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876A - Ct 이미징 장치 및 케이블 배선 배열체 - Google Patents

Ct 이미징 장치 및 케이블 배선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876A
KR20240004876A KR1020237041604A KR20237041604A KR20240004876A KR 20240004876 A KR20240004876 A KR 20240004876A KR 1020237041604 A KR1020237041604 A KR 1020237041604A KR 20237041604 A KR20237041604 A KR 20237041604A KR 20240004876 A KR20240004876 A KR 2024000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ller cylinder
cable routing
support structur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스타 니홀름
고진스키 크리스티안 드
토미 시리앨래
Original Assignee
플란메카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란메카 오이 filed Critical 플란메카 오이
Publication of KR2024000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8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5Mechanical aspects of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64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particular type of beam
    • A61B6/4085Cone-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치과 및 의료용 콘 빔 컴퓨터 단층촬영(CBCT)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와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사이에 배열되는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포함하는 케이블 배선 배열체를 포함한다. 케이블 배선(124)은 이러한 구성부를 진입 및 진출하며, 그 내측에 배열되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부분 루프를 형성한다.

Description

CT 이미징 장치 및 케이블 배선 배열체
본 발명은 컴퓨터 단층촬영 이미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징부는 치과 및 의료용 콘 빔 컴퓨터 단층촬영(CBCT) 이미징 장치와 관련된 사용에 적용 가능하다.
컴퓨터 단층촬영(CT)은, 이미징될 체적이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조사되고 그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원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가 재구성될 수 있는 일종의 X-선 이미징이다.
이미지들이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획득될 필요가 있지만, 이미징 장치에 대해 이미징될 객체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이미징될 객체가 위치설정되도록 설계되는 장치의 이미징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이미징 수단(x-선 소스, 이미지 검출기)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많은 이미징 모드에서, 이는 360도의 각도 범위에 걸친 회전을 요구하지만, 일부 경우에서는 대략 180도의 범위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어떠한 경우에도, 이러한 요건은,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이동하는 장치의 이러한 구성요소에 이러한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및/또는 제어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 또는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를 어떻게 전송할 것인가의 문제를 야기한다.
종래 기술은 그러한 상황 하에서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반송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및 구현된 해결책을 포함하며, 케이블을 사용할 때, 구성요소의 상이한 상호 공간적 동작 위치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장치 내에서 케이블 배선을 물리적으로 어떻게 배열할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포함한다. 기술적 해결책에 전형적인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장단점을 가지며, 이는 또한 어떤 관점으로부터 문제를 고려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특히 CBCT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케이블 배선을 신규한 방식으로 배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CBCT 장치에서, 이미징 수단의 회전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180도에 걸쳐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특징부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은 이제 바람직한 실시예 중 일부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케이블 배선 구조(cabling structure)가 구현될 수 있는 한 종류의 장치의 특정 구성요소를 일 예로서 도시하는 개략적 일반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장치의 세장형 프레임 부분과 관련한 사용에 적용 가능한 구조적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케이블 배선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일부 구조적 세부 사항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그 동작 위치 중 몇몇에서, 케이블 배선 시스템의 다른 구조의 개략도를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케이블 배선 구조가 구현될 수 있는 한 종류의 장치의 일 실시예의 특정 구성요소를 일 예로서 도시하는 개략적 일반 측면도이다.
도 6은 기울어진 자세에서 구동될 때의 구성부의 특정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5의 장치의 개략적 일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기능성에 관한 변위 및 로킹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배열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케이블 배선 구조가 구현될 수 있는 한 종류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특정 구성요소를 예로서 도시하는 개략적 일반 측면도이다.
