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501A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501A
KR20240009501A KR1020237043869A KR20237043869A KR20240009501A KR 20240009501 A KR20240009501 A KR 20240009501A KR 1020237043869 A KR1020237043869 A KR 1020237043869A KR 20237043869 A KR20237043869 A KR 20237043869A KR 20240009501 A KR20240009501 A KR 2024000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erosol delivery
delivery system
circu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몰로니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5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7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providing pag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며,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본 개시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에 사용하기 위한 회로 및 그러한 회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시가렛들(e-시가렛들)과 같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를 포함할 수 있는 소스 액체의 저장소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예를 들어 열 기화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또는 증기가 생성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포함할 것이고, 에어로졸 생성 챔버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전구체 재료의 일부를 기화 또는 에어로졸화하도록 배열된 에어로졸 생성기, 예를 들어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흡입하고 기화기에 전력이 공급되면, 공기가 입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 연결된 흡인 공기 채널을 따라 디바이스 내로 흡인되고,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서 공기가 기화된 전구체 재료와 혼합되어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서 마우스피스의 출구로 연결되는 배출 공기 채널이 있으며, 사용자가 마우스피스에서 흡입할 때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 흡인된 공기는 배출 흐름 경로를 따라 마우스피스 출구로 계속 이동하여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일부 전자시가렛들은 추가적인 향미들을 전달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경로에 향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때때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으며, 향미 요소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챔버와 마우스피스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에 배열된 담배의 일부를 포함하여, 디바이스를 통해 흡인된 에어로졸/응축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를 빠져나가기 전에 담배의 일부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들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더 넓은 전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상기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 무선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여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한 사용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앱')에 업로드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파라미터들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더 광범위하게,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는 케이스들, 충전/리필 도크들, 자판기들, 웨어러블들 및 네트워킹된 서버들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중간 데이터 연결들을 통한 데이터의 중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들 간에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개시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전달 시스템 내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적시에 교환할 수 있도록 적절한 맥락들에서 데이터 연결들이 확립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에서 논의된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거나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접근법들이 설명된다.
일 양태에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가 제공되며, 이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의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에 도달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집된 사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해 제2 디바이스에서 제1 디바이스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에서 제1 디바이스로 전송될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신된 이후에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연결이 확립되는 빈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연결이 마지막으로 확립된 이후에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 이후에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하다고 결정되는 경과된 시간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i)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활동으로부터 도출된 정보,
ii) 사용자의 로케이션 및/또는 이동에 대한 정보,
iii) 양식 또는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
iv)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특성을 감지하여 도출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프로파일이 변경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사용자 프로파일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확립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의 지리적 로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연결의 확립을 위한 절차는 제1 디바이스가 미리 규정된 지리적 로케이션에 들어갔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연결의 확립을 위한 절차는 제2 디바이스가 미리 규정된 지리적 로케이션에 들어갔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는 제2 디바이스에 포함되며,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로부터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포함하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규정된 기준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비컨 신호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2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2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는 제 2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표시를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표시를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표시를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표시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신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두 번째 디바이스와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는 데이터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어떠한 입력도 요구하지 않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두 번째 디바이스와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데이터 연결을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회로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게 하는 단계;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적어도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제공되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은 회로를 포함하고, 회로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회로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는 회로를 포함하고,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비일시적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디바이스에 포함된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회로로 하여금: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게 한다.
이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시스템의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간결성을 위해 상세히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장치들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는 담배를 가열하지만 연소시키지 않음으로써 에어로졸들을 생성하는 네뷸라이저들 또는 e-시가렛들 또는 담배 가열 제품들과 같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증기 전달 디바이스들로도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 전반에서, "e-시가렛" 또는 "전자 시가렛"라는 용어가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용어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디바이스 및 전자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디바이스와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기술 분야에서 통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및 "증기"라는 용어들 및 "기화", "증발" 및 "에어로졸화"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 시스템(1)은 가열하지만 연소시키지 않는 시스템으로도 알려진 담배 가열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 시스템(1)은 하나 또는 다수가 가열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각각은 예를 들어 고체, 액체 또는 겔 형태일 수 있으며,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한다.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그러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부터 증기/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s)(e-시가렛들)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재사용 가능 부품과 교체 가능한(일회용) 카트리지 부품 둘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체를 포함한다. 