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242A -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 Google Patents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242A
KR20240006242A KR1020220083049A KR20220083049A KR20240006242A KR 20240006242 A KR20240006242 A KR 20240006242A KR 1020220083049 A KR1020220083049 A KR 1020220083049A KR 20220083049 A KR20220083049 A KR 20220083049A KR 20240006242 A KR20240006242 A KR 2024000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 cap
water
control unit
op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빈
Original Assignee
김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빈 filed Critical 김수빈
Priority to KR102022008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242A/ko
Publication of KR2024000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2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병입구(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힌지홀(112)이 양단에 이격되어 형성된 병목(110), 병입구(111)의 일측으로부터 힌지 회전하여 개폐하는 병마개(121)와, 병마개(121)의 일측에 형성되고 힌지홀(112)에 인입되는 힌지축(122)과, 힌지축(122)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123)과, 회전축(123)에 치합된 감속기어와, 감속기어와 치합하여 회전축(123)을 회전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4)와, 서보모터와 제어부(124)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병마개(121)의 정역 회전에 의해 병입구(111)를 전자식으로 개폐하는, 병마개 개폐부(120), 및 병목(1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131)와, 본체(131)의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터치센서(132)로 구성되고, 터치센서(132)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폐쇄하도록 하는, 물수용부(13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만 병마개(121)를 개방하여 예기치 않은 물병의 전복에 의해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WATER BOTTLE HAVING ELECTRONICALLY OPENABLE CORK}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만 병마개를 개방하여 예기치 않은 물병의 전복에 의해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물병은 음료수, 특히 물을 일정량 담아 휴대할 수 있는 통으로서, 여행, 운동 등과 같이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깨끗한 물을 쉽고 편하게 마시기 위해 휴대하고 다니게 된다.
특히, 코로나-19 등의 호흡기관련 전염병으로 인해, 개인 물병을 자주 들고 다니는데, 무의식적으로 팔로 살짝만 툭 쳐도 물이 쏟아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한편, 어린이나 중고등학생들이 물을 물병에 담아 다니는데, 가방에서 보온병이나 물통의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아 물이 흘러나와 책이나 중요한 물건들이 젖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물을 마시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아주 중요한 일이지만, 가방이나 배낭을 통한 보관이동 중에 물을 쏟지 않고 안전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가 작업중에 커피나 음료가 담긴 보틀을 의도치 않게 넘어트리더라도 커피나 음료가 흘러 나오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507호 (음료 컨테이너 시스템, 2019.10.2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540호 (휴대용 물병, 2012.12.31)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만 병마개를 개방하여 예기치 않은 물병의 전복에 의해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단에 병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힌지홀이 양단에 이격되어 형성된 병목; 상기 병입구의 일측으로부터 힌지 회전하여 개폐하는 병마개와, 상기 병마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에 인입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치합된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서보모터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병마개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병입구를 전자식으로 개폐하는, 병마개 개폐부; 및 상기 병목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터치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센서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폐쇄하도록 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물수용부는, 저면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본체와, 상면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본체와 실링을 개재하여 나사체결되는 하단본체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본체의 내측면 또는 상기 하단본체의 내측면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향해 경사진 단면을 가진 원판 형상의 스토퍼가 내설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가이드하는 가이드링이 상기 상단본체의 내측면 또는 상기 하단본체의 내측면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수용부의 측면에 착탈식으로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상기 터치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드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패드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인코더를 포함하여, 상기 병마개의 개폐를 감지하거나, 상기 병목의 타측 상면에 형성된 전극과 상기 병마개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전극의 접촉여부에 의해 상기 병마개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마개의 저면 중심에는 UVC-LED가 노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마개의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UVC-LED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물병으로부터 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병마개를 개방하도록 하고, 물병을 내려놓으면 병마개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어서, 물병이 놓여진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물병을 쳐서 넘어지거나, 부주의하게 물병을 기울어진 상태로 놓아 넘어지거나,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해 물병이 넘어지더라도, 병마개가 병입구를 강제로 폐쇄하여 물이 흘러나와 주변을 젖시게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의 개폐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도 1의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의 단면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도 1의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의 도킹스테이션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도 1의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의 손잡이의 착탈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은, 상단에 병입구(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힌지홀(112)이 양단에 이격되어 형성된 병목(110), 병입구(111)의 일측으로부터 힌지 회전하여 개폐하는 병마개(121)와, 병마개(121)의 일측에 형성되고 힌지홀(112)에 인입되는 힌지축(122)과, 힌지축(122)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123)과, 회전축(123)에 치합된 감속기어와, 감속기어와 치합하여 회전축(123)을 회전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4)와, 서보모터와 제어부(124)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병마개(121)의 정역 회전에 의해 병입구(111)를 전자식으로 개폐하는, 병마개 개폐부(120), 및 병목(1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131)와, 본체(131)의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터치센서(132)로 구성되고, 터치센서(132)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폐쇄하도록 하는, 물수용부(13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만 병마개(121)를 개방하여 예기치 않은 물병의 전복에 의해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병마개 개폐형 물병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를 참고하면, 병목(110)의 상단에 병입구(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한 쌍의 힌지홀(112)이 양단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홀(112)에 힌지축(122)을 구비한 병마개(121)가 힌지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한다.
