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036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036A
KR20240008036A KR1020220084886A KR20220084886A KR20240008036A KR 20240008036 A KR20240008036 A KR 20240008036A KR 1020220084886 A KR1020220084886 A KR 1020220084886A KR 20220084886 A KR20220084886 A KR 20220084886A KR 20240008036 A KR20240008036 A KR 2024000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upled
head
display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036A/ko
Publication of KR2024000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폴; 상기 폴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폴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일단이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는 아우터 폴; 그리고 상기 아우터 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되는 이너 폴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아우터 폴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Device),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OLED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탠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충격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좁은 장소에도 설치 가능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폴; 상기 폴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폴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일단이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는 아우터 폴; 그리고 상기 아우터 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되는 이너 폴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아우터 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충격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좁은 장소에도 설치 가능한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LCD 패널(도 1 내지 3 참조) 또는 OLED 패널(도 4 참조)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그리고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장변(LS1, LS2, long side)의 길이가 단변(SS1, SS2, short side)의 길이보다 더 큰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장변(LS1, LS2)의 길이가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단변(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고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상측(U, y)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하측(D)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좌측(Le, x)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우측(Ri)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을 제1 코너(C1)라 칭할 수 있다.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을 제2 코너(C2)라 칭할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을 제3 코너(C3)라 칭할 수 있다.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을 제4 코너(C4)라 칭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가이드 패널(20), 백라이트 유닛(30, 40), 프레임(50), 그리고 백커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복수개의 픽셀들이 각 픽셀당 RGB(Red, Green or Blue)를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front substrate)과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LC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기판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전극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의 배열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30, 40)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상기 전면 기판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차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결합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은 사이드 프레임 또는 미들 캐비닛이라 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 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 40)은 광원들(light 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 40)은 프레임(50)의 전방에서 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 40)은 전체 구동 방식이나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 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 40)은 광학시트(40, optical sheet)와 광학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40)는 광원의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10)로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광학시트(40)는 복수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40)는 프리즘시트나 확산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학시트(40)의 결합부(40d)는 프레임(50) 및/또는 백커버(6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50)은 백라이트 유닛(30, 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50)의 엣지는 가이드 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30, 40), 복수개의 전자소자들이 위치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구성이 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5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메인 프레임, 모듈 커버, 또는 커버 바텀이라 칭할 수 있다.
백커버(60)는 프레임(50)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백커버(60)는 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6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층(30)은 기판(31),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32), 반사시트(33), 및 확산판(35)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40)는 광학층(3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3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스트랩들(straps)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32)는 기판(31)에 실장될 수 있다. 전극 패턴은 기판(31)에 형성되어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32)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 패턴은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일 수 있다. 기판(3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31)은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32)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32)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32)는 레드, 그린, 및 블루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레드 LED, 그린 LED, 및 블루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33)는 기판(3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33a)은 반사시트(3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광 어셈블리(32)는 홀(33a)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33)는 광 어셈블리(32)에서 제공되거나 확산판(35)에서 반사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시트(33)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갭(air gap)은 반사시트(33)와 확산판(3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은 버퍼로 기능하며, 광 어셈블리(32)에서 제공되는 빛은 상기 에어 갭에 의해 넓게 퍼질 수 있다. 서포터(34)는 반사시트(33)와 확산판(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에어 갭을 형성할 수 있다.
확산판(35)은 반사시트(3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35)은 반사시트(33)와 광학시트(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4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40)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40)의 복수개의 시트들은 서로 접착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시트(40)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시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40)는 제1 광학시트(40a), 제2 광학시트(40b), 그리고 제3 광학시트(4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학시트(40a)는 확산시트이고, 제2 광학시트(40b)와 제3 광학시트(40c)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는 확산판(35)에서 나오는 빛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확산판(35)에서 나오는 빛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산시트와 상기 프리즘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가이드 패널(20), 프레임(50), 그리고 백커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들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OLE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결합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은 사이드 프레임 또는 미들 캐비닛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50)의 엣지는 가이드 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전자부품들은 프레임(5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5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메인 프레임, 모듈 커버, 또는 커버 바텀이라 칭할 수 있다.
