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545A -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545A
KR20240005545A KR1020220082806A KR20220082806A KR20240005545A KR 20240005545 A KR20240005545 A KR 20240005545A KR 1020220082806 A KR1020220082806 A KR 1020220082806A KR 20220082806 A KR20220082806 A KR 20220082806A KR 20240005545 A KR20240005545 A KR 2024000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ucation
terminal
server
information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덕
Original Assignee
김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덕 filed Critical 김현덕
Priority to KR102022008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545A/ko
Publication of KR2024000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5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육 대상자들로 하여금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육비에 대한 환급률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은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교육(Online Education)을 신청하는 단계, 관리서버(Managing Server)로 온라인 교육의 신청에 대해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 교육서버가 대상자 단말기(Target Terminal)로 상기 온라인 교육에 대한 교육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 대상자가 상기 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온라인 교육을 수료하는 경우에,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온라인 교육의 수료를 알리기 위한 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료정보에 대응하여 교육계좌로 교육 지원비를 송금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 지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내에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환급계좌로 환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ONLINE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HIGH REFUND RATE}
본 발명은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육 대상자들로 하여금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육비에 대한 환급률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장에서는 근로자 개개인의 능력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직장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에는 근로자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강사를 초빙하여 강의를 개설하고 개설한 강의를 근로자가 직접 참여하여 수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강의실 준비, 강사 초빙 등으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온라인으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836호[문헌 1]에서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에 근로자의 인증을 본인의 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근로자 본인의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인증은 용이할 수 있으나, 근로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도 및 교육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836호
본 발명은 근로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도 및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근로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도 및 성취도를 향상시키면서도 교육에 대한 몰입도 및 성취도에 대응하여 교육비의 환급률을 다르게 설정하는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은 관리자(Manager)에 대응하는 관리자 단말기(Manager Terminal)에서 교육에 참여할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교육서버(Education Server)로 전송하고,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교육(Online Education)을 신청하기 위한 신청정보를 상기 교육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관리서버(Managing Server)로 상기 신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신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상기 온라인 교육의 신청에 대해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교육서버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상기 온라인 교육의 신청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허가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응하는 대상자 단말기(Target Terminal)로 상기 온라인 교육에 대한 교육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 대상자가 상기 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온라인 교육을 수료하는 경우에,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온라인 교육의 수료를 알리기 위한 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료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교육 대상자의 상기 온라온 교육의 수료를 확인하고 상기 교육서버에 대응되는 교육계좌로 교육 지원비를 송금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교육계좌에서 상기 교육 지원비의 입금을 확인하고 상기 교육 지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내에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환급계좌로 환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온라인 교육의 수료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발급하는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온라인 교육에 관련하여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교육 대상자가 상기 온라인 교육을 수료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점수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환급계좌로 환급되는 환급금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에 대응하는 콘텐츠(Contents)를 출력하고 있는 상기 대상자 단말기를 활성 단말기라고 할 때,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활성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서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개수의 대상자 단말기를 묶어서 조(Party)를 편성할 수 있다.
각각의 조에서는 조장(Part Leader)을 선출할 수 있다.
각각의 조별로 가산점, 즉 위치에 대한 가산점(위치에 따른 가산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First Party)에 포함된 모든 대상자 단말기가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고, 제 1 조에 포함된 모든 대상자 단말기가 활성 단말기인 경우에 제 1 조에 대응하여 위치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모든 대상자 단말기가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고, 관리자 단말기도 함께 기준 범위에 위치하고, 모든 대상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가 활성 단말기인 경우에 위치 가산점은 최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정보는 상기 대상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교재 및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활자교재(Textbook)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동영상 교재가 표시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자 단말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동영상 교재의 내용에 대응되는 상기 활자교재의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근로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도 및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교육비의 환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23은 교육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환급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1A, 이하 '서비스 장치'라 칭할 수 있다.)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자 단말기(10, Target Terminal), 관리자 단말기(20, Manager Terminal), 적어도 하나의 조장 단말기(30, Part Leader Terminal), 교육서버(40, Education Server), 관리서버(50, Managing Server) 및 적어도 하나의 강사 단말기(60, Lecturer 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비스 장치(1A)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상자 단말기(10)는 온라인 교육(Online Education, 이하 '교육'이라 칭할 수 있다.)에 참여할 교육 대상자에 대응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자 단말기(10)는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에 대응되는 단말기, 즉 근로자 본인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교육 대상자의 교육을 위한 교육 콘텐츠를 영상 및 음성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자는 본인의 단말기, 즉 대상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교육을 위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교육 대상자를 관리하는 관리자(Manager)에 대응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 단말기(20)는 사업장을 관리하는 고용주(업자), 공장장 등의 상급 관리자에 대응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대상자 단말기(1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관리자 단말기(20)를 사용하는 관리자도 교육 대상자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본인의 단말기, 즉 관리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교육을 위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에서는 교육에 참여할 교육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에서는 교육서버(40)로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에서는 교육 대상자에 대한 교육을 신청하기 위한 신청정보를 교육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조장 단말기(30)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 대상자를 포함하는 조(Party)를 대표하는 조장(Part Leader)에 대응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조장 단말기(30)는 대상자 단말기(1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조장 단말기(30)를 사용하는 조장도 교육 대상자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장은 본인의 단말기, 즉 조장 단말기(30)를 이용하여 교육을 위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조장은 조장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본인의 조에 속한 교육 대상자의 단말기, 즉 대상자 단말기(10)로 교육 시작을 알리는 정보 등의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60)는 교육을 진행하는 강사(Lecturer)에 대응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60)에서는, 강사가 본인의 강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육 콘텐츠를 영상 및 음성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60)에서는 녹화영상을 통해 강의가 진행되는 경우에 강사의 선택에 따라 소정의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60)에서 출제된 문제는 강의에 참여 중인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강사는 강사 단말기(60)를 이용하여 강의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강사 단말기(60)는 도시하지는 않아지만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Camera Part) 및 음성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부(Micro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60)를 촬영한 강의영상에 대한 정보 및 강의영상에 대응하는 활자교재 등의 강의정보를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교육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교육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육서버(40)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정보(대상자 단말기(10)에 대한 정보 등), 관리자에 대한 정보(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정보 등), 강사에 대한 정보(강사 단말기(60)에 대한 정보 등), 환급을 위한 계좌(환급계좌)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교육에 대한 신청정보를 관리서버(5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50)에게 신청정보에 대응하여 관리자 단말기(20)의 교육의 신청에 대해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교육에 참여하는 단말기, 즉 대상자 단말기(10)로 교육에 대한 교육정보, 예컨대 강의영상, 활자교재(Textbook)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대상자 단말기(10)로 강제로 온라인 교육에 따른 교육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교육 대상자가 대상자 단말기(10)를 통해 교육을 수료하는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20) 및 관리서버(50)로 교육의 수료를 알리기 위한 수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미리 설정된 교육계좌에서 교육 지원비의 입금을 확인하고 입금된 교육 지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내에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하는 계좌, 즉 환급계좌로 환급할 수 있다.
