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670A -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670A
KR20240007670A KR1020237042789A KR20237042789A KR20240007670A KR 20240007670 A KR20240007670 A KR 20240007670A KR 1020237042789 A KR1020237042789 A KR 1020237042789A KR 20237042789 A KR20237042789 A KR 20237042789A KR 20240007670 A KR20240007670 A KR 2024000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parameter
amplification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안 왕
진후아 리우
슈옌 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7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predicting future states of th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를 공개하는바, 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신호 증폭기가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의 교차인용>
본 출원은 2021년 05월 11일에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0512345.5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당해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다.
신호 증폭기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능은 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여, UE에 도달하는 신호 강도를 높이고, UE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UE에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의 강도를 높이는 것을 포함한다. 신호 증폭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를 받을 수 있는 바, 즉 기지국은 증폭기의 신호 전력을 증가시키고 간섭을 줄이기 위해, 증폭기의 송신 파라미터, 예를 들어 신호 증폭기의 스위칭 및 송신 빔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조에서, 3개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중간 네트워크 노드가 신호 증폭기이며, 여기에는 하나의 단말 모듈(mobile termination, MT)과 하나의 중계기 모듈(repeater unit, RU)을 포함한다. 그 중 MT는 기지국과의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고, 기지국은 MT를 통해 신호 증폭기와 상호 작용하며, 신호 증폭기의 MT 또는 RU의 전송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신호 증폭기가 도입되면서, 셀의 커버리지가 기지국부터 신호 증폭기까지의 채널 상태의 영향을 받는데, 예를 들어 기지국부터 신호 증폭기까지의 링크가 차단되면 셀의 커버리지가 감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지국부터 신호 증폭기까지의 채널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셀의 커버리지가 변화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로, 신호 증폭기에 적용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바, 해당 방법은,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신호 증폭기가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로,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장치는 획득 모듈, 결정 모듈 및 조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모듈은 목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모듈은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양태로, 네트워크 측 장치에 적용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바, 해당 방법은,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양태로,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장치는 생성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 모듈은 목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생성 모듈이 생성하는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5 양태로,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하는바, 해당 네트워크 측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 또는 제3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태로, 네트워크 측 자치를 제공하는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7 양태로, 네트워크 측 자치를 제공하는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8 양태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바,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 또는 제3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9 양태로, 칩을 제공하는바,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제1 양태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3 양태의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제10 양태로,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상기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 증폭기는 목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해당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이로써, 신호 증폭기는 채널 상태가 변경될 때, 적시적으로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통하여 상응하게 유연하게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와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채널 상태 변경으로 초래되는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의 구조도 1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의 구조도 2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네트워크 측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한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취득하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용어는 적당한 상황 하에서 호환이 가능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등이 구분하는 객체는 일반적으로 같은 유형이고, 객체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제1 객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의 적어도 그 중의 하나를 표시하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은 롱텀에볼루션(Long Time Evolution, LTE)/LTE의 향상된(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과 기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자주 호환 사용될 수 있고, 본문에 기재된 기술은 위에 언급된 시스템과 무선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기타 시스템과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을 기술하였고, 또한 아래 대부분 설명에서 비록 이러한 기술이 NR 시스템 응용 외의 응용, 예를 들면 제6 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고, NR 용어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응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신호 증폭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말은 또한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 칭할 수 있고,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 PC(Tablet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또는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팜탑, 넷북,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차량탑재 장치(VUE), 행인 단말(PUE) 등 단말측 장치일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 와치, 밴드, 이어폰, 글라스 등을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측 장치는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여기에서, 기지국은 노드 B, 향상된 노드 B, 접근점, 베이스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 전신 기지국, 무선 전신 송수신기, 베이직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셋(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향상된 B 노드(eNB), 가정용 B 노드, 가정용 향상된 B 노드, WLAN 접근점, WiFi 노드, 송신과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또는 상기 분야의 기타 어느 한 적합한 용어로 불릴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기만 하면 특정 기술 용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지 NR 시스템 중의 기지국을 예로 들지만, 기지국의 구체적의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일부 실시예 및 그 응용 시나리오를 통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하기 301 단계 내지 303 단계를 포함한다.
