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70U -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 Google Patents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70U
KR20160001370U KR2020160001811U KR20160001811U KR20160001370U KR 20160001370 U KR20160001370 U KR 20160001370U KR 2020160001811 U KR2020160001811 U KR 2020160001811U KR 20160001811 U KR20160001811 U KR 20160001811U KR 20160001370 U KR20160001370 U KR 201600013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infant
grip
thumb
gr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민성
Original Assignee
서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성 filed Critical 서민성
Priority to KR2020160001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70U/en
Publication of KR20160001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7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교정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숟가락의 앞부분을 형성하는 둥근 형태로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밥이나 국을 떠 먹을 수 있는 수저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되, 그립감을 갖도록 두툼하면서 곡선처리되어 형성되고,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감싸면서 붙잡도록 된 파지부; 상기 수저부와 파지부를 연결하는 목부; 상기 파지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수저부의 하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갖고 돌출되되,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 다리부; 상기 다리부 사이를 아치형상으로 연결하고,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에 접촉되는 거치면;을 포함하고, 상기 숟가락의 무게중심은 파지부 쪽에 있게 하여 숟가락이 바닥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수저부가 항상 바닥으로부터 들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교정 숟가락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orthodontic spoon, which is a round shape forming a front part of a spoon, and is formed with a concave shape and is capable of eating rice or soup; A grasping portion formed to be gripped by fingers and being thick and curved so as to have a gripping feeling, and gripping the thumb and forefinger of the infant while holding it; A neck portion connecting the sole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At least two leg portions projecting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grip portion with a step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spoon has a center of gravity on the side of the grip so that when the spoon is seated on the floor, the spoon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spoon, And the portion is always lifted from the floor.

Description

유아용 교정 숟가락{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본 고안은 유아용 교정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단순히 파지하는 것만으로도 숟가락 파지 습관이 자동적으로 교정되게 함과 동시에 사용시 위생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교정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correction spo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infant correction spoon which automatically corrects a spoon holding habit by simply grasping a spo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es hygiene during use.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식생활은 밥이나 국, 나물류를 주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음식물들을 쉽고 편리하게 섭취하기 위해 숟가락(수저)과 젖가락을 사용해 왔다.Since ancient times, the diet of our country has rice, soup, and spices, so we have used spoons (spoon) and milk cakes to eat these foods easily and conveniently.

특히, 숟가락은 국과 밥 위주로 발달한 우리나라 식생활문화에 맞게 선단부는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국이나 밥을 떠먹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단부는 밋밋한 막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으로 잡기 쉽도록 되어 있다.Especially, the spoon is formed in a circular concave shape so that it is easy to eat rice or soup, and the rear end is formed as a flat rod shape so that it is easy to hold by the hand, in accordance with the eating culture culture of Korea and rice, have.

이와 같은 식생활 환경 때문에 유아는 성장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숟가락을 잡는 법을 배우게 되고, 유아때 배웠던 습관대로 성인이 되어서도 그대로 숟가락을 잡고 밥, 국 등을 먹게 된다.Because of this dietary environment, infants learn how to naturally spoon while growing. As adults, they learn to eat spoons and eat rice, soup, and other foods.

그런데, 경제적으로 낙후되었던 시절에는 식습관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비약적인 경제 발전과 함께 삶이 풍요로워지면서 육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그 일환 중 하나로 아이들, 특히 유아에 대한 식습관은 지대한 어머니들의 관심사가 되었다.However, in the times of economic downturn, the interest in eating habits was relatively small, but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nrichment of life, interest in child care has increased, and as a part of this,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especially infants, .

이것은 유아때의 습관이 성인이 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이기도 하다.This is also because the habits of the infant are maintained even after they become adults.

아울러, 유아들이 처음으로 접하게 됨은 물론 젖을 뗀 후 밥을 먹기 시작하면서부터 거의 매일 다수회 접하게 되는 숟가락 파지 습관은 향후 자라나면서 펜(연필 포함)을 잡는 습관까지 이어지게 되고, 이는 두뇌 발달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n addition, as well as being first contacted by infants, the spoon-gripping habit, which has been in contact with food many times a day since it started to eat rice after milking,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as well as habit of holding a pen (including pencil) .