관리서버(50)는 교육서버(40)의 교육 대상자에 대한 교육을 관리하고, 교육비의 지원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50)는 국가기관 등 관리주체의 서버일 수 있다.
관리서버(50)는 교육서버(40)로 관리자 단말기(20)의 교육의 신청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는 허가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50)는 교육서버(40)로부터 수신한 수료정보에 대응하여 교육 대상자의 교육의 수료를 확인하고 교육서버(40)에 대응되는 교육계좌로 교육 지원비를 송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정을 위한 설정모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은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설정모드는 교육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먼저 관리자 단말기(20) 측에서의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설정모드에서 관리자 단말기(20)는 교육서버(40)에 접속하고, 관리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이름, 사업체명, 직위 등의 정보를 교육서버(40)에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교육서버(40)에 접속하여 관리자용 프로그램(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S10).
이후, 관리자 단말기(20)에서는 관리자용 앱을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교육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다(S11).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는 경우의 일례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에서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선정한 교육 대상자에 대해 온라온 교육을 신청할 수 있다(S12).
자세하게는, 관리자 단말기(20)는 교육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교육을 신청하기 위한 신청정보를 교육서버(40)에 전송하여 교육을 신청할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에서는 관리서버(50)에게 관리자 단말기(20)의 교육의 신청에 대해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S13).
예를 들면, 교육서버(40)는 관리서버(50)로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신청정보를 전송하여 교육의 신청에 대해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50)에서는 교육의 신청에 소정의 심과 과정을 통해 심사를 실시하고, 심사 결과에 따라 관리서버(50)는 교육을 허가할 수 있다(S14).
예를 들면, 관리서버(50)는 심사결과에 따라 교육서버(40)로 관리자 단말기(20)의 교육의 신청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허가할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는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한 허가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기(20)에서 신청한 교육에 대해 승인이 났음을 것을 알릴 수 있다.
그러면, 관리자 단말기(20)에서는 교육서버(40)에 대응되는 계좌, 즉 교육계좌로 교육비를 입금할 수 있다(S15).
교육계좌는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계좌, 즉 환급계좌로부터 교육비를 입금받거나 혹은 관리서버(50)에 대응되는 계좌로부터 교육 지원비를 입금받기 위해 교육서버(40)측에서 미리 설정한 계좌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계좌는 관리서버(50)에 대응되는 계좌로부터 입금 받은 교육 지원비의 일부 혹은 전부를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계좌, 즉 환급계좌로 환급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20)에서는 교육서버(40)에 교육에 필요한 필수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S16).
관리자 단말기(20)가 교육서버(40)로 전송하는 필수정보의 일례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수정보는 교육과정의 명칭에 대한 정보, 교육 대상자의 이름, 전화번호, 직급 등의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정보, 교육기간에 대한 정보, 교육비에 대한 정보, 환급액에 대한 정보, 환급률에 대한 정보, 환급계좌에 대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급률은 100%가 될 수 있다.
환급계좌는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계좌로서 교육비 환급을 위해 필수정보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자 단말기(20)가 교육서버(40)로 필수정보를 전송하면, 교육서버(40)에서는 필수정보를 근거로 하여 환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생성한 환급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교육서버(40)에서 생성하는 환급정보의 일례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환급정보는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환급계좌로부터 입금되는 교육비에 대한 정보(6,000,000원), 환급계좌에 대한 정보, 교육계좌에 대한 정보, 평가점수에 따른 환급액 및 환급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평가점수에 따라 환급률을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평가점수가 일정수준, 예컨대 60점 이상인 경우에는 환급률은 100%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강사 단말기(60) 측에서의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살펴보면, 설정모드에서 강사 단말기(60)는 교육서버(40)에 접속하고, 강사에 대한 정보, 예컨대 이름, 사업체명, 직위 등의 정보를 교육서버(40)에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60)는 교육서버(40)에 접속하여 강사용 프로그램(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S20).
이후, 교육서버(40)에서는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의 수신되는 신청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강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에 대응하는 강사를 관리자 단말기(20)의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강사로 지정할 수 있다.
교육서버(40)에서는 강사를 지정한 이후에 지정한 강사에 대응하는 단말기, 즉 강사 단말기(60)로 강의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S21).
교육서버(40)의 강의영상 요청에 대응하여 강사 단말기(60)에서는 촬영한 강의영상을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에서는 강사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한 강의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S22).
강사 단말기(60)는 강의영상과 함께 강의주제, 강의순서, 강의할 내용 등에 대한 강의정보를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는 강사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한 강의정보를 분석하여 강의영상의 각 부분에 대한 내용(강의 시점에 따른 내용)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육서버(40)는 총 60분 길이의 강의영상에서 강의시작시점부터 10분까지는 제 1 내용이 포함되고, 10분부터 30분까지는 제 2 내용이 포함되고, 30분터 60분까지는 제 3 내용이 포함되는 것으로 강의영상의 각 부분의 내용을 충분히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강사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한 강의영상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
제 S23 단계에서 판단결과 강의영상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능(Default 1)을 수행할 수 있다(S24).
