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245A - Kids spoon - Google Patents

Kids spo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245A
KR20240008245A KR1020230079018A KR20230079018A KR20240008245A KR 20240008245 A KR20240008245 A KR 20240008245A KR 1020230079018 A KR1020230079018 A KR 1020230079018A KR 20230079018 A KR20230079018 A KR 20230079018A KR 20240008245 A KR20240008245 A KR 20240008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ren
spoon
handle portion
thick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 페이 슈
Original Assignee
시드 테라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드 테라 엘티디 filed Critical 시드 테라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4000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24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전단에 위치하는 국자부와, 후단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스푼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중앙이 돌출된 양추형 두꺼운 파지 구역을 구비하고, 두꺼운 파지 구역내에 어린이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하여 어린이의 파지력을 훈련시킨다. 손잡이부는, 두꺼운 파지 구역의 후단에 연속되고 안쪽으로 구부러진 의지 곡선을 더 구비하여, 어린이의 올바른 사용 자세를 유도한다. In a children's spoon including a ladle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end and a handle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e-shaped thick gripping area with a protruding center, and allows the child to grip the thick gripping area with his or her fingers so that the child can hold the spoon. Train your grip. The handle portion further has a prosthetic curve that is continuous and curved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thick grip area to encourage a correct use posture of the child.

Description

어린이용 스푼{KIDS SPOON} Children's Spoon {KIDS SPOON}

본 발명은 어린이용 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의 파지력을 훈련할 수 있는 어린이용 스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ildren's tableware, and particularly to a children's spoon that can train children's gripping ability.

어린 아이는 젖을 뗀 후 식기를 사용하여 부식품을 먹는 것을 배우기 시작하는데, 어린이가 먼저 접하고 사용하는 식기는 일반적으로 모두 음식을 취득하기 쉬운 숟가락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는 3세부터 식기를 사용하여 스스로 식사하도록 훈련한다. 부모와 유치원 교사는 어린이에게 올바른 자세로 숟가락을 사용하도록 가르칠 책임이 있다. After young children are weaned, they begin to learn to eat food using utensils, and the utensils that children first encounter and use are generally spoons, which are easy to obtain food from. Typically, children are trained to eat on their own using cutlery from the age of three.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teaching children to use spoons with proper posture.

연습용 어린이용 스푼은, 대부분 시각적인 미적 외관 디자인만 고려한 것이지 인체공학에 따른 설계가 되어있지 않다. 이러한 인체공학에 따르지 않고 설계된 연습용 어린이용 스푼을 사용하면, 식사시에 어린이의 손가락 및 팔목에 잘못된 자세나 부정확한 힘 사용 방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크고 작은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잘못 디자인된 어린이 식기는, 식사 효율성을 높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손 부위의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Most children's spoons for practice are designed only for visual aesthetics and appearance, and are not designed according to ergonomics. If you use a children's practice spoon that is not designed in accordance with ergonomics, incorrect posture or incorrect force use may occur in the child's fingers and wrists when eating, and in the long run, it may cause injuries large or small. Poorly designed children's tableware not only does not improve meal efficiency, but can also cause hand injuries.

본 발명은, 인체공학에 따라 설계되고, 두꺼운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어린의 파지력을 훈련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곡선에 의해 어린이의 올바른 사용 자세를 인도하고, 어린이의 손 부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어린이용 스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ergonomics and has a thick handle, so that the child's grip can be trained, and the curve of the handle can guide the child's correct use posture and prevent injuries to the child's h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spoons for children.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어린이용 스푼은, 전단에 위치하는 국자부와, 후단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중앙이 돌출된 양추형 두꺼운 파지 구역을 구비하고, 두꺼운 파지 구역내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한다. A children's spoon that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invention includes a scoop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end and a handle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wherein the handle portion has a cone-shaped thick grip section with a protruding center, and a thick grip section. The user is allowed to hold it with his or her fingers.

상기 어린이용 스푼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두꺼운 파지 구역의 후단에 연속되고 안쪽으로 구부러진 의지 곡선을 더 구비한다.In the children's spoon, the handle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sthetic curve that is continuous and curved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thick gripping area.

