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987A -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987A
KR20240006987A KR1020220083958A KR20220083958A KR20240006987A KR 20240006987 A KR20240006987 A KR 20240006987A KR 1020220083958 A KR1020220083958 A KR 1020220083958A KR 20220083958 A KR20220083958 A KR 20220083958A KR 20240006987 A KR20240006987 A KR 2024000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driving
driving environment
sco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수혁
박규도
김근수
노형태
변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2008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987A/en
Publication of KR2024000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9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20Cycle computers as cycle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는, 모빌리티를 제어하는 모빌리티 제어기에 통신 연결하는 송수신부,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 영상을 학습하여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적어도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부의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로 전송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and receiver that communicates and connects to a mobility controller that controls mobility, and learns an image of the ground surrounding the mobility to determine at least on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t includes a modeling unit that classifies into a class,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mobility controller.

Description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and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using the same.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구성과 외관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일인용 이동수단을 의미한다.Personal mobility is a term referring to a means of personal transportation. It is called by various names depending on its composition and appearance, but mainly refers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that is powered by electricity.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에는 전기자전거(electric bicycle), 전동킥보드(electric kickboard), 전동스쿠터(electric scooter), 전동 킥바이크(electric kick-bike), 세그웨이(segway) 등이 포함된다.Such personal mobility includes electric bicycle, electric kickboard, electric scooter, electric kick-bike, Segway, etc.

다만, 여기에서는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지만 일인용 이동수단에 속하는 일반 자전거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However, here, ordinary bicycles, which are not powered by electricity but are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one person, are also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personal mobility.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은 1인 가구의 증가 및 편리성을 이유로 증가하고 있으나,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의 안전성에 대한 고려는 미진한 실정이다.The use of personal mobility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nvenience, but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personal mobility driving.

특히, 퍼스널 모빌리티의 경우 도로 주행뿐만 아니라 인도 주행이 빈번한데, 인도 주행시 장애물 또는 사람과의 접촉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rsonal mobility, not only road driving but also sidewalk driving is frequent, and there is a problem of reduced safety due to the high possibility of accidents due to contact with obstacles or people while driving on sidewalks.

이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을 제한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occurring by limiting the sidewalk driving of personal mobilit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7997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7997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인도 주행시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운전자의 도로 주행을 유도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uses a deep learning mode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obility will be driven on the road, and determines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by limiting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when driving on the road to encourage the driver to drive on the roa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erminal with function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는, 모빌리티를 제어하는 모빌리티 제어기에 통신 연결하는 송수신부;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 영상을 학습하여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적어도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부의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로 전송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ransceiver unit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 mobility controller that controls mobility; a modeling unit that learns images of the surrounding ground of the mobility and classifi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at least one class;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mobility controller.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지면 영상을 상기 모델링부에 전달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the ground surrounding the mobility and transmits the captured ground image to the modeling unit.

상기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신호를 상기 판단부에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ity and transmits the detected location signal to the determination unit.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델링부의 분류 결과와 상기 센서부의 위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and the loca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도 주행 거리와 기설정된 기준 거리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도 주행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the delivery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compares the calculated delivery distance with a preset reference distance, and, if the delivery driving distance exceeds the refere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determines the delivery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You can judge.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관련 주행 환경 비트 신호를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may limit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by transmitting a driving environment bit signal related to the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to the mobility controller.

상기 모델링부는, 미리 마련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지면 영상을 학습하고, 인도와 도로를 나타내는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The modeling unit can learn the ground image using a pre-prepared deep learning model and output scores for two classes representing a sidewalk and a road.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The modeling unit may compare the maximum score among the scor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with a preset threshold.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상기 최대 스코어에 대응하는 클래스로 분류하고,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초기 스코어 보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the maximum score exceeds the threshold, the modeling unit classifi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classe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score, and if the maximum sco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determines whether the two classes have initial scores. can be judged.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에 대한 클래스 분류를 보류하고,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다.If the modeling unit does not have the initial score, it can suspend class classificatio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and if it does have the initial score, it can calculate the score change rate for each of the two classes.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변화율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코어 변화율을 가지는 클래스를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modeling unit may compare the score change rat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and classify the class with a relatively large score change rate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은, 송수신부가 모빌리티를 제어하는 모빌리티 제어기에 통신 연결하는 연결 단계; 모델링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 영상을 학습하여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적어도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모델링부의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nnection step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mobility controller that controls mobility; A classification step in which a modeling unit learns ground images surrounding the mobility and classifi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at least one class; and a determination step in which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연결 단계 이후에, 카메라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지면 영상을 상기 모델링부에 입력하는 입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step may include, after the connection step, an input step in which a camera unit photographs the ground surrounding the mobility and inputs the captured ground image to the modeling unit.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입력 단계 이후에, 상기 모델링부가 미리 마련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지면 영상을 학습하는 학습 단계; 및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학습 단계의 학습 결과에 따라 인도와 도로를 나타내는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step includes: a learning step of learning the ground image using a deep learning model prepared in advance by the modeling unit after the input step; and an output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outputs scores for two classes representing a sidewalk and a road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s of the learning step.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임계값 비교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step may include a threshold comparis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compares a maximum score among scor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상기 최대 스코어에 대응하는 클래스로 분류하는 제1 클래스 판별 단계; 및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초기 스코어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초기값 보유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step includes: a first class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classifi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a clas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score when the maximum score exceeds the threshold; and an initial value retention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initial scores for each of the two classes are retained when the maximum sco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에 대한 클래스 분류를 보류하는 보류 단계; 및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 변화율을 계산하는 변화율 계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step includes a holding step of withholding class classificatio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when the modeling unit does not hold the initial score; and a rate of chang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ate of change in scores for each of the two classes when the modeling unit holds the initial score.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변화율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코어 변화율을 가지는 클래스를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으로 분류하는 제2 클래스 판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step includes a second class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compares the score change rat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and classifies the class with a relatively large score change rate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can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에 의하면,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인도 주행시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운전자의 도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erminal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the same, whether the mobility is guided is determined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By limiting the maximum speed of mobility when driving on sidewalks, drivers can be encouraged to drive on the road.

