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493A -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493A
KR20240005493A KR1020220082662A KR20220082662A KR20240005493A KR 20240005493 A KR20240005493 A KR 20240005493A KR 1020220082662 A KR1020220082662 A KR 1020220082662A KR 20220082662 A KR20220082662 A KR 20220082662A KR 20240005493 A KR20240005493 A KR 2024000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rank
rod
receiv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세현
Original Assignee
남세엔터테인먼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세엔터테인먼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남세엔터테인먼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493A/ko
Publication of KR2024000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02Block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barrel axis
    • F41A3/04Block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barrel axis with pivoting breech-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 F41A3/78Bolt buffer or recuperator means
    • F41A3/82Coil spring buff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5/00Mechanisms or systems operated by propellant charge energy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lock
    • F41A5/02Mechanisms or systems operated by propellant charge energy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lock recoi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100)에 대한 발명으로, 탄체(10)를 수용하는 약실(21)과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리시버(110);, 상기 리시버(110) 내부에 상기 약실(21)을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노리쇠(120);, 회전축(131)을 구비하여, 상기 리시버(110) 내부에 상기 노리쇠(120)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크랭크(130); 및 상기 노리쇠(120)와 상기 크랭크(130)를 서로 연결하는 로드(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Breechblock device in which recoil can be suppressed by rotational structure}
본 발명은 총기류에 있어서 격발 등에 의한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류는 화약 등에 의해 한 쪽이 밀폐된 관형 구조체 안에 삽입된 탄체를 고속으로 가속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류를 칭하며, 본 발명은 총기류의 노리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회전노리쇠 잠금 단반동식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총몸과; 상기 총몸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총열과; 상기 총열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총열연결쇠와; 상기 총열연결쇠의 후단부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단부를 가지는 노리쇠와; 상기 노리쇠의 후단부가 수용되는 노리쇠집과; 상기 총열을 전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총열용수철과; 상기 노리쇠집을 전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구동용수철과; 상기 총열연결쇠의 후단부에 노리쇠의 선단부가 걸려서 잠기게 하는 노리쇠잠금수단과; 상기 노리쇠잠금수단을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로 구동하는 잠금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2는 총기의 반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가스를 이용한 총기의 반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중앙부 하단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노리쇠뭉치헤드부; 상기 노리쇠뭉치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상단결합부재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노리쇠뭉치헤드부부에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재; 상기 노리쇠뭉치헤드부부에 공급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노리쇠뭉치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인식되면 상기 가스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가 상기 노리쇠뭉치헤드부에 공급되고 상기 노리쇠뭉치헤드부에 공급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노리쇠뭉치바디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3은 노리쇠를 갖는 무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리쇠는 무기 시스템의 드라이브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기 시스템은 무기 시스템의 반동하는 매스들의 반동으로 노리쇠 및 노리쇠 드라이브 사이에서 기계적 분리가 발생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수단을 포함하고, 반동하는 매스들의 전진 운동으로 노리쇠 드라이브 및 노리쇠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다시 형성된다. 본 특허문헌에는 노리쇠의 잠금을 해제하고 카트리지 케이싱을 제거할 때 노리쇠 드라이브에 작용하는 힘의 감소 또는 심지어 제거를 달성하기 위해, 반동 후 반동하는 매스들의 전진 운동 중 노리쇠의 실제 잠금 해제 및 카트리지 케이싱의 제거가 제공되며, 노리쇠가 잠금 될 때, 노리쇠 머리와 노리쇠 캐리어는 서로에 대해 잠금되어 있지만, 예상되는 무기 반동을 위해 노리쇠 드라이브를 향해 가이드들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구성이 제시된다.
특허문헌 004는 소형 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탄 발사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소형 화기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유닛 내에는 총신 조립체가 장착된다. 본 특허문헌의 반동 댐퍼 장치는 프레임 유닛과 총신 조립체 사이에서 작용하고, 총신 조립체의 노리쇠 구역과 프레임 유닛의 지지 구역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제시된다.
