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497A - 안전의자 - Google Patents

안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497A
KR20240005497A KR1020220082668A KR20220082668A KR20240005497A KR 20240005497 A KR20240005497 A KR 20240005497A KR 1020220082668 A KR1020220082668 A KR 1020220082668A KR 20220082668 A KR20220082668 A KR 20220082668A KR 20240005497 A KR20240005497 A KR 20240005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lever
braking force
safety chai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도일
Original Assignee
권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도일 filed Critical 권도일
Priority to KR102022008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497A/ko
Publication of KR2024000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4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안전의자는, 시트, 등받이, 한 쌍의 팔걸이 및 다리를 포함하고, 다리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다리 로드들과, 각각의 다리 로드의 연장단 하부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 조립체들 및 다리의 중심부와 시트의 하부를 연결하며 시트가 높이조절 및 회전되게 하는 중심봉을 포함한다. 또한 안전의자는, 시트에 착석 시 바퀴 조립체의 바퀴의 구름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바퀴 제동수단;을 포함하되, 바퀴 제동수단은, 팔거리에 형성된 레버 장착공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레버; 바퀴 조립체들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된 다리의 중심부 하부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되, 레버의 작동에 의해 승강 운동하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력 발생부; 및 각각의 바퀴 조립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되, 제동력 발생부 승강 시 바퀴에 밀착되어 바퀴의 구름을 억제하고, 제동력 발생부 하강 시 퀴에서 이격되어 바퀴의 구름이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슈;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의자{SAFETY CHAIR}
본 발명(Disclosure)은, 착석 시 의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의 책상 등에 사용하는 사무용 의자는 팔거리의자(arm chair)에 다리 대신 바퀴(caster)가 설치된 것으로, 공간에서 이동하고자 할 때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의자가 360도 회전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사무용 의자는 바퀴의 구름이 자유롭기 때문에 착석 시 의자가 뒤로 밀리거나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노약자들의 경우 사무용 의자에 착석 시 낙상하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241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029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0599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204호.
본 발명(Disclosure)은, 의자에 착석 시 팔걸이에 구비된 레버를 가압하면 바퀴의 구름이 억제되고, 레버를 가압하던 힘을 회수하면 바퀴의 구름이 가능하게 하는 안전의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의자의 회전에 관계없이 바퀴의 구름을 제한하거나 구름이 가능하게 하는 안전의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르면, 시트, 등받이, 한 쌍의 팔걸이 및 다리를 포함하고, 다리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다리 로드들과, 각각의 다리 로드의 연장단 하부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 조립체들 및 다리의 중심부와 시트의 하부를 연결하며 시트가 높이조절 및 회전되게 하는 중심봉을 포함하는 안전의자에 있어서, 안전의자는, 시트에 착석 시 바퀴 조립체의 바퀴의 구름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바퀴 제동수단;을 포함하되, 바퀴 제동수단은, 팔거리에 형성된 레버 장착공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레버; 바퀴 조립체들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된 다리의 중심부 하부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되, 레버의 작동에 의해 승강 운동하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력 발생부; 및 각각의 바퀴 조립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되, 제동력 발생부 승강 시 바퀴에 밀착되어 바퀴의 구름을 억제하고, 제동력 발생부 하강 시 퀴에서 이격되어 바퀴의 구름이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안전의자에서, 레버는, 가압편; 가압편과 사잇각을 이루도록 가압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편; 및 가압편과 작동편의 연결부분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제 1 힌지축;을 포함하되, 레버는 제 1 힌지축을 매개로 레버 장착공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레버는 가압편이 레버 장착공을 통해 팔걸이의 상부면 외측으로 경사지게 노출되고 작동편이 레버 장착공을 통해 팔걸이의 하부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제 1 힌지축에 