또한, 인도 주행 판단 근거를 기초로 모빌리티 사용자에게 안전운전 점수를 부여하고, 이와 연계하여 보험료 할인, 이용료 할증, 또는 할인 등의 방법으로 혜택을 주도록 연계할 수 있다.In addition, safe driving scores can be given to mobility users based on the basis for driving judgment, and in connection with this, benefits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insurance premium discounts, usage fee surcharges, or discou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모빌리티 제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의 모빌리티 운전 관련한 운전 점수와 이용 금액 산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모빌리티의 주행 경로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주행 환경 판단 단계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에 있어서, 공유 모빌리티의 시동 허용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인도 주행에 따른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에 따른 경고음 발생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ity controller.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alculating driving scores and usage amounts related to a user's mobility driving.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map related to a mobility driving path.
Figure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step of FIG. 5.
Figure 7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allowing starting of shared mobility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limiting the maximum speed of mobility during sidewalk driving.
Figure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guided driving of mobilit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thereto, and of course, i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100)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인도 주행시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운전자의 도로 주행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100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eep learning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and determines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during guided driving. It is characterized by encouraging drivers to drive on the road by limiting .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100)는, 모빌리티(미도시)에 장착되어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송수신부(210), 카메라부(220), 모델링부(230), 센서부(240), 판단부(250), 및 계산부(26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al 100, which has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is mounted on a mobility device (not shown) to acquire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includes a transceiver unit 210, a camera unit 220, and a modeling unit 230. , includes a sensor unit 240, a determination unit 250, and a calculation unit 260. The terminal 100 may be a smart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송수신부(210)는, 모빌리티 제어기(100) 및 모빌리티 운영 서버(3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으로 모빌리티 제어기(1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5G 또는 Wifi 통신으로 모빌리티 운영 서버(3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ceiver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ity controller 100 and the mobility operation server 300. The transceiver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through Bluetooth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The transceiver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ity operation server 30 through 5G or Wifi communication.

송수신부(210)는 모빌리티 주행 환경과 관련한 판단부(250)의 판단 결과를 모빌리티 제어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모빌리티 이용 요금 관련한 정보를 모빌리티 운영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210 may transmit the decis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250 related to the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The transceiver unit 21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mobility usage fees to the mobility operation server 300.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또는 NFC로 통신 연결되었을 경우 모빌리티의 시동을 걸 수 있다.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단말기(200)로부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관련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빌리티 주행 데이터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obility controller 100 can start the mobility when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via Bluetooth or NFC. When receiving a signal related to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from the terminal 20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may limit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The mobility controller 100 may transmit mobility driving data to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모빌리티 운영 서버(200)는 모빌리티의 주행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모빌리티 운영 서버(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행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거나 일부만 전달받아 저장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ity operation server 200 can receive and store mobility driving data.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the mobility operation server 200 may not store the driving data or may receive and store only part of the driving data and provide services accordingly.

카메라부(220)는 단말기(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단말기(100)의 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지면을 촬영하여 지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획득한 지면 영상을 모델링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22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100 and can take pictures of the rear of the terminal 100. The camera unit 220 can obtain a ground image by photographing the ground on which the mobility is traveling. The camera unit 220 may transmit the acquired ground image to the modeling unit 230.

모델링부(230)는, 카메라부(220)에 의해 획득된 지면 영상을 학습하여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이 도로 또는 인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델링부(230)는 주행 중인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에서 노면을 인식하기 위한 딥러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딥러닝 모델은 MobileNet V2 모델 기반으로 Relu Dense 2개와 Softmax Dense 2개를 결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딥러닝 모델은 두 개의 클래스(인도, 차도)를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deling unit 230 can determine whethe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s a road or sidewalk by learning the ground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220. The modeling unit 230 may include a deep learning model for recognizing the road surfac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iving mobility. In one embodiment, a deep learning model can be prepared by combining two Relu Dense and two Softmax Dense based on the MobileNet V2 model. A deep learning model can be configured to classify two classes (sidewalk, driveway).

딥러닝 모델은 단말기(100)에서 구동되기 위하여 연산량과 크기가 경량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딥러닝 모델은 Float16, int8 양자화를 통하여 크기와 연산량이 작은 모델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딥러닝 모델의 추론 시간과 정확도를 고려하여 양자화 레벨이 선택될 수 있다.The deep learning model can be operated on the terminal 100 by reducing the amount of calculation and size. In one embodiment, the deep learning model can be converted to a model with a small size and computational amount through Float16 and int8 quantization. Here, the quantization level may be selected considering the inference time and accuracy of the deep learning model.

센서부(2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일 수 있다. 센서부(240)는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현재 위치 신호를 판단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b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 sensor unit 240 may detec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ity and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signal to the determination unit 250.