도 9는 장치의 제어 시스템이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구성요소, 프로세스, 및 장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완전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은 단지 편의성 및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는 용이성에 기초한 개략적 표현이고, 따라서 장치 또는 그 구성요소의 상대적 크기 및 치수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및/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용어가 명료함을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도면에서의 예시를 위해 선택되는 실시예의 특정 구조만을 지칭하도록 의도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는다면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 일반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라는 용어는 이러한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요소 또는 수의 목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적 또는 수치적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컨대,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언급된 관계로부터 25% 또는 10% 또는 0%와 같은 변동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하는"은 "구성되는" 및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다", "구성된다", "갖는", "갖는다", "할 수 있다", "함유한다" 및 이들의 파생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명명된 요소들/단계의 존재를 요구하고 다른 요소들/단계의 존재를 허용하는 개방형 전이 어구, 용어 또는 단어들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케이블 배선 배열체를 포함하도록 적용 가능한 장치의 일 실시예의 특정 구성요소의 개략적 일반 측면도를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1의 치과용 또는 의료용 CT 이미징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포함한다. 이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으로부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지지 구성부(12)가 연장되며, 지지 구성부(12)는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를 지지하고,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는 도 1에서는 아직 도시되지 않는다. X-선 이미징 수단(14, 15)을 함께 형성하는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는 본질적으로 서로 대향하여 지지 구성부(12)에 장착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서, 그들의 상호 위치는 또한 조정 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은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조인 환자 지지부(18)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환자 지지부(18)는 본질적으로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길이는 대략 240 cm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길이는 220 cm과 260 cm 사이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환자 지지부(18)의 길이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길이의 80-90%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환자 지지부(18)는 제1 방향으로 더 긴 치수를 갖고,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더 짧은 치수를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환자 지지부(18)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적어도 그 주요 부분에 대해 방사선 투과성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환자 지지부(18)의 방사선 투과성 부분은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환자 지지부(18)는 제1 방향으로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 방사선 투과성이 아닌 섹션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의 환자 지지부(18)의 방사선 투과성 부분의 길이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길이의 80-90%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X-선 이미징 수단(14, 15)을 지지하는 지지 구성부(12)는 중심축을 갖는 원형 갠트리이다. 갠트리 하우징은 X-선 이미징 수단(14, 15)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완전히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는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장치는 X-선 이미징 수단(14, 15)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된 구동 기구(16)를 포함한다. 이 회전축은 원형 갠트리의 형태일 수 있는 지지 구성부(12)의 중심축(13)과 일치할 수 있고, 중심축은 도 1의 구조의 경우에서와 같이, 물리적인 축 또는 가상 회전축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갠트리의 중심축(13)은 X-선 이미징 수단(14, 15)이 곡선 경로를 따라 구동될 때 X-선 이미징 수단의 회전 중심/회전축과 일치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회전축은 순간적인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가상 회전축이고, 중심축(13)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는 변경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구성요소에 정확히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X-선 이미징 수단(14, 15)을 지지하는 구조체(12)는 중심축을 갖는 갠트리를 포함하고, 장치의 구조는, X-선 소스가 발생시키는 중심 선(central ray)이 갠트리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와 X-선 소스가 발생시키는 중심 선이 갠트리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X-선 소스(14)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및 이미지 검출기(15)의 중심에서 검출기 표면과 수직인 벡터가 갠트리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와 이미지 검출기(15)의 중심에서 검출기 표면과 수직인 벡터가 갠트리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미지 검출기(15)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허용한다. X-선 이미징 수단(14, 15)의 측방향 이동은, X-선 소스(14)가 발생시키는 중심 선이 갠트리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고 이미지 검출기(15)의 중심에서 검출기 표면과 수직인 벡터가 갠트리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X-선 이미징 수단(14, 15)을 서로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른 구동 기구(17)가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 구성부(12)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장치에 배열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그러한 구동 기구(17)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지지 구성부(12)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2a에 따른 예에서, 전술한 지지 구성부(12)의 구동 기구(17)는 모터(110) 및 풀리(112)를 회전시키도록 배열된 기어장비(gearing)(111)을 포함한다. 도 2a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구성부에서, 모터(110) 및 풀리(112)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의 부근에 위치되고,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의 부근에는 다른 풀리(112')도 존재하고, 풀리(112, 112') 둘레에 벨트(113) 또는 체인과 같은 대응하게 기능하는 구성요소가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구는, 도 2b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따라 지지 구성부(12)를 구동하기 위해 지지 구성부(12)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홈(114)이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배열되고, 홈(114)을 따라 활주하도록 끼워맞춤되는 돌출 부분(121)이 지지 구성부(12)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러 타입의 선형 안내 방식이 사용되며, 이 경우 작동은 활주라기 보다는 오히려 롤링이다.
어느 도면에도 도시되지 않은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지지 구성부(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는 지지 구성부(12) 자체에 배열된 모터를 포함한다.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지지 구성부(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17)의 구성의 세부 사항과 무관하게, 일 실시예에서, 장치의 구성은 본질적으로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 구성부(12)를 구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환자 지지부(18)를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연결하는 연결 구성부(19, 2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케이블 배선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일부 구조적 세부 사항을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3의 구성은 주 구조체로서, 외부 표면 및 가상 중심축(13)(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외측에 배열되고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를 포함하는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도 3의 실시예에는, 롤러 실린더(123)의 세트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중 2개가 1차 롤러 실린더로 고려될 수 있으며 나머지 롤러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음), 및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외측에 배열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의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치수 설정된 가이드 휠(125)의 세트의 구성을 포함한다.
도 3의 외부 및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는 케이블 배선(124)의 2개의 섹션, 즉 제1 및 제2 섹션(124', 124")을 위한 진입 위치(1211) 및 진출 위치(1221)를 포함하고, 이들 두 위치 모두에 제1 및 제2 케이블 섹션(124', 124")을 위한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1222)가 존재한다.
