한 제1 손잡이(1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부재(170)가 상기 회전 펜스(150)의 전후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걸림 부재(170)는 상기 회전 펜스(150)의 상기 수평 프레임들 중 하나의 내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1 걸림 부재(170)가 상하 이동하면 나머지 하나의 제1 걸림 부재(170)도 같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펜스(150)의 전후 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 걸림 부재(170)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 손잡이(174)를 잡아 상기 제1 걸림 부재(170)를 상승시켜 상기 제1 걸림 돌기(173)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회전 펜스(150)를 상기 회전 펜스(150)가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하기 전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회전 펜스(150)가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시킨 제2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손잡이(174)를 잡아 상기 제1 걸림 부재(170)를 하강 시키면, 상기 제1 걸림 부재(170)의 상기 제1 걸림 돌기(173)가 제1 고정홈(161)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손잡이(174)를 잡아 상기 제1 걸림 부재(170)를 하강 시키면, 상기 제1 걸림 돌기(173)가 상기 제2 고정홈(162)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160) 및 상기 제1 걸림 부재(170)에 의해 상기 회전 펜스(150)는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펜스(180)는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에 양단이 장착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펜스(180)는 상기 사료통(130)과 상기 개폐문(140)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에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19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펜스(180)의 전후 양단에 구비된 롤러들(181)이 상기 가이드 부재(190)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펜스(180)가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펜스(180)는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공간(S)이 축소됨에 따라 어미 돼지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펜스(180)는 상단부가 좌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펜스(180)가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 펜스(180)는 어미 돼지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펜스(150)와 상기 이동 펜스(180)가 상기 이동 공간(S1)을 동시에 축소시킴으로써 어미 돼지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미 돼지의 분만 시 새끼 돼지가 어미 돼지에게 깔려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미 돼지의 도축시 상기 어미 돼지를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어미 돼지를 상기 돼지 우리로부터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200)는 상기 사료통(130) 및 상기 개폐문(140)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 부재(200)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부재(200)는 상기 이동 펜스(18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고정 부재(200)는 상기 전 측벽(120a) 및 상기 후 측벽(120b)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200)의 상부면에는 제3 고정홈(181) 및 제4 고정홈(182)이 형성된다. 상기 제3 고정홈(181)은 상기 좌 측벽(120c)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고정홈(182)은 상기 좌 측벽(120c)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3 고정홈(181) 및 상기 제4 고정홈(182)은 상기 좌 측벽(120c)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고정홈(182)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걸림 부재(210)은 상기 이동 펜스(180)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걸림 부재(210)는 상기 이동 펜스(180)의 전후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 펜스(180)의 전후 단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걸림 부재(210)와 상기 이동 펜스(180)의 사이에는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11)는 하나가 구비되거나 안정적 결합을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걸림 부재(210)는 상기 결합부(211)를 통해 상기 이동 펜스(180)에 체결된다.
상기 제2 걸림 부재(210)의 하단에 제2 걸림 돌기(2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걸림 돌기(212)가 상기 제3 고정홈(181) 또는 상기 제4 고정홈(182)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2 걸림 부재(210)의 상단에는 상기 제2 걸림 부재(210)를 들어올리기 위한 제2 손잡이(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 부재(210)가 상기 이동 펜스(180)의 전후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 손잡이(213)는 상기 제2 걸림 부재(21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2 걸림 부재(210)가 상하 이동하면 나머지 하나의 제2 걸림 부재(210)도 같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펜스(180)의 전후 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2 걸림 부재(210)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손잡이(213)를 잡아 상기 제2 걸림 부재(210)를 상승시켜 상기 제2 걸림 돌기(212)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이동 펜스(180)를 상기 이동 펜스(180)가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하기 전의 제3 위치 또는 상기 이동 펜스(180)가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시킨 제4 위치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 손잡이(213)를 잡아 상기 제2 걸림 부재(210)를 하강 시키면, 상기 제2 걸림 부재(210)의 상기 제2 걸림 돌기(212)가 제3 고정홈(181)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4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 손잡이(213)를 잡아 상기 제2 걸림 부재(210)를 하강 시키면, 상기 제2 걸림 돌기(212)가 상기 제4 고정홈(182)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 부재(200) 및 상기 제2 걸림 부재(210)에 의해 상기 이동 펜스(180)는 상기 제3 위치 또는 상기 제4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고정홈(182)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 걸림 돌기(212)가 상기 제4 고정홈들(182)에 걸려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어미 돼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 공간(S)이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펜스(150)와 상기 이동 펜스(180) 사이의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어미 돼지의 분만 전에는 상기 회전 펜스(150)를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이동 펜스(180)를 상기 제3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이동 공간(S)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어미 돼지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고 어미 돼지가 상대적으로 넓은 상기 이동 공간(S)에서 사육될 수 있다.
또한, 어미 돼지의 분만 후 일정 시간이 지나 새끼 돼지들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면, 상기 회전 펜스(150)를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이동 펜스(180)를 상기 제3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이동 공간(S)을 원래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어미 돼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새끼 돼지들이 상기 회전 펜스(150)를 통해 상기 피난 공간(S1)으로 피난할 수 있으므로, 새끼 돼지가 어미 돼지에게 깔려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미 돼지의 분만 시, 상기 회전 펜스(150)를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이동 펜스(180)를 상기 제4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함으로써 어미 돼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미 돼지의 분만 시 새끼 돼지가 어미 돼지에게 깔려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미 돼지의 도축 등 어미 돼지의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회전 펜스(150)를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이동 펜스(180)를 상기 제4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이동 공간(S)을 축소함으로써 어미 돼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미 돼지를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어미 돼지를 상기 돼지 우리로부터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돼지 우리 110: 바닥부
120: 측벽 120a: 전 측벽
120b: 후 측벽 120c: 좌 측벽
120d: 우 측벽 130: 사료통
140: 개폐문 150: 회전 펜스
151: 회전축 160: 제1 고정 부재
161: 제1 고정홈 162: 제2 고정홈
170: 제1 걸림 부재 171: 장홀
172: 체결 부재 173: 제1 걸림 돌기
174: 제1 손잡이 180: 이동 펜스
181: 롤러 190: 가이드 부재
200: 제2 고정 부재 201: 제3 고정홈
202: 제4 고정홈 210: 제2 걸림 부재
211: 결합 부재 212: 제2 걸림 돌기
213: 제2 손잡이 S: 이동 공간
S1: 피난 공간