301 단계: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는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또한 자체로 목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류 노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단말 모듈(MT)의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상류 노드 지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는 신호 증폭기 송신 전력의 증폭 배수를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는 신호 증폭기 중의 중계기 모듈(repeater unit, RU)의 송신 전력의 증폭 배수를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신호 증폭기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는 신호 증폭기 중의 중계기 모듈(repeater unit, RU)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경로 손실 파라미터는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에서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상류 노드는 상류 기지국, 상류 제어 노드, 중심 노드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 증폭기는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예를 들면, 상류 노드)의 지시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도 있고, 또한 신호 증폭기 자체로 증폭 배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서, 목표 정보가 제1 지시인 경우, 신호 증폭기는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예를 들면, 상류 노드)의 지시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목표 정보가 상류 노드에서 해당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인 경우, 신호 증폭기 자체로 증폭 배수를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신호 증폭기는 복수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일부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예를 들면, 상류 노두의 지시)에 의해 결정한 것이고, 다른 일부 전력 조정 라파미터는 신호 증폭기가 자체로 결정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302 단계: 신호 증폭기가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303 단계: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전력 파라미터는 나아가 업링크 전력 파라미터와 다운링크 전력 파라미터로 구분할 수 있다. 업링크 전력 파라미터와 다운링크 전력 파라미터는 각각 결정 또는 조정하거나, 또는 업링크 전력 파라미터와 다운링크 전력 파라미터가 같다고 가정하거나, 또는 업링크 전력 파라미터와 다운링크 전력 파라미터의 차이값 또는 비례값이 미리 설정된 값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에서, 신호 증폭기는 목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해당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이로써, 신호 증폭기는 채널 상태가 변경될 때, 적시적으로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통하여 상응하게 유연하게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와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채널 상태 변경으로 초래되는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의 지시 유형은 동적 지시, 반정적 지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가 증폭 배수일 때, 해당 증폭 배수는 직접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의 증폭 배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접 신호 증폭기 중 RU의 송신 전력의 증폭 배수를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간접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과 MT의 송신 전력 사이의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면, 0)이거나, 또는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신호 증폭기는 송신 전력에 의해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신호 증폭기에 미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과 증폭 배수 조정값 사이의는 정비례 관계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과 증폭 배수 조정값은 같다.
예시적으로, 상기 송신 전력과 증폭 배수 사이의는 정비례 관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신호 증폭기 현재의 실제 송신 전력과 증폭 후 도달하고자 하는 송신 전력 사이의 제1 차이값과 신호 증폭기 현재의 실제 증폭 배수와 도달하고자 하는 증폭 배수 사이의 제2 차이값은 정비례 관계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차이값과 제2 차이값 사이는 같은 관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신호 증폭기 현재의 실제 송신 전력과 증폭 후 도달하고자 하는 송신 전력 사이의 제1 비례값과 신호 증폭기 현재의 실제 증폭 배수와 도달하고자 하는 증폭 배수 사이의 제2 비례값은 정비례 관계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비례값과 제2 비례값 사이는 같은 관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은,
반정적으로 구성된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효력 발생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지시는 신호 증폭기가 수신한 후 즉시 수행하는 지시 정보일 수 있고, 또한 신호 증폭기가 수신한 후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수행하는 지시 정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는 상기 제1 지시 효력 발생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beta가 증폭 배수이고, 여기에서, beta(N)는 조정 후의 증폭 배수이며, beta(N-1)는 조정 전의 증폭 배수이고, delta는 제1 지시에 의하여 획득한 증폭 배수의 조정값이며, beta 1은 증폭 배수의 최대값이고, beta 2는 증폭 배수의 최소값이며, 상기 beta 1과 beta 2는 미리 설정된 것이라고 가정하면, beta(N) = beta(N-1) + delta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시에 의하여 획득한 증폭 배수가 beta 1보다 크지 않으며 및/또는 beta 2보다 작지 않으면, 이 경우, 만일 beta 1보다 크면 증폭 배수는 beta 1이고, 만일 beta2보다 작거나 같으면, 증폭 배수는 beta 2인 바, 즉 제1 지시가 지시하는 조정값에 따르지 않고 산출한 최종 증폭 배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범위는,
상기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의 X 개 시간 단위 후 효력 발생을 시작하며;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시간이 다음 제1 지시 효력 발생 전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X가 정정수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시간 단위는 부호(symbol), 슬롯(slot), 서브 슬롯(sub-slot), 밀리 초, 서브 프레임, 프레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X의 값은 프로토콜이 약정하거나 또는 구성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이 X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약정하는 것을 통하여 X의 값의 구체적의 값 범위를 약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의 상기 효력 발생 범위 하의 지시 범위는,
N 개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M 개 채널(channel)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Y 개 목표 자원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며;
N, Y, M이 정정수이다.