판단부(250)는, 모델링부(230)의 클래스 분류 결과와 센서부(240)의 위치 신호를 기초로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이 수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50)는 기준 거리 이상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으로 판단되면, 송수신부(210)를 통해 1의 주행 환경 비트 신호를 모빌리티 제어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행 환경 비트 신호는 도로일 때 0, 인도일 때 1의 비트 신호를 가질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50 may determine whether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is performed over a preset reference distance based on the class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230 and the posi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240. If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mobility is guided beyond the reference distance, it may transmit a driving environment bit signal of 1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through the transceiver 210. The driving environment bit signal may have a bit signal of 0 for roads and 1 for sidewalks.

계산부(260)는 사용자의 모빌리티 안전 운전 관련한 모빌리티 운전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부(260)는 보험료 할인을 목적으로 모빌리티 운전 점수를 선택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260 may calculate a mobility driving score related to the user's mobility safety driving. The calculation unit 260 may selectively calculate the mobility driving score for the purpose of discounting insurance premiums.

계산부(260)는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비율을 팩터(Factor)에 반영하여 모빌리티 운전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1은 운전 점수 계산식의 일 예를 보여준다.The calculation unit 260 may calculate the mobility driving score by reflecting the mobility driving rate in the factor. Equation 1 below shows an example of a driving score calculation formula.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운전 점수raw는 초기 운전점수를 나타내고, 운행거리roadway는 모빌리티의 도로 운행 거리를 나타내고, 운행거리walkway는 모빌리티의 인도 운행 거리를 나타내고, 운행거리total는 모빌리티의 전체 운행 거리를 나타낸다.In Equation 1, the driving score raw represents the initial driving score, the driving distance roadway represents the road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the driving distance walkway represents the sidewalk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and the driving distance total represents the total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

계산부(260)는 공유 가능한 모빌리티인 경우, 모빌리티 이용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부(260)는 주행 도로 운행에 따른 최종 이용요금 할인 또는 할증을 적용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2는 이용 요금 계산식의 일 예를 보여준다.If the mobility is shareable, the calculation unit 260 can calculate the mobility usage fee. The calculation unit 260 may apply a discount or surcharge to the final usage fee according to the road operation. Equation 2 below shows an example of a usage fee calculation formula.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이용요금raw은 모빌리티의 기본 이용요금을 나타낸다.In Equation 2, the usage fee raw represents the basic usage fee for mobility.

도 2는 모빌리티 제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ity controller.

도 2를 참고하면,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시, 모빌리티를 차도로 유도하기 위해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ity controller 100 is characterized by limiting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in order to guide the mobility to the roadway when driving on the sidewalk.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차량 제어 유닛(110), 및 모터 제어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Mobility controller 100 may include a vehicle control unit 110 and a motor control unit 120.

차량 제어 유닛(110)은 단말기(200)로부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관련한 주행 환경 비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최대 속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속도 값은 10km/h일 수 있다. 최대 속도 값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교통 환경 또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When receiving a driving environment bit signal related to guided driving of mobility from the terminal 200, the vehicle control unit 110 may set a maximum speed value to limit the maximum speed of mobility. In one embodiment, the maximum speed value may be 10 km/h. The maximum speed valu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traffic environment or user needs.

차량 제어 유닛(110)은 지역, 사람 수, 사용자 설정 제한 정보, 및 주차 위치 정보 등을 고려하여 최대 속도를 제한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unit 110 may limit and set the maximum speed by considering the area, number of people, user-set limit information, and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차량 제어 유닛(110)은 최대 속도에 관련한 요구 토크를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로직을 구비할 수 있다. 로직은 ASW(Application SW)에서 제한된 최대 속도로 모빌리티를 구동하기 위한 요구 토크를 계산할 수 있다. 로직은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른 요구 토크에서 배터리, 및 모빌리티 상태 등에 따른 제한 수준을 고려하여 최종 요구 토크를 계산할 수 있다. 로직은 토크 제한 수준을 결정할 때, 인도 주행 정보에 따른 제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Vehicle control unit 110 may include logic used to set the required torque in relation to maximum speed. Logic can calculate the required torque to drive mobility at a limited maximum speed in ASW (Application SW). The logic can calculate the final required torque by considering the required torque according to the driver's willingness to accelerate and the level of limitations depending on the battery and mobility status. When determining the torque limit level, logic can consider limiting factors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모터 제어 유닛(120)은 모빌리티의 주행 속도를 최대 속도로 제한하기 위해 계산된 요구 토크를 이용하여 모빌리티의 주행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주행 모터는 BLDC 모터일 수 있다. 모빌리티는 주행 모터에 의해 최대 속도로 제한된 상태로 주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빌리티의 저속도 주행에 따른 위치 이동 의도를 느끼게 되어, 인도에서 도로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tor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of the mobility using the calculated required torque to limit the driving speed of the mobility to the maximum speed. The driving motor may be a BLDC motor. Mobility can run at a maximum speed limited by the travel motor. Through this, the user can feel the intention of moving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low-speed driving of the mobility, and can move from the sidewalk to the road.

도 3은 사용자의 모빌리티 운전 관련한 운전 점수와 이용 금액 산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alculating driving scores and usage amounts related to a user's mobility driving.

도 3의(a)는 사용자의 모빌리티 운전에 관련한 안전 운전 점수의 일 예를 보여주고, 도 3의 (b)는 사용자의 모빌리티 운전에 관련한 이용 금액의 일 예를 보여준다.Figure 3(a) shows an example of a safe driving score related to a user's mobility driving, and Figure 3(b) shows an example of a usage amount related to a user's mobility driving.