백커버(60)는 프레임(50)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백커버(60)는 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6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10')은 헤드로 호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가이드 패널(20), 백라이트 유닛(30, 40), 프레임(50) 그리고 백커버(60)는 헤드로 호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가이드 패널(20), 프레임(50) 그리고 백커버(60)는 헤드로 호칭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탠드(200)는 헤드를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200)는 헤드를 제2월(BW)로부터 위로 이격시킬 수 있다. 스탠드(200)는 헤드를 제1월(UW)로부터 아래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제1월(UW)은 어퍼월(UW)로 호칭될 수 있고, 제2월(BW)는 바텀월(BW)로 호칭될 수 있다. 스탠드(200)는 헤드가 결합되는 폴(210)을 포함할 수 있다. 폴(210)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21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폴(210)은 제1월(BW)과 제2월(UW)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폴(210)의 상단에는 제1고정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폴(210)의 하단에는 제2고정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200)는 폴(210)의 상단을 어퍼월(UW)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220)와, 폴(210)의 하단을 바텀월(BW)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는 폴(2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폴(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폴(210)은 아우터 폴(2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폴(211)의 일단은 바텀월(BW)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폴(211)의 하단은 제2고정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폴(210)의 하단은 아우터 폴(211)의 하단일 수 있다. 아우터 폴(211)의 상단은 어퍼월(UW)과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폴(211)의 상단은 제1고정부(220)와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폴(211)의 수직방향으로 길이는 어퍼월(UW)와 바텀월(BW) 사이의 수직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우터 폴(211)은 중공의 파이프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우터 폴(21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폴(211)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폴(211)는 알루미늄 압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210)은 이너 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폴(212)은 수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의 상단은 어퍼월(UW)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의 상단은 제1고정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폴(210)의 상단은 이너 폴(212)의 상단일 수 있다. 이너 폴(212)의 하단은 바텀월(BW)과 이격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의 하단은 제2고정부(23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의 수직방향으로 길이는 어퍼월(UW)와 바텀월(BW) 사이의 수직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너 폴(212)은 중공의 파이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폴(212)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폴(212)는 알루미늄 압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의 직경은 아우터 폴(21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너 폴(212)은 아우터 폴(2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의 적어도 일부는 아우터 폴(2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의 하단은 아우터 폴(2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너 폴(212)은 높이조절부재(213)을 통해 아우터 폴(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폴(212)는 외면에 형성되는 홈(2121)을 포함할 수 있다. 홈(2121)에는 높이조절부재(213)가 삽입될 수 있다. 홈(2121)은 이너 폴(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홈(21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홈(2121)은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홈(2121)의 사이의 간격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121)은 이너 폴(212)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위치하는 제1 내지 제5홈(2121a, 2121b, 2121c, 2121d, 2121e)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폴(211)에는 높이조절부재(213)가 결합되는 홀(2111)이 형성될 수 있다. 홀(2111)은 아우터 폴(211)의 하단보다 상단에 인접할 수 있다. 홀(2111)은 아우터 폴(211)과 이너 폴(212)이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13)는 아우터 폴(211)의 홀(2111)을 관통하여 이너 폴(212)의 홈(2121)에 삽입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31)의 헤드(2131)는 아우터 폴(211)의 홀(211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높이조절부재(231)의 핀(2132)은 아우터 폴(211)의 홀(21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31)의 핀(2132)은 홀(2111)을 관통하여 이너 폴(212)의 홈(2121)에 삽입될 수 있고, 높이조절부재(231)의 헤드(2131)는 아우터 폴(2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아우터 폴(211)에 걸릴수 있다.
