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250A -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250A
KR20240006250A KR1020220083079A KR20220083079A KR20240006250A KR 20240006250 A KR20240006250 A KR 20240006250A KR 1020220083079 A KR1020220083079 A KR 1020220083079A KR 20220083079 A KR20220083079 A KR 20220083079A KR 20240006250 A KR20240006250 A KR 2024000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혜진
박윤식
임혜원
최윤석
김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8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250A/en
Publication of KR2024000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2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lgebra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는,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비롯하여 매핑데이터 및 전력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사용자 UI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디스플레이;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실행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 및 데이터 수집모듈, 데이터 저장모듈, 입력모듈,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operatively coupled to)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 간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GIS 기준 레이어에 기초하여 매핑정보와 수집된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UI에 따라 GIS 기준 레이어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에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from legacy systems; A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collected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as well as mapping data and power statistics data;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user UI input; display; Memory with a built-in executable program that visualizes and provides power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a data collection module, a data storage module, an input module, a display, and a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runs an executable program to collect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power data is mapped and the mapp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Based on the GIS standard layer, the mapping information, collect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are preprocessed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and then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It is stored in and is characterized by visualizing power statistical data in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IS standard layer according to the user UI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and providing it through a display.

Description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GIS를 기반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정보 기반의 전력 통계 데이터 및 GIS 레이어를 생성하여 구획 별로 사용자 UI 및 API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collect power data based on GIS and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based power statistical data and GIS layers to create user UI and API for each section. This relates to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컴퓨터의 활용 분야가 늘어나고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실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을 모델링하여 컴퓨터를 통해 공간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 시스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s the field of computer use increases and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the demand to use spatial data through computers by modeling the space where real life takes place increases, and the importance of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emerging. .

지리정보 시스템(GIS)는 인간 생활에 필요한 지리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위에 전력, 토지, 자원, 환경 등의 다양한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를 표현하여 각종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GIS는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된 지리적 위치자료인 공간정보와 그 위치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 정보를 통합하여,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집, 관리, 분석, 시각화하는 일련의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이다.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system that converts geographic information necessary for human life into computer data, expresses data from various information systems such as power, land,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and uses it for various decision-making. GIS is a series of information systems that collect, manage, analyze, and visualiz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y integrating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geographic location data converted into computer data, and various attribute information of that location.

이와 같이 지리정보 시스템은 위치기반 점, 선, 면 그리고 지형 등 다양한 공간정보의 조합이며, 문제 식별, 변화 과정 모니터링, 이벤트 관리 및 대응, 예측 수행, 우선순위 설정, 추세 파악 등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In this way,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a combination of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location-based points, lines, surfaces, and terrain, and provides various insights such as problem identification, change process monitoring, event management and response, prediction performance, priority setting, and trend identification. .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5887호(2003.08.27. 공고,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작업에 있어서 배전설비도면 자동인식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395887 (announced on August 27, 2003, automatic recognition method of distribution equipment drawings in the construc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이와 같이 지리정보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GIS 소프트웨어가 필수적으로, ESRI의 ArcGIS가 대표적이며, 오픈 소스 지리공간 재단(OSGeo)의 프로젝트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계청의 SGIS 플러스(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Plus ; SGIS+),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 중인 국토정보맵이 있으며, 영업배전정보시스템을 통해서도 배전의 모든 설비를 위치기반으로 맵핑한 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In order to operat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ike this, GIS software is essential. ESRI's ArcGI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there are projects from the Open Source Geospatial Foundation (OSGeo) as well as Statistics Korea's SGIS Plus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Plus (SGIS+), There is a national information map operat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a map mapping all distribution facilities based on location is also provided through the commercial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또한, 발전, 송변전, 배전,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전력을 공급하는 모든 과정에서 수집되는 거대하고 다양한 데이터들은 사내 업무 시스템에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 되어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huge and diverse data collected in all processes of power supply, from generation, transmission and substation, distribution and consumers, is visualized in various forms in the in-house business system and used to aid decision-making.