끼워지는 제 1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레버 장착공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안전의자에서, 제동력 발생부는, 내부가 빈 원통의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는 승강 하우징; 및 승강 하우징의 내부에 한정되는 승강 볼;을 포함하되, 승강 볼은 제 1 와이어를 매개로 레버의 작동편과 연결되며, 승강 하우징 및 상기 승강 볼은 레버의 가압편 가압 시 레버 장착공의 선단 측으로 선회되는 작동편에 의해 상승하고, 승강 하우징 및 승강 볼은 가압편을 가압하던 힘을 회수하면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안전의자에서, 제 1 와이어는 승강 하우징의 상부, 다리를 관통해 중심봉의 중심을 관통하거나 중심봉을 우회해 작동편의 연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안전의자에서, 승강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는 제 2 와이어들을 매개로 각각의 바퀴 조립체에 형성된 브레이크 슈와 연결되는 환형의 플랜지가 장착되되, 플랜지 상에는 바퀴 조립체들과 마주게 형성되는 연결공들이 형성되며, 연결공들에는 제 2 와이어들의 일단 측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안전의자에서, 플랜지는 각각의 브레이크 슈와, 각각의 브레이크 슈와 마주하는 바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 하우징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되, 플랜지의 내주면 상에 암나사를 형성되고, 승강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승강 하우징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수나사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안전의자에서, 브레이크 슈들은 각각의 바퀴 조립체의 바퀴 커버의 연장단에 제 2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브레이크 슈들은 제 2 힌지축에 끼워지는 제 2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바퀴에 밀착 및 이격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브레이크 슈들의 내측면 상단 측에는 제 2 와이어들의 타단 측이 연결되되, 브레이크 슈들은 제동력 발생부 상승 시 다리의 중심부 측으로 당겨지는 제 2 와이어에 의해 바퀴에 밀착되어 바퀴의 구름을 억제하고, 제동력 발생부 하강 시 제 2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바퀴에서 이격되어 바퀴가 구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안전의자에서, 제 2 와이어들의 타단은 다리 로드들을 따라 각각의 바퀴 조립체 측으로 연장되고, 다리 로드들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된 바퀴 조립체의 방향 전환축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바퀴를 구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지지체를 수평하게 관통해 브레이크 슈들의 내측면 상단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에 착석 시 팔걸이에 구비된 레버를 가압하면 바퀴의 구름이 억제되고, 레버를 가압하던 힘을 회수하면 바퀴의 구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자에 착석 시 의자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노약자들이 의자에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의 회전에 관계없이 바퀴의 구름을 제한하거나 구름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꼬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퀴 제동수단의 레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퀴 제동수단의 제동력 발생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퀴 제동수단의 브레이크 슈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바퀴의 구름이 억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는 종래 통상의 사무용 의자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는 종래 통상의 사무용 의자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는 시트(10)와, 시트(10)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을 받치는 등받이(20)와, 사용자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팔걸이(30) 및 시트(10), 등받이(20), 팔걸이(3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다리(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의 다리(40)는 종래 통상의 사무용 의자의 다리와 마찬가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다리 로드(42)들과, 각각의 다리 로드(42)의 연장단 하부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 조립체(50)들 및 다리(40)의 중심부와 시트(10)의 하부를 연결하되 시트(10)가 높이조절 및 회전되게 하는 중심봉(44)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를 구성하는 시트(10), 등받이(20), 팔걸이(30) 및 다리(40)의 연결관계는 종래 통상의 사무용 의자의 시트, 등받이, 팔걸이 및 다리의 연결관계와 대동소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는 종래 통상의 사무용 의자와는 다르게 시트(10)에 착석 시 바퀴 조립체(50)의 바퀴(52)의 구름(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바퀴 제동수단(110)을 더 포함한다.
바퀴 제동수단(110)은 레버(112)와, 시트(10)의 회전에 관계없이 레버(112)의 작동에 의해 승강 운동하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력 발생부(130) 및 제동력 발생부(130) 승강 시 바퀴(52)에 밀착되고 제동력 발생부(130) 하강 시 바퀴(52)에서 이격되는 브레이크 슈(160)를 포함한다.