KR 10-0726193 (등록일자:2007년 06월 01일) KR 10-1791741 (등록일자:2017년 10월 24일) KR 10-2022-0049001 (공개일자:2022년 04월 20일) KR 10-2009-0112664 (공개일자:2009년 10월 28일)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격발 시의 반동이 억제되거나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탄체를 수용하는 약실과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리시버;, 상기 리시버 내부에 상기 약실을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노리쇠;,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리시버 내부에 상기 노리쇠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크랭크; 및 상기 노리쇠와 상기 크랭크를 서로 연결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상기 노리쇠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을 개방하도록 후퇴될 때, 상기 로드와 상기 크랭크의 연결점은 상기 회전축 하측에 있는 공간을 통과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크랭크 및 상기 노리쇠의 운동을 감쇠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노리쇠 또는 상기 크랭크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로드; 및 상기 노리쇠 또는 상기 크랭크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탄성 로드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체; 및 상기 축 지지체를 상기 리시버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체는 상기 리시버 내부에서 상기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을 개방하도록 후퇴될 때, 상기 로드와 상기 크랭크의 연결점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측 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로드와 크랭크의 연결점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타 측 공간을 통과하여 전진할 때, 상기 노리쇠가 상기 약실을 폐쇄하도록 전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크랭크의 연결점이 상기 타 측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탄체의 격발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n 번째 상기 탄체의 격발에 의한 상기 노리쇠의 후퇴에 의해 상기 크랭크가 회전되고, 상기 크랭크의 회전력에 의해 후퇴된 상기 노리쇠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약실의 폐쇄 및 n+1 번째 상기 탄체의 격발이 개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n은 자연수).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는 회전 구조에 의해 격발 시의 반동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거나 상쇄되는 등으로 억제되고, 나아가, 반동이 노리쇠의 기능 수행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구성 및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쇠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쇠 장치에서 노리쇠가 후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쇠 장치에서 노리쇠가 다시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리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리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100)에 있어서, 탄체(10)를 수용하는 약실(21)과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리시버(110);, 상기 리시버 내부에 상기 약실을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노리쇠(120);, 회전축(131)을 구비하여, 상기 리시버 내부에 상기 노리쇠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크랭크(130); 및 상기 노리쇠와 상기 크랭크를 서로 연결하는 로드(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100)에 대한 것으로, 리시버(110), 노리쇠(120), 크랭크(130), 로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110)는 총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총열(20)과 결합될 수 있다. 총열(20)의 내부에는, 탄체(10)가 수용되는 약실(21)과, 격발된 탄체(10)를 가이드하는 총강(22)이 형성될 수 있다. 리시버(110)는 탄체(10)를 수용하는 약실(21)과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노리쇠(120)는 약실(21)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리시버(110)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노리쇠(120)는 약실(21)을 개폐할 뿐만 아니라, 탄체(10)의 장전, 격발, 탄피 제거 및 탄체(10)의 재장전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크랭크(130)는 회전축(131)을 구비하여, 리시버(110) 내부에 노리쇠(120)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로드(140)는 노리쇠(120)와 크랭크(130)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을 후술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크랭크(130)는 노리쇠(120)의 후방에 위치되고, 노리쇠(120)가 약실(21)을 개방하도록 후퇴될 때, 로드(140)와 크랭크(130)의 연결점(P)은 회전축(131)의 하측에 있는 공간을 통과한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크랭크(130)와 노리쇠(120)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크랭크(130)의 회전축(13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체(10)의 격발에 의한 반력으로 노리쇠(120)는 약실(21)을 개방하면서 후퇴된다. 노리쇠(120)가 후퇴되는 방향은 탄체(10)가 발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노리쇠(120)의 후퇴 시 로드(140)에 의해 크랭크(130)가 회전되는데, 로드(140)와 크랭크(130)의 연결점(P)은 회전축(131)의 하측 공간을 통과함으로써, 크랭크(130)는 후단부가 상측으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2 및 3에서 반시계 방향, R).