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03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038A
KR20160078038A KR1020140188664A KR20140188664A KR20160078038A KR 20160078038 A KR20160078038 A KR 20160078038A KR 1020140188664 A KR1020140188664 A KR 1020140188664A KR 20140188664 A KR20140188664 A KR 20140188664A KR 20160078038 A KR20160078038 A KR 20160078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rame
coupling holes
coupl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규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8038A/ko
Publication of KR2016007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광 어셈블리; 및 상기 광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광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안착부는 상기 광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 영역에 각각 형성된 제1,2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2 결합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2 결합공이 상기 제1,2 걸림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안착부를 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광안착부를 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광안착부를 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광 어셈블리; 및 상기 광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광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안착부는 상기 광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 영역에 각각 형성된 제1,2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2 결합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2 결합공이 상기 제1,2 걸림부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공은, 상기 제1 영역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공 중 적어도 두 개와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이격 간격이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공 중 상기 광안착부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제1 결합공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제1 결합공부터 상기 중심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제1 결항까지의 제2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공은, 상기 제2 영역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2 결합공이, 상호 비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공의 개수와, 상기 제2 결합공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공의 개수는, 상기 제2 결합공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광안착부는, 상기 제1,2 결합공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제3 결합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안착부는, 상기 광안착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포밍부(form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밍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층은, 반사시트와, 상기 반사시트 상에 위치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포밍부 상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포밍부는, 상기 제1,2 걸림부 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광안착부를 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프레임에 결합된 광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 광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0 프레임과 광안착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2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방의 백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제 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SS1),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S2) 및 제 1, 2 단변(SS1, SS2)에 인접하고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백 커버(15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백 커버(150) 및/또는 그에 인접한 다른 구조물에는 돌출부, 슬라이딩부, 결합부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05),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프레임(130), 백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는 따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려한 디자인 등의 목적으로, 전면커버는 존재하지 않고 측면커버만 존재하는 경우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은, 직하형 또는 엣지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20)인 경우에, 확산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30)의 전면과 측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이 프레임(13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우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학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25d)가 존재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 상에 결합된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층(123)은,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120) 등의 구성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디스플페이 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론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레진(resio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광학 시트(125) 등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 상부에 광학 시트(125)가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30)과 결합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 직접 안착될 수 있다. 즉, 광학 시트(125)는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5)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와 제1 가이드 패널(117)의 플랜지(117a)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전면(前面) 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는 제1 가이드 패널(117)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중 가장자리 영역은 프론트 커버(105)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제1 가이드 패널(117)과 프론트 커버(105)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100), 제2 가이드 패널(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레임(130)에 제2 가이드 패널(113)이 결합되고,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광학 시트(125)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가이드 패널(113)은, 프레임(130)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프레임(130)은, 제1,2 가이드 패널(117, 113)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 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05)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의 일 끝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층(123)은 기판(122)과, 반사시트(123)와, 광 어셈블리(124)와, 도광판(128)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은, 프레임(1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23)은, 프레임(130)과 광학 시트(12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층(123)은,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기판(122)은, 프레임(130) 내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가이드 패널(117)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가이드 패널(117)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은 제 1 가이드 패널(117), 프레임(130), 탑 케이스(105)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기판(124)은, 반사시트(123) 및/또는 도광판(128)의 측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기판(124)의 전면(前面)이 광학층(123)을 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판(124)과 반사시트(123) 및/또는 도광판(128)은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기판(122)과 광학층(1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및 도 7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도광판(128)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광학층(123)의 다른 구성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은, 광학층(123)의 다른 구성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124)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에는 광 어셈블리(124)와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22)에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길이방향 폭은 도광판(128)의 두께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광 어셈블리(124)의 방출한 광은 대부분 도광판(128)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에 포함된 광원(light source)는, COB(Chip On Board) 타입일 수 있다. COB 타입은, 기판(122)에 광원인 LED 칩을 직접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열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의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B 타입은, 좀더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COB 타입은, 종래보다 얇고 가볍게 구현될 수 있다.
도광판(128)은, 광 어셈블리(12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광판(128)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넓게 퍼지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광판(128)은 광 어셈블리(124)와 인접하는 면이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128)의 하면은 상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도광판(128)의 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빛을 전면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도광판(128)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전면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 및/또는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잉크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증착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에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한 코팅층 및/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광판(128) 전면 측에 확산판(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확산판은, 도광판(128)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도광판(128)과 광학시트(125)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위치할 수 있다. 에어 갭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질 수 있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광 어셈블리(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될 수 있다. 레진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도광판(128)의 전면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도광판(128)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의 기능을 가지며,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 시트인 제1 광학시트(125a)와 프리즘 시트인 제2 광학 시트(125b)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확산 시트는 도광판(128)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 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기판(122)과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110c)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이라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110c)에서 상측면(110d) 방향으로 발광할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에서 방출된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110c)부터 상측면(110d)으로 확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 전체를 발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측면(110d)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면(110a)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면(110b)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110c) 및 상측면(110d)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면(110a) 및 좌측면(110b)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의 (b)와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 어셈블리(124)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마주보는 양 측에 배치되는 것을 듀얼형(dual type) 백라이트 유닛이라고 한다. 듀얼형 백라이트 유닛은 더 약한 광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10) 전면으로 광이 쉽게 확산될 수 있다.