다음, 병마개 개폐부(12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병입구(111)의 일측으로부터 힌지 회전하여 병입구(111)를 개폐하는 병마개(121)와, 병마개(121)의 일측에 형성되고 힌지홀(112)에 인입되는 힌지축(122)과, 힌지축(122)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123)과, 회전축(123)에 치합된 감속기어(미도시)와, 감속기어와 치합하여 회전축(123)을 회전구동하는 서보모터(미도시)와,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4)와, 서보모터와 제어부(124)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로 구성되어서, 제어부(124)가, 후술하는 터치센서(132)의 터치 또는 노터치에 의해, 병마개(121)의 정역 회전에 의해 병입구(111)를 전자식으로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병마개(121)의 상단면에는 외부 습도 또는 수용된 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6)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물수용부(130)는 외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미도시)와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물수용부(130)는, 도 1을 참고하면, 병목(1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131)와, 본체(131)의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터치센서(132)로 구성되고, 터치센서(132)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폐쇄하도록 한다.
여기서, 물수용부로 예시하였으나, 물 이외에 커피, 음료 등 다양하게 섭취할 수 있는 액상의 식료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물병으로부터 물을 섭취하고자 본체(131)를 손으로 감싸면 터치센서(132)에 자연스럽게 접촉하게 되고, 제어부(124)는 1초 내지 2초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서보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병마개(121)를 개방하도록 하고, 물병을 내려놓으면 1초 내지 2초의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서보모터를 역회전 구동하여 병마개(121)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어서, 물병이 놓여진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물병을 쳐서 넘어지거나, 부주의하게 물병을 기울어진 상태로 놓아 넘어지거나,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해 물병이 넘어지더라도, 병마개(121)가 병입구(111)를 강제로 폐쇄하여 물이 흘러나와 주변을 젖시게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물수용부(130)는, 저면 내측으로 나사산(133)이 형성된 상단본체(130A)와, 상면 외측으로 나사산(134)이 형성되어 상단본체(130A)와 실링(미도시)을 개재하여 나사체결되는 하단본체(130B)로 분리 구성되어서, 결합시 실링에 의해 밀폐되어 수밀되고, 상단본체(130A)와 하단본체(130B)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내부공간을 사각지대없이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단본체(130A)의 내측면 또는 하단본체(130B)의 내측면에는 중공(135a)이 형성되고 중공(135a)을 향해 경사진 단면을 가진 원판 형상의 스토퍼(135)가 내설되고, 스토퍼(135)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가이드하는 가이드링(136)이 상단본체(130A)의 내측면 또는 하단본체(130B)의 내측면에 고정 형성되어서, 물병의 전복시에, 스토퍼(135)에 의해 대량의 물이 병입구방향으로 한번에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병입구(111)의 수밀상태가 완전하지 않더라도 물병 외부로 누수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수용부(130)의 측면에 착탈식으로 손잡이(141)가 결합되고, 손잡이(141)의 외주면에는 터치센서(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드(142)가 형성되어, 터치패드(142)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제어부(124)가 병마개(121)를 폐쇄하도록 하여서, 책상 위 등의 물병의 외부 노출시에는 터치센서(132) 또는 터치패드(142)의 터치에 의해 병마개(121)를 개방하도록 하고, 가방이나 배낭 등에 수납할 경우에는 손잡이(141)를 분리하여 수납이 보다 수월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41)는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손잡이(141)에 대향하는 물수용부(130)의 측면에는 손잡이(141)의 상하로 각각 절곡된 양단 체결구(143)가 삽입되는 상하 한 쌍의 체결홀(144)이 형성되어서, 손잡이(141)가 탄성적으로 굽혀져 체결구(143)가 체결홀(144)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각각 삽입되고, 손잡이(141)가 복원력에 의해 펴져서 체결홀(144)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구(143)의 외측면과 체결홈(144)의 내측면에는 톱니가 상응하여 형상으로 각각 배열되어 고정력을 보다 높이도록 하여 손잡이(141)가 체결홀(144)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보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인코더를 포함하여, 병마개(121)의 개폐를 감지하거나, 병목(110)의 타측 상면에 형성된 전극과 병마개(121)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전극의 접촉여부에 의해 병마개(121)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하여서, 제어부(124)가 서보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병마개(121)의 저면 중심에는 UVC-LED(125)가 노출되어 형성되고, 제어부(124)는 병마개(121)의 개폐를 감지하여 