먼저, 레버(112)는 어느 하나의 팔걸이(30) 또는 양측 팔걸이(30)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 어느 하나의 팔걸이(30) 또는 양측 팔걸이(30)에는 레버(112)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장착공(3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 장착공(32)은 팔걸이(30)의 선단 측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레버(112)는 가압편(114)과, 가압편(114)과 소정의 사잇각을 이루도록 가압편(114)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편(116) 및 가압편(114)과 작동편(116)의 연결부분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제 1 힌지축(118)을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레버(112)는 제 1 힌지축(118)을 매개로 레버 장착공(32)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레버(112)는 가압편(114)이 레버 장착공(32)을 통해 팔걸이(30)의 상부면 외측으로 경사지게 노출되고 작동편(116)이 레버 장착공(32)을 통해 팔걸이(30)의 하부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제 1 힌지축(118)에 끼워지는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에 의해 레버 장착공(32)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 제 1 힌지축(118)에 끼워진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의 일단은 레버 장착공(32)의 후단 측에 형성된 브라켓(122)에 끼워지고,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의 타단은 레버 장착공(32)의 선단 측과 마주하는 작동편(116)의 일측면에 걸쳐진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에 착석하기 위해 팔걸이(30)의 상부면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편(114)을 손으로 가압하면 가압편(114)은 제 1 힌지축(118)을 중심으로 레버 장착공(32)의 후단 측으로 선회되고 작동편(116)은 제 1 힌지축(118)을 중심으로 레버 장착공(32)의 선단 측으로 선회되는데, 이때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의 권선부는 압축된다(도 5 참조).
반대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에 착석한 상태 하에서 사용자가 가압편(114)에서 손을 때면 가압편(114) 및 작동편(116)은 압축되어 있던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의 복원력 및 제동력 발생부(130)의 자중에 의해 복귀된다. 즉, 가압편(114)은 제 1 힌지축(118)을 중심으로 팔걸이(30)의 상부 측으로 탄력적으로 선회하며 복귀되고, 작동편(116)은 제 1 힌지축(118)을 중심으로 팔걸이(30)의 하부 측으로 탄력적으로 선회하며 복귀된다(도 1 참조).
바람직하게는, 가압편(114)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넓은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직접 접촉하는 가압편(114)의 일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동력 발생부(130)는 바퀴 조립체(50)들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된 다리(40)의 중심부 하부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동력 발생부(130)는 내부가 빈 원통의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는 승강 하우징(132)과, 승강 하우징(132)의 내부에 한정되는 승강 볼(134)을 포함한다.
이때, 승강 하우징(132)의 내부에 한정된 승강 볼(134)은 제 1 와이어(136)를 매개로 레버(112)의 작동편(116)과 연결되는데, 승강 볼(134)에 연결된 제 1 와이어(136)는 승강 하우징(132)의 상부, 다리(40)를 관통해 중심봉(44)의 중심을 관통하거나 중심봉(44)을 우회해 작동편(116)의 연장단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승강 하우징(132)의 상부 및 다리(40)에는 각각 제 1 와이어(136)를 안내하는 제 1 안내공(138) 및 제 2 안내공(140 형성되고, 중심봉(44) 중심에는 중심봉(44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와이어(136)를 안내하는 제 3 안내공(142)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에는 중심봉(44)을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와이어(136)가 도시되어 있으며, 중심봉(44)의 중심을 관통하거나 중심봉(44)을 우회하는 제 1 와이어(136)는 다수의 방향전환 롤러(144)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작동편(116)과 연결된다.
여기서, 다수의 방향전환 롤러(144)들을 이용한 제 1 와이어(136)의 방향 전환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1 와이어(136)와 승강 볼(134)의 연결관계 및 제 1 와이어(136)와 작동편(116)의 연결관계를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제 1 와이어(136)가 승강 볼(134) 및 작동편(116)과 연결된다면 어떠한 연결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승강 하우징(132)의 외측면 상에는 제 2 와이어(150)들을 매개로 각각의 바퀴 조립체(50)에 형성된 브레이크 슈(160)와 연결되는 환형의 플랜지(146)가 장착된다.
이러한 환형의 플랜지(146) 상에는 바퀴 조립체(50)들과 마주게 형성되는 연결공(148)들이 형성되며, 연결공(148)들에는 제 2 와이어(150)들의 일단 측이 연결된다.