본 발명은, 인체공학에 따라 설계되고, 두꺼운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어린의 파지력을 훈련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곡선에 의해 어린이의 올바른 사용 자세를 인도하고, 어린이의 손 부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어린이용 스푼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ergonomics and has a thick handle, so that the child's grip can be trained, and the curve of the handle can guide the child's correct use posture and prevent injuries to the child's hand. Spoons for children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스푼의 입체도이다.
도 2는, 상기 어린이용 스푼의 사용 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어린이용 스푼의 또 다른 사용 방식의 예시도이다.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children's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how to use the children's spo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other use method of the children's spo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또는 유닛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한편,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의 예시에 불과하다. 상술한 예시를 바탕으로 유추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나 필요에 따라 수정 또는 변경한 구조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or similar structures or units are indicated by the same symbols. Meanwhile,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examples of some, not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inferr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examples and structures modified or changed according to nee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 "내", "외" 및 "측면" 등의 방향 용어는, 도면을 참조한 방향이다. 방향 용어의 사용은, 본 고안을 보다 바람직하고 명확하게 기술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기술되는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 구조 및 조작을 가져야 하는 것을 명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rec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front,” “back,” “inside,” “outside,” and “side” are direction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The use of directional terms is intended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more desirable and clear to describe and understand, and does not specify or imply that the device or component being described must necessarily have a specific direction, structure, or operation, and does not imply that the present invention must have a specific direction, structure, or opera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technical content of .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한 규범이나 한정을 특정하지 않는 한 "장착", "연결", "연접" 혹은 "??위에 설치"는, 예를 들어 고정 연접, 착탈식 연접, 일체형 연접, 기계적 연접, 직접 연결, 간접 연결 또는 두 요소 내부의 연결 등과 같이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일반적인 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각 실시예나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less a clear norm or limitation is specified, "mounting", "connection", "connection" or "installation on" means, for example, fixed connection, removable connection, integral connection, mechanical connection, direct connection, etc.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such as connection, in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within two element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specific meaning of the terms in each embodiment or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general knowledge or experience.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어린이용 스푼은, 주로 어린이용 스푼의 전단에 위치하는 국자부(10)와, 국자부(10)에 연결되고, 어린이용 스푼의 후단에 위치하는 손잡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0)는 중앙이 돌출된 양추형 두꺼운 파지 구역(21)을 구비하고, 두꺼운 파지 구역(21)내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hildren's spo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dle part 10 mainly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children's spoon, a handle connected to the ladle part 10 and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children's spoon. It includes a portion (20), the handle portion (20) having a cone-shaped thick gripping area (21) with a protruding center, allowing the user to grip it with his or her fingers within the thick gripping area (21).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두꺼운 파지 구역(21)의 후단에 연속되고 안쪽으로 구부러진 의지 곡선(22)을 더 구비한다. The handle portion 20 further has a prosthetic curve 22 continuous and inwardly curved at the rear end of the thick gripping area 21 .

상기 손잡이부(20)는 연령대가 다른 어린이들의 손바닥 크기에 따라 길이와 곡선의 라디안을 다르게 제작할 수 있어, 어린이들이 본 발명의 어린이용 스푼을 사용할 때 안전하고 상해를 유발하지 않는 자세로 식사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manufactured in different radians of length and curve depending on the palm size of children of different ages, so that children can eat in a safe and non-injurious position when using the children's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상기 국자부(10)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는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 국자부(10)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는 무독성 연성의 실리콘 재질로 제조할 수 있고, 실리콘 재질은 천연광물 이산화규소로서 유리와 수정의 주성분이며, 독, 가소제, 중금속, 비스페놀A 등의 성분이 없고, 내열 효과가 있고 재질이 비교적 부드러워 아이의 잇몸을 손상하지 않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The ladle portion 10 may be manufactured from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molded integrally with the ladle portion 10 by a known method.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made of a non-toxic, soft silicone material. The silicone material is a natural mineral silicon dioxide,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glass and crystal. It does not contain components such as poisons, plasticizers, heavy metals, and bisphenol A, and has a heat-resistant effect. The material is relatively soft and can be used with confidence without damaging the child's gums.

도 2를 참조하면, 어린이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어린이용 스푼을 이용하여 식사를 할 때 엄지(91)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검지(92), 중지(93), 약지(94), 새끼손가락(95))은 상기 손잡이부(20)의 두꺼운 파지 구역(21)를 둘러싸고, 상기 두꺼운 파지 구역(21)내를 상기 엄지(91)와 함께 파지하여 안정적인 파지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ure 2, when a child eats using the children's spo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four fingers (index finger (92), middle finger (93), ring finger (94), and little finger excluding the thumb (91) The fingers (95) surround the thick gripping area (21) of the handle portion (20) and grip together with the thumb (91) within the thick gripping area (21) to form a stable grip.