종종,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부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기화기를 포함할 것이고, 재사용 가능 부품은 전력 공급부(예를 들어, 충전식 전원)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상이한 부품들은 기능에 따라 추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품은 종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동작 상태 특성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것이고,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부품은 일부 경우들에서 온도 제어를 돕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들은 예를 들어, 적절하게 배열된 전기 접점들과의 있는 나사산, 베이요넷 또는 자기 결합을 사용하여 사용을 위해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카트리지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소진되거나 사용자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갖는 상이한 카트리지로 전환하기를 원하는 경우,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자리에 교체 카트리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2-부품 모듈형 구성에 따르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2-부품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시가렛들은 대체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은 일회용 카트리지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종류의 대체로 세장형 2-부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본 원리들은 상이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구성들, 예를 들어 단일 부품 디바이스들 또는 2개 초과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모듈형 디바이스들,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들 및 단일-사용 일회용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더 박스 모양의 형상을 갖는 소위 박스-모드 고성능 디바이스에 기초하는 다른 종합적인 형상들을 따르는 디바이스들에도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게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시스템들에 기초하며,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구조적 양태들은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10)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전달 디바이스(10)는 2개의 주요 컴포넌트, 즉 재사용 가능 부품(2)과 교체 가능한/일회용 카트리지 부품(4)을 포함한다. 정상적인 사용에서, 재사용 가능 부품(2)과 카트리지 부품(4)은 인터페이스(6)에서 함께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리지 부품이 소진되거나 사용자가 단순히 상이한 카트리지 부품으로 전환하기를 원하는 경우, 카트리지 부품은 재사용 가능 부품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그 자리에서 교체 카트리지 부품이 재사용 가능 부품에 부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6)는 2개의 부품 사이의 구조적, 전기적 및 공기 흐름 경로 연결을 제공하며,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예를 들어 2개의 부품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공기 흐름 경로를 적절히 확립하기 위한 적절히 배열된 전기 접점들 및 개구들과의 나사산, 자기 또는 베이요넷 고정에 기초하여 확립될 수 있다. 카트리지 부품(4)이 재사용 가능 부품(2)에 기계적으로 장착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예를 위해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자기 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인터페이스(6)는 개개의 부품들 사이의 전기 및/또는 공기 흐름 경로 연결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는 카트리지 부품(4)이 아닌 재사용 가능 부품(2)에 제공되거나, 재사용 가능 부품(2)에서 카트리지 부품(4)으로의 전력 전송이 무선으로(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재사용 가능 부품과 카트리지 부품 사이의 전기 연결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전자 시가렛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재사용 가능 부품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재사용 가능 부품과 카트리지 부품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 연결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재사용 가능 부품(2)과 카트리지 부품(4)의 부분들이 사용을 위해 함께 결합될 때 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공기 흐름 경로의 일부가 규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 부품(4)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광범위하게 통상적일 수 있다. 도 1에서, 카트리지 부품(4)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카트리지 하우징(42)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우징(42)은 카트리지 부품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지지하고, 재사용 가능 부품(2)과의 기계적 인터페이스(6)를 제공한다. 카트리지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카트리지 부품이 재사용 가능 부품(2)에 결합되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원형 대칭이다. 이 예에서 카트리지 부품은 길이가 약 4cm, 직경이 약 1.5cm이다. 그러나, 사용되는 구체적인 기하구조, 보다 일반적으로는 전체 형상들 및 재료들은 상이한 구현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카트리지 하우징(42) 내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저장소(44)가 있을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가열되거나, 조사되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재료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겔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담배와 같은 식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대안적으로 "모놀리식 고체"(즉, 비섬유질)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질 고체는 건조된 겔일 수 있다. 비정질 고체는 그 안에 액체와 같은 소정의 유체를 보유할 수 있는 고체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비정질 고체의 약 50 중량%, 60 중량% 또는 70 중량% 내지 비정질 고체의 약 90 중량%, 95 중량% 또는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제 재료,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 재료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제 재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리스리톨, 메소-에리스리톨, 에틸 바닐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에틸 서베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 트리부티린, 라우릴 아세테이트, 라우릭산, 미리스틱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는 pH 조절제들, 착색제들, 방부제들, 결합제들, 필러들, 안정제들 및/또는 항산화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기판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체 상에 또는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는 종이, 카드, 판지, 골판지, 재구성된 재료, 플라스틱 재료, 세라믹 재료, 복합 재료, 유리,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에서,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공급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소(44)가 제공된다. 이 예에서, 액체 저장소(44)는 카트리지 하우징(42)에 의해 규정되는 외벽과 카트리지 부품(4)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 경로(52)를 규정하는 내벽을 갖는 고리 형상을 갖는다. 저장소(44)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기 위해 각각의 단부에서 단부 벽들로 닫혀 있다. 저장소(44)는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하우징(42)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카트리지 부품은 마우스피스 출구(50)에 대향하는 저장소(44)의 단부에 로케이팅된 에어로졸 생성기(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기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을 방출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열 에너지를 가하도록 구성되는 가열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는 가열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기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진동, 증가된 압력 또는 정전기 에너지 중 하나 이상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2-부품 디바이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는 재사용 가능 부품(2) 또는 카트리지 부품(4)에 존재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예컨대, 가열기)는 재사용 가능 부품(2)에 포함될 수 있고, 카트리지가 재사용 가능 부품(2)과 결합될 때 카트리지(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와 근접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기(48)는 카트리지(4)가 재사용 가능 부품(2)과 결합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 1의 예에서, 가열기(48)와 접촉하는 심지(wick)(46)는 카트리지 공기 흐름 경로(52)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그 단부들은 저장소(44)의 내벽에 있는 개구들을 통해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저장소(44)로 연장된다. 저장소 내벽의 개구들은 심지(46)의 치수들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크기가 조정되어, 유체 전달 성능을 저해할 수 있는 심지의 과도한 압축 없이 액체 저장소에서 카트리지 공기 흐름 경로로의 누출에 대한 적절한 밀봉을 제공한다.
심지(46) 및 가열기(48)는 카트리지 공기 흐름 경로(52) 내에 배열되어, 심지(46) 및 가열기(48) 주변의 카트리지 공기 흐름 경로(52)의 영역이 사실상 카트리지 부품(4)의 기화 영역을 규정하게 한다. 저장소(4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저장소(44)로 연장되는 심지의 단부들을 통해 심지(46)에 침투하고, 표면 장력/모세관 작용(즉, 위킹)에 의해 심지를 따라 흡인된다. 이 예에서 가열기(48)는 심지(46) 주위에 감긴 전기 저항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가열기(48)는 니켈 크롬 합금(Cr20Ni80) 와이어를 포함하고, 심지(46)는 유리 섬유 다발을 포함하지만, 구체적인 에어로졸 생성기 구성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음을 알 것이다. 사용 시, 심지(46)에 의해 가열기(48) 부근으로 흡인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을 기화시키기 위해 가열기(48)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어서, 기화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사용자 흡입을 위해 기화 영역에서 마우스피스 출구(50)로 향하는 카트리지 공기 흐름 경로를 따라 흡인된 공기에 혼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화기(가열기)(48)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기화되는 레이트는 가열기(48)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레벨)에 의존할 것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부품(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가열기에 전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펄스 폭 및/또는 주파수 변조 기술들을 통해 가열기(48)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변경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레이트가 변경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 부품(2)은 e-시가렛을 위한 공기 입구(28)를 규정하는 개구를 갖는 외부 하우징(12), 전자 시가렛의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26)(예를 들어 배터리), 전자 시가렛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회로(18), 제1 사용자 입력 버튼(14), 제2 사용자 입력 버튼(16) 및 시각적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2)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예에서는 인터페이스(6)에서 두 부품들 사이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카트리지 부품(4)의 형상 및 크기를 따르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이 예에서 재사용 가능 부품은 길이가 약 8cm이므로, 카트리지 부품과 재사용 가능 부품을 함께 결합할 때 e-시가렛의 전체 길이는 약 12cm이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자 시가렛의 전체적인 형상 및 규모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공기 입구(28)는 재사용 가능 부품(2)을 통해 공기 흐름 경로(51)에 연결된다. 재사용 가능 부품 공기 흐름 경로(51)는 또한 재사용 가능 부품(2)과 카트리지 부품(4)이 함께 연결될 때 인터페이스(6)를 통해 카트리지 공기 흐름 경로(52)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개구(50)에서 흡입할 때, 공기는 공기 입구(28)를 통해 재사용 가능 부품 공기 흐름 경로(51)를 따라 인터페이스(6)를 가로질러 (기화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공기 흐름에 혼입되는) 에어로졸 생성기(48) 부근의 에어로졸 생성 영역을 통해 카트리지 공기 흐름 경로(52)를 따라 흡인되고,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50)를 통해 배출된다.
