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202A -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 Google Patents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202A
KR20240009202A KR1020220086377A KR20220086377A KR20240009202A KR 20240009202 A KR20240009202 A KR 20240009202A KR 1020220086377 A KR1020220086377 A KR 1020220086377A KR 20220086377 A KR20220086377 A KR 20220086377A KR 20240009202 A KR20240009202 A KR 20240009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vertical
cylinder type
horizont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진기
류주형
Original Assignee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202A/en
Publication of KR2024000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20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for measuring features 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machine parts, tools or workpieces
    • B23Q17/2457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for measuring features 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machine parts, tools or workpieces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0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a single gri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 형 그리퍼(gripper)가 형성되어, 최단 경로로 공구(tool)를 그라인딩 스핀들에 용이하게 안착 시킬 수 있는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는, 복수개의 수직형 바 형태가 나란히 마련되며, 하단부가 공작기계에 고정되어 상단부가 상기 공작기계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공작기계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툴을 회전 교체할 수 있는 형태의 거치대가 마련되는 툴공급부, 수평형 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마련되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방에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1차 수직이동부, 상기 1차 수직이동부의 가이드를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에 형성되어,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2차 수직이동부, 상기 2차 수직이동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툴을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ool)을 선택하여 하방으로 향해 공구(Tool)를 교환 시, 최단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공구의 파지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in which a cylindrical gripper is formed and the tool can be easily seated on the grinding spindle in the shortest path. It relates to an automatic tool changer.
The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rranged side by side, a support portion whose lower end is fixed to a machine tool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positioned above the machine tool, and the machine tool. A tool supply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chine and has a stand that can rotate and replace a plurality of tool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ar,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upport unit, and has a rail that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rizontal movable part,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guide of the horizontal movable part, and a primary vertical movable part which is provided with a guide movable in a vertical form in the front, and which is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long the guide of the first vertical movable part. a head portion provided, a secondary vertical movable portion formed within the head portion and provided with a guide that can move in a vertical form, and a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vertical movable portion and provided to grip a tool. It is composed including.
By selecting the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ex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ol), the shortest path can be formed when exchanging tools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gripping performance of the tool is impr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Description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본 발명은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 형 그리퍼(gripper)가 형성되어, 최단 경로로 공구(tool)를 그라인딩 스핀들에 용이하게 안착 시킬 수 있는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in which a cylindrical gripper is formed and the tool can be easily seated on the grinding spindle in the shortest path. It relates to an automatic tool changer.

자동공구교환장치(ATC : Automatic Tool Changer)는 공작기계(선반, MCT, CNC 등)에 적용되어 자동으로 공구(tool)를 교환할 수 있게 마련된 장치이다.Automatic Tool Changer (ATC) is a device applied to machine tools (lathes, MCT, CNC, etc.) to automatically change tools.

이때, ATC의 형태는 적용되는 공작기계의 구조(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orm of ATC vari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shape) of the machine tool to which it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ATC는, MCT의 상부에서 공구(tool)를 선택 후, 하방으로 진입하여 그라인딩 스핀들에 공구(tool)을 교체하는 형태의 ATC에 관한 것으로, 공구 선택 후, 진입하여 교체하는 과정에서 경로 최소화를 통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개선된 것이다.A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ype of ATC that selects a tool from the top of the MCT, then enters downwards and replaces the tool on the grinding spindle. In the process of entering and replacing the tool after selecting the tool, This has been improv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minimizing paths.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그립퍼구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1459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공구(tool) 그립 시, 그립 된 공구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 되지 못하고, 공구(tool)의 하중에 의해, 그립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regard, looking a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gripper structure of an automatic tool changer' is disclos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1459, but this means that when gripping a tool, the position of the gripped tool is kept constan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it could not be maintained and the grip came off due to the load of the tool.

