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636A - 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636A
KR20240007636A KR1020230195751A KR20230195751A KR20240007636A KR 20240007636 A KR20240007636 A KR 20240007636A KR 1020230195751 A KR1020230195751 A KR 1020230195751A KR 20230195751 A KR20230195751 A KR 20230195751A KR 20240007636 A KR20240007636 A KR 20240007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recovery
pass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길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1839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2467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ublication of KR2024000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C02F1/469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electro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 각각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공급 유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수 또는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출 유로; 제1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유로부; 및 제2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유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수 시스템 {WATER SOFTENING SYSTEM}
본 발명은 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수 시스템은, 원수로부터 연수를 생산해 수요처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PoE(Points of Entry) 타입의 연수 시스템에서는 수요처가 집이 될 수 있고, 수요처로 전달된 연수가 다시 물 사용이 필요한 수전, 샤워 헤드 등으로 전달되어 사용된다.
원수로부터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원수를 연수화하는 필터는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라 하더라도 포집한 이온성 물질을 배출하는 재생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해주어야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원수를 탈이온화 시키는 전기 탈이온 시스템에서는, 회수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회수율이란 투입된 물의 양으로 배출되는 연수의 양을 나눈 것인데, 일반적으로 약 80%에 달한다. 만약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연수의 양을 무리하게 늘릴 경우, 충분히 이온성 물질이 원수로부터 제거되지 않아 저품질의 연수가 배출되는 등 연수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수율을 높인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 각각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공급 유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수 또는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출 유로; 제1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유로부; 및 제2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유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연수 시스템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 및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필터 유닛(11, 12), 공급 유로(21, 22), 배출 유로(31, 32) 및 회수유로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배출 밸브(310, 320), 배수 유로(41, 42), 배수 밸브(410, 420), 수원 유로(60), 수원 밸브(600), 수요처 유로(70), 유량획득부(80)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유로(21, 22)
공급 유로(21, 22)는 원수를 필터 유닛(11, 12)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로이다. 공급 유로(21, 22)는 복수로 형성되어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급 유로(21, 22)가 총 2개로 형성되어 제1 공급 유로(21) 및 제2 공급 유로(22)가 병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급 유로(21, 22)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 공급 유로(21, 22)는 수원과 필터 유닛(11, 12)을 각각 연결한다. 제1 공급 유로(21)는 제1 필터 유닛(11)에, 제2 공급 유로(22)는 제2 필터 유닛(1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한다는 의미는, 직접 연결하는 경우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수원에 연결된 수원 유로(60)에 각 공급 유로(21, 22)가 연결되어 분지되는 방식으로 수원과 공급 유로(21, 22)가 연결될 수 있다. 수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물과 재생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수를 필터 유닛(11, 12)에 전달하도록, 각 공급 유로(21, 22)가 내부가 빈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원 유로(60)에는 수원 밸브(600)가 형성되어 유로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급 유로(21, 22)에는 후술할 회수유로부(50)가 포함하는 제1 및 제2 상류 회수유로(51, 5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 유로(21)는 제1 상류 회수유로(51)를 통해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에 연결되고, 제2 공급 유로(22)는 제2 상류 회수유로(52)를 통해 제1 회수유로부(52, 53, 55)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 유로(31, 32)
배출 유로(31, 32)는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연수 또는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로이다. 필터 유닛(11, 12)이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배출 유로(31, 32) 역시 이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되고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필터 유닛(11)에는 제1 배출 유로(31)가, 제2 필터 유닛(12)에는 제2 배출 유로(32)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 유로(31, 32)가 총 2개로 형성되어 제1 배출 유로(31) 및 제2 배출 유로(32)가 병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배출 유로(31, 32)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배출 밸브(310, 320)는 배출 유로(31, 32)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배출 유로(31, 32)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개도가 조절됨에 따라 배출 유로(31, 3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배출 유로(31, 32)가 배출 밸브(310, 320)에 의해 폐쇄될 때, 물이 폐쇄된 배출 유로(31, 32)를 통해서는 수요처로 전달되지 않는다. 