대부분의 유아들은 성인들처럼 숟가락을 손가락 사이에 넣고 잡지 못하기 때문에 도 1의 예시와 같이, 4 손가락으로 숟가락의 후측 막대부, 즉 파지부를 잡고 떠 먹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Most infants, like adults, can not hold a spoon between their fingers and, therefore, take the form of eating with the four fingers holding the back side of the spoon, that is, the grip, as shown in Fig.

하지만, 이와 같은 파지 습관은 국이나 밥을 제대로 떠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유아들이 밥을 먹는 것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고, 이는 유아의 건강과도 관계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eating habits such as these can not be eaten properly, the infants lose interest in eating rice, and this also relates to the health of the infant.

뿐만 아니라, 유아는 위생관념은 물론 의식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숟가락을 쓰고 내려 놓을 때에도 아무렇게나 행동하게 되므로 숟가락을 사용하는 동안 수없이 많이 들었다 놨다를 반복하게 되고, 그러는 동안 입에 들어가야 하는 수저부(숟가락의 선단부)가 바닥과 접촉하게 되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도 있다.In addition, infants have a lot of consciousness as well as hygiene ideas, so when you put down your spoon and put it down, you will act randomly, so you hear it repeatedly while you use the spoon, The end portion of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which is not hygienic.

아울러, 유아들은 물건을 보면 무엇이든지 입에 넣고 빨려고 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는데, 통상적인 숟가락은 후단부가 비교적 날카롭기 때문에 입안이나 볼, 얼굴, 눈, 귀, 코 주변 등에 상해를 입힐 우려도 높다.In addition, infants have the habit of putting anything in their mouth and sucking them when they see something. The usual spoon is relatively sharp, so it is likely to cause injury to the mouth, face, eyes, ears and nos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은 아니지만, 숟가락의 구조 개선, 위생 문제 등을 고려하여 많은 개량 기술들이 개시되어 왔는데, 이를 테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선행된 주변기술들로 공개실용 제1997-0018567호, 공개실용 제2000-0004569호, 등록실용 제0240980호, 등록실용 제0412494호, 공개특허 제2006-0134650호, 공개특허 제2007-0013641호, 공개특허 제2008-0042953호 등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Although not a concrete alternative to solve such a problem, many improved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poon, the hygiene problem, and the like. For example, No. 4,012,467, JP-A No. 2007-0013641, JP-A No. 2008-0042953, and the like,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Have been disclos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문제들을 속시원히 해결해 줄 수 있는 근접 기술들은 여전히 전무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유아들을 양육하는 부모의 입장에서는 상술한 문제들을 원만히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유아 전용 교정 숟가락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른 요청이 커지고 있다.Nevertheless, there are still no close-up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a new concept infant correction spoon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smoothly from the perspective of parents who raise infants And the demand therefor is growing.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유아들이 젖을 뗀 후 밥을 먹기 시작할 때 부터 올바른 식습관, 특히 숟가락을 쥐는 습관을 올바르게 들여 밥을 먹기 쉽게 하고, 이를 통해 밥 먹는 것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며, 숟가락을 올바르게 쥐고 펴는 행동을 통해 지능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교정 숟가락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right eating habit, particularly a spoon holding habit from a time when an infant starts to eat rice after wea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infant correction spoon that can induce interest in eating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by correcting and spreading the spoon.

또한, 본 고안은 유아들이 숟가락을 쥐었다 폈다 하면서 밥을 먹을 때 숟가락이 식탁에 닿는 부위, 즉 유아의 입에 들어가는 수저부가 식탁과 같은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고 공중에 들 떠 있도록 하여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함으로써 위생성을 더욱 향상시킨 유아용 교정 숟가락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when a child grasps a spoon while holding a spoon, the spoon touches the table, that is, the bottom of the infant's mouth is not in contact with the floor such as a tab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to provide an infant correction spoon that further improves hygiene.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유아들이 숟가락을 사용할 때 보다 친숙한 동물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숟가락의 일부, 바람직하기로는 숟가락을 잡는 후단부인 파지부에 캐릭터를 형성시킴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고, 더 쉽고 빠르게 숟가락 잡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한 유아용 교정 숟가락을 제공함에 그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is intended to create a more familiar animal image when infants use the spoon, thereby creating a part of the spoon, preferably a spoon, which is then used to create a character in the grip, which makes it more interesting and easier to spoon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an infant correction spoon that can be learned.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유아용 교정숟가락은 숟가락의 앞부분을 형성하는 둥근 형태로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밥이나 국을 떠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목부와 연결된 후단보다 유아의 입 속으로 먼저 들어가는 선단이 상방향을 향해 들려있는 수저부;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rein the infant orthodontic spoon is a round shape which forms a front part of a spoon and is concave in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it can be eaten with rice or soup. A spout having a front end leading into the mouth of the spout;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되, 그립감을 갖도록 두툼하면서 곡선처리되어 형성되고,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감싸면서 붙잡도록 된 파지부; A grasping portion formed to be gripped by fingers and being thick and curved so as to have a gripping feeling, and gripping the thumb and forefinger of the infant while holding it;