도 3의(a)에서,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기준 주행거리 동안 도로 주행과 인도 주행의 비율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모빌리티 운전 관련한 안전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기준 주행거리는 대략 15km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In Figure 3(a), the terminal 200 may calculate a safety score related to the user's mobility driving by considering the ratio of road driving and sidewalk driving during a preset reference driving distance. The standard driving distance may be approximately 15 km, bu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도 3의(b)에서,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중인 모빌리티가 공용 모빌리티인 경우, 기설정된 기준 주행거리 동안 도로 주행과 인도 주행의 비율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모빌리티 운전 관련한 이용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기준 주행거리는 대략 15km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In Figure 3(b), when the mobility being used by the user is public mobility, the terminal 200 calculates the usage amount related to the user's mobility driving by considering the ratio of road driving and sidewalk driving during the preset reference driving distance. It can be calculated. The standard driving distance may be approximately 15 km, bu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도 4는 모빌리티의 주행 경로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map related to a mobility driving path.

도 4를 참고하면, 단말기(200)는 모빌리티의 전체 주행 경로를 어플리케이션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전체 주행 경로를 도로와 인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인도 주행 구간에 모빌리티가 위치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인도 주행 정보에 따라 인도에서 도로로 모빌리티의 주행 방향을 수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erminal 200 can display the entire mobility driving route on the application map. The terminal 200 can display the entire driving route divided into roads and sidewalks. The terminal 200 can display the time when the mobility is located in the sidewalk driving section. The user can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bility from the sidewalk to the road according to the sidewalk driv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20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기초로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거리를 기초로 모빌리티의 도로 주행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5,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nd guides mobility based on the learning results.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and inducing road driving of the mobility based on the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안전 점수 판단 단계(S510)에서, 판단부(250)는 미리 마련된 모빌리티의 주행 관련 안전 점수를 기초로 모빌리티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250)는 안전 점수가 기설정된 기준 점수 미만인 경우 모빌리티의 이용 불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안전 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 모빌리티의 이용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점수 판단 단계(S5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점수 판단 단계(S510)는 모빌리티가 모빌리티 운영 서버(300)에 의해 운영되는 공유 모빌리티인 경우 생략될 수 있다.In the safety score determination step (S510),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can be used based on the safety score related to driving of the mobility prepared in advance. The determination unit 250 may determine that mobility is unusable if the safety score is less than a preset standard score. The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at mobility is available if the safety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andard score. This safety score determination step (S510) can be selectively applied by the user. Additionally, the safety score determination step (S510) may be omitted if the mobility is shared mobility operated by the mobility operation server 300.

연결 단계(S520)에서, 송수신부(210)는 모빌리티 제어기(1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블루투스 또는 NFC 방식으로 모빌리티 제어기(1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In the connection step (S520), the transceiv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for communication. The transceiver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via Bluetooth or NFC.

주행 환경 판단 단계(S530)에서, 모델링부(230)는 모빌리티 제어기(100)에 통신 연결되면, 카메라부(220)로부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 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에 대해 클래스를 분류한다. 판단부(250)는 모델링부(230)의 클래스 분류 결과를 기초로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주행 환경 판단 과정은 도 6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모빌리티가 공유 모빌리티인 경우, 연결 단계(S520)와 주행 환경 판단 단계(S530) 사이에 모빌리티 제어기(100)와 단말기(200)의 통신 연결된 경우에만 모빌리티 시동을 허용하는 단계가 추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step (S530), when the modeling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it receives the surrounding ground image of the mobility from the camera unit 220 and creates a class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based on this. Classify.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based on the class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230. This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On the other hand, if the mobility is shared mobility, a step of allowing mobility start only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step (S520) and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step (S530) between the mobility controller 100 and the terminal 200 may be additionally applied. .

리셋 단계(S540)에서, 판단부(250)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이 도로 주행인 경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관련 상태를 리셋한다. 인도 주행 상태는 인도 주행 플래그(flag)와 인도 주행 비트(bit)를 포함할 수 있다. 인도 주행 플래그와 인도 주행 비트 각각은 리셋에 따라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판단부(250)는 모빌리티의 도로 주행 상태를 모빌리티 제어기(100)에 알릴 수 있다.In the reset step (S540), when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s road driving, the determination unit 250 resets the state related to the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The guided driving state may include a guided driving flag and a guided driving bit. Each of the delivery driving flag and delivery driving bit may be set to 0 upon reset. The determination unit 250 may inform the mobility controller 100 of the road driving status of the mobility.

연속 판단 단계(S550)에서, 판단부(250)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이 인도 주행인 경우, 이전 프레임의 주행 환경이 도로 주행인지 판단한다. 이는 모빌리티가 연속적으로 인도를 주행 중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In the continuous determination step (S550), when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s sidewalk driving,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previous frame is road driving.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ity is continuously driving on the sidewalk.

제1 상태 설정 단계(S560)에서, 판단부(250)는 이전 프레임의 주행 환경이 도로 주행이고 현재 프레임의 주행 환경이 인도 주행인 경우, 인도 주행 플래그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온 상태의 인도 주행 플래그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the first state setting step (S560), when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previous frame is road driving and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current frame is road driving, the decision unit 250 sets the road driving flag to the on state. The guided driving flag in the on state may have a value of 1.