핀(2132)에는 탄성부재(214)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14)는 핀(2132)을 둘러쌀 수 있다. 탄성부재(214)는 핀(213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핀(2132)은 아우터 폴(211)과 이너 폴(2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214)의 일단은 이너 폴(212)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고, 탄성부재(214)의 타단은 아우터 폴(211)의 내주면에 적촐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13)는 아우터 폴(211)의 홀(2111)을 관통하여 이너 폴(212)의 홈(2121)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우터 폴(211)과 이너 폴(212)은 결합될 수 있다. 핀(2132)는 복수의 홈(2121) 중 어느 하나의 홈(2121)에 삽입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13)는 아우터 폴(211)에서 이너 폴(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복수의 홈 (2121) 중 어느 하나의 홈(21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폴(210)이 특정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132)이 제1홈(2121a)에 삽입되는 경우, 스탠드(200)는 바텀월(BW)로부터 제1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132)이 제2홈(2121b)에 삽입되는 경우, 스탠드(200)는 바텀월(BW)로부터 제1높이보다 큰 제2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132)이 제3홈(2121c)에 삽입되는 경우, 스탠드(200)는 바텀월(BW)로부터 제2높이보다 큰 제3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132)이 제4홈(2121d)에 삽입되는 경우, 스탠드(200)는 바텀월(BW)로부터 제3높이보다 큰 제4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132)이 제5홈(2121e)에 삽입되는 경우, 스탠드(200)는 바텀월(BW)로부터 제4높이보다 큰 제5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13)를 통해, 스탠드(200) 및/또는 폴(2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13)가 이너 폴(212)에서 아우터 폴(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아우터 폴(211)와 이너 폴(21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이너 폴(212)은 아우터 폴(211) 내에서 폴(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너 폴(212)이 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 또는 위로 이동한 후, 높이조절부재(213)를 가압하여 원하는 높이에서 아우터 폴(211)과 이너 폴(212)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132)이 제4홈(2121d)에 삽입되어 제4높이를 가지는 스탠드(200)를 제4높이보다 작은 제2높이로 변경하려는 경우, 높이조절부재(213)를 당겨 아우터 폴(211)과 이너 폴(212)의 결합을 해제하고, 이너 폴(212)을 홀(2111)과 제2홈(2121b)이 중첩되는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시키며, 높이조절부재(213)를 가압하여 핀(2132)를 제2홈(2121b)에 삽입하여 스탠드(21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치하려는 장소의 바텀월(BW)과 어퍼월(UW) 사이의 높이에 맞춰 스탠드(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고정부(220)는 폴(210)을 어퍼월(UW)에 고정할 수 있다. 제1고정부(220)는 이너 폴(212)의 상단을 어퍼월(UW)에 고정할 수 있다. 제1고정부(220)는 제1커버(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221)는 어퍼월(UW)에 결합되고 폴(210)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다. 제1커버(221)는 리브(2211) 커버부(2212), 및 제1플랜지(2213)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2211)의 내부에는 폴(210)의 상단이 위치할 수 있다. 리브(2211)는 폴(21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리브(2211)는 폴(210)의 상단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커버부(2212)는 리브(2211)로부터 어퍼월(UW)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커버부(2212)는 리브(2211)로부터 어퍼월(UW)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커버부(2212)의 내부에는 제1압축부재(22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플랜지(2213)는 커버부(22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플랜지(2213)는 어퍼월(UW)과 접촉될 수 있다. 제1플랜지(2213)는 어퍼월(UW)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221)은 제1커버(22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압축부재(222)와 어퍼월(UW) 사이의 밀착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제1고정부(220)는 제1압축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제1커버(2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커버부(22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폴(210)의 상단과 어퍼월(UW)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폴(21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폴(210)의 상단과 어퍼월(UW) 사이에서 압축되어, (210)의 상단을 어퍼월(UW)에 고정할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제1부재(2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223)는 어퍼월(UW)에 접촉될 수 있다. 제1부재(2223)는 압축되어 어퍼월(UW)에 부착될 수 있다. 제1부재(2223)는 압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제3부재(2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부재(2221)는 제2부재(2222) 아래에 적층될 수 있다. 제3부재(2221)는 제2부재(2222)와 폴(21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부재(2221)는 폴(210)의 상단과 접촉하는 바디(2221a), 바디(2221a)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1후크(2221b)와 제2후크(2221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221a)는 리브(2211)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2221a)는 폴(210)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또는 바디(2221a)의 내부에는 폴(210)의 상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후크(2221b)는 바디(2221a)의 일부로부터 제2부재(222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후크(2221c)는 바디(2221a)의 일부로부터 제2부재(222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후크(2221b)와 제2후크(2221c)는 마주볼 수 있다. 