상기 수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저부와 파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저부와 연결된 부분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부분은 상기 수저부와 연결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목부;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is relatively wider than a portion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is formed to have a relative width larger than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 neck formed to be narrower in width;

상기 목부 양측에는 유아가 파지부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감싸 잡았을 때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걸리도록 호의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목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부착형으로 구성되는 거치부;On both sides of the neck, at least one infa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so that the infant grips the grip portion without being slid when the grip portion is held by the thumb and index fingers, and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 portion, A mounting part;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수저부의 하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갖고 돌출되되,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간격을 두고 2개 한 쌍씩 평행하게 두 쌍으로 구성되며, 하단면은 바닥면에 접촉 시 수평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평면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리부; 및And two projections which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ip portion and protrude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grip portion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with a step,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eg portion is in the form of a plane so as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when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유아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을 감싸고 엄지손가락으로 파지부 또는 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감싸는 잘못된 방식으로 숟가락을 잡지 않고,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에 숟가락이 거치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파지부를 감싸면서 잡을 수 있게 숟가락 파지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다리부의 사이에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이 밀착되는 거치면;를 포함한다.The infant grips the infant's thumb and index finger with the four fingers excluding the thumb in a manner that wraps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and wraps the upper surfa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or neck with the thumb, The spoon is held on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index finger to wrap around the grip to catch the spoon is to fix the habit of the bridge between the pair of arch shape is formed to bend the infant's thumb And a surface on which a hand between the fingers and the index finger is closely contacted.

또한, 상기 숟가락의 무게중심은 파지부 쪽에 있게 하여 숟가락이 바닥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수저부가 항상 바닥으로부터 들떠 있도록 구성되고,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po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grip, so that when the spoon is seated on the floor,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는 유아들과 친숙한 동물 혹은 식물을 형상화한 캐릭터부가 더 구비되며,A character portion that shapes an animal or a plant familiar to infants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grip portion,

상기 캐릭터부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character portion can be detachably attached.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baby orthodontic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파지부와 다리부 사용하여 숟가락 쥐는 습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식습관 개선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abit of holding the spoon by using the grip part and the leg part, an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eating habit.

둘째, 유아 시기부터 숟가락을 올바르게 쥠으로써 지능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Second, from the infant's point of view, it is helpful to develop intelligence by spooning correctly.

셋째, 다리부가 수저부보다 아래쪽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저부의 하부면이 식탁 또는 상에 접촉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 할 수 있다.Third, the leg por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bottom portion of the sol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table or the surface, so that it can be used cleanly.

넷째, 캐릭터부가 생성되어 있어 파지부를 중심으로 수저부와의 균형을 잡아주기 때문에 수저부의 하부면이 식탁 또는 상에 접촉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 할 수 있다.Fourthly, a character portion is created and balances with the bottom portion around the grip portion,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can be cleanly used because it does not contact the table or the top.

다섯째, 파지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 끝부분에 찔릴 수 있는 위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Fifth, since the grip portion is not formed sharp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angerous problem that the grip portion may be stuck to the end portion of the grip.