그리고 플랜지(146)는 각각의 브레이크 슈(160)와, 각각의 브레이크 슈(160)와 마주하는 바퀴(52)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 하우징(132)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례로, 플랜지(146)의 내주면 상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승강 하우징(132)의 외측면 상에 승강 하우징(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나사를 형성하여 플랜지(146)를 승강 하우징(132)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동력 발생부(1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에 착석하기 위해 팔걸이(30)의 상부면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편(114)을 손으로 가압하면 상승하고, 반대로 가압편(114)에서 손을 때면 하강하면서 브레이크 슈(160)들을 마주하는 바퀴(52)의 밀착 및 이격시킨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에 착석하기 위해 팔걸이(30)의 상부면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편(114)을 손으로 가압하면, 제 1 와이어(136)는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을 압축시키며 레버 장착공(32)의 선단 측으로 선회되는 작동편(116)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이렇게 당겨지는 제 1 와이어(136)에 의해 승강 볼(134) 및 승강 하우징(132)은 상승하는데, 이때 제 2 와이어(150)를 매개로 승강 하우징(132)의 플랜지(146)와 연결된 브레이크 슈(160)들은 바퀴(52)의 밀착되어 바퀴(52)의 구름을 억제한다(도 5 참조).
반대로, 사용자가 가압편(114)에서 손을 때면 제 1 와이어(136)는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의 복원력 및 제동력 발생부(130)의 자중에 의해 지면 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렇게 밀려나는 제 1 와이어(136)에 의행 승강 볼(134) 및 승강 하우징(132)은 하강하는데, 이때 브레이크 슈(160)들은 바퀴(52)의 구름이 가능하도록 바퀴(52)에서 이격된다(도 1 참조).
여기서, 승강 볼(134)이 승강 하우징(132)의 내부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고, 승강 볼(134)이 제 1 와이어(136)에 현수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시트(10)가 회전되더라도 제 1 와이어(136)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10)의 회전에 관계없이 제동력 발생부(130)가 승강 작동하게 된다.
브레이크 슈(160)들은 바퀴(52)를 구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각의 바퀴 조립체(50)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다시 말해, 브레이크 슈(160)들은 각각의 바퀴 조립체(50)의 바퀴 커버(54)의 연장단에 제 2 힌지축(162)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슈(160)들은 제 2 힌지축(162)에 끼워지는 제 2 비틀림 스프링(164)에 의해 바퀴 커버(54)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데, 제 2 힌지축(162)에 끼워진 제 2 비틀림 스프링(164)의 일단은 바퀴 커버(54)의 외측면 상에 걸쳐지고, 제 2 비틀림 스프링(164)의 타단은 브레이크 슈(160)들의 내측면 상단 측 걸쳐진다.
한편, 브레이크 슈(160)들의 내측면 상단 측에는 제 2 비틀림 스프링(164)의 타단에 간섭되지 않게 일단 측이 제동력 발생부(130)에 연결된 제 2 와이어(150)들의 타단 측이 연결된다.
이때, 제 2 와이어(150)들의 타단 측은 다리 로드(42)들을 따라 각각의 바퀴 조립체(50) 측으로 연장되며, 다리 로드(42)들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된 바퀴 조립체(50)의 방향 전환축(56)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바퀴(52)를 구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지지체(58)를 수평하게 관통해 브레이크 슈(160)들의 내측면 상단 측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바퀴 조립체(50)들의 방향 전환축(56)에는 방향 전환축(56)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제 4 안내공(166)이 형성되고, 바퀴 조립체(50)들의 바퀴 지지체(58)들에는 바퀴(52)의 구름에 간섭되지 않게 제 4 안내공(166)과 연통하는 제 5 안내공(168)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슈(160)들의 내측면 측에는 바퀴(52)에 밀착 시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 패드(17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슈(160)와 제 2 와이어(150)의 연결관계를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브레이크 슈(160)에 제 2 와이어(150)를 연결할 수 있다면 어떠한 연결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이렇게 형성된 브레이크 슈(160)들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에 착석하기 위해 팔걸이(30)의 상부면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편(114)을 손으로 가압하면 상승하는 제동력 발생부(130)에 작동에 의해 마주하는 바퀴(52)에 밀착되어 바퀴(52)의 구름을 억제하고, 반대로 가압편(114)에서 손을 때면 하강하는 제동력 발생부(130)의 작동에 의해 바퀴(52)가 구름 가능하게 바퀴(52)에서 이격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에 착석하기 위해 팔걸이(30)의 상부면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편(114)을 손으로 가압하면 제 1 와이어(136)는 레버 장착공(32)의 선단 측으로 선회되는 작동편(116)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이렇게 당겨지는 제 1 와이어(136)에 의해 제동력 발생부(130)는 상승하는데, 이때 제 2 와이어(150)는 상승하는 제동력 발생부(130)에 의해 다리(40)의 중심부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제 2 와이어(150)와 연결된 브레이크 슈(160)들은 제 2 비틀림 스프링(164)의 권선부를 압축시키면서 제 2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바퀴(52)의 외주면 측으로 선회해 바퀴(52)에 밀착되어 바퀴(52)의 구름을 억제한다(도 5 참조).