UVC-LED(125)의 구동을 제어하여서, 병마개(121)의 폐쇄시에는 UVC-LED(125)의 자외선에 의해 물 또는 물병 내벽의 유해한 바이러스, 세균 등을 살균하여 소독하도록 하고, 병마개(121)의 개방시에는 UVC-LED(125)의 구동을 정지하여 음료시 인체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24)가 병마개(121)의 개폐와 연동하여 UVC-LED(125)의 자외선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물수용부(130)의 외주면에는 한 라인 이상의 링타입의 LED(137)가 형성되어, 제어부(124)의 조작에 의해 무드등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고, 도 5를 참고하면, 도킹스테이션(150)으로의 안착에 따른 배터리의 무선충전시에 충전정도를 LED(137)의 색상 변화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물수용부(130)의 바닥면에는 도킹스테이션(150)에 의한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도 코일이 내설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물수용부(130)의 저면에는 바닥센서(139)와 자이로센서(미도시)가 형성되어, 바닥면과의 접촉시에, 제어부(124)는 물병이 바닥에 서있는 상태로 인식하여 병마개(1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물병이 바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가 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상태로 인식하여 병마개(121)를 개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해 물병이 넘어지는 경우, 바닥센서(139)가 바닥으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지만 자이로센서가 물병의 회전 전복을 인식하여 병마개(1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물수용부(130)의 저면에는 링형상의 체결구(138)가 형성되고, 도킹스테이션(150)의 도킹공간 내측에는 체결구(138)에 대응하는 체결홈(151)이 형성되어, 도킹시에 물병이 쉽게 전복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스테이션(150)의 도킹공간 저면에는 팬(152)이 형성되어 도킹된 물수용부(130)의 저면으로 냉기를 송풍하여서, 물수용부(130)에 담겨진 물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차가운 상태를 긴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물병의 도킹스테이션(150)과의 도킹시에, 물수용부(130)의 저면과 접촉하는 도킹스테이션(150)의 도킹공간 내주면에 형성되는 유도코일 또는 가열코일을 통해 물수용부(130)를 일정온도가 가열하여 물수용부(130)에 담겨진 따뜻한 물이나 음료를 일정시간동안 보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스테이션(150)은 제어패널(미도시)을 구비하여서, 도킹된 물병의 LED(137)의 조사패턴 또는 디밍단계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무드등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고, 물수용부(130)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거나 보온하도록 온도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배터리의 방전시에, 회전축(123)과 감속기어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병마개(121)를 개폐하도록 하는 푸시버튼방식의 스위치(127)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의 방전시에, 스위치(127)에 의해 회전축(123)과 감속기어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슬라이드바를 통해 병마개(121)의 저면을 수직방향으로 밀어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병목(110)의 타측 상면과 병마개(121)의 타측 저면은 후크와 후크홀에 의해 물리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후크는 스위치(127)의 푸시동작과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후크홀로부터 체결해제되면서 슬라이드바가 병마개(121)의 저면을 수직방향으로 밀어서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의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물병으로부터 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병마개를 개방하도록 하고, 물병을 내려놓으면 병마개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어서, 물병이 놓여진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물병을 쳐서 넘어지거나, 부주의하게 물병을 기울어진 상태로 놓아 넘어지거나,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해 물병이 넘어지더라도, 병마개가 병입구를 강제로 폐쇄하여 물이 흘러나와 주변을 젖시게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병목 111 : 병입구
112 : 힌지홀 120 : 병마개 개폐부
121 : 병마개 122 : 힌지축
123 : 회전축 124 : 제어부
125 : UVC-LED 126 : 디스플레이
127 : 스위치 130 : 물수용부
131 : 본체 132 : 터치센서
133,134 : 나사산 135 : 스토퍼
136 : 가이드링 137 : LED
138 : 체결구 139 : 바닥센서
141 : 손잡이 142 : 터치패드
143 : 체결구 144 : 체결홀

Claims (6)

  1. 상단에 병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힌지홀이 양단에 이격되어 형성된 병목;
    상기 병입구의 일측으로부터 힌지 회전하여 개폐하는 병마개와, 상기 병마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에 인입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치합된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서보모터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병마개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병입구를 전자식으로 개폐하는, 병마개 개폐부; 및