또한, 기존의 공구를 그립하는 그리퍼(gripper)의 경우, 공구를 그립 시, 끼움 형태로 일단에 집게가 공구에 거치되고, 타단에 형성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공구가 제 위치에서 회전하거나 정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센싱에 오차가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도 요구되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ripper that grips an existing tool, when gripping a tool, a tong is placed on the tool at one end in a pinched form, and is returned and fixed by an elastic force such as a spring formed at the other end. At this time, problems such as errors in sensing may occur due to problems such as the tool rotating or moving out of position due to physical contact, so improvements to this problem were also requir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1459호 (2001.05.10)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1459 (May 10, 20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작기계의 상부에서 공구(Tool)를 선택하여 하방으로 향해 공구(Tool)를 교환하는 구조에서, 최단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공구의 파지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forms the shortest path in a structure where a tool is selected from the top of a machine tool and the tool is exchanged downwar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improve the gripping performance of too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herein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는, 복수개의 수직형 바 형태가 나란히 마련되며, 하단부가 공작기계에 고정되어 상단부가 상기 공작기계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공작기계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툴을 회전 교체할 수 있는 형태의 거치대가 마련되는 툴공급부, 수평형 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마련되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방에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1차 수직이동부, 상기 1차 수직이동부의 가이드를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에 형성되어,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2차 수직이동부, 상기 2차 수직이동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툴을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rranged side by side, a support portion whose lower end is fixed to a machine tool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positioned above the machine tool, and the machine tool. A tool supply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chine and has a stand that can rotate and replace a plurality of tool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ar,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upport unit, and has a rail that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rizontal movable part,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guide of the horizontal movable part, and a primary vertical movable part which is provided with a guide movable in a vertical form in front, and which is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long the guide of the first vertical movable part. a head part provided, a secondary vertical movable part formed within the head part and provided with a guide that can move in a vertical form, and a grip pa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vertical movable part and provided to grip a tool. It is composed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는, 상부에서 공구(Tool)을 선택하여 하방으로 향해 공구(Tool)를 교환 시, 최단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공구의 파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툴 공급 시, 상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ex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shortest path when selecting a tool from the top and changing the tool downward, and can improve the gripping performance of the too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p and down shaking when supplying too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가 공작기계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가 공작기계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사시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1차 수직이동부에 의해 툴공급부 위치까지 이동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2차 수직이동부에 의해 그라인딩 스핀들(C) 위치까지 이동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의 그립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는 기존의 그립부 예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machine tool.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machine tool.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shows a picture of the tool supply unit being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tool supply unit by the primary vertical movement unit of the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shows a picture of the grinding spindle (C) being moved to the position by the secondary vertical movement part of the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ex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shows the grip portion of the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rip par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xamples and drawings described below.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형 바 형태가 나란히 마련되며, 하단부가 공작기계(A)에 고정되어 상단부가 상기 공작기계(A)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부(100), 상기 공작기계(A)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툴을 회전 교체할 수 있는 형태의 거치대가 마련되는 툴공급부(200), 수평형 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마련되는 수평이동부(300), 상기 수평이동부(300)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방에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1차 수직이동부(400),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의 가이드를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500), 상기 헤드부(500) 내에 형성되어,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2차 수직이동부(600), 상기 2차 수직이동부(60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툴을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side by side,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machine tool (A), and the upper end is used for the machine tool (A). A support unit 100 provid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machine A, a tool supply unit 200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machine tool A and provided with a holder capable of rotating and replacing a plurality of tools. , a horizontal moving part 300 provid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upport part 100, and provided with a rail that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move along the guide of the horizontal moving part 300 A primary vertical movable part 400 is provided with a guide that can move vertically in the front, a head part 500 that can move vertically along the guide of the primary vertical movable part 400, A secondary vertical moving part 600 is formed within the head part 500 and is provided with a guide that can move in a vertical form,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ary vertical moving part 600 to hold a too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ip portion 700 provided.

먼저, 상기 지지부(100)는, 복수개의 수직형 포스트 형태가 나란히 마련되며, 하단부가 공작기계(A)에 고정되어 상단부가 상기 공작기계(A)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support portion 1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vertical posts side by side,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machine tool (A)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located above the machine tool (A).

상기 지지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둥이 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교환 장치의 구성을 지탱할 수 있는 형태의 구조 및 소재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part 100 is a part that becomes a base pillar, and can be formed in any shape and material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tool 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지지부(100)는, 공작기계(A)에 일부가 결합되어 상단부가 상기 공작기계(A)의 상방에 위치하고, 선택적으로 툴(공구)(B) 교체 시, 상방에서 하방으로 진입하여 교체를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support portion 100 is partially coupled to the machine tool (A) so that its upper end is located above the machine tool (A), and when replacing the tool (B), it enter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perform the replacement. It is prepared to be implemented.

상기 지지부(100)는, 복수개의 수직형 바 형태로 마련되어, 충분한 강도를 형성하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ortion 10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to provide sufficient strength while minimizing the load.

다음으로, 상기 툴공급부(200)는, 상기 공작기계(A)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툴을 회전 교체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tool supply unit 200 is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machine tool (A) and is provided in a form that can rotate and replace a plurality of tools.

