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119A -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 적용성 - Google Patents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 적용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119A
KR20240007119A KR1020237033093A KR20237033093A KR20240007119A KR 20240007119 A KR20240007119 A KR 20240007119A KR 1020237033093 A KR1020237033093 A KR 1020237033093A KR 20237033093 A KR20237033093 A KR 20237033093A KR 20240007119 A KR20240007119 A KR 20240007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rstd
measurement
accuracy requirement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 후앙
안드레이 체르비야코프
멍 장
후아 리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0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1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2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using repet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포지셔닝 측정 정확도를 결정하는 장치 및 시스템이 설명된다. UE는 기준 셀과 주변 셀로부터 포지셔닝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PRS)를 수신하고, PRS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 시간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측정을 수행한다. 기준 셀 및 주변 셀에 기초한 RSTD 및 다른 PRS 측정 결과는, PRS의 대역폭(BW), 부반송파 간격(SCS) 및 반복 인자에 따라 달라지는 RSTD 및 다른 PRS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을 갖는다.

Description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 적용성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21년 5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3/190,62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데, 이 미국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기술 분야
실시예는 차세대(NG)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는 기준 신호 시간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측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장치 사용자 장비(UE)의 유형의 증가뿐 아니라 이러한 UE에서 동작하는 비디오 스트리밍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 대역폭의 양의 증가로 인해, 5G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특히 6세대(6G) 네트워크를 포함하기 시작하는 차세대(NG) 또는 NR(new radio) 무선 시스템의 사용 및 복잡성이 증가해왔다. 통신 장치의 수 및 다양성의 방대한 증가에 따라, 라우터, 스위치, 브리지, 게이트웨이, 방화벽, 및 로드 밸런서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환경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UE 위치 결정을 포함하여 임의의 새로운 기술의 출현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닌 도면에서, 유사한 숫자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문자 접미사를 갖는 숫자는 유사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인스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일반적으로 본 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를 제한이 아닌 예로서 설명한다.
도 1a는 일부 양태에 따른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1b는 일부 양태에 따른 비-로밍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1c는 일부 양태에 따른 비-로밍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RSTD 측정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RSTD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RSTD 측정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다음 설명 및 도면은 당업자가 특정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프로세스 및 다른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은 다른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에 포함되거나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제시된 실시예는 해당 청구항의 모든 이용가능한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a는 일부 양태에 따른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네트워크(140A)는 6G 기능으로 확장될 수 있는 3GPP LTE/4G 및 NG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5G가 언급되더라도 이는 6G 구조, 시스템 및 기능으로 확장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의 개별 네트워크 요소, 전용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인스턴스, 및/또는 전용 하드웨어 또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같은 적절한 플랫폼에서 인스턴스화되는 가상화된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140A)는 사용자 장비(UE)(101) 및 UE(10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UE들(101 및 102)은 스마트폰(예컨대,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핸드헬드 터치스크린 모바일 컴퓨팅 장치)으로 도시되지만, 휴대용(노트북)이나 데스크톱 컴퓨터, 무선 핸드셋, 드론, 또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컴퓨팅 장치와 같은 임의의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들(101 및 102)은 본 명세서에서 UE(101)로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고, UE(101)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140A) 또는 임의의 다른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링크들 중 임의의 것은 임의의 예시적 무선 통신 기술 및/또는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허가 스펙트럼, 비허가 스펙트럼, (허가) 공유 스펙트럼(예컨대, 2.3~2.4GHz, 3.4~3.6GHz, 3.6~3.8GHz 및 다른 주파수에서의 LSA(Licensed Shared Access) 및 3.55~3.7GHz 및 다른 주파수에서의 SAS(Spectrum Access System))을 포함하는 임의의 스펙트럼 관리 체계가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직교 주파수 도메인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OFDM) 모드(CP-OFDM, SC-FDMA, SC-OFDM, 필터 뱅크 기반 다중 캐리어(filter bank-based multicarrier: FBMC), OFDMA 등), 및 특히 3GPP NR이, OFDM 캐리어 데이터 비트 벡터를 대응하는 심볼 리소스에 할당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UE들(101 및 102) 중 임의의 것은 사물 인터넷(IoT) UE 또는 셀룰러 IoT(CIoT) U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단기 UE 접속(short-lived UE connections)을 활용하는 저전력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UE들(101 및 102) 중 임의의 것은 (예컨대, 향상된 NB-IoT(eNB-IoT) UE 및 추가로 향상된(FeNB-IoT) UE와 같은) 협대역(NB) IoT UE를 포함할 수 있다. IoT UE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roSe(Proximity-Based Service) 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 센서 네트워크 또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MTC 서버 또는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M2M(machine-to-machine) 또는 MTC(machine-type communications)와 같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M2M 또는 MTC 데이터 교환은 머신에 의해 개시되는 데이터 교환일 수 있다. IoT 네트워크는 단기 접속을 사용하여 상호접속된 IoT UE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인터넷 인프라 내의)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임베디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oT UE는 IoT 네트워크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 messages), 상태 업데이트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UE들(101 및 102) 중 임의의 것은 향상된 MTC(eMTC) UE 또는 추가로 향상된 MTC(FeMTC) UE를 포함할 수 있다.
UE들(101 및 102)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10)와 접속(예컨대,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AN(110)은 예를 들어 E-UTRAN(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G RAN(NextGen RAN)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의 RAN일 수 있다. RAN(110)은 하나 이상의 gN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gNB가 언급될 수 있지만, 동일한 양태가 6세대 NodeB와 같은 다른 세대 NodeB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대안적으로 RANnode(Radio Access Network node)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gNB는 3GPP 프로토콜 스택에서 프로토콜 엔티티를 구현할 수 있는데, 여기서 계층들은, 가장 낮은 것부터 가장 높은 것까지, PHY(Physical),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Control) 및 RRC(Radio Resource Control)/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제어 평면용/사용자 평면용)의 순으로 순서가 지정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각 gNB의 프로토콜 계층은 다양한 유닛, 즉, CU(Central Unit), 하나 이상의 DU(Distributed Unit), 및 RRH(Remote Radio Head)로 분산될 수 있다. CU는, DU에 배타적으로 할당된 기능을 제외하고, 사용자 데이터 전송 제어, 효과적 이동성 제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공유, 포지셔닝, 및 세션 관리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위 프로토콜 계층(제어 평면용 RRC 및 PDCP/사용자 평면용 SDAP 및 PDCP)은 CU에서 구현될 수 있고, RLC 및 MAC 계층은 DU에서 구현될 수 있다. PHY 계층은 분할될 수 있는데, 상위 PHY 계층은 또한 DU에서 구현되고 하위 PHY 계층은 RRH에서 구현된다. CU, DU, 및 RRH는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사이의 적절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CU는 다수의 DU와 접속될 수 있다.