도 3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그러한 고정 구조체 사이에서,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은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부분 루프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을 위한 1차 롤러 실린더(primary roller cylinder)(123)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은 다른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부분 루프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을 위한 1차 롤러 실린더(123)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케이블 배선(124)의 제1 및 제2 섹션(124', 124") 중 어느 하나는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반송하는 케이블 대신에 단지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 예컨대 로프형 또는 체인형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미징 수단(14, 15)은 도면의 명료성을 위해 그리고 또한 다양한 실시예가 예를 들어 내부 및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중 어느 하나에 이들을 장착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단지 개략적으로 도 3의 구성에 도시되어 있다. 여전히, 도 3의 케이블 배선 진입 및 진출 위치(1211, 1221)의 명명 및 위치설정은, 케이블 배선(124)이 외측으로부터 도 3의 구조에 진입하고 내부의 진출 위치로부터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어지도록, X-선 이미징 수단(14, 15)이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장착된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내부 및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중 어느 것에 이미징 수단(14, 15)이 장착되는지에 따라, 해당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는 회전 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3은 위에서 도 1을 논의할 때 언급된 바와 같은 구동 기구(16)일 수 있는 회전 구동 구성부(160)를 도시하고, 따라서 도 3의 경우에, 구동 기구(16)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를 회전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이하에 더 상세하게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다.
도 4a는 도 3과 어느 정도 유사한 실시예를 약간 덜 상세하게 도시하지만, 도 4a 내지 도 4d에는, 회전 구동 구성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배열된 구성요소가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라는 기본적인 차이가 있다.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다른 구성요소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는 진입 위치(1211)와 진출 위치(1221) 사이에 단지 하나의 케이블 배선 섹션(124')만을 도시하며, 진입 위치(1211)는 이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가 아니라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있고,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가 아니라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장착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조합하여 도 4a 구성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다. 동작을 명확히 제시하기 위해, 도 4b 내지 도 4d에는 도 4a보다 적은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 그리고 케이블 섹션(124')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회전 방향에 대해 그의 전방측으로부터 1차 롤러 실린더(123) 둘레에서 부분 루프를 형성함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동안 1차 롤러 실린더(123)는 i) 케이블 섹션(124')을 거쳐 그의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에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를 당기고, ii) 또한 자신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외부 표면 상에서 케이블 섹션(124')을 조금씩 롤링시키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의 속도의 약 절반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속도의 절반이라는 것은 주어진 시간 프레임 내에서 절반의 거리를 의미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도 4b에서 1차 롤러 실린더(123)가 90도를 다소 초과하여 이동한 동안,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장착된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는 180도를 초과하여 이동하였다. 도 4c를 참조하고 마지막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완전한 원 회전보다 약간 작게(도 4a -> 도 4d는 1차 실린더의 그러한 극단적인 회전 위치를 완전히 제시하지는 않음), 2회의 완전한 360도 원에 가까운 X-선 이미징 수단(14, 15)의 회전을 생성할 수 있고, 항상 케이블 섹션(124')을 정돈되어 그리고 전체적으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 내에 긴밀하게 제어된 방식으로 배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지만, 반대인 시계 방향으로의 시스템의 회전을 생성하는 구성은 도시하지 않는다.
이어서 일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반대의 이동은 도 4a의 구성과 동일한 원리에 따르지만 도 4a 내지 도 4d의 경우와 달리 다른 1차 롤러 실린더(123)의 대향측으로부터 이어지는 부분 루프를 갖도록 다른 케이블 섹션(124") 또는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를 구조체에 배열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동일한 1차 롤러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 즉 동일한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부분 루프 양자 모두를 배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구현함으로써, 시스템은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도 동작할 수 있다.
도 3으로 다시 돌아가서, 이제 시계 방향 및 반대 방향 모두로의 이동에 관해 전술된 것을 고려하여, 도 3의 구성은 이들 모두를 가능하게 하지만, 회전 구동 구성부가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가 아니라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를 회전하도록 배열된 결과로서, 1차 롤러 실린더(123) 주위의 부분 루프가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회전 방향에 관해 제1 롤러 실린더(123)의 후방측 주위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어서, 도 3의 구성에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는, 케이블 배선 섹션 또는 가요성 요소(124', 124")가 그 둘레에서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롤러 실린더(123)의 것을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당기기 시작하고, 그때 롤러 실린더(123)가 또한 회전하기 시작한 결과로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의 속도의 약 절반에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의 이동을 따른다. 따라서, 다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 및 그에 따라 이미징 수단(14, 15) 또한 1차 롤러 실린더(123)가 360도에 가깝게 이동하는 동안 거의 2개의 완전한 원을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행하는 한 가지 방법은, 예를 들어, 도 3의 구조 내측에 대략 단지 하나의 루프에 대해 연장하는 케이블 섹션(124')을 가짐으로써, 이미징 수단을 2회의 완전한 360도 회전에 가깝게 여전히 회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배선 구성부는 회전 구동 구성부가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의 회전을 발생시키면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가 고정 배열되고, 이미징 수단(14, 15)이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이 이미징 수단(14, 15)이 장착되는 곳 및 회전 구동 구성부가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구성요소에 관한 세부 사항을 도시하지 않지만, 도 3은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내부 대신에,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1)가 케이블 배선 섹션 또는 가요성 요소(124', 124")를 당기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작동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및 그의 동작 위치를 참조하면, 반시계 방향으로의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의 회전의 시작 시에, 진출 위치(1221)에 고정된 케이블 배선 섹션(124")은 상부의 1차 롤러 실린더(123)를 거쳐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당기고, 그 1차 롤러 실린더(123)가 회전하고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가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보다 짧은 거리를 주어진 기간 동안 이동하는 동안, 케이블 배선 섹션(124")은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의 외부 표면 상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고, 더 이상 진출 위치(1221)에서 케이블 배선 섹션(124") 상에 작용하는 당기는 힘이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미는 힘이 존재할 때,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성부(122)의 외부 표면 상에 정돈되어 펼쳐진 케이블 배선 섹션(124")은 그로부터 권출될 때 굴곡되거나 주름지지 않을 것이며, 이는 이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자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1차 롤러 실린더(123)이 이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자신 주위에 있으며 또한 진입 위치(1211)에 고정된 케이블 배선 섹션(124'')을 계속 당기기 때문이다.