또한, 많은 사내 직원이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영업배전정보 시스템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지리정보에서 D/L, 개폐기, 전주 등의 설비의 시각화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sales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that many in-house employees use for their work uses GIS to provide information through visualization of facilities such as D/L, switches, and electric poles in geographical information, which is very helpful to work.

이와 같이 일반적인 정보시스템에서는 차트, 표, 대시보드 등의 형태로 전력 데이터 및 전력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GIS를 활용한 시스템은 각각의 설비마다의 한 지점 또는 특정 영역에 대한 시각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 this way, general information systems provide power data and power statistical data in the form of charts, tables, dashboards, etc., and systems using GIS provide visualization information for one point or specific area for each facility. there is.

그러나, 현재는 전력 설비, 고객 등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데이터와 지리정보를 융합하여 데이터의 표준화 및 전처리를 통해 행정구역, 격자, 본부/사업소 단위로 시각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지리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전력 데이터 및 전력 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는 실정이다.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system that can integrate power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power facilities, customers, etc. and visualize it by administrative district, grid, and headquarters/business office through standardization and preprocessing of the data, so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not available.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various power data and power statistical data using .

다만, 통계청이나 국토지리정보원등 국내 GIS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지표는 다양하지만 전력 분야에 특화되어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lthough the indicators provided by domestic GIS platforms such as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re diver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not specialized for the power sector.

또한, GIS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처리한 전력 통계 데이터를 API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없어 유용한 GIS 기반 전력통계 데이터를 다양한 시스템에서 활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In addition, there is no service that provides GIS-based power statistical data preprocessed in API form, making it difficult to utilize useful GIS-based power statistical data in various syst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GIS를 기반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정보 기반의 전력 통계 데이터 및 GIS 레이어를 생성하여 구획 별로 사용자 UI 및 API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s to collect power data based on GIS and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based power statistical data and GIS layer to create user UI and API for each section. It provides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는,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비롯하여 매핑데이터 및 전력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사용자 UI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디스플레이;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실행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 및 데이터 수집모듈, 데이터 저장모듈, 입력모듈,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operatively coupled to)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 간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GIS 기준 레이어에 기초하여 매핑정보와 수집된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UI에 따라 GIS 기준 레이어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에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from a legacy system; A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collected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as well as mapping data and power statistics data;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user UI input; display; Memory with a built-in executable program that visualizes and provides power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a data collection module, a data storage module, an input module, a display, and a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runs an executable program to collect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power data is mapped and the mapp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Based on the GIS standard layer, the mapping information, collect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are preprocessed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and then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It is stored in and is characterized by visualizing power statistical data in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IS standard layer according to the user UI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and providing it through a display.

본 발명에서 전력데이터는, AMI 검침정보, 기상정보, 신재생 발전량 및 영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data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AMI meter rea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amount, and business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데이터 저장모듈은,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데이터 저장모듈; 전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력데이터 저장모듈;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매핑데이터 저장모듈; 및 전력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torage module includes a location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location-based equipment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 power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power data; A mapping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mapping information; and a statistical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power statistical data.

본 발명에서 GIS 기준 레이어는, 전국을 설정거리 단위의 격자, 행정구역, 본부 및 사업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IS standard layer is characteriz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one or more of a grid in units of set distances, administrative districts, headquarters, and business offices.

본 발명은 연계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통신모듈을 통해 API 호출을 입력받아 GIS 기준 레이어에 따라 전력통계 데이터를 연계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linked system,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an API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es power statistical data to the linked system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프로세서가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 간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GIS 기준 레이이어에 기초하여 매핑정보와 수집된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UI에 따라 GIS 기준 레이어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에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ower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processor collecting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through a data collection module and storing them in a data storage module; A step of the processor mapp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stored in a data storage module and storing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module; A processor preprocesses mapping information, collect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based on the GIS standard layer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and then stores it in a data storage module; And a step where the processor visualizes power statistical data in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a GIS reference layer according to a user UI input through an input module and provides it through a display.