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격발 시 총열(20) 또는 리시버(110)의 전방 단부가 상측으로 올라가는 반동(토크, 도 2에서 시계 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상쇄될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노리쇠 장치(100)는 크랭크(13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크랭크(130) 및 상기 노리쇠(120)의 운동을 감쇠하는 완충부(15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크랭크(130)에 가해지는 부하는 탄성력, 유압, 마찰력, 전자기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완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50)는 크랭크(13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부하를 인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탄성력, 유압, 마찰력, 전자기력 등에 의해 생성되는 부하를 인가할 수 있다. 크랭크(130)에 부하를 가하여 회전 속도 및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크랭크(130)의 회전 운동 및 노리쇠(120)의 직선 운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랭크(130)의 회전 속도와 노리쇠(120)의 이동 속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회전력을 활용한 격발, 탄피 제거, 재장전 등 노리쇠(120)의 동작 및 기능이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3-1) 실시예 1-1에 있어서, 로드(140)는 노리쇠(120)와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로드(141); 및 크랭크(130)와 탄성 로드(141)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로드(142);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실시예 1-1에 있어서, 로드(140)는 크랭크(130)와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로드(141); 및 노리쇠(120)와 탄성 로드(141)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로드(142);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실시예 3-1 또는 3-2에 있어서, 탄성 로드(141)는 선형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로드(140)는 탄성 로드(141)와 지지 로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로드(141)는 격발에 의해 노리쇠(120)가 후퇴되는 반동을 탄성력에 의해 감쇠할 수 있다. 탄성 로드(141)는 선형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로드(142)는 노리쇠(120)와 크랭크(130) 간의 거리, 노리쇠(120)의 운동 구간과 탄성 로드(141)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140)에 탄성 지지력이 부여됨으로써, 노리쇠(120)의 반동이 완화된 상태로 회전축(131)을 통하여 리시버(110)에 전달됨으로써, 리시버(110) 또는 총기 전체에 전달되는 전후 방향의 반동(힘)이 저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4-1) 실시예 1-1에 있어서, 노리쇠 장치(100)는 리시버(110) 내부에서 회전축(131)을 지지하는 축 지지체(160); 및 축 지지체(160)를 리시버(11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17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축 지지체(160)는 크랭크(130)의 후방에 위치되고, 탄성체(170)는 리시버(110)의 내벽 후단부로부터 축 지지체(160)를 후방에서 지지한다.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축 지지체(160) 및 탄성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지지체(160)는 리시버(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크랭크(130)의 후방에서 회전축(131)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70)는 축 지지체(160)의 후방에 위치되어, 축 지지체(160)를 리시버(110)의 내벽에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170)는 축 지지체(16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선형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4-3) 실시예 4-1에 있어서, 축 지지체(160)는 리시버(110) 내부에서 상기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4-4) 실시예 4-3에 있어서, 축 지지체(160)는 리시버(110)의 내벽과 마주보는 원통형의 본체(161); 및 본체(161)로부터 연장되어 회전축과 결합되는 프레임부(162);를 포함하고, 노리쇠(120)와 로드(140)는 전후 방향을 축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축 지지체(160)가 리시버(1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여, 노리쇠(120) 후퇴와 관계된 반동을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흡수 및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 지지체(160)는 본체(161)와 프레임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61)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리시버(110) 내부에서 전후 방향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본체(161)의 전단에서 연장되는 프레임부(162)는 크랭크(130)의 회전축(131)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170), 크랭크(130) 및 축 지지체(160)를 갖는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격발 등에 의한 반동 중 노리쇠(120)를 후퇴시키는 전후 방향의 힘(도 5의 R1) 뿐만 아니라, 크랭크(130)의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토크 성분(도 5의 R2)과 축 지지체(160)의 연장 방향(전후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되는 토크 성분(도 5의 R3)까지 안정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실시예 5-1) 실시예 1-1에 있어서, 노리쇠(120)가 약실(21)을 개방하도록 후퇴될 때, 로드(140)와 크랭크(130)의 연결점(P)은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일측 공간을 통과하고, 로드(140)와 크랭크(130)의 연결점(P)이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타측 공간을 통과하여 전진할 때, 노리쇠(120)가 약실(21)을 폐쇄하도록 전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노리쇠(120)가 후퇴하는 힘을 크랭크(130)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반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리쇠(120)가 약실(21)을 개방하도록 후퇴될 때, 로드(140)와 크랭크(130)의 연결점(P)이 회전축(131)으로부터 일 측으로 빗겨 나가면서 힘 성분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130)의 회전에 의해 연결점(P)이 회전축(131)의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131)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힘이 분산될 수 있다. 