제1 주행 거리 계산 단계(S570)에서, 계산부(260)는 인도 주행 플래그가 온 상태이면, 센서부(240)의 GPS 값을 기초로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거리를 누적하여 계산할 수 있다.In the first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step (S570), if the delivery driving flag is on, the calculation unit 260 may accumulate and calculate the delivery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based on the GPS value of the sensor unit 240.

한편, 연속 판단 단계(S550) 이후에 제2 주행 거리 계산 단계(S580)에서, 계산부(260)는 이전 프레임의 주행 환경이 인도 주행인 경우, 센서부(240)의 GPS 값을 기초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인도 주행 거리를 누적하여 계산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step (S580) after the continuous determination step (S550), if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previous frame is Indian driving, the calculation unit 260 moves based on the GPS value of the sensor unit 240. It can be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driving distance of the frame and the current frame.

거리 판단 단계(S590)에서, 판단부(250)는 인도 주행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기준 거리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In the distance determination step (S590), the determination unit 25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livery driving distance exceeds a preset reference distance. The reference distance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user needs.

제2 상태 설정 단계(S600)에서, 판단부(250)는 계산된 인도 주행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인도 주행 비트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온 상태의 인도 주행 비트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판단부(250)는 인도 주행 비트를 모빌리티 제어기(100)로 전송하여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 제한을 요구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ate setting step (S600), the determination unit 250 sets the delivery driving bit to the on state when the calculated delivery driving distance exceeds the reference distance. The guided driving bit in the on state may have a value of 1. The determination unit 250 may request a maximum speed limit for mobility by transmitting the delivery driving bit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한편, 시동 판단 단계(S610)에서, 판단부(250)는 모빌리티 제어기(100)로부터 모빌리티의 시동 관련 정보를 전달받고, 시동 오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빌리티가 시동중인 경우, 주행 환경 판단 단계(S530) 및 그 이후 단계가 계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arting determination step (S610), the determination unit 25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starting the mobility from the mobility controller 100 and check whether the starting is off. If the mobility is starting,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step (S530) and subsequent steps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도 6은 도 5의 주행 환경 판단 단계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step of FIG. 5.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주행 환경 판단 단계(S530)는 입력 단계(S531) 내지 저장 단계(S53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6 ,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step (S530) may include an input step (S531) to a storage step (S539).

입력 단계(S531)에서, 모델링부(230)는 카메라부(220)로부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을 촬영한 지면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the input step (S531), the modeling unit 230 may receive a ground image captured from the camera unit 220 of the ground surrounding the mobility.

학습 단계(S532)에서, 모델링부(230)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지면 영상을 학습할 수 있다.In the learning step (S532), the modeling unit 230 may learn the ground image using a deep learning model.

출력 단계(S533)에서, 모델링부(230)는 지면 영상의 학습에 따라 인도와 도로를 나타내는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모델링부(230)는 인도를 나타내는 제1 클래스와 도로를 나타내는 제2 클래스 각각에 스코어(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델링부(230)는 지면 학습 결과에 따라 인도일 확률이 0.98이고, 도도일 확률이 0.02인 경우, 지면 영상 속 도로가 예측 확률이 가장 큰 인도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the output step (S533), the modeling unit 230 may output scores for two classes representing sidewalks and roads according to learning of the ground image. The modeling unit 230 may calculate scores for each of the first class representing a sidewalk and the second class representing a road. In one embodiment, the modeling unit 230 may determine that the road in the ground image is India with the highest prediction probability when the probability that it is India is 0.98 and the probability that it is a province is 0.02 according to the ground learning result.

임계값 비교 단계(S534)에서, 모델링부(230)는 클래스 별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임계값은 실험을 통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델링부(230)는 임계값이 0.7이고, 인도일 확률이 0.6이면서 차도일 확률이 0.4인 경우, 최대 스코어가 임계값을 넘지 않으므로 클래스 판별이 불확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threshold comparison step (S534), the modeling unit 230 may compare the maximum score among the scores for each class with a preset threshold. The threshold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through experimentation. In one embodiment, the modeling unit 230 may determine that class discrimination is uncertain because the maximum score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when the threshold is 0.7, the probability of being on the sidewalk is 0.6,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on the road is 0.4.

제1 클래스 판별 단계(S535)에서, 모델링부(230)는 클래스 별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최대 스코어에 해당하는 클래스를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the first class determination step (S535), if the maximum score among the scores for each class exceeds the threshold, the modeling unit 230 may determine the clas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score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mobility.

초기값 보유 판단 단계(S536)에서, 모델링부(230)는 클래스 별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클래스 별 초기 스코어 보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initial value retention determination step (S536), the modeling unit 23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itial score for each class is retained when the maximum score among the scores for each clas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보류 단계(S537)에서, 모델링부(230)는 클래스 별 초기 스코어가 없는 경우 클래스 분류를 보류하고, 모빌리티의 도로 주행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주행 환경 비트 신호는 0을 가질 수 있다.In the holding step (S537), if there is no initial score for each class, the modeling unit 230 may suspend class classification and determine the mobility on the road. At this time, the driving environment bit signal may have 0.