제 1 기능은 활자교재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기능 혹은 교육서버(40)가 강사 단말기(60)로 강의영상에 대응되는 활자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달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23 단계에서 판단결과 강의영상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교육서버(40)에서는 강의영상을 분석하여 강의영상에 포함된 음성, 즉 강의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25).
교육서버(40)에서는 변환한 텍스트의 내용을 분석하여 키워드(Keyword)를 추출할 수 있다(S26).
교육서버(40)에서는 추출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활자교재(TB)를 검색(S27)하고 활자교재에서 키워드에 매칭(Matching)되는 부분을 판변할 수 있다(S28).
교육서버(40)에서는 판별한 부분을 강의영상에 연동시켜 저장할 수 있다(S29).
이후, 교육서버(40)에서는 강의영상과 함께 강의영상에 매칭되는 활자교재(TB)의 부분에 대한 정보를 함께 대상자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활자교재(TB)에 대한 정보는 강사 단말기(60)에서 교육서버(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사 단말기(60)는 문서 타입의 활자교재(TB)를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강사 단말기(60)는 활자교재(TB)가 책, 신문 등 간행물인 경우에 활자교재(TB)의 명칭, 간행일자 등의 정보를 교육서버(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교육서버(40)에서는 강사 단말기(60)가 제공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활자교재(TB)의 문서 파일을 준비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강사 단말기(60)에서 출제할 문제를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29a)하고, 판단결과 강사 단말기(60)에서 문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a 기능(Default 1a)을 수행할 수 있다(S29b).
제 1a 기능은 교육서버(40)가 강사 단말기(60)로 문제를 설정해 달라고 요청하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강사 단말기(60)에서 문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강사 단말기(60)에서 설정한 문제를 강의영상에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S29c).
예를 들어, 강사 단말기(60)에서 '오대강 사업과 탐욕의 역사'라는 주제로 강의영상(LV)을 제작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강사는 강사 단말기(60)를 이용하여 '오대강 사업과 탐욕의 역사'의 강의 내용에 관련된 제 1 문제 및 제 2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서버(40)는 제 1 문제와 제 2 문제를 '오대강 사업과 탐욕의 역사'에 대한 강의영상(LV)에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 1 문제 및 제 2 문제는 이후에 교육모드에서 '오대강 사업과 탐욕의 역사'에 대한 강의영상(LV)을 출력하는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되어 교육 대상자의 강의에 대한 몰입도, 성취도 등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대상자 단말기(10) 측에서의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살펴보면, 설정모드에서 대상자 단말기(10)는 교육서버(40)에 접속하여 대상자용 프로그램(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S30).
대상자 단말기(10)는 관리자 단말기(20)에서 교육서버(40)로 제공한 정보 이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교육서버(4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상자 단말기(10)는 선호하는 수강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의 추가가적인 정보를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대상자 단말기(10) 중에서 조장 단말기(30)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
제 S31 단계에서 판단결과, 조장 단말기(30)가 존재하는 경우에 조장 단말기(30)로 조장으로 선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조장으로 선출된 대상자, 즉 조장은 조장 단말기(30)를 이용하여 교육서버(40)에 접속하여 조장용 추가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S32).
조장용 추가기능은 조원에 대응되는 단말기, 즉 대상자 단말기(10)로 강의 시작을 알리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조장 단말기(30)에 추가기능을 설치한 이후에 수강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S33).
조장 단말기(30)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대상자 단말기(10)를 조별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교육 대상자들을 1조와 2조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조에서 조장(홍길동, 옹길동)을 선출(선택)할 수 있다.
조장에 대응되는 단말기를 조장 단말기(30)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대상자 단말기(10)를 조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조에서 조장 단말기(30)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조별로 교육을 독립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대상자의 교육 참여 의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설정모드에 완료되면 대상자에 대해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9 내지 도 23은 교육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교육모드는 교육 대상자를 교육하는 모드일 수 있다.
교육모드에서는 대상자 단말기(10)가 강의 영상 등의 교육 콘텐츠를 대상자가 확인이 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교육모드는 실시간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실시간 강의 모드 및 녹화된 강의영상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녹화 강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강의 모드 및 녹화 강의 모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명확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이 가능한 교육으로는 산업안전보건교육, 성희롱예방교육, 개인정보보호교육,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퇴직연금교육 등의 법정의무교육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으로는 사업주훈련 과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으로는 내일배움카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으로 법정의무교육, 사업주훈련 과정, 내일배움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으로는 당국 혹은 공공기관, 예컨대 산업인력공단으로부터 교육비를 환급(혹은 지원)받을 수 있는 형식의 교육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교육모드에서는 교육서버(40)가 교육 대상자를 확인할 수 있다(S100). 다른 관점에서 보면, 교육서버(40)가 온라인 교육에 대한 교육정보를 전송할 대상자 단말기(10)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대상자 단말기(10)로 교육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
예를 들면, 교육서버(40)는 강사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강의영상 및 활자교재(TB)에 대한 정보(교육정보)를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서버(40)는 교육정보를 강사 단말기(6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강사는 본인의 단말기, 즉 강사 단말기(60)를 이용하여 본인의 강의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강의가 시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20)하여 강의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 2 기능(Default 2)을 수행할 수 있다(S130).
제 2 기능은 강의가 곧 시작됨을 알리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120 단계에서 판단결과 강의가 시작되는 경우에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교육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140).
교육정보는 교육서버(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강의영상(LV)에 대한 정보, 강의영상(LV)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에 대한 정보, 강사에 대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강의영상(LV) 및 강의영상(LV)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강의영상(LV) 뿐 아니라 강의영상(LV)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도 함께 표시하는 경우에는 교육 대상자가 별도로 활자교재(TB)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교육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참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콘텐츠를 출력한 이후에 교육서버(40)는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수행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150).
여기서, 수행평가는 교육 대상자가 교육을 효과적으로 받는 있는지에 대한 평가일 수 있다. 수행평가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교육서버(40)는 수행평가의 결과에 따른 점수를 판별할 수 있다(S160).
