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027A -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027A
KR20240004027A KR1020220082059A KR20220082059A KR20240004027A KR 20240004027 A KR20240004027 A KR 20240004027A KR 1020220082059 A KR1020220082059 A KR 1020220082059A KR 20220082059 A KR20220082059 A KR 20220082059A KR 20240004027 A KR20240004027 A KR 20240004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wire
connector
junction box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창
박천덕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인트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트로스 filed Critical (주)인트로스
Priority to KR102022008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4027A/ko
Publication of KR2024000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 보다 더 큰 상면을 가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정션박스로서, 상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 관통구; 상기 커넥터 관통구에 결합되고 내부로 전선이 구비되는 커넥터; 상기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하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컨트롤러 내부로 인입하는 전선 관통구; 및 상기 컨트롤러와 볼트 체결을 위해, 상기 전선 관통구 주위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Junction box for wire entry structure of controller}
본 발명은 반도체 장비 등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내경 와이어 용적률 문제와 와이어 인입시 발생할 수 있는 절연체 피복 손상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트롤러에 정션박스를 부착하여 전선 체결 구조를 개선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등을 위한 장비로는 다양한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에는 내부로 전선을 인입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장비의 컨트롤러에 전선관을 인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기존의 컨트롤러 본체(10)의 일면에는 일정 크기로 내부와 외부가 개방된 부위로서 외부로부터 내부로 전선이 주입되는 인입구(20)가 형성된다. 즉, 컨트롤러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각종 전선은 상기 개방된 인입구(20)를 통해 컨트롤러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급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인입구(20)에는 전선(또는 전선관)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플레이트(도 4의 P)가 결합된다. 플레이트(P)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서 커텍터를 상기 인입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25는 플레이트(P)를 컨트롤러 인입구(20)에 체결하는 체결구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P)에는 커넥터(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커넥터(30)는 통상 둥근 형상의 내부 종공의 관통된 부재로서 그 내부 관통된 공간으로 전선(45)이 인입된다. 그림에서 40은 전선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관이며, 50은 외부에서 케이블을 컨트롤러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케이블 트레이이다. 그리고, 상기 전선을 내부로 인입하는 커텍터(30)의 직경은 다양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산업현장에서 공간 상의 문제 또는 설치되는 장비의 내부 문제 또는 고객사의 특별한 요구 사항 등등에 의해 전선관을 입입하는 상기 인입구(20)의 크기가 특정한 크기로 정해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에 인입되어야 하는 가요성 전선(45) 또는 전선관(40)의 개수 또는 크기 등도 특정되어 정해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을 내부로 인입하는 커텍터(30)의 직경도 필요한 수치로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활한 전선 인입을 위해서는 상기 커넥터의 직경이 54Φ 인 커넥터를 4개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 인입구(20)에 체결되는 플레이트(P)의 면적이 좁아서 이러한 커넥터를 설치할 수가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충분한 직경의 커넥터를 설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커넥터를 설치하고 여기에 무리하여 전선을 투입하게 되면, 가요전선관 내경의 금속와이어 용적율이 높아지는 허용치 이상이 되는 문제가 있고, 장기적으로 와이어 절연체의 경화 작용으로 전기 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이러한 무리한 작업으로 인해 가요전선관 인입 작업에서 와이어의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806436 : 정션박스내 케이블 커넥터와 메인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보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도체 장비 등에서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 공간이 협소한 상황에서 내경 와이어 용적률 문제와 와이어 인입시 발생할 수 있는 절연체 피복 손상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 보다 더 큰 상면을 가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정션박스로서, 상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 관통구; 상기 커넥터 관통구에 결합되고 내부로 전선이 구비되는 커넥터; 상기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하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컨트롤러 내부로 인입하는 전선 관통구; 및 상기 컨트롤러와 볼트 체결을 위해, 상기 전선 관통구 주위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면 또는 측면에 맞닿아서 결합되는 일단면인 제1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면인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0°또는 45°또는 90°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상면은 상기 측면으로부터 회동하여 내부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 공간이 협소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가요전선관 내경의 금속와이어 용적율을 허용치 이하로 유지하고, 와이어 절연체의 경화 작용으로 인한 전기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며, 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장비의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트롤러에 장착되는 전선관과 커넥터의 모습이며,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라 커넥터에 전선이 삽입된 예시적인 모습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션박스에 90°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정션박스에 각각 45°커넥터와 0°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12와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션박스에 45°커넥터와 0°커넥터가 각각 설치된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션박스에 90°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정션박스에 각각 45°커넥터와 0°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12와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션박스에 각각 45°커넥터와 0°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비 등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의 본체 내부로 전선을 공급하는 통로인 인입구(20)가 협소한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입구(20) 위를 전체적으로 덮어서 설치되는 정션박스(100)에 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입구 협소하여 적절한 크기의 커넥터를 설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하는 '컨트롤러' '인입구'라는 표현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대한 것이 아니며, 컨트롤러에 부가되는 정션박스이기 때문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인입구(20)에 설치되던 플레이트(P)를 제거하고, 플레이트 보다 더 큰 표면적(상면)을 가진 정션박스(100)로 대체하여 커넥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100)는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전선 인입구(도 1의 20) 보다 더 큰 상면을 가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인입구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며, 전체적으로 상면(110)과 측면(120)과 하면(1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션박스의 상면(110)에는 복수 개의 커넥터 관통구(115)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관통구(115)에 커넥터(150)가 결합된다. 