배출 유로(31, 32)가 배출 밸브(310, 320)에 의해서 개방될 때, 물이 개방된 배출 유로(31, 32)를 통해서 수요처로 전달되거나, 후술할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배출되거나, 회수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제공받은 물이 유동하도록, 각 배출 유로(31, 32)는 내부가 빈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밸브(310, 320) 중 적어도 하나는 연수 시스템(1)의 작동 중에,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배출 밸브(310, 320)는,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1, 12)에 연결된 배출 유로(31, 32)에 배치된 배출 밸브(310, 320)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11, 12) 중 어느 하나가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도, 수요처로는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필터 유닛(11, 12)에서 배출된 연수가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요처에 연결된 수요처 유로(70)에 각 배출 유로(31, 32)가 연결되어 합쳐지는 방식으로 수요처와 배출 유로(31, 32)가 연결될 수 있다. 수요처 유로(70)에는 후술할 유량획득부(8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수유로부(50)
회수유로부(50)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수를 다른 필터 유닛(11, 12)으로 회수해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회수유로부(50)는 제1 회수유로부(52, 53, 55)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 유로(31) 중의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공급 유로(22)로 안내하기 위해 제1 회수유로부(52, 53, 55)가 배치되고, 제2 배출 유로(32) 중의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공급 유로(21)로 안내하기 위해 제2 회수유로부(51, 54, 55)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작용이 가능하도록, 제1 회수유로부(52, 53, 55)는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공급 유로(2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는 제2 배출 유로(32)와 제1 공급 유로(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수유로부(52, 53, 55)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는 공통 회수유로(55)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회수유로부(52, 53, 55)는 제1 하류 회수유로(53), 공통 회수유로(55) 및 제2 상류 회수유로(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는 제2 하류 회수유로(54), 공통 회수유로(55) 및 제1 상류 회수유로(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류 회수유로(51)와 제2 상류 회수유로(52)는 각각 공통 회수유로(55)를 제1 공급 유로(21)와 제2 공급 유로(22)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류 회수유로(53)와 제2 하류 회수유로(54)는 각각 공통 회수유로(55)를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배출 유로(32)에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배출 유로(31, 32)로부터 하류 회수유로(53, 54)를 통해 공통 회수유로(55)로 유입된 재생수가 상류 회수유로(51, 52)를 통해 각각의 공급 유로(21, 22)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재생수의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회수유로부(50)의 개폐를 위해 각종 회수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류 회수유로(51)와 제2 상류 회수유로(52)에는 각각 제1 상류 회수밸브(51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류 회수유로(53)와 제2 하류 회수유로(54)에는 각각 제1 하류 회수밸브(530)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류 회수밸브(530)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는, 제1 배출 유로(31) 또는 제2 배출 유로(32)로부터 공통 회수유로(55)로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일 수 있다. 제1 하류 회수밸브(530)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가 공통 회수유로(55)로의 물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반대로 공통 회수유로(55)로부터 각 배출 유로(31, 32)로 물이 역류하는 것은 차단하여, 재생수가 필터 유닛(11, 12)의 출구단을 통해 필터 유닛(11, 12)에 다시 유입되거나, 배출 유로(31, 32)를 통해 수요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수유로부(50)에는 재생수를 압송하기 위해 펌프(550)가 배치될 수 있다. 펌프(550)는, 후술할 1 및 제2 배수 밸브(410, 4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는 한계유량보다 큰 한계유량으로 재생수를 압송하는 정유량 펌프(550)일 수 있다. 펌프(550)가 물을 압송하는 방향은, 배출 유로(31, 32) 측으로부터 공급 유로(21, 22) 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필터 유닛(11, 12)
필터 유닛(11, 12)은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 유닛(11, 12)은 공급 유로(21, 22)에 각각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제거 모드라고 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재생 모드라고 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11, 12)의 2개의 필터 유닛(11, 12)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필터 유닛(11, 12)은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 중에 전기 탈이온 방식이 있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적인 힘(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극이나 이온교환막 등을 통해서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에는, ED(Electrodialysis),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이 있다. ED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전극과 이온교환막을 구비한다. 그리고 EDI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전극, 이온교환막 및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이에 반해 CDI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이온교환막이나 이온교환수지를 모두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11, 12)은, 전기 탈이온 방식 중 축전식 탈이온(CDI)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CDI 방식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극의 표면에서 이온(또는 이온성 물질)이 흡착되고 탈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CDI 방식의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물이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흡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착으로 물 중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이, 필터 유닛(11, 12)를 통과하는 물 중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모드를 제거 모드라고 한다.