여기서, 수행평가의 결과에 따른 점수는 평가점수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판별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S170)하고, 판단결과 판별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3 기능(Default 3)을 수행할 수 있다(S171).
제 3 기능은 평가점수가 기준 점수보다 낮아서 교육 수료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170 단계에서 판단결과 평가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는 교육 대상자에 대해 교육을 수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S180).
다른 관점에서 보면, 교육서버(40)에서 온라인 교육에 관련하여 교육 대상자에 대해 평가하고, 교육 대상자에 대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 교육 대상자가 온라인 교육을 수료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관리자 단말기(20) 및 관리서버(50)로 교육의 수료를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90).
다른 관점에서 보면, 교육서버(40)는 교육 대상자가 대상자 단말기(10)를 통해 온라인 교육을 수료하는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10) 및 관리서버(50)로 온라인 교육의 수료를 알리기 위한 수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교육의 수료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S191). 여기서, 인증서는 ISO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강의영상(LV)의 강의 내용에 대응하여 활자교재(TB)에서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부분은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의 (A)의 경우와 같이,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영상(LV)이 임의의 제 1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현재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강의영상(LV)에서 강사가 제 1 내용에 대해 음성으로 강의하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여기서, 교육서버(40)는 강의영상(LV)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를 키워드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강의 영상이 제 1 내용이 포함한다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활자교재(TB)에서 제 1 내용이 포함된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분이 강의영상(LV)과 함께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교육정보를 구성하여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1의 (A)의 경우와 같이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는 강의영상(LV)과 함께 제 1 내용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의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자교재(TB)의 부분이 활자교재(TB)의 어느 위치(몇 페이지, Page xx)에 존재하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위치정보(TBL)가 활자교재(TB)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1의 (B)의 경우와 같이,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영상(LV)이 제 1 내용과는 다른 제 2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현재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강의영상(LV)에서 강사가 제 2 내용에 대해 음성으로 강의하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강의영상(LV)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를 키워드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강의 영상이 제 2 내용이 포함한다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활자교재(TB)에서 제 2 내용이 포함된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분이 강의영상(LV)과 함께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교육정보를 구성하여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1의 (B)의 경우와 같이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는 강의영상(LV)과 함께 제 2 내용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의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활자교재(TB)의 부분이 활자교재(TB)의 어느 위치(몇 페이지, Page yy)에 존재하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위치정보(TBL)가 활자교재(TB)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교육서버(40)는 강의영상(LV)의 강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강의 내용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의 부분이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강의영상(LV)에서 강사가 필기를 하는 경우에 교육서버(40)는 필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A)와 같이 강사가 강의영상(LV)에서 칠판 등에 강의 내용을 필기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는 강사가 필기한 내용을 분석하여 필기 내용을 판별할 수 있다.
교육서버(40)가 판별한 필기 내용의 일례가 도 12의 (B)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는 강의영상(LV)을 시청하고 있는 교육 대상자들이 필기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별한 필기 내용을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2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교육서버(40)로부터 수신한 필기내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강사가 필기하는 내용을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교육 대상자가 교재를 별로도 준비하지 않아도 충분한 교육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강의영상(LV)을 교육서버(40)에 미리 저장하고, 강의 시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던 강의영상(LV)을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강의가 시작되면 교육서버(40) 및 강사 단말기(60)는 실시간 강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간 강의 모드에서 강의가 시작(S141)되면 강사 단말기(60)는 강사가 강의하고 있는 영상, 즉 강의영상을 촬영(S142)하고, 촬영한 강의영상을 교육서버(4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에서는 강사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한 강의영상을 분석(S143)할 수 있다.
교육서버(40)에는 강의영상에 강사의 필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4).
제 S144 단계에서 판단결과 강의영상에 필기가 포함되지 않는 교육서버(40)는 강의영상(LV)에 포함된 음성을 분석하여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150).
이를 위해 TTS(Text To Speech)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TS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TTS기술에 대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교육서버(40)는 변환한 텍스트의 내용을 분석(S151)하여 변환한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S152)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추출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활자교재(TB)를 검색(S153)하여 활자교재(TB)에서 추출한 키워드에 대응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부분을 판별할 수 있다(S154).
이후, 교육서버(40)는 판별한 활자교재(TB)의 부분에 대한 정보를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자 단말기(40)에서는 교육서버(40)로부터 전송받은 활자교재(TB)의 부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화면에 활자교재(TB)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S155).
실시간 강의 모드에서 강의영상의 음성에 대응하여 활자교재(TB)의 일부를 판별하는 내용은 앞선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충분히 유사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S144 단계에서 판단결과 강의영상에 필기가 포함된 경우에는 교육서버(40)는 해당 필기를 분석하여 필기의 내용을 판별할 수 있다(S145).
이후, 교육서버(40)는 판별한 필기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필기에 관련된 텍스트를 추출(S146)하고, 추출한 텍스트를 필기교재(HW)로서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필기교재(HW)를 교육 대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147).
여기서, 필기교재(HW)는 강의영상에서 강사가 필기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필기교재(HW)를 문서 파일 형태로 가공 및 생성(S148)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문서 파일 형태의 필기교재(HW)를 실시간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고 있는 대상자 단말기(10)에 전송(S149)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필기교재(HW)를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한 이후에 강의영상에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S150)하여 분석(S151)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실시간 강의 모드에서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교육정보의 일례가 도 14에 나타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실시간 강의 모드에서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실시간 강의 영상(LLV), 실시간강의영상(LLV)에 대응되는 활자교재(TB)의 부분, 강사의 필기 내용에 대응하는 필기교재(HW)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교육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도 및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강사의 필기의 판단은 필기 내용의 존재 여부, 필기 내용의 등작 시점 및 강사의 필기 동작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1시점에서 강의가 시작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강의가 시작되기 이전, 즉 t1시점 이전의 t0시점에 칠판에는 이미 A내용이 필기된 상태일 수 있다.