이 예에서 전원(26)은 충전식이며, 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들 및 비교적 짧은 기간들 동안 비교적 높은 전류들의 제공을 요구하는 다른 응용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통상적인 유형일 수 있다. 전원(26)은 재사용 가능 부품 하우징(12) 내의 충전 커넥터, 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 버튼들(14, 16)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예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기적 접촉을 확립하기 위해 누를 수 있는 스프링 장착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기계식 버튼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들은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 있으며, 버튼들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버튼들은 전달 디바이스(10)를 스위치 온 및 오프하고, 본 명세서에서 더 제시되는 접근법들에 따라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 링크들을 개시하고, 전원(26)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 공급될 전력과 같은 사용자 설정들을 조정하는 것과 같은 기능들에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입력 버튼들의 포함은 선택 사항이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버튼들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4)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관련된 다양한 특성들, 예를 들어 현재의 전력 설정 정보, 잔여 전원 전력 등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24)는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통상적인 픽셀화된 LCD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특정 컬러들 및/또는 플래시 시퀀스들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개별 표시기, 예를 들어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가 표시되는 방식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는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오디오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시스템의 동작 특성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시스템의 동작 특성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기(22)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확립된 기술들에 따라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통상적인 동작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구성/프로그래밍된다. 제어기(프로세서 회로)(22)는 전달 디바이스(10)의 동작의 상이한 양태들과 관련된 다양한 서브유닛들/회로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어기(22)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원(26)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공급 제어 회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구성 설정들(예컨대, 사용자 규정 전력 설정들)을 확립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20)는 물론,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사용자 입력 검출 회로와 같은 전자 시가렛들의 통상적인 동작 양태들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기능과 관련된 다른 기능 유닛들/회로를 포함한다. 제어기(22)의 기능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래밍 가능 컴퓨터(들) 및/또는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칩(들)/칩셋(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이 확립될 수 있게 하여 전달 시스템(1) 내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추가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회로는 제어기(22)에 통합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별도로 구현된다(예를 들어, 별도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칩(들)/칩셋(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회로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하나 이상의 추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GSM, 2G, 3G, 4G, 5G, LTE, NFC, RFID와 같은 공지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에 따라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무선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원칙적으로 전달 시스템(1)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추가적인 디바이스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회로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하나 이상의 추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위에 제시된 무선 통신들을 위한 구성 대신이거나 그에 추가적일 수 있다. 통신 회로는 USB-C, 마이크로 USB 또는 썬더볼트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유선 데이터 연결을 위한 임의의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통신 회로는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연결될 수 있는 도크, 케이블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 상에 협력 핀들 또는 접촉 패드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핀 또는 접촉 패드 배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사용 가능 부품(2)은 제어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흐름 센서(30)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공기 흐름 센서(30)는 소위 "퍼프 센서(puff sensor)"를 포함하는데, 이는 공기 흐름 센서(30)가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퍼핑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기 흐름 센서는 전원(26)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경로 내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공기 흐름 센서(30)는 일반적으로, 특정 압력 범위에 노출될 때 스위치를 닫아서, 공기 흐름 센서(30) 부근의 압력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면 전류가 전원(26)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임계값은 사용자 퍼프의 시작과 관련된 특성 값에 대응하도록 실험을 통해 결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기 흐름 센서(30)는 제어기(22)에 연결되고, 제어기는 제어기(22)에 의해 공기 흐름 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원(26)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 전력을 분배한다. 공기 흐름 센서(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제어기(22)에 의해 행해진 공기 흐름 센서의 커패시턴스, 저항 또는 다른 특성의 측정을 포함할 수 있음)가 전원(26)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22)에 의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기술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접근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제어기(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다른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지리적 포지션(예를 들어, GPS 수신기 사용),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배향(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기울기 센서 및/또는 가속도계 사용),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온도(예를 들어, 열전쌍 사용),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부근의 주변 광 강도(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사용) 또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예를 들어, 광학 또는 용량성 감지 사용)과 관련된 신호들/데이터를 제어기(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은 '사용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는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고, 메모리 요소(예를 들어, 제어기(22)와 관련된 RAM, ROM, 또는 클라우드 메모리 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메모리 포맷)에 저장되고/되거나, 추가적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100), 도크 또는 케이스(200), 자판기(300), 웨어러블(400) 및/또는 서버(1000))에서 저장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획득된 사용 데이터는 제어기(22)에 의해 '원시' 상태로(즉, 분석 또는 변환 없이)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거나, 저장 및/또는 추가적인 디바이스들로의 전송을 위한 추가 사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변환 또는 분석될 수 있다.