상기 툴공급부(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되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툴(공구)(B)이 거치되어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으로, 상기 공작기계(A)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tool supply unit 2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upply a plurality of tools (tools) B, and is installed on one upper side of the machine tool (A). is formed

상기 툴공급부(200)는, 회전을 통해 기설정된 툴(공구)(B)를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하기의 그립부(700)의 파지에 의해 툴(공구)(B)이 선택적으로 해제되어, 공작기계(A) 내부의 그라인딩 스핀들(C)로 안내될 수 있게 마련된다.The tool supply unit 200 can selectively position a preset tool (B) through rotation, and the tool (B) is selectively released by gripping the grip unit 700 below. ,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guided to the grinding spindle (C) inside the machine tool (A).

다음으로,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수평형 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마련된다.Next, the horizontal moving part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ar,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and is provided with a rail that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작기계(A)의 상부에 지면에 평행한 형상의 바 형태로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에 레일이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horizontal moving part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parallel to the ground at the upper part of the machine tool A, and rail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facilitate movement. It is composed of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하기의 헤드부(500)가 수평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으로, 상기 툴공급부(200)로부터 툴(공구)(B)를 선택 후, 수평 이동하여 그라인딩 스핀들(C)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구성이고, 툴(공구)(B) 해제 시, 반대로 회동된다.The horizontal movement unit 30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head unit 500 below to move horizontally. After selecting the tool (B) from the tool supply unit 200, grinding is performed by moving horizontally. It is configured to guide the spindle (C)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at the top, and when the tool (B) is released, it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따라서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하기의 헤드부(500)가 용이하게 수평 이동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horizontal moving part 300 can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head part 500 below can be easily horizontally moved.

바람직하게는, 상단 및 하단에 이동 레일이 형성되어, 높은 하중을 지지하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movable rails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to support a high load and enable easy movement.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상단수평레일부(310) 및 하단수평레일부(320)가 더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horizontal movable part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upper horizontal rail part 310 and a lower horizontal rail part 320.

상기 상단수평레일부(310)는, 상기 수평이동부(300) 상부에 레일형태로 형성되어, 하기의 1차 수직이동부(400)가 거치된 상태로 용이하게 수평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upper horizontal rail part 310 is formed in a rail shape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moving part 300, so that it can be easily horizontally moved while the primary vertical moving part 400 below is mounted.

또한, 상기 하단수평레일부(320)는, 상기 수평이동부(300) 하부에 레일형태로 형성되어, 마찬가지로 하기의 1차 수직이동부(400)가 용이하게 수평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In addition, the lower horizontal rail part 320 is formed in a rail shape at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moving part 300, so that the primary vertical moving part 400 below can easily move horizontally.

이를 통해, 하기의 1차 수직이동부(400)가, 상기 수평이동부(300) 상에서 상부 및 하부에 동시에 레일로 연결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imary vertical movement unit 400 shown below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orizontal movement unit 300 by rails, enabling horizontal movement to be performed more stably.

이때, 상기 수평이동부(300) 상에 에어실린더 등의 동력원을 통해 수평이동이 제어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must be controlled through a power source such as an air cylinder on the horizontal movement unit 300.

다음으로,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는, 상기 수평이동부(300)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방에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된다.Next, the primary vertical movable unit 400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of the horizontal movable unit 300, and a guide movable in a vertical form is provided in front.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는, 수직한 길이방향이 형성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수평레일부(310) 및 하단수평레일부(320)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부(300) 상에서 수평 이동이 용이하게 형성된다.The first vertical moving part 4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rail part 310 and the lower horizontal rail part 320, so that the horizontal moving part 300 Horizontal movement on the surface is easily formed.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의 전면에는 하기의 헤드부(500)가 연결되어, 수직 이동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수직한 길이방향이 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내장 된 에어실린더 등에 의해 하기의 헤드부(500)의 수직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head part 500 shown below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first vertical moving part 400, and a rail is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to facilitate vertical movement, and is moved by a built-in air cylinder, etc. It is provid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ead portion 500.

이때,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는, 상단부에서 상기 툴공급부(200) 높이까지만 수직이동 할 수 있게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primary vertical movement unit 400 is provided to move vertically only from the upper end to the height of the tool supply unit 200.

다음으로, 상기 헤드부(500)는,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의 가이드를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Next, the head unit 500 is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guide of the primary vertical movement unit 400.