2개의 유사하게 구성된 케이블 배선 배열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모두에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도 3 구성에 관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2개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케이블 배선 섹션(124', 124")을 가질 때, 예를 들어 하나는 전력 케이블이 되도록 그리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케이블 배선 섹션(124', 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랫 케이블(flat cable)이다. 더 넓은 케이블 대신에 2개의 이러한 케이블을 사용할 때, 플랫 케이블의 폭의 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갖는 전체 구성을 설계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의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회전이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2개의 케이블 섹션을 사용함으로써 일어나도록 배열되지만, 일 양태에 따르면,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지 1개의 케이블 섹션이 사용되고,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스프링력으로 동작하는 것과 같은 일부 다른 적용 가능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된다.
실시예에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외부 표면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3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구성에 사용될 롤러 실린더(123)의 바람직한 수는 다양한 인자에 의존할 수 있다. 케이블 섹션(124)이 2개의 개별적인 인접한 롤러 실린더(123) 사이에서 롤러 실린더의 표면 외측에서 연장할 때,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 많은 롤러 실린더를 갖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이미징 수단(14, 15)의 회전 범위가 도 3 및 도 4의 실시예가 가능하게 하는 것만큼 클 필요가 없는 경우, 진입 위치로부터 진출 위치로 연장되는 대응적으로 더 짧은 케이블 섹션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 초과의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가 직렬로 기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일 방향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완전한 원에 근접한 것보다 훨씬 더 큰 회전 범위를 허용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롤러 실린더의 표면은 케이블 배선 섹션 또는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124")가 그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돌출 에지 또는 다른 형상을 포함한다.
도 3에서,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1222) 모두는 진입 위치(1211) 및 진출 위치(1221)에 매우 근접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 케이블 섹션(124', 124")의 일 단부는 또한 다른 곳에서 내부/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에 관련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는 중력장이 그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이 변할 수 있는 구성에 적용될 때 안정된 케이블 배선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특정 구성요소를 개략적 일반 측면도로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으로 지칭될 수 있는 것 외에, 본질적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존재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그리고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12)의 제1 단부의 부근에,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관절식 연결 구성부(22)가 배열되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축을 중심으로 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경사 형성(tilting)을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경사축은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및 지지 구성부(12)가 연장하는 전술된 제1 및 제2 방향 모두와 직교한다. 또는, 달리 말하자면 경사축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이 연장되는 방향 뿐만 아니라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를 위한 지지 구성부(12)가 제1 종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축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축은 수평이다. 이는 경사축이 수평일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측부 상에, 도 5에는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장착 구조체(23)가 관절식 연결 구성부(22)와 관련하여 배열된다. 장착 구조체(23)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 부근에,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24)가 배열된다. 특히, 로킹 기구(24)는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의 제2 단부의 부근에 배열될 수 있고, 로킹 기구는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의 제2 단부의 부근에서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을 함께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로킹 기구(24)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을 연결하지 않을 때,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는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한편, 프레임 부분(11, 21) 사이의 관절식 연결부(22)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의 부근에서, 수평 경사축을 중심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회전을 허용한다. 수직 시작 위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장착 구조체가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의 하강 및 상승을 허용한다.
도 6은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가 하향 이동되고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가 표면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스테이지에서의 도 5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장치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의 부근까지 완전히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는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구동 기구(27)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장착 구조체(23)를 구동하도록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과 기능적으로 연결되게 배열된다.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그의 제1 단부의 부근에서 기계적으로 연결될 때, 구동 기구(27)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장착 구조체(23)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27)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X-선 이미징 수단(14, 15)의 지지 구성부(12)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17)와 유사한 구성부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장착 구조체(23)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27)는 체인 구동부를 포함한다.
즉, 전술된 특징부 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장착 구조체(23)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측면 상에 관절식 연결 구성부(22)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되고, 이에 의해 그러한 구성부는 관절식 연결 구성부(23)에 대해 그리고 관절식 연결 구성부(2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에 대해 제2 프레임 부분(21)을 따르는 또는 그와 나란한 이동 자유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 구조체(23)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관절식 연결 구성부(22)는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배향과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이 본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는 배향 사이에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경사 형성을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로킹 기구(24)는, 로킹 기구(24)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을 연결 해제할 때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를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지금까지 논의된 도면에서는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는 변위 기구(25)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논의된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일 양태에 따르면, 로킹 기구(24)는 각각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및 모터 구동식 구조의 측면 상에 정합 구성요소를 구비한 모터 구동식 배열체를 포함한다.