강의가 진행되면서 강사는 t1시점 이후의 t2시점에서 칠판에 A내용과는 다른 B내용을 필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는 칠판에 필기된 A내용은 현재 강의와는 관련이 없거나 관련이 상당히 적은 내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교육서버(40)는 B내용은 강의가 시작된 시점 이후에 등장(필기)된 것으로 현재 강의와 관련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육서버(40)는 B내용을 필기교재(HW)로서 대상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화면에 B내용을 필기교재(HW)로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교육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도 및 성취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강의 과정에서 돌발 퀴즈 형식으로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5를 살펴보면, 교육서버(40)는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교육에 관련된 콘텐츠를 출력한 이후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콘텐트에 대응되는 강의가 실시간 강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S200). 즉, 교육서버(40)는 현재 실시간 강의 모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제 S200 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실시간 강의 모드인 경우에는 교육서버(40)는 강의내용을 판별할 수 있다(S201). 예를들면, 교육서버(40)는 강의영상에서 강사가 필기하는 필기내용, 강사의 음성 등을 분석하여 현재 강의하고 있는 내용을 판별할 수 있다.
현재 실시간 강의 모드가 아닌 경우는 이후 도 1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교육서버(40)는 현재 강의영상(LV)에서 임의의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202)하여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 4 기능(Default 4)을 수행할 수 있다(S203).
제 4 기능은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기까지 대기하는 기능, 제 1 장의 강이가 종료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하는 기능 등이 가능하다.
제 1 장 강의 종료는 강사가 미리 설정된 식별마크를 이용하여 교육서버(40)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강사는 소정의 식별마크(NM)를 이용하여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었음을 교육서버(40)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강사가 실시간 강의 과정에서 식별마크(NM)가 표시된 팻말(Notice Board, NB)을 강사 단말기(60)의 카메라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강의영상(LV)에 식별마크(NM)가 포함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강의영상(LV)의 분석을 통해 강사가 식별마크(NM)를 포함하는 팻말(NB)을 제시했음을 확인하고, 강의영상(LV)에서 현재 강의 중인 장(Chapter)의 강의가 종료되었음을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교육서버(40)가 강사가 팻말(NB)을 이용하여 제시하는 식별(NM)를 이용하여 소정의 장의 강의의 종료를 판별하는 경우에는 보다 용이하게 문제 출제 시점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제 S202 단계에서 판단결과 강의영상(LV)에서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교육서버(40)는 현재 실시간 퀴즈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4).
실시간 퀴즈 모드는 교육서버(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문제가 아닌 강사가 강의를 진행하면서 즉석에서 제출하는 문제를 이용하여 교육 대상자를 평가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 S204 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실시간 퀴즈 모드인 경우에는 강사는 강의과정에서 퀴즈를 제출할 수 있다(S205).
예를 들면, 강사는 칠판 등의 필기 수단에 직접 문제를 필기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제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는 필기의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강사가 제출한 문제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강사는 음성으로 소정의 문제를 제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는 강사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강사가 제출한 문제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강사는 문제가 적힌 팻말을 들어올리는 방법으로 문제를 제출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강사가 실시간으로 제출한 문제를 분석(S206)하여 퀴즈 내용을 판별하고, 판별한 내용을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교육서버(40)가 판별하여 전송한 문제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S207).
실시간 강의 과정에서 대상자 단말기(10)에 문제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가 도 18의 (A)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육 대상자는 대상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돌발 퀴즈 문제에 대해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제출된 문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답을 입력할 수 있다(S208).
대상자 단말기(10)는 교육 대상자가 입력한 답변을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는 대상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답변에 대한 정보를 강사 단말기(60)로 전송하고 평가를 요청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60)에서는 강의 과정 혹은 강의 종료 이후에 대상자 단말기(10)의 답변에 대해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S209).
평가는 강사 단말기(60)에서 대상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답을 근거로 하여 대상자 단말기(10) 각각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대상자 단말기(10)에 대해 실시한 평가의 결과, 부여된 점수의 총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가산점을 해당 대상자 단말기(10)에 대응하여 부여할 수 있다(S210).
평가와 가산점 부여는 대상자 단말기(10) 각각에 대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를 개별평가라고 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대상자 단말기(10)에 대해 평가와 가산점 부여를 함께 통합실시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통합평가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별평가와 통합평가가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대상자 단말기(10) 별로 총 점수를 합산하여 개별평가를 진행하고, 개별평가에 따른 점수에 따라 각각의 대상자 단말기(10)에 대응하여 교육 수료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후, 모든 대상자 단말기(10)의 개별평가에 따른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환급금의 액수 및 환급률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급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S204 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실시간 퀴즈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교육서버(40)는 실시간 강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문제를 출제할 시점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S211).
이후, 교육서버(40)는 설정한 시점에 대응하여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S121).
자세하게는, 교육서버(40)는 설정한 시점에서 대상자 단말기(10)의 화면에 문제가 출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영상이 t1시점에서 시작하여 t10시점에서 종료되고, t1시점부터 t2시점까지는 제 1 내용에 대한 강의를 포함하고, t2시점부터 t3시점까지는 제 1 내용과 다른 제 2 내용에 대한 강의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는 제 1 내용에 대한 강의가 종료된 이후인 t2시점부터 t3시점사이에서 제 1 내용에 대응되는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제 2 내용에 대응되는 문제는 t3시점 이후에 출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교육서버(40)는 강의 내용에 대응하여 적절한 시점에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문제가 출제되었음을 알리는 표시알림 정보를 강사 단말기(60)로 전송하고(S213), 강사 단말기(60)로 현재 강의를 일시중지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4).
그러면, 강사 단말기(60)에서는 화면에 강의 일시정지를 요청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가 도 18의 (B)에 나타나 있다.
강사는 강사 단말기(60)에 표시된 강의 일시정지 요청에 대응하여 강의를 일시정지할 수 있다.
이처럼, 강의 과정에서 돌발 퀴즈 형태로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에는 교육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교육 대상자의 입장에서는 강의 과정에서 돌발 퀴즈 형태로 출제되는 문제에 대해 적절한 답변을 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가산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교육 대상자로 하여금 높은 환급률을 위해서 강의에 보다 몰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선 도 15의 제 S200 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실시간 강의 모드가 아닌 경우는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교육서버(40) 및 강의 단말기(60)는 녹화 강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S400).