제1후크(2221b)와 제2후크(2221c) 사이의 수평방향으로의 거리는 바디(2221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1압축부재(222)는 제2부재(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2222)는 제1부재(2223)와 제3부재(22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부재(2222)는 제1부재(2223)와 결합되는 제1부분(2222a)과, 제1부분(2222a)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2부분(2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2222a)에는 제1부재(2223)의 돌출부(2223a)가 삽입되는 홈(222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부분(2222b)은 제1부분(2222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부분(2222b)은 제1후크(2221b)와 제2후크(2221c) 사이의 수평 거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부분(2222b)은 제1후크(2221b)와 제2후크(2221c)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부분(2222b)은 바디(2221a)와 접촉할 수 있다. 제2부분(2222b)는 바디(2221a)에 안착될 수 있다. 제1후크(2221b)는 제1부분(2222a)에 형성되는 제1홀(2222d)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후크(2221c)는 제1부분(2222a)에 형성되는 제2홀(2222e)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2224)는 제1후크(2221b)와 제2후크(2221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2224)는 제2부분(2222)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224)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제2고정부(230)는 제2커버(231)와 제2압축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231)는 상판(2314)과, 상판(2314)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상부 리브(2311)를 포함할 수 있다. 폴(210)의 하단은 상판(23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 리브(2311)는 폴(210)의 하단을 둘러쌀 수 있다. 제1커버(231)는 상판(2314)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커버부(2312)와, 커버부(23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23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312)는 상판(2314)으로부터 바텀월(BW)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커버부(2312)의 내부에는 제2압축부재(23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플랜지(2313)는 바텀월(BW)과 접촉할 수 있다. 제2플랜지(2313)는 바텀월(BW)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230)는 상판(2314)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커버부(2312)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부 리브(23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리브(2315)는 상부 리브(23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부 리브(2315)는 제2압축부재(23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 리브(2315)는 제2압축부재(232)를 고정할 수 있다. 하부 리브(2315)는 제2압축부재(232)를 가압하여, 제2압축부재(232)가 바텀월(BW)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제2압축부재(232)는 폴(210)을 바텀월(BW)에 고정할 수 있다. 제2압축부재(232)는 하부 리브(2315)에 삽입되는 제1부분(2321)과, 제1부분(2321)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바텀월(BW)과 접촉되는 제2부분(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2321)의 직경은 제2부분(232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하부 리브(2315)의 하단은 제2부분(2322)에 접촉할 수 있다. 제2압축부재(232)는 압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압축부재(232)는 폴(210) 또는 하부 리브(2315)에 의해 압축되어 바텀월(BW)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고정부(220)는 제1플랜지(2213)와 어퍼월(UW) 사이에 위치하고, 제1커버(221)을 어퍼월(UW)에 고정시키는 자석(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223)은 고무자석일 수 있다. 자석(223)은 어퍼월(UW)에 위치하는 제1자석(2231)과, 제1플랜지(2213)에 위치하는 제2자석(2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석(2231)은 어퍼월(UW)에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고, 제2자석(2232)는 제1플랜지(2213)에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1자석(2231)은 제2자석(2232)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자석(2231)은 N극일 수 있고, 제2자석(2232)는 S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자석(2231)은 S극일 수 있고, 제2자석(2232)는 N극일 수 있다. 1차적으로 제1압축부재(222)를 통해 스탠드(200)를 어퍼월(UW)에 고정할 수 있고, 2차적으로 자석(223)을 통해 스탠드(200)는 어퍼월(UW)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고정부(220)는 제1플랜지(2213)를 관통하고 어퍼월(UW)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224)는 스크류일 수 있다. 1차적으로 제1압축부재(222)를 통해 스탠드(200)를 어퍼월(UW)에 고정할 수 있고, 2차적으로 체결부재(224)를 통해 스탠드(200)는 어퍼월(UW)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탠드(2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200)의 폴(2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구비하는 헤드가 결합될 수 있다. 헤드는 높이조절부재(213)의 반대편에서 폴(210)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는 높이조절부재(213)의 반대편에서 아우터 폴(211)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는 브라켓(300)을 통해 폴(21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헤드와 폴(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300)은 헤드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폴(21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아우터 폴(211)에 결합될 수 있다.
