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80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808A
KR20240004808A KR1020237041397A KR20237041397A KR20240004808A KR 20240004808 A KR20240004808 A KR 20240004808A KR 1020237041397 A KR1020237041397 A KR 1020237041397A KR 20237041397 A KR20237041397 A KR 20237041397A KR 20240004808 A KR20240004808 A KR 2024000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
current output
display devic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수
김양현
서대성
최철완
신종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에 대한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 각각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하는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및 센서가 측정한 광량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휘도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로서, 광고,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유형으로는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outdoor digital signage) 및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indoor digital signage)가 있다.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는 건물 외벽, 전광판에 설치되거나 또는 아웃도어 시네마를 위해 외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의미한다.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는 대형 쇼핑몰 내벽에 설치되거나 입간판 형태로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의미한다.
이때,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는,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 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외부 환경이 제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는, 낮과 밤에 따른 조도 차이, 구름, 바람과 같은 장애물에 대하여 휘도를 제어하기 어려워 화질을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은 1 종의 구동부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1 종의 발광 소자 패키지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대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에 대한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 각각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하는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및 센서가 측정한 광량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은 제 1 저항 및 제 1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제 2 저항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구동부가 제 1 저항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구동부가 제 2 저항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2 이상의 전압; 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센서가 측정한 광량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2 이상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2 이상의 전압은 제 1 전압 및 상기 제 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 2 전압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구동부가 제 1 전압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구동부가 제 2 전압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 그룹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그룹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 1 그룹에 대한 광량과 제 2 그룹에 대한 광량이 상이한 경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 각각에 연결되는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광량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광량이 상이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발광 소자 및 제 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 1 발광 소자에 대한 광량과 제 2 발광 소자에 대한 광량이 상이한 경우, 제 1 발광 소자와 제 2 발광 소자에 연결되는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센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한 광량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간별 태양의 위치 및 각도를 계산하고, 위치 및 각도에 기초하여 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에 구동부가 2 이상의 저항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UI(User Interface)가 표시되고, 프로세서는 UI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은, 제 1 전류 출력 유닛 및 제 1 전류 출력 유닛과 출력 전류가 상이한 제 2 전류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구동부가 제 1 전류 출력 유닛 및 제 2 전류 출력 유닛과 교대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 없이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동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를 모두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정면도를 통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태양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위 용어들에 의해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에 불과하다. 것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로 지칭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제1사용자 인풋시그널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제1사용자 인풋 시그널 및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모두 사용자 인풋 시그널들이지만, 문맥 상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동일한 사용자 인풋 시그널들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실시예들을 제한하기 위해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 상 명확하게 지칭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및/또는 표현은 용어 간의 모든 가능한 결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포함한다 표현은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이 존재하는 것을 설명하고, 추가적인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 경우, ~때 등의 조건 표현은 선택적인 경우로만 제한 해석되지 않는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때, 특정 조건에 대응하여 관련 동작을 수행하거나, 관련 정의가 해석되도록 의도되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면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위 화소 또는 단위 화소의 집합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완성품에 한정하지 않고 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의 일 부품에 해당하는 패널도 독자적으로 본 명세서 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 형태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을 통해 언급된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는 전기를 광으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LED, 마이크로 LED 등을 포함하고,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는 광을 발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백라이트(Back Light)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가 기판(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 상에 마련되는 방법은,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와이어 본딩 타입(wire bonding type),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 및 TSV(Through silicon Vial) 타입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기판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는 조도는, 단위 면적 당 주어지는 빛의 양으로서, 광량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량, 조도가 서로 혼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에서 처리되는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예시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 탑 컴퓨터, 아웃도어 LED, 디지털 사이니지, 옥외 광고판 등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또는 구부러질 수 있는, 또는 비틀어질 수 있는, 또는 접힐 수 있는, 또는 말려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나아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또는 구부리거나, 또는 접을 수 있거나 또는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상태라 한다)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평면이 된다. 