본 발명에서 전력데이터는, AMI 검침정보, 기상정보, 신재생 발전량 및 영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data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AMI meter rea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amount, and business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GIS 기준 레이어는, 전국을 설정거리 단위의 격자, 행정구역, 본부 및 사업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IS standard layer is characteriz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one or more of a grid in units of set distances, administrative districts, headquarters, and business offices.

본 발명은 프로세서가 통신모듈을 통해 연계 시스템으로부터 API 호출을 입력받아 GIS 기준 레이어에 따라 전력통계 데이터를 연계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the processor receiving an API call from the link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ing power statistical data to the linking system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그 방법은 GIS를 기반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정보 기반의 전력 통계 데이터 및 GIS 레이어를 생성하여 구획 별로 사용자 UI 및 API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행정구역 및 특정 구획 별로 전력 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정보를 활용한 의사결정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power data based on GIS,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based power statistical data and a GIS layer, and provides user UI and API services for each section. By providing this, power statistical data can be visualiz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specific division and effectively used for decision-making using information or discovering new business mode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위치정보 기반의 매핑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GIS 기준 레이어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GIS 기준 레이어들을 시각화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GIS 기준 레이어에 따른 전력통계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베이스 맵을 활용한 사용자 UI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사용자 UI에 따른 시각화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location information-based mapping information in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able showing the GIS reference layer in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visualizing GIS reference layers in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power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in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user UI screen using a base map in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visualization results according to user UI in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visualiz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위치정보 기반의 매핑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GIS 기준 레이어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GIS 기준 레이어들을 시각화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GIS 기준 레이어에 따른 전력통계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베이스 맵을 활용한 사용자 UI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서 사용자 UI에 따른 시각화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location information-based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mapping information, and Figure 3 is a table showing the GIS reference layer in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table show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visualizing GIS standard layers in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ed, and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power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in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user UI screen using a base map in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visualization results according to user UI in a data visualization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는, 데이터 수집모듈(10), 데이터 저장모듈(40), 입력모듈(20), 디스플레이(50), 메모리(60) 및 프로세서(30)를 비롯하여 통신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ollection module 10, a data storage module 40, an input module 20, a display 50, It may include a memory 60 and a processor 30 as well as a communication module 70.

데이터 수집모듈(10)은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한다. The data collection module 10 collects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from the legacy system.

여기서, 전력데이터는 AMI 검침정보, 기상정보, 신재생 발전량 및 영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ower data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MI meter rea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and sales information.

데이터 저장모듈(40)은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비롯하여 매핑데이터 및 전력통계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data storage module 40 stores collected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as well as mapping data and power statistics data.

따라서 데이터 저장모듈(40)은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데이터 저장모듈(410), 전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력데이터 저장모듈(420),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매핑데이터 저장모듈(430) 및 전력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데이터 저장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ata storage module 40 includes a location data storage module 410 for storing location-based equipment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 power data storage module 420 for storing power data, and a mapping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mapping information ( 430) and a statistical data storage module 440 that stores power statistical data.

입력모듈(20)은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해 선택한 사용자 UI를 입력받는다. The input module 20 receives the selected user UI as input to visualize power data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디스플레이(50)는 사용자 UI를 표출한다. The display 50 displays a user UI.

메모리(60)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실행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The memory 60 is equipped with an executable program that visualizes and provides power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프로세서(30)는 데이터 수집모듈(10), 데이터 저장모듈(40), 입력모듈(20), 디스플레이(50) 및 메모리(60)와 작동적으로 연결(operatively coupled to)된다. The processor 30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data collection module 10, the data storage module 40, the input module 20, the display 50, and the memory 60.

따라서, 프로세서(3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데이터 수집모듈로부터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모듈(40)에 저장한다. Accordingly, the processor 30 drives the executabl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60 and stores the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module in the data storage module 40.

이와 같이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에서 사용하는 위치정보는 국가별, GIS 서비스 정보 제공 업체별로 서로 다른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어, 프로세서(30)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때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EPSG:5179 좌표계로 표준화 및 변환하여 데이터 저장모듈(40)의 위치데이터 저장모듈(410)에 저장할 수 있다. As such, location information used in location-based facilities and customer information may use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for each country and GIS service information provider, so the processor 30 typically uses EPSG when collecting and storing data: It can be standardized and converted to the 5179 coordinate system and stored in the location data storage module 410 of the data storage module 40.