그런데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흡착이 계속되면 전극은 더 이상 이온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제거 모드 때와는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이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재생 모드라 한다. 재생 모드는 제거 모드의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위해, 필터 유닛(11, 12)이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 모드와,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필터 유닛(11, 12)에 공급될 때, 제거 모드에서는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적어도 일부 제거해 연수를 생성하여 필터 유닛(11, 12)이 배출하고, 재생 모드에서는 전극이 가지고 있던 이온성 물질을 원수에 제공하여 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물을 필터 유닛(11, 12)이 배출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상술한 것과 같이 공급 유로(21, 22)와 배수 유로(41, 42)에 연결되어, 공급 유로(21, 22)를 통해 물을 전달받고,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처리가 이루어진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에는 수원으로부터 전달된 물과 재생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수가 제공될 수 있고, 제공된 원수에 대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해 배출하거나, 이온성 물질을 내보내 재생수를 생성해 배출할 수 있다.
배수 유로(41, 42)
배수 유로(41, 42)는 배출 유로(31, 32)에 연결되어 배출 유로(31, 32) 중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배수 유로(41, 42) 역시 배출 유로(31, 32)와 같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유로(41, 42)는 배출 유로(31, 3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 유로(31, 32)가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배출 유로(32)를 포함하므로, 배수 유로(41, 42) 역시 제1 배수 유로(41)와 제2 배수 유로(42)를 포함하고, 제1 배수 유로(41)는 제1 배출 유로(31)에 연결되고, 제2 배수 유로(42)는 제2 배출 유로(32)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을 통과한 물이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특히 필터 유닛(11, 12)이 재생 모드로 작동 중일 때 배출 유로(31, 32)를 통해 배출된 재생수가, 배수 유로(41, 4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버려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물이 항상 배출되지는 않고, 그 배출여부와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유로(41, 42)의 개폐를 위해 배수 유로(41, 42)에 배수 밸브(410, 42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수 유로(41, 42)가 제1 배수 유로(41) 및 제2 배수 유로(42)를 포함하므로, 제1 배수 유로(41)에는 제1 배수 밸브(410)가, 제2 배수 유로(42)에는 제2 배수 밸브(42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수 밸브(410, 420)는 소정의 유량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정유량 밸브일 수 있다.
유량획득부(80)
유량획득부(80)는 수요처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유량획득부(80)는 제1 배출 유로(31)와 제2 배출 유로(32)에 의해 배출되는 연수의 총유량을 획득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유량획득부(80)는 수요처 유로(70)에 배치되어, 수요처 유로(7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할 수 있다. 유량획득부(80)는 칼만 와류 방식,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식 등을 이용하여 수요처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할 수 있으나, 유량을 획득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량획득부(80)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획득된 유량을 프로세서로 전달한다.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유량에 따라, 각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유량에 기초해 펌프(5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필터 유닛(11, 12)의 작동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논리 연산이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터 유닛(11, 12), 배출 밸브(310, 320) 등의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를 각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고, 각종 센서 또는 획득부들에 연결되어 획득된 정보를 신호의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연수 시스템(1)이 포함하는 밸브들과 필터 유닛(11, 12), 유량획득부(80) 및 펌프(5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더 가져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연수 시스템(1)은 저장매채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어명령들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서버,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매체에는 이 밖에도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11, 12)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11, 12)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1 필터 유닛(11)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2 필터 유닛(12)이 제거 모드를 수행할 때 제1 필터 유닛(11)이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필터 유닛(11, 12)들이 작동할 수도 있으며, 이 때 물의 흐름과 밸브의 작동 상태 역시 상응하도록 바껴서 연수 시스템(1)이 작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5와 같이,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통해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11)에서 배출되는 연수는 제1 배출 유로(31)를 통해 수요처로 배출되고,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는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1 공급 유로(21)를 통해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함께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 