제 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 2 상태라 한다)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단위 화소는, 예를 들어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단위 화소는 반도체 발광 소자(1111, 도 7 참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통해 언급된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는 전기를 광으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LED, 마이크로 LED 등을 포함하고,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는 광을 발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백라이트(Back Light)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가 기판(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 상에 마련되는 방법은,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와이어 본딩 타입(wire bonding type),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 및 TSV(Through silicon Vial) 타입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기판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 2 상태에서도 단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예시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 탑 컴퓨터, 아웃도어 LED, 디지털 사이니지, 옥외 광고판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A 를 확대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1110A, 1110B)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1110A, 1110B)은 복수 개의 발광 소자 패키지(예를 들어, 1111A,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1110A, 1110B)은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실장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 패키지(예를 들어, 1111A,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예를 들어, 1111A, 도 7 참조)는 발광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기판 및 구동부와 발광 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다. 발광 소자 패키지(예를 들어, 1111A, 도 7 참조)는 발광 소자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한다. 발광 소자 패키지(예를 들어, 1111A, 도 7 참조)는 발광 소자가 구동부(1300, 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발광 소자가 온(on) 또는 오프(off) 되도록 한다. 그러나, 발광 소자 패키지(예를 들어, 1111A, 도 7 참조)가 구동부 및/또는 기판을 포함하여도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은, 발광 소자에 대응되도록 회로, 배선, 전기 회로, 전극 패드 또는 전극 패턴이 인쇄된 기판으로서, 발광 소자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인쇄 회로를 포함하는 기판이다. 예를 들어,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다.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판(1100)의 하부에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도 된다. 그러나, 발광 소자는 기판 없이, 발광 소자 패키지(예를 들어, 1111A, 도 7 참조)에 포함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부는,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부(1400)는 발광 소자의 온/오프에 대한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드라이버 IC(Driver IC)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하여,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은 기판의 일면에 마련된다. 즉, 구동부(1400)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기판의 상면이 아닌, 발광 소자가 배치되지 않은 기판의 후면에 마련된다. 그러나, 구동부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어느 위치에나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 기판의 일면 상에 마련되어, 발광 소자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제어 가능한 또는 제어 불가능한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주간 설정에 있어서, 해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가 변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디스플레이(11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1100A는 높은 조도(광량, 휘도와 같은 밝기에 관련된 외부 환경을 포함)가 입사하는 디스플레이(1100)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1100B는 낮은 조도가 입사하는 디스플레이(1100)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 디스플레이(1100)는 외부 환경(예를 들어, 조도)에 따라 더 댜양한 크기로 세분화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0)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10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1100A)는 높은 조도에 노출되게 되고, 디스플레이(1100)의 적어도 다른 일부(1100B)는 낮은 조도에 노출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인 제 1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적어도 다른 일부인 제 2 디스플레이에는 서로 상이한 조도가 입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0)는 주간 또는 야간에 운영됨에 따라, 주간 설정 시에 설정되는 휘도와 야간 설정 시에 설정되는 휘도값을 다르게 갖는다. 즉, 디스플레이(1100)는, 주간 설정된 상태에서 야간에 운영되는 경우, 또는 야간 설정된 상태에서 주간에 운영되는 경우, 감마 또는 계조 표현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마 또는 계조 표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100)는 2 종 이상의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2 종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100)는 높은 조도를 갖는 경우에 구동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또는 구동부와, 낮은 조도를 갖는 경우에 구동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또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구동부 또는 발광 소자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한 기판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고, 설치를 위한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 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에 따라 감마 또는 계조 표현의 손실 없이 휘도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대해 상술한다. 이를 위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각 구성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서, 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 1100는 디스플레이, 1200은 조도센서, 1300은 구동부, 1400은 전류 출력 유닛, 1500은 프로세서, 1600은 메모리, 1700은 통신부, 1800은 터치 센서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도 3에 도시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구성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도 2 참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0), 디스플레이(1100)에 대한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예를 들어, 1200), 디스플레이(1100)를 구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1300), 구동부(1300)에 연결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50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100)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100)는, 예를 들어, 주간 설정 시 고휘도로서 6000nit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0)는, 예를 들어, 야간 설정 시 저휘도로서 48nit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0)는, 터치 센서(1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1800)는 디스플레이(1100)의 외관에 마련되는 터치식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800)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외부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1800)는 디스플레이(1100)의 외관을 통해 입력되는 및/또는 센싱되는 터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 센서(1800)는 디스플레이(110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외부에 구현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예를 들어, 1200)는, 조도 센서(1200)를 포함한다. 조도 센서(1200)는 디스플레이(1100)에 대한 조도를 측정한다. 또는, 조도 센서(1200)는 디스플레이(110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도 2 참조) 각각에 대한 조도를 측정한다. 또는, 조도 센서(1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110, 도 2 참조)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조도로서, 예를 들어, 발광 소자 패키지(1111A, 도 7 참조)를 측정한다.