도 1은 종래 유아들의 숟가락 파지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의 외형을 보인 예시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도 2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의 정면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도 2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의 측면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의 다른 예를 보이기 위해 도시한 변형예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poon-grip shape of a conventional infant.
FIG. 2 is an exemplary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a correction spoon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top plan view of the infant orthodontic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baby orthodontic spoon viewed from the front according to Fig. 2 to show the frontal shape of the baby orthodontic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right side view from the right side of FIG. 2 to show a side view of a baby orthodontic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modification showing the other example of the baby correction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s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limiting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herein.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은 유아의 숟가락 파지 습관을 교정하기 위해 유아가 직접 손가락을 대고 잡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크게 수저부(100), 목부(200), 파지부(300), 캐릭터부(400) 및 다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infant correction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infants to hold a finger directly to calibrate the spoon holding habit of infants, and includes a spoon 100, a neck 200, A grip section 300, a character section 400, and a leg section 500. [

이때, 상기 수저부(100)는 국물이나 밥을 떠 먹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부위이고, 상기 목부(200)는 상기 수저부(100)를 파지부(300)에 연결시키는 부위이며, 상기 파지부(300)는 유아가 직접 손가락을 대고 잡는 부위이고, 캐릭터부(400)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동,식물 모양을 형상화한 부위이며, 다리부(500)는 상기 수저부(100)가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파지부(300)를 지지하는 부위이다.The neck portion 200 is a portion for connecting the bottom portion 100 to the grip portion 300, and the grip portion 300 is a portion where the grip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0, The leg part 500 is a part where the sole part 10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art 500 And i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grip portion 300 while keeping the grip portion 300 out of contac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은 유아가 붙잡는 부위인 파지부(300)의 하측면에 간격을 둔 다수의 다리부(500)가 파지부(3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 기술에서 예시한 형태로 잡고자 할 경우 불편하기 때문에 그렇게 잡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다리부(500) 사이 공간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에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숟가락 파지 습관을 길들일 수 있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legs 500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00,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infant catches the infan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 portion 300, It is inconvenient to hold it in the illustrated form so that it can not be hel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legs 500 is inevitably put on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forefinger so that it can naturally tie the spoon grip habit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저부(100)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대략 타원 형상을 갖도록 둥글면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국, 밥을 포함한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sole portion 100 is a portion constituting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fant orthodontic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and to be concave in a downward direction so as to contain foods including rice, .

이와 같은 수저부(100)의 형상은 통상적인 수저와 동일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유아의 입이 작기 때문에 그에 맞춰 쉽게 떠 먹되 쉽게 흘리지 않도록 목부와 연결되는 후단보다 유아들의 입속으로 먼저들어가는 선단이 상방향을 향해 약간 들려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Since the shape of the sole portion 100 is the same as that of a normal spo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outh of the infant is small, it is easily floated in accordance with the spoon, but the leading end that enters the mouth of the infant first, As shown in FIG.

즉, 유아들이 숟가락을 들었을 때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지더라도 쉽게 국물 등이 넘쳐 흐르지 않도록 앞쪽 코가 약간 들려진 형태인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when the infant tilts slightly forward when hearing the spoon, his front nose is slightly raised so that the broth does not flood easily.

다만, 들려진 부분이 뾰족하게 되면 유아의 얼굴이나 입 주변에 상해를 줄 수 있으므로 입속으로 들어가는 수저부(100)의 모든 부분은 라운드 처리되어야 한다.However, when the heard portion is pointed, it may injure the infant's face or the mouth. Therefore, all portions of the spoon portion 100 entering the mouth should be rounded.

그리고, 상기 목부(200)는 상기 수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300)와 연결되며, 수저부(100)와 연결된 부분은 폭이 넓고, 파지부(300)와 연결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유아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된다.The neck portion 200 extends from the bottom portion 100 and is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0.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00 is wide and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0 is relatively wide So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venient for infants.

특히, 상기 목부(200)에는 후술되는 도 6과 같은 거치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유아들이 숟가락을 파지한 상태에서 쉽게 미끄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neck portion 20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600 as shown in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can be utilized as a means for preventing infants from slipping easily while holding the spoon.

이때, 상기 수저부(100)와 목부(200)은 두께가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파지부(300)는 두께가 두껍고 입체감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본 고안 숟가락의 무게중심이 수저부(100)가 아닌 파지부(300), 더 정확하게는 다리부(500) 쪽에 있도록 하여 숟가락을 바닥에 내려 놓았을 때 도 2,4와 같이 수저부(100)가 항상 바닥으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를 유지시켜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bottom part 100 and the neck part 200 are formed in a relatively thin plate shape, and the grip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o have a thick thickness and a three-dimensional feeling, When the spoon is placed on the floor so that the spoon is on the side of the grip portion 300, more precisely the leg portion 500, not the spoon portion 100, the spoon portion 100 always keeps floating from the floor as shown in Figs. To improve the hygiene.