생태계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전달 디바이스)는 더 넓은 전달 시스템(1)/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더 넓은 전달 시스템(1) 내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는 직접적으로(실선 화살표들로 표시됨) 또는 간접적으로(점선 화살표들로 표시됨)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달 생태계/에어로졸 전달 생태계로 지칭될 수도 있다.
e-시가렛와 같은 예시적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스마트폰(100), 도크(200)(예컨대, 재충전 케이스 또는 가정용 리필 및/또는 충전 스테이션), 자판기(3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0)(예컨대, 스마트 시계)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다른 클래스의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e-시가렛와 같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동일한 클래스의 다른 디바이스, 즉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협력하여 전달 시스템(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유선 통신 회로(예를 들어, USB-C, 마이크로 USB, 썬더볼트, 또는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하는 다른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에 의해 또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회로(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GSM, 2G, 3G, 4G, 5G, LTE, NFC 또는 RFID 모듈, 또는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하는 다른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상이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 클래스들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임의의 주어진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연결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에 포함된 다른 디바이스 클래스들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되는 것과 유사한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100), 도크(200)(예컨대, 가정용 리필 및/또는 충전 스테이션), 자판기(300), 웨어러블 디바이스(400)(예컨대, 스마트 시계) 또는 서버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GSM, 2G, 3G, 4G, 5G, LTE, NFC, RFID 또는 다른 무선 전송 모듈 및/또는 USB-C, 마이크로 USB, 썬더볼트 또는 다른 유선 인터페이스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통신 회로(단일 모듈 또는 별개의 모듈들로 구현됨)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가 상이한 유선 및/또는 무선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디바이스 클래스들의 상이한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그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폰(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4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통신하고, USB-C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크/케이스(200)와 유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 내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및 다른 디바이스 클래스들은 인터넷(500)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예컨대, 백홀 통신 링크를 통해) 서버(1000)와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통신 노드/트랜시버 기반구조(예를 들어, LTE 용어로 '기지국' 또는 '진화된 노드-B')와 통신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그러한 통신을 직접 확립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달 시스템(1) 내의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서버(1000)와의 통신을 확립하여, 스마트폰(100), 도크/케이스(200), 자판기(3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어서 이들은 (예를 들어, 인터넷(500)을 통해) 서버(1000)와 통신하여,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로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중계하거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의 통신을 보고하거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의 연결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대해 유추된 정보를 교환한다. 스마트폰(100), 도크(200), 또는 매장 시스템/자판기(300)와 같은 전달 생태계 내의 다른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RFID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단거리 전송 능력들만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s 10)에 대한 허브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허브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면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추가적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서버(1000)) 사이에서 데이터가 교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 도크(200), 자판기(또는 임의의 다른 매장 시스템)(300) 및/또는 웨어러블(400)과 같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 내의 다른 디바이스 클래스들은 또한 자신의 기능의 양태를 이행하기 위해 중계 디바이스를 통해 서버(1000)와 간접적으로 통신하거나,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0)을 대신하여(예를 들어 중계 또는 공동 처리 유닛으로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연결 확립
전달 시스템(1)의 주어진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연결 또는 비연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비연결 상태는 유휴 상태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주어진 제1 디바이스는 다른 제2 디바이스들에 의해 검출될 수 없거나(즉, 제1 디바이스는 자신의 존재 및/또는 아이덴티티가 결정될 수 있게 하는 어떠한 시그널링도 전송하지 않음), 제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확립하는 데 이용가능할 수 있다(즉, 비컨/광고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자신의 존재/아이덴티티를 광고할 수 있음). 연결 상태에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로 전송(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되고/되거나 제2 디바이스에서 제1 디바이스로 전송(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연결 확립은 데이터 전송 방향에 관계없이 두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임의의 상태의 확립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연결 상태들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에 따른 RRC 연결 상태 또는 블루투스 표준에 따른 본딩/페어링 상태의 확립이다.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비연결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의 전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초기 조회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예컨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비컨 신호 또는 다른 식별 신호/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100))의 존재를 확립한다. 인증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는 메시징을 교환하여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들을 교환할 때 사용될 코딩 및 암호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사용될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를 확립한다.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는 합의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또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된 다른 프로토콜들)에 따라 확립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데이터 전송은 양방향 또는 단방향일 수 있다. 유선 통신들을 위한 데이터 통신 프로세스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아닌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된다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무선 및 유선 통신들의 확립을 위한 구현의 추가 양태들은 본 명세서에 추가로 나열된 것들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에 대한 표준 문서들에서 발견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의 임의의 두 디바이스(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스마트폰(100))는 다양한 이유들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비연결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상태로의 전이는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전달 시스템(1)의 회로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하기 때문에 개시될 것이다. 그러한 데이터의 아이덴티티 및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방식은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며, 데이터가 생성되고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하게 되는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다음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달 시스템(1)을 위한 회로가 제공된다. 제1 단계(S1)에서, 회로는 전달 시스템(1)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2 단계(S2)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단계(S3)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단계들은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 시스템(1)의 회로는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 및/또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거동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된 사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회로에 의해 수집된 그러한 사용 데이터는 전달 시스템(1)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공유되어,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디바이스의 동작 양태들을 제어하기 위해 저장(예를 들어, 백업)되고/되거나 분석되고/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사용자와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들을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 데이터로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회로는 제 1 디바이스에 포함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전달 시스템(1)의 상이한 디바이스가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호작용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베이핑/소비 및/또는 조작/핸들링 및/또는 파라미터들의 설정 및/또는 디바이스와 전달 시스템(1)의 추가적인 디바이스들의 연결과 관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인 경우, 직접적인 상호작용들과 관련된 사용 데이터는 제어기(22)에 포함된 회로에 의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공기 흐름 센서(30), 버튼들(14 및 16), 및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하는 다른 센서들과 같은 센서들 및 버튼들로부터 수신된 입력들에 기초한다.