조도 센서(1200)는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1500)에 전송한다.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1100), 디스플레이 모듈(1110, 도 2 참조) 및 발광 소자 패키지(1111A, 도 7 참조)에 각각에 입사하는 광량에 대한 정보, 입사하는 광의 각도에 대한 정보 및 입사하는 광의 광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조도 센서(1200)는 디스플레이(110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는, 조도 센서(1200)는 디스플레이(1100)와 관련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부(13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0)를 구동한다. 구동부(1300)는, 하나의 구동부(1300)가 디스플레이(1100) 전체를 구동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구동부(1300)가 디스플레이(110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 발광 소자 패키지)를 구동할 수도 있다.
구동부(1300)는, 프로세서(1500)에 의해,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0)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한다.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프로세서(1500)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구동부(1300)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구동부(1300)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출력 유닛(1400)은, 전류를 출력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전류 출력 유닛(1400)은 1종으로 구성될 수 있고, 2 이상의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출력 유닛은, 1종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고, 2 이상의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하는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출력 유닛(1400)은 2 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전류 출력 유닛(1400), 2 종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고, 2 이상의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출력 유닛은, 제 1 저항과 제 1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류 출력 유닛(1400)과 연결되어, 적절한 전류를 출력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모든 또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6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밀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영상 출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0) 상에 존재한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60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5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1700)는, 외부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음향 출력 장치(도시하지 않음, 음향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포함된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마련된 경우를 모두 포함함),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7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신부(1700)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 가능한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후 개발 되는 새로운 제품 형태여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통신 가능하다.
통신부(1700)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도 2 참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0), 디스플레이(1100)에 대한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1200), 디스플레이(1100)를 구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1300), 구동부(1300)에 연결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50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은 1 종의 전류 출력 유닛으로서, 저항(1410)을 포함한다. 저항(1410)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제 1 저항(1411) 및 제 2 저항(1412)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저항은 제 1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2 개의 저항에 대하여만 나타냈으나, 저항(1410)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n(n은 2 이상의 정수) 개의 저항(예를 들어, 1411, 1412)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과 연결되는 경우, 큰 전류 값을 출력한다.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과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0)가 고휘도 범위까지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광량)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 1 저항(1411)과 연결된다.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과 연결되는 경우, 제 1 저항(1411)과 연결된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전류 값을 출력한다.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과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0)까 저휘도 범위까지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광량)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제 2 저항(1412)과 연결된다.
구동부(1300)는, 프로세서(150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류 출력 유닛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어서 고휘도의 출력이 필요한 경우,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의 최대 출력 휘도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어서 저휘도의 출력이 필요한 경우,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의 최대 출력 휘도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100)는, 고휘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저휘도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함으로 인해 계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적절한 저항(제 1 저항(1411), 제 2 저항(1412))과 연결되어, 출력 되는 전류의 값이 달라지게 함으로써,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 없이 디스플레이(1100)의 휘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와 같은 휘도 제어를 통해, DCI-P3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범위에서,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 없이 휘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조도 센서(1500)가 측정하는 조도에 대한 정보(광량을 포함)는, 예를 들어, 태양 빛이 구름에 의해 가려졌다가 걷히는 경우와 같이, 빠른 시간 내에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의 최대 휘도에 대한 설정이 불필요하게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한 평균값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예를 들어, 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100)의 최대 휘도가 불필요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구동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동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도 2 참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0), 디스플레이(1100)에 대한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1200), 디스플레이(1100)를 구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1300), 구동부(1300)에 연결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50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은 1 종의 전류 출력 유닛으로서, 전압(1420)을 포함한다. 전압(1420)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전압 값을 갖는, 제 1 전압(1421) 및 제 2 전압(1422)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압은 제 1 전압보다 작은 전압 값을 갖는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전압 값을 갖는 2 개의 전압에 대하여만 나타냈으나, 전압(1420)은, 서로 다른 전압 값을 갖는 n(n은 2 이상의 정수) 개의 전압(예를 들어, 1421, 1422)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부(1300)는, 제 1 전압(1421)과 연결되는 경우, 큰 전류 값을 출력한다. 구동부(1300)는, 제 1 전압(1421)과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0)가 고휘도 범위까지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광량)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 1 저항(1421)과 연결된다.