다시 말해, 무게중심이 수저부(100)가 아닌 수저부(100) 반대쪽에 있게 되면 숟가락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앞쪽인 수저부(100)가 들린 상태로 유지되게 되므로 유아의 입속으로 들어가는 수저부(100)는 자연스럽게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part 100 rather than the bottom part 100, the spoon is kept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of the sole part 100 is held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100) is not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naturally, so that the cleaned state can be maintained.

때문에, 상기 파지부(300)는 입체적인 두께를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무게를 높여 무게중심이 파지부(3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grip unit 300 must have a three-dimensional thickness, and the weight of the grip unit 300 can be increased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grip unit 300 side.

물론, 상기 파지부(300)를 중공형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무게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저부(100) 보다 무거운 중량체를 넣을 수도 있다.Of course, the grip portion 300 may be hollow, and a weight greater than the spoon portion 100 may be inser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moved inside.

본 고안에서는 후술되는 캐릭터부(400)를 구비함으로써 무게중심을 쉽고 편리하게 맞출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ed by providing the character unit 400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파지부(300)는 실질적으로 유아가 손으로 잡는 행위가 일어나는 부위로서, 유아가 잡았을 때 중량감은 물론 그립감을 제공하도록 두툼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rip unit 3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grip feeling as well as a weight feeling when the infant catches the infant, which is a region where the infant catches the infant hand by hand.

아울러, 상기 파지부(30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2개 한 쌍씩 평행하게 두 쌍의 다리부(500)가 형성되는데, 이는 바닥면에 안착시 안정감을 제공하면서 상기 수저부(100)가 들 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wo pairs of legs 500 ar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unit 300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preferably two, pairs of spaced apart legs 500, (100) can be opened.

따라서, 상기 다리부(500)는 상기 수저부(100)와 높이방향으로 단차를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다리부(500)는 상기 수저부(100)의 하부면보다 아래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저부(100)와 높이차(단차)를 갖도록 하여야 된다.Therefore, the leg portion 500 should have a step difference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sole portion 100. In other words, the leg portion 500 should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sole portion 100 by having a structure that extends longer downward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100.

뿐만 아니라, 상기 다리부(500)는 두 쌍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되, 아치형의 곡률을 갖는 손등거치면(51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손등거치면(510)이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유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legs 500 form a pair of back-and-forth positioning surfaces 510 having an arcuate curvature, the two pair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ack-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naturally.

즉, 본 고안 숟가락은 상기 손등거치면(510)이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에 거치된 상태에서 유아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파지부(300)의 상면을 감싸듯이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in the present designing spoon, the infant pushes and holds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00 with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in a state where the back surface 510 of the hand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f the infant, .

상기 손등 거치면(510)은 구체적으로, 유아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을 감싸고 엄지손가락으로 파지부 또는 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감싸는 잘못된 방식으로 숟가락을 잡지 않고,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에 숟가락이 거치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파지부를 감싸면서 잡을 수 있게 숟가락 파지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다리부의 사이에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이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ck surface 510 of the back of the hand is covered with the four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in such a manner as to wrap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and to wrap the upper surfa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or neck with the thumb, For holding the spoon while holding the spoon in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forefinger of the infant without gripping the spoon and gripping the grip with the thumb and forefinger, And is formed so as to be bent in an arch shape so that a hand light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f the infant is closely contacted.

또한, 상기 목부(200)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에는 상기 두 쌍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손등 거치면(510)에 대응되도록 목부(200)와 연결되는 지점까지 호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유아의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안착시키는 손가락거치면(55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pair of leg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eck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connected to the neck 200 to correspond to the arcuate backstop 510 formed between the two legs, The finger pad 550 may be formed so as to be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up to the finger of the infant and to seat the rest of the finger except the index finger of the infant.

상기 손가락거치면(550)은 상기 손등 거치면(510)에 손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다리부를 감싸면서 잡을 수 있게 한 것이다.The finger placement surface 550 can hold a pair of legs located at the front with the remaining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while holding the back of the hand on the back placement surface 510.