gNB 내의 인터페이스는 E1 및 F(front-haul) F1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E1 인터페이스는 CU 제어 평면(gNB-CU-CP)과 CU 사용자 평면(gNB-CU-UP) 사이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E1AP 서비스를 통해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 사이의 시그널링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E1 인터페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계층(Radio Network Layer)과 전송 네트워크 계층(Transport Network Layer)을 분리하고, UE 관련 정보와 비-UE 관련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E1AP 서비스는, UE에 대해 유지되는 UE 연관 시그널링 접속과 연관되고 단일 UE에 관련되는 UE 연관 서비스 및 비-UE 연관 시그널링 접속을 사용하는 gNB-CU-CP와 gNB-CU-UP 사이의 전체 E1 인터페이스 인스턴스에 관련된 비-UE-연관 서비스일 수 있다.
F1 인터페이스는 CU와 DU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CU는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DU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gNB에서의 시그널링이 제어 평면 시그널링과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으로 분할됨에 따라, F1 인터페이스는 gNB-DU와 gNB-CU-CP 간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위한 F1-C 인터페이스와 gNB-DU와 gNB-CU-UP 간의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을 위한 F1-U 인터페이스로 분할될 수 있는데, 이는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 분리를 지원한다. F1 인터페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네트워크 계층을 분리하고 UE 연관 정보와 비-UE 연관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NR PHY 계층의 하부와 상부 사이에 F2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다. F2 인터페이스는 또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 기능에 기초하여 F2-C 인터페이스와 F2-U 인터페이스로 분리될 수 있다.
UE들(101 및 102)은 각각 접속(103 및 104)을 활용하는데, 이들 각각은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을 포함하고, 이 예에서, 접속(103 및 104)은 통신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로 예시되고,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프로토콜,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프로토콜, PTT(Push-to-Talk) 프로토콜, POC(PTT over Cellular) 프로토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프로토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 5G 프로토콜, 6G 프로토콜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과 일관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UE들(101 및 102)은 또한 ProSe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직접 통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roSe 인터페이스(105)는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및 PSFCH(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UE(102)는 접속(107)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AP)(106)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접속(107)은 예를 들어 임의의 IEEE 802.11 프로토콜과 일관되는 접속과 같은 로컬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AP(106)는 WiFi®(wireless fidelity)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AP(106)는 무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으면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된다(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
RAN(110)은 접속(103 및 104)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노드(AN)는 기지국(BS), NodeB, eNB(evolved NodeB), 차세대 NodeB(gNB), RAN 노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지리적 영역(예컨대, 셀) 내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지상국(예컨대, 지상 액세스 포인트) 또는 위성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통신 노드(111 및 112)는 송신/수신 포인트(TRP)일 수 있다. 통신 노드(111 및 112)가 NodeB(예컨대, eNB 또는 gNB)인 경우, 하나 이상의 TRP가 NodeB의 통신 셀 내에서 기능할 수 있다. RAN(110)은 매크로셀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AN 노드(예컨대, 매크로 RAN 노드(111))와, 펨토셀 또는 피코셀(예컨대, 매크로셀에 비해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 더 작은 사용자 용량, 또는 더 높은 대역폭을 갖는 셀)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AN 노드(예컨대, 저전력(LP) RAN 노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RAN 노드들(111 및 112) 중 임의의 것은 공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으며, UE들(101 및 102)에 대한 제1 접촉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RAN 노드들(111 및 112) 중 임의의 것은, 무선 베어러 관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적 무선 리소스 관리 및 데이터 패킷 스케줄링, 및 이동성 관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능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RAN(110)에 대한 다양한 논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노드들(111 및/또는 112) 중 임의의 것은 gNB, eNB, 또는 다른 유형의 RAN 노드일 수 있다.
RAN(110)은 S1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CN)(12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양태들에서, CN(120)은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 NPC(NextGen Packet Core) 네트워크, 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CN(예컨대,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예시됨)일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S1 인터페이스(113)는 두 부분, 즉, RAN 노드(111 및 112)와 서빙 게이트웨이(S-GW)(122) 사이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전달하는 S1-U 인터페이스(114)와, RAN 노드(111 및 112)와 MME(121)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S1-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인터페이스(115)로 분할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CN(120)은 MME(121), S-GW(122),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123),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124)를 포함한다. MME(121)는 레거시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s)의 제어 평면과 기능이 유사할 수 있다. MME(121)는 게이트웨이 선택 및 추적 영역 목록 관리와 같은 액세스의 이동성 측면을 관리할 수 있다. HSS(124)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통신 세션 처리를 지원하는 가입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N(120)은 모바일 가입자 수, 장비 용량, 네트워크 구성 등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HSS(1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S(124)는 라우팅/로밍, 인증, 승인, 명명(naming)/주소 확인(addressing resolution), 위치 종속성 등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S-GW(122)는 RAN(110)을 향한 S1 인터페이스(113)를 종료하고, RAN(110)과 CN(120)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S-GW(122)는 RAN 노드드 간 핸드오버(inter-RAN node handovers)를 위한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일 수 있고, 3GPP 간 이동성을 위한 앵커를 제공할 수도 있다. S-GW(122)의 다른 역할은 합법적 차단, 과금 및 일부 정책 시행을 포함할 수 있다.