구동부(1300)는, 제 2 전압(1422)과 연결되는 경우, 제 1 전압(1421)과 연결된 경우와 비교하여 더 작은 전류 값을 출력한다. 구동부(1300)는, 제 2 전압(1422)과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0)가 저휘도 범위까지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광량)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제 2 전압(1422)과 연결된다.
구동부(1300)는, 프로세서(150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어서 고휘도의 출력이 필요한 경우, 구동부(1300)는 제 1 전압(1421)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의 최대 출력 휘도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어서 저휘도의 출력이 필요한 경우, 구동부(1300)는 제 2 전압(1422)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의 최대 출력 휘도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100)는, 고휘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저휘도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함으로 인해 계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압(제 1 전압(1421), 제 2 전압(1422))과 연결되어, 출력 되는 전류의 값이 달라지게 함으로써,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 없이 디스플레이(1100)의 휘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와 같은 휘도 제어를 통해, DCI-P3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범위에서,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 없이 휘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조도 센서(1500)가 측정하는 조도에 대한 정보(광량을 포함)는, 예를 들어, 태양 빛이 구름에 의해 가려졌다가 걷히는 경우와 같이, 빠른 시간 내에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의 최대 휘도에 대한 설정이 불필요하게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한 평균값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예를 들어, 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100)의 최대 휘도가 불필요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구동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를 모두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도 2 참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0), 디스플레이(1100)에 대한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1200), 디스플레이(1100)를 구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1300), 구동부(1300)에 연결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50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출력 유닛(1400)은 2 종의 전류 출력 유닛으로서, 저항(1410) 및 전압(1420)을 포함한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2 개의 저항에 대하여만 나타냈으나, 저항(1410)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n(n은 2 이상의 정수) 개의 저항(예를 들어, 1411, 1412)을 가질 수 있다.
저항(1410)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제 1 저항(1411) 및 제 2 저항(1412)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저항은 제 1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다.
전압(1420)은 2 이상의 서로 다른 전압 값을 갖는, 제 1 전압(1421) 및 제 2 전압(1422)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압은 제 1 전압보다 작은 전압 값을 갖는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전압 값을 갖는 2 개의 전압에 대하여만 나타냈으나, 전압(1420)은, 서로 다른 전압 값을 갖는 n(n은 2 이상의 정수) 개의 전압(예를 들어, 1421, 1422)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과 연결되는 경우, 큰 전류 값을 출력한다.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과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0)가 고휘도 범위까지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광량)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 1 저항(1411)과 연결된다.
구동부(1300)가 제 1 저항(1411)과 연결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휘도 값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는 적절한 휘도 값을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과 연결됨과 동시에, 제 1 전압(1421)과도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 및 제 1 전압(1421)과 동시에 연결됨으로써, 제 1 저항(1411)과만 연결된 경우보다 더 큰 전류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1300)는, 디스플레이(1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휘도 값에 도달할 수 있다.
또는, 구동부(1300)가 제 1 저항(1411)과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1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휘도 값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는 적절한 휘도 값을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과 연결됨과 동시에, 제 2 전압(1422)과도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제 1 저항(1411) 및 제 2 전압(1422)과 동시에 연결됨으로써, 제 1 저항(1411)과만 연결된 경우보다 더 큰 전류 값을 출력하면서, 제 1 전압(1421)과 동시에 연결된 경우보다 더 작은 전류 값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과 연결되는 경우, 제 1 저항(1411)과 연결된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전류 값을 출력한다.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과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0)까 저휘도 범위까지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광량)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제 2 저항(1412)과 연결된다.