반대로, 사용자가 가압편(114)에서 손을 때면 제 1 와이어(136)는 제 1 비틀림 스프링(120)의 복원력 및 제동력 발생부(130)의 자중에 의해 지면 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렇게 밀려나는 제 1 와이어(136)에 의해 제동력 발생부(130)는 하강하는데, 이때 제 2 와이어(150)는 하강하는 제동력 발생부(130)에 의해 밀려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 슈(160)들은 제 2 비틀림 스프링(164)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바퀴(52)에서 이격되게 선회해 바퀴(52)가 구름 가능하게 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는 착석 시 팔걸이(32)에 구비된 레버(112)를 가압하면 바퀴(52)의 구름이 억제되고, 레버(112)를 가압하던 힘을 회수하면 바퀴(52)의 구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자(100)에 착석 시 의자(10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노약자들이 의자(100)에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의자(100)는 의자(100)의 회전에 관계없이 바퀴(52)의 구름을 제한하거나 구름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136, 150)의 꼬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시트, 등받이, 한 쌍의 팔걸이 및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다리 로드들과, 각각의 상기 다리 로드의 연장단 하부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 조립체들 및 상기 다리의 중심부와 상기 시트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시트가 높이조절 및 회전되게 하는 중심봉을 포함하는 안전의자에 있어서,
    상기 안전의자는,
    상기 시트에 착석 시 상기 바퀴 조립체의 바퀴의 구름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바퀴 제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바퀴 제동수단은,
    상기 팔거리에 형성된 레버 장착공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레버;
    상기 바퀴 조립체들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된 상기 다리의 중심부 하부 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승강 운동하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력 발생부; 및
    각각의 상기 바퀴 조립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되, 상기 제동력 발생부 승강 시 상기 바퀴에 밀착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을 억제하고, 상기 제동력 발생부 하강 시 상기 바퀴에서 이격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이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슈;들을 포함하는 안전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가압편;
    상기 가압편과 사잇각을 이루도록 상기 가압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편; 및
    상기 가압편과 상기 작동편의 연결부분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제 1 힌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레버는 상기 제 1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레버 장착공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압편이 상기 레버 장착공을 통해 상기 팔걸이의 상부면 외측으로 경사지게 노출되고 상기 작동편이 레버 장착공을 통해 상기 팔걸이의 하부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힌지축에 끼워지는 제 1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기 레버 장착공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안전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발생부는,
    내부가 빈 원통의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는 승강 하우징; 및
    상기 승강 하우징의 내부에 한정되는 승강 볼;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 볼은 제 1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레버의 작동편과 연결되며,
    상기 승강 하우징 및 상기 승강 볼은 상기 레버의 가압편 가압 시 상기 레버 장착공의 선단 측으로 선회되는 상기 작동편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승강 하우징 및 상기 승강 볼은 상기 가압편을 가압하던 힘을 회수하면 하강하는 안전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승강 하우징의 상부, 상기 다리를 관통해 상기 중심봉의 중심을 관통하거나 상기 중심봉을 우회해 상기 작동편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안전의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는 제 2 와이어들을 매개로 각각의 상기 바퀴 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브레이크 슈와 연결되는 환형의 플랜지가 장착되되,