P-GW(123)는 PDN을 향한 SGi 인터페이스를 종료할 수 있다. P-GW(123)는 IP(Internet Protocol) 인터페이스(125)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84)(애플리케이션 기능(AF)으로도 지칭됨)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CN(120)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다. P-GW(123)는 또한, 인터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S) 네트워크, 및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131A)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184)는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UMTS PS(Packet Services) 도메인, LTE PS 데이터 서비스 등)와 함께 IP 베어러 리소스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P-GW(123)는 IP 인터페이스(125)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84)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도시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84)는 또한 CN(120)을 통해 UE(101, 102)에 대해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예컨대,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세션, PTT 세션, 그룹 통신 세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등)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GW(123)는 또한 정책 시행 및 과금 데이터 수집을 위한 노드일 수 있다.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26)는 CN(120)의 정책 및 과금 제어 요소이다. 비-로밍 시나리오에서, 일부 양태에서는, UE의 IP-CAN(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과 연관된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단일 PCRF가 있을 수 있다. 로컬 트래픽 중단을 갖는 로밍 시나리오에서는 UE의 IP-CAN 세션과 연관된 2개의 PCRF, 즉, HPLMN 내의 H-PCRF(Home PCRF)와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V-PCRF(Visited PCRF)가 있을 수 있다. PCRF(126)는 P-GW(123)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84)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통신 네트워크(140A)는, 허가(5G NR) 및 비허가(5G NR-U) 스펙트럼의 통신을 사용하는 5G 엔알(new radio)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 또는 5G 또는 6G 네트워크일 수 있다. IoT의 현재의 이네이블러들(enablers) 중 하나는 협대역 IoT(NB-IoT)이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동작은 이중 접속(DC) 동작과 비허가 스펙트럼의 독립형 LTE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LTE 기반 기술은 MulteFire라고 하는 허가 스펙트럼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비허가 스펙트럼에서만 동작한다. 향후 릴리스 및 5G 시스템에서는 허가된 스펙트럼 및 비허가된 스펙트럼에서 LTE 시스템의 더욱 향상된 동작이 예상된다. 이러한 향상된 동작은 NR 사이드링크 V2X 통신을 위한 UE 처리 행위 및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NG 시스템 아키텍처(또는 6G 시스템 아키텍처)는 RAN(110)과 CN(Core Network)(120)을 포함할 수 있다. NG-RAN(110)은 gNB 및 NG-eNB와 같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CN(120)(예컨대, 5GC(5G Core Network))은 액세스 및 이동성 기능(access and mobility function: AMF) 및/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를 포함할 수 있다. AMF 및 UPF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 및 NG-eNB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 양태에서, gNB 및 NG-eNB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에 접속될 수 있고,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에 접속될 수 있다. gNB와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NG 시스템 아키텍처는 다양한 노드 사이의 기준점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gNB와 NG-eNB의 각각은 기지국, 모바일 에지 서버, 소형 셀, 홈 eNB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5G 아키텍처에서 gNB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일 수 있고 NG-eNB는 보조 노드(secondary node: SN)일 수 있다.
도 1b는 일부 양태에 따른 비-로밍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특히, 도 1b는 기준점 표현으로 5G 시스템 아키텍처(140B)를 도시하는데, 이는 6G 시스템 아키텍처로 확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UE(102)는 RAN(110)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CN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5G 시스템 아키텍처(140B)는 AMF(132), 세션 관리 기능(SMF)(136), 정책 제어 기능(PCF)(148), 애플리케이션 기능(AF)(150), UPF(134),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SSF)(142), 인증 서버 기능(AUSF)(144), 통합 데이터 관리(UDM)/홈 가입자 서버(HSS)(146)와 같은 복수의 네트워크 기능(NF)을 포함한다.
UPF(134)는, 예를 들어, 운영자 서비스, 인터넷 액세스, 또는 제3자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네트워크(DN)(15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AMF(132)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AMF(132)는 UE 기반 인증, 승인, 이동성 관리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액세스 기술에 독립적일 수 있다. SMF(136)는 네트워크 정책에 따라 다양한 세션을 설정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SMF(136)는 세션 관리 및 UE에 대한 IP 주소 할당을 담당할 수 있다. SMF(136)는 또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UPF(134)를 선택하고 제어할 수 있다. SMF(136)는 UE(101)의 단일 세션 또는 UE(101)의 다수의 세션과 연관될 수 있다. 즉, UE(101)는 다수의 5G 세션을 가질 수 있다. 각 세션에는 서로 다른 SMF가 할당될 수 있다. 서로 다른 SMF를 사용하면 각 세션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세션의 기능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UPF(134)는 원하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데이터 네트워크와 접속될 수 있다. PCF(148)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이동성 관리 및 로밍을 사용하여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4G 통신 시스템의 PCRF와 유사함). UDM은 가입자 프로파일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4G 통신 시스템의 HSS와 유사함).
AF(150)는 원하는 QoS를 지원하기 위해 정책 제어를 담당하는 PCF(148)에 패킷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PCF(148)는 UE(101)에 대한 이동성 및 세션 관리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PCF(148)는 패킷 흐름 정보를 사용하여 AMF(132) 및 SMF(136)의 적절한 동작을 위한 적절한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AUSF(144)는 UE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5G 시스템 아키텍처(140B)는 복수의 IP 멀티미디어 코어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엔티티뿐만 아니라, 통화 세션 제어 기능(CSCF)과 같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168B)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IMS(168B)는, 프록시 CSCF(P-CSCF)(162BE), 서빙 CSCF(S-CSCF)(164B), 긴급 CSCF(E-CSCF)(도 1b에는 도시되지 않음) 또는 문의 CSCF(I-CSCF)(166B)의 역할을 할 수 있는 CSCF를 포함한다. P-CSCF(162B)는 IM 서브시스템(IMS)(168B) 내에서 UE(102)에 대한 제1 접촉 포인트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CSCF(164B)는 네트워크의 세션 상태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E-CSCF는 긴급 요청을 올바른 긴급 센터 또는 PSAP로 라우팅하는 것과 같은 긴급 세션의 특정 측면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CSCF(166B)는, 해당 네트워크 운영자의 가입자로 향하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운영자의 서비스 영역 내에 현재 위치한 로밍 가입자로 향하는 모든 IMS 접속에 대해 운영자 네트워크 내의 접촉 포인트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I-CSCF(166B)는 다른 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170B), 예컨대,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IMS에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UDM/HSS(146)는 텔레포니 애플리케이션 서버(telephony application server: TAS)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S)(160B)에 결합될 수 있다. AS(160B)는 S-CSCF(164B) 또는 I-CSCF(166B)를 통해 IMS(168B)에 결합될 수 있다.