유닛(11)은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함께 회수된 재생수를 전달받아 이온성 물질의 제거를 실시해 연수를 배출하므로, 회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는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는 개방되고,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되는 물이 없도록 제1 배수 밸브(410)와 제2 배수 밸브(42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가 폐쇄되어, 재생수가 수요처로 전달되거나 제2 필터 유닛(12)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도 4와 같이 재생수가 제2 배수 유로(42)를 통해 배수되게 제어하고, 소정 시간 이후부터 재생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는 도 5와 같이 재생수가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재생 모드로 필터 유닛(11, 12)이 작동하는 초기에는 필터 유닛(11, 12)이 포함하는 다량의 이온성 물질이 물과 같이 배출되므로, 재생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가 지나치게 높아, 회수되어 연수의 사용에 이용될 경우 연수의 품질을 저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기 발생하는 재생수는 회수되는 대신 배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재생 모드로 필터 유닛(11, 12)이 작동하기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에는, 재생수의 TDS가 충분히 낮아진 상태가 되므로, 재생수가 회수되어 연수의 사용에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 뒤부터는 배수를 중단하고 회수되어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위 소정의 시간은, 재생 모드가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재생수의 TDS가 수원으로부터 제공받는 물의 TDS의 3배 미만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수 시스템(1)이 각 배출 유로(31, 32)에 TDS의 획득이 가능하고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TDS획득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획득된 TDS가 수원으로부터 제공받는 물의 TDS의 3배 이상일 때에는 배수가 일어나고, 그 이하가 되면 회수가 일어나도록 프로세서가 각 밸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의 흐름이 발생하게 프로세서는,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재생수가 배수되도록, 제1 배출 밸브(310)와 제2 배수 밸브(420)는 개방되되,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510, 520)와 제1 배수 밸브(41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이후부터는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통해 재생수가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도록,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는 개방되고,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와, 제1 및 제2 배수 밸브(410, 4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최초 단계에서는 회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510, 520)를 전부 폐쇄하고, 제2 배수 밸브(420)를 개방해 배수가 일어나도록 한다.
프로세서는, 유량획득부(80)가 획득한 연수의 유량이 소정의 임계유량보다 클 경우 작동하고, 임계유량 이하일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펌프(5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유량은 펌프(550)가 정유량 펌프(550)일 때 가지는 한계유량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연수의 유량 이상의 유량을 펌프(550)가 압송하려 할 경우,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제1 필터 유닛(11)으로 수원에서 바로 물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수원에서 공급 유로(21, 22)로 제공된 물이 전부 제2 필터 유닛(12)에 전달된 뒤 재생수가 되어 회수유로부(50)를 거쳐 제1 필터 유닛(11)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에 대해 회수된 재생수가 적절한 비율을 유지하면서 섞여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제공되어 양질의 연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은 제어를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제공되는 재생수의 양이, 상기 제1 필터 유닛(11)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수의 양의 30% 내지 40%가 되도록 상기 펌프(550)를 제어할 수 있다.
배수 밸브(410, 420)가 소정의 한계유량을 가지는 정유량 밸브일 수 있고, 펌프(550)는 이러한 소정의 한계유량보다 큰 유량으로 물을 압송하는 정유량 펌프(550)일 수 있다. 따라서 펌프(550)를 작동시킴에 따라 일반적인 경우 제2 필터 유닛(12)을 통과하는 유량보다 많은 유량이 제2 필터 유닛(12)을 통과할 수 있고, 재생수의 TDS를 낮춰서 회수시킬 수 있다. 회수되는 재생수의 TDS가 낮아지므로, 회수율을 높이면서도 제1 필터 유닛(11)을 통해 생성되는 연수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 밸브 및 필터 유닛(11, 12)의 제어를 반대로 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연수를 제공하며 재생수는 배수하되 도 4에서와 반대로 제1 필터 유닛(11)이 재생 모드를, 제2 필터 유닛(12)이 제거 모드를 수행할 경우, 프로세서는 제2 배출 밸브(320)는 개방되고,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가 제1 배수 유로(41)로 이루어지도록 제1 배수 밸브(410)는 개방되고 제2 배수 밸브(4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재생수를 회수하되 도 5에서와 반대로 제1 필터 유닛(11)이 재생 모드를, 제2 필터 유닛(12)이 제거 모드를 수행할 경우, 프로세서는 제2 배출 밸브(320)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는 개방되고, 제1 배출 밸브(310)와 제1 상류 회수밸브(51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되는 물이 없도록 제1 배수 밸브(410)와 제2 배수 밸브(42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11, 12)을 제어하여 연수를 제공하되 재생수는 회수 및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제1 배수 밸브(410b), 제2 배수 밸브(420b), 제1 상류 회수밸브(510b), 제2 상류 회수밸브(520b), 제1 하류 회수밸브(530b), 제2 하류 회수밸브(540b) 및 프로세서를 통한 그 제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일부 차이가 있고, 이외의 부분에서는 동일하므로, 아래 설명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설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2)에 적용된다.