예시적으로, N, Y, M의 전형적인 값은 1이다.
상기 효력 발생 범위 하의 지시 범위는 상기 지시 범위가 효력 발생 범위 하에서 효력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킬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지시 범위는 상기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의 X 개 시간 단위 후 효력 발생을 시작하고, 상기 지시 범위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제어, 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지시 범위가 N 개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인 경우, 해당 지시 범위는 또한 동시에 상기 N 개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를 지시할 수 있는 바, 즉 증폭기가 복수의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경우,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시 방식은 암시적 지시일 수도 있고, 또한 명시적 지시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지시 범위가 M 개 channel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인 경우, 해당 지시 범위는 또한 동시에 상기 M 개 channel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시 방식은 암시적 지시일 수도 있고, 또한 명시적 지시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지시 범위가 Y 개 목표 자원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인 경우, 해당 지시 범위는 또한 동시에 상기 Y 개 목표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시 방식은 암시적 지시일 수도 있고, 또한 명시적 지시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류 노드에서 신호 증폭기까지 사이의 서로 다른 빔은 서로 다른 제어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채널(channel)은 서로 자른 제어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서로 다른 제어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의 캐리어는 셀 전용(Cell-specific) 시그널링, 단말 전용(UE-specific) 시그널링, 단말 그룹 전용(UE group common)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신호 증폭기가 단지 RU만 포함하고 또한 수반되는 MT 유닛이 없는 경우, cell-specific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신호 증폭기가 RU를 포함하고 또한 MT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MT 유닛을 통하여 UE-specific 시그널링 또는 UE group common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RU의 목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지시의 캐리어가 UE-specific 시그널링 또는 UE group common 시그널링인 경우, 제1 지시는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또는 매체 접근 제어 제어 요소(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지시가 DCI일 때, 해당 DCI는 새로운 DCI 포맷(DCI format) 또는 특정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또는 DCI 중 특정의 도메인일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제1 지시가 MAC CE일 때, 해당 MAC CE는 특정의 LCID의 MAC CE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로 손실 파라미터는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과 상기 경로 손실이 정비례 관계가 존재한다.
예시적으로, G0, alpha, A가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이며, 여기에서, G0, A는 0일 수 있고, alpha는 1일 수 있으며, PL는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이고, A는 복수의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의 합일 수 있다고 가정하면, 증폭 배수 Gain = G0 + alpha × PL + A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301 단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하기 301a 단계 또는 301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01a 단계: 상기 신호 증폭기가 다운링크 신호에 의하여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
301b 단계: 만일 상기 신호 증폭기에 MT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MT 유닛이 상기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MT 유닛과 RU는 공통 주소 관계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공통 주소 관계는 상류 노드와 MT의 채널 상태가 상류 노드와 RU 사이의 채널 상태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며, 채널 상태는 경로 손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303 단계 후,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하기 30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04 단계: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전력 파라미터를 상류 노드로 리포팅한다.