녹화 강의 모드에서는 강사 단말기(60)에서 강의영상을 촬영하여 교육서버(40)로 전송하고, 강의영상에 대응하는 활자교재 등의 강의정보를 함께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서버(40)는 강사 단말기(60)로부터 전송받은 강의영상을 저장하였다가 강의시간에 대응하여 대상자 단말기(10)로 강의영상 및/또는 강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자 단말기(10)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점 혹은 교육 대상자가 선택한 시점에서 강의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강사 단말기(60)도 대상자 단말기(10)에 대응하여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강의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A시점에서 복수의 대상자 단말기(10)가 강의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강사 단말기(60)의 화면에도 강의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강사는 강의 단말기(60)를 이용하여 본인의 강의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녹화 강의 모드에서 새로운 문제를 출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개입 혹은 참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미리 저장된 강의영상에 대한 정보(길이(시간) 정보, 내용 정보 등)를 이용하여 현재 강의영상이 임의의 제 1 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S401).
이후, 교육서버(40)는 제 1 장에 대한 강의가 종료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2)하여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 5 기능(Default 5)을 수행할 수 있다(S403).
제 5 기능은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기까지 대기하는 기능, 제 1 장의 강이가 종료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하는 기능 등이 가능하다.
제 1 장 강의 종료는 교육서버(40)가 강의영상을 미리 분석하여 저장하고 있는 정보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육서버(40)는 강사 단말기(60)로부터 전송받은 강의영상 등의 강의정보를 미리 분석하여 강의영상에서 어느 부분이 어떠한 내용에 대한 강의를 포함하는지를 충분히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교육서버(40)는 녹화된 강의영상에서 제 1 내용이 포함되는 부분, 제 2 내용이 포함되는 부분 등의 상세한 정보를 미리 판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 S402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1 장의 강의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교육서버(40)는 녹화 강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문제를 출제할 시점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S404).
이후, 교육서버(40)는 설정한 시점에 대응하여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S405).
문제를 출제할 시점을 설정하고 설정한 시점에서 문제를 출제하는 방법은 앞선 도 15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충분히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교육서버(40)는 문제가 출제되는 시점에 대응하여 강의영상을 출력을 일시정지(S40)하고, 교육서버(40)는 문제가 출제되었음을 알리는 표시알림 정보를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S407)할 수 있다.
한편, 녹화 강의 모드에서 강사 단말기(60)에서는 교육서버(40)로 새로운 문제의 출제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의 (A)의 경우와 같이 녹화 강의 모드에서는 대상자 단말기(10) 및 강사 단말기(60)의 화면에 각각 강의영상(LV)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9의 (B)의 경우와 같이 녹화 강의 과정에 돌발 퀴즈 제안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방법으로 문제를 출제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사는 강의영상(LV)의 촬영과정에서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거나 새롭게 발견한 문제를 녹화 강의 과정에서 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강사 단말기(60)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자 단말기(10)에 연동하여 강의영상(LV)을 출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교육서버(40)는 교육의 몰입도, 집중도 및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xxxx년x월x일 a1시부터 a2시까지 녹화 강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녹화 강의 이전에 복수의 대상자 단말기(10), 바람직하게는 모든 대상자 단말기(10)에 xxxx년x월x일 a1시부터 a2시까지 녹화 강의가 있음을 알리는 공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서버(40)가 미리 공지한 xxxx년x월x일 a1시부터 a2시까지 녹화 강의에 참여하는 대상자 단말기(10), 즉 xxxx년x월x일 a1시부터 a2시의 사이에 교육서버(40)에 접속하여 강의영상(LV)을 출력하는 대상자 단말기(10)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보다 더 많은 경우에는 녹화 강의에 참여한 대상자 단말기(10)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산점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육서버(40)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대상자 단말기(10)의 입장에서는 추가적으로 부여되는 가산점을 이용하여 평가점수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환급률을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강사는 강사 단말기(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문제를 돌발 퀴즈 문제로 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강사 단말기(60)는 선택한 돌발 퀴즈 문제를 교육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0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교육서버(40)는 강사 단말기(60)에서 선택한 돌발 퀴즈 문제를 대상자 단말기(10)에 전송하고, 대상자 단말기(10)는 화면에 해당 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녹화 강의 과정에서 강사는 강사 단말기(60)에 직접 출제할 문제를 타이핑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1의 (A)의 경우와 같이, 강사 단말기(60)에서는 녹화 강의 과정에서 돌발 퀴즈를 제안하고, 돌발 퀴즈로 나갈 문제를 새롭게 작성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녹화 강의 과정에서 강사 단말기(60)에서 새롭게 작성하는 퀴즈 문제의 일례가 도 21의 (B)에 나타나 있다.
도 21의 (B)는 강사가 강사 단말기(6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가 아니고 강사 단말기(60)에서 새롭게 타이핑하여 작성한 문제일 수 있다.
이처럼, 녹화 강의 과정에서 강사 단말기(60)에 입력된 새로운 문제에 대한 정보는 교육서버(40)로 전송되고, 교육서버(40)는 새로운 문제에 대한 정보를 대상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1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상자 단말기(10)는 화면에 새로운 문제(돌발 퀴즈 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강의 과정에서 출제되는 문제에 대한 답변에 대응하여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가산점은 대상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부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2를 살펴보면, 강의가 시작되면 교육서버(40)는 활성 단말기를 판별할 수 있다(S220).
여기서, 활성 단말기는 현재 온라인 교육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대상자 단말기(10)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현재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 단말기(10) 혹은 강의영상(LV)을 화면에 출력하고 있는 대상자 단말기(10)를 활성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활성 단말기 각각에 대한 의치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S221).
여기서, 위치정보는 GPS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서버(40)는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는 활성 단말기의 개수를 판별할 수 있다(S222).
이후, 교육서버(40)는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23).
제 S223 단계에서 판단결과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7 기능(Default 7)을 수행할 수 있다(S224).