로킹 기구(24)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가 로킹 기구(24)를 향해 이동할 때, 또는 환언하면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를 향해 이동하여 접근할 때,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를 로킹 기구(24) 상에서 직선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달리 말하면,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를 향해 이동하여 그에 접근할 때.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은 그 제2 단부의 부근에서 적어도 하나의 휠 또는 롤러(26)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휠 또는 롤러 대신에, 표면 상에서 활주하도록 설계된 구조가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전술된 특징부 중 일부에 관한 더 상세한 실시예가 도 6에 제시되며, 도 6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의 제2 단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하지만,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의 극단부는, 후방 벽(11')이라 불릴 수 있는 부분이 여전히 보이도록 일부는 완전히 절단되고 일부는 단지 하나의 벽이 절단되도록, 절단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변위 기구(25)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연장되는 방향에 본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도록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의 부근에 장착된 2개의 치형 바(31) 및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의 부근에 장착된 2개의 치형 휠(32)을 포함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치형 휠(32)은 치형 바(31)와 양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2개의 치형 바 및 휠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의 수는 단지 1개이거나 또는 2개 초과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치형 휠(32)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된 변위 모터(33)를 포함하는 변위 기구(25)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 기구(25)를 동작시키기 위해,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때 그리고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의 상호 배향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우선 변위 기구(25)를 동작시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를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로 이동시키고, 둘째로 상기 제3 구동 기구(27)를 동작시켜 장착 구조체(23)를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를 향해 구동시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를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더 먼 거리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로킹 기구(24)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를 향해 이동할 때 미리 규정된 로킹 위치에 도달한 때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감지 요소(29)를 더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로킹 기구(24)는 로킹 액추에이터(28)를 더 포함하고,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를 향해 이동할 때 미리 규정된 로킹 위치에 도달했다는 감지 요소(29)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 규정된 로킹 위치에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를 로킹하기 위해 로킹 액추에이터(28)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구성부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의 부근에서 그의 제1 단부로부터 장착되고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연장하는 방향에 본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하여, 2개의 안내 통로를 형성하는 2개의 안내 레일(30)을 포함한다. 2개의 안내 레일(30)이 도 7에 도시되어 있지만, 레일의 수는 다를 수도 있지만, 단지 하나의 레일을 사용하면 진정한 안내 기능을 갖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은 그 제2 단부 부근에 서로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2개의 휠 또는 롤러(2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안내 구성부는 본질적으로 서로로부터 동일한 제1 거리에 있는 2개의 안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2개의 안내 레일(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안내 레일(30)은 그 제2 단부에서, 안내 통로 사이의 거리를 통로의 해당 단부에서 제1 거리보다 작게 하기 위한 경사부(beveling)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부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향해 이동하도록 설계된 통로를 찾기 위해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를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 따르면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갠트리 형태의 이미징 수단(14, 15)을 위한 지지 구성부(12)는 기본적으로 이미징 수단(14, 15)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고, 이미징 수단(14, 15)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및 이미징 수단(14, 15)을 축을 중심으로 구동하도록 갠트리에 배열된 구조로서 주로 기능하거나 또는 그러한 구조로만 기능한다. 이러한 종류의 해결책은 덜 무겁고 이미징 수단(14, 15) 사이의 체적에 대한 더 양호한 접근을 제공하는 갠트리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해당 체적에서 명확한 시선이 확보될 수 있는 영역을 고려하여,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제어 시스템의 특징부의 일 예를 블록도로서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러한 특징부 모두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우선, X-선 소스 및 이미지 검출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X-선 소스 및 이미지 검출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는 X-선 소스 및/또는 이미지 검출기에 및/또는 장치 내의 다른 곳에 물리적으로 배열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제어 시스템은 장치의 구동 수단을 추가로 제어하며, 이는 이미징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 이미징 수단의 지지 구성부 및 환자 지지부의 조정 기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구조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로킹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의 경우, 제어 시스템은 또한, 전술한 변위 모터 및 로킹 액추에이터와 같은 로킹 기구의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제어 시스템은 모든 전술한 동작 또는 그 임의의 부분을 제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에 대한 입력은 원격 제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구조 및 기능성은 환자를 위치설정하고 이미징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논의된 것을 고려할 때, 이는, 일 예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제1 지지 구성부(12) 내로 그리고 그 내측에서 연장하고 X-선 이미징 수단(14, 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추가로 연장되는 케이블 배선(124) - 케이블 배선(124)은 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송함 -;
-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갖고 내부 표면 내에 가상 중심축(13)을 포함하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를 포함하는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는 그 자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함 -;
-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외측에 배열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에 대한 제1 진입 위치(1211) 및 제1 진출 위치(1221) - 제1 진입 위치(1211) 및 제1 진출 위치(1221) 중 어느 하나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배열됨 -;
- 선택적으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의 진입 또는 진출 위치(1211, 1221)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케이블 배선(124)을 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대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배열된 제1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 선택적으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진입 또는 진출 위치(1211, 1221)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케이블 배선(124)을 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대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배열된 제2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
- 회전 구동 구성부(160) 형태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1 구동 기구(16);
- 여기서 i)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및 ii)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중 어느 하나는 제1 지지 구성부(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X-선 이미징 수단(14, 15)은 그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에 장착되고,
-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i) 상기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또는 ii)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 내부 및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121)의 상호 회전 위치 및 제1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1 진출 위치(1221)까지의 관련된 최단 가능 거리를 고려하면, 제1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와 제2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 배선(124)의 섹션의 길이는 적어도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이 제1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1 진출 위치(1221)까지의 상기 최단 가능 거리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및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하나 초과의 상호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것만큼 길거나 그보다 더 길다.