또한, 프로세서(30)는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력데이터의 Key(고객번호, 전력설비 ID, 기상 위치정보 등) 값과 기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의 위치정보 데이터의 Key 값을 검증한 후 데이터 저장모듈(40)의 전력데이터 저장모듈(420)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30 collects power data, verifies the key value of the power data (customer number, power facility ID, weather location information, etc.) and the key value of the previously collected location-based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n data It can be stored in the power data storage module 420 of the storage module 40.

이와 같이 프로세서(30)는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 간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40)에 저장한다. In this way, the processor 30 collects and stores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then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llected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and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in a data storage module ( 40) and save it.

즉, 프로세서(30)는 수집된 위치, 전력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각의 위치정보와 전력 데이터를 맵핑하고,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40)의 매핑데이터 저장모듈(430)에 저장한다. That is, the processor 30 maps each location information and power data using the collected location and power data, and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mapping data storage module 430 of the data storage module 40.

이와 같이 맵핑을 하게 되면 특정 전력 설비 및 고객의 위치에 대한 전력 사용량, 요금정보, 신재생 발전량 정보, 기상정보 등의 다양한 전력 데이터를 GIS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격자, 행정구역 단위로 전력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By mapping in this way, various power data such as power usage, rate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for specific power facilities and customer locations can be utilized based on GIS, and data preprocessing can be done at the grid and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You can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예를 들면, 프로세서(30)가 AMI 고객의 위치정보와 AMI 전력 사용량, 기상정보를 맵핑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의 전력 사용량과 기상정보 등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30 maps the AMI customer's location information, AMI power usage, and weather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power usage and weather information at a specific location can be found, as shown in FIG. 2.

이와 같이 특정 위치에서의 전력통계 데이터를 알기 위해 프로세서(30)는 GIS 기준 레이이어에 기초하여 매핑정보와 수집된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저장모듈(40)의 통계데이터 저장모듈(440)에 저장한다. In this way, in order to know power statistical data at a specific location, the processor 30 preprocesses mapping information, collect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based on the GIS standard layer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and then stores it in a data storage module. It is stored in the statistical data storage module 440 of (40).

여기서, GIS 기준 레이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을 설정거리 단위의 격자, 행정구역, 본부 및 사업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되어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GIS standard layer can be 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one or more of a grid of set distance units, administrative districts, headquarters, and business offices, as shown in FIG. 3.

즉, 프로세서(30)는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GIS 기준 레이어를 격자(Grid), 행정구역, 본부/사업소 단위의 GIS 기준 레이어(Layer)를 생성한다. That is, the processor 30 preprocesses the power data as shown in FIG. 3 through data preprocessing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by converting the GIS standard layer into a grid, administrative district, and GIS standard at the headquarters/business office level. Create a layer.

따라서 프로세서(30)는 도 4와 같이 실제 생성된 10km 단위의 격자, 시/도 단위 행정구역, 본부별 GIS 레이어를 시각화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cessor 30 can visualize the actually created 10 km grid, city/provinc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headquarters-specific GIS layers as shown in FIG. 4.

예를 들어, GIS 기준 레이어와 맵핑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격자, 행정구역(예: 서울시 서초구 역삼동), 본부/사업소(남서울본부)의 전력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도 5의 왼쪽과 같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정보와 10km 단위의 격자를 활용하여 전국의 10km 단위의 격자별 기온정보 통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오른쪽과 같이 본부별로 월별 평균 태양광 발전 시간 통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using GIS standard layers and mapping information, power statistical data for a specific grid, administrative district (e.g., Yeoksam-dong, Seocho-gu, Seoul), and headquarters/business office (Namseoul Headquarters) can be generated,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an be used as shown on the left of Figure 5. By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d by and the 10km grid, you can display statistical data 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10km grid across the country, and you can display monthly average solar power generation time statistical data for each headquarters as shown on the right.