변화율 계산 단계(S538)에서, 모델링부(230)는 클래스 별 초기 스코어가 있는 경우, 이전 시점의 스코어와 현재 시점의 스코어를 기초로 스코어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t 시점(현재 시점)에서 제1 클래스의 스코어가 0.65이고, 제2 클래스의 스코어가 0.45일 수 있다. t-1 시점(이전 시점)에서 제1 클래스의 스코어가 0.6이고, 제2 클래스의 스코어가 0.4일 수 있다. 이때 제1 클래스의 스코어 변화율은 0.05이고, 제2 클래스의 스코어 변화율은 -0.05이다. 제1 클래스의 스코어 변화율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1 클래스에 해당하는 인도 주행이 판별될 수 있다.In the rate of change calculation step (S538), if there is an initial score for each class, the modeling unit 230 may calculate the rate of change in the score based on the score at the previous time and the score at the current time. In one embodiment, at time t (current time), the score of the first class may be 0.65 and the score of the second class may be 0.45. At time t-1 (previous time), the score of the first class may be 0.6 and the score of the second class may be 0.4. At this time, the score change rate of the first class is 0.05, and the score change rate of the second class is -0.05. Since the score change rate of the first class is relatively large, the delivery driv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ass can be determined.

제2 클래스 판별 단계(S539)에서, 모델링부(230)는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변화율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코어 변화율을 가지는 클래스를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the second class determination step (S539), the modeling unit 230 compares the score change rat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class with a relatively large score change rate can be determined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there is.

저장 단계(S539a)에서, 모델링부(230)는 클래스 및 스코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델링부(230)는 클래스 및 스코어에 따라 인도 또는 차도로 분류된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에 대한 클래스 분류 결과를 판단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In the storage step (S539a), the modeling unit 230 may store the class and score. The modeling unit 230 may transmit the class classification result for the surrounding mobility environment classified as a sidewalk or a roadway according to the class and score to the determination unit 25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에 있어서, 공유 모빌리티의 시동 허용 과정의 순서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allowing starting of shared mobility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은, 모빌리티 운영 서버(300)에 의해 운영되는 공유 모빌리티인 경우 시동 허용 과정을 더욱 고려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5, and 7,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up permit process in the case of shared mobility operated by the mobility operation server 300. Further considerations can be made.

페어링 단계(S710)에서, 송수신부(210)는 모빌리티 제어기(100)와 페어링한다.In the pairing step (S710), the transceiver 210 pairs with the mobility controller 100.

제1 알림 단계(S720)에서, 판단부(250)는 송수신부(210)와 모빌리티 제어기(100)의 미연결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별도 알림 장치(미도시)를 통해 통신 미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In the first notification step (S720),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transceiver unit 210 an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are in an unconnected state, the communication unconnected state is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a separate notification device (not shown). can be notified to

헬멧 착용 판단 단계(S730)에서, 판단부(250)는 송수신부(210)와 모빌리티 제어기(100)의 연결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카메라부(220)로부터 사용자 신체 촬영 영상을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헬멧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helmet wearing determination step (S730),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transceiver unit 210 an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are connected, it receives a captured image of the user's body from the camera unit 220 and based on this, You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you are wearing a helmet.

제2 알림 단계(S740)에서, 판단부(250)는 사용자의 헬멧 미착용으로 판단하는 경우, 별도 알림 장치를 통해 헬멧 미착용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In the second notification step (S740), if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wearing a helmet, it may notify the user of the status of the helmet not being worn through a separate notification device.

시동 허용 단계(S750)에서, 판단부(250)는 사용자의 헬멧 착용으로 판단하는 경우 모빌리티 시동 허용 관련 신호를 모빌리티 제어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동 허용 단계(S750) 이후에 주행 환경 판단 단계(S530)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start-up permission step (S750), the determination unit 250 may transmit a mobility start-permission related signal to the mobility controller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After the start-up permission step (S750),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step (S530) may be performed.

도 8은 인도 주행에 따른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limiting the maximum speed of mobility during sidewalk driving.

도 1 및 도 8을 참고하면,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단말기(200)로부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관련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모빌리티의 도로 주행 유도를 위해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8 , when the mobility controller 100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from the terminal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limits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in order to guide the mobility to travel on the road.

인도 주행 판단 단계(S81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단말기(200)로부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또는 도로 주행 관련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delivery driving determination step (S81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the delivery driving or road driving of the mobility from the terminal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will be guided driving based on this.

지역 옵션 판단 단계(S82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역별 속도 제한 옵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지역별 속도 제한 옵션은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속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 또는 차량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In the regional option determination step (S8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ity is guide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regional speed limit option. The regional speed limit option limits the spe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or vehicle specifications.

제1 옵션 반영 단계(S83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지역별 속도 제한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마련된 지역 별 제한 속도를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에 반영할 수 있다.In the first option reflection step (S830), when using the regional speed limit option, the mobility controller 100 may reflect the preset regional speed limit to the maximum speed of mobility.

객체 옵션 판단 단계(S84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지역별 속도 제한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객체 수 속도 제한 옵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객체 수 속도 제한 옵션은 인도의 사람 수에 따라 모빌리티의 속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In the object option determination step (S840), if the regional speed limit option is not use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object number speed limit option. The object speed limit option limits the speed of mobi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in the sidewalk and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제2 옵션 반영 단계(S85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객체 수 속도 제한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마련된 지역 별 제한 속도를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에 반영할 수 있다.In the second option reflection step (S850), when the object speed limit option is use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may reflect the preset speed limit for each region to the maximum speed of mobility.

수동 옵션 판단 단계(S86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객체 수 속도 제한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동 속도 제한 옵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수동 속도 제한 옵션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제한 속도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anual option determination step (S860), if the object number speed limit option is not use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manual speed limit option. The manual speed limit option may be to manually set the speed limit according to user operation.

