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12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4128A KR20240004128A KR1020230182353A KR20230182353A KR20240004128A KR 20240004128 A KR20240004128 A KR 20240004128A KR 1020230182353 A KR1020230182353 A KR 1020230182353A KR 20230182353 A KR20230182353 A KR 20230182353A KR 20240004128 A KR20240004128 A KR 202400041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blocking wall
- camera module
- disposed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며, 적외선 차단필터가 접착부재 고정되는 베이스; 광학계가 설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돌출되지 않는 일부 구간을 가지는 제 1 차단벽; 및 상기 돌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는 광학계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과 광학계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또는 홀더 등에 접착부재로 접착 고정된다.
이때, 적외선 차단필터를 접착 고정하는데 접착부재가 경화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적외선 차단필터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JP 2009-003073 A
본 실시예는 이물 유입 방지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며, 적외선 차단필터가 접착부재 고정되는 베이스; 광학계가 설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돌출되지 않는 일부 구간을 가지는 제 1 차단벽; 및 상기 돌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벽은 동일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단벽은 상기 배출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단벽은 상기 제 1 차단벽과 일정 거리 이격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벽은 상기 베이스에 관통 형성된 윈도우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되는 베이스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차단벽을 형성하므로, 이물 이동경로가 증가하여 외부 이물의 유입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가 도포되지 않는 면을 제 1 차단벽으로 막아줄 수 있으며, 접착부재의 경화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 통로는 제 1 차단벽의 개구부와 제 2 차단벽 사이 공간부로 형성되므로, 가스로 인한 적외선 차단필터의 얼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바닥면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바닥면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바닥면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베이스(20) 및 홀더부재(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20)에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결합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마주보는 면에 관통 형성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적외선 차단 필터(2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상기 베이스(20)에 접착부재(50)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베이스(20)의 상부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한 곳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광 투과성 재질의 필름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0.05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홀더부재(3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더부재(30)는 내부에 소정의 광학계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보이스 코일 모터 등으로 액츄에이터가 설치될 경우, 마그네트, 요크 및 코일이 권선된 보빈이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의 개재 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빈에는 복수 매의 렌즈가 설치된 렌즈배럴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렌즈배럴과 홀더부재(30)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홀더부재(30)에 렌즈들이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액츄에이터의 구성 없이 고정 초점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카메라 모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20)가 별도 부재로 마련될 경우에 있어서,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베이스(20)에 접착 고정되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 이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는 베이스(20)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바라보는 바닥면 측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20)에는 접착부재(50)를 도포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 홈부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오목 홈부는 베이스(20)에 형성된 윈도우 둘레에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 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 홈부의 깊이는 적외선 차단 필터(25)의 두께보다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적외선 차단 필터(25)의 두께는 1mm 미만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오목 홈부의 깊이는 1mm 내외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부재(50)의 도포 두께를 고려하면, 상기 오목 홈부의 내부에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이 배치되도록 수 mm의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제 1 차단벽(10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차단벽(100)은 상기 윈도우 둘레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벽(100)은 돌출되지 않는 일부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차단벽(100)의 일부 구간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50)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40)는 제 1 차단벽(100)에 형성된 개구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길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1 차단벽(100)의 형상은 윈도우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윈도우가 사각형이면 제 1 차단벽(100)도 사각형이고, 윈도우가 원형이면 제 1 차단벽(100)도 원형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가 곡선과 직선의 조합을 가지면, 제 1 차단벽(100) 또한 윈도우를 따라 형성되므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20)의 윈도우는 베이스(20)를 광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한편, 제 1 차단벽(100)은 도 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므로, 상기 오목 홈부에 도포되는 접착부재(50)는 상기 제 1 차단벽(100)에 의해 윈도우 안쪽으로 흘러 넘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많은 양의 접착부재(50)가 도포 되더라도, 접착부재(50)가 윈도우 안쪽으로 흘러 넘쳐 다른 부품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차단벽(100)과는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물론, 제 1 차단벽(100) 근접한 위치에 도포될 수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50)가 흘러 넘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제 2 차단벽(200)은 상기 제 1 차단벽(100)의 돌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2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단벽(200)은 제 1 차단벽(100)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2 차단벽(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에 돌출 형성된 제 1 차단벽(100)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벽(200)은 상기 배출구(4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배출구(40)의 제 1 길이의 폭 보다 긴 제 2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차단벽(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곡선 또는 지그재그 형상 등과 같은 복잡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 2 차단벽(200)의 돌출 높이는 제 1 차단벽(100)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 2 차단벽(200)이 제 1 차단벽(100) 보다 높으면, 상기 제 2 차단벽(200)에 의해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접착 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고, 제 1 차단벽(100)이 더 높게 형성되면, 적외선 차단 필터(25)와 제 2 차단벽(200)이 밀착되지 