사용 데이터로서 저장된 베이핑/소비 기반 상호작용들은 하나 이상의 선택된 기간 내의 퍼프들/소비 행위들의 수, 빈도 및/또는 분포/패턴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기간들은 일별, 시간별, 로케이션의 함수, 약물동력학(예를 들어, 전달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에 대한 체내 활성 성분 반감기)의 함수, 또는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될 수 있거나, 퍼프/소비의 수, 빈도 및/또는 분포/패턴과 사용자의 상태 사이의 명백한 상관성을 높이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핑 기반 상호작용들은 또한 지속기간, 부피, 평균 공기 흐름, 공기 흐름 프로파일, 활성 성분 비율, 가열기 온도 등과 같은 개별 베이핑 행위 또는 그 코호트(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선택된 기간들 중 하나 내의 코호트로 제한되지 않음)에 대한 통계적 설명들과 관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인 경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위에서 특성화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베이핑하는 시기 및/또는 사용자가 베이핑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기 흐름 센서(30) 및/또는 버튼(14/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는 전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된 기간 내의 퍼프들/소비 행위들의 수, 빈도 및/또는 분포/패턴 및/또는 하나 이상의 베이핑/소비 이벤트에 대한 지속기간, 부피, 평균 공기 흐름, 공기 흐름 프로파일, 평균 성분 비율, 가열기 온도 값들과 같은 특징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조작/핸들링 기반 상호작용들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은 제1 디바이스(예컨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또는 스마트폰(100))가 사용 직전까지 가방에 보관되는지 또는 사용자가 사용들 사이에 제1 디바이스를 가지고 놀거나 만지작거리는지를 특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그러한 상호작용들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터치 바이 센서(touch by sensor) 또는 가속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상호작용들이 기록될 수 있는 버튼들 및 다른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상호작용들은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추가적인 디바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연결들의 확립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또는 스마트폰(100)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와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디바이스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이 확립되는 빈도, 연결들이 확립된 디바이스들의 아이덴티티, 및 데이터의 양 및/또는 전송된 임의의 데이터의 아이덴티티의 기록(예를 들어, 데이터가 사용 데이터 및/또는 제어 파라미터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을 포함하는지 여부)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결 상호작용들을 모니터링하는 회로는 제1 디바이스 또는 추가적인 디바이스들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사용 데이터의 수집이 특히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또는 스마트폰(100)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회로에 의해 사용이 모니터링되는 제1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케이스 또는 도크(200), 자판기(300), 웨어러블(400) 또는 서버(1000)와 같은 전달 시스템(1)의 임의의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달 시스템(1)의 회로는 사용자에 의한 이러한 디바이스 클래스들 중 임의의 클래스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들을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 데이터로서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분석하고/하거나, 플래시 또는 클라우드 메모리 요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저장 요소에 저장하기 위한 센서들의 사용을 통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대해 본 명세서에 제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의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앱')의 사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대한 소모품들의 구매들을 모니터링하고, 구매들의 빈도 및 (활성 성분들의 향기들/농도들 면에서의) 사용자가 구매한 소모품들의 유형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앱은 또한 소모품들의 소진 빈도 및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함께 사용되는 소모품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이 케이스 또는 도크(200)을 포함하는 경우, 도크의 회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또는 전기 에너지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공급되는 빈도와 관련된 정보 및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가 도크(200)와 얼마나 정기적으로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결합되는지에 관한 연결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이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품들을 제공하는) 자판기(300)를 포함하는 경우, 자판기(300)의 회로는 전달 시스템(10)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구매들의 빈도 및 유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데이터는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있거나, 인터넷(500)을 통한 클라우드 저장의 형태로 업로드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의 주어진 제1 디바이스의 사용 모니터링은 또한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동작들 및/또는 아이덴티티에 대한 상황 또는 맥락 정보의 수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의 제어 회로는 제1 디바이스의 지리적 로케이션과 관련된 로케이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그가 그의 지리적 로케이션을 추적할 수 있게 하는 GPS 수신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는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추적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른 맥락 정보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상호작용들과 관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들과 페어링되는 빈도와 관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관련된 다른 맥락 정보는 국가, 종교, 고용, 성별 등과 같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캘린더 및/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그러한 사용 정보가 전달 시스템(1)의 회로에 의해 획득되는 경우, 이는 인터넷(500)을 통한 관련 서버(1000)에 대한 연결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는 온라인 캘린더 및 하나 이상의 소셜 미디어 계정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상의 회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사용 데이터는 제2 디바이스 상의 회로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 데이터는 제2 디바이스에 포함된 회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형태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 시스템(1)의 제2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100), 도크/케이스(200), 자판기(300), 웨어러블(400) 또는 서버(1000)로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제1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갖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RFID 연결)를 통해 주기적으로 사용 데이터를 스마트폰(100)과 같은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의 메모리 요소에 의해 저장된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사용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 그것을 메모리(예를 들어, 제어기(22)와 관련된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지울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상의 저장 공간은 향후 사용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의 회로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의 회로는 전달 시스템(1)의 제2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100), 도크(200), 자판기(300), 웨어러블(400) 또는 서버(1000)에 포함된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획득함으로써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의 회로는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하지 않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의 회로는 시간 경과에 따른 스마트폰(100)의 로케이션과 관련된 지리 정보 및/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온라인 캘린더들 및 소셜 미디어 계정들로부터 도출된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및 거동과 관련된 다른 맥락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전달 시스템(1)의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도크/케이스(200) 또는 웨어러블(400))의 사용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의 '암시적' 모니터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시스템(1)의 사용자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스마트폰(100) 및 웨어러블(400)을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100) 또는 웨어러블(400)에 의해 수집된 사용 데이터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과 관련되고, 따라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관련된 사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의 지리적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이는 동일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양 디바이스를 동시에 휴대하고, 따라서 스마트폰(100)의 로케이션이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로케이션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계정들, 캘린더들 또는 이메일 계정들로부터 스마트폰(100)의 회로에 의해 획득된 스마트폰(100)의 사용자에 대한 맥락 정보는 동일한 사용자가 스마트폰(100)과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모두와 상호작용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과 관련된 데이터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형태들의 데이터도 전달 시스템(1)의 주어진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으며, 일부 경우들에서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 시스템(1)의 추가적인 디바이스로 유리하게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의 거동을 수정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들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100), 도크(200), 자판기(300) 또는 웨어러블(400)의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제어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가열기 제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력 레벨 또는 가열 사이클 지속기간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들), 소모품의 고갈 결정(예를 들어, 소모품이 소진된 것으로 간주되는 시점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임계값), 디바이스의 인증(예를 들어, 디바이스 언로킹 또는 나이 검증과 관련된 파라미터 또는 코드), 그래픽 디스플레이들(예를 들어, 디바이스에서 특정 기능들이 활성화될 때 표시되는 컬러들 또는 그래픽들) 또는 사운드들(예를 들어, 디바이스에서 특정 기능들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재생되는 가청 경고들), 또는 진동들과 같은 햅틱 신호들과 관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또한 스마트폰(100), 도크(200), 자판기(300), 웨어러블(400) 또는 서버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과 같은, 전달 시스템(1)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거동의 양태들을 수정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어 파라미터들은 전달 시스템(1)의 임의의 디바이스의 사용의 모니터링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달 시스템(1)의 추가적인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의 회로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는 사용 데이터, 또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기능을 재프로그래밍 및/또는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들과 같은 임의의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 도크(200), 자판기(300) 또는 웨어러블(400)의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제어기(22)의 거동을 수정하기 위한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펌웨어는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로 유리하게 전송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특정 아이덴티티 및 목적은 중요하지 않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회로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된 