구동부(1300)가 제 2 저항(1412)과 연결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휘도 값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는 적절한 휘도 값을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과 연결됨과 동시에, 제 1 전압(1421)과도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 및 제 1 전압(1421)과 동시에 연결됨으로써, 제 2 저항(1412)과만 연결된 경우보다 더 큰 전류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1300)는, 디스플레이(1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휘도 값에 도달할 수 있다.
또는, 구동부(1300)가 제 2 저항(1412)과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11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휘도 값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는 적절한 휘도 값을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과 연결됨과 동시에, 제 2 전압(1422)과도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제 2 저항(1412) 및 제 2 전압(1422)과 동시에 연결됨으로써, 제 2 저항(1412)과만 연결된 경우보다 더 큰 전류 값을 출력하면서, 제 1 전압(1421)과 동시에 연결된 경우보다 더 작은 전류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가 적절한 전류 출력 유닛(1400)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5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전류 출력 유닛(1400)의 적절한 조합을 선택하여 구동부(1300)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500)는, 구동부(1300)가 저항(1410)과 먼저 연결되도록 제어한 후 적절한 휘도 출력을 위해 구동부(1300)와 전압(1420)의 일부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0)는, 구동부(1300)가 전압(1420)과 먼저 연결되도록 제어한 후 적절한 휘도 출력을 위해 구동부(1300)와 저항(1410)의 일부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와 같은 휘도 제어를 통해, DCI-P3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범위에서,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 없이 휘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조도 센서(1500)가 측정하는 조도에 대한 정보(광량을 포함)는, 예를 들어, 태양 빛이 구름에 의해 가려졌다가 걷히는 경우와 같이, 빠른 시간 내에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0)의 최대 휘도에 대한 설정이 불필요하게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0)는, 조도 센서(1200)가 측정한 조도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한 평균값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예를 들어, 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100)의 최대 휘도가 불필요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부 또는 일부에 입사되는 각각의 조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휘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100)는 주변 조도에 따라 감마, 계조 표현에 손실없이 휘도를 설정할 수 있고, 최적의 화질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정면도를 통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 1100은 디스플레이, 1110은 디스플레이 모듈, 1111은 발광 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1100)의 일부에 대하여는 조도가 강하고, 일부에 대하여는 조도가 약한 상태가 동시에 진행 중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은, 디스플레이(1100)의 일부에 대하여는 태양 빛이 강하게 내리쬐고, 다른 일부에 대하여는 태양 빛이 구름에 가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는, 도 7은 디스플레이(1100)에 대하여 조도가 강한 경우와 약한 경우를 각각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공간적으로 동일하되 서로 다른 시간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1100A는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가 강한 부분으로, 주변의 밝기가 밝은 부분을 나타내고, 1100B는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가 약한 부분으로,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11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발광 소자 패키지(1111)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 그룹(1100A)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그룹(1100B)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그룹(1100A)에 입사되는 광량은 크고, 제 2 그룹(1100B)에 입사되는 광량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감마 및 계조 표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그룹(1100A)에 대하여는 높은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하고, 제 2 그룹(1100B)에 대하여는 낮은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1 그룹(1100A)에 대한 광량과 제 2 그룹(1100B)에 대해 입사되는 광량이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 1 그룹(1100A)과 제 2 그룹(1100B) 각각에 연결되는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 1 그룹(1100A)과 제 2 그룹(1100B) 각각에 대하여 조도 센서(1200)가 연결된다.
즉,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그룹(예를 들어, 제 1 그룹, 제 2 그룹) 각각에 대하여 조도를 달리 측정하고, 구동부(1300)가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그룹(예를 들어, 제 1 그룹, 제 2 그룹)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최대 휘도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들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에 입사되는 광량은 크고,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에 입사되는 광량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감마 및 계조 표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에 대하여는 높은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에 대하여는 낮은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에 대한 광량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에 대해 입사되는 광량이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 각각에 연결되는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 각각에 대하여 조도 센서(1200)가 연결된다.
즉,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하여 조도를 달리 측정하고, 구동부(1300)가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최대 휘도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발광 소자 패키지(1111)들은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 및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에 입사되는 광량은 크고,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에 입사되는 광량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감마 및 계조 표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에 대하여는 높은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하고,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에 대하여는 낮은 휘도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에 대한 광량과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에 대해 입사되는 광량이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과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 각각에 연결되는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과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 각각에 대하여 조도 센서(1200)가 연결된다.