도 9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 어셈블리(124)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全面)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에 위치한다면, 다른 백라이트 유닛보다 더 쉽게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10은, 프레임에 결합된 광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레임(130)에 결합된 광안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안착부(200)는, 기판(122)과 광 어셈블리(124)가 수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광안착부(200)는, 기판(122)과 광어셈블리(124)를 포함하는 광학층(123)이 수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광안착부(200)는, 광 어셈블리(124)가 프레임(130)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형(edge type)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장변을 따라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되는 경우에, 광 어셈블리(124)가 수용되는 장소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안착부(200)는, 프레임(130)과 별도로 구성되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과 별도로 구성되어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광안착부(200)는, 프레임(130)에 밀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광안착부(200)에 수용된 광 어셈블리(124)의 동작 중 발생된 열을 프레임(130) 측으로 전도하기 위하여, 광안착부(200)는 프레임(130)에 밀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광안착부(200)를 프레임(130)에 밀착 결합하기 위하여, 종래에 광안착부(200)는 다수의 스크류(screw)를 사용하여 프레임(130)과 결합되었다. 다수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광안착부(200)를 프레임(130)에 결합하는 경우, 결합의 정도 측면에서는 만족될 수 있으나, 조립 과정이 복잡해지고 스크류의 개수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안착부(200)를 보다 간편하게 프레임(13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시간 및/또는 조립비용이 증가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 광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안착부(200)는, 래치(latch) 구조를 사용하여 광안착부(200)를 프레임(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안착부(200)는,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장변에 결합되는 경우에, 광안착부(200)의 길이는 제2 장변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광안착부(200)에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안착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영역인 제1 영역과(A1)과 제1 영역(A1)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영역(A1)에는 제1 결합공(210)이 배치되고, 제2 영역(A2)에는 제2 결합공(2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공(210)은, 제1 영역(A1)을 따라 특정 간격 및/또는 크기로 형성된 통공일 수 있다.
제1 결합공(210) 사이의 간격은, 특정 제1 결합공(210)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안착부(200) 중심점을 기준으로 할 때, 중심점에서 제 1a 결합공(210a)까지는 D1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a 결합공(210a) 다음의 제1 결합공(210)인 제1b 결합공(210b)까지는 D2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b 결합공(210b) 다음의 제1 결합공(210)인 제1c 결합공(210c)까지는 3 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D1은, D2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중심점에서 제1a 결합공(210a)까지의 거리와 제1a 결합공(210a)에서 제1b 결합공(210b) 까지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간격은, 중심점에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즉, 광안착부(200) 자체의 자중 및 광안착부(200)에 수용된 구조물의 무게로 인하여 쳐짐이 발생할 수 있는 중심 영역에 좀더 촘촘하게 제1 결합공(210)을 배치함으로서, 광안착부(200)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D1은, D3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중심점에서 제1a 결합공(210a) 까지의 거리가 다른 제1 결합공(210)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가장 짧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결합공(230)은, 제2 영역(A2)을 따라 특정 간격 및/또는 크기로 형성된 통공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가장 가까운 제2a 결합공(230a) 까지의 거리는 D4이고, 제2a 결합공(230a)에서 다음 제2 결합공(230)인 제2b 결합공(230b) 까지의 거리는 D5 일 수 있다.