이로써, 신호 증폭기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한 후, 조정 후의 전력 파라미터를 상류 노드로 리포팅하여, 상류 노드가 적시적으로 해당 조정 후의 전력 파라미터(예를 들면, 크게 조정된 전력 파라미터)를 수신하게 하여,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301 단계에,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하기 301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01c 단계: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로부터 목표 정보를 획득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는 상류 노드로부터 목표 정보를 획득하여, 신호 증폭기가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303 단계 전,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하기 30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05 단계: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상류 노드로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전력 파라미터는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대 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소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과 실제값의 차이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허용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인 경우, 신호 증폭기는 다운링크 신호에 의하여 경로 손실 파라미터(예를 들면, 다운링크 경로 손실)를 측정하고, 그 후 상류 노드로 측정된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신호 증폭기는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것을 통하여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인 경우, 신호 증폭기는 경로 손실 측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호 증폭기는 상류 노드가 지시하는 위치 및/또는 상류 노드가 지시하는 송신 전력에서 경로 측정 신호를 송신하여, 상류 노드가 경로 손실을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는 탐지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또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송신하여 상류 노드가 경로 손실 측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만일 신호 증폭기에 MT 유닛이 구성되어 있으면, MT 유닛은 상기 상류 노드에서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 측정, 상류 노드에서 증폭기까지의 신호 강도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MT의 수신 빔과 RU의 수신 빔이 공통 주소 관계가 존재하거나, 또는 MT의 송신 빔과 RU의 송신 빔이 공통 주소 관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주소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RU/MT가 설정하나, 프로토콜이 약정하거나 또는 구성이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인 경우, 신호 증폭기는 수신된 업링크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업링크 신호 강도에 대응되는 측정값을 상류 노드로 송신하여, 상류 노드가 측정값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목표 정보를 생성 및 구성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신호 증폭기는 업링크 신호의 서로 다른 자원 영역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고, 그 후 서로 다른 자원 영역의 측정값을 상류 노드로 송신하여, 상류 노드가 측정값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서로 다른 자원 영역의 목표 정보를 생성 및 구성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신호 증폭기는 풀 캐리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고, 그 후 풀 캐리어의 측정값을 상류 노드로 송신하여, 상류 노드가 측정값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서로 다른 자원 영역의 목표 정보를 생성 및 구성하게 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인 경우, 신호 증폭기는 일정 시간 내 업링크 신호 강도의 변동 범위, 평균 강도 또는 최대 강도를 측정 및 리포팅하여, 상류 노드가 최종적으로 결정한 증폭 배수가 합리적인 범위 내에 위치하게 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가 미리 정의된 증폭 배수 최대값과 증폭 배수 최소값의 범위 내에 위치하게 보장하는바, 즉 신호 증폭기가 포화된 증폭 배수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하기 401 단계와 402 단계를 포함한다.
401 단계: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목표 정보를 생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정보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402 단계: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와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에서,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목표 정보(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해당 목표 정보를 신호 증폭기로 송신하여 신호 증폭기가 유연하게 증폭 배수 또는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하여, 신호 증폭기의 채널 상태 변경으로 초래되는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401 단계에,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은 하기 401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01a 단계: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보조 정보를 획득하여, 목표 정보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전력 파라미터는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대 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소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과 실제값의 차이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허용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인 경우, 상기 401a 단계 중의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기 401a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01a1 단계: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제1 자원에서 상기 경로 손실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측정 신호 송신 전력을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경로 측정 신호 및/또는 송신 전력에 의하여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자원은 신호 증폭기가 경로 손실 측정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위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인 경우, 상기 401a 단계 중의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하기 401a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01a2 단계: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측정 신호에 의하여 P 개 자원 영역을 위하여 서로 다른 전력 조종 파라미터를 구성하는바, P는 정정수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의 실행 주체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이거나, 또는 해당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중의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가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500)는 획득 모듈(501), 결정 모듈(502) 및 조정 모듈(503)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모듈(501)은 목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결정 모듈(502)은 상기 획득 모듈이 획득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모듈(503)은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에서,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는 목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해당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이로써,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는 채널 상태가 변경될 때, 적시적으로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통하여 상응하게 유연하게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와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채널 상태 변경으로 초래되는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단말 모듈(MT)의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의 지시 유형은 동적 지시, 반정적 지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간접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반정적으로 구성된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효력 발생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의 X 개 시간 단위 후 효력 발생을 시작하며;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시간이 다음 제1 지시 효력 발생 전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X가 정정수인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의 상기 효력 발생 범위 하의 지시 범위는, N 개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M 