    상기 플랜지 상에는 상기 바퀴 조립체들과 마주게 형성되는 연결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들에는 상기 제 2 와이어들의 일단 측이 연결되는 안전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각각의 상기 브레이크 슈와, 각각의 상기 브레이크 슈와 마주하는 상기 바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하우징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 상에 암나사를 형성되고, 상기 승강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상기 승강 하우징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수나사를 형성되는 안전의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들은 각각의 상기 바퀴 조립체의 바퀴 커버의 연장단에 제 2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 슈들은 상기 제 2 힌지축에 끼워지는 제 2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바퀴에 밀착 및 이격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브레이크 슈들의 내측면 상단 측에는 상기 제 2 와이어들의 타단 측이 연결되되,
    상기 브레이크 슈들은 상기 제동력 발생부 상승 시 상기 다리의 중심부 측으로 당겨지는 상기 제 2 와이어에 의해 상기 바퀴에 밀착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을 억제하고, 상기 제동력 발생부 하강 시 상기 제 2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퀴에서 이격되어 상기 바퀴가 구름 가능하게 하는 안전의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이어들의 타단은 상기 다리 로드들을 따라 각각의 상기 바퀴 조립체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리 로드들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바퀴 조립체의 방향 전환축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상기 바퀴를 구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바퀴 지지체를 수평하게 관통해 상기 브레이크 슈들의 내측면 상단 측에 연결되는 안전의자.






KR1020220082668A 2022-07-05 2022-07-05 안전의자 KR20240005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668A KR20240005497A (ko) 2022-07-05 2022-07-05 안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668A KR20240005497A (ko) 2022-07-05 2022-07-05 안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497A true KR20240005497A (ko) 2024-01-12

Family

ID=8954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668A KR20240005497A (ko) 2022-07-05 2022-07-05 안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49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92B1 (ko) 2000-01-12 2002-06-12 김남수 의자용 바퀴
KR200349204Y1 (ko) 2004-02-09 2004-04-30 이영상 의자 바퀴의 제동구조
KR101450599B1 (ko) 2014-02-11 2014-10-22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제동기능을 갖는 바퀴조립체
KR20220002411A (ko) 2019-05-20 2022-01-06 헝린 홈 퍼니싱 컴퍼니 리미티드 의자장치 및 그 별모양 베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92B1 (ko) 2000-01-12 2002-06-12 김남수 의자용 바퀴
KR200349204Y1 (ko) 2004-02-09 2004-04-30 이영상 의자 바퀴의 제동구조
KR101450599B1 (ko) 2014-02-11 2014-10-22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제동기능을 갖는 바퀴조립체
KR20220002411A (ko) 2019-05-20 2022-01-06 헝린 홈 퍼니싱 컴퍼니 리미티드 의자장치 및 그 별모양 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7931A1 (en) Piece of furniture
JP2017533069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CA1041893A (en) Elevationally adjustable surgical chair for a doctor
AU674736B2 (en) Recliner
US4078841A (en) TV chair with double pillow case and two-step ottoman
CN201480668U (zh) 一种椅子的椅脚
US2709827A (en) Self-locking caster
US10918211B2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KR20240005497A (ko) 안전의자
KR101245344B1 (ko) 가구용 바퀴
US7281724B1 (en) Wheeled work chair
CN112842724B (zh) 一种一体式老年人起立行走辅助装置
CN210748267U (zh) 一种可整体旋转的电动沙发
CN208405915U (zh) 一种康复护理用站立装置
KR102590653B1 (ko) 장애인용 전동 기립 의자
CN207949397U (zh) 一种升降座椅
KR101374075B1 (ko)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CN218683081U (zh) 一种电动调节午休椅
CN216854205U (zh) 一种用于咖啡厅具有旋转功能的铁椅子
JPH10181303A (ja) 椅子用キャスタ
US4533178A (en) Eccentrically rotatable chair
CN214648523U (zh) 一种具有短时自锁功能的儿童手推车
CN210842275U (zh) 一种办公转椅调节机构
CN220212410U (zh) 一种坐站椅的支撑机构及座椅
CN215076922U (zh) 自适应滑动支撑型椅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