나아가, 로드(140) 및 크랭크(13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격발 시마다 크랭크(130)가 회전되는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크랭크(130)는 반드시 일 방향으로만 계속 회전될 필요는 없고, 격발 시의 로드(140)의 각도와 크랭크(130)의 회전 속도 등에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될 수도 있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노리쇠 장치(100)는 로드(140)와 크랭크(130)의 연결점(P)이 타측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탄체(10)의 격발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크랭크(130)의 동작에 의해 노리쇠(120)가 후퇴되었다가 다시 전진되는 구간에서 다음 탄체(10)의 격발이 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다음 탄체(10)의 격발 시 노리쇠(120)가 후퇴되는 반동이 추가로 상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6-1) 실시예 1-1에 있어서, n(자연수) 번째 탄체(10)의 격발에 의한 노리쇠(120)의 후퇴에 의해 크랭크(130)가 회전되고, 크랭크(130)의 회전력에 의해 후퇴된 노리쇠(120)를 전진시킴으로써 약실(21)의 폐쇄 및 n+1 번째 탄체(10)의 격발이 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노리쇠 장치(100)는 탄체(10)의 격발에 의한 노리쇠(120)의 후퇴에 의해 크랭크(130)가 회전력을 얻고, 이 크랭크(130)의 회전력이 다시 노리쇠(120)에 전달되어 노리쇠(120)가 전진됨으로써, 다음 번 탄체(10)의 격발을 위한 노리쇠(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리쇠(120)가 크랭크(130)의 회전력에 의해 전진됨으로써, 다음 번 탄체(10)가 약실(21)에 수용되면서 약실(21)이 폐쇄될 수 있고, 이후 탄체(10)를 가압하여 격발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노리쇠(120)의 후퇴 및 크랭크(1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일정량의 반동이 상쇄되고, 상쇄되고 남은 반동은 노리쇠(120)를 전진시키는 힘으로 작용되어 약실(21)의 재장전, 밀폐 및 탄체(10)의 격발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탄체 20 : 총열
21 : 약실 22 : 총강
100 : 노리쇠 장치 110 : 리시버
120 : 노리쇠 130 : 크랭크
131 : 회전축 140 : 로드
141 : 탄성 로드 142 : 지지 로드
150 : 완충부 160 : 축 지지체
161 : 본체 162 : 프레임부
170 : 탄성체

Claims (9)

  1.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노리쇠 장치(100)에 있어서,
    탄체(10)를 수용하는 약실(21)과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리시버(110);
    상기 리시버(110) 내부에 상기 약실(21)을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노리쇠(120);
    회전축(131)을 구비하여, 상기 리시버(110) 내부에 상기 노리쇠(120)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크랭크(130); 및
    상기 노리쇠(120)와 상기 크랭크(130)를 서로 연결하는 로드(140);를 포함하는 노리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130)는 상기 노리쇠(12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노리쇠(120)가 상기 약실(21)을 개방하도록 후퇴될 때, 상기 로드(140)와 상기 크랭크(130)의 연결점(P)은 상기 회전축(131) 하측에 있는 공간을 통과하는 노리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13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크랭크(130) 및 상기 노리쇠(120)의 운동을 감쇠하는 완충부(150);를 포함하는 노리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140)는 상기 노리쇠(120) 또는 상기 크랭크(1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로드(141); 및 상기 노리쇠(120) 또는 상기 크랭크(130)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탄성 로드(141)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로드(142);를 포함하는 노리쇠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110)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131)을 지지하는 축 지지체(160); 및
    상기 축 지지체(160)를 상기 리시버(11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170);를 포함하는 노리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체(160)는 상기 리시버 내부에서 상기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노리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120)가 상기 약실(21)을 개방하도록 후퇴될 때, 상기 로드(140)와 상기 크랭크(130)의 연결점(P)은 상기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일측 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로드(140)와 크랭크(130)의 연결점(P)이 상기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타측 공간을 통과하여 전진할 때, 상기 노리쇠(120)가 상기 약실(21)을 폐쇄하도록 전진하는 노리쇠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드(140)와 상기 크랭크(130)의 연결점(P)이 상기 타측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탄체(10)의 격발을 개시하는 노리쇠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n 번째 상기 탄체(10)의 격발에 의한 상기 노리쇠(120)의 후퇴에 의해 상기 크랭크(130)가 회전되고, 상기 크랭크(130)의 회전력에 의해 후퇴된 상기 노리쇠(120)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약실(21)의 폐쇄 및 n+1 번째 상기 탄체(10)의 격발을 개시하는 노리쇠 장치(n은 자연수).