그리고, 커넥터 내부로 전선이 투입되어 정션박스 내부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종래 플레이트(P)보더 더 큰 면적의 상면에서 커넥터가 결합되기 때문에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20) 크기를 변경할 수 없는 경우 커넥터 설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션박스의 하면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20)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하면(130)의 일부가 개방되어 전선을 컨트롤러 내부로 인입하는 전선 관통구(140)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의 구조에는 전혀 변경을 가하지 않고, 플레이트만을 대체한 것이다. 즉, 정션박스(100)의 하면(130)을 상기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20) 만큼 제거한 상태로, 정션박스를 컨트롤러 본체에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컨트롤러와 볼트 체결을 위해, 상기 정션박스(100)의 하면(130)에는 전선 관통구(140) 주위에서 볼트체결공(135)이 형성된다. 볼트체결공(135)은 종래기술의 플레이트(P)에 형성된 체결구(25)와 동일한 위치와 크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정션박스는 상면에서 커넥터(150)가 체결되고 이를 통해 전선이 투입되기 때문에 컨트롤러 자체에서 전선 인입 공간이 협소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가요전선관 내경의 금속와이어 용적율을 허용치 이하로 유지될 수 있고, 와이어 절연체의 경화 작용으로 인한 전기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50)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션박스 상면을 기준으로 여러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컨트롤러의 위치와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정션박스(100)의 상면에 맞닿아서 결합되는 커넥터의 일단면을 제1면(152)이라 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의 타단면을 편의상 제2면(154)이라고 하면, 상기 제1면(152)과 제2면(154)은 서로 소정의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0°또는 45°또는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110)은 상기 측면(120) 및 하면(130)으로 된 본체로부터 회동하여 내부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 좋다. 즉, 정션박스(100)는 측면과 하면으로 된 본체부와 상면으로 된 커버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부와 커버부는 회동하여 개방되는 것이며, 일측에는 커버와 본체의 잠금을 위한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의 예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션박스의 상면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결합되는 형상이며, 그외에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유사하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은 정션박스에 45°커넥터와 0°커넥터가 각각 설치된 모습인데, 이외에 90°커넥터 등 다른 각도의 커넥터가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의 정션박스(200)를 개략적으로 보면,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 보다 더 큰 상면을 가진 육면체 형상이며, 측면(220)에 복수 개의 커넥터 관통구(2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관통구에 결합되고 내부로 전선이 구비되는 커넥터(250)와, 상기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하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컨트롤러 내부로 인입하는 전선 관통구(240)와, 상기 컨트롤러와 볼트 체결을 위해, 상기 전선 관통구 주위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235)을 포함하는 형상이다.
즉, 정션박스의 상면에 커넥터가 배치된 것에 대신하여 측면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형상이 차이점이며, 그외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 보다 더 큰 상면을 가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정션박스로서,
    상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 관통구;
    상기 커넥터 관통구에 결합되고 내부로 전선이 구비되는 커넥터;
    상기 컨트롤러의 전선 인입구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하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컨트롤러 내부로 인입하는 전선 관통구;
    상기 컨트롤러와 볼트 체결을 위해, 상기 전선 관통구 주위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면 또는 측면에 맞닿아서 결합되는 일단면인 제1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면인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0°또는 45°또는 90°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상면은 상기 측면으로부터 회동하여 내부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KR1020220082059A 2022-07-04 2022-07-04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KR20240004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059A KR20240004027A (ko) 2022-07-04 2022-07-04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059A KR20240004027A (ko) 2022-07-04 2022-07-04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027A true KR20240004027A (ko) 2024-01-11

Family

ID=8953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059A KR20240004027A (ko) 2022-07-04 2022-07-04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40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436B1 (ko) 2017-04-14 2017-12-07 박찬주 정션박스내 케이블 커넥터와 메인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436B1 (ko) 2017-04-14 2017-12-07 박찬주 정션박스내 케이블 커넥터와 메인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932B2 (en) Ground wire connector
USRE47893E1 (en) Conduit connec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124079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0403590Y1 (ko) 단자함
KR20240004027A (ko) 컨트롤러 전선 인입구조 개선을 위한 정션박스
CN105098394A (zh) 整体式接地毂
EP1961093B1 (en) Ceiling box
US5405035A (en) Junction box case locking structure
JP4109103B2 (ja) 電気的な接続装置
US2540999A (en) Cable connector
US5713757A (en) Assembly for supplying power
US11102894B2 (en) Saddle type electrical enclosure
JP2588237B2 (ja) フロアパネル開口部の塞ぎ板の取付構造
US6969279B1 (en) Exterior connection weather seal
KR200274778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US12006183B2 (en) Mounting brackets for cord reels
KR20210001355U (ko) 전기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구조
JP4591374B2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7116030B2 (ja) プロテクタ
US20210126410A1 (en) Mounting Brackets for Cord Reels
KR20240059204A (ko) 커넥터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2633451B1 (ko) 배선박스용 부싱커넥터세트
CN216532458U (zh) 电磁屏蔽盒
KR101311073B1 (ko) 전기배선박스
KR102364781B1 (ko)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