이와 같이 프로세서(30)는 입력모듈(2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UI에 따라 GIS 기준 레이어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에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제공한다. In this way, the processor 30 visualizes power statistical data in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GIS reference layer according to the user UI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20 and provides it through the display 50.

여기서, 프로세서(30)는 전처리가 완료된 지리정보 기반의 전력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지도에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UI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Here, the processor 30 uses preprocessed power statistics data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to visualize the power statistics data on an actual map and displays it through a user UI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맵과 GIS 기준 레이어를 통해 전력통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충북본부의 변압기 용량을 500m 단위로 예측한 결과를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부별로 태양광 평균 발전 시간을 시각화하고, 위성지도 및 설비도를 바탕으로 특정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실적을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power statistical data can be displayed through a base map and a GIS reference layer.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predicting the transformer capacity of the Chungbuk headquarters in 500m unit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50, and as shown in Figure 7, the average solar power generation time for each headquarters is visualized, and satellite maps and facility diagrams are provided. Based on this,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of a specific solar power plant can be visualized and displayed.

통신모듈(70)은 연계 시스템(80)과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70 communicates with the linkage system 80.

따라서 프로세서(30)는 통신모듈(70)을 통해 API 호출을 입력받아 GIS 기준 레이어에 따라 전력통계 데이터를 연계 시스템(80)에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cessor 30 can receive an API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70 and provide power statistical data to the linkage system 80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즉, 프로세서(30)는 연계 시스템(80)에 API 형태로 GIS 전력 레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연계 시스템(80)에서 자체의 베이스 맵 및 설비도 등에 API 형태로 제공된 GIS 전력 레이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processor 30 provides the GIS power layer in API form to the linkage system 80, allowing the linkage system 80 to service the GIS power layer provided in API form, such as its own base map and facility map. .

전력통계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해 레이어로 구축하고 WMS(Web Map Service) 및 WFS(Web Feature Service) 형태로 제공하면 새로운 용도의 GIS 소프트웨어를 개발 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service power statistics data, building it in layers and providing it in the form of WMS (Web Map Service) and WFS (Web Feature Ser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reused when developing GIS software for new purposes.

여기서, WMS는 GIS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써, 웹을 통해 지도 이미지 형식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레이어 또는 분석을 통해 생성된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Here, WMS is an interface for accessing GIS data and can be provided in map image format through the web. 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to visualize vector and raster data generated through analysis or layers stored in a data serv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에 따르면, GIS를 기반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정보 기반의 전력 통계 데이터 및 GIS 레이어를 생성하여 구획 별로 사용자 UI 및 API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행정구역 및 특정 구획 별로 전력 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정보를 활용한 의사결정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data is collected based on GIS, location information-based power statistical data and GIS layers are generated, and user UI and GIS layers are created for each section. By providing it through an API service,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make decisions using information or discover new business models by visualizing power statistical data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specific distric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visualiz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에서는 먼저, 프로세서(30)는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 수집모듈(10)을 통해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저장모듈(40)에 저장한다(S10). As shown in Figure 8, in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rocessor 30 executes an executable program to identify location-based facilities and customers through the data collection module 10.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ar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40 (S10).

즉, 프로세서(30)는 데이터 수집모듈(10)을 통해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한다. That is, the processor 30 collects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from the legacy system through the data collection module 10.

여기서, 전력데이터는 AMI 검침정보, 기상정보, 신재생 발전량 및 영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ower data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MI meter rea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and sales information.

이와 같이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에서 사용하는 위치정보는 국가별, GIS 서비스 정보 제공 업체별로 서로 다른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어, 프로세서(30)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때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EPSG:5179 좌표계로 표준화 및 변환하여 데이터 저장모듈(40)의 위치데이터 저장모듈(410)에 저장할 수 있다. As such, location information used in location-based facilities and customer information may use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for each country and GIS service information provider, so the processor 30 typically uses EPSG when collecting and storing data: It can be standardized and converted to the 5179 coordinate system and stored in the location data storage module 410 of the data storage module 40.