개 채널(channel)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Y 개 목표 자원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며; N, Y, M이 정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의 캐리어는 셀 전용(Cell-specific) 시그널링, 단말 전용(UE-specific) 시그널링, 단말 그룹 전용(UE group common)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로 손실 파라미터는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과 상기 경로 손실이 정비례 관계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500)는 측정 모듈(50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모듈은 다운링크 신호에 의하여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하며; 또는, 상기 측정 모듈은 만일 상기 신호 증폭기에 MT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MT 유닛이 상기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500)는 리포팅 모듈(50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포팅 모듈은 상기 조정 모듈이 조정한 상기 전력 파라미터를 상류 노드로 리포팅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모듈(5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로부터 목표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500)는 송신 모듈(50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506)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상류 노드로 제1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파라미터는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대 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소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과 실제값의 차이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허용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600)는 생성 모듈(601) 및 송신 모듈(602)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 모듈(601)은 목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송신 모듈(602)은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생성 모듈이 생성하는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에서,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목표 정보(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해당 목표 정보를 신호 증폭기로 송신하여 신호 증폭기가 유연하게 증폭 배수 또는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하여, 신호 증폭기의 채널 상태 변경으로 초래되는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생성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보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목표 정보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가 제1 자원에서 상기 경로 손실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측정 신호 송신 전력을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경로 측정 신호 및/또는 송신 전력에 의하여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는 운영체제를 구비한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통신 장치에서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800)를 제공하는바,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메모리(802)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80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해당 통신 장치(800)가 단말일 때,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해당 통신 장치(800)가 네트워크 측 장치일 때,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자치를 제공하는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자치를 제공하는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 실시예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고,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실시과정과 구현방식은 모두 해당 네트워크 측 장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일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측 장치(700)는, 안테나(71), 무선 주파수 장치(72), 기저대역 장치(73)를 포함한다. 안테나(71)는 무선 주파수 장치(72)와 연결된다. 업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안테나(71)를 통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저대역 장치(73)로 송신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기저대역 장치(73)는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72)로 송신하며,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한 후 안테나(71)를 거쳐 송신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기저대역 장치(73)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 중 네트워크측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은 기저대역 장치(73)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해당 기저대역 장치(73)는 프로세서(74)와 메모리(75)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장치(73)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기저대역 플레이트 상에는 복수개 칩이 구비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의 한 칩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74)이고 메모리(75)와 연결되어, 메모리(75) 중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 조작을 실행한다.
해당 기저대역 장치(73)는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6)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72)와 상호작용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범용 공공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측 장치는 메모리(75) 상에 저장되고 또한 프로세서(74)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74)가 메모리(75) 중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7에 도시된 각 모듈이 실행하는 방법을 실행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신호 증폭기일 때, 기저대역 장치(73)는 목표 정보를 획득하며; 기저대역 장치(73)는 또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대역 장치(73)는 또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는 목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해당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에 의하여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이로써, 신호 증폭기는 채널 상태가 변경될 때, 적시적으로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통하여 상응하게 유연하게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와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채널 상태 변경으로 초래되는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단말 모듈(MT)의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의 지시 유형은 동적 지시, 반정적 지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간접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반정적으로 구성된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효력 발생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의 X 개 시간 단위 후 효력 발생을 시작하며;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시간이 다음 제1 지시 효력 발생 전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X가 정정수인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의 상기 효력 발생 범위 하의 지시 범위는, N 개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M 개 채널(channel)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Y 개 목표 자원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며; N, Y, M이 정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의 캐리어는 셀 전용(Cell-specific) 시그널링, 단말 전용(UE-specific) 시그널링, 단말 그룹 전용(UE group common)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경로 손실 파라미터는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과 상기 경로 손실이 정비례 관계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기저대역 장치(73)는 구체적으로 신호 증폭기가 다운링크 신호에 의하여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하게 하며; 또는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신호 증폭기에 MT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MT 유닛이 상기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상기 전력 파라미터를 상류 노드로 리포팅한다.