못하여, 외부 이물이 배출구(40)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은 동일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면이 적외선 차단 필터(25)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의 돌출 높이는 접착부재(50)의 도포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50)의 도포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면, 접착부재(50)와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차단벽(200)이 돌출 형성된 오목 홈부에는 접착부재(50)가 도포되지 않는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으로 표시된 접착부재(50)의 도포면은 배출구(40)와 제 2 차단벽(200)이 돌출된 위치와는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접착부재(50)를 상기 제 2 차단벽(200)이 돌출된 위치까지 도포할 경우, 접착부재(50)의 경화 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구(40)와 제 2 차단벽(200)으로 형성된 가스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다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 홈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차단벽(100)의 바깥쪽 영역에 접착부재(50)를 도포하여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50)의 경화 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구(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때 가스는 배출구(40)을 통과한 후 제 2 차단벽(200)에 한 번 충돌한 후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으로 형성되는 유로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차단벽(100)은 접착부재(50) 미도포 구간에서 외부 이물이 윈도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 2 차단벽(200)은 배출구(40)와 일정 거리 이격 된 위치에 돌출 되어, 가스 배출 유로를 복잡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 이물이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이물이 제 2 차단벽(200)의 측면과 배출구(40) 사이에 형성된 복잡한 유로를 통과해야만 윈도우 안쪽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서는 베이스(20)의 저면에 상기한 제 1 및 제 2 차단벽(100)(200)이 돌출된 구성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20)의 상부면으로 상기 홀더부재(30)와 마주보는 면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20; 베이스
25; 적외선 차단필터 30; 홀더부재
40; 배출구 50; 접착부재
100; 제 1 차단벽 200; 제 2 차단벽
25; 적외선 차단필터 30; 홀더부재
40; 배출구 50; 접착부재
100; 제 1 차단벽 200; 제 2 차단벽
Claims (16)
-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차단벽 및 제2차단벽;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벽 및 상기 제2차단벽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접착제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벽은 상기 배출구를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벽은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을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차단벽의 상기 제1면은 평행인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와 대향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홈의 상기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아래에서 볼 때, 상기 제2차단벽은 일자 형상인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상기 제1차단벽과 상기 제2차단벽과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벽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배출구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과 상기 제2차단벽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벽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 내에 배치되는 렌즈와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차단벽과 제2차단벽과, 상기 제1차단벽과 상기 제2차단벽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82353A KR20240004128A (ko) | 2020-12-24 | 2023-12-14 |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903A KR102269125B1 (ko) | 2020-07-20 | 2020-12-24 | 카메라 모듈 |
KR1020220079307A KR102615778B1 (ko) | 2020-12-24 | 2022-06-28 | 카메라 모듈 |
KR1020230182353A KR20240004128A (ko) | 2020-12-24 | 2023-12-14 | 카메라 모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9307A Division KR102615778B1 (ko) | 2020-12-24 | 2022-06-28 |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4128A true KR20240004128A (ko) | 2024-01-11 |
Family
ID=7412693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903A KR102269125B1 (ko) | 2020-07-20 | 2020-12-24 | 카메라 모듈 |
KR1020210079481A KR102345985B1 (ko) | 2020-12-24 | 2021-06-18 | 카메라 모듈 |
KR1020210185437A KR102416043B1 (ko) | 2020-12-24 | 2021-12-22 | 카메라 모듈 |
KR1020220079307A KR102615778B1 (ko) | 2020-12-24 | 2022-06-28 | 카메라 모듈 |
KR1020230182353A KR20240004128A (ko) | 2020-12-24 | 2023-12-14 | 카메라 모듈 |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903A KR102269125B1 (ko) | 2020-07-20 | 2020-12-24 | 카메라 모듈 |
KR1020210079481A KR102345985B1 (ko) | 2020-12-24 | 2021-06-18 | 카메라 모듈 |
KR1020210185437A KR102416043B1 (ko) | 2020-12-24 | 2021-12-22 | 카메라 모듈 |
KR1020220079307A KR102615778B1 (ko) | 2020-12-24 | 2022-06-28 |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5) | KR10226912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885908B (zh) * | 2005-06-24 | 2010-04-2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照相模组 |
JP2009003073A (ja) | 2007-06-20 | 2009-01-08 | Hitachi Maxell Ltd |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
-
2020
- 2020-12-24 KR KR1020200182903A patent/KR1022691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6-18 KR KR1020210079481A patent/KR1023459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2-22 KR KR1020210185437A patent/KR1024160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6-28 KR KR1020220079307A patent/KR102615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12-14 KR KR1020230182353A patent/KR20240004128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5985B1 (ko) | 2022-01-03 |
KR102269125B1 (ko) | 2021-06-25 |
KR20220098106A (ko) | 2022-07-11 |
KR20210079252A (ko) | 2021-06-29 |
KR20210002076A (ko) | 2021-01-07 |
KR102615778B1 (ko) | 2023-12-20 |
KR102416043B1 (ko) | 2022-07-05 |
KR20220000869A (ko) | 2022-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739218B (zh) | 透镜移动装置 | |
KR102214331B1 (ko) | 카메라 모듈 | |
CN211206923U (zh) | 光学组件驱动机构 | |
KR102578903B1 (ko) |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
KR102615778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37573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9730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3756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97306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21649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220047241A (ko) | 카메라 모듈 | |
KR102333815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209885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72169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17369B1 (ko) | 렌즈 구동 장치 | |
KR102462431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22431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09123B1 (ko) | 카메라 모듈 | |
JP2003307663A (ja) | レンズホルダ一体型レンズユニット | |
KR20140061331A (ko)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