특히, 상기 다리부(50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파지부(300)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파지부(300)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하단면은 평면형태를 유지하여 바닥면에 접촉시 수평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안정감은 높이되 전도 가능성은 낮추도록 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the leg portion 50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grip portion 300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beyond the grip portion 300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lower end surface maintains a flat shape, So that the stability can be enhanced and the possibility of conduction is lowered.

아울러, 도시된 예는 상기 다리부(500)가 2개 한 쌍씩 두 쌍 있는 형태를 설명하고 있으나 쌍을 이루지 않고, 두 개가 앞 뒤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pairs of the legs 500 are described as two pairs.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air of legs 5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다만, 이 경우에는 하단면의 평평도가 도시된 예에 버금가도록 넓게 형성되어야 전도 위험성을 줄이고,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if the flatness of the lower end surface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the danger of turning can be reduced and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캐릭터부(400)는 동물, 식물 등 유아들이 특히 좋아하는 대상을 형상화, 즉 캐릭터화하여 구비함으로써 친숙성, 유희성을 높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aracter unit 400 is preferably shaped and characterized by objects such as animals, plants, and the like, so as to enhance familiarity and playability.

특히, 상기 캐릭터부(400)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유아들이 쉽게 흥미를 잃지 않고, 오랜시간 동안 흥미롭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particular, if the character unit 400 is detachable and can be used for replac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child will be able to use it for a long time without losing interest easily.

이때, 상기 캐릭터부(400)를 탈부착하는 구조는 유아들이 당기거나 입에 물었을 때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 성인이 분리하기는 쉽도록 후크형 결합구조를 가지면 좋고, 나아가 끼웠을 때는 쉽게 고정되고 뺄 때는 버튼을 눌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푸쉬버튼형 구조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for detaching and attaching the character unit 400 may be a hook-typ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n adult is easily separated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when the child pulls or touches his or her mouth.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ush-button structure that can be changed by pressing a button.

이에 더하여, 상기 캐릭터부(400)를 눌렀을 때 탄성복귀 가능하도록 스프링의 개재하에 구성하고, 그 내부에 멜로디칩 등을 실장하여 캐릭터부(400)를 눌렀을 때 유아들이 특히 좋아하는 소리나 음악 등이 일정시간 동안 반복 재생되게 구성하면 더욱 더 흥미를 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 멜로디칩 부분은 방수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character unit 400 is pushed by the user, a sound, music, or the like, which is especially liked by the infant when the character unit 400 is pushed by the melody chip or the like, It will be even more interesting if you configure it to play repeated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f course, in this case, the melody chip should be waterproof.

한편, 도 6과 같이, 목부(200)의 양측으로 거치부(600)를 더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mounting portion 600 can be further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neck 200.

상기 거치부(600)는 돌기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목부(200)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탈부착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4개 형성함이 좋다.The mounting portion 6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neck portion 200 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neck portion 200. At least one or more, good.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600) 상기 목부(200) 양측에서 유아가 파지부(300)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감싸 잡았을 때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걸리도록 호의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목부(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부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t least one or more of the embroidery units 6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eck 200 in such a shape that the infant grips the grip unit 300 without being slid when the grip unit 300 is held by the thumb and forefinger,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 200 or may be detachable.

이는 유아가 파지부(300)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혹은 중지손가락을 포함하여 감싸 잡았을 때 손가락의 선단과 상기 거치부(600)의 일부가 접촉되게 하여 손가락이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더 안정감 있는 그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infant grips and holds the grip portion 300 including the thumb, the index finger or the stop finger, the tip of the finger and the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6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nger does not slip down, So that the grip state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은 형태로 숟가락을 잡도록 유도하게 되면 유아는 숟가락 파지 습관에 따라 연필 등을 파지할 때도 자연스럽고 정확한 파지 동작을 하게 되며, 지능 발달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When the child is guided to take a spoon in this form, the infant will have a natural and accurate gripping motion when gripping a pencil according to the spoon-gripping habit, and also helps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operational relationships.

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는 유아의 숟가락 파지 습관, 즉 쥐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유아로 하여금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이 다리부(500) 사이의 손등 거치면(510)에 접촉되도록 본 고안 숟가락을 얹힌다.In order to calibrate the child's spoon-gripping habit, that is, the posture in which the infant is raised, the infant should contact the back of the hand (510) between the legs (500) Spoon it over.