기준점 표현은 대응하는 NF 서비스들 간에 상호작용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1b는 다음과 같은 기준점을 도시한다: N1(UE(101)와 AMF(132) 사이), N2(RAN(110)과 AMF(132) 사이), N3(RAN(110)과 UPF(134) 사이), N4(SMF(136)와 UPF(134) 사이), N5(PCF(148)와 AF(150) 사이, 도시되지 않음), N6(UPF(134)과 DN(152) 사이), N7(SMF(136)과 PCF(148) 사이, 도시되지 않음), N8(UDM(146)과 AMF(132), 도시되지 않음), N9(2개의 UPF(134)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0(UDM(146)과 SMF(136)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1(AMF(132)과 SMF(136)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2(AUSF(144)와 AMF(132)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3(AUSF(144)과 UDM(146)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4(2개의 AMF(132)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5(비-로밍 시나리오의 경우 PCF(148)와 AMF(132) 사이, 또는 로밍 시나리오의 경우 PCF(148)와 방문 네트워크 및 AMF(132)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6(2개의 SMF 사이, 도시되지 않음), 및 N22(사이 AMF(132)와 NSSF(142) 사이, 도시되지 않음). 도 1b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기준점 표현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c는 5G 시스템 아키텍처(140C) 및 서비스 기반 표현을 도시한다. 도 1b에 도시된 네트워크 엔티티 외에, 시스템 아키텍처(140C)는 또한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154) 및 네트워크 저장소 기능(network repository function: NRF)(15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5G 시스템 아키텍처는 서비스 기반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능들 간의 상호작용은 대응하는 점 대 점 기준점 Ni에 의해 또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기반 표현은 다른 승인된 네트워크 기능이 해당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제어 평면 내의 네트워크 기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시스템 아키텍처(140C)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Namf(158H)(AMF(132)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smf(158I)(SMF(136)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ef(158B)(NEF(154)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pcf(158D)(PCF(148)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udm(158E)(UDM(146)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af(158F)(AF(150)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rf(158C)(NRF(156)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ssf(158A)(NSSF (142)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ausf(158G)(AUSF(144)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도 1c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예컨대, Nudr, N5g-eir, 및 Nudsf)도 사용될 수 있다.
NR-V2X 아키텍처는 무작위 패킷 도착 시간 및 크기를 갖는 주기적 및 비주기적 통신을 포함하여, 다양한 트래픽 패턴을 갖는 고-신뢰성 저지연 사이드링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사이드링크 NR V2X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동적 토폴로지를 갖는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신뢰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통신 장치(200)는, 특수 컴퓨터, 개인용 또는 랩탑 컴퓨터(PC),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UE, eNB와 같은 전용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서버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서버, 가상 장치, 또는 해당 머신에 의해 취해질 작업을 지정하는 명령어(순차적 또는 다른 방식)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2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장치들 중 하나 이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통신은 수신 엔티티(예컨대, gNB, UE)에 의한 수신을 위해 송신 엔티티(예컨대, UE, gNB)에 의한 전송 전에 인코딩될 수 있고 수신 엔티티에 의한 수신 후에 디코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들은 로직 또는 다수의 구성요소, 모듈,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하거나 이에 대해 동작할 수 있다. 모듈 및 구성요소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적(tangible) 엔티티(예컨대, 하드웨어)이며,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회로는 모듈로서 지정된 방식으로 (예컨대, 내부적으로 또는 다른 회로와 같은 외부 엔티티에 대해) 배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예컨대, 독립형,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 또는 일부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모듈로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예컨대, 명령어, 애플리케이션 부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소프트웨어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소프트웨어는 모듈의 기본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때 하드웨어로 하여금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모듈"(및 "구성요소")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지정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성되거나, 구체적으로 구성되거나(예컨대, 하드와이어링됨), 또는 일시적으로(예컨대, 일과성으로) 구성된(예컨대, 프로그래밍된) 엔티티인 유형의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모듈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예를 고려하면, 각 모듈은 임의의 한 순간에 인스턴스화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모듈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된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시간에 각기 다른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특정 시간 인스턴스에서 특정 모듈을 구성하고 다른 시간 인스턴스에서 다른 모듈을 구성하도록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또는 동등하게 처리 회로부)(202)(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PU), GPU,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메인 메모리(204) 및 정적 메모리(20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인터링크(예컨대, 버스)(20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04)는 이동식 저장소 및 비이동식 저장소,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임의의 것 또는 이들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210), 알파뉴메릭 입력 장치(212)(예컨대, 키보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내비게이션 장치(214)(예컨대, 마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10), 입력 장치(212) 및 UI 내비게이션 장치(2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저장 장치(예컨대, 드라이브 유닛)(216), 신호 생성 장치(218)(예컨대, 스피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22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나침반, 가속도계 또는 다른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예컨대, 프린터, 카드 리더기 등)와 통신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해, 직렬(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병렬,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예컨대, 적외선(IR), 근거리 통신(NFC) 등) 접속과 같은 출력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21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거나 그에 의해 활용되는 데이터 구조 또는 명령어(224)(예컨대, 소프트웨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222)(이하 간단히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224)는 또한 통신 장치(200)에 의한 실행 동안 메인 메모리(204), 정적 메모리(206) 및/또는 하드웨어 프로세서(202)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222)는 단일 매체로서 도시되지만,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224)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단일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예컨대, 중앙 집중식 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관련 