또한, 프로세서(30)는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력데이터의 Key(고객번호, 전력설비 ID, 기상 위치정보 등) 값과 기 수집된 위치기반의 설비의 위치정보 데이터의 Key 값을 검증한 후 데이터 저장모듈(40)의 전력데이터 저장모듈(420)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30 collects power data, verifies the key value of the power data (customer number, power facility ID, weather location information, etc.) and the key value of the previously collected location-based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n data It can be stored in the power data storage module 420 of the storage module 40.

S10 단계에서 위치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프로세서(20)는 데이터 저장모듈(40)에 저장된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 간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한다(S20). After collecting and storing the location data and power data in step S10, the processor 20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40 and the power data and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module. Save it (S20).

즉, 프로세서(30)는 수집된 위치, 전력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각의 위치정보와 전력 데이터를 맵핑하고,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40)의 매핑데이터 저장모듈(430)에 저장한다. That is, the processor 30 maps each location information and power data using the collected location and power data, and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mapping data storage module 430 of the data storage module 40.

이와 같이 맵핑을 하게 되면 특정 전력 설비 및 고객의 위치에 대한 전력 사용량, 요금정보, 신재생 발전량 정보, 기상정보 등의 다양한 전력 데이터를 GIS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격자, 행정구역 단위로 전력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By mapping in this way, various power data such as power usage, rate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for specific power facilities and customer locations can be utilized based on GIS, and data preprocessing can be done at the grid and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You can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예를 들면, 프로세서(30)가 AMI 고객의 위치정보와 AMI 전력 사용량, 기상정보를 맵핑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의 전력 사용량과 기상정보 등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30 maps the AMI customer's location information, AMI power usage, and weather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power usage and weather information at a specific location can be found, as shown in FIG. 2.

S20 단계에서 매핑정보를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프로세서(30)는 GIS 기준 레이이어에 기초하여 매핑정보와 수집된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저장모듈(40)의 통계데이터 저장모듈(440)에 저장한다(S30). In step S20, the mapp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and the processor 30 preprocesses the mapping information, collect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based on the GIS standard layer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and then stores the data. It is stored in the statistical data storage module 440 of the module 40 (S30).

여기서, GIS 기준 레이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을 설정거리 단위의 격자, 행정구역, 본부 및 사업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되어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GIS standard layer can be 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one or more of a grid of set distance units, administrative districts, headquarters, and business offices, as shown in FIG. 3.

즉, 프로세서(30)는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GIS 기준 레이어를 격자(Grid), 행정구역, 본부/사업소 단위의 GIS 기준 레이어(Layer)를 생성한다. That is, the processor 30 preprocesses the power data as shown in FIG. 3 through data preprocessing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by converting the GIS standard layer into a grid, administrative district, and GIS standard at the headquarters/business office level. Create a layer.

따라서 프로세서(30)는 도 4와 같이 실제 생성된 10km 단위의 격자, 시/도 단위 행정구역, 본부별 GIS 레이어를 시각화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cessor 30 can visualize the actually created 10 km grid, city/provinc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headquarters-specific GIS layers as shown in FIG. 4.

예를 들어, GIS 기준 레이어와 맵핑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격자, 행정구역(예: 서울시 서초구 역삼동), 본부/사업소(남서울본부)의 전력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도 5의 왼쪽과 같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정보와 10km 단위의 격자를 활용하여 전국의 10km 단위의 격자별 기온정보 통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오른쪽과 같이 본부별로 월별 평균 태양광 발전 시간 통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using GIS standard layers and mapping information, power statistical data for a specific grid, administrative district (e.g., Yeoksam-dong, Seocho-gu, Seoul), and headquarters/business office (Namseoul Headquarters) can be generated,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an be used as shown on the left of Figure 5. By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d by and the 10km grid, you can display statistical data 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10km grid across the country, and you can display monthly average solar power generation time statistical data for each headquarters as shown on the right.