제3 옵션 반영 단계(S87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수동 속도 제한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수동 조작에 따른 제한 속도를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에 반영할 수 있다.In the third option reflection step (S870), when using the manual speed limit option, the mobility controller 100 may reflect the speed limit according to the user's manual operation to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수동 옵션 판단 단계(S88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수동 속도 제한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주차 위치 옵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주차 위치 옵션은 기준 거리 이내에 모빌리티의 주차 장소가 있는지에 따라 보험료 할증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anual option determination step (S88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parking position option when the manual speed limit option is not used. The parking location option may be to set an insurance premium based on whether there is a parking spot for the mobility within a reference distance.

제4 옵션 반영 단계(S89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주차 위치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에 따른 보험료 할증 선정을 제외시킬 수 있다. 주차 장소의 경우 다양한 위치가 설정 가능하나, 기본 제공하는 장소외 추가 선택시, 보험료 할증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fourth option reflection step (S890), when the parking location option is use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may exclude the selection of an insurance premium surcharge according to the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In the case of parking locations, various locations can be set, but if additional locations other than those provided by default are selected, an insurance premium surcharge may be included.

제한 정보 확인 단계(S90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각종 옵션에 따른 속도 제한 정보를 확인한다.In the limit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90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checks speed limit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options.

차속 제한 반영 단계(S91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에 따른 속도 제한 정보를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에 반영한다.In the vehicle speed limit reflection step (S91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reflects the speed lim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to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속도 제어 단계(S92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S910 단계에서 마련된 최대 속도를 고려하여 차량 시스템에 따른 속도 제한 또는 토크 제한 제어를 수행한다.In the speed control step (S92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performs speed limit or torque limit control according to the vehicle system by considering the maximum speed prepared in step S910.

한편, S810 단계에서 모빌리티의 도로 주행인 경우, 정상 제어 단계(S93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빌리티의 도로 주행을 정상 제어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road driving of the mobility in step S81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normally controls the road driving of 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n the normal control step (S930).

도 9는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에 따른 경고음 발생 방법의 순서도이다.Figure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guided driving of mobility.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은, 모빌리티의 인도 진입시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도로 주행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9,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duces driving on the road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when the mobility vehicle enters the sidewalk.

인도 주행 판단 단계(S100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단말기(200)로부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또는 도로 주행 관련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delivery driving determination step (S100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the delivery driving or road driving of the mobility from the terminal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will be guided driving based on this.

정상 제어 단계(S101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모빌리티의 도로 주행인 경우, 별도 속도 제한없이 정상 주행을 제어한다.In the normal control step (S1010), when driving on a mobility road, the mobility controller 100 controls normal driving without a separate speed limit.

속도 판단 단계(S102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인 경우, 현재 속도와 기설정된 제한 속도를 비교한다. 제한 속도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In the speed determination step (S102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compares the current speed with the preset speed limit in the case of guided mobility. The speed limit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user needs.

경고음 발생 단계(S103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별도 알림 장치(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한다.In the warning sound generation step (S1030), if the current speed exceeds the speed limit, the mobility controller 100 generates a warning sound through a separate notification device (not shown).

시간 계산 단계(S104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경고음 발생 시간을 누적하여 계산하여 경고음 누적 발생 시간을 생성한다. 경고음 누적 발생 시간은 보험료 할증 및 할인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time calculation step (S1040), the mobility controller 100 accumulates and calculates the warning sound generation time to generate the cumulative warning sound generation time. The cumulative occurrence time of the warning sound can be applied to insurance premium surcharges and discounts.

한편, 경고음 해제 단계(S1050)에서, 모빌리티 제어기(100)는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 이하인 경우, 정상 주행으로 판단하고 경고음 발생을 해제 한다.Meanwhile, in the warning sound cancellation step (S1050), if the current speed is below the speed limit, the mobility controller 100 determines normal driving and cancels the warning soun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

본 발명에 따른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에포크(epoch) 등을 위해 다른 실시 예들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Steps and/or oper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occur simultaneously in different embodiments, in different orders, in parallel, for different epochs, etc., as w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can.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상호작용 데이터 구조(interactive data structure),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시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some or all of the steps and/or operations may include executing instructions, programs, interactive data structures, clients and/or servers stored on one or mo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At least a portion may be implemented or performed using one or more processors. The one or mo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llustratively be software, firmware, hardware, and/or any combination thereof. Additionally, the functionality of the “modules” discus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firmware, hardware, and/or any combination thereof.

100: 모빌리티 제어기
200: 단말기
210: 송수신부
220: 카메라부
230: 모델링부
240: 센서부
250: 판단부
260: 계산부
100: Mobility controller
200: terminal
210: Transmitter and receiver
220: Camera unit
230: Modeling department
240: sensor unit
250: Judgment unit
260: Calculation unit

Claims (18)