D1과 D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 결합공(210)과 제2 결합공(230)은, 상호 비대칭한(asymmetric)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제1 결합공(210)과 제2 결합공(230)이 상하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제1 결합공(210)와 제2 결합공(230)이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결합공(210, 230)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공(210)은 제1 영역(A1)을 따라 6개가 배치됨에 반하여, 제2 결합공(230)은 제2 영역(A2)을 따라 2 개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결합공(210, 230)의 비대칭한 배치 및/또는 서로 다른 개수로 인하여, 제1,2 결합공(210, 320)의 개수를 최소화 하면서도 광 어셈블리(200)를 프레임(130)에 밀착할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200)에서 발생된 열이 프레임(13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결합공(260)은, 제1,2 결합공(210, 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결합공(210) 및/또는 제2 결합공(230)의 사이에 제3 결합공(260)이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결합공(260)에는 스크류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안착부(200)는, 제3 결합공(260) 및/또는 제3 결합공(260)에 결합되는 스크류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물인 스크류의 결합에 투입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물인 스크류의 생산을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안착부(130)는, 제1 영역(A1)에 배치된 제1 결합공(210)과 제2 영역(A2)에 배치된 제2 결합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공(230)은, 광안착부(130)의 바닥면(217)이 아닌 제1 포밍부(forming part, 138C)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공(23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제2 결합공(230)의 위치로 인하여, 제2 결합공(230)을 프레임(130)에 보다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광학층(123)이 안착되는 결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50)은, 제2 영역(A2)이 ? 방향으로 밴딩된 형태일 수 있다. 결합부(250)는, 광학층(123)을 구성하는 기판(122)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기판(122)이 수용될 수 있는 너비로 결합부(2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0 프레임과 광안착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안착부(200)는,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에는, 제1 결합공(210)에 대응된 제1 걸림부(135)와, 제2 결합공(230)에 대응된 제2 걸림부(137)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걸림부(135)는, 프레임(130)의 일부 영역에 대한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제1 걸림부(135)는, 제1 프레임몸체(136b)에서 ?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몸체연장부(136a)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부(135)의 제1 걸림부몸체(135b)가 제1 연장부(136a)에서 연장되고, 제1 걸림부몸체(135b)에서 ?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1 걸림부끝단(135a)이 연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걸림부끝단(135a)는, Y 방향에 대하여 a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제1 걸림부끝단(135a)가 a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임으로 인하여 제1 결합공(210)이 용이하게 제1 걸림부(13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37)는, 프레임(130)의 해당 영역에 대한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걸림부(137)는, 제2 프레임몸체(138a)에서 ?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프레임몸체연장부(138b)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걸림부(137)는, 제2 프레임몸체연장부(138b)의 끝단에서 연장된 제2 걸림부몸체(137b)와, 제2 걸림부몸체(137b)에서 ?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연장된 제2 걸림부끝단(13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끝단(137a)은, Y방향에 대해 b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걸림부끝단(137a)의 형태로 인하여, 제2 결합공(230)이 용이하게 제2 걸림부(137)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몸체(138a)의 타측에는, 결합부(250)에 대응된 지지부(139)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광안착부(200)는, 프레임(13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안착부(200)가 프레임(130)에 접근된 후에 ?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호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걸림부끝단(135a) 및/또는 제2 걸림부끝단(137a)의 형상으로 인하여, 결합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안착부(200)가 프레임(130)에 상호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어셈블리(124)에서 발생된 열이 효과적으로 프레임(130)으로 전도될 수 있다.
제2 결합공(230)은, 제1 포밍부(138C)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 방향으로 돌출된 제1 포밍부(138C)에 위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제2 걸림부(137)이 제2 결합공(230)에 보다 원활히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안착부(200) 상에는 반사시트(126) 및/또는 도광판(128)이 위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및/또는 도광판(128)은, 광안착부(200)의 제1,2 포밍부(138C, 136C)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1,2 포밍부(138C, 136C)는, 다른 구조물 보다 더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제1,2 걸림부(135, 137) 보다 돌출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사시트(126) 및/또는 도광판(128)은, 제1,2 걸림부(135, 137)를 포함하는 다른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고 제1,2 포밍부(138C, 136C)에 안착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및/또는 도광판(128)의 측면에는, 광학층(123)이 위치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 및/또는 도광판(128)의 측면에 광 어셈블리(124)가 위치하고, 그 옆에 기판(122)이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판(122), 결합부(250) 및/또는 지지부(139)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은 H1 높이, 결합부(250)는 H2 높이, 지지부(139)는 H3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지지부(139)가 결합부(250)를 포괄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결합부(250)가 기판(122)을 포괄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광 어셈블리; 및
    상기 광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광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안착부는 상기 광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 영역에 각각 형성된 제1,2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2 결합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2 결합공이 상기 제1,2 걸림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공은,
    상기 제1 영역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공 중 적어도 두 개와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이격 간격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결합공 중 상기 광안착부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제1 결합공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제1 결합공부터 상기 중심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제1 결합공까지의 제2 거리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공은,
    상기 제2 영역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2 결합공이, 상호 비대칭적으로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공의 개수와,
    상기 제2 결합공의 개수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공의 개수는,
    상기 제2 결합공의 개수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착부는,
    상기 제1,2 결합공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제3 결합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착부는,
    상기 광안착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포밍부(forming part)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합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밍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반사시트와, 상기 반사시트 상에 위치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광학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포밍부 상에 접촉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상기 제1,2 걸림부 보다 더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88664A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8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64A KR20160078038A (ko)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64A KR20160078038A (ko)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038A true KR20160078038A (ko) 2016-07-04

Family

ID=5650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664A KR20160078038A (ko)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80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1711A (zh) * 2016-07-13 2018-01-23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180091327A (ko) * 2017-02-06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1711A (zh) * 2016-07-13 2018-01-23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EP3270215A3 (en) * 2016-07-13 2018-01-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274769B2 (en) 2016-07-13 2019-04-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180091327A (ko) * 2017-02-06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0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82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422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825761B1 (en) Display device
KR102632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832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761108B1 (en) Display device
KR10238364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08159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62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3818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0780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58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440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480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173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551667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27976B1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21001701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845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966110B2 (en) Display device
KR2019011683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1363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0809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06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