폴(2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폴(210)의 단면은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폴(310)의 단면은 사각 링 형상일 수 있다. 폴(210)의 외주면에는 미러 필름(Mirror Film)이 부착될 수 있다. 폴(210)의 외주면은 그라데이션(Gradation) 처리될 수 있다. 폴(210)의 외주면은 포그 스프레이(Fog spray) 처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200)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외관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아우터 폴(211)에 체결부재(33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체결부재(340)를 통해 헤드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330, 340)는 스크류일 수 있다. 브라켓(300)의 플레이트(310)에는 체결부재(330)가 관통하는 제1체결홀(311)과, 체결부재(340)가 관통하는 제2체결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홀(311)은 제2체결홀(31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홀(311)의 내주면에는 체결부재(330)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홀(312)의 내주면에는 체결부재(340)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홀(311)을 복수의 제1체결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체결홀(311)은 폴(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체결홀(311a, 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30)는 한 쌍의 제1체결홀(311a, 311b)을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부재(331, 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체결홀(312)는 복수의 제2체결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체결홀(312)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체결홀(312a, 312b)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40)는 한 쌍의 제2체결홀(312a, 312b)을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부재(341, 34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00)의 브릿지(321)은 플레이트(310)의 상단으로부터 헤드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돌기(322)는 브릿지(321)로부터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322)는 복수의 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322)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돌기(320a, 320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321)와 돌기(322)를 후크(320)로 호칭할 수 있다. 후크(320)는 헤드에 걸릴 수 있다. 돌기(322)는 프레임(50)에 결합되는 마운트(미도시)에 걸릴수 있다. 마운트(미도시)에는 후크(320)가 걸리는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홈(1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홈(11a)과, 제1홈(11a)과 연통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홈(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1a)에는 브릿지(32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제2홈(11b)에는 돌기(322)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브라켓(300)은 헤드의 후방을 커버하는 백커버(5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폴(211)에는 체결부재(330)이 결합되는 체결 홈(2112)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30)가 체결 홈(2112)에 체결됨에 따라 헤드가 스탠드(200)에 고정될 수 있다. 헤드는 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홈(2112)는 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 홈(2112)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부재(330)는 복수의 체결 홈(2112) 중 어느 하나의 체결 홈(2112)에 체결되어 헤드는 특정 높이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 홈(2112)는 아우터 폴(211) 뿐 아니라 이너 폴(21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2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200)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폴(210); 상기 폴(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220); 및 상기 폴(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폴(210)은: 일단이 상기 제2고정부(230)에 결합되는 아우터 폴(211); 그리고 상기 아우터 폴(21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220)에 결합되는 이너 폴(212)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아우터 폴(2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200)는 상기 아우터 폴(211)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 폴(212)을 상기 아우터 폴(211)에 고정하는 높이조절부재(2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폴(212)은 상기 이너 폴(212)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폴(21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홈(2121)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213)는 상기 아우터 폴(211)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폴(212)의 상기 복수의 홈(2121) 중 적어도 하나의 홈(21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폴(211)과 상기 이너 폴(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213)를 둘러싸는 탄성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20)는: 상기 이너 폴(212)의 상기 일단을 수용하고, 제1월(UW)에 결합되는 제1커버(221); 상기 제1커버(2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폴(212)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1월(UW) 사이에 배치되는 제1압축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압축부재(222)는: 상기 제1월(UW)에 부착되는 제1부재(2223); 상기 제1부재(22230 아래에 배치되는 제2부재(2222); 및 상기 제2부재(2222)와 상기 이너 폴(212)의 상기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3부재(2221)를 포함하고, 상기 제3부재(2221)는 상기 이너 폴(212)의 상기 일단과 접촉되는 바디(2221a)와, 상기 바디(2221a)로부터 상기 제2부재(2222)를 향해 연장되는 제1후크(2221b)와 제2후크(222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2222)는 상기 제1부재(2223)에 결합되는 제1부분(2222a)과, 상기 제1부분(2222a)으로부터 상기 제3부재(2221)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후크(2221b)와 상기 제2후크(2221c) 사이에 배치되는 제2부분(2222b)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2222)의 상기 제1부분(2222a)은 상기 제1후크(2221b)가 결합되는 제1홀(2222d)과, 상기 제2후크(2221c)가 결합되는 제2홀(222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압축부재(222)는: 상기 제1후크(2221b)와 상기 제2후크(2221c)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2222)의 상기 제2부분(2222b)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221)는 상기 제1커버(2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월(UW)과 마주하는 플랜지(2213)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2213)는 자석(223) 또는 체결부재(224)를 통해 상기 제1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230)는: 제2월(BW)에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폴(211)의 상기 일단을 수용하는 제2커버(231); 및 상기 제2커버(231) 내에 위치하고 압축되어 상기 제2월(BW)에 부착되는 제2압축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231)는, 상기 아우터 폴(211)의 상기 일단이 안착되는 상판(2314); 상기 상판(2314)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아우터 폴(211)의 상기 일단을 둘러싸는 상부 