S30 단계에서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프로세서(30)는 입력모듈(2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UI에 따라 GIS 기준 레이어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에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제공한다(S40). After generating and storing the power statistics data in step S30, the processor 30 visualizes the power statistics data in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GIS reference layer according to the user UI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20 and displays the display 50. It is provided through (S40).

여기서, 프로세서(30)는 전처리가 완료된 지리정보 기반의 전력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지도에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UI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Here, the processor 30 uses preprocessed power statistics data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to visualize the power statistics data on an actual map and displays it through a user UI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맵과 GIS 기준 레이어를 통해 전력통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충북본부의 변압기 용량을 500m 단위로 예측한 결과를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부별로 태양광 평균 발전 시간을 시각화하고, 위성지도 및 설비도를 바탕으로 특정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실적을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power statistical data can be displayed through a base map and a GIS reference layer.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predicting the transformer capacity of the Chungbuk headquarters in 500m unit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50, and as shown in Figure 7, the average solar power generation time for each headquarters is visualized, and satellite maps and facility diagrams are provided. Based on this,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of a specific solar power plant can be visualized and displayed.

S40 단계에서 사용자 UI에 따라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프로세서(30)는 통신모듈(70)을 통해 API 호출을 입력받아 GIS 기준 레이어에 따라 전력통계 데이터를 연계 시스템(80)에 제공한다(S50). In step S40, in addition to visualizing and displaying power statistics data according to the user UI, the processor 30 receives an API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70 and provides power statistics data to the linkage system 80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Do it (S50).

즉, 프로세서(30)는 연계 시스템(80)에 API 형태로 GIS 전력 레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연계 시스템(80)에서 자체의 베이스 맵 및 설비도 등에 API 형태로 제공된 GIS 전력 레이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processor 30 provides the GIS power layer in API form to the linkage system 80, allowing the linkage system 80 to service the GIS power layer provided in API form, such as its own base map and facility map.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따르면, GIS를 기반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정보 기반의 전력 통계 데이터 및 GIS 레이어를 생성하여 구획 별로 사용자 UI 및 API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행정구역 및 특정 구획 별로 전력 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정보를 활용한 의사결정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data is collected based on GIS, location information-based power statistical data and GIS layers are generated, and user UI and GIS layers are created for each section. By providing it through an API service,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make decisions using information or discover new business models by visualizing power statistical data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specific distric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 method or process, device, software program, data stream, or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devices or programs).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hardware, software, firmware, etc.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 device such as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processing device that includes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데이터 수집모듈 20 : 입력모듈
30 : 프로세서 40 : 데이터 저장모듈
50 : 디스플레이 60 : 메모리
70 : 통신모듈 80 : 연계 시스템
410 : 위치데이터 저장모듈 420 : 전력데이터 저장모듈
430 : 매핑데이터 저장모듈 440 : 통계데이터 저장모듈
10: data collection module 20: input module
30: processor 40: data storage module
50: Display 60: Memory
70: Communication module 80: Linkage system
410: Location data storage module 420: Power data storage module
430: Mapping data storage module 440: Statistical data storage module