Claims (8)

  1.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수직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전후좌우 측벽들; 및
    상기 전후 측벽들 하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펜스는 어미 돼지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측벽들로 둘러싸인 이동 공간을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좌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키기 전에 새끼 돼지들이 상기 회전 펜스를 통과하여 어미 돼지로부터 피난하기 위한 피난 공간을 상기 좌 측벽과 상기 회전 펜스 사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고정홈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1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펜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걸림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하기 전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미 돼지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회전 펜스는 상단부가 우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측벽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펜스는, 어미 돼지의 상기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측벽들로 둘러싸인 이동 공간을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3 고정홈 및 제4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펜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제2 걸림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하기 전의 제3 위치에서 상기 제3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제4 위치에서 상기 제4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펜스가 상기 이동 공간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미 돼지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이동 펜스는 상단부가 좌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 측벽 및 상기 후 측벽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어미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통; 및
    상기 전 측벽 및 상기 후 측벽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어미 돼지의 출입을 위한 개폐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료통과 상기 개폐문은 상기 회전 펜스와 상기 이동 펜스 사이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우리.
KR1020220086814A 2022-07-14 2022-07-14 돼지 우리 KR20240009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814A KR20240009659A (ko) 2022-07-14 2022-07-14 돼지 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814A KR20240009659A (ko) 2022-07-14 2022-07-14 돼지 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659A true KR20240009659A (ko) 2024-01-23

Family

ID=8971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814A KR20240009659A (ko) 2022-07-14 2022-07-14 돼지 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6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0451C (en) Containment apparatus for containing gestating sows
US10743514B2 (en) Animal crate assembly
US5230299A (en) Telescoping entry gate for milking parlor
US3415227A (en) Animal stall and gate means
KR20240009659A (ko) 돼지 우리
US7162977B1 (en) Small animal restraint chute
KR102308203B1 (ko) 동물복지형 모돈사
US7784431B2 (en) Animal stanchion with selectively releasable feature
US3059616A (en) Stall structure
US34722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rrowing sows and rearing and brooding piglets
US6477984B1 (en) Gate assembly for confining animals in an alley
WO2021223187A1 (zh) 实验动物笼具和实验动物转移装置
ES2781803T3 (es) Nave de cría de cerdos
US5365885A (en) Drop stall
EP1520470A2 (de) Abferkelbucht mit einem Sauenkäfig
CZ20031108A3 (cs) Kóje pro domácí zvířectvo, obzvláště prasnice
FI90491B (fi) Karsina sikoja varten
US2881734A (en) Suckling and farrowing crate
US9113611B1 (en) Animal release chute apparatus
KR102634890B1 (ko) 잠금해제장치를 구비한 축사용 회전도어
WO2015193661A1 (en) Farrowing pen structure
DE3602828A1 (de) Rauhfuttertrog fuer die viehhaltung
WO1994003050A1 (en) Apparatus for feeding animals
KR20230124380A (ko) 영장류를 위한 터널형 행동 풍부화 장치
JP3059420U (ja) ペット飼育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