캐시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통신 장치(2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고 통신 장치(200)로 하여금 본 개시의 기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거나, 명령어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와 연관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고체 메모리와, 광학 및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예컨대,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장 하드 디스크 및 이동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CD-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224)는 또한 다수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전송 프로토콜(예컨대, 프레임 릴레이, 인터넷 프로토콜(IP),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등)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220)를 거쳐 전송 매체(226)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 통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이동 전화 네트워크(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 POTS(Plain Old Telephone) 네트워크, 및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은, 특히, Wi-Fi로 알려진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 제품군, WiMax로 알려진 IEEE 802.16 표준 제품군, IEEE 802.15.4 표준 제품군,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 제품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표준 제품군, P2P(Peer-to-Peer) 네트워크, 차세대(NG)/5세대(5G)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220)는 전송 매체(226)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잭(예컨대, 이더넷, 동축 또는 전화 잭)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회로부(circuitry)"라는 용어는,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회로, 논리 회로, 프로세서(공유, 전용, 또는 그룹) 및/또는 메모리(공유, 전용, 또는 그룹),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D(field-programmable device)(예컨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complex PLD), HCPLD(high-capacity PLD), 구조화된 ASIC,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SoC), DSP(digital signal processors)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거나, 그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로부는 설명된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회로부"라는 용어는 또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또는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에 사용된 회로들의 조합)와 해당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프로그램 코드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요소와 프로그램 코드의 조합은 특정 유형의 회로부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프로세서 회로부" 또는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일련의 산술 또는 논리 연산을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저장 및/또는 전송할 수 있는 회로부를 지칭하거나, 그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회로부" 또는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물리적 중앙 처리 장치(CPU), 단일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및/또는 기능적 프로세스와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거나 운영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무선 링크는 다음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들 및/또는 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표준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무선 통신 기술,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무선 통신 기술,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무선 통신 기술, 및/또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통신 기술, 예를 들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FOMA(Freedom of Multimedia Access), 3GPP LTE(Long Term Evolution), 3GPP LTE Advanced(Long Term Evolution Advanced),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 Mobitex, 3G(Third Generation), CSD(Circuit Switched Data), HSCSD(High-Speed Circuit-Switched Data), UMTS(3G)(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Third Generation)), W-CDMA(UMTS)(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Plus), UMTS-TD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Time-Division Duplex), TD-CDMA(Time Di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 3GPP Rel. 8(Pre-4G)(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8(Pre-4th Generation)), 3GPP Rel. 9(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9), 3GPP Rel. 10(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0), 3GPP Rel. 11(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1), 3GPP Rel. 1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2), 3GPP Rel. 13(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3), 3GPP Rel. 14(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4), 3GPP Rel. 15(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5), 3GPP Rel. 16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6), 3GPP Rel. 17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7) 및 후속 릴리스(예컨대, Rel. 18, Rel. 19 등), 3GPP 5G, 5G, 5G NR(5G New Radio), 3GPP 5G New Radio, 3GPP LTE Extra, LTE-Advanced Pro, LTE LAA(Licensed-Assisted Access), MuLTEfire, UMTS UTRA(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LTE Advanced(4G)(Long Term Evolution Advanced(4th Generation)), cdmaOne(2G), CDMA2000(3G)(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Third generation)), EV-DO(Evolution-Data Optimized or Evolution-Data Only), AMPS(1G)(Advanced Mobile Phone System (1st Generation)), TACS/ETACS(Tot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Extended Tot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 D-AMPS(2G)(Digital AMPS(2nd Generation), PTT(Push-to-talk), MTS(Mobile Telephone System), IMTS(Improved Mobile Telephone System), AMTS(Advanced Mobile Telephone System), OLT(노르웨이어 Offentlig Landmobil Telefoni, Public Land Mobile Telephony), MTD(스웨덴어 약어 Mobiltelefonisystem D, 또는 Mobile telephony system D), Autotel/PALM(Public Automated Land Mobile), ARP(핀란드어 Autoradiopuhelin, "car radio phone"), NMT(Nordic Mobile Telephony), NTT(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의 Hicap(High capacity version),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 Mobitex, DataTAC, iDEN(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CSD(Circuit Switched Data),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WiDEN(Wideband 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iBurst, UMA(Unlicensed Mobile Access)(3GPP 일반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GAN 표준으로도 지칭됨), Zigbee, Bluetooth(r),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표준, 일반적인 mmWave 표준(WiGig와 같이 10~300GHz 및 그 이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시스템, IEEE 802.11ad, IEEE 802.11ay 등), 300GHz 초과 및 THz 대역에서 동작하는 기술, (3GPP/LTE 기반 또는 IEEE 802.11p 또는 IEEE 802.11bd 및 기타) V2V(Vehicle-to-Vehicle) 및 V2X(Vehicle-to-X) 및 V2I(Vehicle-to-Infrastructure) 및 I2V(Infrastructure-to-Vehicle) 통신 기술, 3GPP 셀룰러 V2X, 지능형 교통 시스템 및 기타의 것과 같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통신 시스템(일반적으로 5850MHz ~ 5925MHz 및 그 이상(일반적으로 CEPT 보고서 71의 변경 제안에 따라 최대 5935MHz)에서 동작함)), 유럽 ITS-G5 시스템(즉, ITS-G5A(즉, 주파수 범위 5,875GHz ~ 5,905GHz의 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ITS에 전용되는 유럽 ITS 주파수 대역에서의 ITS-G5 동작), ITS-G5B(즉, 주파수 범위 5,855GHz ~ 5,875GHz에서 ITS 비안전 애플리케이션에 전용되는 유럽 ITS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 ITS-G5C(즉, 주파수 범위 5,470GHz ~ 5,725GHz에서의 ITS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를 포함하는 IEEE 802.11p 기반 DSRC의 유럽 버전), 700MHz 대역(715MHz ~ 725MHz를 포함함)에서의 일본의 DSRC, IEEE 802.11bd 기반 시스템 등.