즉,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 각각에 대하여 조도를 달리 측정하고, 구동부(1300)가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최대 휘도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기 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각각,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 발광 소자 패키지 각각)에 대한 조도 센서(1200, 도 3 참조)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각 기 설정된 범위마다 최대 휘도 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도록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적절한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계조 표현의 손실없이 최적의 화질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휘도가 제어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태양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 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 1100은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1100A는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가 강한 부분으로, 주변의 밝기가 밝은 부분을 나타내고, 1100B는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가 약한 부분으로,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S는 태양(광원)을 나타내고, G는 태양의 입사각을 측정하는 기준선을 나타내고, H는 태양으로부터 G까지의 수직 거리를 나타내고, A는 1100A와 태양 간의 입사 각도를 나타내고, B는 1100B와 태양 간의 입사 각도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 그룹(1100A)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그룹(1100B)을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1100)는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을 가지므로, 제 1 그룹(1100A)과 제 2 그룹(1100B)에 입사하는 광량뿐만 아니라, 입사각 또는 입사 당시의 태양의 위치도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조도 센서(1200, 도 3 참조)가 측정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제 1 그룹(1100A) 및 제 2 그룹(1100B) 각각에 대한 시간별 태양의 위치 및 각도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메모리(1600)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그룹(1100A) 및 제 2 그룹(1100B) 각각에 대한 시간별 태양의 위치 및 각도를 계산한다.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계산한 값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기 저장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설치된 설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설치된 곳의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정보, 날짜에 대한 정보 및 날짜 별 태양의 고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설치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1600, 도 3 참조)에 저장된 태양의 위치 및 각도에 대한 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설치 환경에 대한 정보 및 H, A, B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태양의 위치 및 각도에 대한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제 1 그룹(1100A)에 대한 입사각(A)이 제 2 그룹(1100B)에 대한 입사각(B)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그룹(1100A)에 대한 광량은 상대적으로 크고, 제 2 그룹(1100B)에 대한 광량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이와 같은 정보를 계산하거나 또는 조도 센서(1200, 도 3 참조)로부터 획득하고, 그에 따라 제 1 그룹(1100A)을 구동하는 구동부(1300, 도 3 참조)는 상대적으로 큰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 2 그룹(1100B)을 구동하는 구동부(1300, 도 3 참조)는 상대적으로 큰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그룹(1100A) 과 제 2 그룹(1100B)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와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1100) 전체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을 달리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 1100은 디스플레이, R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로서 예를 들어 리모컨(remote controller)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1100A는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가 강한 부분으로, 주변의 밝기가 밝은 부분을 나타내고, 1100B는 디스플레이(1100)에 입사되는 조도가 약한 부분으로,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 그룹(1100A)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그룹(1100B)을 포함한다. 이하,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외부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통신부(170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통신부(1700, 도 3 참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리모컨(R)으로부터, 제 1 그룹(1100A)에 대하여 최대 휘도 값을 6000nit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수신 되는 경우,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1 그룹의 최대 휘도 값을 6000nit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1 그룹에 대한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리모컨(R)으로부터, 제 2 그룹(1100B)에 대하여 최대 휘도 값을 48nit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수신 되는 경우,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2 그룹의 최대 휘도 값을 48nit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2 그룹에 대한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통신부(1700, 도 3 참조)를 통해 수신되는 명령은, 단순히 휘도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하는 명령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조도를 통해 설정된 휘도 값과 관계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휘도 값을 설정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개인적인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터치 센서(1800)를 더 포함한다.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100) 상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UI(User Interface)가 표시된다. 이때, UI는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터치 센서(1800, 도 3 참조)를 통해 UI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UI를 통해, 제 1 그룹(1100A)에 대하여 최대 휘도 값을 6000nit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 되는 경우,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1 그룹의 최대 휘도 값을 6000nit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1 그룹에 대한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UI를 통해, 제 2 그룹(1100B)에 대하여 최대 휘도 값을 48nit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 되는 경우,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2 그룹의 최대 휘도 값을 48nit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제 2 그룹에 대한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터치 센서(180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은, 단순히 휘도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하는 명령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대해 입력되는 명령은 터치 센서(1800)뿐만 아니라, 음성 센서(미도시), 동작 센서(미도시) 등을 통하여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대해 입력되는 명령은 각각 음성, 동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현재 조도를 통해 설정된 휘도 값과 관계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휘도 값을 설정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개인적인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전류 출력 유닛(1400, 도 3 참조)은 제 1 전류 출력 유닛 및 제 2 전류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기 설정된 시간마다 제 1 전류 출력 유닛 및 제 2 전류 출력 유닛과 교대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0, 도 3 참조)는, 기 설정된 시간을 12시간으로 설정하여, 낮 시간 동안은 출력하는 전류 값이 상대적으로 큰 제 1 전류 출력 유닛과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밤 시간 동안은 출력하는 