바와 같이, 회로가 포함된 전달 시스템(1)의 특정 디바이스는 일차적으로 중요하지는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즉, 회로에 의해 사용이 모니터링되는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즉,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의 개시 후 제1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전달 시스템(1)의 추가적인 디바이스(즉,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중계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회로가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방법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하다는 회로에 의한 결정은 명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회로가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동일한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명시적 결정의 비제한적인 하나의 예로서,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제어기(22)에 포함될 수 있고,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전달 시스템(1)의 추가 디바이스 간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가 이용가능하다는 결정은 회로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메모리 요소 상의 특정 데이터의 양 및/또는 아이덴티티가 미리 규정된 기준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확립하는 것(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저장되는 사용 데이터/제어 파라미터 데이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른 데이터의 양을 확립하는 것)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예컨대, 사용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들)의 양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에 도달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한다. 이는 제 1 디바이스에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자유롭게 남아 있는 메모리의 양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칩과 같은 메모리 요소의 총 용량의 10% 아래로 떨어졌다는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계값은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더 자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기 위해 회로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의 임계 레벨은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절차를 덜 자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임계 레벨은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계값에 무작위 계수를 곱하여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절차에 확률적 변동을 도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는 회로의 결정은 제어 파라미터 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업데이트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하나에 대해 이용가능하다는 회로의 결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서버(1000) 또는 스마트폰(100)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0) 또는 스마트폰(100)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 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업데이트가 서버(1000) 또는 스마트폰(100)에서 이용가능하게 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전달 시스템(1)의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스마트폰(100), 도크/케이스(200), 자판기(300) 또는 웨어러블(400))로 유리하게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들이 제1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하게 되는 방식은 광범위하게 통상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하나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회로는 제1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로부터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컨 신호와 같은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컨 신호로부터, 제1 디바이스와 추가적인 디바이스 간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가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는 스마트폰(100)을 포함하고, 제2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0)은 스마트폰(100) 부근에서 블루투스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무선 수신기 모듈(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데이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컨 또는 페이징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값이 설정되는 표시(예컨대, 표시기 비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되는,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는 표시는 또한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거나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가 필요하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 또는 네트워킹된 트랜시버(예컨대, 서버(1000)에 연결된 기지국)와 같은 제2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s 10)로부터 비컨 또는 페이징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로부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추가적인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제2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접근법들을 사용하여 이들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추가적인 디바이스 사이에 블루투스 링크 또는 유선 연결을 확립함으로써)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추가적인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청각 또는 시각 또는 햅틱 프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추가 디바이스의 연결 상호작용들을 모니터링하여 도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된 바와 같이, 회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사용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연결들이 확립되는 주기, 제1 디바이스가 이전에 연결을 확립한 디바이스(들)의 아이덴티티, 및 주어진 연결 동안 전송되는 데이터의 아이덴티티 및 양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하고, 제2 디바이스는 스마트폰(100), 케이스/도크(200), 자판기(300), 웨어러블(400) 또는 서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전달 시스템(1)의 (예를 들어, 중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추가적인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포함되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100))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연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전달 시스템(1)의 제2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100))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연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는 결정은 제1 디바이스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주어진 제2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연결이 마지막으로 확립된 이후에 경과된 시간에 기초하여 회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적절한 임계값을 확립하기 위한 접근법들이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지만,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의 모니터링으로부터 수집된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사용 프로파일에 기초한 룩업 테이블로부터 확립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가 이용가능하다는 명시적인 결정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포함된 회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비컨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의 회로는 제2 디바이스와 추가적인 디바이스(제1 디바이스 또는 제3 디바이스일 수 있음)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명시적으로 결정하고, 이러한 결정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암시적 결정 절차로 간주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데이터가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하는 회로가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동일한 디바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암시적 결정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거동 및/또는 아이덴티티 및/또는 전달 시스템(1)의 주어진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결정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회로가 데이터의 아이덴티티 또는 양을 명시적으로 식별하지 않고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그러한 데이터가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에 대한 직접적인 상호작용 데이터 및/또는 맥락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방법(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됨)을 포함하는 사용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확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디바이스에서 퍼핑하는 빈도, 각각의 퍼프의 지속기간 및/또는 총 퍼프 지속기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회로는 스마트폰(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로부터 이러한 사용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회로는 사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 프로파일을 확립할 수 있으며, 이는 대체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얼마나 집중적으로 사용하는지와 관련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특정 통합 기간에 걸친 시간에 대한 총 퍼프 지속기간의 측정은 사용자를 다수의 강도 프로파일 중 하나로 분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강도 프로파일은 스마트폰과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는 절차가 개시되어야 하는 적절한 빈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더 집중적인 사용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제어기에 의한 사용 데이터 획득의 더 높은 레이트를 유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집중적인 사용 프로파일을 갖는 사용자에 대해,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 데이터 저장을 위한 이용가능 메모리가 고갈되는 시나리오들을 피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차를 보다 정기적으로 개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그 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마지막 데이터 연결 이후의 적절한 경과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주어진 사용자에 대한 사용 프로파일의 할당은 또한 사용자와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과 관련이 없는 맥락 및 상황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들의 모니터링으로부터의 사용 데이터, 및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관련된 소셜 미디어 계정들, 이메일 계정들 및 캘린더들로부터 도출된 다른 정보, 및/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앱 또는 웹 인터페이스 상의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프로파일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선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맥락 정보는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 프로파일을 할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회로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경우, 이 사용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된 바와 같이,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들의 모니터링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의 임의의 조합(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퍼프들의 주기 및 지속기간, 자판기(300)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소모품들의 구매들, 리필 도크(200)에 의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충전 및 리필링의 주기, 전달 시스템(1)의 임의의 두 디바이스 간에 이루어진 데이터 연결들의 이력 및 전송된 데이터의 아이덴티티 및 양,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의 앱에 입력한 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에 의한 제1 디바이스의 사용 모니터링은 회로가 제1 디바이스에 포함될 필요가 없게 하며, 회로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할 필요가 없게 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제1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된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로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델을 사용하여 전달 시스템(1)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사용 프로파일을 할당할 수 있다. 