선택적으로, 기저대역 장치(73)는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로부터 목표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또한 상기 상류 노드로 제1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파라미터는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대 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소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과 실제값의 차이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허용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일 때, 기저대역 장치(73)는 목표 정보를 생성하며;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장치에서,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목표 정보(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또는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해당 목표 정보를 신호 증폭기로 송신하여 신호 증폭기가 유연하게 증폭 배수 또는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하여, 신호 증폭기의 채널 상태 변경으로 초래되는 셀의 커버리지 범위가 변화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저대역 장치(73)는 구체적으로 보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목표 정보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인 경우, 상기 기저대역 장치(73)는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가 제1 자원에서 상기 경로 손실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측정 신호 송신 전력을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경로 측정 신호 및/또는 송신 전력에 의하여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바,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 중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하는바,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방식 중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예시되거나 토론한 순서에 따라 실행된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언급된 기능에 의하여 기본상 동시적인 방식에 따라 또는 반대되는 순서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설명된 순서와 다르게 상기 설명한 방법을 실행하고, 또한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예시에서 기술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서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하는 부분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통신 장치(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힌트 하에서 본 출원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0)

  1.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단말 모듈(MT)의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지시 유형은 동적 지시, 반정적 지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간접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은,
    반정적으로 구성된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효력 발생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범위는,
    상기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의 X 개 시간 단위 후 효력 발생을 시작하며;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시간이 다음 제1 지시 효력 발생 전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X가 정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상기 효력 발생 범위 하의 지시 범위는,
    N 개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M 개 채널(channel)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Y 개 목표 자원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며;
    N, Y, M이 정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캐리어는 셀 전용(Cell-specific) 시그널링, 단말 전용(UE-specific) 시그널링, 단말 그룹 전용(UE group common)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 파라미터는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과 상기 경로 손실이 정비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신호 증폭기가 상기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증폭기가 다운링크 신호에 의하여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하는 단계;
    또는 만일 상기 신호 증폭기에 MT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MT 유닛이 상기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상기 단계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전력 파라미터를 상류 노드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로부터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가 목표 정보를 획득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상류 노드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파라미터는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대 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소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과 실제값의 차이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허용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5.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보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인 경우, 상기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류 네트워크 측 장치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제1 자원에서 상기 경로 손실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측정 신호 송신 전력을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경로 측정 신호 및/또는 송신 전력에 의하여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19.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획득 모듈, 결정 모듈 및 조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모듈은 목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획득 모듈이 획득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모듈은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바,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송신 전력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단말 모듈(MT)의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지시 유형은 동적 지시, 반정적 지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간접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조정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간접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조정값은,
    반정적으로 구성된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상기 제1 지시 효력 발생 수신 전의 증폭 배수에 대한 조정값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범위는,
    상기 제1 지시를 수신한 후의 X 개 시간 단위 후 효력 발생을 시작하며;
    상기 제1 지시의 효력 발생 시간이 다음 제1 지시 효력 발생 전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X가 정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상기 효력 발생 범위 하의 지시 범위는,
    N 개 증폭 배수 제어 프로세스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M 개 채널(channel)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Y 개 목표 자원에 관련된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며;
    N, Y, M이 정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의 캐리어는 셀 전용(Cell-specific) 시그널링, 단말 전용(UE-specific) 시그널링, 단말 그룹 전용(UE group common)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 파라미터는 상기 상류 노드에서 상기 신호 증폭기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증폭기의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송신 전력과 상기 경로 손실이 정비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모듈은 다운링크 신호에 의하여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하며;
    또는,
    상기 측정 모듈은 만일 상기 신호 증폭기에 MT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MT 유닛이 상기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리포팅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포팅 모듈은 상기 조정 모듈이 조정한 상기 전력 파라미터를 상류 노드로 리포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의 상류 노드로부터 목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신호 증폭기가 상기 상류 노드로 제1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파라미터는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대 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최소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예상값과 실제값의 차이값, 상기 증폭 배수 또는 상기 송신 전력의 허용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3.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생성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 모듈은 목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신호 증폭기로 상기 생성 모듈이 생성하는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신호 증폭기의 전력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전력 조정 파라미터는 증폭 배수 관련 파라미터, 송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보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목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제1 전력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파라미터,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상기 신호 증폭기가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가 상기 신호 증폭기와 상기 상류 노드 사이의 경로 손실 측정 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증폭기가 제1 자원에서 상기 경로 손실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측정 신호 송신 전력을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경로 측정 신호 및/또는 송신 전력에 의하여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37. 네트워크 측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15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치.