전류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 전류 출력 유닛과 구동부(1300, 도 3 참조)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별다른 계산이나 측정이 없이도 디스플레이(1100)가 적절한 휘도 값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그룹(1100A) 과 제 2 그룹(1100B)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110A)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110B)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1111A)와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1111B)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1100) 전체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을 달리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 “,”는 “및/또는”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의 표현은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A/B/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또는”은 “및/또는”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1)A만 나타내는 경우, 2)B만 나타내는 경우 및/또는 3)A 그리고 B를 나타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또는”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예를 들면 칩, 하드웨어 회로,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는 각각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 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서로 병합함으로써 새로운 실시예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설계되는 경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권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에 속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일뿐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 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 또는 제어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구성된 일시적이지 않은 CRM 또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에 저장될 수 있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구성된 일시적인 CRM 또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RAM 등)뿐 만 아니라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PROM등을 전부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부 각각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하는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및
    상기 센서가 측정한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은 제 1 저항 및 상기 제 1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제 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 1 저항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 2 저항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2 이상의 전압;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압은 제 1 전압 및 상기 제 1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 2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 1 전압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 2 전압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그룹에 대한 광량과 상기 제 2 그룹에 대한 광량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 1 그룹과 상기 제 2 그룹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광량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광량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에 대한 광량과 상기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에 대한 광량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 1 발광 소자 패키지와 상기 제 2 발광 소자 패키지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서로 다른 전류 출력 유닛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한 광량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간별 태양의 위치 및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위치 및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구동부가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UI(User Interface)가 표시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류 출력 유닛은,
    제 1 전류 출력 유닛 및 상기 제 1 전류 출력 유닛과 출력 전류가 상이한 제 2 전류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부가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 1 전류 출력 유닛 및 상기 제 2 전류 출력 유닛과 교대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41397A 2021-08-19 2021-08-19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4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1035 WO2023022260A1 (ko) 2021-08-19 2021-08-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808A true KR20240004808A (ko) 2024-01-11

Family

ID=8523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397A KR20240004808A (ko) 2021-08-19 2021-08-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4808A (ko)
WO (1) WO20230222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84B1 (ko) * 2007-11-09 2008-02-21 (주)한일디스플레이 기상에 따라 휘도 및 색상이 가변되는 엘이디 전광판
KR20120137039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비쥬얼스톰 전광판의 밝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8208B1 (ko) * 2015-06-03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0136B1 (ko) * 2016-05-31 2018-06-25 (주)스마트옵텍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00372877A1 (en) * 2019-05-21 2020-11-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of electronic displays
KR102255387B1 (ko) * 2019-10-10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이의 화질 보정 방법 및 비디오 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260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3688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CN108922900B (zh) 一种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1140398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013912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bent display par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9427854B (zh) 电致发光显示器
CN103247235A (zh) 柔性显示器
WO2022257703A1 (zh) 显示面板和显示设备
CN104240638A (zh)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20140148241A (ko) 접착식 표시 패널, 상기 접착식 표시 패널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접착식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90134311A (ko)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백 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주사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201824247A (zh) 顯示裝置
CN113035129A (zh) 有机发光显示装置
US7916112B2 (en) Systems for controlling pixels
US11955077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KR102453082B1 (ko) 홀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26891B2 (en) Stretcha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20139311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14930441A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操作方法
CN113380196A (zh) 显示装置及驱动显示装置的方法
KR20210024339A (ko) 표시 장치
KR202400048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626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2014030062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colors of the display device
CN112420778A (zh) 显示装置
KR1026396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