사용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기계 학습 접근법들 또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예컨대, 사용 데이터)의 세트에 클래스 또는 값을 할당하기 위해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용 데이터로부터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모델 또는 분류기는 전달 시스템(1)(또는 다른 유사한 전달 시스템(1s))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이력 사용 데이터 및 사용 데이터가 관련된 사용자들에 대한 명시적 지식을 사용하여 파라미터화될 수 있다.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로 상에서 동작하는 그러한 모델 또는 분류기는 사용자를 미리 규정된 특정 사용 프로파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전달 시스템(1)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그의 사용을 나타내는 변수로 특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는 회로에 의한 결정은 회로가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델에 의해 사용자에게 할당된 카테고리 또는 변수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델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자와 관련된 지리 정보 및 캘린더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점에 사용자가 근무 중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직장의 알려진 로케이션과 상관되는 지리적 로케이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정에 따라 사용자는 회로에 의해 '근무 중' 카테고리에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시점에, 모델은 예를 들어, 지리 정보 및 캘린더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집에 있거나 여가 활동에 바쁠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결정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회로에 의해 '레저' 카테고리에 할당될 수 있다. 카테고리가 '근무 중'에서 '여가'로 변경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스마트폰(100)에 연결하여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로 제어 파라미터들이 전송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파라미터들은 사용자의 현재 사용 프로파일에 더 적합한 것으로서 회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지리 정보 또는 캘린더 정보와 같은 맥락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지리 정보 또는 전자 캘린더 또는 다른 온라인 계정(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계정)에서 도출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특정 시간에 특정 로케이션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와 관련된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가 전달 시스템(1)의 제2 디바이스 근처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론하기 위해 회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소유의 스마트폰(100)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나타내는 GPS 정보 또는 스마트폰(100)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앱에 의해 도출된 캘린더 정보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집에, 따라서 도킹 스테이션 또는 케이스(200)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의 근처에 있다는 것을, 또는 사용자가 쇼핑몰에, 따라서 자판기(300)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의 근처에 있다는 것을, 또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및/또는 스마트폰(101)을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를 소유하는 제2 사용자의 근처에 있다는 것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에 기초하여,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사용 데이터, 제어 파라미터들/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 또는 마케팅 또는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스마트폰(100) 또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의 추정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쇼핑몰(또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및/또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위한 소모품들 또는 액세서리들과 관련된 매장)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소모품들의 구매 제안 또는 게임과 같은 마케팅 정보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또는 스마트폰(100)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또는 제어 파라미터들이 제1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그 동작의 양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또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사용 데이터가 검색될 수 있도록, 제1 디바이스와 쇼핑몰 내의 네트워킹된 트랜시버 디바이스(예를 들어 인터넷(500)을 통해 서버(1000)에 연결된 기지국)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절차를 개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예컨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또는 스마트폰(100))로부터 네트워킹된 트랜시버 디바이스를 통해 서버(10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와 네트워킹된 트랜시버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킹된 트랜시버 디바이스는 인터넷(500)을 통해 서버(1000)에 연결되는 스마트폰(100) 또는 자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전달 시스템(1)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하면,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개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회로는 사용자에게 청각 또는 시각 또는 햅틱 프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롬프트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연결(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개시할 것을 제안하는 암시적 또는 명시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원칙적으로,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가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필요는 없는 전달 시스템(1)의 임의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하다는 결정은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접근법들에 따라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포함된 회로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용자에 대한 표시(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은 미리 규정된 청각 또는 시각 또는 햅틱 신호)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전달 시스템(1)의 추가적인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고려해야 함을 나타내기 위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폰(100), 케이스/도크(200), 자판기(300) 또는 웨어러블(400)에 포함된 회로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하다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는 회로를 포함하는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공되는 경우) 표시가 회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제공될 수 있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는 전달 시스템(1)의 다른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제1 디바이스(예컨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서 이용가능하다. 제2 디바이스(예컨대, 서버(1000))에 포함된 회로는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된 접근법들(예컨대, 암시적 결정 접근법)을 통해 이 데이터가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고, 이 데이터가 인터넷(500)을 통해 서버(1000)에 연결된 스마트폰(100) 상의 앱으로 전송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더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 스마트폰(100), 도크/케이스(200), 자판기(300), 웨어러블(400) 중 임의의 것에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제1 디바이스(예컨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100)) 간에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여 이들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기 위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를 제공하도록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인터넷을 통해 전달 시스템(1)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스마트폰(100), 도크/케이스(200), 자판기(300) 또는 웨어러블(400)의 스크린 또는 LED 표시기)에 메시지, 예를 들어 "e-시가렛을 스마트폰과 페어링하는 것을 고려하라"라고 하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표시하고/하거나, 미리 규정된 컬러 및/또는 패턴의 시각적 표시기 및/또는 미리 규정된 음성 경고 또는 음악 톤과 같은 청각적 신호 및/또는 사용자가 데이터 연결이 확립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할 진동과 같은 햅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연결을 자동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확립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연결은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데이터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연결의 자동 또는 부분 자동 확립은 다음 방식들 중 하나의 방식으로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절차를 개시하는 회로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에 포함된다. 회로는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더 제시된 접근법들에 따라 데이터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에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한 회로는 제2 디바이스와 페어링 상태를 확립하고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수 있다. 데이터 가용성 결정에 이어지는 페어링 프로세스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요구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예컨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2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100) 또는 도크/케이스(200))에 페어링되었을 수 있고, 디바이스들은 서로 알려진 것으로 간주된다(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들이 페어링 상태로 진입하도록 허용되어야 함을 확인하기 위해 하나 또는 양쪽 디바이스에 인증 정보, 예를 들어 핀 또는 코드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는 (디바이스 발견 및 연결을 위한 이 분야에 알려진 절차들에 따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를 페어링하는 절차를 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페어링 절차를 수동으로 개시하거나 인증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 페어링 절차에 의해 확립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연결 및/또는 데이터 전송의 확립은 예를 들어, 진행 바와 같은 시각적 표시를 사용하거나, 청각 또는 햅틱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에서 시각 또는 청각 또는 햅틱 프롬프트를 제공받으며, 이는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하거나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두 번째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기 위한 승인 요청을 나타낸다. 