프로세서는 도 6과 같이,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일부가 제2 회수유로부(51, 54, 55)를 통해 제1 공급 유로(21)로 공급되고,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나머지 일부는 제2 배수 유로(42)를 통해 배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11)에서 배출되는 연수는 제1 배출 유로(31)를 통해 수요처로 배출되고, 제2 필터 유닛(12)에서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의 일부는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1 공급 유로(21)를 통해 수원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함께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의 나머지 일부는 제2 배수 유로(42)를 통해 버려질 수 있다. 즉 제2 배출 유로(32)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가 각각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2 배수 유로(42)로 분배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는 제1 상류 회수밸브(510b)와 제2 배수 밸브(420b)의 개도를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게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출 유로(32)로 배출되는 재생수는 일부가 제1 상류 회수밸브(510b)를 통과해 제1 필터 유닛(11)으로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배수 밸브(420b)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제1 상류 회수밸브(510b)와 제2 배수 밸브(420b)의 개도 제어를 통해, 제2 회수유로부(51, 54, 55)와 제2 배수유로(42)로 각각 배출되는 재생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배출 밸브(320b)와 제2 상류 회수밸브(520b)가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재생수가 수요처로 전달되거나 제2 필터 유닛(12)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한 상술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1 상류 회수밸브(510b), 제2 상류 회수밸브(520b), 제1 배수 밸브(410b) 및 제2 배수 밸브(420b) 중 적어도 하나는 개도의 조절을 통해 유량의 제어가 가능한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 유량 조절 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하류 회수밸브(530b)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b) 역시 각 회수유로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크밸브이면서 개도 제어를 통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하류 회수밸브(530b)와 제2 하류 회수밸브(540b)의 개도 제어를 통해 회수되는 재생수의 유량을 더 조절할 수 있다.
제2 상류 회수밸브(520b), 제1 하류 회수밸브(530b) 및 제1 배수 밸브(410b) 중 적어도 하나가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필터 유닛(1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제1 배수 유로(41)와 제1 회수유로부(51, 54, 55)로 분배될 수 있다.
제1 상류 회수밸브(510b), 제2 하류 회수밸브(540b) 및 제2 배수 밸브(420b) 중 적어도 하나가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필터 유닛(1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제2 배수 유로(42)와 제2 회수유로부(52, 53, 55)로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프로세서는 각 밸브 및 필터 유닛(11, 12)의 제어를 반대로 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 연수 시스템
11 : 제1 필터 유닛
12 : 제2 필터 유닛
21 : 제1 공급 유로
22 : 제2 공급 유로
31 : 제1 배출 유로
32 : 제2 배출 유로
41 : 제1 배수 유로
42 : 제2 배수 유로
50 : 회수유로부
51 : 제1 상류 회수유로
52 : 제2 상류 회수유로
53 : 제1 하류 회수유로
54 : 제2 하류 회수유로
55 : 공통 회수유로
60 : 수원 유로
70 : 수요처 유로
80 : 유량획득부
310 : 제1 배출 밸브
320 : 제2 배출 밸브
410, 410b : 제1 배수 밸브
420, 420b : 제2 배수 밸브
510, 510b : 제1 상류 회수밸브
520, 520b : 제2 상류 회수밸브
530, 530b : 제1 하류 회수밸브
540, 540b : 제2 하류 회수밸브
550 : 펌프
600 : 수원 밸브

Claims (12)

  1.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 각각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공급 유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수 또는 상기 재생수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출 유로;
    제1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회수유로부; 및
    제2 배출 유로 중의 상기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회수유로부를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필터 유닛에서 상기 제2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출 밸브;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2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상류 회수밸브;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2 상류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재생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 유로;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배수 밸브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재생수의 일부가 공급되고,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제2 배수 유로를 통해 재생수의 나머지 일부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와 상기 제2 배수 밸브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상기 재생수가 상기 제2 배수 유로를 통해 배수되게 제어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부터 상기 재생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는 상기 재생수가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수 밸브;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출 