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는, 전용 허가 스펙트럼, 비허가 스펙트럼, 허가 면제 스펙트럼, (허가) 공유 스펙트럼(예컨대, LSA = 2.3~2.4GHz, 3.4~3.6 GHz, 3.6~3.8 GHz 및 추가 주파수에서의 면허 공유 액세스(Licensed Shared Access) 및 SAS = 스펙트럼 액세스 시스템(Spectrum Access System)/CBRS = 3.55~3.7GHz 및 추가 주파수에서의 시민 광대역 무선 시스템(Citizen Broadband Radio System))을 포함하는 임의의 스펙트럼 관리 방식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스펙트럼 대역은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다른 다른 유형의 스펙트럼/대역, 예컨대, 국가 할당을 갖는 대역(450~470MHz, 902~928MHz(참고: 예를 들어 미국에서 할당됨(FCC 파트 15)), 863~868.6MHz(참고: 예를 들어 유럽 연합에서 할당됨(ETSI EN 300 220)), 915.9~929.7MHz(참고: 예를 들어 일본에서 할당됨), 917~923.5MHz(참고: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 할당됨), 755~779MHz 및 779~787MHz(참고: 예를 들어 중국에서 할당됨), 790~960MHz, 1710~2025MHz, 2110~2200MHz, 2300~2400MHz, 2.4~2.4835GHz(참고: 이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 가능한 ISM 대역이며, Wi-Fi 기술 제품군(11b/g/n/ax)에 의해 사용되고 Bluetooth에 의해서도 사용됨), 2500~2690MHz, 698~790MHz, 610~790MHz, 3400~3600MHz, 3400~3800MHz, 3800~4200MHz, 3.55~3.7GHz(참고: 시민 광대역 무선 서비스를 위해 미국에서 할당됨), 5.15~5.25GHz 및 5.25~5.35GHz 및 5.47~5.725GHz 및 5.725~5.85GHz 대역(참고: 예를 들어 미국에서 할당됨(FCC 파트 15), 총 500MHz 스펙트럼에서 4개의 U-NII 대역으로 구성됨), 5.725-5.875GHz(참고: 예를 들어 EU에서 할당됨(ETSI EN 301 893)), 5.47~5.65GHz(참고: 예를 들어 한국에서 할당됨), 5925~7125MHz 및 5925~6425MHz 대역(참고: 미국과 EU에서 각각 고려 중임. 차세대 Wi-Fi 시스템은 6GHz 스펙트럼을 동작 대역으로 포함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2017년 12월 현재 Wi-Fi 시스템은 아직 이 대역에서 허용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2019~2020년에 규제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IMT-advanced 스펙트럼, IMT-2020 스펙트럼(3600~3800MHz, 3800~4200MHz, 3.5GHz 대역, 700MHz 대역, 24.25~86GHz 범위 내의 대역 등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됨), FCC의 "Spectrum Frontier" 5G 이니셔티브에 따라 제공되는 스펙트럼(27.5~28.35GHz, 29.1~29.25GHz, 31~31.3GHz, 37~38.6GHz, 38.6~40GHz, 42~42.5GHz, 57~64GHz, 71~76GHz, 81~86GHz 및 92~94GHz 등를 포함함), 5.9GHz(일반적으로 5.85~5.925GHz) 및 63~64GHz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대역, WiGig Band 1(57.24~59.40GHz), WiGig Band 2(59.40~61.56GHz), WiGig Band 3(61.56~63.72GHz), 및 WiGig Band 4(63.72~65.88GHz)와 같은 현재 WiGig에 할당된 대역, 57~64/66GHz(참고: 이 대역은 MGWS(Multi-Gigabit Wireless Systems)/WiGig용으로 거의 전세계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미국(FCC 파트 15)에서는 총 14GHz 스펙트럼을 할당하는 반면, EU(고정 P2P에 대한 ETSI EN 301 217-2 및 ETSI EN 302 567)는 총 9GHz 스펙트럼을 할당한다), 70.2GHz~71GHz 대역, 65.88GHz와 71GHz 사이의 임의의 대역, 76~81GHz와 같은 차량용 레이더 애플리케이션에 현재 할당된 대역, 및 94~300GHz 및 그 이상을 포함하는 장래의 대역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식은 TV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일반적으로 790MHz 미만)과 같은 대역에서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400MHz 및 700MHz 대역이 유망한 후보이다. 셀룰러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PMSE(Program Making and Special Events), 의료, 건강, 수술, 자동차, 저지연, 드론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수직 시장을 위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는 또한, 예컨대,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티어-1 사용자에게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그 다음에 티어-2 사용자, 그 다음에 티어-3 사용자 등의 순서로,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의 계층적 우선순위(예컨대, 낮은/중간/높은 우선순위 등)를 도입함으로써, 가능한 방식의 계층적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는 또한, OFDM 캐리어 데이터 비트 벡터를 대응하는 심볼 리소스에 할당함으로써, 다양한 단일 캐리어 또는 OFDM 버전(CP-OFDM, SC-FDMA, SC-OFDM, 필터 뱅크 기반 다중 캐리어(filter bank-based multicarrier: FBMC), OFDMA 등) 및 특히 3GPP NR(New Radio)에 적용될 수 있다.
5G 네트워크는 전통적인 모바일 광대역 서비스를 넘어, 사물 인터넷(IoT), 산업 제어, 자율 주행, 미션 크리티컬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확장될 수 있는데, 이들은 안전 및 성능 문제로 인해, 초저지연, 초고신뢰성 및 높은 데이터 용량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이 문서의 일부 특징은, AP, eNB, NR 또는 gNB와 같은 네트워크 측에 대해 정의되며,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3GPP 5G 및 6G 통신 시스템 등의 맥락에서 사용됨에 유의한다. 그럼에도 블구하고, UE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AP, eNB 또는 gNB로서 작동할 수 있고, 즉,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정의된 특징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UE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와 같이, UE 위치 측정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네트워크 기능에 의해 사용된다. 다양한 위치 기술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치와 같은 비-3GPP 네트워크 기반 위치 결정과 3GPP 네트워크 기반 위치 결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에서, UE는 하나 이상의 gNB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도착 시간(time of arrival: TOA)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기준 gNB의 TOA에서 빼서 OTDOA를 형성한다. RSTD 측정에서 OTDOA 포지셔닝에 대한 UE 측정은 UE가 RRC_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 기준 셀과 측정된 셀 간의 상대적인 타이밍 차이이다. RSTD는 셀들로부터 수신된 두 서브프레임 경계 사이의 가장 작은 시간차로서 계산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RSTD 측정을 도시한다. 도 3에서, RRC_Connected 상태의 UE는 적어도 2개의 셀(예컨대, 기준 셀과 주변 셀)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RSTD 측정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셀(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UE의 서빙 셀일 수 있거나 위치 서버일 수 있는 기준 셀)로 전송한다.
5G-RAN 포지셔닝 아키텍처에서는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를 통해 UE, gNB 및 포지셔닝 서버(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사이에서 제어 평면을 통해 위치 정보가 전송된다. 특히, gNB는 LMF로부터 포지셔닝 요청을 수신하고 포지셔닝 측정 정보를 UE에 제공한다. LMF는 UE의 위치 서비스 요청을 조율하고, LPP(LTE Positioning Protocol)를 통해 포지셔닝 지원 정보를 전달한다. LMF 및 gNB는 NRPPa(NR Positioning Protocol Annex)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측정(UE에 의해 수행된 다운링크 측정 및/또는 gNB에 의해 수행된 업링크 측정을 포함함)을 수행한다. LMF는 UE 및 gNB 포지셔닝 능력 및 클라이언트와 지연 및 정확도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포지셔닝 방법을 선택한다.
AMF 또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는 (예컨대, 긴급 통화를 위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UE의 포지셔닝을 시작할 수 있다. AMF는 포지셔닝 방법과 해당 방법이 UE 기반인지 및/또는 UE 지원인지를 포함하여 UE에 제공된 위치 지원 데이터를 결정하는 위치 요청을 LMF에 보낸다. LMF는 AMF에 응답을 반환하고, 그런 다음 AMF는 위치 요청 클라이언트에 결과를 반환한다.