상기 헤드부(500)는, 하기의 2차 수직이동부(600)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후면은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의 레일에 연결되어, 제한된 이동거리만큼 수직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The head part 500 can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secondary vertical moving part 600 below, and the rear side is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primary vertical moving part 400, It is provided to allow vertical movement for a limited moving distance.

다음으로, 상기 2차 수직이동부(600)는, 상기 헤드부(500) 내에 형성되어,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된다.Next, the secondary vertical movement part 600 is formed within the head part 500, and a guide that can move in a vertical form is provided.

상기 2차 수직이동부(6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그립부(700)를 통해 툴(공구)(B)을 그립 후, 그라인딩 스핀들(C)가 위치한 공작기계(A)의 중심부 높이까지 수직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As shown in (b) of FIG. 5, the secondary vertical movement unit 600 grips the tool (B) through the grip unit 700 shown below, and then moves the tool (tool) to the workpiece where the grinding spindle (C) is located. It is provided to allow vertical movement up to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machine (A).

상기 1차 수직이동부(400)는 상단부로부터 상기 툴공급부(200)까지의 높이제어만 실시되고, 상기 2차 수직이동부(600)는 상기 툴공급부(200)로부터 그라인딩 스핀들(C)까지의 높어제어만 실시되도록 구성되는 이유는, 별도의 동력원을 통해 각각 높이 제어를 실시함으로 인해, 작동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오류(고장) 발생 시에도 원활히 원인부를 찾아 수리(보증)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400 only controls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to the tool supply unit 200, and the secondary vertical movement unit 600 controls the height from the tool supply unit 200 to the grinding spindle (C). The reason why only height control is implemented is because each height control is performed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operational errors can be minimized, and even in the event of an error (breakdown), the cause can be smoothly found and repaired (warranty). This is to ensure that

다음으로, 상기 그립부(700)는, 상기 2차 수직이동부(60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툴(공구)(B)을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grip part 7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vertical movement part 600 and is provided to grip the tool (B).

상기 그립부(700)는, 툴(공구)(B)를 직접적으로 파지하여 상기 툴공급부(200)와 상기 공작기계(A) 내부의 그라인딩 스핀들(C) 사이에 직접적으로 교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grip unit 700 is configured to directly grip the tool (B) and directly exchange it between the tool supply unit 200 and the grinding spindle (C) inside the machine tool (A).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부(700)는, 제 1 파지부(710) 및 제 2 파지부(720)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grip part 700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grip part 710 and the second grip part 7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제 1 파지부(710)는, 일측에 형성되어, 툴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되는 반원형태로 마련되고, 제 2 파지부(720)는, 타측에 형성되어, 툴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되는 반원형태로 마련된다.The first gripping part 710 is formed on one side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with an inn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ool,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7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tool.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이때,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파지부(710) 및 제 2 파지부(720)는 동일한 수평형 상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6, the first gripping part 71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720 are provided so that they can rotat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이는, 툴(공구)(B)의 파지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This is to increase the gripping efficiency of the tool (tool) (B).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그립부(700)의 구성은, 원주형 가동범위가 형성됨으로 인해, 툴(공구)(B) 파지 시, 툴(공구)(B)이 회전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하여 교체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를 보완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grip portion 700 is such that a cylindrical movable range is formed, so that when the tool B is held, the tool B rotates. Errors such as these frequently occur during replacement, but this can be corrected.

또한, 도 6의 (a)와 같이, 양측단에 상기 제 1 파지부(710) 및 제 2 파지부(720)를 회동할 수 있는 에어실린더 형태의 구동원이 구성되므로, 정 가운데 부분에 파지되는 툴(공구)(B)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지 공정에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6, a drive source in the form of an air cylinder capable of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710 and 720 is configured at both ends, so that the A space is formed where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tool (B) can be located,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in the gripping process.

상기 그립부(700)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툴(공구)(B)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툴(공구)(B)의 정위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마련되는 툴감지센서(7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A tool detection sensor 730 is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grip portion 700 to detect the presence of a tool (B) downward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tool (B) is in the correct position. More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공작기계
B : 툴(공구)
C : 그라인딩 스핀들
100 : 지지부
200 : 툴공급부
300 : 수평이동부
310 : 상단수평레일부
320 : 하단수평레일부
400 : 1차 수직이동부
500 : 헤드부
600 : 2차 수직이동부
700 : 그립부
710 : 제 1 파지부
720 : 제 2 파지부
730 : 툴감지센서
A: Machine tools
B: Tool
C: Grinding spindle
100: support part
200: Tool supply department
300: Horizontal moving part
310: Top horizontal rail part
320: Lower horizontal rail part
400: 1st vertical moving part
500: Head part
600: Secondary vertical moving part
700: Grip part
710: first gripping portion
720: second gripping part
730: Tool detection sensor