이어서,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 롤러 실린더(123) 미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순간 회전을 고려할 때, 제1 롤러 실린더(123)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전방측과 전방측과 대향하는 후방측을 가지며,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은 그 후방측으로부터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은 따라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당기고 동시에 제1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하거나,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케이블 배선(123)의 제1 섹션은 그 전방측으로부터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은 따라서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를 당기고 동시에 제1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 진입 위치(1211)와 제1 진출 위치(1221)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의 길이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이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고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와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 수십도의 또는 최대 360도의 또는 360도에 가까운 상기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의 각도 변위에 대응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길다.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는 원형일 수 있으며,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및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의 두께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상기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와 접촉할 때, 또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상기 외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는 원통형 외부 표면과, 그 양 에지에 또는 그 양 에지 부근에, 돌출 에지 또는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는 원형 내부 표면을 갖고,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가이드 휠(125)의 세트를 포함하고, 가이드 휠(125)의 세트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의 원형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가이드 휠(125)에 의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사하거나 유사하게 기능하는 구조체가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원형 외부 표면으로부터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에 배열된다.
케이블 배선의 제1 섹션(124') 내의 케이블 배선(124)은 플랫 케이블일 수 있거나 플랫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적어도 7개의 롤러 실린더(123), 예컨대 10개의 롤러 실린더(123)를 포함하고, 및/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롤러 실린더(123)는 일부 또는 나머지 다른 롤러 실린더(123)의 물리적 치수보다 큰 물리적 치수를 갖는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 제2 진입 위치(1211) 및 제2 진출 위치(1221) - 제2 진입 위치(1211)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배열된 제3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를 포함하고, 제2 진출 위치(1221)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배열된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를 포함함 - 가 존재하고,
-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제2 진입 위치(1211)와 제2 진출 위치(1221)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제3 및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1222)에 부착되고,
- 선택적으로, i)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ii) 제2 진입 및 진출 위치(1211, 1221), iii) 제3 및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1222)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을 구성하고, 제2 진입 위치(1211)는 제1 진입 위치(1211)와 동일하고, 제2 진출 위치(1221)는 제1 진출 위치(1221)와 동일하고, 제3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는 제1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의 일부이거나 그와 동일하고,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는 제2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의 일부이거나 그와 동일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다음의 구조체 중 하나와 관련하여:
i)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및
ii)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구조체 중 하나의 회전을 추가로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및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121)의 하나 초과의 상호 회전 위치 및 제2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2 진출 위치(1221)까지의 관련된 최단 가능 거리를 고려하면, 제3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와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 사이에서 연장하는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의 섹션의 길이는 적어도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가 제2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2 진출 위치(1221)까지 상기 최단 가능 거리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및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하나 초과의 상호 회전 위치에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내에 포함된 제2 롤러 실린더(123) 둘레에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것만큼 길거나 그보다 길고, 제2 롤러 실린더(123)는 선택적으로 제1 롤러 실린더(123)와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롤러 실린더(123) 및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순간 회전을 고려할 때, 제2 롤러 실린더(123)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전방측 및 전방측에 대향하는 후방측을 가지며,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의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그 전방측으로부터 제2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따라서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당기고, 동시에 제2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하며,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그 후방측으로부터 제2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따라서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를 당기고, 동시에 제2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제2 진입 위치(1211)와 제2 제1 진출 위치(1221)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의 길이는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이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고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와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 수십도의 또는 최대 360도의 또는 360도에 가까운 상기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의 각도 변위에 대응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길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는 원형이고,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및 케이블 배선(124)의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제2 섹션(124")의 두께는 케이블 배선(124)의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제2 섹션(124")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상기 제2 롤러 실린더(123)와 접촉할 때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상기 외부 표면과도 접촉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제2 롤러 실린더(123)는 제1 롤러 실린더(123)와 동일할 수 있고, 케이블 배선(124)의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및 제2 섹션(124")은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그의 부분 루프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부분 루프는 제1 롤러 실린더(123) 상에서 서로로부터 측방향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이고, 케이블 배선(124)의 i) 제1 섹션(124') 및 ii) 제2 섹션(124") 중 하나는 전력 케이블, 선택적으로 플랫 케이블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 케이블, 선택적으로 플랫 케이블이다.