그런 다음,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하늘을 보게 한 후 본 고안 숟가락의 파지부(300)를 감싸 쥐도록 한다.Then, the infant's thumb and index finger are made to see the sky, and then hold the grip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spoon.

그러면, 유아의 손가락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이어지는 경계면이 손등 거치면(51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숟가락이 밀리지 않고 유아의 손가락에 일체화되게 된다.Then, the infant's finger keeps the interface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when the user touches the back of the hand (510), so that the spoon is united and integrated into the infant's finger.

이 경우, 만약 거치부(600)가 더 형성된 구조라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손가락끝이 상기 거치부(600)에 걸리도록 손가락들을 정렬하여 준다.In this case, if the mounting portion 600 is further formed, the fingers of the thumb and forefinger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600.

이에 따라, 유아는 자연스럽게 연필, 젖가락을 쥐는 행위도 동일하게 하게 되는데, 자연스러운 파지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child naturally holds the pencil and the tongue in the same manner, and natural grasp correction is made.

이 상태에서, 팔을 들어 수저부(100)에 국물 혹은 밥 등의 음식물을 담고, 취식하도록 유도하면 쉽고 편리한 숟가락 잡는 자세 교정이 이루어진다.In this state, when the arm is lifted and the food such as soup or rice is contained in the sole part 100, the spoon-catching posture correction is carried out easily and conveniently.

특히, 사용 후 바닥면에 놓았을 때 무게중심이 수저부(100)가 아닌 그 반대측에 있으므로 수저부(100)는 항상 들 뜬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저부(100)의 하면에 이물질이 묻지 않아 청결성, 즉 위생성도 높아져 유아의 건강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part 100 when placed on the floor after use, the bottom part 100 is always kept in a floating state, so that no foreign matter is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0 Cleanliness and hygiene are also improved, which is helpful for infant health car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교정 숟가락은 파지부와 다리부 사용하여 숟가락 쥐는 습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식습관 개선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by orthodontic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habit of holding the spoon by using the grip part and the leg part, and can also improve the eating habit.

또한, 유아 시기부터 숟가락을 올바르게 쥠으로써 지능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다리부가 수저부보다 아래쪽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저부의 하부면이 식탁 또는 상에 접촉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oon is correctly worn from the infant's mouth, it can help intelligent development, and the leg por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bottom portion of the sol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does not contact with the table or the surface.

뿐만 아니라, 캐릭터부가 생성되어 있어 파지부를 중심으로 수저부와의 균형을 잡아주기 때문에 수저부의 하부면이 식탁 또는 상에 접촉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haracter portion is generated and balances with the bottom portion around the grip por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table or the surface, so that it can be used cleanly.

아울러, 파지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 끝부분에 찔릴 수 있는 위험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ip portion is not formed in a sharp manner, it is possible to solve a dangerous problem that the grip portion may be stuck to the end portion of the grip.

100: 수저부 200: 목부
300: 파지부 400: 캐릭터부
500: 다리부 600: 거치부
100: spoon part 200: neck
300: grip part 400: character part
500: leg portion 600: mounting portion

Claims (1)