Claims (9)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수집된 위치기반의 상기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상기 전력데이터를 비롯하여 매핑데이터 및 전력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사용자 UI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디스플레이;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실행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 및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입력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operatively coupled to)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집된 상기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상기 전력데이터 간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GIS 기준 레이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정보와 수집된 상기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상기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상기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UI에 따라 상기 GIS 기준 레이어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에 상기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A data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from legacy systems;
a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collected location-based equipment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the power data, as well as mapping data and power statistics data;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user UI input;
display;
A memory embedded with an executable program that visualizes and provides the power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Including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data collection module, the data storage module, the input module, the display, and the memory,
The processor drives an executable program to map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llected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the power data,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module, and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based on a GIS standard layer. The collected equipment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the power data are pre-processed to generate the power statistics data and then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and geographically based on the GIS reference layer according to the user UI entered through the input module.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tatistical data is visualized in information and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데이터는, AMI 검침정보, 기상정보, 신재생 발전량 및 영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AMI meter rea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amount, and business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위치기반의 상기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전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력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매핑데이터 저장모듈; 및
상기 전력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storage module,
A location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location-based equipment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 power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power data;
a mapping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and
A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comprising a statistical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power statistical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IS 기준 레이어는, 전국을 설정거리 단위의 격자, 행정구역, 본부 및 사업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de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IS standard layer is 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one or more of a grid in units of set distances, administrative districts, headquarters, and business offices.
제 1항에 있어서, 연계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API 호출을 입력받아 상기 GIS 기준 레이어에 따라 상기 전력통계 데이터를 상기 연계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linked system,
The processor receives an API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es the power statistical data to the linkage system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프로세서가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위치기반의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전력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위치기반의 상기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상기 전력데이터 간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GIS 기준 레이이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정보와 수집된 상기 설비 및 고객정보 데이터와 상기 전력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력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UI에 따라 GIS 기준 레이어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에 상기 전력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
A processor collecting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power data through a data collection module and storing them in a data storage module;
The processor mapp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ocation-bas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and the power data and storing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module;
The processor preprocesses the mapping information, the collected facility and customer information data, and the power data based on a GIS reference layer to generate power statistical data and then stores it in the data storage module; and
Visualizing the power statistical data in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a GIS reference layer by the processor according to a user UI input through an input module and providing the power data through a display; visualiz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comprising a. meth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데이터는, AMI 검침정보, 기상정보, 신재생 발전량 및 영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ower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AMI meter rea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renewable power generation, and business inform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GIS 기준 레이어는, 전국을 설정거리 단위의 격자, 행정구역, 본부 및 사업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
The power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IS standard layer is 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country into one or more of a grid in units of set distances, administrative districts, headquarters, and business offic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통신모듈을 통해 연계 시스템으로부터 API 호출을 입력받아 상기 GIS 기준 레이어에 따라 전력통계 데이터를 연계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시각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processor receiving an API call from a link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ing power statistical data to the linking system according to the GIS standard layer. How to visualize power data.
KR1020220083079A 2022-07-06 2022-07-06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2400062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079A KR20240006250A (en) 2022-07-06 2022-07-06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079A KR20240006250A (en) 2022-07-06 2022-07-06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250A true KR20240006250A (en) 2024-01-15

Family

ID=8954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079A KR20240006250A (en) 2022-07-06 2022-07-06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2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3918B (en) Distributed GIS state monitoring system based on open source map
US20160109491A1 (en) Grid topology mapping with voltage data
JP69808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CN107451150B (en) Geographic data presentation method and device
CN109933637B (en) Flood risk dynamic display and analysis system
Li et al. Webvrgis based city bigdata 3d visualization and analysis
CN111221867B (en) Protective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876114B1 (en) Terminal, server, system for 3d modeling and 3d model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2860825A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one map of irrigation area management
CN109840684A (en) Management method, equipment, system and the storage medium of architecture information
Qi et al. “Internet+” approach to mapping exposure and seismic vulnerability of buildings in a context of rapid socioeconomic growth: a case study in Tangshan, China
CN112862628A (en) Visual comprehensive display application platform for irrigation area
CN113011847A (en) Intelligent production operation comprehensive management network for gas pipeline and implementation method
CN206021354U (en) One kind is based on BIM and VR smart cities pipeline coordination platform
CN103049640A (en) Power grid multi-state and multi-dimensional display control metho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ssano et al. A GIS Open-Data Co-Simulation Platform for Photovoltaic Integration in Residential Urban Areas
Adejoh et al. Application of GIS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system
JP7224133B2 (en) Infrastructure equipment inspection support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inspec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20240006250A (en) Apparatus for visualizing managing power data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N102222311A (en) Electric distribution network geographic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based on Google Earth remote sensing image
Laaribi et al. GIS and the 2020 Census: Modernizing Official Statistics
KR20110128511A (en) 3d realtime airwatch system using web
KR10235951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information on energy facilities of smart city and method thereof
KR20210076844A (en) Method for displaying facility through augmented reality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Hong et al. Using 3D WebGIS to support the disaster simulation, management and analysis–examples of tsunami and fl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