Claims (20)

  1. 치과용 또는 의료용 X-선 이미징 장치로서,
    -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 상기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지지 구성부(12);
    - 제1 지지 구성부(12)에 장착된 X-선 이미징 수단(14, 15)을 함께 형성하는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
    - 제1 지지 구성부(12) 내로 그리고 그 내측에서 연장하고 X-선 이미징 수단(14, 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추가로 연장되는 케이블 배선(124) - 케이블 배선(124)은 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송함 -;
    -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구성부(12)는,
    -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갖고 내부 표면 내에 가상 중심축(13)을 포함하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를 포함하는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는 그 자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함 -;
    -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외측에 배열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에 대한 제1 진입 위치(1211) 및 제1 진출 위치(1221) - 제1 진입 위치(1211) 및 제1 진출 위치(1221) 중 어느 하나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배열됨 -;
    - 선택적으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의 진입 또는 진출 위치(1211, 1221)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케이블 배선(124)을 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대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배열된 제1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 선택적으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진입 또는 진출 위치(1211, 1221)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케이블 배선(124)을 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대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배열된 제2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
    - 회전 구동 구성부(160) 형태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1 구동 기구(16)를 포함하고;
    - i)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및 ii)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중 어느 하나는 제1 지지 구성부(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X-선 이미징 수단(14, 15)은 그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에 장착되고,
    -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i) 상기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또는 ii)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 내부 및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121)의 상호 회전 위치 및 제1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1 진출 위치(1221)까지의 관련된 최단 가능 거리를 고려하면, 제1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와 제2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 배선(124)의 섹션의 길이는 적어도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이 제1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1 진출 위치(1221)까지의 상기 최단 가능 거리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및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하나 초과의 상호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것만큼 길거나 그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롤러 실린더(123) 및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순간 회전을 고려할 때, 제1 롤러 실린더(123)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전방측 및 전방측에 대향하는 후방측을 가지며,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은 그 후방측으로부터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은 따라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당기고 동시에 제1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하거나,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케이블 배선(123)의 제1 섹션은 그 전방측으로부터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은 따라서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를 당기고 동시에 제1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진입 위치(1211)와 제1 진출 위치(1221)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의 길이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124')이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고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와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 수십도의 또는 최대 360도의 또는 360도에 가까운 상기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의 각도 변위에 대응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는 원형이고,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및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의 두께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1 섹션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상기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와 접촉할 때, 또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상기 외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치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롤러 실린더(123)는 원통형 외부 표면과, 그 양 에지에 또는 그 양 에지 부근에, 돌출 에지 또는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는 원형 내부 표면을 갖고,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가이드 휠(125)의 세트를 포함하고, 가이드 휠(125)의 세트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의 원형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가이드 휠(125)에 의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사하거나 유사하게 기능하는 구조체가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원형 외부 표면으로부터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배선의 상기 제1 섹션(124') 내의 케이블 배선(124)은 플랫 케이블이거나 플랫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는 적어도 7개의 롤러 실린더(123), 예컨대 10개의 롤러 실린더(123)를 포함하고, 및/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롤러 실린더(123)는 일부 또는 나머지 다른 롤러 실린더(123)의 물리적 치수보다 큰 물리적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 제2 진입 위치(1211) 및 제2 진출 위치(1221) - 제2 진입 위치(1211)는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에 배열된 제3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를 포함하고, 제2 진출 위치(1221)는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에 배열된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제2 진입 위치(1211)와 제2 진출 위치(1221)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제3 및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1222)에 부착되고,
    - 선택적으로, i)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ii) 제2 진입 및 진출 위치(1211, 1221), iii) 제3 및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 1222)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을 구성하고, 제2 진입 위치(1211)는 제1 진입 위치(1211)와 동일하고, 제2 진출 위치(1221)는 제1 진출 위치(1221)와 동일하고, 제3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는 제1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의 일부이거나 그와 동일하고,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는 제2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의 일부이거나 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다음의 구조체 중 하나와 관련하여,
    i)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및