RSTD 측정은 임의의 다운링크 신호(예컨대, CRS(cell reference signal) 또는 동기화 신호)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사용된다. RSTD 측정은 주파수 내 셀(intra-frequency cell) 및 주파수 간 셀(inter-frequency cell)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주파수 내 RSTD 측정은 기준 셀과 주변 셀이 모두 UE 서빙 셀과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 있을 때 수행되고, 주파수 간 RSTD 측정은 기준 셀과 주변 셀 중 적어도 하나가 UE 서빙 셀과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 있을 때 수행된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factor)는 위치 서버에 의해 UE에 표시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무선 환경(예컨대, 페이딩 및 다중 경로 문제), gNB 동기화, 및 안테나 좌표 오차 등을 포함한다. PRS 대역폭이 증가하면 더 높은 해상도 및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20MHz 대역폭은 다중 경로들 사이에서 약 10m의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다.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은 3GPP TS 38.133에 명시되어 있으며, 측정이 1차 셀(PCell)에서 수행되는지 아니면 2차 셀(SCell)에서 수행되는지 및 주파수 간 측정이 수행되는지 아니면 주파수 내 측정이 수행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확도 요구사항은 아래의 표에 주어진 것처럼 주파수 범위(FR), PRS 부반송파 간격(SCS), PRS 대역폭(BW), 및 반복 인자를 포함한 다수의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c는 물리 계층 시간 단위(또는 샘플링 시간) = 1/(SCS x 고속 푸리에 변환 크기)이다.
FR 범위의 경우, 정확도의 적용성 규칙은 기준 셀과 주변 셀 중에서 요구사항이 더 느슨한 규칙을 따른다. 또한, 기준 셀과 주변 셀의 PRS BW가 다른 경우,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은 더 큰 오차를 허용하는 규칙을 따른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테스트 중에 PRS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gNB에 보고한다. UE와 gNB 둘 다는 표 1 및 2로부터 적절한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으며(즉, PRS 신호의 세부사항을 사용함),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UE가 정확도 요구사항 테스트를 통과하는지 아니면 실패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스트는 듀얼 포지셔닝 주파수 계층이 구성되는 독립형 시나리오에서 RSTD 측정이 FR1의 환경에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기준 셀(1차 셀(PCell)일 수 있음)과 하나 이상의 주변 셀(2차 셀(SCell)) 등 다수의 동기 셀이 사용될 수 있다. UE는, UE가 정확도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측정 리포트에서, UE에 제공된 DL-TDOA 지원 데이터의 기준 셀에 대한 주변 셀의 RSTD 측정을 수행하고 보고한다(UE는 LMF로부터 LPP를 통해 UE가 DL RSTD 측정을 측정하여 보고할 것을 요청하는 NR-DL-TDOA-RequestLocation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RSTD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의 방법(400)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UE 또는 그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402에서 UE는 제1 셀의 제1 PRS 및 제2 셀의 제2 PRS에 대한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제1 PRS와 제2 PRS에 대해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는 각 PRS의 PRS BW, SCS, 주파수 범위, 또는 반복 인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은 제1 PRS와 제2 PRS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
동작 404에서, UE는 제1 PRS에 대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을 결정하고, 제2 PRS에 대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은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표(예컨대, 위의 표 1 및/또는 표 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406에서, UE는 제1 RSTD 정확도 요구사항 또는 제2 RSTD 정확도 요구사항 중에서 더 큰 오차를 허용하는 하나의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을 선택할 수 있다. 동작 408에서, UE는 선택된 RSTD 정확도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PRS 모두에 대해 RSTD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RSTD 측정을 (예컨대, 서빙 셀의) gNB에 보고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RSTD 측정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의 방법(500)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도 5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gNB 또는 그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502에서, gNB는 UE로의 전송을 위해, 제1 셀의 제1 PRS 및/또는 제2 셀의 제2 PRS에 대한 구성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제1 PRS와 제2 PRS에 대해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는 각 PRS의 PRS BW, SCS, 주파수 범위, 또는 반복 인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은 제1 PRS와 제2 PRS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
동작 504에서, gNB는 제1 PRS에 대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을 결정하고, 제2 PRS에 대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RSTD 정확도 요구사항은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표(예컨대, 위의 표 1 및/또는 표 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506에서, gNB는, 제1 정확도 요구사항 또는 제2 정확도 요구사항 중에서 더 큰 오차를 허용하는 하나의 정확도 요구사항을, UE에 의한 제1 및 제2 PRS 모두에 대한 RSTD 측정을 위해 선택된 RSTD 정확도 요구사항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gNB는 또한 UE로부터 RSTD 측정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RSTD 측정은 식별된 RSTD 정확도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처리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더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들 실시예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청구대상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제한이 아닌 예시를 통해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로부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조적, 논리적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가 활용되고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되며,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러한 청구범위에 부여된 균등물의 전체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원의 청구대상은, 단순히 편의를 위해, 그리고 실제로 둘 이상의 발명 개념이 개시되는 경우 본 출원의 범위를 임의의 단일 발명 개념으로 자발적으로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실시예"라는 용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계산된 임의의 배열이 도시된 특정 실시예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정 또는 변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위의 실시예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의 조합은 위의 설명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an"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른 사례 또는 용법과 관계없이 특허 문서에서 흔히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본 문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비배타적 또는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A 또는 B"는 "B가 아닌 A", "A가 아닌 B" 및 "A 및 B"를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에서(in which)"라는 용어는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라는 각 용어의 평이한 영어 균등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다음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및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개방형이며, 즉, 이러한 용어 앞에 나열된 것에 추가로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UE, 물품, 조성물, 제형 또는 프로세스는 여전히 해당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다음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며, 그 대상에 수치적 요건을 부과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개시의 요약서는 독자가 본 기술적 개시의 성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초록을 요구하는 37 C.F.R.§1.72(b)를 준수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는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제출된다. 또한,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개시를 간소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특징들이 단일 실시예로 함께 그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시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가 각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다음 청구범위가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개시된 단일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은 것에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 청구범위는 이로써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며, 각 청구항은 개별 실시예로서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Claims (20)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RANnode)를 위한 장치로서,