반면에, 제 S223 단계에서 판단결과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활성 단말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가산점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S225).
예를 들면, 강의실 등의 소정의 공간 내에 다수(기준 개수 이상)의 교육 대상자들이 모여서 함께 온라인 교육을 받는 경우에는 교육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에 가산점을 교육에 참여하는 대상자 단말기(10) 각각에 부여하는 것은 교육에 대한 몰입도, 성취도 등의 관점에서 타당할 수 있다.
기준 범위는 활성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활성 단말기 사이의 거리는 활성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판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를 100m(미터)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반경 100m이내에 위치하는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에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기준 범위를 적용할 기준 위치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육 대상자들이 모여서 강의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공간, 예컨대 강의실, 회의실, 강당 등을 미리 교육 장소로 설정하고, 교육 장소의 위치 정보를 기준 위치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준 위치, 예컨대 강당의 중심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 범위(반경 100m 등)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활성 단말기에 관리자 단말기(20)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226)하고, 관리자 단말기(2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8 기능(Default 8)을 수행할 수 있다(S229).
활성 단말기에 관리자 단말기(20)가 포함되다는 것은 관리자 단말기(20)에 교육에 참여하여 화면에 강의영상을 출력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자 단말기(10)의 일종인 관리자 단말기(20)도 활성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제 8 기능은 관리자 단말기(10)에게 교육에 참여하기를 권유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기준 범위 이내(강의실 등)로 위치를 이동하라고 알리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226 단계에서 판단결과 관리자 단말기(20)가 포함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7).
제 S227 단계에서 판단결과 관리자 단말기(20)의 위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제 8 기능을 수행(S226)하고, 반면에 관리자 단말기(20)가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가산점을 각각의 대상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S228).
예를 들어, 강의실 등의 소정의 공간 내에 다수(기준 개수 이상)의 교육 대상자들과 함께 사업주 등의 관리자가 함께 모여서 온라인 교육을 받는 경우에는 교육 대상자들은 관리자의 존재로 인해 강의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이고, 기준 범위 이내에 관리자 단말기(20)가 위치하는 경우에 가산점을 교육에 참여하는 대상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 각각 부여하는 것은 교육에 대한 몰입도, 성취도 등의 관점에서 타당할 수 있다.
복수의 대상자 단말기(10)를 조(Party) 단위로 분류하여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활성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판별(S221)한 이후에 활성 단말기를 조별로 분류할 수 있다(S230).
이를 위해 미리 소정 개수의 대상자 단말기(10)를 묶어서 조를 편성할 수 있다.
각각의 조에서는 조장을 선출(선택)할 수 있다.
선출된 조장에 대응하는 단말기가 조장 단말기(30)일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에서는 소정의 조에서 모든 조원의 단말기, 즉 소정의 조에 속한 모든 대상자 단말기(10)가 활성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1).
제 S231 단계에서 판단결과 모든 조원의 단말기가 활성 단말기인 경우에는 모든 조원의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2).
제 S232 단계에서 판단결과 모든 조원의 단말기가 활성 단말기이면서 제 1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S233).
예를 들어, 앞선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대상자 단말기(10)를 2개의 조(1조, 2조)로 분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각각의 조에 대응하여 교육 장소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조에 대해 교육 장소로 제 1 강의실을 설정하고, 제 2 조에 대해 교육 장소로 제 2 강의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조에 소속된 모든 교육 대상자들의 단말기, 즉 제 1 조의 대상자 단말기(10)가 제 1 강의실에 모여서 강의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에 교육서버(40)는 제 1 조의 각각의 대상자 단말기(10)에 대응하여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 2 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 S231 단계에서 판단결과 모든 조원의 대상자 단말기(10)가 활성 단말기가 아닌 경우 및 제 S232 단계에서 판단결과 모든 조원의 대상자 단말기(10)가 제 1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육서버(30)는 조별로 조장 단말기(30)에 이를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S234).
예를 들면, 조장 단말기(30)에게 조에 소속된 대상자 단말기(10)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 단말기가 아니거나 제 1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활성 단말기가 아니거나 제 1 기준 범위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대상자 단말기(10)를 이탈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서버(40)는 이탈 단말기에 대한 정보, 예컨대 단말기의 사용자, 즉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정보 등을 조장 단말기(30)로 전송(S235)하여 알릴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조장 단말기(30)로부터 재판단 요청이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재판단 요청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9 기능(Default 9)을 수행할 수 있다(S237).
제 9 기능은 해당 조에 대해 가산점 부여를 하지 않음을 알리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236 단계에서 판단결과 재판단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교육서버(40)는 다시 제 S231 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조원의 단말기가 활성 단말기인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조장 단말기(30)에는 이탈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탈 단말기에게 교육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별로 추가 가산점을 획득하기가 보다 용해질 수 있다.
가산점을 획득하게 되면 평가점수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달성할 수 있어서 빠른 시간내에 교육의 수료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가산점을 획득하게 되면 교육비 환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는 환급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환급모드는 교육의 완료된 이후, 즉 모든 교육 대상자가 온라인 교육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을 획득하여 수료를 인증받은 이후에 교육비의 적어도 일부 혹은 전부를 환급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환급모드에서는 교육서버(40)는 모든 교육 대상자의 교육 수료를 확인(S300)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관리서버(5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 생성한 수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50)에서는 교육서버(40)로부터 수신한 수료정보를 근거로 하여 모든 교육 대상자의 교육의 수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50)는 수료정보에 대응하여 교육서버(40)에 대응되는 교육계좌로 교육 지원비를 송금할 수 있다(S301).
교육 지원비는 법정의무교육, 사업주훈련 과정 등의 근로자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당국 혹은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비용일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에서는 교육 지원비의 입금을 확인(S302)할 수 있다.
교육서버(40)는 교육 대상자들의 교육에 대한 평가점수를 근거로 하여 환급률을 판별할 수 있다(S303).