    ii)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구동 구성부(160)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구조체 중 하나의 회전을 추가로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및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121)의 하나 초과의 상호 회전 위치 및 제2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2 진출 위치(1221)까지의 관련된 최단 가능 거리를 고려하면, 제3 케이블 고정 구조체(1212)와 제4 케이블 고정 구조체(1222) 사이에서 연장하는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의 섹션의 길이는 적어도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가 제2 진입 위치(1211)로부터 제2 진출 위치(1221)까지 상기 최단 가능 거리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 및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하나 초과의 상호 회전 위치에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내에 포함된 제2 롤러 실린더(123) 둘레에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것만큼 길거나 그보다 길고, 제2 롤러 실린더(123)는 선택적으로 제1 롤러 실린더(123)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롤러 실린더(123) 및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순간 회전을 고려할 때, 제2 롤러 실린더(123)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을 가리키는 전방측 및 전방측에 대향하는 후방측을 가지며,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의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그 전방측으로부터 제2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따라서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를 당기고, 동시에 제2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하며,
    - 회전 구동 구성부가 상기 회전 가능한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제1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그 후방측으로부터 제2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따라서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회전 가능한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 122)를 당기고, 동시에 제2 롤러 실린더(123)의 회전을 또한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제2 진입 위치(1211)와 제1 진출 위치(1221) 사이에서 연장하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의 길이는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이 상기 부분 루프를 형성하고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1)와 외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 수십도의 또는 최대 360도의 또는 360도에 가까운 상기 가상 만곡 표면 상에서의 각도 변위에 대응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는 원형이고,
    -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 및 케이블 배선(124)의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제2 섹션(124")의 두께는 케이블 배선(124)의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또는 제2 섹션(124")이 롤러 실린더 조립체(123')의 상기 제2 롤러 실린더(123)와 접촉할 때 내부 케이블 배선 지지 구조체(122)의 상기 외부 표면과도 접촉하도록 치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롤러 실린더(123)는 제1 롤러 실린더(123)와 동일할 수 있고, 케이블 배선(124)의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 및 제2 섹션(124")은 제1 롤러 실린더(123) 주위에 그의 부분 루프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이러한 부분 루프는 제1 롤러 실린더(123) 상에서 서로로부터 측방향 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가요성 구성요소(124")는 케이블 배선(124)의 제2 섹션(124")이고, 케이블 배선(124)의 i) 제1 섹션(124') 및 ii) 제2 섹션(124") 중 하나는 전력 케이블, 선택적으로 플랫 케이블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 케이블, 선택적으로 플랫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본질적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동일한 길이의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포함하고,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의 부근에,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관절식 연결 구성부(22)가 배열되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축을 중심으로 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경사 형성을 허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경사축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관절식 연결 구성부(22)와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측면 상에 장착 구조체(23)가 배열되고, 장착 구조체(23)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과 나란히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이에 의해 관절식 연결 구성부(23) 및 관절식 연결 구성부(2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에 대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과 나란한 이동의 자유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장착 구조체(23)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를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관절식 연결 구성부(22)는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배향과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11, 21)이 본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는 배향 사이에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경사 형성을 허용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구조체이고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환자 지지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37041604A 2021-05-06 2022-05-06 Ct 이미징 장치 및 케이블 배선 배열체 KR202400048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210027 2021-05-06
FI20210027A FI130676B1 (fi) 2021-05-06 2021-05-06 CT-kuvauslaite ja kaapelointijärjestely
PCT/FI2022/050306 WO2022234195A1 (en) 2021-05-06 2022-05-06 Ct imaging apparatus and a cabling arran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876A true KR20240004876A (ko) 2024-01-11

Family

ID=8393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604A KR20240004876A (ko) 2021-05-06 2022-05-06 Ct 이미징 장치 및 케이블 배선 배열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33714A1 (ko)
JP (1) JP2024517161A (ko)
KR (1) KR20240004876A (ko)
CN (1) CN117440779A (ko)
FI (1) FI130676B1 (ko)
WO (1) WO20222341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3859A1 (de) * 1978-05-31 1979-12-13 Siemens Ag Roentgenschichtgeraet fuer transversalschichtbilder
US4366577A (en) * 1981-07-13 1982-12-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uted tomography system cable retractor
JPS6031734A (ja) * 1983-07-29 1985-02-18 株式会社東芝 X線gtスキヤナ
JP2002034960A (ja) * 2000-07-28 2002-02-05 Hitachi Medical Corp X線透視撮影装置
ES2966150T3 (es) * 2018-10-18 2024-04-18 medPhoton GmbH Sistema de anillo móvil de formación de imágenes
KR20220016916A (ko) * 2019-06-03 2022-02-10 플란메카 오이 Ct 이미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7161A (ja) 2024-04-19
EP4333714A1 (en) 2024-03-13
FI130676B1 (fi) 2024-01-11
FI20210027A1 (fi) 2022-11-07
WO2022234195A1 (en) 2022-11-10
CN117440779A (zh)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653B2 (en) X-ray CT apparatus
SE447869B (sv) Medicinsk apparat
JP3223017B2 (ja) 平面断層x線撮影装置
US11931191B2 (en) Ct imaging apparatus
KR20240004876A (ko) Ct 이미징 장치 및 케이블 배선 배열체
JP2005507278A (ja) 医療検査装置とフレーム及び患者テーブルの結合体との組立体、並びにこのような結合体
US7168855B2 (en) X-ray stand
CN1196444C (zh) 门架成像装置
CN112494059A (zh) 移动式x射线机
US20230301603A1 (en) Ct imaging apparatus
WO2020249858A1 (en) Ct imaging apparatus
CN218773895U (zh) 用于医学装置的保持设备,天花板支架设备和医学设备
RU2814908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компьютерной томографии
CN214342369U (zh) 移动式x射线机
RU2814479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компьютерной томографии
JP2022535050A (ja) Ct撮像装置
JP2023110401A (ja) 粒子線治療装置
HU207590B (en) Balancing system of the car structure carrying x-ray radiator and picture representing system, favourably for the tilting in space radiographic test board
JPH04288152A (ja) X線断層撮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