    처리 회로와,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 회로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의 전송을 위해, 기준 신호 시간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측정을 수행하는 상기 UE에 의한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downlink: DL) 기준 신호를 인코딩하고,
    상기 UE로부터의, 제1 도착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측정을 갖는 기준 셀로부터의 제1 DL 기준 신호 및 상기 제1 TDOA 측정과 상이한 제2 TDOA 측정을 갖는 주변 셀로부터의 제2 DL 기준 신호에 기초한 RSTD 측정을 포함하는 측정 리포트를 디코딩하고,
    미리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DOA 측정 및 상기 제2 TDOA 측정에 기초한 상기 RSTD 측정에 대한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을 선택하고,
    상기 RTSD 측정이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측정 리포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상기 기준 셀 및 상기 주변 셀로부터의 DL 기준 신호들의 신호 파라미터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상기 DL 기준 신호들의 대역폭(bandwidth: BW),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및 반복 인자로부터 선택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BW 증가와 SCS 증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증가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BW 증가 및 SCS 증가의 각각에 따라 증가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상기 기준 셀 및 상기 주변 셀로부터의 DL 기준 신호들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 및 상기 주변 셀의 각각에 대한 신호 파라미터의 조합은 상기 DL 기준 신호들의 각각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BW 증가 및 SCS 증가의 각각에 따라 증가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기준 셀 및 상기 주변 셀에 대한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 중에서 더 큰 오차를 허용하는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L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DL 기준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서 전송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기준 셀 및 상기 주변 셀에 대한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 중에서 더 큰 오차를 허용하는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로서,
    처리 회로와,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 회로는,
    기준 셀로부터의 제1 다운링크(DL) 기준 신호 및 주변 셀로부터의 제2 DL 기준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제1 DL 기준 신호 및 상기 제2 DL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 시간차(RSTD) 측정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DL 기준 신호는 제1 도착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측정을 갖고, 상기 제2 DL 기준 신호는 상기 제1 TDOA와 상이한 제2 TDOA 측정을 가짐 -,
    1차 셀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RSTD 측정이 상기 기준 셀 및 상기 주변 셀에 대한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RSTD 측정을 포함하는 측정 리포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측정 리포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인,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상기 제1 DL 기준 신호 및 상기 제2 DL 기준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고,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대역폭(BW), 부반송파 간격(SCS), 및 반복 인자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BW 증가 및 SCS 증가의 각각에 따라 증가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상기 제1 DL 기준 신호 및 상기 제2 DL 기준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장치.
  18. 기준 셀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사용자 장비(UE)로의 전송을 위해, 기준 신호 시간차(RSTD) 측정을 수행하는 상기 UE에 의한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DL) 기준 신호를 인코딩하고,
    상기 UE로부터의, 제1 도착 시간차(TDOA) 측정을 갖는 기준 셀로부터의 제1 DL 기준 신호 및 상기 제1 TDOA 측정과 상이한 제2 TDOA 측정을 갖는 주변 셀로부터의 제2 DL 기준 신호에 기초한 RSTD 측정을 포함하는 측정 리포트를 디코딩하고,
    미리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DOA 측정 및 상기 제2 TDOA 측정에 기초한 상기 RSTD 측정에 대한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을 선택하고,
    상기 RTSD 측정이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상기 기준 셀을 구성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상기 제1 DL 기준 신호 및 상기 제2 DL 기준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고,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대역폭(BW), 부반송파 간격(SCS), 및 반복 인자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들은 상기 제1 DL 기준 신호 및 상기 제2 DL 기준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33093A 2021-05-19 2022-05-18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 적용성 KR20240007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90627P 2021-05-19 2021-05-19
US63/190,627 2021-05-19
PCT/US2022/029854 WO2022245960A1 (en) 2021-05-19 2022-05-18 Rstd measurement accuracy requirements applic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119A true KR20240007119A (ko) 2024-01-16

Family

ID=8414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093A KR20240007119A (ko) 2021-05-19 2022-05-18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 적용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72912A1 (ko)
JP (1) JP2024520980A (ko)
KR (1) KR20240007119A (ko)
WO (1) WO20222459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645A1 (ko) * 2012-03-13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211312B (zh) * 2015-04-30 2020-06-26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KR20200127529A (ko) * 2019-05-02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83780B2 (en) * 2019-10-04 2023-06-20 Intel Corporation Defining RSTD report resolution and accuracy for RSTD-based 5G NR pos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20980A (ja) 2024-05-28
US20240072912A1 (en) 2024-02-29
WO2022245960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46767A1 (en) Gap instance behavior within concurrent gap patterns
US20240155536A1 (en) Ue uplink timing for non-terrestrial networks
US20240155517A1 (en) Enhanced uplink power control
WO2022232098A1 (en) Ran service-based interfaces
KR20240007119A (ko) Rstd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 적용성
US20240163897A1 (en) Enhanced group dci format 2_3 for srs transmission
US20230224845A1 (en) Receive timing difference definition for high subcarrier spacing
US20230023383A1 (en) Edge application servers and 5gc network function measurements
KR20240080179A (ko) 고속 배치의 업링크 타이밍 조정 기법
KR20240041874A (ko) 셀 간 빔 측정을 위한 무선 리소스 관리 요구사항
US20240178976A1 (en) Enhanced srs carrier switching in 5g networks
WO2023081058A1 (en) Ao a measurement and reference point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ion
US20230308879A1 (en) Detection of lte enb and ue emitters using signal processing algorithms for feature recognition
CN117501720A (zh) Aoa测量和参考点位置信息关联
WO2024030463A1 (en) Pre-configured and concurrent measurement gap ue behavior
WO2024035724A1 (en) Inter-cell beam management scheduling restriction and reporting
WO2022155465A1 (en) Nr positioning measurement accuracy
WO2023069688A1 (en) Uplink timing adjusment in high speed deployments
WO2023023037A1 (en) Ue capability to activate pre-configured measurement gap
KR20240074709A (ko) 사용자 장비 페이징 모니터링
WO2023069680A1 (en) Non-terrestrial user equipment measurements
WO2024097338A1 (en) Performance measurements for edge enabler client requests
KR20240007645A (ko) Scell-pcell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을 이용한 scell 휴면 스위칭
WO2023044096A1 (en) Validity conditions for positioning assistance data
KR20230155478A (ko) 채널 상태 정보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