리브(2311); 상기 상판(2314)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커버(231)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부 리브(23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압축부재(232)의 적어 일부는 상기 하부 리브(231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헤드와 상기 폴(210) 사이에서 상기 헤드와 상기 폴(210)에 결합되는 브라켓(3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00)은, 플레이트(310); 상기 플레이트(310)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해 연장되는 브릿지(321); 및 상기 브릿지(321)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돌기(322)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프레임(50); 및 상기 프레임(50)에 결합되는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322)는 상기 마운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10)는: 상기 플레이트(310)를 상기 폴(210)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재(330)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311)와, 상기 플레이트(310)를 상기 헤드에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340)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210)에는 상기 폴(2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 홈(2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재(330)는 상기 제1체결홀(311)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체결 홈(2112) 중 어느 하나의 체결 홈(21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폴;
    상기 폴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폴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일단이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는 아우터 폴; 그리고
    상기 아우터 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되는 이너 폴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아우터 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아우터 폴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 폴을 상기 아우터 폴에 고정하는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폴은 상기 이너 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아우터 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폴의 상기 복수의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폴과 상기 이너 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이너 폴의 상기 일단을 수용하고, 제1월에 결합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폴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1월 사이에 배치되는 제1압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부재는:
    상기 제1월에 부착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 아래에 배치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이너 폴의 상기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3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부재는 상기 이너 폴의 상기 일단과 접촉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2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제1후크와 제2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에 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부재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후크가 결합되는 제1홀과, 상기 제2후크가 결합되는 제2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부재는: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2부분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커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월과 마주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자석 또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월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제2월에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폴의 상기 일단을 수용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 내에 위치하고 압축되어 상기 제2월에 부착되는 제2압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아우터 폴의 상기 일단이 안착되는 상판;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아우터 폴의 상기 일단을 둘러싸는 상부 리브;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압축부재의 적어 일부는 상기 하부 리브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와 상기 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와 상기 폴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해 연장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마운트에 걸리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폴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헤드에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에는 상기 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제1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체결 홈 중 어느 하나의 체결 홈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084886A 2022-07-11 2022-07-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8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86A KR20240008036A (ko) 2022-07-11 2022-07-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86A KR20240008036A (ko) 2022-07-11 2022-07-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036A true KR20240008036A (ko) 2024-01-18

Family

ID=8971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886A KR20240008036A (ko) 2022-07-11 2022-07-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0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7090B2 (en) Display device
KR1025582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528082B (zh) 照明系統及使用該照明系統的顯示裝置
KR102390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088947B1 (en) Display device
KR101820172B1 (ko) 보더리스 액정표시장치
EP3190456B1 (en) Display device
US9470921B2 (en) Display device
US2013003879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632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802310B2 (en) Display device
US11156863B2 (en) Display device
KR2024000803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10063268A (ko) 액정표시장치
KR20220075846A (ko) 표시 장치
US10816719B2 (en) Display device
KR201600780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6787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24007167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11683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5002797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23002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228367A1 (en) Display device
KR2024000396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6428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