밸브;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2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상류 회수밸브;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제2 상류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배수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재생수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배수 밸브는 개방되되, 상기 제1 및 제2 상류 회수밸브와, 상기 제1 배수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시작한 후 소정 시간 이후부터는 상기 제2 회수유로부를 통해 재생수가 상기 제1 공급 유로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배출 밸브와, 상기 제1 상류 회수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 밸브와, 상기 제2 상류 회수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배수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를 압송하기 위해 상기 제2 회수유로부에 배치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펌프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연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유로와 상기 제2 배출 유로에 의해 배출되는 연수의 총유량을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유량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량획득부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량획득부가 획득한 연수의 유량이 소정의 임계유량보다 클 경우 작동하고, 상기 임계유량 이하일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 유로;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수 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정유량 밸브인 제1 및 제2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 배수 밸브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는 한계유량보다 큰 유량으로 재생수를 압송하는 정유량 펌프인, 연수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필터 유닛으로 제공되는 재생수의 양이, 상기 제1 필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수의 양의 30% 내지 40%가 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수유로부와 상기 제2 회수유로부는 공통 회수유로를 공유하고,
    상기 제1 회수유로부는 상기 공통 회수유로와 상기 제1 배출 유로를 연결하는 제1 하류 회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수유로부는 상기 공통 회수유로와 상기 제2 배출 유로를 연결하는 제2 하류 회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 유로 또는 상기 제2 배출 유로로부터 상기 공통 회수유로로의 흐름만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 하류 회수유로와 상기 제2 하류 회수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류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연수 시스템.
KR1020230195751A 2020-09-28 2023-12-28 연수 시스템 KR202400076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5681 2020-09-28
KR1020200125681 2020-09-28
KR1020210118396A KR102624675B1 (ko) 2020-09-28 2021-09-06 연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396A Division KR102624675B1 (ko) 2020-09-28 2021-09-06 연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636A true KR20240007636A (ko) 2024-01-16

Family

ID=8082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751A KR20240007636A (ko) 2020-09-28 2023-12-28 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98062A1 (ko)
KR (1) KR20240007636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9551A1 (en) * 2011-11-28 2014-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US10329171B2 (en) * 2011-12-22 2019-06-25 Water Standard Company (Mi) Method and control devices for production of consistent water quality from membrane-based water treatment for use in improved hydrocarbon recovery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8062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399B1 (ko) 연수 시스템
KR102661763B1 (ko) 연수 시스템
KR102010978B1 (ko) 축전식 탈이온 수처리 장치 및 축전식 탈이온 수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23585A (ko) 연수 시스템
KR102624675B1 (ko) 연수 시스템
KR102621163B1 (ko) 연수 시스템
KR102666200B1 (ko) 연수 시스템
US11040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ive deionization of a fluid
KR101948006B1 (ko) 수처리 장치
GB2627689A (en) Water treatment system
KR20240007636A (ko) 연수 시스템
KR102473725B1 (ko) 연수 시스템
CN214060016U (zh) 设置有去离子过滤器的净水器
CN111465583B (zh) 设置有去离子过滤器的净水器及其控制方法
KR102275495B1 (ko) 연수시스템
KR102253335B1 (ko) 연수 시스템
US20240217845A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20230128055A1 (en) Water-softening system
KR20240073836A (ko) 연수 시스템
KR20190101795A (ko) 연수 시스템
KR20170074067A (ko) 제빙 장치, 제빙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및 제빙 방법
KR20230091677A (ko) 수처리 시스템
KR20240154395A (ko) 수처리 시스템
KR102000500B1 (ko)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US20160376174A1 (en) Device for treating water by cdi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