유아의 숟가락 파지 습관을 교정하기 위해 유아가 직접 손가락을 대고 잡아 사용하는 유아용 교정 숟가락으로서,
상기 유아용 교정숟가락은
숟가락의 앞부분을 형성하는 둥근 형태로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밥이나 국을 떠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목부와 연결된 후단보다 유아의 입 속으로 먼저 들어가는 선단이 상방향을 향해 들려있는 수저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되, 그립감을 갖도록 두툼하면서 곡선처리되어 형성되고,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감싸면서 붙잡도록 된 파지부;
상기 수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저부와 파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저부와 연결된 부분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부분은 상기 수저부와 연결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목부;
상기 목부 양측에는 유아가 파지부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감싸 잡았을 때 미끄러져 내리지 않고 걸리도록 호의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목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부착형으로 구성되는 거치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수저부의 하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갖고 돌출되되,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파지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간격을 두고 2개 한 쌍씩 평행하게 두 쌍으로 구성되며, 하단면은 바닥면에 접촉 시 수평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평면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리부;
유아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을 감싸고 엄지손가락으로 파지부 또는 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감싸는 잘못된 방식으로 숟가락을 잡지 않고,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에 숟가락이 거치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파지부를 감싸면서 잡을 수 있게 숟가락 파지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다리부의 사이에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유아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등이 밀착되는 손등 거치면; 및
상기 손등 거치면에 손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다리부를 감싸면서 잡을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목부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에는 상기 두 쌍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손등 거치면에 대응되도록 목부와 연결되는 지점까지 호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유아의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안착시키는 손가락거치면;을 포함하며,
상기 숟가락의 무게중심은 파지부 쪽에 있게 하여 숟가락이 바닥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수저부가 항상 바닥으로부터 들떠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는 유아들과 친숙한 동물 혹은 식물을 형상화한 캐릭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캐릭터부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교정 숟가락.
Spoon of infant It is infant correction spoon which infant uses by holding finger directly to calibrate holding habit,
The infant correction spoon
The spoon is rounded to form the front part of the spoon. The spoon is rec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can be eaten from the rice or soup. The spoon is first direct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outh of the infant.
A grasping portion formed to be gripped by fingers and being thick and curved so as to have a gripping feeling, and gripping the thumb and forefinger of the infant while holding i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is relatively wider than a portion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is formed to have a relative width larger than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 neck formed to be narrower in width;
On both sides of the neck, at least one infa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so that the infant grips the grip portion without being slid when the grip portion is held by the thumb and index fingers, and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 portion, A mounting part;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ip portion and protrudes with a step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grip portion. The grip portion is vertically provided on the grip portion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beyond the grip portion A pair of leg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by two pairs of legs,
The infant grips the infant's thumb and index finger with the four fingers excluding the thumb in a manner that wraps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and wraps the upper surfa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or neck with the thumb, The spoon is held on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index finger to wrap around the grip to catch the spoon to fix the habit for the correction of a pair of legs between the shape of the arch is formed in the infant's thumb When the back of a hand between the fingers and the index finger is in close contact; And
A pair of legs located at the front side can be held by the remaining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while the back of the hand is plac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of the hand, And a finger holding surface formed on the distal end of the leg so as to be curved in an arc shape to a point connected to the neck so as to correspond to an arcuate back lighting surface formed between the two pairs of legs to seat the rest of the infant's thumb and index finger; / RTI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poon is on the grip side so that when the spoon is seated on the floor,
A character portion that shapes an animal or a plant familiar to infants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charact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KR2020160001811U 2016-04-05 2016-04-05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KR2016000137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11U KR20160001370U (en) 2016-04-05 2016-04-05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11U KR20160001370U (en) 2016-04-05 2016-04-05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465U Division KR20150004011U (en) 2015-10-01 2015-10-01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70U true KR20160001370U (en) 2016-04-27

Family

ID=5591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11U KR20160001370U (en) 2016-04-05 2016-04-05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7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208A (en) * 2018-11-21 2020-05-29 한국과학기술원 Meal tools that responds to user behavior,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lication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208A (en) * 2018-11-21 2020-05-29 한국과학기술원 Meal tools that responds to user behavior,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licatio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5619A (en) Low birth weight infant pacifier
WO2009126329A2 (en) Ergonomic training utensil and teething device
US20110239470A1 (en) Helper Utensil
KR20160150445A (en) Baby calibration fork
KR20160001370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KR20170003884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KR20150004011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AU2018200057A1 (en) Tether with flexible socket for pacifiers, teethers, toys and other implements babies use
KR20140136852A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US20140138396A1 (en) Infant bottle holder
TWM557566U (en) Handheld dining utensil for assisting infants and toddlers in learning how to pick up food
TWI645815B (en) Hand-held tableware to assist infants in learning to retrieve food
JP2010214074A (en) Spoon accommodating growth stage of infant or little child in use
JP4475626B2 (en) Tableware
WO2011068861A1 (en) Protective covering teether
US10335350B1 (en) Pacifier which helps wean toddlers off pacifiers
KR102713676B1 (en) Teether
KR20140005688U (en) baby spoon
CN212815762U (en) Hand-grasping tableware
JP3162395U (en) Feeding aids
KR20190000566U (en) spoon and fork for child
JP3174413U (en) Multifunctional cup
KR102710007B1 (en) Infant spoon with acti-fall function
CN215015905U (en) Bendable baby short-handle fork spoon
JP4768148B2 (en) Self-use utensils for inf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