Claims (5)

복수개의 수직형 바 형태가 나란히 마련되며, 하단부가 공작기계에 고정되어 상단부가 상기 공작기계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공작기계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툴을 회전 교체할 수 있는 형태의 거치대가 마련되는 툴공급부;
수평형 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마련되는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방에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1차 수직이동부;
상기 1차 수직이동부의 가이드를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에 형성되어, 수직한 형태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2차 수직이동부;
상기 2차 수직이동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툴을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툴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되는 반원형태로 마련되는 제 1 파지부; 및
타측에 형성되어, 툴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되는 반원형태로 마련되는 제 2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지부 및 제 2 파지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수평 이동을 통해 툴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
A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side by side, the lower end of which is fixed to a machine tool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positioned above the machine tool;
A tool supply unit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machine tool and provided with a holder capable of rotating and replacing a plurality of tools;
A horizontal moving part provid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upport part, and provided with a rail that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imary vertical movable part that is movable along the guide of the horizontal movable part and has a guide that can move vertically in front of the first vertical movable part;
A head portion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able along a guide of the first vertical movable portion;
A secondary vertical movement unit formed within the head unit and provided with a guide capable of moving in a vertical manner;
It includes a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vertical movable portion and provided to grip a tool,
The grip part,
A first gripp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ool; and
It includes a second grip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provided in a semicircular shape with an inn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ool,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grip the tool through horizontal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수직이동부는, 상단부로부터 상기 툴공급부 위치까지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2차 수직이동부는, 상기 툴공급부 위치부터 공구가 안착되는 그라인딩 스핀들 위치까지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is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able from the upper end to the position of the tool supply unit,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exchan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vertical movement part is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able from the position of the tool supply unit to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spindle where the tool is se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툴의 파지 및 해제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툴감지센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art,
A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exchang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ool detec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gripping and releasing of the tool in real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지부 및 제 2 파지부는,
1개 이상의 실린더를 통해, 대응되는 형태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horizontal movement is possible in a corresponding form through one or more cylind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부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상단수평레일부; 및
하부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하단수평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선반 실린더 타입 자동 공구 교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moving part,
An upper horizontal rail portion where a guide rail is formed at the top; and
A grinder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comprising: a lower horizontal rail portion in which a guide rail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KR1020220086377A 2022-07-13 2022-07-13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KR202400092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377A KR20240009202A (en) 2022-07-13 2022-07-13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377A KR20240009202A (en) 2022-07-13 2022-07-13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02A true KR20240009202A (en) 2024-01-22

Family

ID=8971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377A KR20240009202A (en) 2022-07-13 2022-07-13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20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459Y1 (en) 1999-06-30 2001-07-19 양재신 A gripping apparatus of at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459Y1 (en) 1999-06-30 2001-07-19 양재신 A gripping apparatus of at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2334B2 (en) A-axis machining apparatus
CN100404190C (en) Nozzle change magazine for laser beam machine
US6514183B2 (en) Machine tool
CN102672373A (en) X frame automatic welding system
KR20120112028A (en) Tool chang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including tool changing device
JP3939247B2 (en) Machine tool and pallet changer
JP4769285B2 (en) Tool breakage detector
JPS5924934A (en) Tool replacement device
KR102571167B1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20240009202A (en) Grinding Machine Lathe Cylinder Type Automatic Tool Changer
KR102057727B1 (en) Machining center with multi-spindle
CN112495814A (en) Product surface defect detection equipment and product surface defect detection method
KR100864049B1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EP0483781A2 (en) Tool magazine
CN213647014U (en) Six-axis five-linkage tool grinding machine with lifting workbench
CN209969904U (en) Welding feeding mechanism with iron core positioning rod loading and unloading functions
JPS6150735A (en) Tool exchanger for machine tool
JPH0487748A (en) Automatic tool exchanger
US7374526B1 (en) Tool replenishing apparatus
JPH06106441A (en) Working device using work holder
CN219583837U (en) Fixed tool magazine of engraver
CN216968475U (en) Jig quick-change system
KR102649219B1 (en) A machine tool having a ram spindle
CN218225692U (en) High-capacity tool magazine engraving and milling machine
KR102530302B1 (en) Material loading apparatus for cnc la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