    상기 병목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터치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센서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폐쇄하도록 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는, 저면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본체와, 상면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본체와 실링을 개재하여 나사체결되는 하단본체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본체의 내측면 또는 상기 하단본체의 내측면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향해 경사진 단면을 가진 원판 형상의 스토퍼가 내설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가이드하는 가이드링이 상기 상단본체의 내측면 또는 상기 하단본체의 내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의 측면에 착탈식으로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상기 터치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드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패드의 일정시간 지속된 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개방하고, 일정시간 지속된 노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병마개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인코더를 포함하여, 상기 병마개의 개폐를 감지하거나,
    상기 병목의 타측 상면에 형성된 전극과 상기 병마개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전극의 접촉여부에 의해 상기 병마개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의 저면 중심에는 UVC-LED가 노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마개의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UVC-LED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KR1020220083049A 2022-07-06 2022-07-06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KR20240006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049A KR20240006242A (ko) 2022-07-06 2022-07-06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049A KR20240006242A (ko) 2022-07-06 2022-07-06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242A true KR20240006242A (ko) 2024-01-15

Family

ID=8954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049A KR20240006242A (ko) 2022-07-06 2022-07-06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24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540B1 (ko) 2009-07-03 2012-12-31 정향빈 휴대용 물병
KR102013507B1 (ko) 2016-05-12 2019-10-21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음료 컨테이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540B1 (ko) 2009-07-03 2012-12-31 정향빈 휴대용 물병
KR102013507B1 (ko) 2016-05-12 2019-10-21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음료 컨테이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8577T3 (es) Tapa para olla a presion.
US8955707B2 (en) Portable triple container
US9814345B2 (en) Baby formula preparation with warming system and customized pods
US5645191A (en) Disposable safety cup
GB2414922A (en) Cup with heating means and temperature regulation
US20070158352A1 (en) Double-walled beverage container with a viewing aperture
JP2000335616A (ja) 飲料容器の蓋体及びキャップ付き蓋体
WO2016204623A1 (en) Self-closing, slide and flip resistant drinking cup
US20060018187A1 (en) Mixing device for use with insulated container
WO2006015163A1 (en) Illuminated beverage container
KR20240006242A (ko) 전자식 병마개 개폐형 보틀
CN105852570B (zh) 一种单手操作杯的杯盖及杯子
KR102204586B1 (ko)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
CN205658732U (zh) 一种单手操作杯的杯盖及杯子
KR102219437B1 (ko) 텀블러 결합형 가습기
CN211066071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杯托
KR20140090827A (ko)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CN207985442U (zh) 一种自助调和液体饮品包装瓶
KR101890307B1 (ko) 다용도 휴대용 물병
KR102421152B1 (ko) 살균 텀블러
RU194439U1 (ru) Е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ов
CN219585025U (zh) 智能垃圾桶
KR100523533B1 (ko) 자외선 살균 장치
TW201915417A (zh) 消毒烘乾裝置
CN210471783U (zh) 一种新型便携加热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