도 3을 참조하면, 어린이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어린이용 스푼스푼을 사용하여 식사를 할 때 검지(92)와 중지(93)로 상기 손잡이부(20)의 상기 두꺼운 파지 구역(21)을 둘러싸고, 상기 엄지(91)와 함께 상기 두꺼운 파지 구역(21)의 거의 끝단부를 파지하고, 약지(94)와 새끼손가락(95)은 상기 손잡이부(20)의 회전을 제어에 사용하여 스마트한 파지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ure 3, when a child eats using the children's spo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x finger 92 and middle finger 93 surround the thick gripping area 21 of the handle portion 20. , gripping almost the end of the thick gripping area 21 with the thumb 91, and using the ring finger 94 and little finger 95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for a smart grip. form

본 발명이 제공하는 어린이용 스푼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인체공학에 따라 설계되고, 두꺼운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어린의 파지력을 훈련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곡선에 의해 어린이의 올바른 사용 자세를 인도하고, 어린이의 손 부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어린이용 스푼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hildren's spo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compared to the prior art: (1) It is designed according to ergonomics and has a thick handle, so that children's gripping power can be trained, and the curve of the handle ha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ildren's spoon that guides children's correct usage posture and prevents injuries to children's hands.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광의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를 이해하고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서 진행한 수정은 모두 특허출원의 범위에서 정한 문자 내용에 의해 포괄되고 보호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make change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broa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all modifications made with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compassed and protected by the literal content defined in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10: 국자부
20: 손잡이부
21: 두꺼운 파지 구역
22: 의지 곡선
91: 엄지
92: 검지
93: 중지
94: 약지
95: 새끼손가락
10: Ladle part
20: handle part
21: thick gripping area
22: Will curve
91: Thumb
92: index finger
93: Stop
94: ring finger
95: Little finger

Claims (2)

어린이용 스푼에 있어서,
어린이용 스푼의 전단에 위치하는 국자부와,
국자부에 연결되고, 어린이용 스푼의 후단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중앙이 돌출된 양추형 두꺼운 파지 구역을 구비하고, 두꺼운 파지 구역내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스푼.
In children's spoons,
A ladle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end of a children's spoon,
It is connected to the ladle part and includes a handle part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children's spoon,
A children's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has a cone-shaped thick gripping area with a protruding center, and allows the user to grip the thick gripping area with his or her fing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두꺼운 파지 구역의 후단에 연속되고 안쪽으로 구부러진 의지 곡선을 더 구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스푼.
According to clause 1,
A children's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sthetic curve that is continuous and curved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thick gripping area.
KR1020230079018A 2022-07-11 2023-06-20 Kids spoon KR2024000824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1207416 2022-07-11
TW111207416U TWM637884U (en) 2022-07-11 2022-07-11 Kids f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245A true KR20240008245A (en) 2024-01-18

Family

ID=8669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018A KR20240008245A (en) 2022-07-11 2023-06-20 Kids spo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8245A (en)
TW (1) TWM637884U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37884U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322B2 (en) Chopsticks with a hinge mechanism
US20110239470A1 (en) Helper Utensil
US3795062A (en) Child{40 s hand trainer
EP1976418A1 (en) A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KR20240008245A (en) Kids spoon
CN104825028B (en) Food clamp device
AU2008261606A1 (en) A holder
US20170215613A1 (en) Children's training utensils promoting the proper use thereof
JP5713384B2 (en) Eating and drinking utensils
CN204683239U (en) Food clamp device
EP3013191B1 (en) Device for a set of cutlery
JP3123721U (en) Spoon and / or fork
KR20140005688U (en) baby spoon
JP2005013567A (en) Self-using eating tool
CN2137117Y (en) Spoon
KR20150004011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CN215015905U (en) Bendable baby short-handle fork spoon
KR20160001370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JP3158497U (en) fork
CN212815762U (en) Hand-grasping tableware
JPWO2013121575A1 (en) Spoon or fork, or spoon and fork
AU2007100882A4 (en) Hand-held food-holding device
CN209863182U (en) Sticky spoon
KR20150086882A (en) Grip Spoon
JP2017055907A (en) Eating and drinking instr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