모빌리티를 제어하는 모빌리티 제어기에 통신 연결하는 송수신부;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 영상을 학습하여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적어도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부의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로 전송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 transceiver unit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 mobility controller that controls mobility;
a modeling unit that learns images of the surrounding ground of the mobility and classifi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at least one class;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mobility controller;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judgment function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지면 영상을 상기 모델링부에 전달하는 카메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the ground surrounding the mobility and transmits the captured ground image to the modeling unit;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신호를 상기 판단부에 전달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ity and transmits the detected location signal to the determination unit;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델링부의 분류 결과와 상기 센서부의 위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3,
The judgment department,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is guided or no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and the posi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도 주행 거리와 기설정된 기준 거리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도 주행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4,
The judgment department,
Calculate the delivery driving distance of the mobility, compare the calculated delivery distance with a preset reference distance, and determine delivery of the mobility if the delivery distance exceeds the refere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terminal equipped with a function to determine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관련 주행 환경 비트 신호를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모빌리티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5,
The judgment department,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speed of the mobility is limited by transmitting a driving environment bit signal related to the guided driving of the mobility to the mobility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부는,
미리 마련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지면 영상을 학습하고, 인도와 도로를 나타내는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odeling department,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judgment function, characterized by learning the ground image using a pre-prepared deep learning model and outputting scores for two classes representing sidewalks and road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7,
The modeling department,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judg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score among the scor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is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상기 최대 스코어에 대응하는 클래스로 분류하고,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초기 스코어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8,
The modeling department,
If the maximum score exceeds the threshold, classify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a clas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score,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two classes have initial scores when the maximum sco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에 대한 클래스 분류를 보류하고,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 변화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use 9,
The modeling department,
If you do not have the initial score, suspend class classificatio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holding the initial score, the score change rate for each of the two classes is calcula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변화율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코어 변화율을 가지는 클래스를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modeling department,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ity driving environment judg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e change rat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class having a relatively large score change rate is classified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송수신부가 모빌리티를 제어하는 모빌리티 제어기에 통신 연결하는 연결 단계;
모델링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 영상을 학습하여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적어도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모델링부의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빌리티의 인도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A connection step in which the transceiver communicates with a mobility controller that controls mobility;
A classification step in which a modeling unit learns ground images surrounding the mobility and classifi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at least one class; and
A determination step in which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ity is to be dr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modeling unit;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including.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연결 단계 이후에, 카메라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지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지면 영상을 상기 모델링부에 입력하는 입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classification step is,
After the connection step, an input step in which a camera unit photographs the ground surrounding the mobility and inputs the captured ground image to the modeling unit;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compris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입력 단계 이후에, 상기 모델링부가 미리 마련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지면 영상을 학습하는 학습 단계; 및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학습 단계의 학습 결과에 따라 인도와 도로를 나타내는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classification step is,
After the input step, a learning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learns the ground image using a pre-prepared deep learning model; and
An output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outputs scores for two classes representing a sidewalk and a road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s of the learning step;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compris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임계값 비교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The classification step is,
a threshold comparis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compares a maximum score among the scor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with a preset threshol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compris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을 상기 최대 스코어에 대응하는 클래스로 분류하는 제1 클래스 판별 단계; 및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최대 스코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초기 스코어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초기값 보유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classification step is,
A first class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classifi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into a clas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score when the maximum score exceeds the threshold; and
an initial value retention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nitial score is retained for each of the two classes when the maximum sco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comprising: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에 대한 클래스 분류를 보류하는 보류 단계; 및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초기 스코어를 보유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클래스 별 스코어 변화율을 계산하는 변화율 계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The classification step is,
a holding step of withholding class classificatio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when the modeling unit does not hold the initial score; and
a change rat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core change rate for each of the two classes when the modeling unit holds the initial scor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comprising: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모델링부가 상기 두 개의 클래스 각각의 스코어 변화율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스코어 변화율을 가지는 클래스를 상기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으로 분류하는 제2 클래스 판별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The classification step is,
a second class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modeling unit compares the score change rates of each of the two classes, and classifies a class with a relatively large score change rate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mobility using a terminal, comprising:
KR1020220083958A 2022-07-07 2022-07-07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 KR202400069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958A KR20240006987A (en) 2022-07-07 2022-07-07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958A KR20240006987A (en) 2022-07-07 2022-07-07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987A true KR20240006987A (en) 2024-01-16

Family

ID=8971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958A KR20240006987A (en) 2022-07-07 2022-07-07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98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970B1 (en) 2020-09-23 2022-03-29 주식회사 올룰로 System for offering driving status of personal mo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970B1 (en) 2020-09-23 2022-03-29 주식회사 올룰로 System for offering driving status of personal mo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3304B2 (en) Estimating passenger boarding and alighting times to improve autonomous vehicle stop analysis
JP73716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ing to safely catch up with a vehicle
CN114906124B (en) Method and system for passenger comfort determination and dynamic updating of route and driving style
KR102064220B1 (en) Driving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CN108241371B (en) Automatic driving system
KR102003940B1 (en) Autonomo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19595B1 (en) Arranging passenger pickup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475119B2 (en) Recognizing assigned passengers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65919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CN110167817B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in an active at least semi-automatic driving mode, authoriz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18190217A (en) Driver monitoring device and driver monitoring method
US20170174129A1 (en) Vehicular visu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JP2020074169A (en) Vehicle system, automatic driving vehicl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935800B2 (en) Vehicle control devices, vehicle control methods, and moving objects
JPWO2017085981A1 (en) Driving support device, driving support method, and moving body
JP201714089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90065042A (en) Driving system for vehicle
JP66831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river monito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66934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river monito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979268B1 (en) Autonomous drive system
US20220381575A1 (en) Guided Navigation for Personal Transport Devices
KR20190098795A (en) Vehicle device and control meghod of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thereof
KR20200101544A (en) Velocity control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CN11522311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moving object, and recording medium
KR20240006987A (en) Terminal having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function of mobility and method of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mobility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