KR1020220082662A 2022-07-05 2022-07-05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KR20240005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662A KR20240005493A (ko) 2022-07-05 2022-07-05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662A KR20240005493A (ko) 2022-07-05 2022-07-05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493A true KR20240005493A (ko) 2024-01-12

Family

ID=8954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662A KR20240005493A (ko) 2022-07-05 2022-07-05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49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93B1 (ko) 2004-06-22 2007-06-11 국방과학연구소 회전노리쇠 잠금 단반동식 발사장치
KR20090112664A (ko) 2007-01-22 2009-10-28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반동 댐퍼를 구비한 무기
KR101791741B1 (ko) 2015-08-24 2017-10-30 (주)에프티에스 압축가스를 이용한 총기의 반동장치 및 격발인식장치.
KR20220049001A (ko) 2019-07-25 2022-04-20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무기 시스템 및 노리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93B1 (ko) 2004-06-22 2007-06-11 국방과학연구소 회전노리쇠 잠금 단반동식 발사장치
KR20090112664A (ko) 2007-01-22 2009-10-28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반동 댐퍼를 구비한 무기
KR101791741B1 (ko) 2015-08-24 2017-10-30 (주)에프티에스 압축가스를 이용한 총기의 반동장치 및 격발인식장치.
KR20220049001A (ko) 2019-07-25 2022-04-20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무기 시스템 및 노리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7732C2 (ru) Механизм контроля отдачи для оружия
EP1102022B1 (en) Automatic weapon with recoiling barrel
US7467581B2 (en) Semi-automatic rifle
US8752474B2 (en) Autoloading pistol design
PT2350550E (pt) Armas de fogo de recuo retardado com novos mecanismos para o controle do recuo e subida da boca
JP2008215803A (ja) 短反動半自動散弾銃
CA2742535C (en) Weapon with recoil and a braking device, damping this recoil
US3981093A (en) Gas operated launcher
US11187478B2 (en) Barreled firearm, in particular pistol, having a recoil damper
RU2363908C2 (ru) Артиллерийское орудие с выкатом "тьмака"
US4640182A (en) Shell feeding apparatus for guns
KR20240005493A (ko) 회전 구조에 의해 반동이 억제될 수 있는 노리쇠 장치
RU2696949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го патрона
US11686541B2 (en) Automatic firearm having an inertial automatic system
EP3784975B1 (en) Recoil assembly for a rifle
US7055422B1 (en) Reduced recoil anti-armor gun
US11703291B2 (en) Recoilless automatic firearm
US4084480A (en) Lightweight small craft gun system
US11346621B2 (en) Recoilless apparatus for guns
RU2382976C2 (ru) Огнестрельное орудие с аккумулятором давления
KR20110133305A (ko) 박격포용 주퇴복좌기
RU238996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огнестрельное оружие
EP2653822B1 (en) Soft recoil system and cannon having the same
US4291611A (en) Automatic loading device
RU2600172C1 (ru) Способ перезарядк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