여기서, 환급률은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환급계좌에서 교육계좌로 입금하는 교육비 대비 교육계좌에서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환급계좌로 환급되는 환급금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판별한 환급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환급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이후, 교육서버(40)에서는 관리자 단말기(20)에서 추가교육 요청이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305)하고, 판단결과 추가교육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판별한 환급률에 따른 환급액을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되는 계좌로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내에 입금하여 환급할 수 있다(S307).
여기서, 기준 기간은 관리서버(50)가 교육계좌로 교육 지원비를 송금하는 시점부터 카운팅되는 기간일 수 있다.
이처럼, 교육비가 환급되는 기간을 미리 설정하는 경우에는 사업주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에, 제 S305 단계에서 판단결과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추가 교육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교육서버(2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 대상자에 대해 추가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S306).
추가 교육에 대응되는 교육 대상자는 평가점수가 낮은 순서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 교육은 앞서 설명한 교육모드와 동일하거나 동일한 수준으로 충분히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추가 교육에 따라 점수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경우에는 환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든 교육 대상자가 교육을 수료하여 관리자 단말기(20) 측에서 교육서버(40)에 대응하는 교육계좌로 AAA교육에 대한 교육비 명목으로 총 600만원을 입금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AAA교육에 총 100명의 교육 대상자가 참여하고 참여한 100명의 교육 대상자들의 평균 평가점수가 85점이라고 더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앞선 도 5의 내용을 참조하면 환급률은 85%이고 환급액은 5,100,000원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리자 단말기(20)는 교육서버(40)로 추가교육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교육서버(40)에서는 추가교육 요청에 대응하여 AAA교육에 대한 평가점수가 낮은 하위 10%(기준비율)(10명)의 교육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다.
이후, 교육서버(40)는 선별된 10명의 교육 대상자에 대해 추가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추가교육을 통해 100명의 교육 대상자들의 평균 평가점수가 85점에서 95점으로 상승하는 경우를 더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는 환급률이 95%로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평가점수에 따라 교육비의 환급률을 다르게 설정하고, 아울러 환급률을 1차적으로 설정한 이후에 환급률을 올리기 위한 추가적인 기회(추가교육)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육 대상자들로 하여금 온라인 교육에 더 몰입하도록 함으로써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업자 측면에서는 높은 환급률을 확보할 수 있어서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관리자(Manager)에 대응하는 관리자 단말기(Manager Terminal)에서 교육에 참여할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교육서버(Education Server)로 전송하고,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교육(Online Education)을 신청하기 위한 신청정보를 상기 교육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관리서버(Managing Server)로 상기 신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신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상기 온라인 교육의 신청에 대해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교육서버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상기 온라인 교육의 신청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허가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응하는 대상자 단말기(Target Terminal)로 상기 온라인 교육에 대한 교육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육 대상자가 상기 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온라인 교육을 수료하는 경우에,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온라인 교육의 수료를 알리기 위한 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료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교육 대상자의 상기 온라온 교육의 수료를 확인하고 상기 교육서버에 대응되는 교육계좌로 교육 지원비를 송금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교육계좌에서 상기 교육 지원비의 입금을 확인하고 상기 교육 지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내에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환급계좌로 환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온라인 교육의 수료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발급하는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온라인 교육에 관련하여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교육 대상자에 대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교육 대상자가 상기 온라인 교육을 수료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점수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환급계좌로 환급되는 환급금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에 대응하는 콘텐츠(Contents)를 출력하고 있는 상기 대상자 단말기를 활성 단말기라고 할 때,
    상기 교육서버가 상기 활성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서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활성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정보는
    상기 대상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교재 및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활자교재(Textbook)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동영상 교재가 표시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자 단말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동영상 교재의 내용에 대응되는 상기 활자교재의 부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
KR1020220082806A 2022-07-05 2022-07-05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40005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806A KR20240005545A (ko) 2022-07-05 2022-07-05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806A KR20240005545A (ko) 2022-07-05 2022-07-05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545A true KR20240005545A (ko) 2024-01-12

Family

ID=8954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806A KR20240005545A (ko) 2022-07-05 2022-07-05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5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36A (ko) 2017-12-06 2019-06-14 (주) 군월드 건설안전교육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36A (ko) 2017-12-06 2019-06-14 (주) 군월드 건설안전교육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30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ssessment and training
JP2014512587A (ja) 通信授業のために他人の時間を予約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Dang ICT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an innovative university in Vietnam: Current practices and factors affecting ICT use
Schrenk et al. Reflecting on best practices for online learning in a Post-COVID-19 world.
KR1010124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준별 다자간 그룹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Tomczyk et al. ICT, digital literacy, digital inclusion and media education in Poland
Mytsyk et al. Telepractice in the system of providing correctional and developmental services to children with speech disorders: interaction at a distance
Jawarneh Improving Effectiveness of Mobile Learning Technology for use in Higher Education-A Comparative Study of the UK and Jordan
Ludlow et al. Updating knowledge and skills of practitioners in rural areas: A web-based model
Morrison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 sustainability of a one-to-one computing initiative at the high school level
KR20240005545A (ko) 높은 환급률을 갖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Roque et al. Massive open online courses for building statistical capacity in computer-assisted surveys
Kelly et al. Using screen recording platforms to increase instructor presence in an online classroom
Oliver et al. Telematics in rural education: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elematics for the delivery of specialist programmes for students in rural schools
Rafiki Pedagogical integration of the iPad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of grade 10 life sciences
Ellsworth IV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 reactions to new training devices
Yeung Synchronous web conferencing: Towards a pedagogical model for effective learning
Yang Educators’ Perception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sion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after COVID-19
KR102682177B1 (ko) 플립 러닝 기반의 학습 지원 시스템, 학습 지원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Edmundson What College and University Leaders Can Do To Help Change Teacher Education. Advancing the Agenda for Teacher Education in a Democracy: A Guide for College and University Leaders.
Al Ghamdi The influence of lecturer text-based immediacy on student engagement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in distance education in Saudi Arabia
Marcum Teacher and administrator perceptions of technology use in two West Virginia middle schools
Gravells et al. Planning and enabling learning in the lifelong learning sector
Öhrstedt et al. Studying online with special needs: A student perspective
Dorji The study of primary Bhutanes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towards th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