  38.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15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39. 칩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15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0.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15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37042789A 2021-05-11 2022-05-10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 KR20240007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512345.5A CN115333598B (zh) 2021-05-11 2021-05-11 信号放大器的增益控制方法、装置及网络侧设备
CN202110512345.5 2021-05-11
PCT/CN2022/091938 WO2022237771A1 (zh) 2021-05-11 2022-05-10 信号放大器的增益控制方法、装置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670A true KR20240007670A (ko) 2024-01-16

Family

ID=8391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789A KR20240007670A (ko) 2021-05-11 2022-05-10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80051A1 (ko)
EP (1) EP4340462A1 (ko)
KR (1) KR20240007670A (ko)
CN (1) CN115333598B (ko)
WO (1) WO20222377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2616B2 (ja) * 1999-08-31 2006-06-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ブースター、監視装置、ブースター・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監視方法
WO2006043592A1 (ja) * 2004-10-20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ブースタ
US7486929B2 (en) * 2006-07-13 2009-02-03 Wilson Electronics, Inc.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gain cellular network amplifiers with oscillation detection circuit
US7783318B2 (en) * 2006-09-26 2010-08-24 Wilson Electronics Cellular network amplifier with automated output power control
US8583033B2 (en) * 2010-03-05 2013-11-12 Wilson Electronics, Llc Oscillation protected amplifier with base station overload and noise floor protection
US8902806B2 (en) * 2010-03-24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Repeater-assisted management of macro network coverage
EP2706791A4 (en) * 2011-05-05 2015-04-22 Fujitsu Ltd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POWER COMPENSATION
US8937899B2 (en) * 2011-05-18 2015-01-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mplify-and-forward relaying in communication systems
CN103945504B (zh) * 2013-01-18 2017-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及设备
CN105992330B (zh) * 2015-01-28 2019-10-1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增益调整方法及装置
US20160294441A1 (en) * 2015-03-30 2016-10-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pper-Assisted Fifth Generation (5G) Wireless Access to Indoor
CN106559818B (zh) * 2015-09-30 2019-06-07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网络侧设备、微信号放大器及其通讯信号处理方法和系统
WO2017066696A1 (en) * 2015-10-14 2017-04-20 Wilson Electronics, Llc Channelization for signal boosters
CN110536395B (zh) * 2018-08-03 2022-09-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确定、信号发送方法、装置、网络设备和存储介质
CN114375601B (zh) * 2019-09-27 2023-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放大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7771A1 (zh) 2022-11-17
US20240080051A1 (en) 2024-03-07
EP4340462A1 (en) 2024-03-20
CN115333598A (zh) 2022-11-11
CN115333598B (zh) 202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6754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US11064492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59666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ndom access preamble and device therefor
US93388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obile communications power control
CN108781416B (zh) 用于上行链路发送功率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52152B2 (en) Path loss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EP36911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roadcast beam domains
KR102161827B1 (ko) 전력 제어 방법 및 단말기
EP41850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US20230189290A1 (en) Information determining method, information send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N114007216B (zh) 波束管理方法、装置及中继节点
US20200068501A1 (en)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706791A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compensating power
EP307941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uppressing uplink background noise in indoor distributed system
KR20220054635A (ko) 기준 신호들의 방출 제한 전송
US20240049144A1 (en) Transmission paramet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21031028A1 (zh) 一种用于信号发送的方法、装置以及用于信号接收的方法、装置
JP200426653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20240007670A (ko) 신호 증폭기의 이득 제어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측 장치
EP3855809B1 (en)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 device comprising a bbu and a ru
WO2019096316A1 (zh) 通信方法、通信装置和系统
WO2024020822A1 (zh) 上行功率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2848052B1 (en) Method for indication of reference symbol transmission power change in cellular network
CN111918375B (zh)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基站
US20230155752A1 (en) User Equipment Assisted Carrier Aggre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