프롬프트가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 또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 누름, 제스처 또는 디바이스(디바이스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인 경우)의 퍼프들의 패턴과 같은 입력을 통해, 제안된 페어링 및/또는 데이터 전송 동작들을 승인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이어서, 회로는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연결 확립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자동으로 계속하거나, 데이터 연결의 확립을 거절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에서 유사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USB-C 또는 다른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크(200)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또는 추가적인 디바이스)의 회로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연결을 개시하기로 결정하면, 회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USB-C 인터페이스를 통해)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먼저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된 경우, 회로는 무선 연결 시나리오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차에 따라,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 또는 데이터 연결이 확립되어야 하고/하거나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묻는 프롬프트들을 사용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회로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경우, 회로는 선택적으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거나, 다음 번에 물리적 연결이 확립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물리적 연결이 확립되면 디바이스들 사이에 자동으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고/하거나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무선 연결 시나리오에 대해 제시된 접근법들을 사용하여, 제안된 데이터 연결 확립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승인 또는 거절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라는 표시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의 개시에서, 회로가 제 1 디바이스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확립하는 단계는 주어진 디바이스에 특정 종류의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에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특정 제어 파라미터가 제1 디바이스의 제어기에 존재하지 않는다(또는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개시에서, 회로는 하드웨어를 지칭할 수 있고/있거나, 다목적 처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루틴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달 시스템(1)의 통상적인 등가 디바이스의 기존 부품들에 대한 필요한 적응은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매체,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 PROM, 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이들 또는 다른 저장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에 저장된 프로세서 구현 가능(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통상적인 등가 디바이스에 적응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ASIC(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FPGA(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구성 가능한 회로로서 하드웨어에서 실현될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더넷,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이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신호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하고 교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시될 뿐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 제공될 뿐이며, 포괄적이고/이거나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이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컴포넌트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합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현재 청구되지 않았지만 향후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전달 시스템(1)은 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또는 에어로졸이 없는 전달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32)

  1.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의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에 도달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집된 사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될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신된 이후에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연결이 확립되는 빈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연결이 마지막으로 확립된 이후에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9. 제8 항에 있어서,
    그 이후에 데이터가 전송에 이용가능하다고 결정되는 상기 경과된 시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i)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으로부터 도출된 정보,
    ii) 상기 사용자의 로케이션 및/또는 이동에 대한 정보,
    iii) 양식 또는 설문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
    iv)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특성을 감지하여 도출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프로파일이 변경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확립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상기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지리적 로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연결의 확립을 위한 절차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미리 규정된 지리적 로케이션에 들어갔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개시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연결의 확립을 위한 절차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미리 규정된 지리적 로케이션에 들어갔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개시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포함되며,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규정된 기준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비컨 신호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19.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0.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1.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2.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표시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3.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표시를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4.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표시를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5. 제22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는 상기 표시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신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6.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두 번째 디바이스와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데이터 연결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어떠한 입력도 요구하지 않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상기 첫 번째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상기 두 번째 디바이스와 데이터 연결을 확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8. 제26 항 또는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
  29.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회로가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게 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위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30. 적어도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31.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로서,
    상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는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
  32.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비일시적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 readable medium)로서,
    상기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디바이스에 포함된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회로로 하여금,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중 첫 번째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게 하는,
    비일시적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37043869A 2021-06-21 2022-06-21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20240009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08884.4 2021-06-21
GBGB2108884.4A GB202108884D0 (en) 2021-06-21 2021-06-21 Aerosol provision systems
PCT/GB2022/051576 WO2022269246A1 (en) 2021-06-21 2022-06-21 Aerosol provision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501A true KR20240009501A (ko) 2024-01-22

Family

ID=7705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869A KR20240009501A (ko) 2021-06-21 2022-06-21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4358779A1 (ko)
KR (1) KR20240009501A (ko)
CN (1) CN117500399A (ko)
AU (1) AU2022299460A1 (ko)
BR (1) BR112023027096A2 (ko)
CA (1) CA3220694A1 (ko)
CO (1) CO2023017849A2 (ko)
GB (1) GB202108884D0 (ko)
IL (1) IL308937A (ko)
WO (1) WO20222692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4833A1 (en) * 2014-12-19 2017-10-25 Koninklijke Philips N.V. Caregiver connected wearable
US20180020724A1 (en) * 2016-07-25 2018-01-25 Fontem Holdings 1 B.V. Data Connection for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JP7460556B2 (ja) * 2018-06-27 2024-04-02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接続型気化器デバイスシステム
GB201820558D0 (en) * 2018-12-17 2019-01-30 Nicoventures Trading Ltd Embedded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23017849A2 (es) 2024-04-18
EP4358779A1 (en) 2024-05-01
AU2022299460A1 (en) 2023-12-14
CN117500399A (zh) 2024-02-02
WO2022269246A1 (en) 2022-12-29
CA3220694A1 (en) 2022-12-29
GB202108884D0 (en) 2021-08-04
IL308937A (en) 2024-01-01
BR112023027096A2 (pt)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339B1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제어 디바이스
US202103194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DK201770591A1 (en) Electronic smo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smoking system
US20210360976A1 (en) Flavor component generation control device, flavor component gener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21509259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CN112399805B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动作方法
WO2020148861A1 (ja) エアロゾル生成制御装置、端末装置、管理装置、電力供給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00172A1 (en) Inhaling device
US202103783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220090215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40009501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US20230000152A1 (en) Inhal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40122262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WI830878B (zh) 電池單元、霧氣產生裝置、資訊處理方法及無線通信控制程式
US20230276858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s
RU27741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содержащий программу для 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WO2022130545A1 (ja) 制御方法、吸引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276859A1 (en) Aerosol delivery systems
WO2023203308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s
JP7355845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22386733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monitoring of usage data
EP4212044A1 (en) Inhal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EP4212043A1 (en) Inhal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TW202033114A (zh) 資訊管理方法、程式、資訊處理裝置、終端裝置及管理系統
CN115768295A (zh) 管理气溶胶产生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